KR102341982B1 - Hot melt adhesive that can be processed by high-speed process - Google Patents

Hot melt adhesive that can be processed by high-speed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982B1
KR102341982B1 KR1020197003632A KR20197003632A KR102341982B1 KR 102341982 B1 KR102341982 B1 KR 102341982B1 KR 1020197003632 A KR1020197003632 A KR 1020197003632A KR 20197003632 A KR20197003632 A KR 20197003632A KR 102341982 B1 KR102341982 B1 KR 10234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melt adhesive
adhesive
adhesive formulation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2640A (en
Inventor
이탈로 코르자니
비아지오 사바레
Original Assignee
사바레 아이.씨.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레 아이.씨.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사바레 아이.씨. 에스.알.엘.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7/06678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07451A1/en
Publication of KR2019012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982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1Multistage polymeris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 change in reactor conditions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5Isotac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성이 개선되어 고속 공정, 특히 분무 또는 섬유화 공정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새로운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개시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그 주요 폴리머 구성요소로서 점도가 낮고,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로서, 상기 조성적으로 바이모달인 폴리머 조성물의 제 1 폴리머(폴리머 A)는 다른 올레핀과의 이소택틱 부텐-1 코폴리머 또는 이소택틱 부텐-1 호모폴리머이고, 반면에 제 2 폴리머(폴리머 B)는 정성 및/또는 정략적으로 코폴리머 A와 명백히 다른 화학적 조성물을 갖는 다른 올레핀과의 부텐-1 이소택틱 코폴리머인 단계에서,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실질적으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다양한 타입의 용도의 용품에 있어서, 특히 흡수성 위생 용품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ovel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that can be easily processed even by high-speed processes, particularly spraying or fiberizing processes.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s a low-viscosity, as its main polymer component, in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steps, wherein the first polymer (Polymer A) of the compositionally bimodal polymer composition is isotactic with the other olefins. butene-1 copolymer or isotactic butene-1 homopolymer, whereas the second polymer (polymer B) is qualitatively and/or quantitatively butene-1 isotactic with other olefins having a chemical composition distinctly different from copolymer A in the step of being a co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wherein the hot melt adhesive further comprises a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suitable for use in articles of various types of use, in particular in the manufacture of absorbent hygiene articles.

Description

고속 공정에 의해 가공 가능한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 that can be processed by high-speed process

본 발명은 분무 및 섬유화 적용 공정에서 특히 발생되는 높은 제조 라인 속도 및 높거나 또는 매우 높은 변형 속도(기술 용어로는 "전단 속도"로서 공지됨)에서의 공정에 있어서도, 신규하고 최적의 가공성을 갖는 새로운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vel and optimal processability, even for processes at high production line speeds and high or very high strain rates (known in technical terms as “shear rates”), which occur especially in spraying and fiberizing application processes. A novel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는 그 주요 폴리머 구성요소로서, 점도가 낮고(따라서, 평균 분자량이 비교적 작고),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공정에서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실질적으로 바이모달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적으로 바이모달 폴리머 조성물의 제 1 폴리머(폴리머 A)는 또 다른 올레핀과의 이소택틱 부텐-1 호모폴리머 또는 이소택틱 부텐-1 코폴리머이고, 반면에 제 2 폴리머(폴리머 B)는 정성 및 정량적으로 A와 명백히 상이한 화학적 조성을 갖는 또 다른 올레핀과 부텐-1의 이소택틱 코폴리머인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고;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를 더 포함한다. The hot melt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s main polymer component, is a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 having low viscosity (and therefore relatively low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in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processes, wherein the composition Thus, the first polymer (polymer A) of the bimodal polymer composition is an isotactic butene-1 homopolymer or isotactic butene-1 copolymer with another olefin, whereas the second polymer (polymer B) i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t least one 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bimodal composition which is an isotactic copolymer of butene-1 and another olefin having a chemical composition distinctly different from A; It further comprises a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또한, 그 신규한 가공성은 주로 분무 또는 섬유화의 적용을 위해 매우 높은 라인 속도 및 높거나 매우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적용 공정에 있어서도 놀랄만큼 개선되며(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한 등급의 폴리부텐-1을 포함하는 다른 핫멜트 접착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로서 긍정적이고 매우 바람직한 특성의 예기치 않은 광범위한 조합을 발휘한다:In addition, its novel processability is surprisingly improved even for application processes at very high line speeds and at high or very high shear rates, mainly for spraying or fiberizing applications (polybutene-1 of different grades than used herein). Compared to other hot melt adhesives comprising

- 용융 상태에서 놀랄만큼 낮은 점도 및 매우 낮은 탄성값을 나타내며, 이러한 사실은 높은 속도 및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최적의 가공성을 정당화시키는 것 이외에 -이하에 나타내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감열성인 기재, 예를 들면 낮은 열변형 온도/융점의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특히 평량이 낮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부직포와 같은 특히 얇은 기재 상에 적용할 수 있다. - exhibit surprisingly low viscosity and very low elastic values in the molten state, which, in addition to justifying optimal processability at high and high shear rates - as can be seen below -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s It can be applied on substrates that are thermosensitive, for example plastic films with low heat deflection temperature/melting point and/or especially thin substrates such as plastic films or nonwovens with low basis weight.

- 용융 상태에서 경화된 직후에도, 높은 응집력(핫멜트 접착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용융 상태에서의 낮은 점도와 양립할 수 없는 특성) 및 강한 접착력의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Even immediately after curing in the molten state, it exhibits very good properties of high cohesiveness (in the case of hot melt adhesives, a characteristic generally incompatible with low viscosity in the molten state) and strong adhesion.

- 용융 상태에서 경화된 후, 폴리부텐-1 쇄는 고체 상태의 사용 온도(일반적으로 실온)에서 경시적으로 지연되어 제어 가능한 느린 결정화를 거치며, 이는 이미 양호한 초기의 접착성, 응집성 및 물리적 특성을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실온에서의 느린 결정화 현상은, 폴리부텐-1 결정이 특히 견고하고 형태학적으로 '완전'한 최적의 양으로 제어 가능하게 형성되게 하며, 예를 들면 파단 연신율 및 유변학적 파라미터인 탄 델타(Tan Delta)의 현저한 감소와 대조적으로 동반되는 그들의 경도(예를 들면, 시험법 ASTM D1321-04에 따라 측정됨), 탄성 계수(G') 및 파단 인장 강도의 현저한 증가 등의 핫멜트 조성물의 주요한 물리적 및 유변학적 파라미터의 실질적인 변화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 After curing in the molten state, the polybutene-1 chain undergoes a controllable slow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at the working temperature in the solid state (usually room temperature), which already exhibits good initial adhesion, cohesiveness and physical propertie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e slow crystallization phenomenon at room temperature allows polybutene-1 crystals to be particularly robust and controllably formed in optimal amounts of 'complete' morphologically, e.g. elongation at break and rheological parameters Tan Delta (Tan Delta). The major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hot melt compositions, such 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hardness (e.g., as measured according to test method ASTM D1321-04), modulus of elasticity (G'), and tensile strength at break, concomitantly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Substantial changes in enemy parameters can be detected.

또한, 상기 느린 결정화로부터 유래되는 본 발명의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접착 특성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효과는 포뮬레이션 자체의 점착성의 경시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In addition, another important effect on the adhesive properties of the hot melt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sulting from the slow crystalliz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ver time of the tackiness of the formulation itself.

반면에, 상기 용융물로부터의 경화 직후(즉, "0시간"에 대한 정의는 아래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실온에서 부드럽고 매우 점착성이 있는 접착제이고, 따라서 광범위한 기재와의 최적의 접착 접합을 즉시 생성하고, 이어서 후속의 결정화를 지연시켜 그들의 유변학적, 물리적 및 접착 특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임),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초기 표면 점착성에도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 On the other hand, immediately after curing from the melt (i.e., see below for the definition of “zero hour”), the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soft and very tacky adhesives at room temperature and thus optimal adhesion with a wide range of substrates. It creates a bond immediately and then delays subsequent crystallization to radically change their rheological, physical and adhesive properties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making it robust against the initial surface tackiness of the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ffect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0시간에서의 상당히 높은 점착성은, 단지 우수한 접착 접합을 즉각적으로 형성하는 것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경시적으로(즉, 결정화의 진행에 따라) 놀랄만큼 더 낮은 값으로 감소되어 0으로 하락하고, 따라서 최종 상태에서는 어떠한 잔류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완전히 "점착성이 없는" 것으로서 규정될 수 있는 접착제를 제공한다.As already mentioned, the significantly high tack at 0 hours decreases over time (i.e. with the progress of crystallization) to surprisingly lower values, since it only requires the immediate formation of a good adhesive bond. It drops to zero and thus does not exhibit any residual tack in the final state, providing an adhesive that can be defined as completely "tack free".

상온에서의 단순한 짧은 방치만으로 점착성이 획기적으로 변화되는 접착제의 이러한 특성은, 사용 중에 제품에 포함된 일부 접착제가 사용자의 피부에 우연히 접촉하여 심각한 불편함과 가능한 단점을 초래할 수 있고, 또는 용품의 패키징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구조용 접착제가 계속 강하게 점착성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 서로 접합되지 않아야 하는 상이한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접합이 일어나거나 영구적인 구조적 변형이 일어나는, 특히 모든 사용 분야(예를 들면, 위생 흡수성 용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는 특성인 어떠한 잔류 점착성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This characteristic of the adhesive, in which the adhesiveness changes dramatically only by simple short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some adhesives contained in the product accident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during use, causing serious inconvenience and possible disadvantages, or packaging of the product In particular in all areas of use (e.g. For hygiene absorbent articles, for example), a very important and valuable property is that any residual tackiness no longer appears.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고체 상태 및 실온에서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상기 느린 결정화는, 일반적으로 용융 상태에서 접착제가 응고된 후 약 2시간 전부터 감지되기 시작할 수 있으며, 반면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그들의 코폴리머 등의 상이한 폴리올레핀계의 다른 핫멜트 접착제는 응고 후, 각각의 분자 구조 및 조성에 따라 도달될 수 있는 결정화도의 최종 수준에 실질적으로 즉시 도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고체 상태에서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의 결정화는 일반적으로 수 일, 예를 들면 약 1일~약 7일, 통상 약 5일 내에 완료된다.The slow crystalliza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lid state and at room temperature, which is delayed with time, can usually begin to be detected about 2 hours after the adhesive has solidified in the molten state, while for example Other hot melt adhesives of different polyolefin type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opolymers thereof, etc., can reach, after solidification, substantially immediately the final level of crystallinity which can be reach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molecular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contrast, crystalliza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layed over time in the solid state, is generally completed within a few days, such as from about 1 day to about 7 days, usually about 5 days.

- 초기에 물질이 용융 상태로부터 응고된 직후, 고체 상태에서는 응집성이 있지만 동시에 부드럽고, 유변학적 파라미터인 탄 델타의 값이 높다는 사실은 놀랄만큼 강한 접착 접합의 즉각적인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당업자라면 누구나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특성은 접착제와 접합되는 기판 사이의 매우 밀접한 접촉 및 이들 사이의 우수한 습윤성을 가능하게 하므로 접착 접합의 강도를 최대화한다.- The fact that the material is initially cohesive but at the same time soft in the solid state immediately after solidification from the molten state, and the high value of the rheological parameter tan delta allows the immediate formation of a surprisingly strong adhesive bond. Indeed, as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is property maximizes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bond as it allows for very close contact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substrate being bonded and good wettability therebetween.

-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의 상기 특유의 유변학적 특성인 상당히 긴 "오픈 타임"(그 정의 및 측정에 대해서는 하기 참조)은 다양한 성질의 기재와의 접착 공정을 모두 최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초기에 높은 값을 갖는 유변학적 파라미터인 탄 델타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가 고체 상태에서도 기판과 매우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계속 "유동"할 수 있게 하고, -기재가 다공성, 섬유상 또는 천공된 경우에- 특히 섬유들 사이 또는 상기 기재의 구멍들 사이에서 공극의 내부에도 일부가 침투하며, 이러한 상황은 접착 접합뿐만 아니라 접착제와 기재 사이의 물리적 인터로킹의 형성에 의해 접착력을 더욱 강화시킨다. 상기 특유의 거동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예를 들면 위생 흡수성 용품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다공성 또는 섬유상 기재, 또는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갖는 천공된 필름 상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Said characteristic rheological property of the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airly long "open time" (see below for its definition and measurement), makes it possible to optimally and very easily control both the bonding process with substrates of various properties. do. In addition, tan delta, a rheological parameter with initially high values, allows the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inue to "flow" into very close contact with the substrate even in the solid state, whether the substrate is porous, fibrous or perforated. In some cases-particularly between the fibers or into the interior of the voids between the pores of the substrate, this situation further strengthens the adhesion not only by adhesive bonding but also by the formation of physical interlocking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substrate. Owing to this peculiar behavior, the hot melt adhesiv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articularly suitably used, for example, on porous or fibrous substrates, which are very often used in hygiene absorbent articles, or on perforated films having a two-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

그러나, 상기 언급된 탄 델타의 높은 값은 접착제가 너무 오랫동안 너무 높게 일정하게 유지되면 접착제가 도포된 기재 내부 또는 용품 내부로 계속 유동하기 때문에 해로울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접착제가 접착되어야 하는 표면과 상이한 영역의 완전히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접착제 자체의 "물리적 소실" 때문에 접착 강도값이 크게 저하될 수 있고; 또는 접착제가 섬유상 또는 천공된 기재의 대향면 상에 "재표면화"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블리드 스루(bleed-through)"라고 알려진, 소위 부정적 현상이 발생되어 섬유상 또는 천공된 기재의 외부면이 주로 구멍을 통해 기재의 외부면으로 이동하는 접착제 때문에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용품의 다른 부분 및 부착되어서는 안되는 부분에 부적절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피부에 불쾌하게 점착되거나 할 수 있다. However, the high values of tan delta mentioned above can be detrimental because if the adhesive is held constant too high for too long, the adhesive will continue to flow into the applied substrate or into the article. In this way, the adhesive strength value may be greatly reduced due to the “physical loss” of the adhesive itself, since the adhesive may migrate to a completely different place in an area different from the surface to which it is to be adhered; Alternatively, the adhesive may be “resurfac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brous or perforated substrate, in this way a so-called negative phenomenon known as “bleed-through” occurs to the exterior of the fibrous or perforated substrate. Adhesive, which migrates primarily through the hol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cause the face to adhere improperly to other parts of the article contained therein and to parts it should not adhere, or otherwise adhere unpleasantly to the user's skin.

어떠한 이론과 결부되는 일 없이,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긍정적이고 매우 바람직한 성질의 이 새롭고 놀라운 조합(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 현상이 시작되기도 전이라도 용융 상태에서의 낮은 점도 및 고체 상태에서의 우수한 즉각적인 응집력이 공존하는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그들 사이의 모순되는 성질의 조합)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바이모달 조성물과 낮은 점도의 신규한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의 조성적 구조 및 신규하고 특이한 분자로부터 유래된다고 가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Without wishing to be bound by any theory, this novel and surprising combination of positive and highly desirable properties for hot melt adhesives (low viscosity in the molten state and excellent instantaneous cohesion in the solid state, even before the time-delayed crystallization phenomenon even begins) As coexisting, in some cases the combination of contradictory properties between them) is the compositional structure of the novel 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of low viscosity and the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as used herein. and novel and unusual molecules.

특히, 이하에 보다 명확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혁신적이고 놀랄만한 특성은 상기 폴리머 폴리부텐-1 조성물의 이하의 특유의 특성에 주로 기인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In particular, as will be more clearly described below,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innovative and surprising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imarily due to the following unique properties of the polymer polybutene-1 composition:

- 모달리티의 2개의 중심 주위에 매우 좁은 분포를 갖는 조성적으로 바이모달 구조; 특히 이것은 낮은 분자량 및 매우 낮은 분자량뿐만 아니라 높은 분자량 및 매우 높은 분자량 모두에서 분획이 실질적으로 부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이 분획은, 예를 들면 치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를 사용하여 종래의 합성 공정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부텐-1에 있어서는 상당한 양이 항상 불가피하게 존재한다. - a compositionally bimodal structure with a very narrow distribution around the two centers of modality; In particular, this means that fractions at both low and very low molecular weights as well as high and very high molecular weights are substantially free; In polybutene-1 synthesized by the synthesis process of

- 용융 상태에서 소망의 저점도를 제공하는 충분히 낮은 평균 분자량이며, 이것은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구형 폴리부텐-1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과산화물에 의해 분자를 파괴하는 임의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매우 제어된 방식으로 합성 반응기 내에서 이미 얻어진다. - a sufficiently low average molecular weight to provide the desired low viscosity in the molten state, without going through any process of destroying the molecules by peroxides since it was necessary to use spherical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Ziegler-Natta catalyst It is already obtained in the synthesis reactor in a very controlled manner.

- 또한, 상술한 분자 모폴로지에 기인한 용융에 있어서의 낮은 탄성. 이 특성은 낮은 점도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분무 및 섬유화와 같은 고속 및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공정에 있어서도 예기치 않은 우수한 가공성을 정당화한다.- In addition, low elasticity in melting due to the molecular morphology described above. This property is related to the low viscosity and justifies the unexpected good processability, especially for processes at high and high shear rates, such as spraying and fiberizing.

- 점착 공정시에 신규하고 매우 유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조성적으로 모달리티의 2개의 중심의 존재. 예를 들면, 가장 높은 경화 온도를 갖는 모달리티의 중심 주위에 클러스터되어 있는 폴리머의 분획은 보다 일찍 응고되어 최적의 응집력을 즉각적으로 제공하지만, 폴리머 조성물의 나머지 분획은 계속 기재 상에 유동하여 기재를 습윤시킴으로써 생성된 접착 접합의 강도를 최적화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the existence of two centers of compositionally modality, operating in a novel and highly advantageous manner in the adhesion process. For example, the fraction of the polymer clustered around the center of the modality with the highest curing temperature will solidify earlier to immediately provide optimal cohesion, while the remaining fraction of the polymer composition will continue to flow on the substrate and wet the substrat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strength of the resulting adhesive bond is optimized by

따라서, 이하의 페이지에서 더욱 상세하게 잘 설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범주는 본원에 사용되는 점도가 낮고,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바이모달 조성물과 상술의 신규한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을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으로서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포뮬레이팅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신규한 특수 폴리머 조성물의 특유의 특성을 일반적으로 핫멜트 접착제의 선택적 품질에 요구되는 최고의 접착 특성, 유변학적 특성, 물리적 및 가공적 특성과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최종적인 접착제 포뮬레이션이 특히 경시적으로 지연되고 고체 상태 및 실온에서 발생되는 효과적인 결정화와 관련이 있는 상기 신규한 폴리머 조성물의 혁신적이고 독특한 특성을 완전히 유지시킨다. Accordingly, as may be better explained in greater detail on the following pages, the mai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low viscosity, bimodal compositions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as used herein, and the novel isotactic metallocene butenes described above. -1 formulating the polymer composition in the most suitable way as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ich method combines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novel special polymer composition with the highest adhesive properties, rheological properties, which are generally required for selective quality of hot melt adhesives; By combining with the physical and processing properties, the final adhesiv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lly retains the innovative and unique properties of the novel polymer composition, particularly with regard to delayed time-dependent and effective crystallization occurring in the solid state and at room temperature. .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그들의 특유한 특성인 용융 상태에서의 매우 낮은 점도; 용융 상태에서의 낮은 탄성; 고속의 분무 또는 섬유화에 의한 우수한 가공성; 강한 응집력과 강한 즉각적인 접착력의 조합;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의 가변적인 긴 오픈 타임; 접착 시간 및 물리적 특성을 더욱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고체 상태에서의 결정화; 매우 낮거나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 잔류의 최종 점착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다른 접착제의 사용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용품의 다양한 타입의 적용에 있어서 흡수성 위생 용품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적용에도 가능한 용도를 한정하는 일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접착제로서 흡수성 위생 용품에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용품의 제조를 위한 접착제; 탄성 구성요소(실, 스트립, 탄성 필름 또는 패널 등)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모두 가질 수 있는 천공된 필름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 사용 중인 경우라도 흡수성 위생 용품의 흡수 코어의 보존성을 강화하고 보증하기 위한 접착제 등.Th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ir characteristic properties: very low viscosity in the molten state; low elasticity in the molten state; Excellent processability by high-speed spraying or fiberization; The combination of strong cohesion and strong immediate adhesion; variable long open times in any case; crystallization in the solid state, which is delayed with time, which more significantly increases adhesion time and physical properties; Due to the very low or completely non-existent residual final tack,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bsorbent hygiene products in the application of various types of articles hitherto commonly required in the use of other adhesives. For example, without limiting the possible uses for other applications in this way, th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bsorbent hygiene products as general adhesives such as: adhesives for the manufacture of all articles; adhesives for bonding elastic components (such as threads, strips, elastic films or panels); adhesives for bonding of perforated films, which may have both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dhesives, etc. to strengthen and ensure the integrity of the absorbent core of absorbent hygiene products even when in use.

규정 Rule

"포함하다"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표현은 본문에서 상기 용어의 뒤에 오는 것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성분 또는 특징, 예를 들면 요소들, 단계들, 구성요소들, 당업계에 공지되거나 본원에 개시된 것 중 어느 하나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된 용어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The expression "comprises" or "comprising" specifies the presence of what follows the term in the text, but does not include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such as elements, steps, components, known in the art or described herein. It is used herein as an open-ended term tha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ny of the disclosed ones.

"고체가 아닌"이라는 표현은 특정 화합물 또는 성분 또는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물리적 양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사용되는데, 여기서 물리적 양상이란 비록 명확한 체적을 갖고 있는 경우라도 고정된 자신의 형상이 아닌 그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다. 그들이 일시적으로 임의의 3차원 형상으로 형상화되기에 충분히 점성이 있는 경우라도, 외부의 응력없이 정치된 후, 자신의 중량과는 별개로, 영구적으로 변형되고 자발적으로 유동되어 매우 신속하게(통상은 수 초~약 1일 사이에서 변화되는 소정의 기간에) 초기 형상이 소실되며, 이들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형상(이들이 이미 끝부분까지 가득차 있지 않은 경우) 또는 그들이 놓여있는 고체 표면의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이 규정은 이 형용사의 통상의 의미에 따라 "액체(높은 점도와 낮은 점도 모두에서)"로서 규정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공통 언어로, 예를 들면 "부드러운", "풀같은", "젤리같은", "유동적인", "끈적 끈적한", "반고체의" 등으로 규정되는 모든 성분를 더 포함한다. 특정 화합물 또는 성분 또는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이라고 할 때에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것을 유변학적 용어로 규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즉 유변학에서는 23℃의 특정 온도에서 점성 계수(G")가 탄성 계수(G') 초과이거나, 탄 델타가 1 초과인 규정에 따른 균등물인 유변학적 규정에 따라, 즉 통상적으로 23℃의 온도에서 "고체가 아닌" 물질은 "유변학적으로 액체"로 규정될 수 있다.The expression "not solid" is used herein to mean the physical aspect of a particular compound or component or component or mixture thereof, wherein the physical aspect is a physical aspect of a compound or component or component or mixture thereof, which is not in its fixed shape, even if it has a definite volume. It takes the shape of the containing container. Even if they are viscous enough to be temporarily shaped into any three-dimensional shape, after standing without external stress, they deform permanently, independently of their own weight, and flow spontaneously very quickly (usually several In a given period of time varying from seconds to about 1 day), the initial shape is lost, and takes the shap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m (if they are not already full to the end) or the shape of the solid surface on which they rest. Thus, this provision can be defined not only as "liquid (at both high and low viscosity)" according to the ordinary meaning of this adjective, but also as "soft", "grassy", "jelly" in a common language, for example. It further includes all ingredients defined as "like", "fluid", "sticky", "semi-solid", and the like. Another way to define in rheological terms what is mean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icular compound or ingredient or ingredient or mixture thereof is said to b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is, in rheology, the viscosity modulus ( According to the rheological rule, G") is greater than the modulus of elasticity (G'), or the equivalent according to the rule that the tan delta is greater than 1, i.e., a material that is not "solid" at a temperature of usually 23°C is "rheologically liquid" " can be defined as

"실온"이란 다른 방식으로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한, 23℃의 온도를 의미하고; 또한 "실내 조건"이란 23℃ 및 상대 습도 50%의 제어된 온도 및 상대 습도의 환경 조건을 의미한다."room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of 23° C.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so, "indoor conditions" means an environmental condition of controlled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23 DEG C and 50% relative humidity.

"흡수성 위생 용품"이란 성인 실금자용 기저귀 및 속옷, 아기 기저귀 및 턱받이, 트레이닝 팬츠, 영유아 케어용 와이프, 여성용 생리 패드, 음순간 패드, 팬티 라이너, 페서리, 생리대, 탐폰 및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상처 드레싱 제품, 흡수 케어 매트, 세제 와이프 등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및 비흡수 용품에 관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의미한다. "Absorbent hygiene products" means adult incontinence diapers and underwear, baby diapers and bibs, training pants, infant care wipes, women's menstrual pads, interlabial pads, panty liners, pessaries, sanitary napkins, tampons and tampon applicators, wound dressing products , devices and/or methods directed to disposable absorbent and non-absorbent articles, including absorbent care mats, detergent wipes, and the like.

"천공된 필름"이란 통상 복수의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의미하며,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모두 가질 수 있고, 흡수성 위생 용품의 구성요소로서 종종 사용되는 통상의 구멍 크기는 수백 미크론~약 1밀리미터의 범위이다.By "perforated film" is meant a film consisting of a plastic component, such as polyethylene, which is usually perforated with a plurality of apertures, which may have both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nd which are commonly used as components of absorbent hygiene products. Hole sizes range from a few hundred microns to about a millimeter.

"섬유상 기재"란 흡수성 위생 용품에 있어서 구성요소로서 동등하게 사용되는 직포 및 부직포 형태의 천연 또는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본질적으로 평탄한 구조를 갖는 제품을 의미한다.By "fibrous substrate" is meant an article having an essentially flat structure formed by natural or synthetic fibers or mixtures thereof in the form of woven and non-woven fabrics equally used as components in absorbent hygiene products.

"다분산도" 또는 "분자량 분포 지수" 또는 "PDI"란 특정 폴리머의 분자량의 분산의 측정값을 의미한다. 이는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 사이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PDI=Mw/Mn. PDI의 값이 클수록 분자량의 분포 곡선이 더욱 넓어지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Mw, Mn 및 이들의 비율 Mw/Mn=PDI는, 예를 들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By "polydispersity" or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dex" or "PDI" is meant a measure of the dispersion of the molecular weight of a particular polymer. It is defined as the ratio betwe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PDI=Mw/Mn. The larger the value of PDI, the wider the distribution curve of molecular weight, and vice versa. Mw, Mn, and their ratio Mw/Mn=PDI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접착제의 "오픈 타임"이란, 특히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 제 1 기재 상에 용융물을 적용한 후, 제 1 기재와 적당한 압력 하에 접촉되는 제 2 기판과 접착제가 의도된 용도로 충분히 강한 접착 접합을 형성할 수 있는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너무 짧은 오픈 타임은 접착제의 적용 및 충분히 강한 접합의 형성을 어렵게 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핫멜트 접착제의 오픈 타임은 시험법 ASTM D 4497-94에 따라 측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부분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참조).The "open time" of an adhesiv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hot melt adhesive, means that after application of the melt onto a first substrate, the adhesive with a second substr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substrate under moderate pressure will form an adhesive bond strong enough for its intended use. possible time interval. It is clear that an open time that is too short can make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and the formation of a sufficiently strong bond difficult. The open time of the hot melt adhesive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test method ASTM D 4497-94, and in some cases may be partially modified in an appropriate manner (see below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링 앤드 볼 연화점"이란 ASTM D 36-95법에 따라 측정된 성분의 연화 온도를 의미한다."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means the softening temperature of a componen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36-95 method.

종래 기술prior art

폴리부텐-1의 이소택틱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부텐-1 및 기타 올레핀, 예를 들면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것)는 초기에는 산업적으로 제조되고, Huls, Mobil, Witco와 같은 회사에 의해 시판되었지만, 1977년 이래로 주로 Shell이 오랜 시간 동안 세계의 주요 공급업체였고, 현재 LyondellBasell이 계속 제조하고 있다. Isotactic 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polybutene-1 (derived from butene-1 and other olefins such as ethylene) were initially manufactured industrially and marketed by companies such as Huls, Mobil, Witco, For a long time, mainly Shell, since 1977, has been the world's main supplier and continues to be manufactured today by LyondellBasell.

"구형" 폴리부텐-1의 모든 생산물은 치글러-나타 타입의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All products of "spherical" polybutene-1 were prepared using a Ziegler-Natta type of catalyst.

최근, LyondellBasell사는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에서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실질적으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실질적으로 "단일" 또는 "모노모달" 조성물, 또는 낮은 점도의 이소택틱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을 모두 갖는 메탈로센 촉매로 합성된 새로운 폴리부텐-1을 개발하였다. 이들 최신의 신규한 폴리머 조성물은 Basell Poliolefine Italia EP 16178432.7 및 EP 16178433.5의 2개의 특허출원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서 인용된다.In recent years, LyondellBasell has produced both a substantially "single" or "monomodal" composition having a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in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steps, or a low viscosity isotactic butene-1 polymer composition. A novel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metallocene catalyst having These latest novel polymer composition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wo patent applications, Basell Poliolefine Italia EP 16178432.7 and EP 16178433.5,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기 두 가지 촉매 기술의 차이점 및 관련된 제조 공정의 특성에 대한 분석과 엄밀히 결부되는 일 없이, 메탈로센 기술은 종래의 치글러-나타 타입의 촉매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들과 비교하여 매우 상이하고 개선된 분자 특성을 갖는 폴리머를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특히, 통상 "멀티 사이트"인 치글러-나타 촉매는, 화학적 조성(코폴리머의 경우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분자량이 모두 다른, 상이한 폴리머 쇄의 혼합물-매우 넓은 "변화량" 또는 "분산" 또는 "분포"를 갖는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 다소 임의적인 혼합물-인 폴리머를 필연적으로 야기함을 강조할 수 있다. Without being strictly bound b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talyst technolog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volved, the metallocene technology is very different and improved compared to those obtainable by conventional Ziegler-Natta type catalysts. It is well known that polymers with specific molecular properties can be synthesized. In particular, Ziegler-Natta catalysts, which are usually "multisite", are mixtures of different polymer chains - very wide "variance" or "dispersion" or "distribution" - both differing in molecular weight as well as in chemical composition (in the case of copolymers). It can be emphasized that in any case having "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합성은 조성 및 분자량 모두 매우 넓은 분포/분산을 갖는 폴리머를 생성한다.In this way, the synthesis produces polymers with a very broad distribution/dispersion in both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대조적으로, 통상 "단일" 촉매 사이트에서의 메탈로센 촉매의 사용은 조성 및 분자량의 분포 모두에 대해 매우 좁은 분포를 얻을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고; 또한, 메탈로센 촉매는 얻고자 하는 분자량을 훨씬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면, 이들은 낮은 점도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특히 적합한 특히 낮은 분자량의 폴리머를 이미 중합시에 제조할 수 있게 한다.In contrast, it is well known that the use of metallocene catalysts in a conventional "single" catalytic site can yield very narrow distributions of both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In addition, metallocene catalysts allow much more precise control of the molecular weight to be obtained, thus making it possible, for example, to prepare especially low molecular weight polymers, which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low viscosity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lready upon polymerization. .

이는 치글러-나타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부텐-1을 사용해서는 가능하지 않다. 상기 구형 폴리머는 분자량이 매우 높을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보다 어렵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통상 파이프의 압출과 같은 낮은 속도 또는 매우 낮은 속도의 생산 공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This is not possible with polybutene-1 synthesized by Ziegler-Natta catalyst. Since the spherical polymer has a characteristic that not only has a very high molecular weight but also has more difficult processability, it is usually suitable for use in low-speed or very low-speed production processes such as extrusion of pipes.

이들 높은 점도는 용융에 의해 제거되고, 고속 공정에서의 이들의 열악한 가공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들 모든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은 소정량의 유기 과산화물로 처리 및/또는 첨가되어 시판되고 있다. These high viscosities are removed by melting and in order to at least partially compensate for their poor processability in high-speed processing, in general all these Ziegler-Natta types of polybutene-1s are treated with an amount of organic peroxide and/or Or it is added and marketed.

따라서, 치글러-나타 타입 폴리부텐-1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은 시판되기 전에 공급자-예를 들면 Shell 등- 자체적으로 이들 폴리머를 첨가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은 경우라도 과산화물에 의한 폴리머의 열 분자 파괴가 존재한다. Thus, in all the examples cited in the prior art using Ziegler-Natta type polybutene-1, the peroxide is clearly added to these polymers by the supplier - for example Shell, etc. - before being put on the market. Even if not mentioned, there is thermal molecular destruction of polymers by peroxides.

이들 폴리부텐-1은 고온 및 용융 상태에서 처리하는 동안에, 이들 과산화물은 라디칼 매커니즘에 의해, 이들 폴리부텐-1의 평균 분자량의 파괴 및 감소를 일으키고, 이는 예를 들면, 과산화물에 의해 발생된 초기의 긴 폴리부텐-1 쇄의 파괴 및 단편화의 라디칼 공정 동안에 생성되는 낮은 분자량의 쇄의 추가량의 "윤활 작용(lubricating)"으로 인해, 용융 점도를 낮추고 적어도 낮은 속도의 공정에서 가공성을 다소 향상시킨다. During processing of these polybutene-1s at high temperature and molten state, these peroxides cause destruction and reduction of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se polybutene-1s by a radical mechanism, which, for example, causes the initial Due to the breakage of long polybutene-1 chains and the "lubricating" of the additional amount of low molecular weight chains produced during the radical process of fragmentation, it lowers the melt viscosity and at least somewhat improves the processability at low speed processes.

그러나, 상기 과산화물에 의한 열적 매커니즘을 통한 분자량의 파괴는 혼란스럽고, 무작위적인 공정이며, 그 최종 결과가 완전히 통제되지 않고 통제할 수 없음이 폴리머 과학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명백하다.However,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polymer science that the destruction of molecular weight via a thermal mechanism by the peroxide is a chaotic, random process, the end result of which is not fully controlled and uncontrollable.

첫 번째 결과로서,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최소 용융 점도(예를 들면, 분해된 폴리머를 MRF로 표기하는 점도-MFR의 규정에 대해서는 하기 참조)를 계속해서 상당히 높게 유지하는 실질적 한계값을 발견한 것 이외에, 폴리부텐-1의 긴 개시 쇄의 이 혼란스럽고 제어할 수 없는 파괴가 그 구조(예를 들면, 분기 측쇄의 존재 유무 및 양), 그 길이(분자량) 및 그 조성(코폴리머의 경우)이 전체적으로 무작위적이고 제어 불가능한 새로운 쇄를 생성시키고, 그 화학적 및 물리-화학적 특성이 높은 변화량 및 예측 불가능성을 갖는 최종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은 명백하다. As a first result, in any case, the practicality of maintaining significantly higher minimum melt viscosities achievable by the above technique (e.g. viscosity for degrading degraded polymers - see below for definition of MFR) In addition to finding thresholds, this chaotic and uncontrollable breakage of the long initiating chain of polybutene-1 is dependent on its structure (eg, presence and absence and amount of branched side chains), its length (molecular weight) and its composition. It is clear that this (in the case of copolymers) produces new chains that are entirely random and uncontrollable, and that their che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give the final polymer with high variance and unpredictability.

즉, 이것은 치글러-나타 촉매와 동일한 높은 점도의 폴리부텐-1로부터 개시되는 경우, 및 분자량 파괴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시험 조건이 유지되는 경우라도(즉, 동일한 타입 및 양의 파괴 과산화물을 사용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열 파괴 처리를 동일한 시간 동안 정확히 지연시키고, 거의 동일한 평균 전체 용융 점도를 갖는 분해된 최종 생산물을 최종적으로 얻는 것, 즉 동일한 전체 MFR), 실제로 각 실시예에서는 열 파괴 공정에서 생성되는 새롭게 발생되는 쇄의 구조, 길이 및 조성(코폴리머의 경우)의 측면에서, 무작위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머를 경우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고 "다르게" 생성한다. That is, when starting from the same high viscosity polybutene-1 as the Ziegler-Natta catalyst, and even when the same test conditions are maintained for the various examples of molecular weight breakdown (i.e., the same type and amount of breaking peroxide) to finally obtain a decomposed final product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average overall melt viscosity, i.e. the same overall MFR), and in practice in each example, in the thermal destruction process In terms of the structure, length and composition (in the case of copolymers) of the newly generated chains produced, the polymers produced by random processes are often highly variable and "different".

이러한 공정에서 발생되는 최종 폴리머 생성물의 분자 특성의 높은 가변성 및 통제 불가능성/예측 불가능성(즉, 거의 동일한 최종 전체 MFR를 얻어야 하는 경우라도)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고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특성이며, 특히 과산화물에 의해 분해된 상기 폴리부텐-1이 핫멜트 접착제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The high variability and uncontrollability/unpredictability of the molecular properties of the final polymer product resulting from these processes (i.e., even if it is necessary to obtain approximately the same final overall MFR) are highly undesirable and potentially negative properties, especially for peroxides. This is the case when the polybutene-1 decomposed by the above is used as a component of a hot melt adhesive.

실제로, 핫멜트 접착제를 포뮬레이팅하는데 사용된 폴리머의 분자 특성이 접착제의 모든 주요 특성(접착력, 응집력, 용융 탄성 및 따라서 특히 고속 프로세스 등에 있어서의 양호 또는 열악한 가공성)에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Inde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olecular properties of the polymers used to formulate hot melt adhesives have a very strong influence on all key properties of the adhesive (adhesion, cohesion, melt elasticity and thus good or poor processability, especially in high-speed processes, etc.) It is well known.

또한, 접착제의 "한계 기준" 또는 접착제의 근본적인 특성에 근접할 수 있는 특정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경우, 명백하게 매우 작은 크기라도 베이스 폴리머의 분자적 특성에 있어서의 가능한 변화는, 상기 폴리머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주된 적용 특성(접착, 응집, 공정과 관련된 것 등)에서 완전히 수용하기 어려운 실제로 극적이고 매우 강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Also, for certain hot melt formulations that may approximate the "limit criteria" of the adhesive or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a possible change in the molecular properties of the base polymer, even at apparently very small sizes, is a hot melt adhesive comprising the polymer. It is well known that in the main application properties (adhesion, agglomeration, process-related, etc.) of

또한, 본원에서 논의된 경우에 있어서, 즉 초기에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평균 점도를 과산화물로 열처리하여 낮추는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폴리부텐-1을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에는, 최종 접착제의 주요 특성(공정 특성, 접착 특성, 응집 특성 등)에 대한 이러한 처리의 완전히 예측 불가능한 효과(잠재적으로 매우 부정적 효과라도) 외에 더 중요한 효과가 고려되어야 한다.Also, in the case discussed herein, that is, in the case of a hot melt adhesive comprising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which initially lowers an unacceptably high average viscosity by heat treatment with a peroxide, the final adhesive In addition to the completely unpredictable (even potentially very negative) effects of these treatments on the main properties of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부텐-1을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근본적이고 실질적으로 고유한 특성은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를 나타내고, 이것이 최적의 제어 가능한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다면, 이미 양호한 초기 접착, 응집, 및 접착제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추가적이고 현저한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하에 더욱 잘 설명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 fundamental and substantially intrinsic property of hot melt adhesives comprising polybutene-1 is that they exhibit crystallization delayed over time, which, if this can occur under optimally controllable conditions, already has good initial adhesion, cohesion. , and the fact that it can lead to further a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will be better explained below.

폴리머 과학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머 매트릭스의 결정화는 보다 쉬운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즉 형성된 결정이 더 많고 질적으로 보다 "완벽"하며, 구조, 조성, 분자량(너무 높지 않은 것이 좋음) 등과 관련하여 폴리머 쇄의 분자적 특성이 서로 더 "유사"하다.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polymer science, it can be said that the crystallization of the polymer matrix is taking place in an easier way, i.e. the more crystals formed, the more "perfect" in quality, the better the structure,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not too high). preferred), etc., the molecular properties of the polymer chains are more "similar" to each other.

따라서, 상술의 공정의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폴리부텐-1의 과산화물에 의한 분자 파괴(molecular breaking)는, 주요 효과로서 폴리부텐-1의 분자쇄의 구조, 길이, 조성(코폴리머의 경우) 등의 변화량을 확대시킨다는 사실은 그들의 처리 후, 예상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를 제한하거나 심지어 손상시킴으로써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명백하다. Therefore, molecular breaking by peroxide of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the Ziegler-Natta catalyst in the above process is the main effect of the structure, length, and composition of the molecular chain of polybutene-1 (of the copolymer). It is clear that, after their treatment, the fact that broadening the amount of variability of the

여하튼, 핫멜트 접착제의 포뮬레이션에 있어서의 폴리부텐-1의 용도에 관한 종래 기술의 교시로 돌아가면, 폴리부텐-1 자체의 주요한 종래의 공급자, 즉 Shell은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있어서, 치글러-나타 합성으로부터 얻어진 폴리부텐-1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가능한 용도에 대해 출원한 몇몇 특허,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568,713호에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로 합성하기 전에 이들 폴리머의 평균 분자량을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열처리함으로써 미리 파괴하는 것이 필요불가결하다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이유로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이들 폴리부텐-1은 모두 적절한 양의 과산화물을 첨가하여 처리된다.In any case, returning to the prior art teachings regarding the use of polybutene-1 in the formulation of hot melt adhesives, the major conventional supplier of polybutene-1 itself, i.e. Shell, in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Ziegler- In several patents filed for possible use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olybutene-1 obtained from Nata synthesis, such as US Pat. No. 4,568,713,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se polymers prior to synthesis into a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using a peroxide Thus, it teaches that it is indispensable to destroy in advance by heat treatment. As already mentioned, for this reason, all of these polybutene-1 synthesized by Ziegler-Natta catalyst are treated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of peroxide.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218,457호에 인용되어 당시 Shell에 의해 시판된 호모폴리머 DP 0800 또는 코폴리머 부텐-1/에틸렌 DP 8510 및 DP 8910 등의 폴리부텐-1의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의 경우가 있다. For example, the case of 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polybutene-1, such as homopolymer DP 0800 or copolymers butene-1/ethylene DP 8510 and DP 8910, marketed by Shell at the time cited in U.S. Patent No. 6,218,457 have.

이러한 폴리머 중에 존재하는 과산화물에 의해 발생되는 분자량의 파괴에도 불구하고, 핫멜트 접착제의 제조를 위한 열처리시에, 미국 특허 제6,218,457호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최종 용융 점도는 매우 높다. 실제로, 163℃(325℉)에서 측정했을 때 최소 7,300mPa.s~최고 31,200mPa.s에서 변화된다.Despite the destruction of molecular weight caused by the peroxides present in these polymers, upon heat 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hot melt adhesives, the final melt viscosity of th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mentioned in the examples of US Pat. No. 6,218,457 is very high. In fact, it varies from a minimum of 7,300 mPa.s to a maximum of 31,200 mPa.s when measured at 163°C (325°F).

핫멜트 접착제의 조제 및 공정 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핫멜트 접착제는 용융 점도가 높거나 매우 높기 때문에 고속의 적용 공정에서 가공 불가능하며, 특히 분무 또는 섬유화와 같은 전단 속도가 높거나 매우 높은 적용 공정에서 거의 가공 불가능하다. As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preparing and processing hot melt adhesives, the above-mentioned hot melt adhesives have high or very high melt viscosities and are therefore unprocessable in high speed application processes, especially with high shear rates such as spraying or fiberizing, or Almost impossible to machine in very high application processes.

또한, 미국 특허 제6,218,457호에 의해 교시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개시된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는 또 다른 폴리머, 특히 APAO(비정질-폴리-알파-올레핀)를 폴리부텐-1보다 상당히 많은 양으로 포함하고;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이러한 실시예에 개시된 포뮬레이션은 보다 적은 양의 폴리부텐-1로 개질된 APAO계 포뮬레이션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하며, 그 반대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APAO와 같은 상이한 폴리머가 폴리부텐-1에 대해 주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은 접착제의 접착, 응집 및 가공성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이며, 이는 치글러-나타 폴리부텐-1이 포뮬레이션 중의 유일한 폴리머였다면 그 성질은 분명히 그 자체로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폴리부텐-1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이하의 결정화에 대해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개시된 핫멜트 접착제의 접착력 및 응집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효과이며, 폴리부텐-1과 다른 다량의 폴리머, 특히 APAO와 같은 비정질 폴리머가 폴리부텐-1에 대해 주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은, APAO와 같은 폴리머가 주된 양으로 존재함으로써 결정성 폴리머 폴리부텐-1을 "희석"시켜, 결정화를 방해하며, 그 자체가 비정질이고 결정화될 수 없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운동 및 정량적 측면에서 모두 상기 결정화에 부정적인 영향만 미칠 수 있다.Also, with respect to the prior art taught by U.S. Patent No. 6,218,457, in some disclosed embodiments the hot melt adhesive contains significantly greater amounts of another polymer, particularly APAO (amorphous-poly-alpha-olefin) than polybutene-1. in an amount; In this way, the formulations disclosed in these examples emphasize that APAO-based formulations modified with lower amounts of polybutene-1 should be considered more suitable and vice versa not. The presence of a different polymer, such as APAO, in major amounts relative to polybutene-1 is essential to improve the adhesion, cohesion and processability of the adhesive to acceptable levels, which is why Ziegler-Natta polybutene-1 is the only polymer in the formulation. If so, the quality may be unsatisfactory in and of itself. In addition, for the following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of polybutene-1, in any case, it is a positive and desirable effect because it can further increase the adhesive force and cohesive force of the disclosed hot melt adhesive, and polybutene-1 and a large amount of other polymers ,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an amorphous polymer such as APAO in a predominant amount relative to polybutene-1 “dilutes” the crystalline polymer polybutene-1 by the presence of a polymer such as APAO in a predominant amount, preventing crystallization, and its Considering the fact that itself is amorphous and cannot be crystallized, it can onl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rystallization, both in kinetic and quantitative terms.

대조적으로, 주된 양의 APAO가 존재하지 않는 미국 특허 제6,218,457호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점도를 적어도 과도하지 않은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포뮬레이션의 가공을 허용하고, 또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당량의 폴리이소부틸렌 가소제(PIB, 화학적으로 및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른 물질)를 첨가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것을 나타난다. In contrast, in another example of U.S. Patent No. 6,218,457, in which no major amount of APAO is present, a significant amount of polyisomer is used to lower the viscosity at least to a non-excessive level to allow processing of the formulation, and also to improve adhesion. The addition of butylene plasticizer (PIB, a chemically and structurally completely different substance) appears to be indispensable.

그러나, 상기 가소제의 이러한 첨가는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을 포함하는 개시된 포뮬레이션의 응집 및 결정화의 특성에 매우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발명자들은 동시에 핵제, 즉 폴리부텐-1의 결정화를 위한 개시제 및 가속제로서 주지의 사실과 같이 작용하는 성분인 결정 왁스를 약 15%~약 20% 사이의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으로 추가해야 한다.However, this addition of said plasticizer appears to have a very negative effect on the properties of agglomeration and crystallization of the disclosed formulations comprising polybutene-1 of the Ziegler-Natta type, and the inventors simultaneously Crystalline wax, a component acting as a well-known fact as an initiator and accelerator for the crystallization of

그럼에도 불구하고, 핫멜트 접착제의 과학에 있어서의 당업자는 이러한 다량의 왁스를 첨가하는 것이 핫멜트 접착제의 접착 특성을 손상시키고, 점착성을 낮추어, 그 오픈 타임을 매우 단축(약 수 초 또는 1초 미만으로 짧아지는 경우가 있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을 과도하게 단단하게 하거나 취약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 자체로 모두 매우 낮은 점도를 갖는 성분인 왁스 및 가소제의 상당한 첨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특허 제6,218,457호에 개시된 APAO가 없는 경우의 실시예의 점도는 계속해서 예외적으로 높으며(163℃(325℉)에 10,375mPa.s~10,625mPa.s임), 이러한 사실은 용융 상태에서 이들 핫멜트 접착제를 가공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하고, 분무 및 섬유화와 같은 고속 및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공정에 적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Nevertheless, those skilled in the art of hot melt adhesives know that the addition of such a large amount of wax impairs the adhesive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 lowers its tackiness, and greatly shortens its open time (as short as about a few seconds or less than 1 second). It is well known that it tends to harden or weaken the adhesive composition excessively. Despite significant additions of plasticizers and waxes, both components having very low viscosities by themselves, the viscosities of the examples without APAO as disclosed in US Pat. No. 6,218,457 continue to be exceptionally high (at 163°C (325°F) 10,375 mPa.s to 10,625 mPa.s), which makes it very difficult to process these hot melt adhesives in the molten state, and makes it impossible to apply them to processes at high and high shear rates such as spraying and fiberizing. It should be noted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786,418호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다른 특허는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의 폴리부텐-1의 코폴리머(모든 경우에 있어서, 구형 폴리머, 즉 치글러-나타 촉매에 의해 합성된 폴리머)를, 예를 들면 325℉(163℃)에서 다소 점도가 낮고, 다른 폴리머를 주된 양으로 첨가하지 않고 1,500~5,500mPa.s의 점도를 갖도록 포뮬레이팅하는 것을 교시한다. 그러나, 또한 이 포뮬레이션 전략은 미국 특허 제5,786,418호에 개시된 포뮬레이션의 접착성 및 응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므로, 많은 발명자들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충분히 강한 접착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가 약 0.5초의 매우 짧은 "오픈 타임"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즉 이것은 충분히 강한 접착력을 얻기를 소망한다면 통상 제 1 기판 상의 용융물의 접착제의 적용과 접합되는 제 2 기판의 접촉 사이에 0.5초 이하가 경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Other prior art patents, such as, for example, US Pat. No. 5,786,418, in the disclosed examples, provide a copolymer of polybutene-1 of a hot melt adhesive (in all cases, a spherical polymer, i.e. by means of a Ziegler-Natta catalyst). synthesized polymer), for example at 325°F (163°C), with a rather low viscosity and without the major addition of other polymers, formulating to have a viscosity of 1,500-5,500 mPa·s. However, this formulation strategy also appears to negatively affect the adhesion and cohesive properties of the formulations disclosed in U.S. Pat. I think we need to have a very short "open time" of about 0.5 seconds; This means that usually 0.5 seconds or less can elapse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of the melt o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contact of the second substrate to be bonded if it is desired to obtain a sufficiently strong adhesion.

명백하게, 이러한 예외적으로 짧은 오픈 타임은 본 발명의 유용성의 강한 한계이며, 그 이유는 상기 조성물이 다른 공정 및 느린 속도의 다른 적용에서도 사용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극도로 제한하기 때문이며, 접착제의 적용과 제 2 기재의 접착 사이에 최대 30초 이하인 시간 간격은 매우 어려운 작동 상황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달성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Obviously, this exceptionally short open time is a strong limita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affects and severely limits the possibility that the composition can be used in other processes and in other applications at low rates, and the application of adhesives and A time interval of up to 30 seconds or less between the adhesion of the second substrate is a very difficult operating situation and in some cases not achievable.

다른 종래 기술의 특허는 모두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폴리부텐-1을 사용하며, 결정 핵제, 결정성 왁스 또는 결정성 고체 가소제와 같은 결정화 개시제/핵제로서 작용하는 상당량의 결정성 물질의 첨가에 의해 고체 상태에서 결정화하는 폴리부텐-1의 능력을 최대화하려고 시도한다.All other prior art patents use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and the addition of a significant amount of crystalline material acting as a crystallization initiator/nucleating agent such as a crystal nucleating agent, a crystalline wax or a crystalline solid plasticizer. attempts to maximize the ability of polybutene-1 to crystallize in the solid state by

일부 경우에 있어서, 종래 기술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8,454,792에 교시된 바와 같이 임시 접착제, 즉 초기 접착 특성이 완전히 곧 소실되어 접착 상태로부터 비접착 상태로 이행되는 핫멜트 접착제를 얻기 위해 폴리부텐-1의 "통제되지 않은" 방대하고 신속한 결정화; 또는 미국 특허 제5,256,717호에 청구된 바와 같이 이들 접착제와 접합된 기재가 접착제 그 자체의 응집 파괴에 의해 서로 쉽게 분리되는 과도한 결정화로 인해 지나치게 단단하고 취약해지는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한다.In some cases, the prior art is, for example, as taught in U.S. Patent No. 8,454,792, polybutene-1 to obtain temporary adhesives, ie hot melt adhesives that completely and soon lose their initial adhesive properties and transition from an adhered state to a non-adhesive state. "Uncontrolled" massive and rapid crystallization of Alternatively, as claimed in U.S. Patent No. 5,256,717, hot melt adhesives that become too hard and brittle due to excessive crystallization in which the substrates bonded with these adhesives ar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 cohesive failure of the adhesive itself.

폴리머 DP 8910 또는 PB 0800 M과 같은 구형 폴리부텐-1을 사용하여 특히 방대하고 신속한 결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미국 특허 제8,454,792는 결정질 왁스를 높은 수준으로 사용하는 반면, 미국 특허 제5,256,717호는 결정질 고체 가소제를 사용하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들 첨가제의 결정질 구조는 폴리부텐-1의 결정화의 가속제 및 핵제로서 작용하여 결정화도의 최종 수준을 증가시키고 그 운동성을 보다 빠르게 한다.U.S. Pat. No. 8,454,792 uses high levels of crystalline wax, whereas U.S. Pat. No. 5,256,717 uses spherical polybutene-1s such as polymers DP 8910 or PB 0800 M to promote particularly massive and rapid crystallization. Using plasticizers,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these additives in all cases acts as an accelerator and nucleating agent for the crystallization of polybutene-1, increasing the final level of crystallinity and making its mobility faster.

요약하자면, 종래 기술에 의해 교시되는 것에 따라, 치글러-나타 촉매에 의해 합성된 이소택택 폴리부텐-1의 호모폴리머 및/또는 코폴리머에 기초하여, 핫멜트 접착제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한 일련의 모든 특징들, 예를 들면 용융물 상태에서의 낮은 점도 및 낮은 탄성; 다량의 다른 폴리머의 첨가는 없지만 폴리부텐-1의 후속의 결정화를 방해하고 손상시킬 수 있는 높은 초기 응집력 및 높은 초기 접착 강도; 느리고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발생되고 특히 정렬되고 "견고한" 고체 상태의 결정화로 인해 경시에 따라 더욱 현저하게 증가하는 초기 점착 강도; 고속 공정 및 특히 분무 및 섬유화와 같은 공정에서도 우수한 가공성; 매우 다양한 다른 공정에서도 쉽고 강한 접합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길며, 조정 가능한 접착제의 오픈 타임; 매우 낮거나 완전히 없어진 잔류의 최종 점착성; 사용 온도(일반적으로 실온) 및 고체 상태에서 경시적으로 크게 변화되는 유변학적 성질을 동시에 갖는 핫멜트 접착제를 포뮬레이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접착제가 응고된 직후 결정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먼저 탄성 계수(G')가 상당히 증가하고 탄 델타가 현저히 감소하여 일반적으로 접착 강도를 최대로 변화시켜 다공성 또는 섬유상 기재 및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 모두를 갖는 천공된 필름의 접합에 특히 매우 유리하며, 접착제가 이미 고체 상태인 경우라도, 그 내부로 유동을 계속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관통하여, 순수하게 접착 강도만을 추가함으로써 기재 등과의 강한 물리적 인터로킹을 강화한다.In summary, based on homopolymers and/or copolymers of isotactic polybutene-1 synthesized by Ziegler-Natta catalysts, as taught by the prior art, a set of all features highly desirable for hot melt adhesives. , for example low viscosity and low elasticity in the melt state; high initial cohesive strength and high initial adhesive strength which can impede and impair the subsequent crystallization of polybutene-1 without the addition of large amounts of other polymers; initial cohesive strength that occurs in a slow and controllable manner and increases more markedly with time, particularly due to crystallization of the ordered and "rigid" solid state; good processability even in high-speed processes and especially in processes such as spraying and fiberizing; Adjustable adhesive open times, long enough to allow for easy and strong bonding in a wide variety of different processes; final tackiness of very low or completely absent residues; It is impossible to formulate a hot melt adhesive that simultaneously has rheological properties that change significantly over time in the service temperature (typically room temperature) and in the solid state, but since crystallization proceeds immediately after the adhesive solidifies, the modulus of elasticity (G')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bonding of porous or fibrous substrates and perforated films having both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s,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In any case, it can continue to flow into it, penetrates physically, and enhances strong physical interlocking with a substrate or the like by adding purely adhesive strengt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속도 및 매우 높은 속도에서의 공정에서도 매우 잘 가공할 수 있고, 동시에 용융물 상태에서는 낮은 점도 및 낮은 적용 온도를 나타내지만, 고체 상태에서는 상기 용융물로부터 응고된 직후라도 높은 응집성 및 높은 접착성으로 접합되는 핫멜트 접착제를 포뮬레이팅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특성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증가되고, 기존의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며, 최종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서 최고의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본원에 포함되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신규한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의 특유의 특성, 특히 고체 상태 및 실온에서 발생하는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특별히 효과적인 결정화에 관한 특성을 포함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processed very well even in processes at high and very high speeds, at the same time exhibiting low viscosity and low application temperature in the melt state, but high in the solid state even immediately after solidification from the melt. Formulating a hot melt adhesive that bonds with cohesiveness and high adhesion, these properties increasing over time, overcoming the deficiencies of the existing prior art and allowing it to remain at its best in the final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ncluded herein are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novel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s having bimodal compositions, particularly those relating to particularly effective crystallization delayed over time in the solid state and at room temperature.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성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 청구항 42의 특성을 갖는 접합 구조체, 청구항 44의 특성을 갖는 용품, 및 청구항 48의 특성을 갖는 용품의해 해결된다. 다른 하위 청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개시한다.The above problems are addressed by a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the properties of claim 1 , a bonding structure having the properties of claim 42 , an article having the properties of claim 44 , and an article having the properties of claim 48 . The other subclaims disclose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의 결정화는 경시적으로 지연된다.Crystalliza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layed with time.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는 고체 상태 및 사용 온도(일반적으로 실온과 일치함)에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포함하는 낮은 점도의 이소택틱 메탈로센 바이모달 폴리부텐-1 조성물의 느린 결정화를 나타낸다. 제어 가능하고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상기 결정화는 이들 핫멜트 접착제의 이미 양호한 초기 접착성, 응집성 및 물리적 특성을 더욱 현저하게 개선시킨다.As mentioned, the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 viscosity isotactic metallocene bimodal polybutene-1 composition included in the hot melt adhesive in the solid state and at the temperature of use (generally consistent with room temperature). indicates crystallization. This controllable and delayed crystallization over time further significantly improves the already good initial adhesion, cohesivenes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se hot melt adhesives.

이소택틱 폴리부텐-1은 그 호모 폴리머 및 코폴리머 모두에 있어서 모든 다른 폴리올레핀의 거동과는 완전히 다른 독특한 방식으로 고체 상태에서 서서히 결정화되는 능력이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 특별한 특성은, 이 폴리머의 시험 샘플이 1954년 발견자인 노벨상 수상자 Giulio Natta에 의해 처음으로 합성된 이후에 발견되었다.Isotactic polybutene-1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for its ability to crystallize slowly in the solid state in a unique way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behavior of all other polyolefins, both in its homopolymers and copolymers. This particular property was discovered after a test sample of this polymer was first synthesized in 1954 by the discoverer, Nobel laureate Giulio Natta.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다른 모든 결정화 가능한 폴리올레핀은, 용융물로부터 응고될 때에 매우 신속하고 종종 실질적으로 순간적인 방식으로 최종 결정 구조 및 이들의 특정 분자 형태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 결정의 비율을 달성하지만, 이소택틱 폴리부텐-1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결정화된다.All other crystallizable polyolefins, such as, for example polyethylene or isotactic polypropylene, when solidified from a melt, in a very rapid and often substantially instantaneous manner, crystallization which can be achieved depending on the final crystal structure and their specific molecular morphology. , but the isotactic polybutene-1 crystallizes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상기 매커니즘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시작하지 않고, 비교적 길고 입체적으로 부피가 큰 컴팩트한 일련의 측기 C2에 의해 형성된 이소택틱 폴리부텐-1 쇄의 특유의 분자 구조 중 하나가 다른 쪽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어,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에서 일어나는 것과 비교하여 결정성 영역의 형성을 훨씬 느리게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Without starting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above mechanism, one of the unique molecular structures of isotactic polybutene-1 chains formed by a relatively long, sterically bulky and compact series of side groups C2 is located close to the other, e.g. For example, it can be thought of as significantly slowing the formation of crystalline regions compared to what occurs in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그러나, 고도로 정렬된 구조뿐만 아니라 폴리부텐-1의 쇄가 취하는 경향이 있는 나선형 공간의 형상은, -일정 시간 후에- 이 폴리머에 의해 다른 반결정성 폴리올레핀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큰 결정성 분획을 형성하고, 현저하게 보다 견고한 폴리부텐-1의 최종 물리적 특성을 야기한다.However, the highly ordered structure as well as the shape of the helical space that the chains of polybutene-1 tend to assume - after a period of time - form a significantly larger crystalline fraction with this polymer compared to other semi-crystalline polyolefins and , resulting in the final physical properties of polybutene-1 that are significantly more robust.

결정 구조의 이소택틱 폴리부텐-1에서 보다 느리고, 크고, 보다 견고한 성장을 하는 상기 공정은 이 폴리머의 다형성에 의해 더욱 촉진되며, 최대 3개의 상이한 결정 형태를 갖는다.This process of slower, larger and more robust growth in isotactic polybutene-1 in the crystalline structure is further facilitated by the polymorphism of this polymer and has up to three different crystalline forms.

이들 중 하나(III형으로 불림)는 용액으로부터만 형성되고,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다. 두번째 결정 형태(정사각형 구조를 갖는 II형으로 불림)는 현재의 경우에서와 같이 용융물로부터 응고가 먼저 형성된다.One of these (called Form III) is formed only from solution and is not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rystal form (called Form II, which has a square structure) is formed first by solidification from the melt, as in the present case.

이들 두 가지 형태의 이소택틱 폴리부텐-1은 모두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며, 더 높은 용융점 및 물리적 특성을 갖는 안정적인 육각형 결정 형태(I형으로 불림)로 서서히 변형된다.Both forms of isotactic polybutene-1 are thermodynamically unstable and slowly transform into a stable hexagonal crystal form (called Form I) with a higher melting point and physical properties.

따라서, 지금부터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라고 불릴 수 있는 현상은, 실제로 새로운 결정체의 느린 성장 이외에 초기에 용융물로부터 응고된 후에 형성되는 정사각형 구조이며 열적으로 불안정한 II형 결정체를 보다 견고한 육각형 I형 결정체로 서서히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Thus, the phenomenon that can be referred to as "delayed crystallization with time" from now on is actually a square structure that is formed after solidification from the melt initially, in addition to the slow growth of new crystals, and converts the thermally unstable Form II crystals to the more rigid hexagonal Form I crystals. It involves slowly transforming into crystals.

이 현상을 일반적인 측면에서 고려해 볼 때,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이 특이적인 결정화는 합성 공정과 관계없이 모든 이소택틱 폴리부텐-1에 존재한다.Considering this phenomenon in general terms, this specific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is present in all isotactic polybutene-1s regardless of the synthesis process.

그러나,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모노모달이고 높은 점도의 이소택틱 폴리부텐-1의 구형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와, 낮은 점도의 실질적으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신규한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 사이에 존재하는 분자 수준에서의 근본적인 차이는, 다른 모든 주변 조건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라도 정성 및 정량적 측면 모두에서 폴리부텐-1 쇄의 결정화가 일어날 수 있는 방법에서도 근본적인 차이를 야기한다.However, novel isotactic metallocene butenes having monomodal and high viscosity spherical 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isotactic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Ziegler-Natta catalysts and low viscosity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at the molecular level that exist between 1 polymer compositions also lead to fundamental differences in how crystallization of polybutene-1 chains can occur,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even when all other ambient conditions remain the same. .

다시 상기해 보면,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구형 폴리부텐-1은, 매우 높은 용융 점도, 즉 매우 높은 평균 분자량, 및 매우 광범위한 분자량 분포/높은 다분산도(통상 4 초과이고 경우에 따라 6 초과임)를 특징으로 하며, 즉 이들은 높은 분자량 및 매우 높은 분자량, 및 낮은 분자량 및 매우 낮은 분자량 모두에서 상당량의 분획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Recalling again, the spherical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the Ziegler-Natta catalyst has a very high melt viscosity, i.e. a very high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a very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high polydispersity (usually greater than 4 and in some cases 6 excess), ie they are characterized by high and very high molecular weights, and by the presence of significant fractions at both low and very low molecular weights.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낮은 점도의 실질적으로 바이모달의 조성물로, 예를 들면 약 30,000~약 100,000의 훨씬 낮은 평균 분자량을 제어하고; 특히 이들 신규한 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는 매우 높은 분자량의 분획 및 매우 낮은 분자량의 분획 모두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작은 다분산도에 의해 명확히 나타내어지며, 2개의 폴리머 A) 및 B)(폴리머 조성물 및 폴리머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함)에 의해 형성된 바이모달 폴리머 조성물의 복합체를 고려해 볼 때, 4 이하로 상당히 작고; 반면에 2개의 단일 구성의 폴리머인 경우에는 통상 2.5 이하이다.In contrast, the novel 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ow-viscosity,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s that control much lower average molecular weights, for example from about 30,000 to about 100,000; In particular, both very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and very low molecular weight fractions are substantially free in these novel polymer compositions. This is clearly indicated by the small polydispersity, considering the composite of the bimodal polymer composition formed by the two polymers A) and B) (the polymer composition and the polym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hich is significantly less than 4 sma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wo single constituent polymers, it is usually 2.5 or less.

어떠한 이론에 의존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매우 낮은 분자량을 갖는 쇄이며 각각의 작은 쇄가 핵제/결정화 개시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쇄의 다량의 분획의 실질적 부재는, 폴리머 결정화가 너무 빨리 제어되지 않도록 활성화되어, -종래 기술의 일부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접착 특성을 파괴시킬 수도 있는 과량의 결정을 형성할 가능성을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Without wishing to be bound by any theory, for example, in the polymer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antial absence of a large fraction of chains having very low molecular weight and each small chain capable of acting as a nucleating agent/crystallization initiator i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rystallization is activated so that it is not controlled too quickly,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n excess of crystals that may destroy the adhesive properties—as shown in some examples of the prior art.

또는, 폴리머 과학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매우 낮은 분자량의 다량의 분획의 부재 자체가 분명하며, 따라서 가능한 다수의 결정화 핵/중심의 부재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에 있어서- 대조적으로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구형 폴리부텐-1에 기초한 유사한 핫멜트 접착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더 크고, 견고하며, 형태학적으로 "완벽한" 결정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 핫멜트 접착제의 최종의 물리적 특성 및 접착 특성을 모두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Alternatively, the absence of a large fraction of very low molecular weight is itself evident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polymer science, and thus the absence of a large number of possible crystallization nuclei/centers is - in the hot melt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contrast to the Ziegler-Natta The final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m on average larger, stronger, and morphologically "perfect" crystals compared to what would happen with similar hot melt adhesives based on catalytically synthesized spherical polybutene-1. Both properties and adhesion properties are significantly improved.

따라서, 본질적으로 가장 낮은 분자량을 갖는 쇄로 이루어지는 "자발적 결정화 중심"의 실질적인 적은 양의 존재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의 결정화가 평균적으로 더 느린 방식으로 발생되는 결과도 야기하여, 두 가지의 주요한 긍정적 결과를 갖는다.Thus, the presence of substantially small amounts of "spontaneous crystallization centers", which consist essentially of the chains having the lowest molecular weight, also result in crystallization of the hot melt adhes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rring in an averagely slower manner, resulting in two major positive results. has

일 측면에 있어서, 이러한 보다 느리고 제어된 결정화는 본 발명의 접착제의 오픈 타임을 통상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분 이상 길게 하는 경향이 있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접착제가 다양한 다른 적용 및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이성에 대한 이점을 갖는다.In one aspect, this slower and controlled crystallization tends to lengthen the open time of the adhes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usually at least 10 minutes, preferably at least 30 minutes, more preferably at least 60 minutes, resulting in a longer open time of the adhes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in a variety of different applications and processes.

다른 측면에 있어서, 폴리머 과학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느린 결정화는 형태학적으로 더 강력하고 "완벽한" 결정의 형성을 촉진하므로,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의 접착 강도 및 물리적 강도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킨다.In another aspect,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polymer science, slow crystallization promotes the formation of morphologically stronger and "perfect" crystals, thereby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and physical strength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mprove

또한, 대조적으로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폴리부텐-1에 대량으로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높은 분자량 및 매우 높은 분자량의 분획의 거의 모든 부재는, 또한 얻을 수 있는 결정상의 정성 및 정량에 중요한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 Also, in contrast, although present in large amounts in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Ziegler-Natta catalyst, almost all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and very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in the adhesiv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obtainable crystals It is reasonable to think that it leads to positive results important for the quality and quantification of the award.

예를 들면, 폴리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종의 결정화도의 수준과 결정의 "정성"이 평균 분자량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그러한 특성은 평균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악화되고, 이것은 예를 들면 Marcele Dosiere 편저의 도서 "Crystallization of Polymers", 26p~이후 페이지에서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고자료로서 포함된다. For example,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the final level of crystallinity obtainable from a polymer and the "quality" of the crystal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Such properties decrease/deteriorate with increasing average molecular weight, which is clearly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book "Crystallization of Polymers", edited by Marcele Dosiere, on pages 26 to 26,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규한 이소택틱 메탈로센 바이모달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의 통상의 순수 조성적 측면(분자량의 측면 이외의)에서의 좁은 분포는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에서 형성된 결정의 정성 및 정량에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narrow distribution in the normal pure compositional aspect (other than the molecular weight aspect) of the novel isotactic metallocene bimodal butene-1 polymer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f the crystals formed in the adhesiv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worth noting that it can lead to positive result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실제로, 평균 길이(분자량)뿐만 아니라 구성 및 구조가 서로 유사한 폴리머 쇄는, 치글러-나타 타입의 이소택틱 폴리부텐-1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과 비교하여 고체 상태 및 실온에서 현저히 더 크고, 보다 균질하고, "완벽"하고, 더 견고한 결정을 형성하는 느린 결정화를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핫멜트 자체의 모든 접착성과 물리적 특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킨다고 생각하는 것이 매우 타당하다.Indeed, polymer chains that are similar in composition and structure as well as average length (molecular weight) to each other are significantly larger, more homogeneous, and significantly larger in solid state and at room temperature compared to what can occur with isotactic polybutene-1 of the Ziegler-Natta type. , it is quite reasonable to think that it enables slow crystallization to form "perfect", harder crystals, and thus substantially improves all the adhes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t melt itself.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상온에서의 상기 느린 결정화는 핫멜트 접착제 자체의 접착성, 물리적 및 유변학적 특성의 중요한 변화를 초래하며; 핫멜트 접착제가 용융 상태에서 응고한 직후에 이미 양호한 이들 특성은, 수 일, 명시적으로는 약 1일~약 7일, 통상은 약 5일 이내에 완료되는 결정화의 진행에 따라 더욱 향상된다.The slow crystallization at room temperature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ults in significant changes in the adhesive,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 itself; These properties, which are already good immediately after the hot melt adhesive has solidified in the molten state, are further improved with the progress of crystallization, which is completed within a few days, explicitly from about 1 to about 7 days, usually within about 5 days.

다른 방식으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실온에서 방치된 물질에 대해 이하에 언급된 모든 특성은 23℃ 및 상대 습도 50%로 컨디셔닝된 실내에서 5일간 보관된 샘플에 대하여 23℃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properties mentioned below for materials left at room temperature are taken at 23° C. on samples stored for 5 days in a room conditioned at 23° C. and 50% relative humidity.

대조적으로, 초기 특성은 통상 "0시간"이라고도 불리는 23℃(다른 온도가 특별히 명시되지 않은 경우) 및 상대 습도 50%에서 시험 중인 접착제의 용융물로부터 응고된 후 2시간(120분) 이하의 시간에 측정된다.In contrast, the initial properties, commonly referred to as "0 hours", are at 23° C.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50% relative humidity at a time of no more than 2 hours (120 minutes) after solidification from the melt of the adhesive under test. It is measured.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접착 특성은 "0시간"(즉, 용융물의 응고로부터 약 2시간 이하)에서 최적의 접착 특성을 가지며, 이들 특성은 폴리머 분획의 결정화에 기인하여, 실온에서 방치한 후, 예를 들면 응고 5일 후에 더욱 향상되고; 특히 접착 기술에서 "박리 강도" 및 "전단 강도"라는 명칭으로 알려진 접착 특징에 관한 것이다.For example, the adhesive properties of hot melt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optimum adhesive properties at "zero hours" (i.e., up to about 2 hours from solidification of the melt), and these properties are due to crystallization of the polymer fraction,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after 5 days of coagulation, further improvement; It relates in particular to the adhesive properties known in adhesive technology under the designations “peel strength” and “shear streng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접착 강도와 직접 관련되는 특성에 대해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포뮬레이션은 통상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분 이상의 상당히 긴 "오픈 타임"을 갖는다. Further, with regard to the properties directly related to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hot melt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the formulation is usually prepared for a significantly longer period of at least 10 minutes, preferably at least 30 minutes, more preferably at least 60 minutes. It has "open time".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물리적 특성도,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로 인해 그 시간 동안에 실질적인 변화를 보인다. 특히, 이들은 용융 상태에서 적용된 직후 부드럽고 매우 점착성이 있어, 다양한 종류의 기재에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반면에 결정화가 완료된 후, 통상 약 5일 내에 훨씬 더 단단하고 물리적으로 강해져서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물리적 특성의 상당한 변화는, 예를 들면 ASTM D 1321-04법에 따라 "니들 침투력"이라고 불리는 파라미터에 의해 측정된 표면 경도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또는 0시간에서 5일 사이의 파단 인장 응력(또는 파단 하중)과 파단 연신율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명확하게 현저해진다. 이들 최신의 두 가지 특성은 ASTM D 638-14법에 따라 측정되며, 다음의 세부 사항에 대해 변화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t melt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show substantial changes over time due to delayed crystallization over time. In particular, they are soft and very tacky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in the molten state, so that they can exhibit excellent adhesion to various types of substrates; On the other hand, after crystallization is complete, it becomes much harder and physically stronger, usually within about 5 days, further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Significant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may be obtained, for example, by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n surface hardness measured by a parameter called "needle penetration force" according to the ASTM D 1321-04 method; Alternatively, it becomes clearly significant by measuring the amount of change in tensile stress at break (or load at break) and elongation at break between 0 hours and 5 days. These two state-of-the-art properties are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 638-14 method, varying for the following details:

- 테스트 속도=300mm/분 - Test speed=300mm/min

- "도그 본" 시험편의 치수: 총 길이=73mm; 최대 폭=15mm; 두께=6.5mm; 중앙의 가장 좁은 부분의 길이=19mm; 중앙의 가장 좁은 부분의 최소 폭=6.35mm.- Dimensions of "dog bone" specimen: total length=73mm; Max Width=15mm; thickness=6.5mm; Length of the narrowest part of the center=19mm; Minimum width at the narrowest part of the center = 6.35mm.

접착제 과학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우수한 접착성 및 물리적 특성 및 경시에 따른 더한 실질적 개선은 유변학적 파라미터, 예를 들면 탄성 계수(G') 및 탄 델타의 값으로 나타내어진다.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adhesive science, the good adhes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substantial improvements over time are related to rheological parameters, such as modulus of elasticity (G') and tan It is expressed as a value of delta.

통상,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용융물로부터의 응고 직후에 다소 높은 탄 델타의 값을 나타내므로, 이들은 고체 상태에서도 계속 유동하여 예기치 않게 기판과의 강한 접착 접합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반면에 실온에서 방치/결정화한 후, 예를 들면 약 5일 후에 탄 델타의 값은 현저하게 더 작은 수준으로 하락한다. 반대로, 포뮬레이션이 용융물로부터 응고된 직후의 다른 유변학적 파라미터인 탄성 계수(G')는 비교적 낮고, 그 특성은 부드럽고 점착성이 높아지며; 반면에 방치 및 결정화 후, G'는 훨씬 더 큰 값을 가져 접합 구조체의 접착 강도 및 물리적 강도가 더욱 증가되고,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잔류의 점착성이 매우 낮은 값으로 감소되며, 0인 경우도 있다.In general,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rather high tan delta values immediately after solidification from the melt,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flow even in the solid state and unexpectedly create strong adhesive bonds with the substrate; On the other hand, after standing/crystallizing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after about 5 days, the value of tan delta drops to a significantly smaller level. Conversely, the modulus of elasticity (G'), another rheological parameter immediately after the formulation is solidified from the melt, is relatively low, and its properties are soft and tacky; On the other hand, after standing and crystallization, G' has a much larger value to further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and physical strength of the bonding structure, and the residual tackiness of the adhesive formulation is reduced to a very low value, in some cases being zer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특성의 상술한 개선은,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에 의해 야기되며, 0시간(즉, 용융물로부터 시험 중인 핫멜트 접착제의 응고 이후 2시간 이하의 시간)에서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열 프로파일(예를 들면, DSC-시차 주사 열량계로 측정됨) 및 예를 들면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측정된 동일한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열 프로파일 사이에 존재하는 변화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특히, 더욱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부텐-1의 결정질형 I의 용융 엔탈피의 증가 및 최대 용융 온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Further, the aforementioned improvement in the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used by crystallization delayed over time, and at 0 hours (i.e. no more than 2 hours after solidifica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under test from the melt). It can be detected by the change present between the thermal profile of the adhesive formulation (as measured for example by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the thermal profile of the same adhesive formulation measured for example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hav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the melting enthalpy of crystalline Form I of polybutene-1 having a higher melting temperature and an increase in the maximum melting temperature can be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낮은 브룩필드 용융 점도를 갖고, 예를 들면 170℃의 온도에서 측정된 용융 점도는 약 5,000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500mPa·s 이하이다. 또한, 이들의 링 앤드 볼 연화점(0시간에서 ASTM D 36-95법에 따라 측정됨)은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In addition,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ow Brookfield melt viscosity, for example, a melt viscosity measured at a temperature of 170° C. of about 5,000 mPa·s or less, preferably about 3,500 mPa·s or less. In addition, their ring-and-ball softening poin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36-95 method at 0 hours) is 120°C or lower, preferably 100°C or lower, more preferably 90°C or lower.

상기 낮은 점도 및 낮은 링 앤드 볼 연화점의 특성은 종래 기술에 개시된 핫멜트 포뮬레이션과 비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가공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 적용되는 핫멜트 접착제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감온성이거나 매우 얇은 기재와의 접촉시에도 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The properties of the low viscosity and low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hot melt formulations disclosed in the prior art, and by contact with the hot melt adhesive applied at too high a temperature. It permits their use even in contact with temperature sensitive or very thin substrates that can be damaged or deformed.

분무 및 섬유화에 의한 가공성Processability by spraying and fiberization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핫멜트 접착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적용 공정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다.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in all application processes used in the hot melt adhesive industry.

그러나, 특히 가장 놀라운 긍정적인 특성 중 하나는 최고속의 공정에서도 최적의 가공성을 발휘하며, 이러한 공정은 많은 표준 상업용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이 실패하는 중요한 공정이며, 예를 들면 특히 분무 및 섬유화에 의한 공정과 같은 "전단 속도"가 가장 높게 적용되는 공정이다. However, one of its most surprising positive properties is optimum processability even at the highest speeds, a critical process in which many standard commercial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fail, for example, especially those by spraying and fiberizing. The same "shear rate" is the highest applied process.

이를 위해 어떠한 특정 공정 파라미터 값과 결부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슬롯-다이 압출과 같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공정에서도 800m/분 이상의 라인 속도에서 최적의 가공성을 발휘하고; 특히 분무 및 섬유화와 같은 중요한 공정에서는 400m/분 이상의 라인 속도에서도 최적의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To this end, without being bound by any specific process parameter values, for example,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exhibit optimum processability at line speeds of 800 m/min and higher, even in relatively less critical processes such as slot-die extrusion, ; Especially in critical processes such as spraying and fiberizing, it can be applied optimally even at line speeds of 400 m/min or higher.

본 개시의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를 가공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적용 방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음과 아울러, 분무 및 섬유화와 같은 특히 중요한 공정에서도 보여지는 이 특유의 최적의 가공성은 매우 높은 라인 속도에서도 가장 놀라운 긍정적 특성을 갖는 접착제를 형성하게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Adhesive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processed by all application methods conventionally used for processing hot melt adhesives, as well as their unique optimum processability, which is also seen in particularly important processes such as spraying and fiberization, even at very high line speeds. It is emphasized again that it allows the formation of adhesives with the most surprising positive properties.

분무 및 섬유화에 의한 응용 기술은, 특히 본 발명의 접착제의 경우와 같이 매우 높은 라인 속도에서의 공정이 이용되는 경우에, 생산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몇 가지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들 공정은 적용 헤드와 기재 사이의 물리적 접촉없이 접착제를 적용하기 때문에, 고온에서 금속 헤드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감열성 기재 상에도 접착제를 적층할 수 있고; 또는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기재 또는 특히 얇은 기재 상에도, 예를 들면 특히 평량이 낮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부직포와 같은 기재 상에도 접착제를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는, 예를 들면 나선형의 형태로 적층되어 있는 스레드 형상으로, 또는 매우 작은 액적 또는 매우 짧은 섬유의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인 층으로 해서 기판의 표면의 일부만을 덮기 때문에, 상기 접착제로부터 실질적인 부분을 청결하게 유지하며, 이들 공정은 매우 작은 양의 접착제, 예를 들면 1평방미터당 수 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연속 필름과 같은 압출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없지만, 대조적으로 접착제의 사용량을 실질적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또는 다공성이며 공기 투과성인 기재 상에 상기 접착제를 실질적으로 상기 특징을 변화시키지 않고 도포하는 것 등을 가능하게 한다. The application technique by spraying and fiberization offers several special advantages to the user as well as being a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ductivity, especially when processes at very high line speeds are used, such as in the case of the adhes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ince these processes apply the adhesive withou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application head and the substrate, it is possible to laminate the adhesive even on heat-sensitive substrates that may be deformed or broken by direct contact with the metal head at high temperatures; Alternatively, the adhesive may be laminated even on a substrate having an irregular surface or on a particularly thin substrate, for example on a substrate such as a plastic film or a nonwoven fabric having a particularly low basis weight. In addition, in these processes, the adhesive covers only part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 example in the form of threads stacked in a spiral, or as an irregular and discontinuous layer of very small droplets or very short fibers. Keeping substantial parts clean from usage can be substantially saved; or applying the adhesive onto a porous and air permeable substrate without substantially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핫멜트 접착제의 기술뿐만 아니라 특히 우수한 분무성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를 언급하는 특허문헌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분무 및/또는 섬유화에 있어서 특정 접착제의 양호하거나 열악한 거동은 시각적 판단에 의해 평가되는데, 미국 특허 제5,401,792호에서와 같이, 이들 공정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기하학적 형상의 특징 및 규칙성, 예를 들면 나선형의 최소 달성 가능한 폭에 의해 평가되거나, 또는 나선형으로 적용된 스레드의 직경의 일관성, 및 상기 나선형의 폭의 일관성 등에 의해 평가된다.In the patent literature referring to hot melt adhesives having particularly good sprayability, as well as the art of hot melt adhesives, the good or poor behavior of a particular adhesive in spraying and/or fibrillation is generally evaluated by visual judgment, U.S. Pat. No. 5,401,792 As in arcs, the characteristics and regularity of the geometric shape of the adhesive applied by these processes, for example, evaluated by the minimum achievable width of the spiral, or consistency of the diameter of the thread applied in the spiral, and the width of the spiral, as in the arc. is evaluated based on the consistency of

따라서, 특정 실험에 있어서의 최종 결과의 시각적 외관에 근거한 특정 핫멜트 접착제의 양호하거나 열악한 분무성에 대한 이러한 판단은, 최종 결과의 기하학적 특징이 접착제 그 자체에 따라 달라질뿐만 아니라, 그 작동 파라미터에 있어서 사용되는 특정 적용-헤드의 특징에 따라서도 달라진다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소정의 특징의 일관성 및 규칙성이 관찰자의 개인적인 시각적 인상에 의해 판단되기 때문에- 객관성 및 재현성 모두에 있어서 근본적인 단점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Thus, such judgments of good or poor sprayability of a particular hot melt adhesive based on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final result in a particular experiment are not only dependent on the adhesive itself, but also on its operating parameters. Since it is clear that the specific application being applied - also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d - because the consistency and regularity of a given feature is judged by the individual visual impression of the observer - it is clear that there are fundamental drawbacks in both objectivity and reproducibility. do.

보다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하고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분무 및 섬유화에 있어서의 우수한 가공성을 규정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핫멜트 접착제의 우수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평가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TAPPI Proceedings의 1998년 핫멜트 심포지엄에서 0. Georjon, M. Faissat, F. Chambon에 의해 발표된 문헌 "UNDERSTANDING THE SPRAYABILITY OF HOT-MELT ADHESIVES"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원에 참고자료로서 인용된다.In order to define the excellent processability in the spraying and fiberiza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re objective, more accurate and reproducible way, in this specification, the good sprayability of the hot melt adhesive is described. It is mentioned in the document "UNDERSTANDING THE SPRAYABILITY OF HOT-MELT ADHESIVES" presented by 0. Georjon, M. Faissat, F. Chambon at the 1998 Hot Melt Symposium of TAPPI Proceedings, This documen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이 문헌에서 논의된 과학적 연구 결론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분무 또는 섬유화 공정에 있어서 용융물의 통상의 적용 온도, 즉 평균 165℃의 온도에서, 10Pa의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여 판독될 때에 점성 계수(G")라고 불리는 유변학적 파라미터의 값이 200Pa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는 다른 유변학적 파라미터인 탄 델타, 즉 Tan Delta=G"/G'의 규정을 고려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165℃의 온도에서 G'가 10Pa인 주파수에서 탄 델타값이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conclusion of the scientific studies discussed in this document,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lue of modulus of elasticity (G') of 10 Pa at the usual application temperature of the melt in the spraying or fiberizing process, i.e. an average temperature of 165 °C.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hat the value of the rheological parameter, called the viscous modulus (G"), when read corresponding to At this time,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tan delta value of 20 or more at a frequency of 10 Pa at a temperature of 165° C.

이것은 용융 상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이 특히 낮은 "용융물의 탄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even in the molten state,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exhibit a particularly low “elasticity of the melt”.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의 분무 및 섬유화 공정에 있어서 용융 상태로부터 통상의 기준 적용 온도로서 선택된 165℃의 온도는, 흡수성 위생 용품, 의료용의 흡수성 케어 매트 및 수술용 시트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패키지를 포함하는 여러 기타 타입의 용품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로서 널리 사용되는, 특히 폴리올레핀 필름 및 부직포와 같은 감열성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물품의 제조에 있어서, 이상적인 공정 온도인 것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praying and fiberizing process of the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of 165° C. selected from the molten state as a typical reference application temperature is used for absorbent hygiene products, absorbent care mats for medical use and surgical sheets, as well as packages,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emphasize that this is an ideal process temperature, which is widely used as a component in many other types of articles including

상기 언급된 용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165℃보다 약간 낮은 온도 또는 약간 높은 온도 범위, 명시적으로는 약 150℃~약 180℃의 범위에서도 일반적으로 양호하게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약 165℃의 최적의 온도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온도를 피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과도한 점도 및 과도한 탄성도(과도한 계수(G'))로 인해, 분무 또는 섬유화와 같은 고속의 공정에서 핫멜트 접착제를 가공할 수 없다. 165℃ 이상의 너무 높은 온도, 명시적으로는 180℃ 초과의 온도를 피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실제로, 분무 또는 섬유화에 있어서 상기 과도한 온도는, 예를 들면 과도한 열로 인해 폴리올레핀 플라스틱 필름을 용융 및 홀링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용품의 감열성 성분을 회복 불가능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forementioned articles, generally a temperature slightly lower or slightly higher than 165° C., explicitly in the range of from about 150° C. to about 180° C. can work However, it needs to be emphasized that an optimum temperature of about 165° C. and avoiding temperatures that are too far away are generally indispensable. If the temperature is too low, the hot melt adhesive cannot be processed in high-speed processes such as spraying or fiberizing due to excessive viscosity and excessive elasticity (excessive modulus (G')).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avoid too high temperatures above 165°C, explicitly above 180°C. Indeed, such excessive temperatures in spraying or fiberizing can irreparably damage the heat-sensitive component of the article being produced, for example by melting and holing the polyolefin plastic film due to excessive heat.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구성요소Components of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는,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로서,조성적으로 바이모달인 폴리머 조성물의 제 1 폴리머(폴리머 A)는 또 다른 올리핀과의 이소택틱 부텐-1의 호모폴리머 또는 이소택틱 부텐-1 코폴리머이고, 반면에 제 2 폴리머(폴리머 B)는 폴리머 A와 화학적 조성으로 정성 및/또는 정량적으로 명백히 다른 또 다른 올레핀과 부텐-1의 이소택틱 코폴리머인 단계에 있어서,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낮은 점도(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분자량)이고 실질적으로 바이모달인 조성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을 주요 폴리머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를 더 포함한다.The hot melt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steps, wherein the first polymer (Polymer A) of the compositionally bimodal polymer composition is a homopolymer or isopolymer of isotactic butene-1 with another olipine. Polymerization, in the step that is a tactic butene-1 copolymer, whereas the second polymer (polymer B) is an isotactic copolymer of butene-1 with another olefin which is distinctly qualitatively and/or quantitatively different in chemical composition from polymer A comprising as a major polymer component at least one 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viscosity (and thus relatively low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Si; It further comprises a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낮은 점도 및 바이모달형 조성물을 갖는 이소택틱 부텐-1의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Isotactic Butene-1 with Low Viscosity and Bimodal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포함되는 이들 폴리머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머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단독 또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에 있어서 주된 하나이다. 낮은 점도이고, 2개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에서 중합시에 직접적으로 얻어지는 바이모달형 조성물인 이소택틱 부텐-1의 신규한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은 Basell Poliolefine Italia EP 16178432.7 및 EP 16178433.5의 2개의 특허출원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At least one of these polymer compositions comprised in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polymer component, preferably alone or predominantly in the hot melt adhesive of the invention. A novel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isotactic butene-1, a low viscosity,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in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steps, has been disclosed in two patent applications in Basell Poliolefine Italia EP 16178432.7 and EP 16178433.5 in detail,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여하튼, 이들 각각은 400~2,000g/10분, 바람직하게는 400~1,800g/10분에서 2.16kg의 하중 하에 190℃에서 ISO 113에 따라 측정된 용융 유속값을 갖고,In any case, each of them has a melt flow rate value measured according to ISO 113 at 190° C. under a load of 2.16 kg at 400 to 2,000 g/10 min, preferably 400 to 1800 g/10 min,

A) 3개 이상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고급 알파-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모노머를 갖고,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CA)이 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4몰% 이하인 부텐-1 코폴리머 또는 부텐-1 호모폴리머;A) higher alpha having a three numbe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at least one comonomer selected from olefins and ethylene, the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C A) is not more than 5 mol% or less, preferably 4 mole% butene- 1 copolymer or butene-1 homopolymer;

B) 3개 이상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고급 알파-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모노머를 갖고,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CB)이 6몰%~25몰%, 바람직하게는 8%~20%인 부텐-1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바이모달형 조성물을 갖는 부텐-1 폴리머 조성물로서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B) having at least one comonomer selected from higher alpha-olefins having 3 or more carbon atoms and ethylene, and having a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C B ) of 6 mol% to 25 mol%, preferably 8% to It can be briefly described as a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bimodal composition comprising 20% butene-1 copolymer.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공중합된 코모노머의 총 함유율이 A)와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몰%~18몰%, 바람직하게는 5몰%~155몰%이다.In the polymer composition, the total content of the copolymerized comonomer is 4 mol% to 18 mol%, preferably 5 mol% to 155 mo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0℃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유율이 6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며, 크실렌에 가용성인 상기 분획은 A)와 B)의 총 중량에 대해 결정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composition has a content of at least 65% by weight, preferably at least 70% by weight of the xylene-soluble fraction at 0° C., and the xylene-soluble fraction comprises A) and B ) is determined for the total weight of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0℃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유율이 6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이며, 크실렌에 가용성인 상기 분획은 A)와 B)의 총 중량에 대해 결정된다.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composition has a content of the xylene-soluble fraction at 0°C of 60%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55% by weight or less, and the xylene-soluble fraction comprises A) and B ) is determined for the total weight of

상기 구성요소 A)와 B)는,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로 이루어지는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고,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폴리머 조성물은 충분히 높은 전체 MFR(낮은 점도)값에 대해서도, 자유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과산화물 또는 다른 물질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폴리머 쇄를 파괴하여 보다 분자량을 낮출 수 있고, 중합시에 직접 얻을 수 있다. The components A) and B) are obtained directly during polymerization, preferably consisting of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steps, so that the polymer compositions described herein are free, even for sufficiently high overall MFR (low viscosity) values. Without the need for the use of peroxides or other substances that generate radicals, the molecular weight can be lowered further by breaking the polymer chain, and can be obtained directly during polymeriza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원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부텐-1 폴리머 조성물에 대해 0℃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특정 양은 A)와 B)의 총 중량에 대해 크실렌에 의한 추출물에 의해 측정된 분획의 중량 함유율로 나타내어지며, 65중량%~95중량%, 바람직하게는 70중량%~90중량%의 범위이다.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as provided herein, the specified amount of the fraction soluble in xylene at 0° C. is determined by extracting with xylene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A) and B). It is expressed as the weight content of the fraction measured, and ranges from 65% to 95% by weight, preferably from 70% to 90% by weight.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원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부텐-1 폴리머 조성물에 대해 0℃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특정 양은 A)와 B)의 총 중량에 대해 크실렌에 의한 추출물에 의해 측정된 분획의 중량 함유율로 나타내어지며, 35중량%~60중량%, 바람직하게는 40중량%~55중량%의 범위이다.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as provided herein the specified amount of the fraction soluble in xylene at 0° C. is determined by extracting with xylene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A) and B). It is expressed as the weight content of the fraction measured, and ranges from 35% to 60% by weight, preferably from 40% to 55% by weight.

A)가 코폴리머인 경우, 코모노머 함유율의 구체적인 하한은 1몰%이다.When A) is a copolymer, the specific lower limit of the comonomer content is 1 mol%.

바람직하게는, A) 및 B)가 모두 코폴리머인 경우, B)와 A)의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의 백분율값의 차이는 하기 식을 충족한다:Preferably, when both A) and B) are copolym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ntage values of the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of B) and A)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CB)-(CA)>5; 또는 (CB)-(CA)>5; or

(CB)-(CA)>6. (CB)-(CA)>6.

구성요소 A) 및 B)의 상대적인 양은 총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의 바람직한 값, 단일 구성요소의 코모노머 함유율 및 0℃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유율에 따라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relative amounts of components A) and B) can be easi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red value of the total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the single component's comonomer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fraction soluble in xylene at 0°C.

본 발명의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은 A)와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가 10중량%~4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35중량%, 및 B)가 60중량%~90중량%, 바람직하게는 65중량%~85중량%이다. 본 발명의 상술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양은 A)와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가 35중량%~65중량%, 바람직하게는 40중량%~60중량%, 및 B)가 35중량%~65중량%, 바람직하게는 40중량%~60중량%이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amount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wherein A) is 10% to 40% by weight, preferably 15% to 35% by weight, and B) is 60% to 90% by weight, preferably 65% to 85% by weight. In the above-mentioned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amount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wherein A) is 35% to 65% by weight, preferably 40% to 60% by weight, and B) is 35% to 65% by weight, preferably 40% to 60% by weight.

성분 A) 및 B)에서 에틸렌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코모노머로서 존재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고급 알파-올레핀의 특정 예는 화학식 CH2=CHR의 알파-올레핀이며, 여기서 R은 3~8개 또는 3~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헥센-1, 옥텐-1 등의 알킬 라디칼 또는 메틸이다. Particular examples of higher alpha-olefins having 3 or more carbon atoms which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o ethylene in components A) and B) be present as comonomers are alpha-olefins of the formula CH2=CHR, wherein R is an alkyl radical containing 3 to 8 or 3 to 6 carbon atoms, for example propylene, hexene-1, octene-1 or the like, or methyl.

그러나, 에틸렌은 특히 구성요소 B)에 대해 바람직한 코모노머이다.However, ethylene is a preferred comonomer, especially for component B).

본 발명의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폴리부텐-1의 결정질 분획의 용융 온도 피크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 패턴에 있어서의 존재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측정 가능한 결정화도를 갖는다.Th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asurable degree of crystallinity as evidenced by the presence in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pattern of the melting temperature peak of the crystalline fraction of polybutene-1.

특히,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본 발명의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제 2 DSC 가열 주사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용융 피크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약 110℃ 이하의 온도, 주로 약 75℃~약 110℃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용융물 온도 피크 또는 피크들은 폴리부텐-1(TmII)의 결정질 형태 II의 용융에 기인하고, 피크 아래의 면적은 전체 용융 엔탈피(ΔH TmII)의 측정값으로서 취해진다. 하나 이상의 용융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 최고 온도에 대응하는 피크가 TmII로 취해진다.In particular, the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bimodal composition exhibits one or more melting peaks in the second DSC heat scan. These melt temperature peaks or peaks, which generally occur at temperatures below about 110°C, mainly between about 75°C and about 110°C, are due to the melting of crystalline Form II of polybutene-1 (TmII), and the area under the peak is the total It is taken as a measure of the enthalpy of melting (ΔH TmII). If more than one melting peak is present, the peak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temperature is taken as TmII.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10℃/분에 대응하는 주사 속도로 측정하여 전체 용융 엔탈피(ΔΗ TmII)가 20J/g 이하, 특히 3J/g~20J/g이다.More specifically, the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bimodal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tal enthalpy of melting (ΔΗ TmII) of 20 J/g or less, particularly measured at a scan rate corresponding to 10° C./min. 3J/g~20J/g.

또한, 본 발명의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실온에서 충분히 긴 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일 이상 동안 물질을 방치한 후에 실시되는 DSC 가열 주사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용융 피크를 나타내며, 이는 일반적으로 110℃ 이하의 온도, 특히 30℃~11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In addition, th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t least one melting peak in a DSC heat scan carried out after the material has been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 sufficiently long time, preferably at least 24 hours, more preferably at least 5 days. , which generally occurs at a temperature of 110° C. or less, in particular at a temperature of 30° C. to 110° C.

이러한 온도 피크 또는 피크들은 부텐-1 폴리머의 결정질 형태 I의 용융점(TmI)에 기인하고, 피크(또는 피크들) 아래의 면적은 전체 용융 엔탈피(ΔH TmI)로서 취해진다. 하나 이상의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 최고 온도에 대응하는 피크가 TmI로서 취해진다.These temperature peaks or peaks are attributable to the melting point (TmI) of crystalline Form I of the butene-1 polymer, and the area under the peak (or peaks) is taken as the total enthalpy of melting (ΔH TmI). If more than one peak is present, the peak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temperature is taken as TmI.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의 전체 용융 엔탈피(ΔH TmI)는 10℃/분에 대응하는 스캐닝 속도로 측정하여 50J/g 이하, 특히 10~50J/g 또는 15~50J/g이다.More specifically, the total enthalpy of melting (ΔH TmI) of th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50 J/g or less, particularly 10-50 J/g or 15~ measured at a scanning speed corresponding to 10° C./min. 50 J/g.

어떠한 이론에 의존하지 않고, 폴리부텐-1(I형)의 안정적인 육각 결정질 형태의 결정은,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최종 접착성 및 물리적 특성을 최고의 수준 -다수로 양호하게 형성된 경우- 으로 최적화되기 때문에, -상기한 것에 따라 측정된- TmI은 다소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Without wishing to be bound by any theory, the crystals of the stable hexagonal crystalline form of polybutene-1 (form I), as mentioned, provide the highest level of final adhes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t melt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many good It is preferred that the TmI -measured according to above - be rather high, since - when formed - is optimize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hat it is 60 degreeC or more,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80 degreeC or mor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의 전체 MFR의 바람직한 상술의 값은, 이론상 거의 모든 값이 각각의 MFR값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요소 A)와 B)를 적절한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2개의 성분 A) 및 B)의 각각의 MFR값이 충분히 높아지도록, 특히 100~2,000g/10분, 바람직하게는 200~1,800g/10분이다.Preferred above-mentioned values of the total MFR of the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the bimodal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uitable for components A) and B) so that, in theory, almost all values can have respective MFR values. It can be obtained by combining in a ratio. However, in practice, the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the bimodal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0 to 2,000 g/10 min, particularly 100 to 2,000 g/10 min, so that the respective MFR values of the two components A) and B) are sufficiently high. Usually 200~1,800g/10min.

종래의 기술 방식에 따르면, 핫멜트 접착제 분야에 있어서 최종 접착제와 그 구성요소의 용융 점도는 ASTM D 3236-73법에 따라, 소위 "브룩필드 점도(Brookfield Viscosity)"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가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method, in the field of hot melt adhesives, the melt viscosity of the final adhesive and its components is sometime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3236-73, so-called "Brookfield Viscosity".

이 측면 하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180℃에서 측정된 브룩필드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약 5,000~약 50,000mPa·sec,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0~약 30,000mPa·sec이다.Under this aspect, the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bimodal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ookfield viscosity measured at 180° C., preferably about 5,000 to about 50,000 mPa·sec, more preferably about 5,000 to about 30,000 mPa·sec.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낮은 점도의 메탈로센 이소택틱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이하에 언급된 추가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low viscosity metallocene isotactic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the bimodal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roperties mentioned below:

- 전체 다분산도(즉, 구성요소 A와 B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 PDI=Mw/Mn, 여기서 Mw는 중량 평균 몰질량이고, Mn은 수 평균 분자량이며, 4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모든 경우에 있어서 하한은 1.5 미만이고;- overall polydispersity (i.e. as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for a composition consisting of components A and B) PDI=Mw/Mn, where Mw is the weight average molar mass, Mn is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less than 4 , preferably less than 3, more preferably less than 2.5, in all cases the lower limit is less than 1.5;

- 각각의 성분 A 또는 B의 다분산도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고;- the polydispersity of each component A or B is preferably not more than 2.5;

- Mw는 3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0~100,000이고;- Mw is at least 30,000, preferably between 30,000 and 100,000;

- 135℃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THN)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가 0.6dl/g 이하, 바람직하게는 0.2dl/g~0.6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0.3dl/g~0.6dl/g이고;- an intrinsic viscosity measured in tetrahydronaphthalene (THN) at 135° C. of 0.6 dl/g or less, preferably 0.2 dl/g to 0.6 dl/g, more preferably 0.3 dl/g to 0.6 dl/g;

- 150.91MHz에서 작동하는 13C-NMR로 측정된 이소택틱 펜타드(mmmm)는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93%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초과이고; - the isotactic pentad (mmmm) measured by 13C-NMR operating at 150.91 MHz is greater than 90%, preferably greater than 93%,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95%;

- 4,1 인서션은 150.91 MHz에서 작동하는 13C-NMR을 사용하여 감지될 수 없고;- 4,1 inserts cannot be detected using 13C-NMR operating at 150.91 MHz;

- ASTM D 1925에 따라 결정된 황색도는 0 이하, 바람직하게는 0~-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고;- yellowness as determined according to ASTM D 1925 is 0 or less, preferably 0 to -10, more preferably -1 to -9, even more preferably -1 to -5;

- 쇼어 D 경도값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특히 15~50, 바람직하게는 15~45이고;- the Shore D hardness value is 50 or less, preferably 45 or less, in particular 15-50, preferably 15-45;

- ISO 527에 따라 측정된 파단 인장 응력이 2MPa~25MPa, 바람직하게는 2MPa~20MPa이고;- a tensile stress at break of 2 MPa to 25 MPa, preferably from 2 MPa to 20 MPa, measured according to ISO 527;

- ISO 527에 따라 측정된 파단 인장 연신율은 100%~1,000%, 바람직하게는 450%~700%이고;- the tensil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according to ISO 527 is from 100% to 1,000%, preferably from 450% to 700%;

- 유리 전이 온도(Tg)는 -22℃ 이하, 바람직하게는 -23℃ 이하이며, 하한은 -35℃이고;-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22 °C or lower, preferably -23 °C or lower, the lower limit is -35 °C;

- 실온에서의 밀도가 0.875g/㎤ 이상, 바람직하게는 0.875g/㎤~0.92g/㎤, 보다 바람직하게는 0.88g/㎤~0.90g/㎤이다.- The density at room temperature is 0.875 g/cm 3 or more, preferably 0.875 g/cm 3 to 0.92 g/cm 3 , more preferably 0.88 g/cm 3 to 0.90 g/cm 3 .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낮은 점도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메탈로센 이소택틱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을 약 10중량%~약 8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약 6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중량%~약 55중량% 포함한다.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rom about 10% to about 85% by weight, preferably about 30% by weight of at least one metallocene isotactic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viscosity bimodal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 to about 65%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about 40% to about 55% by weight.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포뮬레이팅하는 것이고, 본원에 이용되는 낮은 점도이고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상술의 신규한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본 발명의 최종 접착제 포뮬레이션이, 특히 고체 상태 및 실온에서 발생하는 특히 효과적인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과 관련하여, 이들 신규한 특수 폴리머 조성물의 고유한 특성을 일반적으로 핫멜트 접착제의 선택 품질에 요구되는 최적의 접착성, 유변학적, 물리적 및 공정 특성과 조합함으로써, 상기 신규한 폴리머 조성물의 혁신적이고 독특한 특성을 완전히 유지한다. As already mentione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ulate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n the most suitable manner, and as used herein the novel isotactic metals having a low viscosity and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The Ros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s allow the final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lly demonstrate the unique properties of these novel specialty polymer composition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particularly effective time-delayed crystallization that occurs in the solid state and at room temperature. By combining with the optimum adhesive, rheological, physical and processing properties required for the selected quality of hot melt adhesives, the innovative and unique properties of this novel polymer composition are fully retai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포뮬레이션 전략 및 다른 구성요소는 이하의 단락에서 보다 잘 설명된다.The formulation strategy and other components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re better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의 기타 구성요소Other components of the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점도 개질제viscosity modifier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실온, 즉 통상적으로 23℃의 온도에서 고체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점도 개질제를 포함한다.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t least one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ie, typically 23°C.

종래 기술의 일부 특허의 논의에 있어서, 실온에서 고체인 점도 개질제의 사용(고형 가소제; 매우 낮은 점도의 액체로 용융되는 고체 화합물 등)은 폴리부텐-1의 결정화에 매우 강력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포뮬레이팅된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접착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상기 고체 가소제는 적어도 두 가지 논의된 경우에 있어서, "일시적" 핫멜트 접착제는, 즉 즉각적인 양호한 접착 상태로부터 다소 짧은 시간 후에 완전히 비접착 상태로 신속하게 이행되는 것을 이미 알 수 있었다. In the discussion of some patents in the prior art, the use of viscosity modifiers that are solid at room temperature (solid plasticizers; solid compounds that melt into very low viscosity liquids, etc.) can affect the crystallization of polybutene-1 in a very strong way. and consequently affect the adhesive properties of hot melt formulations formulated in this way; It has already been seen that, in at least two of the cases discussed, the solid plasticizer is a "temporary" hot melt adhesive that rapidly transitions from an immediate good adhesion state to a completely non-adhesive state after a rather short period of tim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하나 이상의 점도 개질제를 포함한다. "규정"의 단락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고체가 아닌"이라는 표현은, 검사 대상이 자체 체적을 갖지만 자신의 형상을 갖지 않고; 또한, 일시적으로 특정 형상으로 형상화될 수 있지만 자체 중량의 작용에 의해서만 영구적으로 변형되고 자연스럽게 유동되어(비교적 짧은 기간, 통상 1일보다 길지 않은 기간에) 그것을 포함하는 용기 또는 그것이 놓여있는 고체 표면의 형상을 취하는 물질의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에 있어서 "액체"로서 설명될 수 있는 모든 물질뿐만 아니라 공통 언어로, "부드러운", "풀같은", "젤리같은", "유동적인", "끈적끈적한", "반고체의" 등으로서 규정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한다. Accordingly,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t least one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As explained in more detail in the paragraph of "Rules", the expression "not solid" means that the inspected object has its own volume but does not have its own shape; It can also be temporarily shaped into a specific shape but permanently deformed only by the action of its own weight and flow naturally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usually not longer than one day)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it or the solid surface on which it rests. refers to the state of matter that takes Thus, in the common language, as well as any substance that can be described as "liquid" in these definitions, "soft", "grass-like", "jelly-like", "fluid", "sticky", "semi-solid" Includes all substances defined as etc.

"규정"의 단락에 있어서 더 잘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는 유변학에 있어서의 형용사로 부여된 규정에 따라 상온에서 "유변학적으로 액체"로서 규정된 모든 물질, 즉 상술의 온도에서 점성 계수(G")가 그들의 탄성 계수(G')를 초과하거나; 또는 탄 델타가 1 초과인 규정과 등가인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상기 점도 개질제는 용융 상태에서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점도를 더욱 낮추고, 점착성을 증가시킨다.As is better explained in the paragraph of "Rules", viscosity modifi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that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rheologically liquid"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ules given as adjectives in rheology. It may further include all materials, i.e. materials equivalent to the specification, wherein the viscous modulus (G") at the above mentioned temperatures exceeds their modulus of elasticity (G'); or the tan delta is greater than 1. The viscosity modifier further lowers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formulation in the molten state and increases the tack.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사용될 수 있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 또는 점도 개질제류는,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나프텐계 미네랄 오일;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파라핀계 및 나프텐계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코폴리머로부터 합성되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올리고머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코폴리머의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올리고머; 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세바케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가소제; 식물성 오일; 천연 및 합성 지방;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Viscosity modifiers or classes of viscosity modifi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that can be used in the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araffinic mineral oil; naphthenic mineral oil; paraffinic and naphthenic hydrocarbon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mixtures thereof; oligom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of polyolefins and copolymers thereof, such as oligom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synthesized from ethylene, propylene, butene, iso-butylene and copolymers thereof; plasticiz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which are formed from esters such as phthalates, benzoates, and sebacates; vegetable oil; natural and synthetic fats; and mixtures thereof.

미네랄 오일과 그리스, 파라핀계와 나프텐계 및 이들의 혼합물은 폴리올레핀의 고체가 아닌 올리고머뿐만 아니라 주로 폴리프로필렌의 고체가 아닌 올리고머 및 에틸렌과의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최신의 것들 중에서, 특히 폴리 프로필렌의 고체가 아닌 메탈로센 올리고머 및 에틸렌과의 코폴리머, 특히 프로필렌이 몰분율로서 주된 코모노머인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메탈로센 올리고머 및 에틸렌과의 코폴리머로서, 상기 코폴리머는 프로필렌이 주된 코모노머이고, 실온에서 고체가 아니며, 연화 온도가 -30℃이고, 170℃에서의 점도가 300mPa.s 이하이다.The mineral oil and grease, paraffinic and naphthenic and mixtures thereof are preferably non-solid oligomers of polyolefin as well as mainly non-solid oligomers of polypropylene and copolymers with ethylene. Among these state-of-the-art, preference is given especially to non-solid metallocene oligomers of polypropylene and copolymers with ethylene, in particular copolymers in which propylene is the predominant comonomer in mole fra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allocene oligomer of propylene and a copolymer with ethylene, wherein the copolymer is propylene as the main comonomer,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has a softening temperature of -30°C, and is 170°C. The viscosity at is 300 mPa.s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 또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의 블렌드를 약 5중량%~약 4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8중량%~약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약 20중량% 포함한다.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from about 5% to about 40%, preferably from about 8% to about 30% by weight of a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or a blend of a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More preferably, it contains about 10% by weight to about 20% by weight.

점착제adhesiv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링 앤드 볼 연화점이 5℃~160℃인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수지를 더 포함한다. 핫멜트 접착제 분야에서 잘 알려진 점착제의 가능한 부류 중에서,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에 바람직한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및 폴리부텐-1과 가장 상용성이 있는 부류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에 포함되는 점착제는 지방족 탄화수소 점착제,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방향족 탄화수소 점착제,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지방족/방향족 점착제,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테르펜계 점착제,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로진, 그 에스테르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완전히 수소화된 탄화수소 점착제(지방족 및 방향족 및 지방족/방향족)는,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되는 낮은 점도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상기 이소택틱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과의 최적의 상용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에 사용되는 점착제 수지의 링 앤드 볼 연화점이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having a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of 5°C to 160°C. Of the possible classes of tackifiers well known in the art of hot melt adhesives, preferred tackifiers for th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belong to the class most compatible with polyolefins and polybutene-1. In gener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included in th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iphatic hydrocarbo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derivatives of which part or all are hydrogenated; aromatic hydrocarbo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derivatives of which part or all are hydrogenated; aliphatic/aromat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derivatives of which some or all are hydrogenated; terpe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derivatives of which part or all are hydrogenated; Rosin, its esters and some or all of them may be selected from hydrogenated derivatives. Fully hydrogenated hydrocarbon adhesives (aliphatic and aromatic and aliphatic/aromatic) have optimum compatibility with the isotactic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viscosity bimodal composition used in the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preferred. It has also been found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and-ball softening poi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used i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80°C or higher, preferably about 90°C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about 100°C or higher.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수지 또는 점착제 수지의 혼합물을 약 15중량%~약 7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5중량%~약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중량%~약 55중량% 포함한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comprises at least one tackifier resin, they contain from about 15% to about 70%, preferably from about 25%, by weight of the at least one tackifier resin or mixture of tackifier resins. to about 60%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about 30% to about 55% by weight.

추가 구성요소additional compon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대부분은 높은 점도로 구형의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이소택틱 폴리부텐-1과, 폴리부텐-1보다 상당히 큰 백분율로 존재하는 다량의 다른 폴리머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포뮬레이팅하는 것을 교시한다. As can be seen, most of the prior art is made by mixing isotactic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spherical Ziegler-Natta catalyst at high viscosity with a large amount of other polymer compounds present in a significantly greater percentage than polybutene-1. teach formulating.

이러한 다량의 상이한 폴리머를 첨가하는 주된 목적 중 하나는, 이러한 방식으로 포뮬레이팅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접착성, 응집성 및 가공성(폴리부텐-1의 초기의 매우 높은 점도를 고려해 볼 때)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 범위에서 사용되는 매우 자주 사용되는 부류의 폴리머는 APAO(비정질-폴리-알파-올레핀)이다.One of the main purposes of adding these large amounts of different polymers is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adhesion, cohesiveness and processability (given the very initially very high viscosity of polybutene-1)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formulated in this way. is to improve A very frequently used class of polymers used in this range are APAOs (amorphous-poly-alpha-olefins).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놀랄만큼 낮은 점도로 실질적으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고, 조성물 및 분자량 모두에 대하여 좁은 바이모달 분포를 갖는 상술의 신규한 메탈로센 이소택틱 폴리부텐-1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포뮬레이션의 접착성, 응집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후속 결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다량의 다른 폴리머, 특히 APAO의 첨가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novel metallocene isotactic polybutene-1 composition described above having a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 with surprisingly low viscosity and a narrow bimodal distribution for both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there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cohesiveness and processability of th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add large amounts of other polymers, in particular APAO,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subsequent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폴리머에 대해 하기에 명시된 것과는 별개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낮은 점도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신규한 메탈로센 이소택틱 폴리부텐-1 조성물 이외의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포뮬레이션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폴리머, 예를 들면 비정질 폴리-알파-올레핀(APAO)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의 메탈로센 이소택틱 부텐-1 폴리머 조성물과는 상이한 소량의 APAO 또는 다른 폴리머를 첨가하는 이유에 상관없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의 이들 상이한 폴리머의 전체 수준은 전체 핫멜트 조성물의 15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Accordingly,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one novel metallocene isotactic poly having a bimodal composition with a substantially low viscosity as described above, independently of what is specified below for a particular polymer. It does not contain any polymer other than the butene-1 composition. In particular, the formulation preferably does not comprise a substantially amorphous polymer, such as an amorphous poly-alpha-olefin (APAO). And, regardless of the reason for adding a small amount of APAO or other polymer different from the metallocene isotactic butene-1 polymer composition described above, the total level of these different polymers in any case judged suitable is the total hotmelt composition. of 15%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by weight or less.

또한, 놀랍게도,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종래 기술의 일부에 의해 교시된 바와 달리, 이 폴리부텐-1의 결정화를 용이하게 하고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핵제로서 첨가되는 높은 결정화도의 상당량의 왁스 또는 다른 추가 구성요소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조적으로, 다량의 왁스 또는 다른 유사한 결정질 화합물은 본 발명의 핫멜트 포뮬레이션에 사용되는 특유의 메탈로센 이소택틱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의 느리고 규칙적인 결정화를 방해할 수 있으며, 이들은 더 신속하고 무질서한 결정화를 촉진하여 너무 많고 평균적으로 더 작고 덜 견고한 결정을 생성하기 때문에 접착성 및 물리적 특성을 잠재적으로 악화시킨다. Also, surprisingly, the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a significant amount of high crystallinity wax or other addition added as a nucleating agent to facilitate and promote the crystallization of this polybutene-1, contrary to what is taught by some of the prior art. It has been found that the addition of components is not required. In contrast, large amounts of wax or other similar crystalline compounds may interfere with the slow and regular crystallization of the unique metallocene isotactic butene-1 polymer composition used in the hot melt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sults in faster and more disordered crystallization. , resulting in too many, on average smaller and less rigid crystals, potentially deteriorating adhesion and physical properties.

그러나, 매우 소량의 왁스, 특히 폴리올레핀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구체적으로는 말레산 무수물로 개질된 왁스는 본 발명의 핫멜트 포뮬레이션에 약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므로,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에 포함되는 이소택틱 폴리부텐-1의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주요 매커니즘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고, 예를 들면 "오픈 타임"과 같은 일부 특성을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However, very small amounts of waxes, especially polyolefin waxes and polypropylene waxes, specifically waxes modified with maleic anhydride, are added to the hot melt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mount of about 5% by weight or less, and thus are not included i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substantially interfering with the main mechanism of the time-delayed crystallization of the included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isotactic polybutene-1, some properties, such as "open time", for example, can be improved in a most suitable manner. have.

마찬가지로, 놀랍게도 소량의 반결정질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의 반결정질 코폴리머, 특히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코폴리머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일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반결정질 폴리머가 소량으로, 핫멜트 접착제의 약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로 첨가된다면, 용융 상태에서 점도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포뮬레이션 자체의 결정화의 기본 특성 및 우수한 가공성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고, 왁스보다 더 양호하게 "오픈 타임"을 조정할 수 있다.Likewise, it has been surprisingly found that small amounts of semi-crystalline polymers, preferably semi-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ylene, in particular copolymers of propylene and ethylene, can improve some properties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semi-crystalline polymer is added in small amounts, about 15%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about 10% by weight or less of the hot melt adhesive, it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viscosity in the molten state and is the basis of crystallization of the formulation itself. The "open time" can be adjusted better than wax without substantially interfering with properties and good processability.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상기 반결정질 코 폴리머는, 예를 들면 Lyondell-Basell제의 상표 Hifax로 시판되는 폴리머 조성물 및 헤테로상 코폴리머와 같은 헤테로상 모폴로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에서 약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코폴리머 및 기타 헤테로상 반결정질 폴리머 조성물은, 예를 들면 ExxonMobil제의 상표 Vistamaxx로 시판되는 것들이다. In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rystalline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has a heterophasic morphology, such as, for example, a polymer composition and heterophasic copolymer sold under the trademark Hifax from Lyondell-Basell. Copolymers of propylene and ethylene and other heterophasic semi-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mounts of up to about 15% by weight, preferably up to about 10% by weight, are, for example, trademarks of ExxonMobil. They are marketed as Vistamaxx.

또한,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는 주요 폴리머 구성요소로서, 낮은 점도의 부텐-1의 적어도 하나의 메탈로센 이소택틱 폴리머 조성물과,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술한 바에 따르면 임의의 2차 폴리머 구성요소로서 낮은 점도의 모노모달 조성물을 갖는 메탈로센 유래의 이소택틱 부텐-1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약 15중량% 이하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노모달 조성물을 갖는 메탈로센 유래의 이소택틱 부텐-1의 상기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의 낮은 점도는 ISO 1133에 따라 측정된 용융 유속으로 나타내며 200~2,000, 바람직하게는 500~1,600이다.In addition, the hot melt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s a main polymer component, at least one metallocene isotactic polymer composition of low-viscosity butene-1, and a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during polymerization, and according to the above, any It may further include a homopolymer or copolymer of isotactic butene-1 derived from metallocene having a low viscosity monomodal composition as a secondary polymer component of about 15% by weight or less. The low viscosity of the homopolymer or copolymer of isotactic butene-1 derived from metallocene having a monomodal composition is 200-2,000, preferably 500-1,600, expressed as a melt flow rate measured according to ISO 1133.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산화방지제, 항-UV 광안정제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안정제를 약 0.01중량%~약 10중량%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들은 미네랄 충전제, 안료, 염료, 향료,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와 같은 다른 추가의 임의의 구성요소를 약 15중량% 이하 더 포함할 수 있다.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from about 0.01% to about 10% by weight of at least one stabilizer, such as antioxidants, anti-UV light stabilizers, and mixtures thereof. They may further comprise up to about 15% by weight of other additional optional components such as mineral fillers, pigments, dyes, fragrances, surfactants, antistatic agents.

주요 접착제 파라미터Main Adhesive Parameters

본 발명에 따른 포뮬레이션의 접착 특성 및 그들의 경시 변화뿐만 아니라, 다른 비교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접착 특성은 3가지 타입의 파라미터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The adhesive properties of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ir change over time, as well as the adhesive properties of adhesive formulations of other comparisons, can be evaluated by three types of parameters:

i. "오픈 타임"이라고 불리는 파라미터, 즉 제 1 기재 상에 용융물을 적용한 후, 핫멜트 접착제가 의도된 용도로 제 1 기재와 적당한 압력 하에 접촉되는 제 2 기재와 충분히 강한 접착 접합을 형성할 수 있는 시간 간격. 특히, 시험 중인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오픈 타임은 시험법 ASTM D 4497-94에 따라 측정되며,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대한 다음의 조건이 고려된다:i. A parameter called "open time", i.e., the time interval after which the melt is applied on the first substrate, during which the hot melt adhesive can form a sufficiently strong adhesive bond with a second substr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substrate under moderate pressure for its intended use. . In particular, the open time of the hot melt formulation under test is measured according to test method ASTM D 4497-94, and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re considered:

- 접착제 필름의 코팅 온도 : 170℃- Coating temperature of adhesive film: 170℃

- 접착제 필름의 두께=1mm - Thickness of adhesive film = 1mm

ii. 검사 중인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접착된 2개의 기판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박리 강도", 즉 단위 길이당 평균 힘으로 알려진 접착 특성으로서, 상기 힘은 일정한 분리 각도로 고정되고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는 분리에 의해 결정된다. 시험법 ASTM D 1876-01에 따라 측정하고, 2개의 기판 사이의 분리 속도는 150mm/분이 적용되며, 따라서 시험기의 이동 속도는 300mm/분이다. 사용된 2개의 기재는 용융 접착제가 용융 상태로 분무되거나 또는 슬롯-다이 압출에 의해 직접 적용되는 22g/m의 미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이며, 그 위에는 즉시 12g/m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접착된다. 박리 강도의 측정은 2개의 접착된 기재를 폭 50mm로 박리하는데 필요한 강도를 기록함으로써 행해진다.ii. The adhesive property known as the "peel strength", i.e. the average force per unit length, required to separate two substrates bond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under test, the force being determined by the separation at a constant rate and held at a constant angle of separation . Measur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ASTM D 1876-01, the separation spe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is 150 mm/min applied, so the moving speed of the testing machine is 300 mm/min. The two substrates used are a 22 g/m microporous polyethylene film onto which a melt adhesive is sprayed in a molten state or applied directly by slot-die extrusion, on which a 12 g/m spunbond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is immediately adhered. The measurement of the peel strength was made by recording the strength required to peel the two adhered substrates to a width of 50 mm.

iii. 당업계에서 "전단 강도"로서 알려진 접착 특성, 즉 시험 중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의해 접착된 2개의 기재가 접합을 파괴시키지 않고, 매달려 있는 고정된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가장 긴 시간. 상기 접착 특성은 ASTM D 3654법에 따라 측정되며,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iii. The adhesive property known in the art as "shear strength", i.e. the longest time that two substrates bonded by the adhesive formulation under test can support a fixed, suspended weight without breaking the bond. The adhesive properties a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3654 method, and are modified as follows:

- 제 1 기재 : 마일라 필름, 50g/㎡ - 1st base material: Mylar film, 50g/m2

- 제 2 기재 : 크래프트지, 40g/㎡ - 2nd substrate: kraft paper, 40g/㎡

- 상기 접착제는 수동 랩 코터에 의해 170℃에서 용융물로부터 마일라 필름 상에 평량 50g/㎡로 코팅되고, 즉시 종이와 접합된다:- the adhesive is coated with a basis weight of 50 g/m 2 on the mylar film from the melt at 170° C. by a manual lab coater and immediately bonded to the paper:

- 테스트용 접합 영역 : 1평방인치(즉, 한 면당 1인치의 정사각형 면적)- Joint area for testing: 1 square inch (i.e. 1 inch square area per side)

- 중량 : 1kg - Weight: 1kg

- 테스트 챔버의 온도 : 40℃ - Temperature of test chamber: 40℃

전단 강도 시험에 대해, 수동으로 접착시킨 직후에 0시간에서의 샘플을 테스트한다. 대조적으로, 5일째에 샘플을 접착시킨 후 23℃ 및 상대 습도 50%의 실내에서 5일 동안 방치시키며, 이 때 어떠한 중량도 가하지 않는다. 5일이 경과하면, 이전에 설명한 절차에 따라 방치한 샘플을 전단 강도를 테스트한다.For the shear strength test, the samples at 0 hours are tested immediately after manual bonding. In contrast, after bonding the samples on day 5, they are left for 5 days in a room at 23° C. and 50% relative humidity, at which time no weight is applied. After 5 days, test the shear strength of the left-in samples according to the previously described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잘 설명되며,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그것이 실시되는 방법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부 및 백분율은 중량으로 나타낸다.The invention is better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how it may be practic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parts and percentages are expressed by weigh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낮은 점도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viscosity bimodal composition used in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포뮬레이팅하기 위해,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은 상술한 바에 따라 낮은 점도로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에서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바이모달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었다. 상기 바이모달 이소택틱 폴리부텐-1 조성물은 Basell Poliolefine Italia에 의해 공급되었으며, 이하 폴리머 PB-X1라고 불린다. 그것은 표 1에 요약된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To formulate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 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in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steps with low viscosity as described above. became The bimodal isotactic polybutene-1 composition was supplied by Basell Poliolefine Italia,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ymer PB-X1.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aracteristics summarized in Table 1.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1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1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에 따른 다음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구성요소를 170℃의 용융 상태에서 혼합하여 제조된다:The following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pared by mixing the components in a molten state at 170°C: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2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2

실시예 1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단독의 폴리머 구성요소로서 낮은 점도로 상술한 메탈로센 이소택틱 폴리머 조성물 PB-X1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폴리부텐-1과 에틸렌 사이의 코폴리머 및 폴리부텐-1의 호모폴리머로 성형되고(표 1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모두 메탈로센 이소택틱이고, 낮은 점도/ 낮은 분자량이고, 또한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에서 중합시에 직접 얻어진다.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Example 1 comprises the metallocene isotactic polymer composition PB-X1 described above with low viscosity as the sole polymer component,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copolymer between polybutene-1 and ethylene and polybutene -1 (a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able 1), all metallocene isotactic, low viscosity/low molecular weight, and the polym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wo continuous and It is obtained directly during polymerization in individual reaction steps.

상기 설명된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170℃의 온도에서 2,050mPa.s의 특히 낮은 점도로 인해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분무 또는 섬유화와 같은 높은 속도 및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공정에 있어서도 사용되는 유변학적 기준도 충족하며: 실제로 165℃에서 10Pa인 탄성 계수(G')에 대응하는 점성 계수(G")의 값은 211Pa이며, 따라서 탄 델타의 값은 21.1이므로, 핫멜트 접착제의 양호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을 충족한다.The adhesive formulations described above are easily processable due to their particularly low viscosity of 2,050 mPa·s at a temperature of 170°C. It also meets the rheological criteria used for processes at high and high shear rates, such as spraying or fibrillating: the value of the viscous modulus (G") corresponding to the modulus of elasticity (G'), which is in fact 10 Pa at 165° C. is 211 Pa, and thus the value of tan delta is 21.1, which meets the rheological criterion for good sprayability of hot melt adhesives.

이 포뮬레이션은 78℃의 낮은 링 앤드 볼 연화점 및 폴리부텐-1을 기준으로 하는 포뮬레이션에 대해 120분의 예외적으로 긴 "오픈 타임"을 갖고; 따라서 그것의 사용은 가능한 다양한 접합 공정에서 특히 용이하고 효과적이다.This formulation has a low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of 78° C. and an exceptionally long “open time” of 120 minutes for formulations based on polybutene-1; Its use is therefore particularly easy and effective in a variety of possible bonding processes.

이 우수한 특성의 조합은 실제로 다양한 적용 공정 및 다양한 조건의 라인 속도 및/또는 온도에서 우수한 가공성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250m/분~600m/분의 라인 속도 및 155℃~165℃의 온도에서 슬롯 다이 압출에 의해 최적의 방법으로 가공되었으며; 또한 250m/분~600m/분의 라인 속도와 155℃~170℃의 온도에서 분무 방식으로 가공되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가공성이 우수했으며, 압출 또는 분무에 의해 코팅된 접착제층은 항상 완전히 균일하고 규칙적이었다.This combination of superior properties actually leads to good processability at various application processes and at various conditions of line speed and/or temperature. For example, the adhesive formulation of Example 1 was optimally processed by slot die extrusion at a line speed of 250 m/min to 600 m/min and a temperature of 155° C. to 165° C.; It was also machined by spraying at line speeds of 250 m/min to 600 m/min and temperatures between 155°C and 170°C. In all cases, the processability was good, and the adhesive layer coated by extrusion or spraying was always perfectly uniform and regular.

또한, 실시예 1의 포뮬레이션은 낮은 점도이고 이소택틱의 폴리부텐-1의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 PB-X1의 경시적으로 지연되고, 상당히 양호하고, 정렬되어 있고, 견고한 결정화로 인해, 그 자체의 유변학적, 물리적 및 접착 특성에 우수한 변화 능력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formulation of Example 1 is a low viscosity, isotactic,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PB-X1 of polybutene-1 itself, due to its delayed, fairly good, ordered, and robust crystallization over time. It exhibits excellent ability to change the rheological, physical and adhesive properties of

폴리부텐-1의 상기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놀랄만한 효과는, 예를 들면 23℃에서 0시간에서의 파단 인장 강도가 0.02MPa이고,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그 값이 1.3MPa로 높고 64배 증가하고, 따라서 백분율로 6,400% 증가하고; 이 때의 파단 연신율은 0시간에서 4,040%를 초과하고(사용된 기기에 의해 측정된 가장 높은 전체 범위 값임), 23℃에서 5일 후에 2개의 시간 사이의 변화량(5일간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함)은 11.1배 이상이고, 또는 1,110% 이상으로 잘 나타내어져 있다. The surprising effect of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in the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polybutene-1 is, for example, a tensile strength at break of 0.02 MPa at 0 hours at 23° C. After that, the value is as high as 1.3 MPa and increases 64 times, thus increasing by 6,400% as a percentage; At this time, the elongation at break exceeds 4,040% at 0 hours (which is the highest full-range value measured by the instrument used), and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two times after 5 days at 23°C (calculated based on the 5-day value) ) is 11.1 times or more, or is well expressed as 1,110%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서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로 인해 발생하는 특유의 변화는 유변학적 특성의 중요한 변화로 잘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면,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0시간에서의 탄성 계수(G')의 값은 0.0687MPa로 매우 낮으며, 반면에 유변학적 파라미터인 탄 델타는 1 초과이고, 보다 정확하게는 1.18이다.In addition, in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istic change that occurs due to crystallization delayed over time is well represented as a significant change in rheological properties.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G') at 0 hours at 23° C. and a frequency of 1 Hz is very low, 0.0687 MPa, while the rheological parameter, tan delta, is greater than 1, more precisely 1.18.

유변학 및 접착제 과학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유변학적 파라미터의 상기 값들은 용융물로부터 응고된 직후에 고체 상태에서 실온에서의 실시예 1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이 초기부터 기재와 우수한 접착 접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매우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접착제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23℃에서의 탄 델타의 높은 값은 상기 접착제가 접착 접합을 형성한 후에 이미 고체 상태가 된 경우라도 계속 기재 상에 "유동" 및 "습윤"함으로써 접합 면적을 확대시키고, 따라서 전체 접착 강도를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As will be readily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rheology and adhesive science, the above values of these rheological parameters indicate that the adhesive formulation of Example 1 at room temperature in the solid state immediately after solidification from the melt was initially superior to the substrate. It means an adhesive that is very soft and tacky to provide an adhesive bond. In addition, the high value of tan delta at 23° C. expands the bonding area by continuing to “flow” and “wet” on the substrate even when the adhesive is already in a solid state after forming an adhesive bond, thus enlarging the overall adhesive strength. means to increase proportionally.

그러나, 놀랄만큼 효과적이고 강력한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로 인해, 경시에 따른 "경화"에 대한 이 포뮬레이션의 특별한 능력은 동일한 유변학적 파라미터가 실온에서, 예를 들면 5일 후에 단순 방치함으로써 나타내어지는 변화에 의해 잘 강조되어 있다. 실제로,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실온 및 1Hz에서의 탄성 계수(G')의 값은 6.52MPa로 매우 높고; 즉, 이들 신규한 핫멜트 접착제의 폴리머 기반을 형성하는 폴리부텐-1의 특유의 이소택틱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의 놀랄만큼 정렬되고, 효과적이고, 강력한 결정화로 인해, G'는 93.9배, 또는 백분율로 9,390% 증가했다.However, due to the surprisingly effective and robust time-delayed crystallization, the special ability of this formulation to "cure" over time is not demonstrated by simple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after 5 days, with the same rheological parameters. It is well emphasized by the change. In fact, the value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G') at room temperature and 1 Hz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is very high as 6.52 MPa; That is, due to the surprisingly ordered, effective, and strong crystallization of the unique isotactic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polybutene-1 that forms the polymeric base of these novel hot melt adhesives, G' is 93.9 times, or as a percentage. It increased by 9,390%.

상기 탄성 계수(G')의 예외적인 증가는 실시예 1의 포뮬레이션이 얼마나 자연적으로 매우 단단한 접착제로 변형되었는지, 즉 상기 접착 접합이 처음 형성된 이후로 얼마나 접착력 및 접착력의 물리적 강도를 강화시켰는지를 잘 나타낸다.The exceptional increase in the modulus of elasticity (G') shows how well the formulation of Example 1 was transformed into a naturally very hard adhesive, i.e., how much the adhesive strength and physical strength of the adhesive force were enhanced since the adhesive bond was first formed. indicates.

또한, 이 때 동일한 결정화 현상으로 인해, 파라미터 탄 델타는 상당히 감소되는데; 실제로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 탄 델타의 값은 0.267이어서 통상 훨씬 더 단단한 고체이며, 더 이상 "유동"하지 않는 것이고, 이전 단락에서 더 잘 설명된 바와 같이 최종의 특성인 "유동"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Also, due to the same crystallization phenomenon at this time, the parameter tan delta is significantly reduced; In fact,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the value of tan delta is 0.267, which means that it is usually a much harder solid, no longer "flowing", and the final property "flowing" as better explained in the previous paragraph is more Not only is it not necessary anymore, it can have very detrimental effects.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폴리부텐-1의 특유의 새로운 폴리머 조성물의 특히 규칙적이고 견고한 결정화로 인해, 실시예 1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파라미터 탄 델타는 실온에서 5일간 단지 방치함으로써, 2개의 시간 사이의 변화량(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이 3.4배 이상 또는 약 342%이다.Thus, due to the particularly regular and robust crystallization of the unique novel polymer composition of polybutene-1 used herein, the parameter tan delta of the adhesive formulation of Example 1 was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for only 5 days, thereby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hours. The amount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s on day 5) is more than 3.4 times, or about 342%.

본 발명의 접착제의 결정화에 의한 비정상적인 경화는, 접착제가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어 초기부터 매우 잘 접합될 수 있는지, 또는 반대로 접착제가 단단하고 접착 접합의 파단을 견디는 박리 저항력이 있는지를 측정(그 값에 반비례하는 방식으로)하는 파라미터인 니들 침투력의 상당한 변화에서도 현저하게 나타났다. 실제로, 실시예 1의 포뮬레이션은 23℃에서 125dmm의 매우 높은 니들 침투력을 갖는 매우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물질이지만; 5일 후에도 여전히 23℃에서 16dmm으로 낮은 니들 침투력을 갖는 더욱 단단하고 저항력이 있는 접착제로 변형된다. 따라서, 접착제는 2개의 시간 사이에 그 침투력이 6.8배 이상 또는 681%(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서 계산됨) 변화된다.Abnormal hardening by crystallization of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asured whether the adhesive is soft and tacky and can be bonded very well from the beginning, or, conversely, whether the adhesive is hard and has peel resistance to withstand the breakage of the adhesive bo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alue) The significant change in needle penetration force, a parameter to Indeed, the formulation of Example 1 is a very soft and tacky material with a very high needle penetration of 125 dmm at 23°C; After 5 days it still transforms into a harder and more resistant adhesive with low needle penetration at 23° C. of 16 dmm. Thus, the adhesive changes its penetrating power more than 6.8 times or 681% (calculated as a percentage based on the value on day 5) between two hours.

최종적으로, 상술한 것으로부터 이미 일부가 명확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예의 포뮬레이션은 실온에서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진행과 함께 그 표면 점착성에 있어서 극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실제로 이 물질은, 23℃에서 방치한되는 동안에 특히 초기에 높은 점착성을 갖는 접착제로부터 점착성이 잔류하지 않은 최종 접착제로 변형되고, 이러한 특성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고 주목할만 하다.Finally, although some is already clear from the above, the formulations of this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 a dramatic change in their surface tackiness at room temperature with time-delayed progress of crystallization; In fact, this material transforms from an adhesive with high tack initially to a final adhesive without residual tack, especially during standing at 23° C., a property that is very important and noteworthy for many applications.

실시예 2 Example 2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170℃에서 용융 혼합하여 제조 하였다: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by melt mixing at 170 °C: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3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3

상기 포뮬레이션은 낮은 점도의 폴리부텐-1의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 PB-X1 이외에 소량의 비정질-폴리-알파-올레핀(APAO)을 더 사용한다.The formulation further uses a small amount of amorphous-poly-alpha-olefin (APAO) in addition to the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PB-X1 of low viscosity polybutene-1.

이 첨가는 본질적으로 포뮬레이션의 초기 점착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행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 기술에 의해 교시된 바와 달리, 상기 폴리머는 비정질이고, 부텐-1의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과 화학적으로 상이한 폴리머이며, 본원에서 주요 폴리부텐-1보다 훨씬 적은 양으로 사용되어,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그 후속 결정화를 방해하지 않으며, 이 결정화는 특히 효과적이고, 규칙적이고, 견고한 방식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접착성 및 물리적 특성이 개선된다.This addition is essentially done to further increase the initial tackiness of the formulation. However, contrary to most prior art teachings, the polymer is amorphous, a polymer chemically different from the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butene-1, and is used herein in much lower amounts than the main polybutene-1, It does not interfere with its subsequent crystallization, which is delayed over time, since this crystallization occurs in a particularly effective, regular and robust manner, resulting in improved adhesion and physical properties.

또한, 폴리부텐 조성물 PB-X1와 상이한 비정질 폴리머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2의 포뮬레이션은 170℃에서 2,390mPa.s로 낮은 점도를 나타낸다. 또한, 그것은 165℃에서 10Pa인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는 그 점성 계수(G")의 값이 254Pa이고, 따라서 그 탄 델타가 25.4이고, 이는 핫멜트 접착제의 우수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며, 이 포뮬레이션의 우수한 유동성 및 분무성을 나타내는 매우 높은 값이라는 사실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분무 또는 섬유화 공정과 같은 높은 속도 및 높은 전단 속도의 공정에서도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다. Also, despite the presence of an amorphous polymer different from the polybutene composition PB-X1, the formulation of Example 2 exhibits a low viscosity of 2,390 mPa·s at 170°C. In addition, it has a value of its viscous modulus (G") of 254 Pa, which corresponds to a value of its elastic modulus (G') of 10 Pa at 165° C., and thus its tan delta is 25.4, which is the rheology for the good sprayability of the hot melt adhesive. It fully meets the applicable standards and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even in high-speed and high-shear rate processes such as spraying or fiberizing processes, as indicated by the fact that it is a very high value indicating good flowability and sprayability of this formulation.

링 앤드 볼 연화점은 84.2℃이고, 또한 오픈 타임은 약 45분이 되어 상당히 길다.The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is 84.2° C., and the open time is about 45 minutes, which is quite long.

이전의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2의 포뮬레이션도 넓은 범위의 상이한 작동 공정에 있어서, 상이한 라인 속도 및 온도에서 최적의 가공성을 나타냈다.As with Example 1 before, the formulation of Example 2 showed optimum processability at different line speeds and temperatures over a wide range of different operating processes.

또한, 이 포뮬레이션은 250m/분~600m/분의 라인 속도 및 155℃~165℃의 온도에서 슬롯 다이 압출에 의해 적용되었고; 또한 250m/분~600m/분의 라인 속도 및 155℃~170℃의 온도에서 분무에 의해 처리되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가공성이 우수했으며, 압출 또는 분무로 코팅된 접착제층은 항상 완전히 균일하고 규칙적이었다.In addition, this formulation was applied by slot die extrusion at a line speed of 250 m/min to 600 m/min and a temperature of 155° C. to 165° C.; It was also treated by spraying at a line speed of 250 m/min to 600 m/min and a temperature of 155° C. to 170° C. In all cases, the processability was good and the adhesive layer coated by extrusion or spraying was always perfectly uniform and regular.

또한, 실시예 2의 이 포뮬레이션은 실온에서 방치함으로써 비정질 폴리머 APAO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탁월한 효과로 발생되는 폴리부텐-1의 신규한 폴리머 조성물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로 인해, 그 접착성, 유변학적 및 물리적 특성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켜 그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is formulation of Example 2, due to the time-delayed crystallization of the novel polymer composition of polybutene-1, which is generated with excellent effect in spite of the presence of the amorphous polymer APAO by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its adhesiveness, Significant changes in rhe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urther improve its performance.

실제로, 예를 들면 이 포뮬레이션의 23℃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은 0시간에서 0.04MPa로 낮은 값을 갖고,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1.36MPa의 값을 갖고, 즉 34배 이상, 또한 3,300% 증가하며; 반면에 0시간에서의 파단 연신율은 4,040% 초과이고(사용된 기기로 측정된 가장 높은 전체 범위 값임), 5일 후에 287%로 하락하고, 즉 14배 이상 저하되고, 또는 파단 연신율이 1,300% 이상의 변화율(5일째의 최종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을 나타낸다.In practice, for example, the tensile stress at break of this formulation at 23° C. has a low value of 0.04 MPa at 0 hours, and has a value of 1.36 MPa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i.e. more than 34 times, and also 3,300%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elongation at break at 0 hours is greater than 4,040% (which is the highest full-range value measured with the instrument used), and after 5 days it drops to 287%, i.e., a decrease of more than 14 times, or the elongation at break is greater than 1,300% The rate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the final value on day 5) is shown.

또한, 고체 상태 및 실온에서의 유변학적 특성은 예기치 않은 경시 변화를 나타낸다. 실제로, 예를 들면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0시간에서의 탄성 계수(G')의 값은 0.055MPa로 낮고,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의 값은 4.81MPa로 86배 초과 또는 약 8,645%의 예기치 않은 양으로 증가되며; 이 때,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파라미터 탄 델타는 0시간에서 0.984의 높은 값으로부터 23℃에서 5일간의 방치한 후에 거의 0.2의 낮은 값으로 감소되고, 시간에 따른 변화량(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약 4배, 또는 392%이다. 즉, 실시예 2의 포뮬레이션은 용융 상태로부터 경화된 직후 초기에는 양호한 응집성에도 불구하고 "유동"할 수 있는 매우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물질이어서 기재를 매우 잘 습윤시키고, 우수한 초기 접착 접합을 형성하는 핫멜트 접착제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폴리부텐-1의 신규한 폴리머 조성물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후속 결정화에 있어서의 특유의 최적의 거동은 실온에서 경시적으로 단순 방치함으로써 상기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훨씬 강화시키고, 더욱 단단한 성분로 변형시켜 접착성 및 물리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in the solid state and at room temperature show unexpected changes over time. In fact,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G') at 0 hours at 23°C and a frequency of 1 Hz is as low as 0.055 MPa, and the value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is 4.81 MPa, which is more than 86 times or about 8,645%. increased by an unexpected amount; At this time, the parameter tan delta meas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decreased from a high value of 0.984 at 0 hours to a low value of almost 0.2 after standing at 23°C for 5 days, and the amount of change with time (based on the value on the 5th day) calculated) is about 4 times, or 392%. That is, the formulation of Example 2 is a very soft, tacky material capable of "flowing" in spite of good cohesiveness initially immediately after curing from the molten state, so that it wets the substrate very well and forms a good initial adhesive bond. It is an adhesive. However, the characteristic optimal behavior in the time-delayed subsequent crystallization of the novel polymer composition of polybutene-1 used herein further strengthens the adhesive formulation by simply leaving it over time at room temperature, It is transformed into a harder component to further improve adhesion and physical properties.

마찬가지로, 23℃에서의 니들 침투력은 0시간에서 28dmm로부터 5일 후에 12dmm로 변화되고, 즉 시간에 따른 변화율(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133%로 절반 이하로 더욱 낮아졌다.Likewise, the needle penetration force at 23° C. was changed from 28 dmm at 0 hours to 12 dmm after 5 days, that is, the rate of change with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n day 5) was 133%, which was further lowered to less than half.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 2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상술한 현상으로 인해 실온에서 방치되는 동안에 표면 점착성의 특성을 극적으로 변화시킨다. 이 포뮬레이션은 0시간에서 매우 점착성이 있어 우수한 초기 접착 접합을 즉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접착제로부터, 방치 후에 어떠한 잔류 점착성이 없는 최종 접착제로 변형된다.As in the previous examples,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this Example 2 dramatically changes the properties of surface tackiness while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due to the phenomena described above. This formulation transforms from an adhesive that is very tacky at zero hours and can instantly produce a good initial adhesive bond to a final adhesive that has no residual tack after standing.

실시예 3Example 3

본 발명에 따른 이하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170℃에서 용융 혼합하여 제조했다:The following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prepared by melt mixing at 170°C: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4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4

또한, 이 포뮬레이션에 있어서 폴리부텐-1의 폴리머 조성물 PB-X1과 상이한 폴리머를 거의 1%의 매우 적은 양으로 첨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상이한 폴리머는 헤테로상의 반결정질 폴리머로서, 폴리프로필렌 기반을 가지며,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의 분획을 함유한다.In addition, in this formulation a polymer different from the polymer composition PB-X1 of polybutene-1 was added in a very small amount of almost 1%.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fferent polymer is a heterophasic semi-crystalline polymer, which has a polypropylene base and contains a fraction of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상기 반결정질 폴리머의 적은 양의 존재는, 분무 및 섬유화에서도 이 포뮬레이션의 우수한 가공성을 방해하지 않고 매우 낮은 점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폴리머 조성물 PB-X1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와 관련된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The presence of a small amount of the semi-crystalline polymer, even in spraying and fibrilla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xcellent processability of this formulation and does not change its very low viscosity, and the properties related to the delayed crystallization of the polymer composition PB-X1 with time. can be further improved.

실제로, 170℃에서의 점도는 2,575mPa.s로 낮고; 165℃에서 10Pa인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는 본 포뮬레이션의 점성 계수(G")의 값은 332Pa로 크며, 따라서 그 탄 델타는 33.2로 크고, 이에 의해 핫멜트 접착제의 우수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에 대해 매우 양호한 충족을 나타낸다.In fact, the viscosity at 170° C. is as low as 2,575 mPa·s; The value of the viscous modulus (G") of the present formul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G') of 10 Pa at 165° C. is as large as 332 Pa, and therefore its tan delta is as large as 33.2, thereby providing excellent sprayability of the hot melt adhesive It shows very good fulfillment of the rheological criteria for

또한, 83.7℃로 낮은 랭 앤드 볼 연화점 및 약 80분의 상당히 긴 오픈 타임은 용이성 및 유효성을 잘 나타내므로, 실시예 3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분무 또는 섬유화와 같은 높은 속도 및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공정을 넘어선 다양한 적용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 Lang and Ball softening point of 83.7° C. and a fairly long open time of about 80 minutes indicate ease and effectiveness, so the adhesive formulation of Example 3 is suitable for processing at high rates and high shear rates such as spraying or fiberizing.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 processes beyond

또한, 실제로 이전의 두 가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3의 접착제 포뮬레이션도 상이한 라인 속도 및 온도에서 다양한 상이한 작동 공정에서 최적의 가공성을 나타냈다.Also, in fact, like the two previous examples, the adhesive formulation of Example 3 exhibited optimum processability in a variety of different operating processes at different line speeds and temperatures.

또한, 이전의 두 가지 실시예의 포뮬레이션에 관해서는, 이 포뮬레이션을 250m/분~600m/분의 라인 속도 및 155℃~165℃의 온도에서 슬롯 다이 압출에 의해 적용했고; 250m/분~600m/분의 라인 속도 및 155℃~170℃의 온도에서 분무에 의해 처리하였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가공성이 우수했으며, 압출 또는 분무로 코팅된 접착제층은 항상 완전히 균일하고 규칙적이었다.Also, regarding the formulations of the previous two examples, this formulation was applied by slot die extrusion at a line speed of 250 m/min to 600 m/min and a temperature of 155° C. to 165° C.; The treatment was done by spraying at a line speed of 250 m/min to 600 m/min and a temperature of 155° C. to 170° C. In all cases, the processability was good and the adhesive layer coated by extrusion or spraying was always perfectly uniform and regular.

또한, 실시예 3의 포뮬레이션에 포함되는 폴리부텐-1의 낮은 점도의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로 인해 특성의 변화도 최적이다.In addition, the change in properties due to the time-delayed crystallization of the low-viscosity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polybutene-1 included in the formulation of Example 3 is also optimal.

예를 들면, 23℃에서 0시간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은 0.04MPa로 낮고,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1.72MPa로 큰 값으로 증가하여 42배 또는 4,200%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이소택틱 폴리부텐-1의 신규한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의 비정상적으로 규칙화되고 견고한 결정화에 기인한 것이다.For example,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t 0 hours at 23° C. is as low as 0.04 MPa, and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it increases to a large value of 1.72 MPa, indicating a significant increase of 42 times or 4,200%, whic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is is due to the unusually ordered and rigid crystallization of the novel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isotactic polybutene-1 used.

이 때, 0시간에서의 파단 연신율은 4,040% 초과이고, 23℃에서 5일 후에 327%로 변화되며; 즉 파단 연신율은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폴리머 기반인 폴리부텐-1의 특유의 신규한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상당한 견고성으로 인해, 실온에서의 경시 변화율은 1,135%(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이다. At this time, the elongation at break at 0 hours is more than 4,040%, and changes to 327% after 5 days at 23°C; In other words, the elongation at break is 1,135% (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s on day 5).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포뮬레이팅된 이 핫멜트 접착제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의 중요한 변화는 유변학적 특성에 있어서의 유사한 변화에 있어서도 잘 나타난다. 예를 들면,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0시간에서의 탄성 계수(G')의 값은 0.0676MPa로 낮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접착제는 처음에 매우 부드럽고 점착성이 이는 성분이며, 실온에서 5일간만 방치한 후에 6.07MPa의 매우 높은 값을 갖는 것이 증명되었고; 즉,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이소택틱 폴리부텐-1의 신규한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 중 하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의 실온에서의 느린 결정화는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증가할 수 있고, 탄성 계수(G')의 값은 88배 초과, 또는 8,879% 초과이다. Significant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is hot melt adhesive form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ell represented by similar changes in rheological properties.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G') at 0 hours at 23° C. and a frequency of 1 Hz is as low as 0.0676 MPa, so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soft and tacky component at first, and only for 5 days at room temperature. It was proved to have a very high value of 6.07 MPa after standing; That is, the slow crystallization at room temperature of the hot-melt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one of the novel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s of isotactic polybutene-1 having a bimod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ccurs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may increase, and the value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G') is greater than 88 times, or greater than 8,879%.

이 때,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파라미터 탄 델타는 0시간에서 0.933의 높은 값으로부터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0.296의 훨씬 더 낮은 값으로 감소되고; 즉 탄 델타는 2배 이상, 보다 정확하게는 215%의 경시 변화(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를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parameter tan delta meas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decreased from a high value of 0.933 at 0 hours to a much lower value of 0.296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That is, the tan delta exhibits a change with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n day 5) of more than double, more precisely, 215%.

동일한 기간 동안, 니들 침투력은 0시간에서 37dmm으로부터 5일 후에 11dmm으로 236%의 변화율(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을 갖는다.During the same period, needle penetration had a rate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at day 5) of 236% from 37 dmm at 0 hours to 11 dmm after 5 days.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대해, 실시예 3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도 상온에서의 방치한 동안에 상술한 현상에 기인하여 표면 점착성의 매우 강한 변화를 나타낸다.With respect to the adhesive formulations of Examples 1 and 2,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Example 3 also exhibited a very strong change in surface tackiness due to the above-described phenomenon during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실제로, 본 발명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0시간에서 매우 점착성이 있으므로, 많은 기재와의 즉각적인 접착 접합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방치한 동안에 접착제는 최종적으로 완전히 점착성이 없는 접착제로 변형되고, 이러한 특성은 많은 용도에서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다.In fact, the adhesiv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tacky at 0 hours, so they can form an immediate adhesive bond with many substrates; During standing, the adhesive eventually transforms into a completely non-tacky adhesive, a property that is very important and valuable in many applications.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이하의 비교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교시된 바에 따라, 두 가지의 연속적이고 개별적인 반응 단계에서 중합시에 직접 얻어지는 실질적으로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는 낮은 점도의 부텐-1의 이소택틱 메탈로센 폴리머 조성물 대신에, 시판되는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높은 점도의 몇몇 구형 폴리부텐-1을 사용하여 포뮬레이팅하였으며; 이하의 비교예에 치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한 상기 폴리부텐-1은 종래 기술에 의해 교시된 성분을 사용하여 기준에 따라 핫멜트 접착제로 포뮬레이팅되었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below, as taught by the present invention, a low viscosity isotactic metallocene polymer composition of butene-1 having a substantially bimodal composition obtained directly upon polymerization in two successive and separate reaction steps. Instead, it was formulated using several spherical polybutene-1s of high viscosity synthesiz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Ziegler-Natta catalyst; The polybutene-1 using the Ziegler-Natta catalyst in the comparative example below was formulated into a hot melt adhesive according to the standards using the components taught by the prior ar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의 이하의 핫멜트 접착제는 종래 기술에 의해 교시된 바에 따라,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구형의 시판의 폴리부텐-1을 사용하고, 성분 및 포뮬레이팅 관련 기준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상기 접착제는 매우 높은 점도를 나타내며, 185℃에서 용융 혼합하여 제조되었다.The following hot melt adhesiv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using spherical commercially available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as taught by the prior art, and using ingredients and formulation related standards. The adhesive exhibits very high viscosity and was prepared by melt mixing at 185°C.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5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5

비교예 1은 단지 용융 및 혼합에 의해 얻어지는 구형의 2개의 상이한 폴리부텐-1의 물리적 혼합물을 포함한다. 첫번째의 시판의 폴리부텐-1은 부텐-1과 에틸렌의 코폴리머이고, 두번째의 폴리부텐-1은 폴리부텐-1의 호모폴리머이고, 모두 치글러-나탄 촉매로 합성되며, 모두 매우 높은 점도/분자량을 갖고, 두 가지의 완전히 독립적인 반응에 의해 합성되고, 두 가지의 개별 폴리머로서 상용화되며, 이 경우에는 비교예 1의 본 발명의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제조시에만 용융 및 혼합에 의해 물리적으로 혼합되었다.Comparative Example 1 comprises a physical mixture of two different polybutene-1 spheres obtained by only melting and mixing. The first commercially available polybutene-1 is a copolymer of butene-1 and ethylene, and the second polybutene-1 is a homopolymer of polybutene-1, all synthesized using a Ziegler-Nathan catalyst, and all have very high viscosity/ It has a molecular weight, is synthesized by two completely independent reactions, and is commercialized as two separate polymers, in this case physically by melting and mixing only in the prepara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mixed

또한,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의 점착성 및 응집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해 교시된 바에 따라, 이 접착제는 비정질-폴리-알파-올레핀(APAO)을 2개의 폴리부텐-1의 전체 수준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상당히 많은 양(30중량%)으로 포함한다.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tack and cohesiveness of th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aught by the prior art, this adhesive is formulated to contain an amorphous-poly-alpha-olefin (APAO) with an overall level of two polybutene-1s. It contains a significantly higher amount (30% by weight) in excess of the level.

모두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2개의 상이한 폴리부텐-1의 본 발명의 물리적 혼합물의 상온에서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열악하고 정성적으로 부적절한 결정화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기술은 매우 높은 수준의 결정화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상당히 많은 양(19.5중량%)으로 더 첨가하는 것을 교시하며, 그 목적은 핵제 및 결정화 중심으로서 작용하여, 치글러-나타 타입의 본 발명의 2개의 폴리부텐-1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불충분하고 정성적으로 부적절한 결정화를 촉진시키고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ameliorate the poor and qualitatively inadequate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at room temperature of the physical m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wo different polybutene-1s all synthesized with Ziegler-Natta catalyst, the prior art has developed a very high level of It is taught to further add a polypropylene wax having a degree of crystallinity in a significantly higher amount (19.5% by weight), the purpose of which is to act as a nucleating agent and a center of crystallization, so that To promote and ameliorate insufficient and qualitatively inadequate crystallization delayed over time.

그러나, 이러한 다량의 결정질 왁스의 도입은 여러가지 추가적인 단점을 야기하는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접착제의 오픈 타임이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수준으로 하락하고, 이 경우에는 불과 40초로 낮으므로, 훨씬 더 긴 오픈 타임을 필요로 하는 매우 다양한 공정에서 이 접착제의 적용을 어렵게 만든다. 핫멜트 접착제 과학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결정질 왁스의 이러한 다량의 첨가는 접착제 자체가 너무 단단하고 훨씬 덜 점착성이 있게 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다른 결점을 발생시킨다.However, the introduction of such a large amount of crystalline wax leads to several additional disadvantages: for example, the open time of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drops to an unacceptably low level, in this case as low as only 40 seconds, so much This makes the application of this adhesive difficult in a wide variety of processes that require longer open times. As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of hot melt adhesive science, the addition of such large amounts of crystalline wax makes the adhesive itself too hard and much less tacky, resulting in other drawback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높은 점도 및 높은 분자량의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에 기초한 비교예 1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실제로 핫멜트 접착제로 사용하기에는 훨씬 더 심각한 단점을 나타낸다.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based on polybutene-1 of the Ziegler-Natta type of high viscosity and high molecular weight actually exhibits a much more serious disadvantage for use as a hot melt adhesive.

예를 들면, 링 앤드 볼 연화점은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으며, 156.8℃로 높고; 이러한 사실은 이 과학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170℃에서 9,660mPa.s인 매우 높은 점도와 연관된 이러한 사실은, 비교예 1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이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므로, 특히 너무 높은 온도에서 적용된 접착제에 의해 즉시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도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올레핀 부직포와 같은 몇몇 감열성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예를 들면 흡수성 위생 용품과 같은 공정 및 용품에 있어서, 이러한 핫멜트 접착제를 올바른 방법으로 처리하고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잘 말해준다.For example, the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is unacceptably high, as high as 156.8°C; This fact, which is associated with a very high viscosity of 9,660 mPa.s at 170° C., as will be clear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makes it essential to use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especially at too high a temperature. In processes and articles such as, for example, absorbent hygiene products, which contain some heat sensitive components such as polyethylene films and polyolefin nonwovens which may be immediately damaged or destroyed by the applied adhesive, such hot melt adhesives are treated in a correct way and It speaks well of how difficult it is to apply.

상술의 접착제의 매우 어려운 상기 가공성은 분무 및 섬유화와 같은 높은 속도 및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가장 중요한 공정에서 더욱 어렵다. 실제로, 매우 높은 점도의 본 발명의 접착제는 이들 두 가지 공정에 의해 처리될 수 없다.The very difficult processability of the above adhesive is even more difficult in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at high rates and high shear rates, such as spraying and fiberizing. In practice, the very high viscosity adhes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processed by these two processes.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의 우수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을 훨씬 충족시키지 못한다: 실제로, 165℃에서 10Pa인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는 점성 계수(G")의 값은 133Pa로 낮으며, 따라서 탄 델타는 13.3으로, 고온에서 용융된 핫멜트 접착제에 사용하기에 매우 낮으며, 매우 열악한 유동성 및 분무되기 불가능함을 명확하게 나타낸다.For example, it does not meet the rheological criteria for good sprayability of hot melt adhesives: in fact, the value of the modulus of viscosity (G")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modulus of elasticity (G') of 10 Pa at 165°C is 133 Pa. It is low and therefore has a tan delta of 13.3, which is very low for use in hot melt adhesives melted at high temperatures, clearly indicating very poor flowability and inability to spray.

분무보다 덜 중요한 적용 공정에서도, 이러한 접착제의 가공성은 어떠한 경우라도 매우 열악하다. 예를 들면, 최고의 압출을 위한 최상의 조건을 찾기 위해 160℃~170℃에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250m/분의 비교적 낮은 속도로 슬롯 다이 압출법에 의해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코팅했으며; 상기 접착제로 코팅된 필름의 샘플을 얻을 수 있었던 경우라도(다른 3개의 비교예의 포뮬레이션에서 관찰된 바와 상이함-이하 참조), 필름 상에 코팅된 접착제층의 품질은 모든 경우에 규칙성 및 균일성에 대해 만족스럽지 않다. Even in application processes less critical than spraying, the processability of these adhesives is in any case very poor. For example, coating on a polyethylene film by slot die extrusion at a relatively low speed of 250 m/min while varying the temperature from 160° C. to 170° C. to find the best conditions for the best extrusion; Even if it was possible to obtain a sample of the adhesive-coated film (different from that observed in the formulations of the other three comparative examples - see below), the quality of the adhesive layer coated on the film was in all cases regular and uniform. dissatisfied with sex

비교예 1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높은 점도의 구형 폴리부텐-1에 기초한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APAO로서 Rextac 2715와 같은 매우 많은 양의 비정질 폴리머를 포함한다는 사실은, 실온에서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매우 낮은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The fact that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is based on high viscosity spherical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as well as the fact that it contains a very large amount of an amorphous polymer such as Rextac 2715 as APAO, is affects the very low effectiveness of crystallization, which is delayed over time in

우선, 이러한 사실은 23℃에서 방치하는 동안에 물리적 특성의 값 및 경시에 따른 변화로부터 명백하다.First of all, this fact is evident from the values of physical properties and changes with time during standing at 23°C.

예를 들면, 0시간에서 파단 인장 응력은 3.18MPa이고; 즉, 이미 0시간에서 비교예 1의 포뮬레이션은 매우 단단한 고체여서 양호한 접착제로서 작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For example,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t 0 hours is 3.18 MPa; That is, already at time 0, th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is a very hard solid, so it may be difficult to act as a good adhesive.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 23℃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은 약간 증가하는데, 이는 본원에 포함되는 두 가지의 폴리부텐-1의 지연되는 결정화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결정화는 너무 비효율적이며, 품질이 열악하고, 다량의 비정질 폴리머 APAO에 의해 방해받게 되어, 5일 후의 파단 인장 응력이 단지 4.40MPa로 증가하여 증가율은 38.4%이다.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t 23° C. increases slightly, due to delayed crystallization of the two polybutene-1s included herein. However, the crystallization is too inefficient, the quality is poor, and it is hampered by a large amount of amorphous polymer APAO, so that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fter 5 days increases to only 4.40 MPa, with an increase rate of 38.4%.

마찬가지로, 23℃에서의 파단 연신율의 값은 0시간에서 220%로 매우 낮고,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193%로 변화되는 매우 작은 변화량을 나타내며, 경시 변화량(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14%로 작다. Similarly, the value of the elongation at break at 23 ° C. is very low, from 0 hour to 220%, and shows a very small amount of change that changes to 193% after being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and the amount of change with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n the 5th day) ) is as small as 14%.

동일한 현상이 실온에서의 경시에 따른 유변학적 파라미터의 경향에 의해 더욱 잘 나타내어진다.The same phenomenon is better represented by the trend of the rheological parameters over time at room temperature.

예를 들면, 비교예 1의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23℃ 및 1Hz 주파수에서의 탄성 계수(G')는 0시간에서 1.28MPa의 매우 높은 값을 가지므로, 이 물질은 처음부터 매우 단단하고 점착성이 거의 없는 접착제이며, 단지 40초의 매우 짧은 오픈 타임으로 인해 양호하고 단단한 초기 접착 접합을 형성할 수 없는 것이 확인된다.For example, the modulus of elasticity (G') at 23° C. and 1 Hz frequency of the hot melt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a very high value of 1.28 MPa at 0 hours, so this material is very hard from the beginning and has almost no adhesivenes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adhesive, and it is not possible to form a good and hard initial adhesive bond due to the very short open time of only 40 seconds.

이것은 파라미터 탄 델타의 값에 의해 더욱 잘 재확인되며, 23℃ 및 여전히 1Hz의 주파수에서 0시간에서의 탄 델타의 값이 거의 0.276로 매우 낮으며, 이것은 이 접착제가 열악하게 유동하여 기재를 습윤시키는 것을 잘 나타내고 있으므로, 양호한 초기 접착 접합을 형성할 수 없다.This is further confirmed by the value of the parameter tan delta, which is very low with a value of tan delta at 0 hours at 23° C. and still at a frequency of 1 Hz, almost 0.276, which prevents this adhesive from flowing poorly and wetting the substrate. Because it is well shown, a good initial adhesive bonding cannot be formed.

또한, 비효율적인 지연되는 결정화로 인해, 이들 유변학적 파라미터의 경시에 따른 변화는 비교적 작다. 예를 들면, 23℃ 및 1Hz에서, 실온에서 5일 후의 탄성 계수(G')는 26.4MPa로 증가하고; 반면에 파라미터 탄 델타는 0.219의 값으로 더욱 감소된다. 따라서, G'는 1,962%의 증가율을 나타내며, 탄 델타는 26%로 낮은 경시 변화량(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change over time of these rheological parameters is relatively small due to inefficient delayed crystallization. For example, at 23° C. and 1 Hz, the elastic modulus (G′) after 5 days at room temperature increases to 26.4 MPa; On the other hand, the parameter tan delta is further reduced to a value of 0.219. Therefore, G' represents an increase rate of 1,962%, and tan delta represents a low amount of change with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n day 5) of 26%.

상술의 변화량은 백분율로 환산했을 때, 특히 탄성 계수(G')의 변화량은 현저하게 여겨질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change amount is converted into a percentage, in particular, the change amount of the elastic modulus (G') can be considered significant.

그러나, 이들 변화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포뮬레이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과 등가의 변화량보다 현저히 낮음과 아울러, 과도한 점도, 부적당한 가공성, 초기 순간 이후의 경도, 열악한 습윤성 및 기판 상에서의 유동성으로 인해, 비교예 1의 핫멜트 포뮬레이션이 기재와 형성할 수 있는 초기 접착 접합의 열악한 품질이 접착제와 기판 사이의 친밀하고 양호한 접촉을 이룰 수 없으므로, 탄성 계수(G')의 증가 또는 탄 델타를 감소시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없으며, 실질적으로 긍정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없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접착제의 초기 거동에 있어서 상술한 결점으로 인해 "사용 불가능"하다.However, these change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mounts of change equivalent to those exhibited by adhesiv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due to excessive viscosity, inadequate processability, hardness after the initial moment, poor wettability and flowability on the substrate, compared Since the poor quality of the initial adhesive bond that the hot melt formulation of Example 1 can form with the substrate cannot achieve an intimate, good contact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substrate, the strength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modulus of elasticity (G') or reducing the tan delta. It cannot be increased, nor can it be effected in a substantially positive way, and consequently it is "unusable" due to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in the initial behavior of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포뮬레이션에 포함되는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폴리부텐-1의 정성 및 정량 모두에서의 불만족스러운 결정화로 인해, 비교예 1의 포뮬레이션의 니들 침투력도 비교적 적게 변화된다. 실제로, 23℃에서 처음에 6dmm로 낮은 니들 침투력(이 포뮬레이션이 매우 단단하고 매우 적은 점착성이 있는 성분임을 확인함)은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3dmm로 변화된다. 이 값은 형식적으로 백분율로 100% 낮지만(5일 후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 절대값으로는 3dmm 정도로 유효하지 않은 변화량이며, 실질적으로 완전히 무시할만한 수준이다.Due to unsatisfactory crystallization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rms of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the Ziegler-Natta catalyst included in the formulation, the needle penetration power of th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is also changed relatively little. In fact, needle penetration as low as 6 dmm initially at 23°C (confirming that this formulation is a very hard and very little tacky ingredient) changes to 3 dmm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Although this value is formally 100% low as a percentag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after 5 days), it is an invalid change of 3dmm in absolute value, and is practically completely negligibl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이하의 비교예의 핫멜트 접착제는 시판의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폴리부텐-1 및 종래 기술의 교시에 따라 제조되었다. The hot melt adhesive of the comparative example below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prior art and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Ziegler-Natta catalyst.

그 예외적으로 높은 점도로 인해, 이하에 나타내는 접착제는 185℃에서의 용융-혼합에 의해 제조되었다.Due to their exceptionally high viscosity, the adhesives shown below were prepared by melt-mixing at 185°C.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6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6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교시에 따라, 2개의 상이한 시판의 폴리부텐-1이 사용되며, 모두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되고, 핫멜트 접착제가 제조되는 순간에 용융 상태에서 함께 물리적으로 혼합되었다. 이들 폴리부텐-1은 부텐-1 및 약 6%의 에틸렌의 코폴리머, 및 폴리부텐-1의 호모 폴리머를 60:40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Again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prior art, two different commercially available polybutene-1s are used, all synthesized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and physically mixed together in the molten state at the moment the hot melt adhesive is prepared. These polybutene-1 were mixed with butene-1 and a copolymer of about 6% ethylene, and a homopolymer of polybutene-1 in a weight ratio of 60:40.

종래 기술의 이 교시에 따르면, 산화방지제 이외에 유일한 추가 성분은 수소화된 탄화수소 점착제 수지이다.According to this teaching of the prior art, the only additional component other than the antioxidant is a hydrogenated hydrocarbon tackifier resin.

비교예 2의 핫멜트 접착제는 이전의 비교예 1보다 훨씬 더 많은 결점, 특히 매우 높은 점도, 저속 및 고속의 공정 모두에서 매우 열악한 가공성, 불량한 유변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양호한 핫멜트 접착제로서 작용할 수 없다.The hot melt adhesive of Comparative Example 2 exhibits much more drawbacks than the previous Comparative Example 1, particularly very high viscosity, very poor processability in both low and high speed processes, and poor rheological properties, and thus cannot act as a good hot melt adhesive.

또한,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2개의 폴리부텐-1의 물리적 혼합의 비효율적인 결정화로 인해, 경시에 따른 특성의 변화가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In addition, due to the inefficient crystallization of the physical mixing of the two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the Ziegler-Natta catalyst, the change in properties with time is not completely satisfactory.

예를 들면, 링 앤드 볼 연화점은 112.8℃로 높고;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 상태에서의 점도는 170℃에서 50,200mPa.s로 놀랄만큼 높았다. For example, the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is as high as 112.8°C; The viscosity in the molten state of the hot melt adhesive was surprisingly high at 170° C., 50,200 mPa·s.

이들 두 가지 파라미터는 모두 비교예 2에 따른 접착제가 매우 어려운 가공성을 갖고, 무엇보다도 감열성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플라스틱 필름 및 폴리올레핀 부직포와 같은 흡수성 위생 용품과 같은 용품의 제조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Both of these parameters make the adhesiv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to have very difficult processability and, above all, to be absolutely used in the production of articles such as absorbent hygiene articles such as polyolefin plastic films and polyolefin nonwoven fabrics comprising heat-sensitive components. It tells you what's not right.

명백하게,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접착제는 특히 분무 및 섬유화와 같은 고속 공정에서 완전히 가공될 수 없으며, 실제로 예를 들면 165℃에서 10Pa인 그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는 비교예 2의 핫멜트 접착제의 점성 계수(G")는 105Pa로 매우 낮으며; 즉, 165℃에서의 용융 상태의 탄 델타는 단지 10.5에 불과하여 핫멜트 접착제의 우수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을 크게 충족시키지 않는다.Obviously,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se physical properties cannot be fully processed, especially in high-speed processes such as spraying and fiberizing, in practice, for example, a comparative example corresponding to a value of its elastic modulus (G') of 10 Pa at 165° C. The viscosity modulus (G") of the hot melt adhesive of 2 is very low, 105 Pa; that is, the tan delta in the molten state at 165 °C is only 10.5, which does not significantly meet the rheological criterion for good sprayability of the hot melt adhesive. does not

점도가 매우 높고 유변학적 특성이 열악하기 때문에, 분무보다 덜 영향을 받는 공정, 예를 들면 슬롯-다이 압출에 의해서도 가공할 수 없다. 실제로, 250미터/분의 비교적 낮은 속도에서도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접착제를 코팅하여 압출하려는 모든 시도는 실패했으며, 155℃~170℃ 사이의 온도로 변경한 경우에도 실패했다.Due to their very high viscosity and poor rheological properties, they cannot be processed even by processes less affected than spraying, such as slot-die extrusion. Indeed, even at a relatively low speed of 250 meters/min, all attempts to extrude by coating an adhesive on a polyethylene film have failed, even when changing the temperature between 155°C and 170°C.

또한, 단지 110초인 매우 짧은 오픈 타임, 즉 이 접착제가 기판을 접착하여 접합할 수 있는 시간인 경우라도, 비교예 2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훨씬 긴 오픈 타임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 공정에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불가능한지를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very short open time of only 110 seconds, i.e., the time this adhesive can bond and bond the substrates, how much is it to use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in various industrial processes that require a much longer open time? indicates that it is impossible.

0시간에서, 23℃에서의 접착제의 파단 인장 응력은 0.34MPa로 상대적으로 높고; 그 파단 연신율은 2,640%이다. 그러므로, 이 접착제는 비교적 탄성이 있는 성분이지만, 양호한 접착제로 작용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At 0 hours, the tensile stress at break of the adhesive at 23° C. is relatively high as 0.34 MPa; The elongation at break is 2,640%. Therefore, although this adhesive is a relatively resilient component, it can be difficult to act as a good adhesive.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 실온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은 6.59MPa로 증가하여, 즉 증가율이 1,838%이고; 파단 연신율은 247%로 감소하여, 변화율(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이 969%이다.After standing at 23 DEG C for 5 days,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t room temperature increased to 6.59 MPa, that is, the increase rate was 1,838%; Elongation at break is reduced to 247%, resulting in a rate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day 5 values) of 969%.

이들 변화값은 높은 값을 나타낼 수 있지만,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포뮬레이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등가물의 변화값보다 현저하게 더 나쁜 것 외에도, 사실상 이전의 비교예 1에서 이미 명백한 바와 같이, 물리적 특성의 경시 변화는 이론상 본 발명의 접착제가 기판을 습윤시키는 능력이 약하고 0시간 이후로 강력하게 접착하는 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초기부터 실질적으로 약한 접착 접합을 광범위로 강한 접촉에 의해 개선시키는데에 전혀 효과적이지 않다. These values of change may represent high values, but in fact, in addition to markedly worse than the values of change of equivalents exhibited by th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fact, as already evident in the previous Comparative Example 1, the aging of the physical properties The change is not at all effective in improving by broadly strong contact a substantially weak adhesive bond from the outset, since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 theory, a weak ability to wet the substrate and a weak ability to adhere strongly after 0 hours.

핫멜트 접착제 과학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명확한 바와 같이, 이러한 사실은 용융 상태(상기 참조)뿐만 아니라 상온에서도, 본 발명의 접착제의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할 때에 23℃에서 방치하여 이들 유변학적 특성의 경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더욱 분명해진다. As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hot melt adhesive science, this fact is evident not only in the molten state (see above), but also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vestigated with the lapse of these rheological properties by standing at 23° C. It becomes clearer by analyzing the change.

0시간에서, 상술의 접착제는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탄성 계수(G')가4.915MPa로 상당한 값이고, 반면에 탄 델타는 단지 0.57이다. 이들 값은 비교예 2의 포뮬레이션이 초기부터 매우 단단하고 거의 점착성이 없는 접착제이며, 기재에 대해 양호한 습윤력 및 양호한 접착력이 열악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At time 0, the above-mentioned adhesive has a significant value of elastic modulus (G') of 4.915 MPa at 23° C. and a frequency of 1 Hz, whereas the tan delta is only 0.57. These values indicate that th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is an adhesive that is initially very hard and hardly tacky, and has poor good wetting and good adhesion to the substrate.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23℃ 및 1Hz에서의 탄성 계수(G')의 값이 20.58MPa이며, 319% 미만의 비교적 제한된 증가율을 갖고; 또한 23℃ 및 1Hz에서의 탄 델타의 값은 0.447이며, 그 변화율(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27.5%에 불과하여 무시할만한 수준이다.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G') at 23° C. and 1 Hz is 20.58 MPa, with a relatively limited increase rate of less than 319%; In addition, the value of tan delta at 23° C. and 1 Hz is 0.447, and the rate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n the 5th day) is only 27.5%, which is negligible.

주요 유변학적 파라미터의 이들 두 가지의 변화율은 모두 비교예 2의 포뮬레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효과가 거의 없음을 잘 나타낸다.Both rates of change of these two major rheological parameters well indicate that there is little effect of crystallization delayed over time that can occur in th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또한, 초기 경도 및 경시에 따른 특성의 불충분한 변화는 이 접착제의 23℃에서의 니들 침투력의 변화값에서도 명백하다. 니들 침투력은 0시간에서 3dmm(매우 단단하고 점착성이 전혀 없는 접착제를 나타내는 값)이며,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도 어떠한 변형없이 여전히 3dmm로 유지된다.In addition, insufficient changes in initial hardness and properties with time are also evident in the value of change in needle penetration force at 23 DEG C of this adhesive. The needle penetration force was 3dmm at 0 hours (a value indicating a very hard and non-stick adhesive), and after 5 days at room temperature, it was still maintained at 3dmm without any deformation.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이하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핫멜트 접착제는, 종래 기술의 교시에 따라 185℃에서 용융 혼합하고, 시판되는 치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한 폴리부텐-1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The hot melt adhesive of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below was melt-mixed at 185° C.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prior art, and was prepa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olybutene-1 using a Ziegler-Natta catalyst.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7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7

2개의 폴리부텐-1의 물리적 혼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이전의 비교예 및 종래 기술에 의해 교시된 바에 따르면, 비교예 3은 종래 기술의 교시 및 성분에 따라, 유일한 폴리머 구성요소로서, 치글러-나타 타입의 부텐-1과 에틸렌의 하나의 코폴리머를 높은 분자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제조한다. Given the above unsatisfactory results obtained from the physical mixing of the two polybutene-1s, as taught by the previous comparative examples and prior art, Comparative Example 3,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and components of the prior art, is the only polymer composition An adhesive formulation is prepared by using, as a component, one copolymer of butene-1 and ethylene of the Ziegler-Natta type with a high molecular weight.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가소제의 역할로 사용되는 액체 폴리-이소-부틸렌은 폴리부텐-1과는 화학적 및 구조적 관점 모두에서 완전히 상이한 물질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It is noteworthy to emphasize that, as already mentioned, the liquid poly-iso-butylene used in the role of plasticizer herein is a completely different material, both from a chemical and structural point of view, from polybutene-1.

모든 성분이 낮은 분자량 및 낮은 점도인 다량의 가소제, 왁스 및 점착제 수지를 첨가함에도 불구하고, 상술의 포뮬레이션의 용융 상태에서의 전체 점도는 170℃에서 15,370mPa.s로 지나치게 높게 유지되고, 링 앤드 볼 연화점은 157℃로 매우 높다.Despite the addition of large amounts of plasticizers, waxes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s, all components of which are low molecular weight and low viscosity, the overall viscosity in the molten state of the above formulation remains too high at 15,370 mPa·s at 170°C, and the ring and end The ball softening point is very high at 157°C.

이러한 높은 점도를 갖는 물질로부터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이 165℃에서 10Pa인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는 비교예 3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점성 계수(G")의 값은 단지 163Pa이고; 또는 그 탄 델타의 값이 16.3으로 낮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않다. As can be expected from a material with such a high viscosity, the rheological criterion for good sprayability is the viscous modulus of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 The value of G") is only 163 Pa; or it is not satisfactory because the value of its tan delta is as low as 16.3.

따라서, 우수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은 완전히 충족되지 않으며; 실제로 160℃~170℃의 온도에서의 분무에 의해 적용하는 모든 시도가 실패했다.Therefore, the rheological criterion for good sprayability is not fully met; Virtually all attempts to apply by spraying at a temperature of 160°C to 170°C have failed.

이전의 비교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예의 포뮬레이션은 분무보다 덜 영향을 받는 적용 공정에 의해서도 가공될 수 없다. 또한, 이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필름 상의 접착 코팅제로서 이 포뮬레이션을 250m/분의 비교적 낮은 속도로 160℃~170℃의 온도에서 슬롯 다이에 의해 압출하려고 시도했지만; 본 경우에서도 모든 시도는 실패했다. As was the case with the previous comparative examples, the inventive comparative formulations cannot be processed by an application process less affected than spraying. Also, in this case, an attempt was made to extrude this formulation as an adhesive coating on a polyethylene film by a slot die at a temperature of 160° C. to 170° C. at a relatively low speed of 250 m/min; In this case, all attempts were unsuccessful.

또한, 오픈 타임도 지나치게 짧아서 단지 60초이며, 이러한 사실은 이 접착제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기재와의 초기 접촉 이후에 양호하고 강한 접착 접합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시켜준다.Also, the open time is too short, only 60 seconds, confirming the difficulty in forming a good and strong adhesive bond after initial contact with the substrate in applying this adhesive.

또한, 물리적 특성은 매우 단단하고 점착성이 거의 없으며: 실제로 23℃에서의 접착제의 파단 인장 응력은 0시간에서 3.94MPa로 놀랄만큼 높은 값이며, 초기의 파단시 연신율은 420%로 낮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are very hard and hardly tacky: in fact, the tensile stress at break of the adhesive at 23° C. is a surprisingly high value of 3.94 MPa at 0 hours, and the initial elongation at break is as low as 420%.

상기 접착제의 이들 물리적 특성의 경시 변화는 작고,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에 기초한 이 포뮬레이션에서 정량 및 정성의 모든 관점에서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가 불충분하게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The change with time of thes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is small, indicating that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in all respec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 this formulation based on polybutene-1 of the Ziegler-Natta type insufficiently occurs.

실제로,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 상온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은 4.15MPa로 증가하며, 증가율은 5%로 작다. 대조적으로, 파단시 연신율의 값은 240%로 감소하며, 감소율(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단지 75%이다.In fact,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t room temperature increases to 4.15 MPa, and the increase rate is as small as 5%. In contrast, the value of elongation at break decreases to 240%, and the rate of decreas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at day 5) is only 75%.

또한, 유변학적 파라미터는 접착제로서, 특히 비교예 3의 핫멜트 포뮬레이션의 경시적으로 결정화되는 접착제로서의 부족한 특성을 확인시킨다.In addition, the rheological parameters confirm the poor properties of an adhesive, particularly as an adhesive that crystallizes over time of the hot melt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실제로, 실온 및 1Hz의 주파수에서 이미 0시간에서 접착제의 경도에 직접 비례하는 탄성 계수(G')는 2,89MPa로 매우 높은 값을 갖고;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파라미터 탄 델타의 값은 0.238로 낮다.In fact, the elastic modulus (G'), which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hardness of the adhesive at room temperature and at a frequency of 1 Hz already at 0 hours, has a very high value of 2,89 MPa; Also,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value of the parameter tan delta is as low as 0.238.

본 명세서에 포함된 치글러-나타 폴리부텐-1의 경시에 따른 열악한 결정화로 인해, 결정화 핵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왁스가 다량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23℃에서 5일 후, 실온 및 1Hz에서의 탄성 계수(G')는 단지 2.94MPa로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1.7%로 낮았다.Due to the poor crystallization over time of Ziegler-Natta polybutene-1 contained herein, elasticity at room temperature and 1 Hz after 5 days at 23° C., despite the presence of a large amount of polypropylene wax acting as a crystallization nucleating agent The modulus (G') increased only to 2.94 MPa, and the rate of increase was as low as 1.7%.

이 때,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파라미터 탄 델타는 0.127로 감소했으며, 변화율(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87.4%였다.At this time, the parameter tan delta meas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decreased to 0.127, and the rate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n day 5) was 87.4%.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접착제의 과도한 초기 경도로 인해, 23℃에서의 니들 침투력은 0시간에서 6dmm로 매우 낮은 값이고,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5dmm이며, 이는 절대적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무시할만한 변화량이다. Likewise, due to the excessive initial hardness of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penetration force at 23° C. is a very low value from 0 hours to 6 dmm, and 5 dmm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which is a practically negligible change in absolute terms. .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이하의 비교예의 핫멜트 접착제는 170℃에서 용융 혼합하고,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되는 시판의 폴리부텐-1 및 종래 기술에 따른 성분 및 교시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The hot melt adhesive of Comparative Example below was prepared by melt-mixing at 170° C. an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and components and teaching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8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8

이전의 비교예에서 강조된 주요 단점은 지나치게 높은 점도로 인해 가공성이 불량하고, 경시에 따른 접착제의 결정화가 만족스럽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예 4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종래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교시된 바와 비교해서 매우 낮은 점도로 포뮬레이팅되었다.The main disadvantages highlighted in the previous comparative examples were poor processability due to excessively high viscosity and unsatisfactory crystallization of the adhesive over time, so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was compared to that generally taught by the prior art. Formulated with very low viscosity.

이러한 목적은 다량의 가소제 및 점착제 수지를 모두 낮은 분자량에서 조합시킨 치글러-나타 촉매에 의해 합성된 부텐-1과 에틸렌의 코폴리머를 특히 낮은 함유율로 사용함으로써 달성되었다.This object was achieved by using a copolymer of butene-1 and ethylene synthesized by a Ziegler-Natta catalyst in which a large amount of both a plasticiz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were combined at a low molecular weight in a particularly low content.

실제로, 비교예 4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몇몇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일부 최적의 특징과 조금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Indeed, some parameters of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appeared to be slightly more similar to some optimal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170℃에서의 점도는 2,650mPa.s로 이전의 모든 비교예의 것보다 훨씬 낮으며; 링 앤드 볼 연화점도 77℃로 낮다.For example, the viscosity at 170° C. is 2,650 mPa·s, which is much lower than that of all previous comparative examples; The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is also as low as 77°C.

오픈 타임도 15분으로 이전의 비교예보다 훨씬 길지만, 이러한 값은 훨씬 더 긴 오픈 타임을 요구하는 다양한 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에 대해 양호한 가공성을 부여하기에는 불충분하다. Although the open time is also much longer than the previous comparative example at 15 minutes, this value is insufficient to give good processability to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processes requiring a much longer open time.

그러나, 매우 낮은 점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점도와 유사한 비교예 4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본질적으로 매우 높은 분자량으로 함유되는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로 인해- 분무로 처리될 수 없고; 155℃~170℃에서 행해진 모든 시도는 실패했다. 이것은 유변학적 파라미터에 의해서도 확인되며: 실제로 165℃에서, 10Pa인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는 점성 계수(G")의 값은 180Pa로 낮고, 즉 탄 델타의 값은 단지 18이며, 따라서 허용 가능한 분무성에 대한 유변학적 기준의 최소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However, despite the very low viscosity,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similar to that of the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due to the Ziegler-Natta type of polybutene-1 contained essentially at a very high molecular weight - by spraying cannot be processed; All attempts made at 155° C. to 170° C. were unsuccessful. This is also confirmed by the rheological parameters: indeed at 165° C., the value of the viscous modulus (G")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G') of 10 Pa is as low as 180 Pa, i.e. the value of tan delta is only 18, Therefore, it does not meet the minimum requirements of the rheological criteria for acceptable sprayability.

다소 놀랍게도, 특히 낮은 점도로 인해, 비교예 4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250m/분의 비교적 낮은 속도의 슬롯-다이 압출에 의해서도 매우 열악한 가공성을 나타내었다.Somewhat surprisingly, particularly due to the low viscosity,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exhibited very poor processability even with a slot-die extrusion at a relatively low speed of 250 m/min.

이 포뮬레이션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상에 155℃~165℃의 온도에서 점착제 코팅을 압출하려는 모든 시도는 실패했다.All attempts to extr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ating at a temperature of 155° C. to 165° C. onto a polyethylene film using this formulation have failed.

실제로, 이러한 매우 낮은 점도의 물질인 경우라도, 매우 불규칙하고 균일하지 않은 방식으로 압출 다이에서 가변 유동에 의해 압출되고, 이것은 진동을 발생시켜 유동 자체에 파동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압출된 접착제는 기재의 일부 영역에서만 큰 액적으로 모여지므로, 기재 사이에 양호하고 안정적인 접착 접합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된다.Indeed, even these very low viscosity materials are extruded by variable flow in the extrusion die in a very irregular and non-uniform manner, which generates vibrations and undulations in the flow itself. Because of thi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extruded adhesive collects as large droplets only in some areas of the substrate, and thus cannot impart a good and stable adhesive bond between the substrates.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높은 분자량 및 높은 점성을 갖는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폴리부텐-1 코폴리머는 "희석"이 불가피하며, 이러한 타입의 폴리머는 폴리부텐-1의 결정화로 인해 접착, 물리적 및 유변학적 특성의 경시에 따른 변화를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시키는 일 없이 낮은 분자량의 가소제 및 수지로 과도하게 희석된다.In addition, as used herein, polybutene-1 copolymer synthesized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having high molecular weight and high viscosity is "dilution" unavoidable, and this type of polymer adheres to polybutene-1 due to crystallization, It is over-diluted with low molecular weight plasticizers and resins without unacceptably aggravating the changes over time in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예를 들면, 상기 물리적 특성에 대해, 이 비교예의 접착제는 파단 인장 응력이 23℃에서 0.04MPa로 낮아 처음에 매우 부드럽고;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 코폴리머의 희소한 능력으로 인해, 충분히 견고하고 "완벽한" 결정화(특히, 접착제 점도를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는 희석된 조건에서)를 갖지만, 23℃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은 거의 0.56MPa에 불과하여 증가율이 1,300%로 불충분한 것을 나타낸다.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above physical properties, the adhesive of this comparative example has a breaking tensile stress of 0.04 MPa at 23° C., which is very soft at first; After standing for 5 days at room temperature, due to the scarce ability of the Ziegler-Natta type polybutene-1 copolymer, it is sufficiently robust and "perfect" crystallization (especially a dilution that can only be used to lower the adhesive viscosity to an acceptable level). condition), but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t 23° C. was only 0.56 MPa,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rate was insufficient at 1,300%.

본 발명의 접착제의 부드러움을 고려해 볼 때, 0시간에서의 파단 연신율은 4,040% 초과로 높으며, 이는 사용된 기기로 측정된 가장 높은 전체 범위 값을 초과하는 값이며; 본 발명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일부 포뮬레이션과 명백하게 유사하게 거동하는 것으로 보인다.Considering the softness of th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ongation at break at 0 hours is as high as more than 4,040%, which exceeds the highest full range value measured with the instrument used; It appears to behave apparently similarly to some formulations previously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희소한 효과로,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파단 연신율은 여전히 높아 1,000%이며, 따라서 경시에 따른 변화율(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단지 304%이다.However, due to the rare effect of crystallization delayed with time of the Ziegler-Natta type polybutene-1 used herein, after being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the elongation at break is still high and is 1,000%, and therefore, over time The rate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day 5 values) is only 304%.

상기 거동은 유변학적 파라미터의 값 및 실온에서의 방치에 대한 그들의 변화에서도 명백하다. 예를 들면, 0시간에서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비교예 4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점성 계수(G')의 값은 0.041MPa로 매우 낮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그 탄 델타의 값은 2.33이다.This behavior is also evident in the values of the rheological parameters and their changes on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at a frequency of 23° C. and 1 Hz at 0 hours, the value of the viscous modulus (G′) of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is very low as 0.041 MPa, and its tan delta value is 2.33 under the same conditions. .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탄 델타가 예기치 않게 큰 경시 변화를 갖는 경우에도, 5일 후에 실제로 0.739의 값을 가지므로, 그 변화율은(5일째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 약 215%이며, 실온에서의 탄성 계수(G')에 대해서는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그 값은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결정화로 인한 경화"를 직접 나타낸다. 실제로, 23℃에서 5일 후, 비교예 4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23℃ 및 1Hz에서의 탄성 계수의 값은 여전히 0.477MPa로 낮고; 따라서 그 변화율은 단지 1,063%으로 제한되어 있었다.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even if the tan delta has an unexpectedly large change with time, it actually has a value of 0.739 after 5 days, so the rate of chang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n day 5) is about 215%. , the same does not occur for the modulus of elasticity (G') at room temperature, the value directly representing the "cure due to crystallization" of the adhesive formulation. In fact, after 5 days at 23° C., the value of the elastic modulus at 23° C. and 1 Hz of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is still as low as 0.477 MPa; Therefore, the rate of change was limited to only 1,063%.

이는 비교예 4의 접착제 포뮬레이션이 0시간에서는 매우 부드러운 물질이지만,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부드러우며, 즉 본원에 포함되는 구형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는 형성된 결정의 정량 및 정성 모두의 관점에서 불만족스러운 것을 입증한다. This means that although the adhesiv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is a very soft material at 0 hours, it is substantially soft even with the lapse of time, that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spherical Ziegler-Natta type polybutene-1 included herein is delayed with time. It proves unsatisfactory in terms of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the crystals formed.

이는 본원에 사용된 치글러-나타 촉매로 합성된 높은 분자량의 폴리부텐-1의 결정화도의 본질적으로 열등한 특성뿐만 아니라; 전체 용융 점도를 낮추기 위해 본원에 첨가되는 낮은 분자량의 다량의 가소제 및 수지에 의한 과도한 희석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는 이 타입의 치글러-나타 폴리부텐-1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이미 열악한 품질 특성을 더욱 악화시킨다.This is due to the inherently inferior properties of the crystallinity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polybutene-1 synthesized with the Ziegler-Natta catalyst as used herein; This occurs because of excessive dilution by the resin and large amounts of low molecular weight plasticizers added here to lower the overall melt viscosity, which is the already poor quality characteristic of the time-delayed crystallization of this type of Ziegler-Natta polybutene-1. further aggravate

23℃에서의 니들 침투력은 0시간에서의 값이 119dmm이고,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도 여전히 22dmm의 비교적 높은 값에 도달하며, 경시에 따른 변화율(5일째에서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됨)은 441%이다.The needle penetration force at 23 ° C is 119 dmm at 0 hours, and even after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it still reaches a relatively high value of 22 dmm, and the rate of change with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at day 5) is 441%.

접착제 특성의 실시예Examples of adhesive properties

표 2, 3 및 4에서는 0시간 및 23℃ 및 상대 습도 50%에서 5일간 방치한 후 모두에서 상술한 바에 따라 측정된 접착제 파라미터인 박리 강도 및 전단 강도의 몇몇 값을 보고하고 있다. 이 값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실시예 모두 및 비교 예 중 하나에서 단지 슬롯-다이 압출에 의해서만 충분히 규칙적이고 균일하게 접착제를 가공 및 적용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Tables 2, 3 and 4 report some values of the adhesive parameters Peel Strength and Shear Strength, which are measured as described above, at 0 hours and after 5 days at 23° C. and 50% relative humidity, all measured as described above. This value reports that in all three examp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in on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it is possible to process and apply the adhesive sufficiently regularly and uniformly only by slot-die extrusion.

표 2 - 분무에 의해 제조된 샘플에 대한 박리 강도Table 2 - Peel Strength for Samples Prepared by Spraying

- 분무 온도 : 165℃ - Spray temperature: 165℃

- 라인 속도 : 250m/분 - Line speed: 250m/min

- 적용된 접착제의 평량 : 1.5g/㎡ - Basis weight of applied adhesive: 1.5g/㎡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9
Figure 112019012709384-pct00009

표 3 - 슬롯-다이 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샘플에 대한 박리 강도Table 3 - Peel Strength for Samples Made by Slot-Die Extrusion

- 압출 온도 : 165℃ - Extrusion temperature: 165℃

- 라인 속도 : 250m/분 - Line speed: 250m/min

- 적용된 접착제의 평량 : 1.5g/㎡- Basis weight of applied adhesive: 1.5g/㎡

Figure 112019012709384-pct00010
Figure 112019012709384-pct00010

분무 및 슬롯 다이 압출 모두에 의한 접착제 적용량이 단지 1,5g/㎡로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포뮬레이션은 의도된 용도, 예를 들면 흡수성 위생 용품에 적합한 박리 강도의 값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본원에 포함된 낮은 분자량의 상기 이소택틱 메탈로센 부텐-1 폴리머 조성물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최적의 결정화로 인해 실온에서의 단순한 방치에 의해 일어나는 경시에 따른 박리 강도 값의 상당한 증가를 나타낸다.Although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by both spraying and slot die extrusion is very small, only 1,5 g/m 2 , the formulations of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e values of peel strength suitable for their intended use, for example absorbent hygiene products. as well as indicating, among other things, the value of peel strength over time caused by simple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due to, among other things, the time-delayed optimal crystallization of the low molecular weight isotactic metallocene butene-1 polymer composition contained herein.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대조적으로, 높은 분자량 및 높은 점도의 구형 치글러-나타 타입의 폴리부텐-1에 기반한 비교예의 포뮬레이션은, 이 최신 적용 기술에 있어서 비교예 1을 제외하고, 250m/분의 비교적 낮은 속도에서도, 통상 분무 및 슬롯 다이 압출 모두에 의해 제대로 가공될 수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박리 강도가 낮으며 경시에 따른 어떠한 증가도 나타나지 않는다.In contrast, the formulation of the comparative example based on polybutene-1 of the spherical Ziegler-Natta type of high molecular weight and high viscosity, with the excep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in this state-of-the-art application technology, even at a relatively low speed of 250 m/min, It cannot be properly machined by both spraying and slot die extrusion.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peel strength is low and no increase with time is observed.

그런데, 최종 사용시에 중요하지 않더라도, 0시간에서의 박리 강도의 값은 분무에 의한 적용과 비교해서 슬롯-다이 압출에 의한 적용에서 더 크며, 이는 슬롯-다이 압출에 의한 적용의 경우에 필름의 밀착 접촉 및 습윤 및 부직포의 섬유들 사이의 부분적인 침투를 촉진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유변학적 특성 이외에, 추가적인 침투를 도움으로써 0시간에서도 접착력을 높이는 압출-헤드와의 물리적 접촉 및 압력 때문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However, although not critical at the end use, the value of peel strength at 0 hours is greater for application by slot-die extrusion compared to application by spraying, which indicates the adhesion of the film in the case of application by slot-die extrusion. In addition to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promote contact and wetting and partial penetration between the fibers of the nonwoven, it is clearly due to the physical contact and pressure with the extrusion-head which increases the adhesion even at zero hours by helping additional penetration. Needs to be.

표 4 - 수동 랩 코터로 제조된 샘플에 대한 전단 강도Table 4 - Shear Strength for Samples Made with Manual Lab Coater

- 170℃의 용융물로부터 수동 랩 코터로 적용- Apply with manual lab coater from melt at 170℃

- 접착제 적용량 : 50g/㎡- Adhesive application amount: 50g/㎡

- -

Figure 112019012709384-pct00011
Figure 112019012709384-pct00011

0시간~5일의 전단 강도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포뮬레이션의 경시적으로 지연되는 결정화의 현저한 효과를 특히 명백하게 나타낸다.The shear strength data from 0 hours to 5 days show particularly clearly the marked effect of the delayed crystallization over time of the formulations of the examp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따라서, 물리적 및 유변학적 파라미터로부터 이미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포뮬레이션은 0시간에서 낮은 점도의 매우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물질이므로, 40℃의 온도에서 1kg 이상 정도의 하중 하에, 특히 극심한 조건에서 전단 강도 테스트를 통과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5일간의 적당한 방치 후, 상기 접착제는 이러한 타입의 전단 강도 테스트를 12시간 초과로 견딜 수 있다.Thus, as can already be seen from the physical and rheological parameters, these formulations are very soft and tacky materials of low viscosity at 0 hours, and therefore shear under loads of the order of 1 kg or more at a temperature of 40° C., especially under extreme conditions. Although not suitable to pass the strength test, after 5 days of moderate standing, the adhesive can withstand this type of shear strength test for more than 12 hours.

대조적으로, 비교예의 포뮬레이션은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첫번째 그룹은 수동 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것과는 별개로, 모두 과도한 점성을 가진 물질이어서 가공성이 매우 어렵고 실제적으로 불가능한 3개의 비교예의 포뮬레이션의 첫번째 그룹이다.In contrast, the formulations of the comparative exampl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the first group of three comparative formulations, apart from using the manual wrap applicator, which are all extremely viscous materials and thus very difficult and practically impossible to process.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 볼 때, 0시간 이후 12시간에서의 전단 강도 테스트는 통과했지만; 경시적으로 더욱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는다.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shear strength test at 0 hours and 12 hours was passed; It does not show a more significant increase over time.

대조적으로, 비교예 4의 포뮬레이션은 치글러-나타 타입 폴리부텐-1을 사용하여 다량의 가소제 및 수지의 첨가에 의해 점도를 허용 가능한 수준까지 낮추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며, 0시간에서의 거동은 외관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포뮬레이션의 거동과 유사하지만; 이러한 치글러-나타 폴리부텐-1의 지연되는 결정화의 열악한 효과로 인해, 제시된 조건에서 5일간 방치된 이 물질의 전단 강도가 최대 2시간에 도달하게 된다.In contrast, the formulation of Comparative Example 4 describes a method for lowering the viscosity to an acceptable level by the addition of large amounts of plasticizer and resin using Ziegler-Natta type polybutene-1, and the behavior at 0 hours is seemingly similar to the behavior of the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ue to the poor effect of this delayed crystallization of Ziegler-Natta polybutene-1, the shear strength of this material left for 5 days under the given conditions reaches a maximum of 2 hours.

Claims (52)

a) 190℃에서 2.16kg의 중량 하에 측정된 용융 유속(MFR)이 400~2,000g/10분의 범위이고,
A) 3개 이상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알파-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모노머를 갖고,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CA)이 5몰% 이하인 이소택틱 부텐-1 호모폴리머 또는 부텐-1 이소택틱 코폴리머,
B) 3개 이상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알파-올레핀 및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모노머를 갖고,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CB)이 6몰%~25몰%인 부텐-1 이소택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바이모달 조성물을 갖고,
공중합된 코모노머의 총 함유율이 A)와 B)의 합계를 기준으로 4몰%~18몰%인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 및
b)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점도 개질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a) a melt flow rate (MFR) measured at 190° C. under a weight of 2.16 kg in the range of 400 to 2,000 g/10 min;
A) an isotactic butene-1 homopolymer or butene-1 having at least one comonomer selected from ethylene and alpha-olefin having 3 or more carbon atoms, and having a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C A ) of 5 mol% or less isotactic copolymer,
B) butene-1 isotactic copolymer having at least one comonomer selected from ethylene and alpha-olefin having 3 or more carbon atoms and having a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C B ) of 6 mol% to 25 mol% Having a bimodal composition comprising
an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n which the total content of the copolymerized comonomer is 4 mol% to 18 mol% based on the sum of A) and B); and
b)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 A의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CA)이 4몰% 이하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n which the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C A ) of the copolymer A is 4 mol%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 B의 공중합된 코모노머 함유율(CB)이 8몰%~20몰%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copolymerized comonomer content (C B ) of the copolymer B is 8 mol% to 20 m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의 공중합된 코모노머의 총 함유율이 A)와 B)의 합계를 기준으로 5몰%~15몰%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he copolymerized comonomer of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5 mol% to 15 mol% based on the sum of A) and 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은 0℃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유율이 A)와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5중량%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has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n which the content of the xylene-soluble fraction at 0° C. is 65%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은 0℃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유율이 A)와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중량% 이하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has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content of the xylene-soluble fraction at 0° C. is 6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은 A)와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를 10중량%~40중량% 및 B)를 60중량%~90중량%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a hot melt adhesive foam comprising 10% to 40% by weight of A) and 60% to 90% by weight of B)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emul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은 A)와 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를 35중량%~65중량% 및 B)를 35중량%~65중량%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a hot melt adhesive fabric comprising 35 wt% to 65 wt% of A) and 35 wt% to 65 wt% of B)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 and B) em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은 10℃/분의 온도 스캐닝 램프로 측정된 ΔH TmII가 3~20J/g의 범위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has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ΔH TmII in the range of 3 to 20 J/g as measured by a temperature scanning ramp of 10° C./m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의 TmI가 60℃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TmI of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60° C. or hig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은 180℃에서 측정된 점도가 5,000~50,000mPa.s의 범위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viscosity in the range of 5,000 to 50,000 mPa.s measured at 180°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의 다분산도가 4 이하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polydispersity of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4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의 Mw값이 30,000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Mw value of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30,000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22℃ 이하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22° C.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의 황색도가 0 미만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herein the yellowness of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is less than 0.
제 1 항에 있어서,
170℃의 온도에서 측정된 브룩필드 점도가 5,000mPa·s 이하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Brookfield viscosity of 5,000 mPa·s or less, measured at a temperature of 170°C.
제 1 항에 있어서,
170℃에서 23℃로 냉각하여 응고시킨 후, 오픈 타임이 10분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ith an open time of 10 minutes or more after cooling from 170°C to 23°C to solidify.
제 1 항에 있어서,
링 앤드 볼 연화점이 120℃ 이하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ith a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of 120°C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은 상기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의 10중량%~85중량%를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constitutes 10 wt% to 85 wt%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는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나프텐계 미네랄 오일;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파라핀계 및 나프텐계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코폴리머로부터 유도되는 고체가 아닌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및 그 코폴리머의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올리고머; 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및 세바케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가소제; 식물성 오일; 천연 및 합성 지방;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Viscosity modifi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include paraffinic mineral oil; naphthenic mineral oil; paraffinic and naphthenic hydrocarbon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mixtures thereof; non-solid oligomers at room temperature of polyolefins and copolymers thereof selected from non-solid oligomers derived from ethylene, propylene, butene, iso-butylene, and copolymers thereof; plasticiz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formed from esters selected from phthalates, benzoates, and sebacates; vegetable oil; natural and synthetic fats; and mixtures thereof.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는 폴리프로필렌의 메탈로센 올리고머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의 메탈로센 올리고머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viscosity modifier that is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is a metallocene oligomer of polypropylene or a metallocene oligomer of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는 프로필렌의 주된 몰함유율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메탈로센 코폴리머이고, 연화점이 -30℃ 이하이고, 170℃에서의 점도가 300mPa.s 이하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non-solid viscosity modifier at room temperature is a propylene-ethylene metallocene copolymer having a major molar content of propylene, a softening point of -30°C or less, and a viscosity at 170°C of 300 mPa·s or less.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 또는 실온에서 고체가 아닌 점도 개질제의 혼합물은 상기 포뮬레이션의 5중량%~40중량%를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2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2,
wherein said mixture of viscosity modifi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or a mixture of viscosity modifiers that are not solid at room temperature constitute 5% to 40% by weight of said form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점착제 수지를 더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dhesive resin.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지방족/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폴리테르펜 및 개질된 테르펜 수지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로진, 그 에스테르 및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화된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is an aliphatic hydrocarbon resin and a derivative thereof partially or entirely hydrogenated; aromatic hydrocarbon resins and their partially or fully hydrogenated derivatives; aliphatic/aromatic hydrocarbon resins and their partially or fully hydrogenated derivatives; polyterpenes and modified terpene resins and derivatives of which part or all are hydrogenated; rosin, its esters and partially or fully hydrogenated derivatives; and mixtures thereof.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수지 또는 상기 점착제 수지의 혼합물의 링 앤드 볼 연화점이 80℃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26. The method of claim 24 or 25,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with a ring-and-ball softening point of 80° C. or high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or a mix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수지 또는 상기 점착제 수지의 혼합물은 상기 포뮬레이션의 15중량%~70중량%를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or a mix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constitutes 15% to 70% by weight of the formulation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5중량% 이하의 왁스를 더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further comprising up to 5% by weight wax.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프로필렌 왁스 또는 말레산 무수물로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왁스이고, 연화점이 120℃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29. The method of claim 28,
The wax is a polypropylene wax or a polypropylene wax modified with maleic anhydride, and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20° C. or hig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택틱 부텐-1 중합성 메탈로센 조성물 또는 그 구성요소 중 하나와 화학적으로 상이한 폴리머를 15중량% 이하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comprising 15 wt% or less of a polymer chemically different from the isotactic butene-1 polymerizable metallocene composition or one of its components.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반결정질 코폴리머,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코폴리머의 반결정질 폴리머 조성물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polymer is a semi-crystalline copolymer of propylene and ethylene, or a semi-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of a copolymer of polypropylene and propylene and ethylene.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헤테로상 모폴로지를 갖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said copolymer or said polymer composition has a heterophasic morphology.
제 1 항에 있어서,
모노모달 조성물을 갖고 190℃에서의 MFR가 200~2,000g/10분인 메탈로센 이소택틱 폴리부텐-1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15중량% 이하 더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monomodal composition and further comprising 15 wt% or less of a homopolymer or copolymer of metallocene isotactic polybutene-1 having an MFR of 200 to 2,000 g/10 min at 190°C.
제 1 항에 있어서,
165℃의 온도에서 10Pa인 탄성 계수(G')의 값에 대응하는 그 점성 계수(G")의 값은 200Pa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value of its viscous modulus (G") corresponding to a value of its modulus of elasticity (G') of 10 Pa at a temperature of 165° C. is at least 200 Pa.
제 1 항에 있어서,
170℃에서 23℃로 변하면서 용융 상태로부터 응고될 때에, 실온에서 그 응고로부터 120분 이하의 시간("0시간"으로서 규정됨)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이 0.25MPa 이하이고;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 23℃에서의 파단 인장 응력이 0.7MPa~2.5MPa이고,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0시간에서 측정된 동일한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적어도 1,500% 초과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When solidified from a molten state while changing from 170° C. to 23° C., the tensile stress at break at a time of 120 minutes or less (defined as “0 hour”) from its solidification at room temperature is 0.25 MPa or less;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tensile stress at break of 0.7 MPa to 2.5 MPa at 23° C.,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and in any case greater than at least 1,500% in percentage, based on the same parameters measured at 0 hours .
제 1 항에 있어서,
실온에서 0시간에의 파단 연신율이 절대값으로서 500% 이상이고;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 23℃에서의 파단 연신율이 절대값으로서 100%~700%이고,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5일 후의 값을 기준으로 계산된 백분율 변화값으로서, 0시간에 대한 백분율 변화값으로 백분율로 적어도 500% 미만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n elongation at break at room temperature of at least 500% in absolute value; After standing at 23°C for 5 days, the elongation at break at 23°C is 100% to 700% as an absolute value, and in any case, as a percentage change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after 5 days, the percentage relative to 0 hours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that is at least less than 500% by percentage change.
제 1 항에 있어서,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0시간에서의 탄성 계수(G')가 1MPa 이하이고;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탄성 계수(G')가 2MPa~10MPa이고,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0시간에서와 동일한 파라미터의 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적어도 2,000% 초과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modulus (G') at 0 hours at 23° C. and a frequency of 1 Hz is 1 MPa or less;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the elastic modulus (G′) measured at 23° C. and at a frequency of 1 Hz is 2 MPa to 10 MPa, and in any case, based on the values of the same parameters as at 0 hours, at least as a percentag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greater than 2,000%.
제 1 항에 있어서,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 0시간에서의 탄 델타가 0.25 이상이고;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 23℃ 및 1Hz의 주파수에서의 탄 델타가 0.1~0.4이고,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0시간에서의 값을 기준으로, 백분율로 적어도 100%의 감소를 나타내고, 상기 백분율의 감소는 5일째에서의 값에 대해 계산되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an delta at 0 hours at 23° C. and a frequency of 1 Hz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25; After standing at 23°C for 5 days, the tan delta at 23°C and at a frequency of 1 Hz is between 0.1 and 0.4, in any case showing a decrease of at least 100% in percentage, based on the value at 0 hours, wherein The percentage reduction is calculated relative to the value at day 5 of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23℃에서 0시간에서의 니들 침투력이 10dmm 이상이고;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 23℃에서의 니들 침투력이 3dmm~18dmm이고,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0시간에서의 값을 기준으로, 절대값으로서 적어도 10dmm의 변화값을 갖는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Needle penetration force at 0 hours at 23° C. is 10 dmm or more; A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having a needle penetration force of 3 dmm to 18 dmm at 23° C.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and in any case, a change value of at least 10 dmm as an absolute value, based on the value at 0 hours.
제 1 항에 있어서,
23℃ 및 상대 습도 50%에서 5일간 방치한 후, 박리 강도는 폭 50mm당 0.25N 이상이고, 또는 대안적으로 0시간에서 측정된 동일한 박리 강도에 대하여 5일째에서의 박리 강도의 증가율은 30%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fter standing for 5 days at 23° C. and 50% relative humidity, the peel strength is at least 0.25 N per 50 mm of width, or alternatively, for the same peel strength measured at 0 hours, the rate of increase in peel strength at day 5 is 30% More than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제 1 항에 있어서,
23℃ 및 상대 습도 50%에서 5일간 방치한 후, 전단 강도가 12시간 이상이고, 또는 대안적으로 0시간에서 측정된 동일한 전단 강도에 대하여 5일째에서의 전단 강도의 증가가 3시간 이상인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 hot melt adhesive having a shear strength of at least 12 hours after standing at 23° C. and 50% relative humidity for 5 days, or alternatively an increase in shear strength of at least 3 hours at day 5 for the same shear strength measured at 0 hours formulation.
제 1 기재;
제 2 기재; 및
제 1 항에 기재된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를 접합시키고, 0.5g/㎡~50g/㎡의 평량으로 적용될 때에, 23℃에서 5일간 방치한 후에 측정된 접합 구조체의 박리 강도가 폭 50mm당 0.25N 초과인 접합 구조체.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claim 1,
Wh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re bonded and applied at a basis weight of 0.5 g/m 2 to 50 g/m 2 , the peel strength of the bonded structure measured after standing at 23° C. for 5 days is greater than 0.25 N per 50 mm of width junction structure.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기재 중 적어도 하나는 다공성 또는 섬유상 기재, 또는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를 갖는 천공된 필름인 접합 구조체.
43. The method of claim 42,
At least one of the two substrates is a porous or fibrous substrate, or a perforated film having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제 1 항에 기재된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포함하는 흡수성 위생 용품.An absorbent hygiene product comprising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claim 1 .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기재된 접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위생 용품.44. An absorbent hygiene article comprising the bonding structure of claims 42 or 43. 제 44 항에 있어서,
유아용 기저귀, 훈련용 팬티 기저귀, 성인 실금자용 기저귀, 또는 여성용 생리대인 흡수성 위생 용품.
45. The method of claim 44,
Absorbent hygiene products that are baby diapers, training panty diapers, adult incontinence diapers, or feminine sanitary napkins.
제 44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i) 상기 흡수성 위생 용품의 일반 구조용 접착제;
ii) 탄성 구성요소(실, 리본, 필름 또는 탄성 패널)를 접합하기 위한 용도;
iii) 사용 중인 경우라도 흡수성 위생 용품의 흡수 코어의 보존성을 강화하고 보증하기 위한 용도; 및
iv) 천공된 필름을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체로 접합하기 위한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되는 흡수성 위생 용품.
47. The method of claim 44 or 46,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 general structural adhesives of said absorbent hygiene products;
ii) for bonding elastic components (threads, ribbons, films or elastic panels);
iii) for enhancing and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absorbent core of an absorbent hygiene article even when in use; and
iv) an absorbent hygiene article used for at least one of the uses for bonding the apertured film into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제 1 항에 기재된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용품으로서, 흡수성 수술용 매트리스 또는 시트, 또는 의료용의 수술용 라미네이트 또는 상처 드레싱 제품인 용품.An article comprising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claim 1 , wherein the article is an absorbent surgical mattress or sheet, or a medical surgical laminate or wound dressing article. 제 1 항에 기재된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용품으로서, 매트리스 또는 그 구성요소인 용품.An article comprising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claim 1 , wherein the article is a mattress or a component thereof. 제 1 항에 기재된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용품으로서, 패키징인 용품.An article comprising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of claim 1 , wherein the article is packaging. 제 45 항에 있어서,
유아용 기저귀, 훈련용 팬티 기저귀, 성인 실금자용 기저귀, 또는 여성용 생리대인 흡수성 위생 용품.
46. The method of claim 45,
Absorbent hygiene products that are baby diapers, training panty diapers, adult incontinence diapers, or feminine sanitary napkins.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 포뮬레이션은,
i) 상기 흡수성 위생 용품의 일반 구조용 접착제;
ii) 탄성 구성요소(실, 리본, 필름 또는 탄성 패널)를 접합하기 위한 용도;
iii) 사용 중인 경우라도 흡수성 위생 용품의 흡수 코어의 보존성을 강화하고 보증하기 위한 용도; 및
iv) 천공된 필름을 2차원 또는 3차원 구조체로 접합하기 위한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되는 흡수성 위생 용품.
46. The method of claim 45,
The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
i) general structural adhesives of said absorbent hygiene products;
ii) for bonding elastic components (threads, ribbons, films or elastic panels);
iii) for enhancing and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absorbent core of an absorbent hygiene article even when in use; and
iv) an absorbent hygiene article used for at least one of the uses for bonding the apertured film into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KR1020197003632A 2017-03-20 2017-07-05 Hot melt adhesive that can be processed by high-speed process KR1023419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30594A IT201700030594A1 (en) 2017-03-20 2017-03-20 Hot melt adhesives applicable with high speed processes
IT102017000030594 2017-03-20
PCT/EP2017/066789 WO2018007451A1 (en) 2016-07-07 2017-07-05 Hot-melt adhesives processable with high speed proces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40A KR20190122640A (en) 2019-10-30
KR102341982B1 true KR102341982B1 (en) 2021-12-22

Family

ID=5969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632A KR102341982B1 (en) 2017-03-20 2017-07-05 Hot melt adhesive that can be processed by high-speed proces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41982B1 (en)
IT (1) IT201700030594A1 (en)
MX (1) MX201900013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3966A (en) 2002-10-28 2006-02-02 ボスティク・フィンドレ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random copolymer of isotactic polypropyle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4784B2 (en) * 1987-10-30 1991-09-1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Hot melt adhesive containing butene-1 polymers
WO1998049249A1 (en) * 1997-04-30 1998-11-05 Ato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with high peel and shear strengths for nonwoven applications
WO2003070788A1 (en) * 2002-02-21 2003-08-2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Highly flowable 1-butene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9284475B2 (en) * 2010-10-21 2016-03-15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butene-1 copolymers
WO2014069604A1 (en) * 2012-11-02 2014-05-08 出光興産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3966A (en) 2002-10-28 2006-02-02 ボスティク・フィンドレ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random copolymer of isotactic polypropyl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40A (en) 2019-10-30
IT201700030594A1 (en) 2018-09-20
MX2019000132A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0409B2 (en) Hot melt adhesive that can be processed by a high-speed process
JP6243034B2 (en) Hot melt adhesive
KR101732344B1 (en) -- low application temperature amorphous poly--olefin adhesive
JP2015532936A (en) Hot melt adhesive
CN1419585A (en) Hot melt adhesive based on semicrystalline fiexible polyolefins
EP3858933A1 (en) Hot-melt adhesives with improved adhesion and cohesion
US11572494B2 (en) Hot-melt adhesives with improved adhesion and cohesion
KR102341982B1 (en) Hot melt adhesive that can be processed by high-speed process
KR20220011632A (en) Olefin block copolymer-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JPH0726073B2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N113265215B (en) Hot melt adhesive with improved adhesion and cohesion
JP356131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ot melt adhesive
EP3802720B1 (en) Hot-melt adhesives comprising a bimodal polymer composition formed by polyolefins having low stereospecificity
WO2023187700A1 (en) Hot-melt adhesives comprising butene-1 polymers and showing peculiar thermal characteristics
CN114096223A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suitable for disposable hygiene articles, free of tackifiers
WO2020030567A1 (en) Propylene random copolymer 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WO2024079555A1 (en) Hot melt adhesive formulations for fibrous substrates
WO2020030565A1 (en) Multimodal propylene random copolymer based composition suitable as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N114901225A (en) Tackifier-fre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methods of use thereof, and articles mad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