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649B1 -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49B1
KR102341649B1 KR1020200076862A KR20200076862A KR102341649B1 KR 102341649 B1 KR102341649 B1 KR 102341649B1 KR 1020200076862 A KR1020200076862 A KR 1020200076862A KR 20200076862 A KR20200076862 A KR 20200076862A KR 102341649 B1 KR102341649 B1 KR 10234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ant
support
unit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효정
Original Assignee
백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효정 filed Critical 백효정
Priority to KR102020007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649B1/en
Priority to KR1020210180430A priority patent/KR20210158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member provided inside the seating unit on which an infant of a hip seat is seated and supporting the infant and a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user support unit that one side thereof supports the abdomen of a user; an infant support unit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user support unit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unit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upward as the infant support unit moves toward the end; and a tilt prevention unit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uni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unit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as the tilt prevention unit moves toward the end.

Description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힙시트{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아용 힙시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힙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p seat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inclination and a hip seat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힙시트(10)의 착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힙시트(10)는 백일 전후에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유아들의 외출 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한 상태로 유아가 사용자(20)의 가슴에 안긴 자세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힙시트(10)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부(11)가 사용자(20)의 허리 및/또는 어깨에 걸리는 밴드(12)에 의해 사용자(20)에 착용된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 general hip seat (10). Referring to FIG. 1 , a general hip seat 10 is used for infants to be held on the chest of the user 20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infant for convenience and safety when infants who are not yet able to walk before or after 100 days go out. Used to maintain posture. In general, the hip seat 10 is worn by the user 20 by the band 12 hung on the waist and/or shoulder of the user 20 by the seating part 11 on which the child's buttocks are seated.

이러한 안착부(11)는 유아가 안착되면 유아의 체중에 의해 안착부(11)의 끝단이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무게 중심이 사용자(20)의 몸에서 멀어지게 되어 사용자(20)가 느끼는 무게감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울임으로 인해 안착부(11)의 하단의 모서리부(11a)는 사용자(20)의 복부에 압박을 가하고, 허리 밴드(12)의 상단(12a)이 사용자(20)의 허리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사용자(20)에게 통증 및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When the infant is seated in the seating part 11, the end of the seating part 11 is inclin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infant. Accordingly, the infant's center of gravity moves away from the body of the user 20 , so that the user 20 feels a sense of weight. In addition, due to this inclination, the edge portion 11a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unit 11 applies pressure to the abdomen of the user 20 , and the upper end 12a of the waistband 12 is pressed on the waist of the user 20 . It may cause pain and injury to the user 20 by applying the .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부의 기울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힙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member and a hip seat that can minimize the inclination of the sea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는 힙시트의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의 내부에 제공되고 유아 및 사용자 간을 지지하되, 일면이 사용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사용자 지지부;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아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한다.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support part provided inside a seating part on which an infant of a hip seat is seated and supporting an infant and a user, one side of which supports the abdomen of the user; an infant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extending inclinedly upward toward the end; and an anti-til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end.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일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1 날개부; 상기 유아 지지부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유아 지지부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2 날개부; 및 상기 기울임 방지부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기울임 방지부의 상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3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first wing portions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user support portion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toward the en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a second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infant support unit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toward the end; and a third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anti-tilt portion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toward the end of the anti-tilt portion in a viewing direction.

상기 유아 지지부의 끝단을 포함하는 영역의, 중심부 및 각각의 양 측단 간의 사이 영역에는 상기 유아 지지부의 상기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oncave portion forming a concave curved surfa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is viewed may be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center and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region including the end of the infant support unit.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사용자 지지부 및 상기 유아 지지부가 만나는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 및 상기 유아 지지부의 상기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강도 보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강도 보강 돌출부는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볼 때 일단은 상기 사용자 지지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유아 지지부에 위치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n area including a boundary where the user support part and the infant support part meet of the support member, a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art looks a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part looks is formed, and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 may have a slit shape with one end positioned on the user support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infant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힙시트는,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는, 유아 및 사용자 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유아가 지지되는 면 및 상기 사용자가 지지되는 면을 덮는 쿠션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쿠션 부재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이 사용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사용자 지지부;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아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ip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portion on which an infant is seated; and a wearing part extending from the seating part to be worn by a user, wherein the seating part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n infant and a user; a cushion member covering the surface on which the infant is support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user is supported of the support member; and an outer shell surround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cushion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user support part having one surface supporting the user's abdomen; an infant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upward toward the end; and an anti-til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 및 힙시트는 안착부의 기울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and the hip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nclination of the seating portion.

도 1은 일반적인 힙시트(10)의 착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힙시트(100)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힙시트(100)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착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착부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안착부 내에 제공되는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부재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 부재의 A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지지 부재의 B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지지 부재의 CC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지지 부재의 DD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지지 부재의 EE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힙시트(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뒷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도 2의 힙시트(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앞모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힙시트(100a)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 general hip seat (10).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ip sea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hip seat 100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ating part shown in FIG. 2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of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upport member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of FIG. 4 .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6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6 as viewed in the AA direc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6 viewed from a direction BB.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6 viewed in the CC direc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6 viewed in a DD direc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6 viewed in the EE direction.
13 is a view showing a rear view of a user wearing the hip seat 100 of FIG. 2 .
FIG. 1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shown in FIG. 2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shown in FIG. 2 .
16 to 20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front view of a user wearing the hip seat 100 of FIG. 2 .
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ip seat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힙시트(100)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힙시트(100)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착부(10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안착부(1000)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힙시트(100)는 유아(10)가 사용자(20)에 안긴 상태에서 유아(10)의 엉덩이를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힙시트(100)는 안착부(1000), 착용부(2000), 안전 커버부(3000) 및 파지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ip sea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hip seat 100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eating unit 1000 illustrated in FIG. 2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ing part 1000 of FIG. 4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2 to 5 , the hip seat 100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infant 10 while the infant 10 is held by the user 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ip seat 100 may include a seating part 1000 , a wearing part 2000 , a safety cover part 3000 , and a gripping part 4000 .

안착부(1000)에는 유아(10)가 안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안착부(1000)의 일측면(1001)은 사용자(20)의 복부에 접촉되고, 유아(10)는 안착부(10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안착부(1000)는 지지 부재(1100), 쿠션 부재(도 8의 1120) 및 외피(1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ant 10 is seated on the seating unit 10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side 1001 of the seat unit 1000 is in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user 20 , and the infant 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unit 1000 . The seating part 100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1100 , a cushion member ( 1120 in FIG. 8 ), and an outer shell 1300 .

도 6은 도 4의 안착부(1000) 내에 제공되는 지지 부재(11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부재(1100)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 부재(1100)의 A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100)는 유아(10) 및 사용자(20) 간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1100)는 안착부(1000)의 내부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100)는 사용자 지지부(1110), 유아 지지부(1120) 및 기울임 방지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지지부(1110), 유아 지지부(1120) 및 기울임 방지부(1130)는 곡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upport member 1100 provided in the seating part 1000 of FIG. 4 .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1100 of FIG. 6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1100 of FIG. 6 as viewed in the AA direction. 6 to 8 , the support member 1100 supports between the infant 10 and the user 20 . The support member 1100 is provided inside the seating part 10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1100 may include a user support unit 1110 , an infant support unit 1120 , and an anti-tilt unit 1130 . The user support unit 1110 ,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 and the tilt prevention unit 1130 ar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urved plate.

도 9는 도 6의 지지 부재(1100)의 B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지지부(1110)는 일면(1111)이 사용자(20)의 복부를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지지부(1110)는 일면(1111)이 사용자(20)의 복부를 일측 옆구리로부터 타측 옆구리 방향을 따라 감쌀 수 있도록 중심부에서 양 측부로 갈수록 일면(1111)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유아(10) 및 안착부(1000)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20)의 복부에 가해지는 힘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1100 of FIG. 6 as viewed in the BB direction. 6 to 9 , one surface 1111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supports the abdomen of the user 2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support unit 1110 is directed toward the one side 1111 as it goes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so that one side 1111 can wrap the abdomen of the user 2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A curved surface can be achieved. Accordingly, the force applied to the abdomen of the user 20 due to the weight of the infant 10 and the seating unit 1000 may be distributed over a wider area.

사용자 지지부(1110)에는 사용자 지지부(1110)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1140)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날개부(1140)는 끝단으로 갈수록 사용자 지지부(1110)의 일면(1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룬다. 이러한 형상의 제1 날개부(1140)가 제공됨으로써, 본 실시 예에 따른 힙시트(100)를 착용하여 유아(10)를 안고 보행 시의 움직임 또는 자세에 따라 안착부(1000)가 사용자(20)의 일측 옆구리 방향으로 쏠릴 때, 안착부(1000)의 일측 모서리에 의해 사용자(20)의 옆구리가 받는 힘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The user support 1110 may be provided with first wing portions 1140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user support 1110 . The first wing portion 1140 has a curved surface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1111 of the user support portion 1110 toward the end. By providing the first wing unit 1140 having such a shape, the seat unit 1000 moves the user 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r posture when walking while holding the infant 10 wearing the hip sea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force received by the side of the user 20 by one edge of the seating unit 1000 over a wider area when it is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of the side.

도 10은 도 6의 지지 부재(1100)의 CC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지지 부재(1100)의 DD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유아 지지부(1120)는 사용자 지지부(1110)의 상단으로부터 사용자 지지부(1110)의 일면(1111)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아 지지부(1120)는 끝단으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아 지지부(1120) 및 사용자 지지부(1110)가 이루는 각도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100° 내지 160°의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 지지부(1120) 및 사용자 지지부(1110)가 이루는 각도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135°로 제공될 수 있다. 유아 지지부(1120)는 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한다. 유아(10)는 유아 지지부(1120)의 상면에 지지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아 지지부(1120)는 중앙 영역에서 양 측단 방향으로 갈수록 위 방향을 향하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유아 지지부(1120)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안착된 유아(10)가 외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안착부(100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1100 of FIG. 6 viewed in the CC direc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1100 of FIG. 6 viewed in the DD direction. 6 to 8 , 10 and 11 ,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one surface 1111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is viewed.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distal e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ngle formed by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and the user support unit 1110 may be provided in the range of 100° to 160° when viewed from the side. For example, the angle formed by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and the user support unit 1110 may be provided as 135°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supports the infant's buttocks. The infant 1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may form a curved surface that faces upward from the central region toward both side ends. Since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has the above-described shape, the seated infant 10 may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unit 1000 without sliding outward.

유아 지지부(1120)에는 유아 지지부(1120)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1150)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150)는 끝단으로 갈수록 유아 지지부(1120)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날개부(1150)가 제공됨으로써, 안착된 유아(10)의 다리가 유아 지지부(1120)의 양 측부 상에 위치될 때 유아(10)의 다리의 유아 지지부(1120)의 양측부에 대향되는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The infant support unit 1120 may be provided with second wing portions 1150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 The second wing unit 1150 has a curved surface toward the end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toward the viewing direction. By providing the second wing unit 115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gs of the seated infant 1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of the infant 10 leg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rea opposite to both sides over a wider area.

유아 지지부(1120)에는 오목부(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21)는 유아 지지부(1120)의 끝단을 포함하는 영역의, 중심부 및 각각의 양 측단 간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다. 오목부(1121)는 유아 지지부(1120)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오목한 곡면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목부(1121)가 형성됨으로써, 안착된 유아(10)의 다리가 사용자(20)로부터 먼 방향을 향하는 경우 유아(10)의 다리의 유아 지지부(1120)의 끝단에 대향되는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A concave portion 1121 may be formed in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 The concave portion 1121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center and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region including the end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 The concave portion 1121 forms a concave curved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is viewed. By forming the recess 112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g of the seated infant 10 faces away from the user 20, the area opposite to the end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of the infant 10's leg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유아 지지부(1120)의 테두리의 오목부(1121)가 형성된 영역, 제2 날개부(1150)가 연결되는 영역 및 사용자 지지부(1110)가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또한 대체로 아래 방향을 향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gion excluding the reg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1121 of the rim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is formed, the region where the second wing unit 1150 is connected, and the region where the user support unit 1110 is connected also form a curved surface in a generally downward direction. can be formed.

도 12는 도 6의 지지 부재(1100)의 EE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기울임 방지부(1130)는 사용자 지지부(1110)의 하단으로부터 사용자 지지부(1110)의 일면(1111)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울임 방지부(1130)는 끝단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울임 방지부(1130) 및 사용자 지지부(1110)가 이루는 각도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100° 내지 160°의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울임 방지부(1130) 및 사용자 지지부(1110)가 이루는 각도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135°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지지부(1110)의 하단에 기울임 방지부(1130)가 제공됨으로써, 안착부(1000)가 유아(10)의 체중에 의해 끝단이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기울임 방지부(1130)가 사용자 지지부(1110)의 하단이 사용자(20)의 복부에 지지됨으로써 안착부(1000)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1100 of FIG. 6 viewed in the EE direction. 6 to 8 and 12 , the tilt prevention unit 1130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one surface 1111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is viewed. The anti-tilt portion 1130 extends toward the end to be inclined downw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formed by the tilt prevention unit 1130 and the user support unit 1110 may be provided in the range of 100° to 160° when viewed from the side. For example, the angle formed by the tilt prevention unit 1130 and the user support unit 1110 may be provided as 135°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n anti-tilt unit 1130 at the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when the end of the seating unit 1000 is tilt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infant 10, the anti-tilt unit ( 1130 , the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is supported on the abdomen of the user 20 , thereby preventing the seat unit 1000 from being excessively tilted.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울임 방지부(1130)는 중앙 영역에서 양 측단 방향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을 향하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유아 지지부(1120)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안착부(1000)가 기울어져 기울임 방지부(1130)가 사용자(20)의 복부에 대향되도록 위치될 때, 기울임 방지부(1130)로부터 쿠션 부재(1200) 및 외피(1300)를 통해 사용자(20)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lt preventing unit 1130 may form a downward curved surface from the central region toward both side ends. Since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has the above-described shape, when the seat unit 1000 is tilted and the anti-tilt unit 1130 is positioned to face the abdomen of the user 20, the anti-tilt unit 113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bdomen of the user 20 may be distributed over a wider area through the cushion member 1200 and the outer shell 1300 .

기울임 방지부(1130)에는 기울임 방지부(1130)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날개부(1160)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날개부(1160)는 끝단으로 갈수록 기울임 방지부(1130)의 상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날개부(1160)가 제공됨으로써, 안착부(1000)가 기울어져 기울임 방지부(1130)가 사용자(20)의 복부에 대향된 상태에서, 보행 시의 움직임 또는 자세에 따라 안착부(1000)가 사용자(20)의 일측 옆구리 방향으로 쏠릴 때, 안착부(1000)의 하단의 일측부에 의해 사용자(20)의 옆구리가 받는 힘을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Third wing parts 1160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anti-tilt unit 1130 may be provided in the anti-tilt unit 1130 . The third wing portion 1160 has a curved surface toward the end of the tilt preventing portion 1130 toward the view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third wing unit 1160 , the seat unit 1000 is tilted and the tilt prevention unit 1130 is opposed to the abdomen of the user 20 , and the movement or posture during walking Accordingly, when the seating part 1000 is pulled toward one side of the user 20 , the force received by the side of the user 20 by the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1000 may be distributed over a wider area.

지지 부재(1100)의 사용자 지지부(1110) 및 유아 지지부(1120)가 만나는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강도 보강 돌출부(1170)가 형성된다. 강도 보강 돌출부(1170)는 사용자 지지부(1110)의 일면(1111)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 및 유아 지지부(1120)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강도 보강 돌출부(1170)는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볼 때, 일단은 사용자 지지부(1110)에 위치되고 타단은 유아 지지부(1120)에 위치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강도 보강 돌출부(1170)는 지지 부재(1100)의 양측부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강도 보강 돌출부(1170)는 사용자 지지부(1110) 및 유아 지지부(1120) 간의 경계의 강도를 보강한다.A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 1170 is formed in a region including a boundary where the user support 1110 and the infant support 1120 of the support member 1100 meet. The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 1170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one surface 1111 of the user support unit 1110 is viewed a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is view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 1170 may have a slit shape in which one end is located in the user support unit 1110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 .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protrusions 117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a direction in which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100 are arranged. The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 1170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boundary between the user support 1110 and the infant support 1120 .

쿠션 부재(1200)는 지지 부재(1100)의 유아(10)가 지지되는 면 및 사용자(20)가 지지되는 일면(1111)을 덮는다. 쿠션 부재(1200)는 스펀지, 라텍스, 합성 솜 또는 천연 솜 등 쿠션감을 갖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The cushion member 1200 covers the surface 1111 on which the infant 10 is supported and the surface 1111 on which the user 20 is supported of the support member 1100 . The cushion member 120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eeling, such as sponge, latex, synthetic cotton, or natural cott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피(1300)는 지지 부재(1100) 및 쿠션 부재(1200)를 감싼다. 외피(1300)는 유아(10)의 엉덩이 및 허벅지 등이 접촉하는 부분으로,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외피(1300)는 폴리우레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외피(1300)의 사용자(20)의 복부에 접하는 부분에는 착용부(2000)가 연결될 수 있다.4 and 5 , the shell 1300 surrounds the support member 1100 and the cushion member 1200 . The outer skin 1300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uttocks and thighs of the infant 10 ,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the shell 1300 may be made of polyurethane. The wearing part 2000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outer skin 1300 in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user 20 .

외피(1300)의 안착부(1000)의 사용자(20)를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전면에 대응되는 면에는 착용부 주머니(1310) 및 안전 커버 주머니(1320)가 제공될 수 있다. A wearing part pocket 1310 and a safety cover pocket 1320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facing the user 20 of the seating unit 1000 of the outer skin 1300 .

착용부 주머니(1310)는 외피(1300)의 안착부(1000)의 전면의 하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착용부 주머니(1310)에는 착용부(2000)가 보관될 수 있다. 착용부 주머니(131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 및 양측단은 외피(1300)에 부착된다. 착용부(2000)는 접히거나 말린 상태로 착용부 주머니(1310)의 상단을 통해 착용부 주머니(1310)에 보관될 수 있다. 착용부 주머니(131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부 주머니(1310)는 폴리 우레탄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부 주머니(1310)는 착용부(2000)가 꺼내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최대한 외피(13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착용부(2000)를 보관할 때 늘어나 착용부(2000)가 보관될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wearing part pocket 1310 may be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0 of the outer skin 1300 . The wearing part 2000 may be stored in the wearing part pocket 1310 . The wearing part pocket 1310 has an open top, and the bottom and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outer shell 1300 . The wearing unit 2000 may be stored in the wearing unit pocket 131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wearing unit pocket 1310 in a folded or rolled state. The wearing part pocket 13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wearing part pocket 131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including polyurethane. Therefore, the wearing part pocket 1310 maintain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kin 1300 as much as possible in the state in which the wearing part 2000 is taken out, and stretches when the wearing part 2000 is stored. space can be provided.

안전 커버 주머니(1320)는 외피(1300)의 안착부(1000)의 전면의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안전 커버 주머니(1320)에는 안전 커버(3100)가 보관될 수 있다. 안전 커버 주머니(132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 및 양측단은 외피(1300)에 부착된다. 안전 커버(3100)는 접히거나 말린 상태로 안전 커버 주머니(1320)의 상단을 통해 안전 커버 주머니(1320)에 보관될 수 있다. 이 때, 안전 커버(3100)는 파지부(4000)와 외피(1300)의 사이를 통해 안전 커버 주머니(1320)의 상단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안전 커버 주머니(132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 커버 주머니(1320)는 폴리 우레탄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커버 주머니(1320)는 안전 커버(3100)가 꺼내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최대한 외피(13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안전 커버(3100)를 보관할 때 늘어나 안전 커버(3100)가 보관될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safety cover bag 132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000 of the outer shell 1300 .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stored in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has an open top, and the bottom and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outer shell 1300 .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stored in the safety cover bag 132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afety cover bag 1320 in a folded or rolled state. At this time,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afety cover bag 132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grip portion 4000 and the outer shell (1300).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including polyurethane. Therefore,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maintain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hell 1300 as much as possible in a state in which the safety cover 3100 is taken out, and stretches when the safety cover 3100 is stored. space can be provided.

착용부 주머니(1310) 및 안전 커버 주머니(1320)가 제공됨으로써, 힙시트(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착용부(2000) 및 안전 커버(3100)의 부피를 줄여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By providing the wearing part pocket 1310 and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when the hip seat 100 is not used, the volume of the wearing part 2000 and the safety cover 3100 is reduc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storage. have.

도 13은 도 2의 힙시트(100)를 착용한 사용자(20)의 뒷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착용부(2000)는 안착부(100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20)에 착용된다. 착용부(2000)는 사용자(20)의 복부 및 허리를 감싸고 체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1 착용부(2100)와, 사용자(20)의 가슴 및 어깨를 감싸고 체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2 착용부(2200)와, 제1 착용부(2100) 및 제2 착용부(2200)를 연결하는 연결띠(2300)를 포함할 수 있다.13 is a view showing a rear view of the user 20 wearing the hip seat 100 of FIG. 2, 3 and 13 , the wearing part 2000 extends from the seating part 1000 and is worn by the user 20 . The wearable part 2000 includes a first wearable part 2100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by surrounding the abdomen and waist of the user 20, and a second wearable part 2100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by wrapping the chest and shoulders of the user 20 ( 2200 , and a connecting band 2300 connecting the first wearing unit 2100 and the second wearing unit 2200 .

착용부(2000)는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며 보관 시 부피와 사용 시 중량을 감소시키며, 오염 시 세탁이 용이한 소재를 포함하되, 일 예로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2000)가 폴리우레탄을 포함함으로써, 착용부(2000)는 사용자(20)의 체형에 따라 신축 가능하다. 또한, 착용부(2000)는 입는 방식으로 착용되기 때문에 사용자(20)가 보다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The wearing part 2000 has excellent elasticity, reduces the volume during storage and weight during use, and includes a material that is easy to wash when dirty, and may include polyurethane as an example. Since the wearable part 2000 includes polyurethane, the wearable part 2000 is stretchable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20 . In addition, since the wearing part 2000 is worn in a wearing manner, the user 20 can wear it more easily.

제1 착용부(2100)는 안착부(1000)로부터 연장하며 신축성을 갖는 제1 부분들(2010)과, 제1 부분들(2010) 각각과 연결되며 제1 부분들(2010)을 체결하는 제1 체결 유닛(2030, 20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earing part 2100 includes first parts 2010 extending from the seating part 1000 and having elasticit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parts 2010, and connecting the first parts 2010 to each other. One fastening unit 2030 and 2040 may be included.

제1 부분들(2010) 각각은 안착부(1030)로부터 사용자(20)의 허리를 감싸 수용된 유아(10)를 지지하며, 폴리우레탄과 같은 신축성 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들(2010)은 각각 안착부(1000)의 양 측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내측 밴드(2011)와, 내측 밴드(2011)의 외측에 제공되고 안착부(1000)의 전면의 착용부 주머니(1310) 및 안전 커버 주머니(1320)의 사이에 연결되는 외측 밴드(20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측 밴드(2012)는 안착부(1000)의 내측 밴드(2011)가 연결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20)에 착용하기 위해 제1 부분들(2010)을 인장시키면, 내측 밴드(2011)는 외측 밴드(2012)보다 먼저 인장되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부분들(2010)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내측 밴드(2011) 및 외측 밴드(2012)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20)의 복부 및 허리를 보다 넓게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다.Each of the first parts 2010 supports the infant 10 accommodated by wrapping the waist of the user 20 from the seating portion 1030 , and includes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The first portions 2010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and 2011 and the inner band 2011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000, respectively, and the wearing portion pocket on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1000. It may include an outer band 2012 connected between the 1310 and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 That is, the outer band 2012 may be connected to a position higher than a position to which the inner band 2011 of the seating part 1000 is connected. When the first parts 2010 are tensioned to be worn by the user 20 , the inner band 2011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that is tensioned before the outer band 2012 . The first portions 2010 may be provided in a double structure including the inner band 2011 and the outer band 2012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by stably wrapping the abdomen and waist of the user 20 more widely.

또한, 내측 밴드(2011) 및 외측 밴드(2012) 각각은 꼬임 구조로 안착부(1000) 및 각 제1 체결 유닛(2030, 2040)과 연결될 수 있다. 각 내측 밴드(2011) 및 외측 밴드(2012)가 꼬임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20)의 복부에 접하며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inner band 2011 and the outer band 2012 may be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1000 and each of the first fastening units 2030 and 2040 in a twisted structure. By connecting each inner band 2011 and the outer band 2012 in a twisted structure, it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user 20 .

기존의 힙시트에서 허리를 감싸서 체결하는 부분은 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그 내부에 심을 넣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부분들(2010)이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 마치 옷처럼 입는 방식으로 더욱 용이하게 힙시트(1000)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사용자(20)의 체형에 스트립의 조임이나 풀림으로 체결부의 사이즈를 맞추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축성 소재를 이용하여 더욱 단단하고 안전하게 유아(10)를 안을 수 있다. 또한, 모양 유지를 위한 심이 없기 때문에 힙시트(1000)의 무게가 가볍고 사용하지 않을 때 수납이 용이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속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hip seat, the part that wraps around the waist and fastens the waist so that the shape is not deform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rts 2010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re worn like clothes. As a result, the hip seat 1000 can be worn more easily. In addition, in the past, the size of the fastening part was adjusted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trip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20 ,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10 can be held more firmly and safely by using a stretchable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him for maintaining the shape, the weight of the hip seat 1000 is light and storage is easy when not in us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체결 유닛(2030, 2040)은 제1 암결합 유닛(2030) 및 제1 수결합 유닛(2040)을 포함하되, 제1 암결합 유닛(2030) 및 제1 수결합 유닛(2040)은 신축성 없는 소재로 이루어진 제1 스트립들(2020)에 의해 제1 부분들(20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결합 유닛(2030)은 제1 수결합 유닛(2040)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units 2030 and 2040 include a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and a first male coupling unit 2040, wherein the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and the first male coupling unit 2040 are elastic.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arts 2010 by the first strips 2020 made of an absent material. The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may have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male coupling unit 2040 .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일 예로, 제1 암결합 유닛(2030)은 원형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1 수결합 유닛(2040)은 제1 암결합 유닛(2030)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shown in FIG. 2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shown in FIG. 2 . 14 and 15 , as an example, the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includes a circular concave portion, and the first male coupling unit 2040 corresponds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 It may include a circular protrusion at a position where

제1 암결합 유닛(2030) 및 제1 수결합 유닛(2040)이 오목부 및 돌출부가 원형 구조로 체결됨으로써,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유닛이 360도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체결시 사용자(20)의 자세나 체형에 따라 체결 각도가 변경되어 사용자(20)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제1 스트립들(2020)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안착부(1000)에 수용된 유아(10)를 더욱 단단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and the first male coupling unit 2040 may be rotated 360 degrees by fasten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 a circular structure. Therefore, since the first coupling unit can rotate 360 degrees, it can be detached more easily, and the fastening ang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ture or body type of the user 20 when fastening, so that the user 20 can feel more comfortable. In addition,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first strips 2020, the infant 10 accommodated in the seating unit 1000 may be more firmly and safely fix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체결 유닛(2030, 2040)은 제1 안전 고리(2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결합 유닛(2030) 및 제1 수결합 유닛(2040)이 의도치 않게 풀리는 경우, 제1 안전 고리(2050)가 제1 암결합 유닛(2030) 및 제1 수결합 유닛(2040) 사이를 걸어 연결하여 힙시트(1000)의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제1 안전 고리(205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전 고리(2050)는 고무 등 천연 수지나 폴리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units 2030 and 204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afety ring 2050 . When the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and the first male coupling unit 2040 are unintentionally released, the first safety ring 205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emale coupling unit 2030 and the first male coupling unit 2040 . is connected to prevent the fastening of the hip seat 1000 from loosening. The first safety ring 2050 may be provid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the first safety ring 2050 may be provided of a material including a natural resin such as rubber or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urethane.

제2 착용부(2200)는 안착부(1000)의 전면의 착용부 주머니(1310) 및 안전 커버 주머니(1320)의 사이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며 신축성을 갖는 제2 부분들(2110)과, 제2 부분들(2110) 각각과 연장되며 제2 부분들(2110)을 체결하는 제2 체결 유닛(2130, 21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wearing part 2200 extends from an area between the wear part pocket 1310 and the safety cover pocket 1320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0 and includes second parts 2110 having elasticity and the second part. It may include second fastening units 2130 and 2140 extending from each of the 2110 and fastening the second parts 2110 .

양 측의 제2 부분들(2110)은 안착부(1000)의 전면의 중앙 부분에서 연결부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안착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분들(2110)은 외측 밴드(2012)보다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부분들(2110) 각각은 안착부(1000)로부터 사용자(20)의 어깨를 감싸 수용된 유아(10)를 지지하며, 폴리우레탄과 같은 신축성 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부분들(2110) 각각은 꼬임 구조로 안착부(1000) 및 각 제2 체결 유닛(2130, 2140)과 연결될 수 있다. 각 제2 부분(2110)이 꼬임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20)의 어깨에 접하며 고정될 수 있다. 제2 부분들(2110)은 숄더랩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부분들(2110) 각각은 15 내지 30c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신축성을 갖는 제2 부분들(2110) 각각을 완전하게 펼칠 때, 최대 폭이 15 내지 30cm로 넉넉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부분(2110)이 충분한 폭을 가짐으로써, 착탈 시 엉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들(2110) 각각을 어깨에 걸었을 때 어깨를 넓게 감쌈으로써 수용된 유아(10)의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The second parts 2110 on both sides may be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1000 so tha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overlaps each oth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000 . The second portions 211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outer band 2012 . Each of the second parts 2110 supports the infant 10 accommodated by wrapping the shoulder of the user 20 from the seating unit 1000 , and includes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Each of the second parts 2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1000 and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units 2130 and 2140 in a twisted structure. Each second part 2110 is connected in a twist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shoulder of the user 20 . The second parts 2110 may be provided as a shoulder wrap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of the second parts 2110 may have a width of 15 to 30 cm. When each of the stretchable second portions 2110 is completely unfolded, a maximum width of 15 to 30 cm may be sufficient. As such, since the second portion 2110 has a sufficient width, it is possible to reduce tangling dur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In addition, when each of the second parts 2110 is hung on the shoulder, the weight of the accommodated infant 10 may be distributed by wrapping the shoulder widely.

한편, 기존의 힙시트(1000)에서 어깨를 감싸서 체결하는 부분은 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그 내부에 심을 넣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부분들(2110)이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 마치 옷처럼 입는 방식으로 더욱 용이하게 힙시트(1000)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사용자(20)에 체형에 스트립의 조임이나 풀림으로 힙시트(1000)의 착용부(2000)의 사이즈를 맞추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축성 소재를 이용하여 더욱 단단하고 안전하게 유아(10)를 안을 수 있다. 또한, 모양 유지를 위한 심이 없기 때문에 힙시트(1000)의 무게가 가볍고 사용하지 않을 때 수납이 용이하다. 또한, 제2 부분들(2110)을 이용하여 안착부(1000)에 안착된 유아(10)의 상체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속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hip seat 1000, the part that wraps and fastens the shoulder puts a shim therein so that the shape is not deformed, whe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arts 2110 are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he hip seat 1000 can be more easily worn in a way that is worn like clothes. In addition, in the past, the size of the wearing part 2000 of the hip seat 1000 was adjusted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trip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20. You can safely hold the infant (10).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him for maintaining the shape, the weight of the hip seat 1000 is light and storage is easy when not in use. Also,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10 seated on the seating unit 1000 may be wrapped using the second parts 211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체결 유닛(2130, 2140)은 제2 암결합 유닛(2130) 및 제2 수결합 유닛(2140)을 포함하되, 제2 암결합 유닛(2130) 및 제2 수결합 유닛(2140)은 신축성 없는 소재로 이루어진 제2 스트립들(2120)에 의해 제1 부분들(201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units 2130 and 2140 include a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and a second male coupling unit 2140, wherein the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and the second male coupling unit 2140 are elastic. The second strips 2120 made of an absent material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arts 2010 .

제2 암결합 유닛(2130)은 제2 수결합 유닛(2140)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암결합 유닛(2130)은 원형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 수결합 유닛(2140)은 제2 암결합 유닛(2130)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결합 유닛(2130) 및 제2 수결합 유닛(2140)이 오목부 및 돌출부가 원형 구조로 체결됨으로써,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 유닛(2130, 2140)이 360도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 탈착할 수 있으며 체결시 사용자(20)의 자세나 체형에 따라 체결 각도가 변경되어 사용자(20)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제2 스트립들(2120)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안착부(1000)에 수용된 유아(10)를 보다 단단하고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e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may have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male coupling unit 2140 . For example, the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may include a circular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male coupling unit 2140 may include a circular protrus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 can The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and the second male coupling unit 2140 may be rotated 360 degrees by fasten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 a circular structure. Therefore, since the second fastening units 2130 and 2140 can rotate 360 degrees, they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more easily, and when fastening, the fastening ang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ture or body type of the user 20 to change the fastening angle of the user 20 ) can feel more comfortable. In addition,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econd strips 2120 , the infant 10 accommodated in the seating unit 1000 may be more firmly and safely fix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체결 유닛(2130, 2140)은 제1 체결 유닛(2030, 2040)과 동일하게 제2 안전 고리(2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결합 유닛(2130) 및 제2 수결합 유닛(2140)이 의도치 않게 풀리는 경우, 제2 안전 고리(2150)가 제2 암결합 유닛(2130) 및 제2 수결합 유닛(2140) 사이를 걸어 연결하여 착용부(2000)의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체결 유닛(2130, 214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1 체결 유닛(2030, 2040)과 동일하여, 도 14 및 도 15의 설명을 참조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fastening units 2130 and 214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afety ring 215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fastening units 2030 and 2040 . When the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and the second male coupling unit 2140 are unintentionally released, the second safety ring 215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emale coupling unit 2130 and the second male coupling unit 2140 . to prevent the fastening of the wearing part 2000 from being loosened by hooking and connec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fastening units 2130 and 2140 are the same as the first fastening units 2030 and 2040 shown in FIGS. 13 and 14 , and the description of FIGS. 14 and 15 is referred to.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커버부(3000)는 안착부(1000)에 안착된 유아(10)를 안착부(10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감싼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커버부(3000)는 안전 커버(3100), 단추(3200) 및 보조 주머니(3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 the safety cover part 3000 surrounds the infant 10 seated on the seating part 100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100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afety cover part 3000 may include a safety cover 3100 , a button 3200 , and an auxiliary pocket 3400 .

안전 커버(3100)는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공되고 넓은 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 커버(3100)는 폴리 우레탄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안전 커버(3100)는 일단이 안착부(1000)의 전면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커버(3100)는 일단은 안착부(1000)의 전면의 상단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타단에 인접한 영역은 유아(10)를 덮을 수 있는 충분한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전 커버(3100)의 양 측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단추홀(3300)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provided in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provided in a wide cloth shape. For example,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including polyurethane. One end of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unit 1000 . One end of the safety cover 3100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unit 1000 , and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with a width sufficient to cover the infant 10 . A plurality of buttonholes 3300 may be formed along edges of both sides of the safety cover 3100 .

단추(3200)는 제2 부분들(2110)의 외측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단추(3200)는 단추홀(3300) 또는 단추 걸이(3110)와 체결된다. 안착부(1000)에 안착되는 유아(10)의 크기 및 신체 위치에 따라 서로 체결되는 단추(3200)와 단추홀(3300) 및/또는 단추 걸이(3110)를 변경하여 안전 커버(3100)내의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uttons 3200 may be provid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arts 2110 . Each button 3200 is fastened with a buttonhole 3300 or a button hanger 3110 . The space within the safety cover 3100 by changing the button 3200, the buttonhole 3300, and/or the button hanger 3110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ize and body position of the infant 10 seated on the seating unit 1000. size can be adjusted.

안전 커버(3100)의 타단의 양측부에는 각각 단추(3200)에 체결될 수 있는 단추 걸이(3110)가 제공될 수 있다. 단추 걸이(3110)가 제공됨으로써, 안전 커버(3100)가 유아의 머리를 감싸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단추(3200)가 단추홀(3300)에 체결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안전 커버(3100)에 의해 덮이는 공간을 보다 넓게 제공할 수 있다.Button hooks 3110 that can b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buttons 32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safety cover 3100 . By providing the button hanger 3110, the safety cover 3100 is covered by the safety cover 3100 more than when the button 3200 is fastened to the buttonhole 3300 as needed, such as when the safety cover 3100 covers the head of an infant. This can provide a wider space.

보조 주머니(3400)에는 안전 커버(3100)가 보관될 수 있다. 보조 주머니(3400)는 안전 커버(3100)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주머니(3400)는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주머니(3400)는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 및 양 측부는 안전 커버(3100)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커버(3100)의 보조 주머니(3400)가 제공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접히거나 말린 상태로 보조 주머니(3400)의 상단을 통해 보조 주머니(340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주머니(3400)는 폴리 우레탄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주머니(3400)는 안전 커버(3100)가 보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 커버(3100)에 밀착되고, 안전 커버(3100)가 보관되는 경우에는 늘어나 안전 커버(3100)가 보관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A safety cover 3100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pocket 3400 . The auxiliary pocket 34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afety cover 3100 . The auxiliary pocket 340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auxiliary pocket 3400 may have an open top, and a bottom and both sides may be connected to the safety cover 3100 . A portion of the safety cover 3100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auxiliary pocket 3400 is provided may be inserted and stored in the auxiliary pocket 340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g 3400 in a folded or rolled state. For example, the auxiliary pocket 340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including polyurethane. Therefore, the auxiliary pocket 34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afety cover 3100 when the safety cover 3100 is not stored, and stretches when the safety cover 3100 is stored enough to allow the safety cover 3100 to be stored. space can be provided.

파지부(4000)는 양 끝단이 안착부(1000)의 전면의 상단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는 밴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파지부(4000)는 힙시트(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을 위해 손으로 파지하거나, 옷 걸이 등에 거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파지부(400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손으로 파지하거나 옷걸이 등에 걸어 보관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안착부(1000)의 외피(13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손으로 파지하거나 옷걸이 등에 걸어 보관이 필요한 경우 늘어나 안착부(1000)의 외피(1300)와의 사이에 손이나 옷걸이가 관통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gripping unit 4000 may be provided in a band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unit 1000 . When the hip seat 100 is not used, the grip part 4000 may be gripped by hand for movement or used for hanging on a clothes hanger. The grip part 40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refore, in the case of not holding by hand or hanging on a hanger, etc., it maintain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hell 1300 of the seating part 1000 and stretches when it is necessary to hold it by hand or hang it on a hanger, etc. ) can provide a sufficient space for a hand or a hanger to penetrate between the outer shell 1300.

도 16 내지 도 20은 도 2의 힙시트(100)를 착용한 사용자(20)의 앞모습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6 to 20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ont view of the user 20 wearing the hip seat 100 of FIG. 2 .

도 2, 도 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안착부(1000)의 일측면(1001)은 사용자(20)의 복부에 밀착되고, 제1 부분들(2010)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제2 부분들(2110)은 사용자(20)의 어깨를 감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20)의 등부분에서 제1 체결 유닛(2030, 2040) 및 제2 체결 유닛(2130, 2140)이 체결된다. 이는 아래에 설명될 도 17 내지 도 19의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유아(10)는 안착부(1000)에 사용자(20)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 커버(3100)는 유아(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유아(10)의 다리 사이로부터 유아(10)의 상체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커버(3100)는 유아(10)의 상체의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유아(10)의 겨드랑이 사이 및 유아(10)의 어깨 윗 부분에 대응되는 단추홀(3300) 및 단추(3200)가 체결됨으로써 유아(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안전 커버(3100)의 남은 부분은 보조 주머니(도 2의 3400)에 보관될 수 있다.2, 3, and 16, one side 1001 of the seating unit 10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user 20, and the first parts 2010 are positioned to surround the user's waist and , the second parts 2110 are positioned to surround the shoulder of the user 20 , the first fastening units 2030 and 2040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s 2130 and 2140 from the back of the user 20 . it is concluded Thi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examples of FIGS. 17 to 19 to be described below. The infant 10 may be seated on the seat unit 1000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user 20 . In this case, the safety cover 3100 may cover the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10 from between the legs of the infant 10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10 is se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the safety cover 3100 i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of the infant 10 and between the armpits of the infant 10 in a state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10 . Since the hole 3300 and the button 3200 are fastened, the infant 10 can be stably fixed. At this tim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pocket (3400 in FIG. 2).

도 2, 도 3 및 도 17을 참조하면, 유아(10)는 도 16의 예와 마찬가지로 안착부(1000)에 사용자(20)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안착될 수 있다. 다만, 도 17의 예와 달리, 안착된 유아(10)는 안전 커버(3100)가 아닌 제2 부분들(21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20)는 일측의 어깨를 덮는 제2 부분(2110)의 내측 가장자리를 타측으로 당겨 유아(10)의 몸을 감싸고, 이 후, 타측의 어깨를 덮는 제2 부분(2110)의 내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당겨 유아(10)의 몸을 감싸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 커버(3100)는 안전 커버 주머니(도 2의 1320)에 보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3 and 17 , the infant 1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unit 1000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user 20 as in the example of FIG. 16 . However, unlike the example of FIG. 17 , the seated infant 10 may be covered by the second parts 2110 instead of the safety cover 310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10 is seated, the user 20 pulls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part 2110 covering the shoulder of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surround the body of the infant 10, and then,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part 2110 covering the shoulder may be pulled to one side to surround the body of the infant 10 . In this case,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stored in the safety cover pocket ( 1320 in FIG. 2 ).

도 2, 도 3 및 도 18을 참조하면, 유아(10)는 안착부(1000)에 사용자(2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 커버(3100)는 유아(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유아(10)의 다리 사이로부터 유아(10)의 상체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커버(3100)는 유아(10)의 상체의 후면을 덮은 상태에서 유아(10)의 겨드랑이 사이 및 유아(10)의 어깨 윗 부분에 대응되는 단추홀(3300) 및 단추(3200)가 체결됨으로써 유아(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안전 커버(3100)의 남은 부분은 보조 주머니(도 2의 3400)에 보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안전 커버(3100)의 남은 부분은 유아(10)의 머리를 덮은 상태에서 단추 걸이(3110)가 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됨으로써 안전 커버(3100)를 이용하여 후드와 같이 유아(10)의 머리를 덮을 수 있다.2, 3, and 18 , the infant 1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unit 1000 in a direction facing the user 20 . In this case, the safety cover 3100 may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10 from between the legs of the infant 10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10 is se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 the safety cover 3100 ha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of the infant 10 and between the armpits of the infant 10 in a state that covers the back of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10 . Since the hole 3300 and the button 3200 are fastened, the infant 10 can be stably fixed. At this tim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pocket (3400 in FIG. 2). In contrast, the remaining part of the safety cover 3100 is fasten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hook 3110 in a state that covers the head of the infant 10, so that the infant 10 like a hood using the safety cover 3100 ) can cover the head.

도 2, 도 3 및 도 19를 참조하면, 유아(10)는 도 18의 예와 마찬가지로 안착부(1000)에 사용자(20)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안착될 수 있다. 다만, 도 18의 예와 달리, 안착된 유아(10)는 안전 커버(3100)가 아닌 제2 부분들(21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20)는 일측의 어깨를 덮는 제2 부분(2110)의 내측 가장자리를 타측으로 당겨 유아(10)의 몸을 감싸고, 이 후, 타측의 어깨를 덮는 제2 부분(2110)의 내측 가장자리를 일측으로 당겨 유아(10)의 몸을 감싸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 커버(3100)는 안전 커버 주머니(도 2의 1320)에 보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3 and 19 , the infant 1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unit 1000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user 20 as in the example of FIG. 18 . However, unlike the example of FIG. 18 , the seated infant 10 may be covered by the second parts 2110 instead of the safety cover 310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10 is seated, the user 20 pulls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part 2110 covering the shoulder of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surround the body of the infant 10, and then, The inner edge of the second part 2110 covering the shoulder may be pulled to one side to surround the body of the infant 10 . In this case,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stored in the safety cover pocket ( 1320 in FIG. 2 ).

도 2, 도 3 및 도 20을 참조하면, 유아(10)는 도 19의 예와 마찬가지로 안착부(1000)에 사용자(20)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안착되고, 제2 부분들(21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다만, 도 19의 경우와 달리, 사용자(20)는 안전 커버(3100)를 유아(10)의 머리가 노출되는 제2 부분들(2110)의 사이로 노출시켜 유아(10)의 머리를 후드와 같이 덮을 수 있다. 이 때, 안전 커버(3100)는 유아(10)의 머리가 덮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단추 걸이(3110)를 적절한 위치의 단추(3200)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아(10)의 머리의 크기에 따라 안전 커버(3100)는 적절한 위치의 단추홀(3300) 및 단추(3200)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3 and 20 , the infant 10 is seated on the seating unit 1000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user 20, as in the example of FIG. 19 , and on the second parts 2110 . can be covered by However, unlike the case of FIG. 19 , the user 20 exposes the safety cover 3100 between the second portions 2110 to which the head of the infant 10 is exposed,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10 is exposed like a hood. can be covered At this time,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fixed by fastening the button hanger 3110 to the button 3200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space for the head of the infant 10 to be covered. 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of the infant 10, the safety cover 3100 may be fixed by fastening the buttonhole 3300 and the button 3200 at an appropriate position.

도 2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힙시트(100a)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힙시트(100a)는 도 2의 힙시트(100)와 달리 제2 부분들(2110a)이 멜빵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힙시트(100a)의 경우, 제2 부분들(2110a)이 숄더랩 타입으로 제공되는 도 2의 힙시트(100)의 경우와 달리 안착부(1000)에 안착된 유아(10)를 제2 부분들(2110a)로 감싸는 사용 방법은 적용될 수 없다. 그 외 힙시트(100a)의 구성, 구조, 기능 및 사용 방법은 도 2의 힙시트(1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ip seat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1 , in the hip seat 100a , the second parts 2110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uspenders, unlike the hip seat 100 of FIG. 2 .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hip seat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case of the hip seat 100 of FIG. 2 in which the second parts 2110a are provided in a shoulder wrap type,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ing part 1000 . The use method of wrapping 10 with the second parts 2110a cannot be applied. Other configurations, structures, functions, and methods of use of the hip seat 100a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hip seat 100 of FIG. 2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힙시트(100, 100a)들은 안착부(1000)에 기울임 방지부(1130)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1100)가 내장됨으로써 안착부(1000)의 기울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힙시트(100, 100a)들은 지지 부재(1100)의 사용자 지지부(1110), 유아 지지부(1120) 및 기울임 방지부(1130)가 각각 유아(10)의 엉덩이 및 사용자(20)의 복부에 접촉되기 적절하도록 곡면으로 제공되어 유아(10)의 엉덩이가 좌우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20)의 복부나 허리가 받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힙시트(100, 100a)들은 지지 부재(1100)가 제1 날개부(1140), 제2 날개부(1150) 및 제3 날개부(1160)를 포함함으로써 유아(10)의 허벅지가 받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힙시트(100, 100a)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되는 경우 사용자(20)의 복부나 옆구리가 받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힙시트(100, 100a)들은 유아 지지부(1120)에 오목부(1121)가 제공됨으로써, 안착부(1000) 상에서 유아(10)의 다리가 전면을 향해 놓이는 경우, 유아(10)의 다리가 받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ip seats 100 an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of the seating part 1000 can be minimized by the support member 1100 including the tilt prevention part 1130 being built in the seating part 1000 . have. In addition, in the hip seats 100 an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upport part 1110, the infant support part 1120, and the tilt prevention part 1130 of the support member 1100 are the hips of the infant 10 and the user 20,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curved surface to be suitable for contact with the abdomen of the infant 10 to prevent the hip of the infant 10 from sliding left and right, and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pressure on the abdomen or the waist of the user 20 . In addition, in the hip seats 100 an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1100 includes a first wing part 1140 , a second wing part 1150 , and a third wing part 1160 .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high, and when the hip seats 100 and 100a are biased to the left or righ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bdomen or side of the user 20 may be distributed. In addition, in the hip seats 100 and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1121 is provided in the infant support unit 1120, so that when the leg of the infant 10 is placed toward the front on the seating unit 1000, the infant 10 ) to dissipate the pressure on the legs.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 are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imple design changes or easily changeabl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100a: 힙시트 1000: 안착부
1100: 지지 부재 1110: 사용자 지지부
1120: 유아 지지부 1121: 오목부
1130: 기울임 방지부 1140: 제1 날개부
1150: 제2 날개부 1160: 제3 날개부
1170: 강도 보강 돌출부 1200: 쿠션 부재
1300: 외피 2000: 착용부
3000: 안전커버 4000: 파지부
100, 100a: hip seat 1000: seating part
1100: support member 1110: user support
1120: infant support part 1121: recessed part
1130: anti-tilting unit 1140: first wing unit
1150: second wing unit 1160: third wing unit
1170: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 1200: cushion member
1300: outer shell 2000: wearing part
3000: safety cover 4000: grip part

Claims (5)

힙시트의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의 내부에 제공되고 유아 및 사용자 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있어서,
일면이 사용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사용자 지지부;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아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아 지지부의 끝단을 포함하는 영역의, 중심부 및 각각의 양 측단 간의 사이 영역에는 상기 유아 지지부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지지 부재.
In the support member provided inside the seating part on which the infant of the hip seat is seated and supporting the infant and the user,
One side of the us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abdomen;
an infant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upward toward the end; and
Including an anti-til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end,
A support member in which a concave portion forming a concave curved surfa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is viewed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region including the end of the infant suppor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일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1 날개부;
상기 유아 지지부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유아 지지부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2 날개부; 및
상기 기울임 방지부의 각각의 양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기울임 방지부의 상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제3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user support portion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toward the end;
a second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infant support unit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toward the end; and
The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ing a third w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anti-tilt portion,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toward the end of the anti-tilt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view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지부 및 상기 유아 지지부가 만나는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 및 상기 유아 지지부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강도 보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강도 보강 돌출부는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볼 때 일단은 상기 사용자 지지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유아 지지부에 위치되는 슬릿 형상을 가지는 지지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In an area including a boundary where the user support part and the infant support part meet, a strength reinforcing protrusion is formed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art looks a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part faces,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strength reinforcing protrusion, one end is positioned on the user support and the other end has a slit shape positioned on the infant support.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는,
유아 및 사용자 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유아가 지지되는 면 및 상기 사용자가 지지되는 면을 덮는 쿠션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쿠션 부재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일면이 사용자의 복부를 지지하는 사용자 지지부;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아 지지부; 및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지지부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기울임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아 지지부의 끝단을 포함하는 영역의, 중심부 및 각각의 양 측단 간의 사이 영역에는 상기 유아 지지부의 저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힙시트.
a seating unit on which infants are seated; and
Including a wearing part extending from the seating part to be worn by the user,
The seating part,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infant and the user;
a cushion member covering the surface on which the infant is support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user is supported of the support member; and
Comprising a shell surround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cushion member,
The support member is
One side of the us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abdomen;
an infant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upward toward the end; and
Including an anti-til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surface of the user support portion is viewed, and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end,
A hip seat in which a concave portion forming a concave curved surfa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 support unit is viewed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center and each of both side ends of the region including the end of the infant support unit.
KR1020200076862A 2020-06-24 2020-06-24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KR102341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62A KR102341649B1 (en) 2020-06-24 2020-06-24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KR1020210180430A KR20210158827A (en) 2020-06-24 2021-12-16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62A KR102341649B1 (en) 2020-06-24 2020-06-24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430A Division KR20210158827A (en) 2020-06-24 2021-12-16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649B1 true KR102341649B1 (en) 2021-12-20

Family

ID=790338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862A KR102341649B1 (en) 2020-06-24 2020-06-24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KR1020210180430A KR20210158827A (en) 2020-06-24 2021-12-16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430A KR20210158827A (en) 2020-06-24 2021-12-16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164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22U (en) * 2007-08-20 2009-02-25 김옥환 Infant carrier
KR20100044985A (en) * 2008-10-23 2010-05-03 김옥환 The bend for baby carrying
KR20100007127U (en) * 2008-12-31 2010-07-08 연정태 Foldable carrier for infant
KR200462354Y1 (en) * 2012-06-01 2012-09-06 신고은 Hip seat for infant
KR20140050139A (en) * 2012-10-17 2014-04-29 김관영 A carrier for an infant
KR101829876B1 (en) *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Baby carrier
KR20180035105A (en)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Baby carri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22U (en) * 2007-08-20 2009-02-25 김옥환 Infant carrier
KR20100044985A (en) * 2008-10-23 2010-05-03 김옥환 The bend for baby carrying
KR20100007127U (en) * 2008-12-31 2010-07-08 연정태 Foldable carrier for infant
KR200462354Y1 (en) * 2012-06-01 2012-09-06 신고은 Hip seat for infant
KR20140050139A (en) * 2012-10-17 2014-04-29 김관영 A carrier for an infant
KR20180035105A (en)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Baby carrier
KR101829876B1 (en) *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Baby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827A (en)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76B1 (en) Baby carrier
KR101812529B1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JP2001137082A (en)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CN109527878A (en) Baby carriers with 3d space
JP6342163B2 (en) Lullaby
KR102377913B1 (en) Multi Function Baby Carrier Package
KR102341649B1 (en)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ilt and hip seat including the same
JP7365057B2 (en) posture correction supporter
JP6408764B2 (en) Lullaby
JP3148444U (en) Baby carrier
JP3127392U (en) Baby carrier
JP3725610B2 (en) Baby bag combined with waist bag
JP3235488U (en) Babysitter
KR200345164Y1 (en) Wadded baby wrapper for vest
JPH0642235Y2 (en) Belt device for radiation protection coat
KR200291528Y1 (en) baby carrier
KR20190031696A (en) Shoulder support with stereoscopic air bag
JP7168253B1 (en) patient clothes
KR200497025Y1 (en) baby carrier
KR102283780B1 (en) Adjustable baby carrier
KR102326818B1 (en) Abduction brace for shoulder
KR20170051038A (en) Baby carrier
KR101502580B1 (en) Hip seat for infant
JP3117154U (en) Baby carrier
KR200286208Y1 (en) baby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