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636B1 -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 Google Patents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36B1
KR102341636B1 KR1020200187026A KR20200187026A KR102341636B1 KR 102341636 B1 KR102341636 B1 KR 102341636B1 KR 1020200187026 A KR1020200187026 A KR 1020200187026A KR 20200187026 A KR20200187026 A KR 20200187026A KR 102341636 B1 KR102341636 B1 KR 10234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content
training data
cognitiv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일
이현숙
노근필
정희태
김선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18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6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setting content training data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of acquiring a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from the subject's information; a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preparing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for collecting the subject's training data in response to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nd a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of collecting the subject's training data through at least one adjustment selected from training difficulty, training time, number of repetitions, and combinations thereof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during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the subject, wherein the trai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raining difficulty, the train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ining data which is a training baseline optimize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 for each subject for effec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 can be se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time wasted as a therapist or rehabilitator repeats a training process to set a training baseline for a subject or an erroneous training evaluation caused by an incorrect baseline.

Description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generally relates to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setting content training data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인지장애는 아동에게는 발달지연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인이나 노인에게는 사고로 인해서 뇌의 손상으로 발생하거나 뇌졸중과 같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Cognitive impairment is often caused by developmental delay in children, and in adults or the elderly, it is often caused by brain damage due to an accident or by causes such as stroke.

뇌는 반복적인 학습이나 훈련에 의해서 그 기능이 변할 수 있고, 이는 성인이 된 후에도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서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길 수도 있다는 뇌가소성(Neuroplasticity)에 근거하고 있다.The brain can change its function through repetitive learning or training, and this is based on neuroplasticity that new neurons can be generated through repetitive learning even after becoming an adult.

뇌가소성에 근거하여 여러 원인으로 손상된 신경세포를 자극하거나 발달 지연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신경 세포의 자극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과 훈련 도구들이 개발되었다.Based on brain plasticity, various methods and training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stimulate nerve cells damaged by various causes or to stimulate nerve cells that have not been activated due to developmental delay.

또한, 최근에는 IT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또는 태블릿PC를 사용한 인지 훈련 컨텐츠들도 많이 개발되어 임상 등을 통해서 그 효과성과 신뢰성을 확인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비디오 게임은 다양한 디지털 훈련 컨텐츠를 개발하여 환자가 재미와 집중을 할 수 있고, 지속적 훈련이 가능하여 많은 사례들이 연구를 통해 발표되고 있으며, 기존 훈련 도구와 상담을 통한 훈련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훈련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디오 게임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훈련하면, 다양한 시나리오와 환자에게 적합한 훈련 수준을 제공할 수 있어서 개인의 인지 능력과 특성을 반영한 개인화된 훈련이 가능하다. 기존 인지 훈련 방법은 환자의 인지 수준과 증상을 판단하기 위하여 임상심리사 또는 재활사가 오랜 시간의 상담과 관찰을 통해서 결정하고 있지만, 비디오 게임마다 게임 구성, 시나리오 및 난이도가 달라서 결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In addition, recently, many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 computer or tablet PC using IT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and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through clinical trials. Video games develop various digital training contents so that patients can have fun and focus, and continuous training is possible, so many cases are being published through research, and new training methods that can improve training methods through existing training tools and counseling are available. It's getting attention as a training method. Training using a video game or computer program can provide a training level suitable for various scenarios and patients, enabling personalized training that reflects individual cognitive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existing cognitive training method, clinical psychologists or rehabilitators decide through long-time counseling and observation to determine a patient's cognitive level and symptoms, bu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game composition, scenario, and difficulty level for each video game because the game composition, scenario, and difficulty are different.

현재 시장에서 사용 가능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지 훈련용 비디오 게임들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용 게임이며, 이런 게임들은 일률적인 게임 설정으로 인해서 정상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로 인한, 가장 큰 문제는 장애인 비디오 게임 훈련을 하다가 너무 어렵거나 자가의 수준과 맞지 않아 훈련을 거부하거나 중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Cognitive training video games for the general public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are learning games for normal people, and these games are difficult to us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normal people due to uniform game settings. As a result, the biggest problem may occur when training for the disabled video game is too difficult or does not match the level of the person, so the training is refused or stopped.

하지만,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비디오 게임 인지 훈련은 개인 맞춤형 훈련 설정을 지원하지 않고, 일률적인 난이도와 시간 등을 설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설정도 대부분 재활사나 임상심리사의 경험으로 결정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currently developed cognitive training for video games do not support individual customized training settings, but set or select uniform difficulty and time, and most of these settings are determined by the experience of rehab or clinical psychologis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제10-0805274호 "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수행결과를 기록 및 분석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나 개인 맞춤형 훈련 설정을 지원하지 않고, 일률적인 난이도와 시간 등을 설정하거나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ere is Korean Patent No. KR 10-0805274 "a method for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using a gam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and an apparatus for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using a game". The prior art has a feature of being able to record and analyze the user's performance result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upport individual customized training settings, and sets or selects uniform difficulty and tim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를 통한 피검사자의 효과적인 인지재활훈련을 위해 피검사자별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에 최적화된 훈련베이스라인인 훈련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s a training baseline optimize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for effec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f subjects through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It is to provide a technique on a method for setting training data for content training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hat can set training dat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은 피검사자의 정보로부터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장애정보를 획득하는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훈련데이터 수집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준비하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 및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수행과정에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훈련난이도, 훈련시간, 반복 제공횟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정을 통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를 수집하는 훈련데이터 수집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훈련데이터는 상기 훈련난이도, 상기 훈련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 technology related to a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s disclosed (disclosure). The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nclude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from the subject's information, and training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of the subject in response to the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preparing the data collection content and the subject's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execution process, the training difficulty, training time, repetition frequency, and combinations thereof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re selected from A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of collecting the training data of the subject through at least one adjustment, wherein the trai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raining difficulty, the train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훈련난이도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최대시간인 입력허용시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인 객체이동속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수행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difficulty is an input allowable time that is the maximum time allow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e object movement speed that is the movement speed of an object required for the correct answer input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nd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umber of objects requir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training time may include an execution time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상기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은 상기 피검사자의 성별, 출생연도, 장애등급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정상인을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장애수준을 결정하는 피검사자 인지장애수준 결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include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level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level based on a normal person from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subject's gender, birth year, disability grade,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do.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은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에 대응하여 인지훈련대상을 결정하는 인지훈련대상 결정과정 및 결정된 상기 인지훈련대상에 대응되는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를 준비하는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 준비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includes a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a cognitive training target in response to the cognitive impairment level of the subject, and cognitive training for preparing content for cognitive training level judgmen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gnitive training target It may include a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level judgment.

상기 훈련데이터 수집과정은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수준이 기준값을 중심으로 정상인수준에 가까운 제1유형 및 정상인수준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2유형으로 유형화하는 피검사자 인지수준 유형화과정,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수준이 상기 제1유형일 경우에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높은 난이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수준이 상기 제2유형일 경우에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낮은 난이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난이도 조정과정 및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에 대한 상기 피검사자의 정답여부가 정답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제공을 멈추고,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입력결과로부터 상기 훈련데이터를 확보하는 훈련데이터 확보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is a subject cognitive level typing process in which the subject's cognitive level is classified into a first type close to the normal level and a second type located far from the normal level with respect to a reference value, the cognitive level of the subject is the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is started from high difficulty, and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is gradu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examinee, or When the cognitive level is the second type, starting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from low difficulty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examinee When the content difficulty adjustment process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and whether the subject's correct answer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reaches a correct answer reference value, the provision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o the subject is stopped, and from the input result of the subject It may include a training data securing process for securing the training data.

한편, 상기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은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통하여 인지재활훈련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훈련데이터를 상기 다른 컨텐츠에서 요구하는 변환훈련데이터로 변환하는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은 피검사자의 정보로부터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장애정보를 획득하는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훈련데이터 수집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준비하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 및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수행과정에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훈련난이도, 훈련시간, 반복 제공횟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정을 통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를 수집하는 훈련데이터 수집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훈련데이터는 상기 훈련난이도, 상기 훈련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통하여 인지재활훈련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훈련데이터를 상기 다른 컨텐츠에서 요구하는 변환훈련데이터로 변환하는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 상기 훈련데이터 수집과정 및 상기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은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verts the training data into conversion training data requested by the other content when the subject performs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content other than the content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raining data transformation process to transform.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setting the content training data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nclude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for acquiring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from the subject's information, and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In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preparing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and the subject's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execution process, the training difficulty, training tim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nd A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of collecting the training data of the subject through at least one adjustment selected from a combination thereof, wherein the training dat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raining difficulty, the train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Including one, when the subject performs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content other than the content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a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for converting the training data into the conversion training data required by the other content Including, the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and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ystem.

이 경우, 상기 훈련난이도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최대시간인 입력허용시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인 객체이동속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수행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ining difficulty is an input allowable time that is the maximum time allowed to input the correct answer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e object movement speed that is the movement speed of an object required for the correct answer input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nd the training data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umber of objects and combinations thereof required to input the correct answer of the content for collection. The training time may include an execution time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상기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통해 상기 입력허용시간은 상기 다른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정답 입력 시간, 정답 입력 대기 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객체이동속도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로 그대로 전환되거나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필요한 객체의 수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시에 선택하여야 하는 객체의 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통해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다른 컨텐츠의 수행시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Through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the allowable input time may be converted in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rrect answer input time allowed for correct input of the other content, a correct answer input wait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object movement speed may be directly converted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object required for inputting the correct answer of the other content or may be set to 0 if the object necessary for inputting the correct answer of the other content does not exist. The number of necessary objects may be converted into the number of objects to be selected when the correct answer of the other content is input. Through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the training time may be converted into the execution time of the other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를 통한 피검사자의 효과적인 인지재활훈련을 위해 피검사자별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에 최적화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을 설정할 수 있어 치료사나 재활사가 피검사자의 훈련베이스라인 설정을 위해서 훈련 과정을 반복함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 낭비나 잘못된 베이스라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잘못된 훈련 평가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set a training baseline, which is training data optimized for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for each subject, for effec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so that the therapist or rehabilitator can set the subject's training base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time wasted by repeating the training process for line setting or incorrect training evaluation caused by an incorrect baseline.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provides only optional concepts in a simplified form for matter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key features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을 통해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수행을 위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수행을 위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 결정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유형의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통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을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유형의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통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을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훈련난이도로서 입력허용시간 및 객체의 수가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훈련난이도로서 입력허용시간 및 객체이동속도가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훈련난이도를 통합하여 이를 단계로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of a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training baseline, which is training data for performing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hrough the method for setting training data for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for determining the training baseline that is training data for performing the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llecting a training baseline, which is training data through content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of the second typ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llecting a training baseline that is training data through the first type of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6 is a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n input allowable time and the number of objects are applied as training difficulty.
7 is a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n input allowable time and an object movement speed are applied as training difficulty.
8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raining difficulty is integrated and applied as a step.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text,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like elements.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rawings, and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sed, and other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rrange, construct, combine, and design in variously different configurations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e.,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ll of which are obviously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form a p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제공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it is referred to as “providing” on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the case in which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provided to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in which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included.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을 통해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수행을 위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수행을 위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 결정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유형의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통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을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유형의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통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을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훈련난이도로서 입력허용시간 및 객체의 수가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훈련난이도로서 입력허용시간 및 객체이동속도가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훈련난이도를 통합하여 이를 단계로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flowchart of a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training baseline, which is training data for performing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hrough the method for setting training data for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for determining the training baseline that is training data for performing the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llecting a training baseline, which is training data through content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of the second typ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llecting a training baseline that is training data through the first type of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6 is a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n input allowable time and the number of objects are applied as training difficulty. 7 is a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n input allowable time and an object movement speed are applied as training difficulty. 8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raining difficulty is integrated and applied as a step.

이하 도면을 활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100)은 훈련데이터 설정방법(100)으로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setting content training data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using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100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will be referred to as the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100 .

훈련데이터 설정방법(100)은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110),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120) 및 훈련데이터 수집과정(13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훈련데이터 설정방법(10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훈련데이터 변환과정(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100 include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110 , a content preparation process 120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and a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130 .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1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140 .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110)에서는 피검사자의 정보로부터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장애정보를 획득한다.In the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110,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the subject's information.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120)에서는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훈련데이터 수집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준비한다.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는 상기 피검사자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진행시에 상기 피검사자의 효과적인 인지재활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상기 피검사자에 최적화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 수집을 위해 사용하는 컨텐츠이다.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는 예로서 게임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120, in response to the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of the test subject,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for the subject's training data collection is prepared. The content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is the content used by the subject to collect 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optimized for the subject, as basic data for effec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proceeds with the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g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훈련데이터 수집과정(130)에서는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수행과정에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훈련난이도, 훈련시간, 반복 제공횟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정을 통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를 수집한다.In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130, through the adjustmen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training difficulty, training time, number of repetitions, and combinations thereof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of the subject. The training data of the subject is collected.

상기 훈련데이터는 상기 훈련난이도, 상기 훈련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The trai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raining difficulty, the train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일례로, 상기 훈련난이도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최대시간인 입력허용시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인 객체이동속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raining difficulty is an input allowable time that is the maximum time allow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e object movement speed that is the movement speed of an object required for the correct answer input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nd the training data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umber of objects and combinations thereof required to input the correct answer of the content for collection.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수행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time may include an execution time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110)은 상기 피검사자의 성별, 출생연도, 장애등급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정상인을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장애수준을 결정하는 피검사자 인지장애수준 결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피검사자 인지장애수준 결정과정에서는 정상인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을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인지장애수준 또는 특정 인지영역에서의 인지장애수준에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 결정을 위해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인지능력 평가방법이나 전문치료사의 진단 등을 활용할 수 있다.The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110 i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level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level based on a normal person from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subject's gender, birth year, disability grade, and a combination thereof may include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of the subject,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of the subject as a normal person may be determined from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in the overall view or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in a specific cognitive domain.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of the subject,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method or diagnosis of a professional therapist may be utilized.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120)은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에 대응하여 인지훈련대상을 결정하는 인지훈련대상 결정과정 및 결정된 상기 인지훈련대상에 대응되는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를 준비하는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 준비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120 prepares a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a cognitive training target in response to the cognitive impairment level of the subject and a cognitive training level determin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gnitive training target It may include a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인지훈련대상 결정과정에서 결정하는 상기 인지훈련대상은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주의력 훈련, 시공간 지각력 훈련, 기억력훈련, 문제해결능력훈련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 준비과정에서는 상기 인지훈련대상 결정과정에서 결정된 상기 인지훈련대상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로서 준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ed in the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ation proces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ttention training, spatiotemporal perception training, memory training, problem solving ability training, and a combination thereof for the subject. . In the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ed in the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ation process may be prepared as the content for determin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훈련데이터 수집과정(130)은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을 기준값을 중심으로 정상인수준에 가까운 제1유형 및 정상인수준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2유형으로 유형화하는 피검사자 인지장애수준 유형화과정,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이 상기 제1유형일 경우에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높은 난이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이 상기 제2유형일 경우에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낮은 난이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난이도 조정과정 및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에 대한 상기 피검사자의 정답여부가 정답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제공을 멈추고,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입력결과로부터 상기 훈련데이터를 확보하는 훈련데이터 확보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130 i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level typing process of categorizing the cognitive impairment level of the subject into a first type close to a normal person level and a second type located far from a normal person level based on a reference value, When the cognitive impairment level is the first type,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is started from high difficulty, and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is gradu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examinee or, when the cognitive impairment level of the test subject is the second type, starting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from a low difficulty,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subject,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When the content difficulty adjustment process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training difficulty and whether the subject's correct answer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reaches the correct answer standard value,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for the subject is stopped, and the It may include a training data securing process of securing the training data from the input result of the subject.

훈련데이터 수집과정(1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피검사자 인지장애수준 유형화과정에서는 상기 인지훈련대상 결정과정을 통하여 결정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훈련대상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상기 기준값을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가 정상인에 가까운 인지능력을 구비하고 있는지 또는 정상인에 비하여 많이 부족한 인지능력을 구비하고 있는지에 따라 상기 피검사자를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예로서, 표준인지장애단계의 중간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130 will be described. In the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level classification process, based on the predefined reference value for the cognitive training target of the subject determined through the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ation process, the subject The subject may be classified into the first type or the second type depending on whether the person has a cognitive ability close to that of a normal person or has a cognitive ability that is much insufficient compared to a normal person. The reference value may be, for example, a median value of the standard cognitive impairment st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난이도 조정과정에서는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수준이 정상인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제1유형일 경우에는 상기 피검사자의 검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높은 훈련난이도에서 낮은 훈련난이도로 감소시켜 제공하며,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수준이 정상인에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상기 제2유형일 경우에는 상기 피검사자의 검사에 대한 포기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낮은 훈련난이도에서 높은 훈련난이도로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difficulty adjustment process, when the cognitive level of the examinee is the first type relatively close to a normal person,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examinee to increase interest in the examination of the examinee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ment is reduced from a high training difficulty level to a low training difficulty level and provided,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in which the cognitive level of the examinee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a normal person, the examinee's abandonment of the examination, etc.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may be increased from a low training difficulty to a high train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examinee and provided.

이후, 상기 훈련데이터 확보과정에서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에 대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입력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정답여부가 정답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제공을 멈추고, 상기 정답기준값에 도달한 최고 난이도의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에 대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입력결과로부터 상기 훈련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정답기준값에 도달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최고 난이도에 대응되는 훈련난이도, 훈련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훈련데이터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정답기준값은 반복 제공되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에 대한 연속 정답입력 횟수, 연속 오답입력 횟수, 반복 제공되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에 대한 정답률 등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after, in the training data securing process, when the test subject's input result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is analyzed and the correct answer of the test subject reaches the correct answer reference value,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for the test subject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training data from the input result of the subject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of the highest difficulty that has reached the correct answer reference valu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cur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raining difficulty, train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difficulty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for which the examinee has reached the correct answer reference value as the training data. The correct reference valu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consecutive correct input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at is repeatedly provided, the number of consecutive wrong answer inputs, and the correct answer rate for the repeatedly provided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훈련데이터 변환과정(140)에서는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통하여 인지재활훈련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훈련데이터를 상기 다른 컨텐츠에서 요구하는 변환훈련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In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140, when the subject performs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content other than the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the training data may be converted into conversion training data required by the other content.

상기 훈련난이도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최대시간인 입력허용시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인 객체이동속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수행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ing difficulty is an input allowable time that is the maximum time allow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e object movement speed that is the movement speed of an object required for the correct answer input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nd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umber of objects requir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training time may include an execution time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훈련데이터 변환과정(140)을 통해 상기 입력허용시간은 상기 다른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정답 입력 시간, 정답 입력 대기 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객체이동속도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로 그대로 전환되거나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필요한 객체의 수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시에 선택하여야 하는 객체의 수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통해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다른 컨텐츠의 수행시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Through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140, the allowable input time may be converted in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rrect answer input time allowed for correct input of the other content, a correct answer input wait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The object movement speed may be directly converted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object required for inputting the correct answer of the other content or may be set to 0 if the object necessary for inputting the correct answer of the other content does not exist. The number of necessary objects may be converted into the number of objects to be selected when the correct answer of the other content is input. Through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the training time may be converted into the execution time of the other content.

이하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내용은 하나의 예시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가 후술하는 내용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둔다.Hereinafter,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e content to be described below is an example, and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 described below.

정상인이 사용하는 인지훈련을 위한 게임들이 앱스토어에 많이 있지만, 이 제품들은 장애인을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아서 클리닉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최근에는 새로운 IT 기술이 융합되어 클리닉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인지 훈련 도구들이 있지만, 이런 제품들도 인지수준이 서로 다른 장애인에 맞춤형으로 인지능력재활훈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료사나 재활사가 장애인의 인지 능력을 별도의 검사 도구로 검사하고, 그 결과를 여러 방법을 사용한 분석 과정에서의 치료사나 재활사 개인의 경험을 통해서 결정해야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기술은 장애인에 최적화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예로서, 게임)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훈련 난이도와 시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시스템이 분석 결과로부터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및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수행에 있어서 장애인에게 적합한 수준을 추천한다. 이를 통하여 본 기술은 기존에 재활사나 치료사가 직접 판단해서 결정해야 하는 과정을 시스템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동 결정하는 인지재활훈련 컨텐츠용 훈련데이터로서 훈련베이스라인(baseline) 설정하는 기술을 제시한다.There are many games for cognitive training used by normal people in the App Store, but these products are not designed for the disabled, so it is difficult to use them in clinics. Recently, there are cognitive training tools developed to be used in clinics by convergence of new IT technologies. should be tested with a separate test tool, and the result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therapis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in the analysis process using various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is, this technology automatically measures the training difficulty and time data required to provide the content (eg, game)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ptimized for the disabled, and the system determines the content and cognition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from the analysis result A level suitable for the disabled is recommended in performing the content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this, this technology proposes a technique for setting a training baseline as training data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in which the system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process that the existing rehabilitation or therapist directly judges through data analysis.

이를 위하여, 본 기술에서는 인지재활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훈련난이도에 관련된 데이터와 적정한 훈련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정의하고, 이를 장애인 사용자마다 최적의 값을 얻기 위한 과정과 그 세부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To this end, in this technology, data related to the training difficulty that can be use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data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training time are defined, and the process and details thereof are presented to obtain the optimal value for each disabled user. have.

이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훈련난이도 데이터로부터 인지재활훈련 컨텐츠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훈련베이스라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서 치료사나 재활사가 사용자의 훈련베이스라인 설정을 위해서 훈련 과정을 반복하여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거나 잘못된 베이스라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잘못된 훈련 평가를 예방할 수 있다.From the training difficulty data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training baseline data necessary to implement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Incorrect training evaluation caused by this can be prevented.

현재의 인지재활훈련은 훈련 도구와 정해진 시간 동안 피검사자가 치료사 또는 재활사와 규정된 방식의 훈련을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이 방법들은 치료사나 재활사의 경험과 지식에 의해서 훈련 시간 및 훈련 난이도 등의 요소들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치료사나 재활사의 역량 및 경험에 따라 훈련 시간 및 훈련 난이도 등의 요소가 달라지고, 훈련 도구가 변화함에 따라 훈련 도구의 특성을 반영한 개인화된 훈련 방법을 판단해 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Current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uses a training tool and a method in which the subject performs training in a prescribed manner with a therapist or rehabilitator for a set period of time, and these methods are based on the training time and training difficulty depending on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therapist or rehabilitator. It was a way of determining factors.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factors such as training time and training difficulty vary depending on the competency and experience of the therapis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and as the training tool chang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ersonalized training method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ing tool. .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IT기술을 융합한 치료 목적의 인지 훈련 제품들도 장애인의 인지 장애 진단 결과와 집중 가능한 시간, 난이도 수준 등을 치료사나 재활사가 판단하여 인지재활훈련을 실시해야 하므로, 훈련 초기에 잘못된 훈련베이스라인의 설정으로 인하여 장애인의 훈련 효과를 저하시키거나 장애인이 훈련을 중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기술에서는 이러한 치료사나 재활사 개인의 경험과 반복된 작업에 의한 인지재활훈련 베이스라인 설정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통한 정확한 절차진행과 자동화된 데이터 측정을 통해서 장애인의 수준과 능력에 적합한 인지재활훈련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Cognitive training products for therapeutic purposes that incorporate IT technology, which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Wrong setting of the training baseline reduces the training effectiveness of the disabled or causes the disabled to stop training. In this technolog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baseline setting method based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repetitive tasks of the therapist or rehabilitation therapist, the level and ability of the disabled through accurate procedure progress and automated data measurement through the system We present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implement appropriat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도 2에서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로서 인지 훈련용 모바일 게임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를 통한 인지재활훈련의 기초가 되는 피검사자인 장애인의 훈련데이터로서 훈련베이스라인을 본 기술에서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개인정보입력, 데이터수집용 게임, 인지영역선택, 게임실행 및 게임데이터생성은 본 기술에서 제시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의 한 예시에 대응된다.In FIG. 2 , a mobile game for cognitive training is represented as an example as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n addition, FIG. 2 shows a process of providing a training baseline in the present technology as training data of a person with a disability who is a subject to be tested, which is the basi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the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ersonal information input, data collection game, cognitive domain selection, game execution, and game data generation of FIG. 2 correspond to an example of a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esented in the present technology.

본 기술에서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예로서 게임)를 사용한 훈련에서 피검사자인 사용자마다 더 적합한 수준의 훈련과 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훈련데이터 측정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수준의 훈련난이도 및 훈련에 필요한 시간 데이터를 제공한다.In this technology, in training using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eg, games), in order to provide a more suitable level of training and services for each user who is a test subject, “contents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for training data measurement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to users. It provides the appropriate level of training difficulty and time data required for training.

“훈련난이도”는 효과적인 인지재활훈련을 하는데 기본 요소이고, 인지장애가 있는 아동 및 성인은 일반인에 비해 집중도가 떨어지고 개인마다 그 수준이 다르므로 적절한 “훈련시간”도 효과적인 훈련을 위해서는 중요한 요소이다.“Training difficulty” is a basic element for effec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since children and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have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general public and have different levels for each individual, appropriate “training tim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effective training.

이에 본 기술에서는 효과적인 인지재활훈련을 위해 필요한 훈련난이도와 훈련시간에 관련된 데이터를 정의하였다. 정의된 훈련난이도와 훈련시간은 아래와 같다.Therefore, in this technology, data related to training difficulty and training time required for effec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re defined. The defined training difficulty and training time are as follows.

Figure 112020143117575-pat00001
Figure 112020143117575-pat00001

기존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는 훈련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어서 훈련데이터를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의 훈련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개발하여 짧은 시간에 필요한 훈련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다.Existing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a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training only, so it is difficult to measure training data. So, in this technology, in order to collect training data of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were developed so that necessary training data could be collected in a short time.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Figure 112020143117575-pat00002
Figure 112020143117575-pat00002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이와 같이 구분하는 이유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와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가 서로 다르면 훈련에서 필요한 훈련데이터를 정확하게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이를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측정 방법 기준을 구분하는 이유는 난이도를 낮은 곳에서 높은 단계로 점차 높이면서 측정하는 것이 측정 방법의 기본이지만, 비교적 장애 수준이 높지 않은(정상인에 가까우면) 경우에는 낮은 난이도부터 측정하면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그 반대 방법으로 실시하여 훈련데이터 수집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classifying the contents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in this way is that if the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e contents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obtain the training data required for training, so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is. In addition, the reason for classifying the measurement method standards is that the basic measurement method is to measure the level of difficulty gradually from a low level to a high level. This is because it can take a long time, so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time by performing the reverse method.

도 3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의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 결정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3 show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for determining 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of the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위에서 정의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 설정을 위한 데이터 중에서 훈련난이도 속성은 피검사자인 사용자 수준에 맞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의 입력허용시간, 정답입력이 필요한 객체의 수와 같이 컨텐츠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데이터이다. 훈련난이도는 인지재활훈련의 효과와 피검사자의 훈련참여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며, 잘못된 훈련난이도는 인지 장애가 있는 피검사자에게 좌절감을 안겨주거나 훈련 참여를 중지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Among the data for setting 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defined above, the training difficulty attribute is the data that determines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such as the time allowed for input of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user who is the subject, and the number of objects that require correct input. . The training difficulty is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e subject's training participation, and the wrong training difficulty may cause frustration or stop the training participation in the subject with cognitive impairment.

인지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훈련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마다 적정한 훈련시간의 결정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기술은 모든 장애인에게 훈련 컨텐츠마다 동일한 시간을 배정하고 있다. 하지만, 정상인과 달리 장애인은 훈련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개인마다 달라서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In order for users with cognitive disabilitie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raining,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n appropriate training time for each individual, but the existing technology allocates the same amount of time for each training content to all disabled people. However, unlike normal people, the amount of time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focus on training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so it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이를 위하여, 본 기술에서는 전체 훈련 시간은 일정하게 하고, 각 세부 훈련 컨텐츠에 피검사자의 수준별로 다른 훈련시간을 배정함으로써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technology, the training effect can be increased by making the overall training time constant and allocating different training times for each level of the examinee to each detailed training content.

한편, 훈련시간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용자가 훈련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주의력이 떨어지면 훈련 효과는 급격히 저하되므로 훈련을 중단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training time is to confirm that the user concentrates on the training, and if the user's attention falls, the training effect is rapidly reduced, so the training should be stopped.

훈련난이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은 위의 측정 방법 기준에서 정의한 컨텐츠 유형 01, 유형 02에 해당되며, 피검사자의 훈련을 담당하는 치료사나 재활사는 훈련할 피검사자의 인지 능력 수준을 기준으로 2가지의 컨텐츠 타입 중에 하나를 결정한다.The method of collecting training difficulty data corresponds to content type 01 and type 02 defined in the above measurement method standards. decide one of them

도 4는 위의 측정 방법 기준에서 정의한 컨텐츠 유형 01인 낮은 난이도에서 높은 난이도로 변경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훈련데이터 속성을 수집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에서는 앞서 상술한 정답기준값으로서 연속 오답입력횟수를 활용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 4에는 연속 오답입력횟수로서 2회를 예로서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로서 훈련데이터수집용 게임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4 shows the process of collecting training data properti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ethod by changing the content type 01, which is the content type 01, from the low difficulty level to the high difficulty level defined in the above measurement method standard. 4 shows a case in which the number of consecutive incorrect answers is used as the reference value for correct answers described above. 4 shows two as the number of consecutive incorrect input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4, a game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is exemplified as the content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의 측정 방법 기준의 컨텐츠 유형 01은 대부분의 인지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여기에 해당되며, 인지수준이 정상인수준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2유형의 데이터 측정방법이다. 이 경우 쉬운 난이도에서 점차 높은 난이도로 변경하면서 연속적으로 오답을 선택하는 시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연속 2회 오답을 입력하는 것은 이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Content type 01 of the measurement method reference of FIG. 4 corresponds to most user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is a second type of data measurement method in which the cognitive level is far from the normal level. In this case, data is collected at the point in time when wrong answers are continuously selected while changing from easy difficulty to gradually higher difficulty. Entering an incorrect answer twice in a row may be judged as incapable of solving this level of problem.

저장되는 훈련난이도는 오답을 2회 이상 입력한 단계의 바로 전단계인 정답을 입력한 시점의 훈련난이도 데이터를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으로 결정한다. 상기 훈련난이도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허용시간, 객체이동속도, 객체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ed training difficulty is determined as 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based on the training difficulty data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rrect answer is input, which is the stage immediately preceding the stage in which the incorrect answer is entered two or more times. The training difficulty data may include an input allowed time, an object movement speed, and the number of objects as described above.

저장되는 훈련시간은 예로서 피검사자가 컨텐츠를 수행한 전체 시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 컨텐츠를 시작할 때 훈련시간을 “0”으로 초기화하고, 훈련난이도를 높이면서 훈련난이도 데이터 수집 조건을 만족하면 그 때까지 수행한 전체 시간을 “훈련 시간”에 저장한다. 이는 정답을 입력하면 주의 집중이 가능한 상태이며, 지속적으로 오답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훈련난이도가 높아 주의 집중이 어려운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한다.The stored training time may be, for example, the total time that the subject performed the content. Specifically, when starting the content in FIG. 4, the training time is initialized to “0”, and when the training difficulty data collec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increasing the training difficulty, the entire time performed until then is stored in “training time” .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focus attention when the correct answer is input,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due to the high training difficulty if the wrong answer is continuously input.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에는 입력허용시간, 객체이동속도, 객체의 수와 함께 훈련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may include an input allowable time, an object movement speed, and the training time together with the number of objects.

도 5는 인지수준이 정상인수준에 가까운 제1유형의 데이터 측정방법이다. 위의 측정 방법 기준에서 정의한 컨텐츠 유형 02인 높은 난이도에서 낮은 난이도로 변경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훈련데이터 속성을 수집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5에서는 앞서 상술한 정답기준값으로서 연속 정답입력횟수를 활용한 경우를 보여준다. 도 5에는 연속 정답입력횟수로서 2회를 예로서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로서 훈련데이터수집용 게임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5 is a first type of data measurement method in which the cognitive level is close to that of a normal person. It shows the process of collecting training data properti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ethod by changing from high difficulty to low difficulty, which is content type 02 defined in the above measurement method criteria. 5 shows a case in which the number of consecutive correct answers is used as the correct answer reference value described above. In FIG. 5 , two times as the number of consecutive correct answer input are present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IG. 5 exemplifies a training data collection game as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정상인이거나 거의 정상에 가까운 대상자는 인지 장애가 있는 대상자를 위해 제작된 컨텐츠를 수행하기에 쉬울 수 있으므로 도 5의 측정 방법 기준의 컨텐츠 유형 02는 유형 01과 반대로 정상인이 수행가능한 높은 난이도에서 낮은 난이도로 난이도를 변경하면서 연속적으로 정답을 입력하는 시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정답을 2회 이상 연속으로 입력하는 시점은 이 수준의 컨텐츠가 대상자에게 적절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정답 입력을 실패하면 계속 난이도를 낮추어서 정답을 2회 연속으로 입력할 때까지 반복한다.Since normal or near-normal subjects may be easy to perform content created for subjects with cognitive impairment, content type 02 based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FIG. Data is collected at the point of continuously entering correct answers while changing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rrect answer is entered two or more times in a row means that this level of content has an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for the target.

저장되는 훈련난이도는 정답을 2회 이상 입력한 시점의 훈련난이도 데이터를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으로 결정한다. 상기 훈련난이도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허용시간, 객체이동속도, 객체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ed training difficulty is determined as 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based on the training difficulty data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rrect answer is entered two or more times. The training difficulty data may include an input allowed time, an object movement speed, and the number of objects as described above.

측정 방법 기준에서 정의한 컨텐츠 유형 02의 대상자는 비교적 정상인에 가까운 장애인이므로, 집중이 잘 되어서 고정된 훈련시간을 적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지만, 필요하다면 측정 방법 기준에서 정의한 컨텐츠 유형 01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훈련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장되는 훈련시간은 피검사자가 컨텐츠를 수행한 전체 시간일 수 있다. 즉, 도 5에서 컨텐츠를 시작할 때 훈련시간을 “0”으로 초기화하고, 훈련난이도를 낮추면서 훈련난이도 데이터 수집 조건을 만족하면 그 때까지 수행한 전체 시간을 “훈련 시간”에 저장한다.Since the subject of content type 02 defined in the measurement method standard is a person with a disability that is relatively close to normal people, it is more suitable to apply a fixed training time because of good concentration, but if necessary, use the method described in content type 01 defined in the measurement method standard Training time can be measured. Specifically, the stored training time may be the total time the subject performed the content. That is, when starting the content in FIG. 5 , the training time is initialized to “0”, and when the training difficulty data collection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the training difficulty is lowered, the entire time performed until then is stored in the “training time”.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에는 입력허용시간, 객체이동속도, 객체의 수와 함께 훈련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may include an input allowable time, an object movement speed, and the training time together with the number of objects.

상술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통해 수집한 훈련난이도와 훈련시간을 포함하는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은 인지재활훈련을 시작하는 시작점이다. 이 시작점에서 훈련을 실시함에 따라서 그 효과를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훈련베이스라인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를 통한 훈련 효과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이고, 훈련을 계속하면 이 훈련베이스라인이 훈련 결과에 따라서 변경된다.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including the training difficulty and training time, coll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s, is a starting poi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s training is conducted at this starting point, the effectiveness can be measured and evaluated. Therefore, the training baselin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training effect through the content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f training is continued, this training baselin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raining result.

위에서 컨텐츠 기준으로 정의한 유형 10의 경우와 같이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로 사용한 경우, 같은 컨텐츠를 사용하였으므로 훈련데이터인 훈련베이스라인에 포함되는 데이터인 “입력허용시간”, “객체의 수”, “객체이동속도”와 “훈련시간”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의 개인별 설정의 난이도 설정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다. 같은 컨텐츠라도 난이도에 관한 변수가 “단계”로 통합되어 있으면, 그 난이도에 해당되는 “단계”를 사용자 설정에서 선택한다. 또한, 훈련시간을 따로 설정할 수 없는 컨텐츠의 경우에는 재활사 또는 치료사가 훈련시간에 도달하면 훈련을 중지할 수 있다.When the same content as the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s used as the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as in the case of Type 10 defined as the content standard above, the data included in the training baseline, which is the training data, is “input allowed time” because the same content is used. , “Number of objects”, “Object movement speed” and “Training time” can be directly used in the difficulty setting of individual setting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Even for the same content, if the variable related to the difficulty is integrated into a “level”,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is selected in the user settings.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tent for which the training time cannot be separately set, the training may be stopped when the rehabilitator or the therapist reaches the training time.

위에서 컨텐츠 기준으로 정의한 유형 20의 경우와 같이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를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로 사용한 경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와 실제로 훈련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가 다르면, 정의된 난이도 데이터와 가장 유사한 데이터를 찾아서 입력한다. 훈련시간은 훈련 게임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재활사나 치료사가 훈련 시간에 도달하면 훈련을 중지한다.As in the case of type 20 defined as the content standard above, when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other content are used as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if the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and the actual training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are different, the defined difficulty data Find the most similar data to and enter it. The training time is entered directly in the training game, or training stops when the rehab or therapist reaches the training time.

컨텐츠 기준으로 정의한 유형 20에서 정의된 훈련데이터의 데이터 속성과 유사한 데이터 속성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The data properties similar to the data properties of the training data defined in Type 20 defined by the content standard may be as follows.

Figure 112020143117575-pat00003
Figure 112020143117575-pat00003

한편, 훈련베이스라인의 훈련난이도 속성은 “입력허용시간”, “객체이동속도”, “객체의 수” 3가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인지재활훈련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훈련난이도 속성이 모두 적용 가능할 수도 있고, 일부만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ining difficulty attribute of the training baseline may include three types of data: “input allowed time”, “object movement speed”, and “number of objec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 all of these training difficulty attributes may be applicable, or only some of them may be applicable.

도 6은 훈련난이도 속성으로서 “입력허용시간”과 “객체의 수” 2가지가 적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6의 컨텐츠는 사라진 동물의 수를 찾는 기억력 훈련으로서 “입력허용시간”은 컨텐츠에서 “제한시간”, “객체의 수”는 컨텐츠에서 “사라진 동물 수”에 대응된다.6 shows a case in which “input allowed time” and “number of objects” are applied as training difficulty attributes. The contents of FIG. 6 are memory training to find the number of animals that have disappeared. “Input allowed time” corresponds to “limit time” in the contents, and “the number of object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animals that have disappeared” in the contents.

도 7은 훈련난이도 속성으로서 “입력허용시간”과 “객체이동속도” 2가지가 적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의 컨텐츠는 제시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를 컨텐츠에서 찾는 시지각 훈련으로서 “입력허용시간”은 “진행시간”, “객체이동속도”는 자동차가 도로에서 “이동하는 속도”에 대응된다.7 shows a case in which “input allowed time” and “object movement speed” are applied as training difficulty attributes. The content of FIG. 7 i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to find a car, such as a car, from the content. “Input allowed time” corresponds to “running time” and “object movement speed” corresponds to “moving speed” of the vehicle on the road.

도 8은 훈련난이도 속성이 단계로 통합되어 적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실제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에서는 훈련난이도 또는 훈련시간이 통합된 단계(숫자 또는 초급, 중급, 고급 등)를 난이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수집한 훈련베이스라인에 가장 가까운 단계를 선택해야 한다. 도 8의 컨텐츠는 1단계부터 20단계까지로 난이도가 구분된 컨텐츠이며, 1단계는 난이도가 가장 낮고, 20단계는 정상인 수준의 난이도를 가진 높은 단계이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컨텐츠의 단계의 수는 다르게 정해질 수도 있다.8 shows a case in which training difficulty attributes are integrated into stages and applied. In fact, in the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raining difficulty or training time is often used as the level of difficulty (number or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etc.). In this case, the step closest to the collected training baseline should be selected. The contents of FIG. 8 are contents divided in difficulty from level 1 to level 20, with level 1 having the lowest level of difficulty and level 20 being a high level having a normal level of difficulty. The above example is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and the number of steps of the conten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를 통한 피검사자의 효과적인 인지재활훈련을 위해 피검사자별로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에 최적화된 훈련베이스라인인 훈련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어 치료사나 재활사가 피검사자의 훈련베이스라인 설정을 위해서 훈련 과정을 반복함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 낭비나 잘못된 베이스라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잘못된 훈련 평가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set training data that is a training baseline optimized for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for each subject for effec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ntent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time wasted by repeating the training process for the purpose of setting the training baseline of the subject or the wrong training evaluation caused by the wrong baseline.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bov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rue spirit and scope will be presented from the following claims.

100: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
110: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
120: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
130: 훈련데이터 수집과정
140: 훈련데이터 변환과정
100: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110: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120: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130: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140: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Claims (7)

피검사자의 정보로부터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장애정보를 획득하는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훈련데이터 수집을 위한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를 준비하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 및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수행과정에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훈련난이도, 훈련시간, 반복 제공횟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정을 통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훈련데이터를 수집하는 훈련데이터 수집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훈련데이터는 상기 훈련난이도, 상기 훈련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가 아닌 다른 컨텐츠를 통하여 인지재활훈련을 수행할 경우에 상기 훈련데이터를 상기 다른 컨텐츠에서 요구하는 변환훈련데이터로 변환하는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 상기 훈련데이터 수집과정 및 상기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은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of acquiring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from the subject's information;
a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preparing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for the test subject's training data collection in response to the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training data of the subject is collected through at least one adjustment selected from among training difficulty, training time, number of repeated provis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contents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of the subject. Including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to
The training data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training difficulty, the train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subject performs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content other than the content for training data collec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the training data into conversion training data required by the other content,
The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n which the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preparation process,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and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are performed through a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난이도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최대시간인 입력허용시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인 객체이동속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수행시간을 포함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ning difficulty is an input allowable time that is the maximum time allow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e object movement speed that is the movement speed of an object required for the correct answer input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nd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umber of objects requir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training time is a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nclud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 인지장애정보 획득과정은 상기 피검사자의 성별, 출생연도, 장애등급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정상인을 기준으로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장애수준을 결정하는 피검사자 인지장애수준 결정과정을 포함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includes a subject cognitive impairment level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cognitive impairment level based on a normal person from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subject's gender, birth year, disability grade, and combinations thereof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준비과정은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장애수준에 대응하여 인지훈련대상을 결정하는 인지훈련대상 결정과정; 및
결정된 상기 인지훈련대상에 대응되는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를 준비하는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 준비과정을 포함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is
a cognitive training target determination process of determining a cognitive training target in response to the cognitive impairment level of the subject; and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ncluding a content preparation process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to prepare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gnitive training targ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데이터 수집과정은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수준을 기준값을 중심으로 정상인수준에 가까운 제1유형 및 정상인수준에서 멀리 위치하는 제2유형으로 유형화하는 피검사자 인지수준 유형화과정;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수준이 상기 제1유형일 경우에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높은 난이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인지수준이 상기 제2유형일 경우에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낮은 난이도에서 시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입력결과에 따라 상기 인지훈련수준판단용 컨텐츠의 상기 훈련난이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난이도 조정과정; 및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에 대한 상기 피검사자의 정답여부가 정답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 제공을 멈추고,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입력결과로부터 상기 훈련데이터를 확보하는 훈련데이터 확보과정을 포함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process is
a process of classifying the cognitive level of the subject into a first type close to a normal person level and a second type located far from the normal person level based on a reference value;
When the cognitive level of the test subject is the first type,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is started from high difficulty, and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is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inspected or, when the cognitive level of the subject is the second type, starting the training difficulty of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from a low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the input result of the subject, the content for judging the cognitive training level. a content difficulty adjustment process for collecting training data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training difficulty; and
Training data securing process for stopping the provision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o the test subject and securing the training data from the input result of the test subject when the correct answer of the subject for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reaches a correct answer reference value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난이도는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최대시간인 입력허용시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인 객체이동속도,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훈련데이터수집용 컨텐츠의 수행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통해 상기 입력허용시간은 상기 다른 컨텐츠의 정답 입력에 허용되는 정답 입력 시간, 정답 입력 대기 시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변환되며, 상기 객체이동속도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객체의 이동 속도로 그대로 전환되거나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에 필요한 상기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0으로 설정되며, 상기 필요한 객체의 수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상기 정답 입력시에 선택하여야 하는 객체의 수로 변환되며,
상기 훈련데이터 변환과정을 통해 상기 훈련시간은 상기 다른 컨텐츠의 수행시간으로 변환되는 인지재활훈련용 컨텐츠 훈련데이터 설정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raining difficulty is an input allowable time that is the maximum time allow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e object movement speed that is the movement speed of an object required for the correct answer input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and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umber of objects required for input of the correct answer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training time includes the execution time of the training data collection content,
Through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the allowable input time is conver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rrect answer input time allowed for correct input of the other content, a correct answer input waiting time, and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object movement speed is the other content It is switched to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required for the correct answer input of It is converted to the number of objects to be
Content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n which the training time is converted into the execution time of the other content through the training data conversion process.
KR1020200187026A 2020-12-30 2020-12-30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KR102341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026A KR102341636B1 (en) 2020-12-30 2020-12-30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026A KR102341636B1 (en) 2020-12-30 2020-12-30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636B1 true KR102341636B1 (en) 2021-12-22

Family

ID=7916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026A KR102341636B1 (en) 2020-12-30 2020-12-30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63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925A (en) *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넷블루 Recognition training device for preventing dementia
KR20190043107A (en)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925A (en) * 2013-05-30 2014-12-10 주식회사 넷블루 Recognition training device for preventing dementia
KR20190043107A (en)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ak et al. Issues in selecting outcome measures to assess functional recovery after stroke
US776114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ochastic psycho-physiological assessment of attentional impairments
US20100092929A1 (en) Cognitive and Linguistic Assessment Using Eye Tracking
WO2015111331A1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method, system, and program
US20160125748A1 (en) Memory test for Alzheimer's disease
CN108065942B (en) Method for compiling stimulation information aiming at orient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Zokaei et al. Tracing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behavioral performance of drivers at different levels of mental workload using driving simulators
KR101854812B1 (en) Psychiatric symptoms rating scale system using multiple contents and bio-signal analysis
KR20120139950A (en) The system of total quality test to innate and acquired
Dickter et al. The effect of stereotypical primes on the neural processing of racially ambiguous faces
Chiou et al. Measuring life participation, communicative confidence, language, and cognition in people with aphasia
Zielinski et al. The relation between mirror movements and non‐use of the affected hand in children with unilateral cerebral palsy
Robotham et al. Tests of whole upright face processing in prosopagnosia: A literature review
KR102341636B1 (en) training data setting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contents
Smith Measurement of object relations: A review
MacDonald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transpersonal and spiritual constructs
Caligiuri et al. Signature dynamics in Alzheimer's disease
CN115497621A (en) Old person cognitive status evaluation system
Costa et al. Role of 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in cognitive functioning of persons with relapsing-remitting and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Clayson et al. Evaluation of the frequency following response as a predictive biomarker of response to cognitive training in schizophrenia
Davis et al. Using grip strength force curves to detect simulat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Morris et al.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older adults
Keith Controversies in standardization of auditory processing tests
Abrahao et al. Motor Unit Number Index of the Upper Trapezius: A Meta-Analysis and Cross-sectional Study of Its Reliability
Morris Neuropsychology of older ad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