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17B1 -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 Google Patents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17B1
KR102341017B1 KR1020200014432A KR20200014432A KR102341017B1 KR 102341017 B1 KR102341017 B1 KR 102341017B1 KR 1020200014432 A KR1020200014432 A KR 1020200014432A KR 20200014432 A KR20200014432 A KR 20200014432A KR 102341017 B1 KR102341017 B1 KR 10234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washing
unit
washing chamb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5085A (en
Inventor
방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to KR102020001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017B1/en
Publication of KR2020011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085A/en
Priority to PCT/KR2021/000705 priority patent/WO202115790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변기 시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변기 시트를 수용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세척실에 수납 또는 반출하도록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변기 시트의 세척 및 살균을 위하여, 상기 세척실 내부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세척 유체 공급부; 상기 세척실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세척실 내의 물을 변기 안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착좌 감지부; 및 상기 착좌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착좌 신호에 기초하여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신호의 미수신 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세척실 내로 상기 변기 시트를 수납하여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모드와, 상기 세척 모드 완료 후 상기 세척실 내에서 상기 변기 시트를 대기시키는 대기 모드와, 대기 해제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세척실로부터 상기 변기 시트를 반출하는 착좌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and having a washing chamber accommodating the toilet seat and an opening/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shing chamber;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toilet seat to be accommodated in or taken out of the washing chamber; a cleaning fluid supply unit hav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for spraying water and air into the cleaning chamber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toilet seat; a discharge guid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chamber to guide the water in the washing chamber to be discharged into the toilet; a seating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mode switching based on the sea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ating sens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when the seating signal is not received and enters the toilet seat into the washing room. A washing mode that accommodates and washes and sterilizes, a standby mode that waits the toilet seat in the washing room after completion of the washing mode, and a seating mode that takes out the toilet seat from the washing room when a standby release signal is received can control the transition.

Description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device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본 발명은 변기 시트의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a toilet seat.

일반적으로, 변기 시트의 위생을 위해 변기 시트에 일회용 커버를 추가로 덮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변기 시트 커버는 사용자가 직접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과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품목이 추가됨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일회용품의 사용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for the hygiene of the toilet seat, a method of additionally covering the toilet seat with a disposable cover is used. Such a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addition of items to be periodically manag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is increased.

변기 시트는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중 화장실의 경우, 변기 시트의 위생에 대한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변기 시트에 대한 주기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 하여도 사용자의 불안감이 해소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The toilet seat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ublic toilet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the hygiene of the toilet seat must be thoroughly manag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toilet seat is periodically managed, it is difficult to relieve the user's anxiety.

변기 시트의 자동 세척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특허 등록 제10-1474154호는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 및 그 세척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변기 시트의 자동 세척 장치는, 변기 시트를 회전시켜 변기 시트 세척 유닛에 진입시키는 방식이다. 변기 시트 세척 유닛의 내부에는 브러시, 스팀, 와이퍼 등의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 Regarding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4154 discloses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nd a cleaning method thereof.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toilet seat is rotated to enter the toilet seat cleaning unit.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cleaning uni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brushes, steam, and wipers.

다만, 상술한 한국특허 등록 제10-1474154호의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는, 변기 시트 상의 상당 부분을 세척 유닛 공간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변기 시트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액 등이 사용자와 완전히 격리되어 있지 않고,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닦아 내는 브러시 및 와이퍼 등의 구성에 대한 교체 및 관리에 대한 별도의 해결책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생에 대한 불안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없다. However,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4154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a large portion of the toilet seat is configured as a space for a washing unit, so that the space for the toilet seat provided to the user is narrowed. In addition, the cleaning solution used in the cleaning process is not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user, and a separate solution for replacement and management of components such as a brush and a wiper that physically wipes off foreign substances is not presented. Therefore, the user cannot completely eliminate the anxiety about hygien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변기 시트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변기 시트를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and sterilizing a toilet seat by spraying water and air on the toilet sea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변기 시트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변기 시트의 각도 및 위치를 변화시켜 변기 시트의 세척 및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cleaning and sterilization effects of a toilet seat by changing an angle and position of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and air on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seat.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 변기 시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변기 시트를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세척실에 수납 또는 반출하도록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변기 시트의 세척 및 살균을 위하여, 상기 세척실 내부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세척 유체 공급부; 상기 세척실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세척실 내의 물을 변기 안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착좌 감지부; 및 상기 착좌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착좌 신호에 기초하여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신호의 미수신 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세척실 내로 상기 변기 시트를 수납하여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모드와, 상기 세척 모드 완료 후 상기 세척실 내에서 상기 변기 시트를 대기시키는 대기 모드와, 대기 해제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세척실로부터 상기 변기 시트를 반출하는 착좌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cas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and including a washing chamber for the toilet seat and an opening/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eaning chamber;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toilet seat to be accommodated in or taken out of the washing chamber; a cleaning fluid supply unit hav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for spraying water and air into the cleaning chamber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toilet seat; a discharge guid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chamber to guide the water in the washing chamber to be discharged into the toilet; a seating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mode switching based on the sea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ating sens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when the seating signal is not received and enters the toilet seat into the washing room. A washing mode that accommodates and washes and sterilizes, a standby mode that waits the toilet seat in the washing room after completion of the washing mode, and a seating mode that takes out the toilet seat from the washing room when a standby release signal is received can control the transi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that receives the standby release signal from the user, or detects whether the user is in proximity to generate the standby release signal.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분사 노즐에 의해 상기 세척실 내부에 물 또는 공기가 분사되는 중에, 상기 세척실 내에서 상기 변기 시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move the toilet seat in the washing chamber while water or air is sprayed into the washing chamber by the spray nozzl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복수 개의 분사 노즐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move the toilet seat closer to or away from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세척 유체 공급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사 노즐 각각에 상기 변기 시트와의 거리에 따라 분사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을 변화시켜 공급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may supply each of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by changing the pressure of water or air spray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toilet sea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변기 시트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복수 개의 분사 노즐에 대하여 상기 변기 시트가 배치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toilet seat to change an angle at which the toilet seat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변기 시트가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 물 또는 공기가 분사되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ray nozzle, an angle at which water or air is spray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toilet seat is dispos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 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세척실의 내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또는 공기의 분사 중에 이동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pray nozzle is mov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so that it can move while spraying water or ai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착석하였는지 여부 및 변기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착석 여부 및 근접 여부에 따라, 변기 시트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세척 작업을 거치지 않아도 변기 시트를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and whether the user is close to the toilet seat. Depending on whether a person is seated or not, water and air can be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to automatically clean and sterilize the toilet seat without the user having to go through a separate clean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시트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변기 시트의 각도 및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변기 시트를 전체적으로 세척하고,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ngle and position of the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and air on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sea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wash the toilet seat as a whole and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의 분사 노즐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의 배치 각도 변화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pray nozzle of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hange in arrangement angle of a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bide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의 분사 노즐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의 배치 각도 변화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pray nozzle of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an example of a change in arrangement angle of a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for explaining 5 is a side view of a bide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는, 변기 시트에 사용자 착석 여부 및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변기 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변기 시트를 세척실에 수납하여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으며, 분사되는 물과 공기의 압력 및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변기 시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or not a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and whether the user is close to the toilet seat. It supports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oilet seats more efficiently by configuring the pressure and spray angle of sprayed water and air to be adjus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100)는, 케이싱(110), 구동부(120), 세척 유체 공급부(130), 배출 유도부(140), 제어부(150), 착좌 감지부(160) 및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10 , a driving unit 120 , a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 a discharge guide unit 140 ,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50 , a seating detection unit 160 , and a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110)은 변기 시트(1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세척실(111) 및 개폐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케이싱(110)은 변기 시트(10)에서 변기 시트(10)가 접히는 부분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변기 시트(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세척실(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변기 시트(10)를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일으켜 세워 케이싱(110)의 내부인 세척실(111)에 수용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ing 110 may accommodate the toilet seat 10 , and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chamber 111 and an opening/closing unit 112 . For example, the casing 1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a portion of the toilet seat 10 in which the toilet seat 10 is folded, and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A washing chamber 111 , which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oilet seat 10 , is formed inside the casing 110 , and the toilet seat 10 is rais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o provide a cleaning chamber inside the casing 110 . (111) can be accommod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100)는 변기 시트(10)가 세척실(111)에 수용되면, 변기 시트(10)의 세척, 살균 및 건조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100 may start cleaning, sterilizing, and drying the toilet seat 10 when the toilet seat 10 is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chamber 111 . .

변기 시트(10)의 세척 및 살균 작업은 세척실(111)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실(111)은 케이싱(110)의 내부에 변기 시트(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변기 시트(10)를 세워진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변기 시트(10)는 개폐부(112)의 열고 닫음을 통해 세척실(111)에 수납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개폐부(112)는 세척실(111)을 개폐할 수 있다.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toilet seat 10 may be performed in the cleaning room 111 . The washing chamber 11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10 inside the casing 110 and can accommodate the toilet seat 10 in an upright state. The toilet seat 10 may be accommodated in or taken out of the washing chamber 111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unit 112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2 may open and close the washing chamber 111 .

개폐부(112)는 세척실(111)의 양측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세척실(111)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부(112)는 한 쌍의 도어(112a) 및 한 쌍의 힌지(112b)를 구비할 수 있다. 힌지(112b)는 세척실(111)의 양 측에 케이싱(110)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힌지(112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어(112a)는 힌지(11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세척실(111)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112a)는 세척실(111)의 전면을 덮도록 세척실(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한 쌍의 도어(112a)는 각각 상측 일 모서리가 호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세척실(111) 개방 시, 도어(112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112b)를 중심축으로 세척실(111)의 전방을 향하여 대략 90도 회전되어 세척실(111)을 전방으로 개방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art 112 may be operated to open or close the washing chamber 111 by a rotation operation on both sides of the washing chamber 111 . As shown, the opening/closing unit 112 may include a pair of doors 112a and a pair of hinges 112b. The hinge 112b may be formed to be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casing 110 on both sides of the washing chamber 111 , and the hinge 112b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oor 112a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hinge 112b to be rotated to open or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111 . The pair of doors 112a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chamber 111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111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each of the pair of doors 112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one upper corner has an arc shape. When the washing chamber 111 is opened, the door 112a rotates approximately 90 degrees toward the front of the washing chamber 111 with the hinge 112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to open the washing chamber 111 forward.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기 시트(10)가 세척실(111)로 이동되는 동작은 구동부(12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20)는 변기 시트(10)를 세척실(111)에 수납 또는 반출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toilet seat 10 to the washing chamber 111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unit 120 . The driving unit 120 may move the toilet seat 10 to be accommodated in or taken out of the washing chamber 111 .

구동부(12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세척실(111) 뒤편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 작업이 개시되면, 구동부(120)는 변기 시트(10)를 회전시키고 개폐부(112)를 열어 세척실(111)로 변기 시트(10)를 수납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is formed inside the casing 110 , and may be disposed behind the washing chamber 111 . 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started, the driving unit 120 may rotate the toilet seat 10 and open the opening/closing unit 112 to accommodate the toilet seat 10 into the cleaning chamber 111 .

또한, 구동부(120)는 개폐부(112)의 동작을 구동할 수 있다. 변기 시트(10)를 세척실(111)에 수납하기 전에, 구동부(120)는 개폐부(112)의 도어(112a)를 개방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변기 시트(10)가 세척실(111)에 수납된 후, 구동부(120)는 개폐부(112)의 도어(112a)를 폐쇄하도록 구동할 수 있고, 후술하는 세척 모드 중에는 도어(112a)가 세척실(111)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Also, the driving unit 120 may drive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112 . Before the toilet seat 10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chamber 111 , the driving unit 120 may drive the door 112a of the opening/closing unit 112 to open. After the toilet seat 10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chamber 111, the driving unit 120 may drive to close the door 112a of the opening/closing unit 112, and during a washing mode to be described later, the door 112a is moved to the washing compartment. (111) can be kept closed.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케이싱(110)이 대략 수평으로 놓여 있는 변기 시트(10)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부(120)에 의해, 세척실(111) 또는 세척실(111)을 형성하는 케이싱(110)이 회전되어 변기 시트를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some cases,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asing 110 forming the cleaning chamber covers the toilet seat 10 lying approximately horizontally. That is, the washing chamber 111 or the casing 110 forming the washing chamber 111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120 to accommodate the toilet seat.

세척실(111)로 변기 시트(10)의 수납이 완료되면, 세척실(111) 내부에서는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세척 작업은 세척 유체 공급부(1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 유체 공급부(130)는 분사 노즐(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torage of the toilet seat 10 into the cleaning chamber 111 is completed, a cleaning operation of spraying water or air toward the toilet seat 10 may be started in the cleaning chamber 111 . The clean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pray nozzle 131 .

구동부(120)는 분사 노즐(131)에 의해 세척실(111) 내부에 물 또는 공기가 분사되는 중에, 세척실(111) 내에서 변기 시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세척실(111) 내부에 수용된 변기 시트(10)를 세척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 시계 방향 및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may move the toilet seat 10 in the washing chamber 111 while water or air is sprayed into the washing chamber 111 by the spray nozzle 131 . 4A and 4B , the driving unit 120 may rotate the toilet seat 10 accommodated in the washing chamber 111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while the washing operation is in progress.

구동부(120)는 변기 시트(10)를 회전 이동시켜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에 대하여 변기 시트(10)가 배치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변기 시트(10)의 회전 이동은 세척실(111)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may rotate the toilet seat 10 to change an angle at which the toilet seat 10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oilet seat 10 may be set by adjusting the angle so that the toilet seat 10 can be rotated inside the washing chamber 111 .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부(120)는 변기 시트(10)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이동시켜, 변기 시트(10)를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변기 시트(1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과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20 may rotate the toilet seat 10 at a preset angle to move the toilet seat 10 closer to or away from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 Referring to FIG. 4A , the driving unit 120 may rotate the toilet seat 10 counterclockwise by a preset angle to move it away from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

도 4b를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변기 시트(10)를 시계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켜,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세척실(111)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변기 시트(10)의 회전 이동은 변기 시트(10)의 전체적인 면이 세척 및 살균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Referring to FIG. 4B , the driving unit 120 may rotate the toilet seat 10 in a clockwise direction by a preset angle to move it closer to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oilet seat 10 made inside the washing chamber 111 supports the entire surface of the toilet seat 10 to be cleaned and sterilized.

세척 유체 공급부(130)는 변기 시트(10)의 세척 및 살균을 위하여, 세척실(111) 내부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for spraying water and air into the cleaning chamber 111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toilet sea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은, 도 3을 참조하면, 세척실(111) 내부에서 변기 시트(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131)의 배치 간격 및 수는 변기 시트(10)의 전체적인 면을 세척 및 소독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분사 노즐(131)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 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ilet seat 10 in the washing chamber 111 . The spacing and number of spray nozzles 131 may be set to clean and disinfect the entire surface of the toilet seat 10 . The spray nozzle 131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분사 노즐(131)은 변기 시트(10)의 세척 및 살균을 위해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변기 시트(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 된 분사 노즐(131)은 변기 시트(10)를 전체적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다.The spray nozzle 131 is formed to spray water or air toward the toilet seat 10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toilet seat 10 . The spray nozzles 13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ilet seat 10 can clean and sterilize the toilet seat 10 as a w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사 노즐(131)은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유체는 물을 포함한다. 또한, 분사 노즐(131)은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공기는 증기(steam)를 포함하며, 증기는 상온보다 고온으로 가열된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nozzle 131 may spray the fluid toward the toilet seat 10 . The fluid includes water. Also, the spray nozzle 131 may spray air toward the toilet seat 10 . Air includes steam, and the steam may be heated to a higher temperature than room temperature.

변기 시트(10)는 분사 노즐(131)에서 분사되는 유체 또는 공기를 통해 변기 시트(10)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변기 시트(10)를 전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toilet seat 10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toilet seat 10 through the fluid or ai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131 , sterilize the toilet seat 10 as a whole, and protect it from harmful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do.

세척 유체 공급부(130)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 각각에 변기 시트(10)와의 거리에 따라 분사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을 변화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시트(10)가 분사 노즐(131)로부터 멀어진 경우에는, 분사 노즐(131)은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을 강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supply each of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by changing the pressure of water or air spray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toilet seat 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 when the toilet seat 10 moves away from the spray nozzle 131 , the spray nozzle 131 sets a strong pressure of water or air supplied toward the toilet seat 10 . can

다른 일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시트(10)가 분사 노즐(131)로부터 가까워진 경우에는, 분사 노즐(131)은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을 약하게 설정할 수 있다. 분사 노즐(131)에서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 강도 조절은 변기 시트(10)의 세척 및 살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B , when the toilet seat 10 approaches the spray nozzle 131 , the spray nozzle 131 decreases the pressure of water or air supplied toward the toilet seat 10 . can be set. By adjusting the pressure intensity of water or air supplied from the spray nozzle 131 toward the toilet seat 10 ,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toilet seat 10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3을 참조하면, 분사 노즐(131)의 적어도 일부는 세척실(111)의 내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또는 공기의 분사 중에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t least a portion of the spray nozzle 131 is mov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111 to move while spraying water or ai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척실(111)에 배치된 복수 개의 분사 노즐(131) 중 일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변기 시트(10)의 형상을 따라 배치된 분사 노즐(131) 중 이동 가능한 분사 노즐(131)은 격자로 설정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분사 노즐(131)은 세척실(111)의 내면 상에서 기 설정된 각도와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노즐(131)은 세척실(111)의 내면 상에서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131)은 세척실(111)의 내면 상에서 각 대각선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척실(111)에서 분사 노즐(131)의 배치된 위치에 따라 분사 노즐(131)의 이동 가능 방향을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131 disposed in the washing chamber 111 may be set to be movable. For example, among the spray nozzles 131 disposed along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10 , the movable spray nozzles 131 may be set as a grid. The movably installed spray nozzle 131 may be mov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111 by a preset angle and distance. For example, the spray nozzle 131 ma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111 . In addition, the spray nozzle 131 may move in each diago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111 . The movable direction of the spray nozzle 131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pray nozzle 131 in the washing chamber 111 .

분사 노즐(131)의 이동은 변기 시트(10)의 전체적인 세척 및 살균을 가능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변기 시트(10) 상에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효율적인 세척 및 살균 또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가능한 분사 노즐(131)의 배치 및 이동 방향 설정은 여러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ovement of the spray nozzle 131 may not only enable the overall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the toilet seat 10 , but may also enable efficient cleaning and sterilization of parts on the toilet seat 10 requiring intensive management. The disposition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able spray nozzle 131 may be set in several different ways,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131)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변기 시트(10)가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 물 또는 공기가 분사되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 in the spray nozzle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at which water or air is spray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toilet seat 10 is disposed.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유체 공급부(130)는 변기 시트(10)가 분사 노즐(131)로부터 멀어진 경우, 분사 노즐(131)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의 분사 각도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 유체 공급부(130)는 세척실(111)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정된 분사 노즐(131)의 이동 범위를 크게 이동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A ,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adjusts the spray angle of water or air supplied from the spray nozzle 131 when the toilet seat 10 moves away from the spray nozzle 131 . can change significantly. Also,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greatly move the movement range of the spray nozzle 131 set to be movabl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chamber 111 .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유체 공급부(130)는 변기 시트(10)가 분사 노즐(131)로부터 가까워진 경우, 분사 노즐(131)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의 분사 각도를 작게 변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척 유체 공급부(130)는 세척실(111)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정된 분사 노즐(131)의 이동 범위를 작게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change the spray angle of water or air supplied from the spray nozzle 131 small when the toilet seat 10 approaches the spray nozzle 131 . . Similarly,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move a small movement range of the spray nozzle 131 set to be movabl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chamber 1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유도부(140)는 세척실(111)의 하부에 연통되어 세척실(111) 내의 물을 변기 안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배출 유도부(140)는 변기 시트(10)의 세척을 수행한 물 또는 공기가 임의의 공간으로 확산되거나 튀지 않도록 배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chamber 111 to induce the water in the washing chamber 111 to be discharged into the toilet.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may set a drainage path so that water or air, which has been cleaned of the toilet seat 10 , does not diffuse or splash into an arbitrary spac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출 유도부(140)는,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110)에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세척실(111)에서 변기 시트(10)를 세척하는 데 사용된 물 또는 공기는 케이싱(110)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 유도부(140)를 통해 변기로 배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110, referring to FIG. 1 . For example, water or air used to wash the toilet seat 10 in the washing room 111 may be drained into the toilet through the discharge guide unit 14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110 .

배출 유도부(140)는 변기 시트(10)를 세척하는 데 사용된 물 또는 공기의 배수 동작이 변기 시트(10)의 세척이 진행되는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변기 시트(10)의 세척이 끝난 후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discharge guide unit 140 is configured so that the draining operation of water or air used to clean the toilet seat 10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toilet seat 10 being cleaned or after the toilet seat 10 has been cleaned. can be set.

착좌 감지부(160)는 변기 시트(10)에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부(160)는, 도 1을 참조하면, 변기 시트(10)의 설정된 일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변기 시트(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The seating detection unit 160 may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 Referring to FIG. 1 , the seating sens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oilet seat 10 , a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disposed on the toilet seat 10 . .

착좌 감지부(160)는 변기 시트(10)에 사용자가 접근 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장치로,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체 감지 센서는 힘이나 하중과 같은 물리량을 감지하고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itting sensor 160 is a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approach to the toilet seat 10 , and may includ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Here,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may be formed of a load cell capable of sensing and measuring a physical quantity such as force or lo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부(160)는 변기 시트(10)에 사용자가 착석함으로써 감지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착좌 감지부(160)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변기 시트(10)에 착석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seating detection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weight of the user detecte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 Accordingly, the seating detection unit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to use the toilet.

한편,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는 사용자로부터 대기 해제 신호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대기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는 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변기 근처에 근접한 것만으로도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may receive a standby release signal from the user or may generate a standby release signal by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in proximity. Accordingly,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ng unit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will use the toilet only by being close to the toilet in order to use the toi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는,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110)의 설정된 일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may be formed in a set region of the casing 110,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here.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변기 시트(10)에 착석하지 않더라도, 변기 근처에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변기 사용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는 변기 전방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ven if the user does not sit on the toilet seat 10 to use the toilet,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ng unit 170 may detect whether the user is close to the toilet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using the toilet.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movement in front of the toilet.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는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누르는 등 수동으로 대기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변기에 근접함을 감지함으로써 자동으로 대기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can generate a standby release signal manually, such as when the user directly presses a button, or automatically detects the user's proximity to the toilet even if the user does not take a separate action to automatically detect the standby release signal. can create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로부터 생성된 대기 해제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되어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세척 모드, 대기 모드 및 착좌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변기로부터 기설정된 일정 거리 범위 내 근접한 경우, 대기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대기 해제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되어, 변기 시트(10)의 세척과 관련된 동작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에서 변기에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하여 생성된 대기 해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세척이 완료된 변기 시트(10)를 세척실(111)로부터 반출하여,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대기 모드에서 착좌 모드로 전환).The standby release signal generated from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or to control switching to a washing mode, a standby mode, and a seating mode. For example,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may generate a standby release signal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oile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ilet to use the toilet. The generated standby releas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 so that an operation related to washing the toilet seat 10 may not be started. As another example,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detects a user close to the toile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tandby release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toilet seat 10 that has been washed is taken out from the washing room 111, It can support users to use the toilet (switching from standby mode to sitting mode).

제어부(150)는 착좌 신호의 미수신시 구동부(120)의 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세척 모드와 대기 모드 및 착좌 모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실(111) 내로 변기 시트(10)를 수납하여 세척 및 살균시킬 수 있고, 대기 모드에서는 세척 모드 완료 후 세척실(111) 내에서 변기 시트(10)를 세워진 상태로 대기시킬 수 있고, 착좌 모드에서는 대기 해제 신호의 수신 시 세척실(111)로부터 변기 시트(10)를 반출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allow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when the seating signal is not received.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switching between the washing mode, the standby mode, and the sitting mode. In the washing mode, the toilet seat 10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shing room 111 to be cleaned and sterilized, and in the standby mode, the toilet seat 10 can be placed in an upright state in the washing room 111 after the washing mode is completed. In the sitting mode, the toilet seat 10 may be taken out from the washing room 111 when the standby release signal is received.

제어부(150)는 착좌 감지부(160) 및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착좌 신호 및 대기 해제 신호를 전달받으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구동부(120) 및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동작을 실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ating detection unit 160 and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 When the seating signal and the standby release signal are received,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washing fluid supply unit 130 not to operate for the safety of the user.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착좌 감지부(160)로부터 착좌 신호가 미감지되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변기 시트(10)를 세척실(111)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to accommodate the toilet seat 10 into the washing room 111 on the premise that no seating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ating detection unit 160 . can be controlled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170)로부터 대기 해제 신호를 수신 받으면, 대기 모드에서 변기 시트(10)를 세척실(111)로부터 반출하는 착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the standby release signal from the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170 , the controller 150 may switch from the standby mode to a seating mode in which the toilet seat 10 is taken out from the washing room 111 .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분사 노즐(131)에서 변기 시트(10)를 향하여 공급되는 물과 공기의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 노즐(131)과 변기 시트(10) 간의 거리에 따라, 공급되는 물과 공기의 압력을 강하거나 약하게 조절하여 효율적인 변기 시트(10)의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adjust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water and air supplied from the spray nozzle 131 toward the toilet seat 10 .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pray nozzle 131 and the toilet seat 10 , the controller 150 adjusts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water and air to be strong or weak, thereby effectively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toilet seat 10 . can make it hap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50)는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모드를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수동으로 설정하여 변기 시트(10)의 세척을 자동으로 진행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진행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witching of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to an automatic mode or a manual mode. The control unit 150 automatically sets the mode of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to suit the user's needs, or sets it manually to automatically wash the toilet seat 10, or manually switches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so that the user can proceed directly. can do.

예를 들어, 제어부(150)에서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면, 착좌 감지부(160)에서 변기 시트(10)에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여 착좌 신호가 미감지 되는 경우에만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구동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자동 모드에서는,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구동이 기 설정한 주기에 맞춰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3시간 또는 5시간마다 변기 시트(10)의 세척이 진행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50 automatically sets the mode of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 the seating detection unit 160 detects whether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and no seating signal is detected. Only in this case, the wash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be driven. Meanwhile, in the automatic mode,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be set to operate according to a preset cycle.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150 may set the toilet seat 10 to be washed every 3 or 5 hours.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50)에서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모드를 수동으로 전환하면, 변기 시트(10)의 세척을 위한 구동부(120)의 동작 및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동작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세척 유체 공급부(13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부(15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150 manually switches the mode of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for cleaning the toilet seat 10 and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0 may be changed by the user. can be manually operated directly. In this case,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fluid supply unit 130 .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 시스템은, 이용자에 대한 정보 및 사용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여 이용자의 별도 조작이나 세부 설정 없이도 물내림, 세척, 비데 및 건조 과정을 각 이용자 별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bide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user information and usage history to provide flushing, washing, bidet and drying processes for each user without the user's separate operation or detailed setting. do.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a bide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데 시스템(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감지부(210), 체온감지부(220), 세척부(230), 이력 생성부(240), 제어부(250), 표시부(260) 및 통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bidet system 200 includes a weight sensing unit 210 ,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 a washing unit 230 , a history generating unit 240 , a control unit 250 , and a display unit 260 . ) and a communication unit 27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중감지부(210)는 변기 시트(10)에 착좌하는 이용자의 체중을 감지할 수 있고, 체온감지부(220)는 변기 시트(10)에 착좌하는 이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The weight sensing unit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weight of a user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may detect the body temperature of a user seated on the toilet seat 10 . can detect

체중감지부(210) 및 체온감지부(220)는, 도 5를 참조하면, 변기 시트(10)의 일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변기 시트(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체중감지부(210) 및 체온감지부(220)는 이용자의 체중 및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장치로,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체 감지 센서는 힘이나 하중과 같은 물리량을 감지하고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weight sensing unit 210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oilet seat 10 , a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disposed on the toilet seat 10 . The weight sensing unit 210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are sensor devices for sensing the user's weight and body temperature, and may include a human body sensor. Here,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may be formed of a load cell capable of sensing and measuring a physical quantity such as force or loa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230)는 세척 동작 및 건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세척부(230)는 용변을 본 이용자에게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을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데를 사용하는 이용자는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버튼을 입력하여 조작하거나, 음성으로 명령을 내려야 한다. The washing unit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washing operation and a drying operation. The washing unit 230 may substantially provide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to the user who has gone to the toilet. In general, a user using a bidet must manually input a button to operate the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or give commands by voice.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체중감지부(210) 및 체온감지부(220)에서 감지한 이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별도의 수동 조작이나 음성 명령 없이도 세척부(230)에서 이용자에게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inconvenience,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210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the user in the washing unit 230 without a separate manual operation or voice command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can be provided.

세척부(230)는 수온 감지부(2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온 감지부(231)는 세척 동작을 위한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온 감지부(231)는 이용자에게 세척 동작을 제공하는 경우, 이용자별로 적절한 온도의 물의 온도를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washing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emperature sensing unit 231 .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231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water for a washing operation. When providing a washing operation to the user, the water temperature sensing unit 231 may set and provide a water temperature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ach us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력 생성부(240)는 체중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이용자의 체중에 기초하여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력 생성부(240)는 이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변기의 물내림 기록 및 세척부(230)의 세척 동작 및 건조 동작에 대한 기록을 포함하는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 생성부(240)는 생성된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를 제어부(250)로 전달하여, 세척부(230)에서 이용자별로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이력 생성부(240)는 생성된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를 관리자의 서버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달하여, 관리자가 비데 시스템(200)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비데 관리자는 이력 생성부(240)에서 수신받은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 대한 그룹화 설정 및 각 그룹에 따른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의 설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The history generating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dentify the user based on the user's weight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210 . The history generator 240 may generate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including a record of flushing the toilet and a record of the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of the washing unit 230,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weight. . For example, the history generating unit 240 transmits the generated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the control unit 250 , and supports the washing unit 230 to provide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for each user. As another example, the history generator 240 may support the administrato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bidet system 200 by transmitting the generated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the administrator's server or smartphone. The bidet manager can more efficiently set and manage grouping settings for users and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 settings for each group based on the us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received from the history generating unit 24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관리자 서버 또는 스마트폰에 근거리 통신 등으로 송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에 따라, 세척부(230)는 체중감지부(210) 및 체온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이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속한 그룹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적절한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관리자 서버 또는 스마트폰에 송신된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는 관리자가 비데 시스템(200)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may be stored in an internal database or transmitted to an administrator server or a smart phone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stored in the internal database, the washing unit 230 identifies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ight sensor 210 and the body temperature sensor 220, , can provide users with appropriate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For another example, the us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or the smart phone may support the manage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bidet system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이용자의 체중 또는 체온에 대한 정보와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 동작 및 건조 동작과 변기의 물내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and flushing of the toilet based on information on the user's weight or body temperature and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제어부(250)는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 별로 대응할 수 있는 세척부(230)의 동작 설정 및 물의 온도를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개인별 맞춤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 동작 및 건조 동작과 변기의 물내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Based on the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the control unit 250 may generate personalized information including an operation setting of the washing unit 230 capable of responding to each user and the temperature of water.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a washing operation and a drying operation, and a flushing operation of the toilet, based on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50)는 수신 받은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별 맞춤 정보는 체중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이용자의 체중을 바탕으로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 남성, 여성, 어린이 및 성인 등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그룹화된 남성, 여성, 어린이 및 성인 등의 그룹별로 세척부(230)에서 각각 차별화된 동작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와 성인에게 제공하는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의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여성과 남성에게 제공하는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에서 물의 온도 및 압력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250 may generate personalized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based on the received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may be grouped into men, women, children, and adults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based on the user's weight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210 .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washing unit 230 to implement each differentiated operation for each group such as men, women, children, and adult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different times for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provided to children and adults. As another example,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water may be set differently in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provided to women and me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50)는 체중감지부(210) 또는 체온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별 맞춤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 동작 및 건조 동작과 변기의 물내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50)는 체중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이용자의 체중에 따라,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의 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체온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이용자의 체온에 따라, 세척, 비데 및 건조 동작에서 물의 온도 및 압력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50 performs washing and drying operations and toilet water based on personaliz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210 or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 You can control the lowering action.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250 may set different times for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21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may set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water differently in the washing, bidet, and dry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emperature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to provide 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60)는 이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제어부(250)로부터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소모품 교체 신호 또는 고장 진단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는 이용자의 체중 또는 체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와, 상기 세척 동작 및 건조 동작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비데 시스템(200)의 현재 상태와 사용 이력 등을 표시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데 시스템(200)을 보다 편리사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에서 제공하는 시각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는 비데 시스템(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이상 징후를 초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weight. The display unit 260 may receive and output a consumable replacement signal or a failure diagnosis signal generated based on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from the control unit 250 .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60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user's weight or body temperature, the us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information on the washing operation and the drying oper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current state and usage history of the bidet system 200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based on this, the bidet system 200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play unit 260 , the manager may initially detect and respond to problems and abnormal symptoms that may occur in the bidet system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70)는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를 서버 또는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제어부(250)로부터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소모품 교체 신호 또는 고장 진단 신호를 전달받아 서버 또는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자는 비데 시스템(200)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비데를 직접적으로 분해하고 해체하지 않아도, 서버 또는 단말기를 통해 소모품 현황이나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2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a server or a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receive a consumable replacement signal or a fault diagnosis signal generated based on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from the control unit 250 and transmit it to a server or a terminal. By receiving overall information about the bidet system 200, the manager can check and manage the status of consumables or failures through the server or terminal without directly dis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bidet.

통신부(270)는 체중감지부(210) 또는 체온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체중변화의 통계정보 또는 체온변화의 통계정보를 이용자가 등록한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해당 이용자의 건강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transmit statistical information of weight change or body temperature change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210 or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20 to a terminal or server registered by the user, and as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utiliz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100)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데 시스템(200)은 변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변기 관리 시스템은, 변기 시트의 세척을 위한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100)와, 이용자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변기 및 비데의 동작을 제공하는 비데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bidet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titute a toilet management system.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management system includes a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100 for cleaning a toilet seat, and a bidet system 200 that provides operation of the toilet and bidet by generating usage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user. may includ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변기 시트
11: 물내림부
100: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
110: 케이싱
111: 세척실
112: 개폐부
120: 구동부
130: 세척 유체 공급부
131: 분사 노즐
140: 배출 유도부
150: 제어부
160: 착좌 감지부
170: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
200: 비데 시스템
210: 체중감지부
220: 체온감지부
230: 세척부
231: 수온감지부
240: 이력 생성부
250: 제어부
260: 표시부
270: 통신부
10: toilet seat
11: Watering part
100: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device
110: casing
111: washing room
112: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driving unit
130: cleaning fluid supply unit
131: spray nozzle
140: exhaust induction unit
150: control unit
160: seated detection unit
170: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on unit
200: bidet system
210: weight sensing unit
220: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230: washing unit
231: water temperature sensing unit
240: history generator
250: control unit
260: display unit
270: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9)

변기 시트의 자동 세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변기 시트를 수용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세척실에 수납 또는 반출하도록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변기 시트의 세척 및 살균을 위하여, 상기 세척실 내부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세척 유체 공급부;
상기 세척실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세척실 내의 물을 변기 안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배출 유도부;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착좌 감지부; 및
상기 착좌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착좌 신호에 기초하여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 신호의 미수신 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세척실 내로 상기 변기 시트를 수납하여 세척 및 살균하는 세척 모드와, 상기 세척 모드 완료 후 상기 세척실 내에서 상기 변기 시트를 대기시키는 대기 모드와, 대기 해제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세척실로부터 상기 변기 시트를 반출하는 착좌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부는, 각각의 분사 노즐에 의해 상기 세척실 내부에 물 또는 공기가 분사되는 중에, 상기 세척실 내에서 상기 변기 시트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변기 시트를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변기 시트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에 대하여 상기 변기 시트가 배치되는 각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세척 유체 공급부는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에 상기 변기 시트와의 거리에 따라 분사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을 변화시켜 공급하고,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은, 상기 변기 시트와의 거리에 따라 물 또는 공기가 분사되는 각도가 변화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세척실의 내면 상에서 배치된 위치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또는 공기의 분사 중에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세척실의 내면 상에서 상 방향, 하 방향, 좌 방향, 및 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세척실의 내면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이고,
상기 세척 유체 공급부는,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이 상기 변기 시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멀어진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 및 물 또는 공기의 분사 각도를 미리 설정된 압력, 및 미리 설정된 분사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세척실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정된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의 이동 거리를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보다 크게 설정하고,
상기 세척 유체 공급부는,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이 상기 변기 시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워진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에서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의 압력, 및 물 또는 공기의 분사 각도를 미리 설정된 압력, 및 미리 설정된 분사 각도보다 작게 설정하고, 상기 세척실의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정된 상기 각각의 분사 노즐의 이동 거리를 미리 설정된 이동 거리보다 작게 설정하는,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
A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a toilet seat, comprising:
a cas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and having a washing chamber accommodating the toilet seat and an opening/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shing chamber;
a driving unit for rotatingly moving the toilet seat into or out of the washing chamber;
a cleaning fluid supply unit hav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for spraying water and air into the cleaning chamber for cleaning and sterilizing the toilet seat;
a discharge guid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chamber to guide the water in the washing chamber to be discharged into the toilet;
a seating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seate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mode based on the sea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ating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seating signal is not receiv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allowed,
a washing mode in which the toilet seat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room to wash and sterilize; Characterized in controlling the transition to the seating mode to take out the seat,
The driving unit rotates and moves the toilet seat in the washing chamber while water or air is sprayed into the washing chamber by the respective spray nozzles;
The driving unit rotationally moves the toilet seat closer to or away from each of the spray nozzles;
The driving unit rotationally moves the toilet seat to change an angle at which the toilet seat is dispos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pray nozzles;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supplies each of the spray nozzles by varying the pressure of water or air spray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oilet seat,
In each of the spray nozzles, the angle at which water or air is spray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oilet se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is installed to be movable by a preset angle and a preset distance according to a posit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and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while water or air is sprayed. go to the mode of
The first mode is a mode for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and the second mode is a mode for moving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may include, when each of the spray nozzles is farther than a preset distance from the toilet seat, a pressure of water or air supplied from each spray nozzle, and a spray angle of water or air to a preset pressure; and set larger than a preset spray angle, and set a movement distance of each of the spray nozzles set to be movabl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to be greater than a preset movement distance,
The cleaning fluid supply unit may include, when each of the spray nozzles is closer than a preset distance from the toilet seat, adjusts the pressure of water or air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spray nozzles and the spray angle of water or air to a preset pressure; and set smaller than a preset spray angle, and set a movement distance of each of the spray nozzles set to be movable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chamber to be smaller than a preset movement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대기 해제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ilet seat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tandby release signal detecting unit receiving the standby release signal from a user 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in proximity to generate the standby releas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감지부는 상기 변기 시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sensing unit is configured to sense a load applied to the toilet se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14432A 2020-02-06 2020-02-06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KR102341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32A KR102341017B1 (en) 2020-02-06 2020-02-06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PCT/KR2021/000705 WO2021157903A1 (en) 2020-02-06 2021-01-19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ashing toilet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32A KR102341017B1 (en) 2020-02-06 2020-02-06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085A KR20200115085A (en) 2020-10-07
KR102341017B1 true KR102341017B1 (en) 2021-12-20

Family

ID=7288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32A KR102341017B1 (en) 2020-02-06 2020-02-06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1017B1 (en)
WO (1) WO202115790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017B1 (en) * 2020-02-06 2021-12-20 주식회사 로그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KR20220170050A (en) 2021-06-22 2022-12-29 송재원 the toilet seat canning rotate and wash
KR20230052522A (en) 2021-10-13 2023-04-20 이미현 Apparatus for cleaning the toilet
CN114870054B (en) * 2022-05-27 2023-09-19 恒洁卫浴集团有限公司 Closestool steriliz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677A1 (en) * 2006-12-12 2008-06-19 Takeshi Takagi Toilet seat rinsing system
JP2014068778A (en) * 2012-09-28 2014-04-21 Yutaka Nogami Toilet seat wash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914B1 (en) * 2010-07-20 2012-11-15 봉덕수 Toilet stool having a bidet and seat washing device
KR20120014663A (en) * 2010-08-10 2012-02-20 김상일 Toilet seat with bidet and cleaning apparatus of toilet stool
KR101781848B1 (en) * 2010-11-01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and Toilet having the Same
KR102341017B1 (en) * 2020-02-06 2021-12-20 주식회사 로그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677A1 (en) * 2006-12-12 2008-06-19 Takeshi Takagi Toilet seat rinsing system
JP2014068778A (en) * 2012-09-28 2014-04-21 Yutaka Nogami Toilet seat was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7903A1 (en) 2021-08-12
KR20200115085A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017B1 (en) Automatic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KR100679293B1 (en) Automatic hand washer
CN101077294B (en) Dishwasher sterilizing method
US20170273534A1 (en) Washing or washing/sterilizing and drying or drying/sterilizing with optional independent sterilization apparatus with robotic arms
KR102025342B1 (en) Steam sterilizing and washing apparatus for toilet bowl
KR20090059354A (en) Automatic machine for washing and sterilizing hands
CN107874676B (en) Automatic temperature-adjusting auxiliary cleaning equipment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1201914B1 (en) Toilet stool having a bidet and seat washing device
KR20200002437U (en) Smart toilet safe in use
KR101041778B1 (en) Toilet stool having seat washing device
KR101683151B1 (en) Automatic hand washer device
JP6587221B2 (en)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KR20200115086A (en) Bidet system
JP4958057B2 (en) Automatic hand washing equipment
KR100719063B1 (en) Sterilization also washing process for night chair and night chair have a sterilization also washing function of sit excreta
KR20030080863A (en) An automatic sterilizing and washing system of a seat for stool
CN201036531Y (en) Automatic-cleaning device for buffer of closet seat
KR101250354B1 (en) Bidet having steam sterilization function
KR101675060B1 (en) toilet seat with washing devices
KR102410829B1 (en) Robot dishwasher system
KR20130096570A (en) Toilet bowl
KR101181525B1 (en) A commode
JP7212860B2 (en) toilet seat device
CN214005873U (en) Water spraying descaling closestool
KR20140070785A (en) Method of operating bidet suitable for cleaning toilet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