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41B1 -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41B1
KR102340741B1 KR1020200129489A KR20200129489A KR102340741B1 KR 102340741 B1 KR102340741 B1 KR 102340741B1 KR 1020200129489 A KR1020200129489 A KR 1020200129489A KR 20200129489 A KR20200129489 A KR 20200129489A KR 102340741 B1 KR102340741 B1 KR 10234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y
human relationship
human
column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희
Original Assignee
김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희 filed Critical 김덕희
Priority to KR102020012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2Back of leaves or signatures prepared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 B42D3/045Protective cases for books

Abstract

A diary inner pa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itle writing part configured to record the date and title; a human relationship display part configured to show the human relationship created on the date; and a human relationship writing part configured to record the human relationship created on the date, wherein the human relationship display part includes: a subject display section configured to show a writing subject; and a different person display section configured to show another person. The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tool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in social life.

Description

다이어리 속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Diary inlay and diary including the same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이어리 속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관계에서의 인간관계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이어리 속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ry inlay and a diary including the same, and specifically to a diary inlay and a diary including the same that can be utilized for improving human relationships in social relationships.

일반적으로 다이어리 속지는 일자별 공란을 두어, 해당일의 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메모 공간을 제공한다. In general, the inside of the diary is blank for each date, providing a memo space to record and manage the schedule for the day.

즉, 도 1을 보면 종래의 다이어리 속지에는 좌측 방향으로 시간이 나열되고 우측 방향으로 요일이 나열되어 메모를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를 보면 다른 종래의 다이어리 속지는 날짜 및 요일 및 메모란만이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메모란에 메모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종래의 다이어리 속지는 보통 펼쳤을 경우 양면을 일주일 단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 , on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diary, the time is arrang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day of the week is arranged in the right direction to make a memo. And, looking at FIG. 2, it is common to take notes in the memo column because only the date and day and the memo column are simply configured in another conventional diary inlay.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other conventional diary inlay is generally configured so that both sides can be used in units of a week when opened.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는 하루의 일상과 기억에 남는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 글자로만 이루어지게 되어 있고, 기록을 위해 문장을 구성하거나 단어의 나열 등을 고민하며 작성하다 보니 글쓰기 작성이 어려운 사람들은다이어리 작성의 즐거움이 떨어지고 글쓰기 작성이 어려우며 글쓰기를 쉽게 중도 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ith this configuration, recording the daily routine and memorable contents is made only with letters, and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writing, writing diaries because they compose sentences or think about arranging words for recording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enjoyment of writing decreases, writing is difficult, and writing is easily given up halfway through.

또한, 이러한 종래의 다이어리 속지는 단지 일상의 기록과 스케줄 관리 정도에 활용되어 사회적 생활에서 관계개선이나 자아의 성장 등 현재의 자신을 되돌아 보고 발전시키는데 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는 적합하지 않았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diary inlay is only used for daily records and schedule management, so it is not suitable as a tool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to look back and develop the current self, such as relationship improvement or self-growth in social life.

이에 본 기술분야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다이어리를 사용자가 즐겁게 작성하고 글쓰기를 편하고 쉽게 작성하며 사회적 생활에서도 의미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in this technical field, in order to improve this,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being made on a method for making a diary enjoyable for users to write, convenient and easy to write, and to be used as a meaningful tool in social lif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어리를 일상의 기재를 위한 사용에만이 아니라 사회적 생활에서 인간관계 개선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어리 속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diary not only for daily writing, but also as a tool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in social lif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iary inlay and a diary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어리를 즐겁게 작성하고 글쓰기가 쉽고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이어리 속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ary inlay and a diary including the same, which makes writing a diary enjoyable and easy and convenient to writ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는, 일자 및 제목을 기록하게 구성된 제목 기재부;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간관계 도시부; 및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기록하게 구성된 인간관계 기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는, 글쓰는 주체를 도시하도록 구성된 주체 도시란; 및 타인을 도시하도록 구성된 타인 도시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ary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tle writ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the date and title; a human relationship display unit configured to show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and a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wherein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includes a subject city configured to show a writing subjec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fferent person city column configured to show the other person.

구체적으로, 상기 주체 도시란은, 여성의 형상, 남성의 형상 또는 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되, 여성, 남성 또는 여성과 남성의 얼굴 윤곽만 기도시되어, 상기 주체의 기분을 상기 얼굴 윤곽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subject city column, both the female shape, the male shape, or both the female and male shapes are shown, but only the female, male, or female and male face outlines are shown to remind the subject's mood. It may be configured to represent an expression by drawing an expression on the outline of the face.

구체적으로,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는, 상기 제목 기재부와 상기 인간관계 기재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주체 도시란은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타인 도시란은, 상기 주체 도시란을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is located between the title description unit and the human relationship description unit, the subject city colum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and the other person city column indicates the subject city column.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구체적으로, 상기 주체 도시란은, 동물의 형상이 기도시되어 있되, 상기 동물의 윤곽만 기도시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subject city column, the shape of an animal is shown, but only the outline of the animal may be shown.

구체적으로,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의 수를 기록하게 구성된 인간관계 수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간관계 수 기록부는, 상기 제목 기재부의 우측에 위치되되, 상기 인간관계의 수를 횡방향으로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further comprising a human relationship number record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formed on the date, wherein the human relationship number recording un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itle writing unit, can be configured to describe.

구체적으로,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에 대한 사진을 기록하게 구성된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는, 상기 인간관계 기재부의 하측에 위치되되, 횡방향으로 적어도 2칸 이상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it further comprises a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a photo of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wherein the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is located below the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at least two spaces in the lateral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구체적으로, 상기 제목 기재부는, 최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일자 또는 제목을 횡방향으로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itle writing unit, located at the top, may be configured to write the date or tit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인간관계 기재부는,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의 하측에 위치되되, 횡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uman relationship base unit, located below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in at least two or more lines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는, 상기 다이어리 표지에 후속하며 목표로 하는 성별에 대한 인간관계의 수 또는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기록하는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에 후속하되, 제 1 항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 및 상기 다이어리 속지에 후속하며 완결된 인간관계의 수 또는 완결된 인간관계의 장소를 기록하는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ry plan page that follows the cover of the diary and records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a target gender or a place where human relationships are made; However, following the diary plan page, the diary inlay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ary result page that records the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or the location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following the inlay of the diary.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는, 연 및 월을 기록하게 구성된 목표 일자기재란; 목표로 하는 성별에 대한 인간관계의 수를 기재하는 목표 인간관계 수 기재란; 및 목표로 하는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의 횟수를 기재하는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ary plan page includes: a target date field configured to record the year and month; The target number of relationships in which the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the target gender is recorded; And it may include a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in which the number of visits or meetings to the place where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is made.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일자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목표 인간관계 수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여성과 남성의 형상의 하측에 목표 인간관계 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되며, 상기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이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의 하측에 목표 인간관계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arget date field is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iary plan page, and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number field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diary plan page, and both the female and male shapes are on the upper side when praying A space for describing the number of target human relationships is formed below the shape of the female and male, and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location description field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diary plan page, an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ape for a place or a meeting This is also shown, and a space in which the number of visits or the number of meetings of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is written may be formed below the shape of the place or meeting.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는, 완결된 연 및 월을 기록하게 구성된 완결 일자기재란; 완결된 인간관계의 수를 기재하는 완결 인간관계 수 기재란; 완결된 인간관계의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하는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 및 글쓰는 주체의 소감을 도시하는 완결 소감란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ary result page may include: a completion date field configured to record a completed year and month;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in which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is written; A completed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in which the number of visits or meetings to the place of the completed relationship is recorded; And it may include a final impression column showing the feeling of the writing subject.

구체적으로, 상기 완결 일자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완결 인간관계 수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여성과 남성의 형상의 하측에 완결 인간관계 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되며, 상기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이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의 하측에 완결된 인간관계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되며, 상기 완결 소감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좌측 중 상기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과 상기 완결 일자 기재부 사이에 형성되되, 글쓰는 주체의 얼굴 윤곽만 기도시되어, 상기 주체의 기분을 상기 얼굴 윤곽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letion date field is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iary result page, and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is form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diary plan page, and both female and male shapes are on the upper side when praying and a space for writing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hape of the woman and man, and the space for describing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ary plan page, and the shape for a place or a meet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is is also shown, and a spac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hape for the place or meeting to record the number of visits or meetings of the completed human relationship place, and the final impression column is the completed human on the left side of the diary plan page It is formed between the relational place description column and the completion date entry unit, and only the facial contour of the writing subject is shown, so that the mood of the subject can be expressed by drawing an expression on the facial contour.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어리 속지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 지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에 후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it further includes a sticker pap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iary, and may be disposed following the diary result page.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 상기 다이어리 속지,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 및 상기 스티커 지류는, 상기 다이어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ary plan page, the diary inlay, the diary result page, and the sticker paper may be detachably formed from the diar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는, 주체 도시란에 여성의 형상, 남성의 형상 또는 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있되, 여성, 남성 또는 여성과 남성의 얼굴 윤곽만 기도시되어, 상기 주체의 기분을 상기 얼굴 윤곽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이어리를 즐겁게 작성하고 만남에 대한 기억의 이미지와 기분을 문장으로 표현하는 글쓰기의 어려움이 없이 쉽고 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diary inlay and the dia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a female shape, a male shape, or both a female and male shape are shown in the subject city column, and a female, male, or female and male face outline The effect is achieved easily and comfortably without the difficulty of writing a diary happily and expressing the image and mood of the memory in a sentence by writing a diary and expressing the mood of the subject by drawing an expression on the face outlin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는, 인간관계 도시부가 주체 도시란 및 타인 도시란을 형성하고 있어, 다이어리를 일상의 기재를 위한 사용에만이 아니라 사회적 생활에서 인간관계 개선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diary inlay and the dia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relationship city section forms the main city column and the other city column, so that the diary is used not only for daily writing, but also for personal relationships in social lif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tool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for improvement.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표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에 작성을 완료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작성을 완료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에 작성을 완료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plan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completion of writing on a diary plan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c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completed writing on the diary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result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completion of writing on a diary result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표지에 대한 개념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에 대한 개념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에 작성을 완료한 개념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대한 개념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대한 개념도,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대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에 작성을 완료한 개념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에 작성을 완료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plan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onceptual diagram of completion of writing on a diary plan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A is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ceptual diagram, FIG. 5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diary in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ary result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conceptual diagram of completed writing on a diary result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는, 다이어리 표지(1),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 다이어리 속지(20),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 및 스티커 지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1 to 7b, the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ry cover 1, a diary plan page 10, a diary inlay 20, a diary result page 30, and a sticker paper ( not shown) are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이어리 표지(1)는, 다이어리 내에서 첫 페이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ry cover 1 may be located on the first page in the diary, and may be formed detachably from the diary.

다이어리 표지(1)는, 다이어리 속지(20)에 선행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diary cover (1) may be disposed prior to the diary inlay (20).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는, 다이어리 표지(1)에 후속하며 목표로 하는 성별에 대한 인간관계의 수 또는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는, 다이어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ry plan page 10, following the diary cover 1, can record the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the target gender or the place where the relationships are made. Here, the diary plan page 10 may be formed detachably from the diary.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는, 목표 일자 기재란(11), 목표 인간관계 수 기재란(12),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ary plan page 10 may include a target date entry field 11 , a target relationship number entry field 12 , and a target relationship location entry field 13 .

목표 일자 기재란(11)는, 연 및 월을 기록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target date field 11 may be configured to record the year and month,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iary plan page 10 .

목표 인간관계 수 기재란(12)는, 목표로 하는 성별에 대한 인간관계의 수를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여성과 남성의 형상(121)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고, 여성과 남성의 형상(121)의 하측에 목표 인간관계 수를 기재할 공란(1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number entry column 12 may be configured to write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for the target gender, and is form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diary plan page 10, and is form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female and male shapes 121 ) are all shown, and a space 122 to describe the number of target relationships may be formed below the female and male figures 121 .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13)는, 목표로 하는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131)이 기도시되어 있고,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131)의 하측에 목표 인간관계 장소의 방문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할 공란(132)이 형성될 수 있다.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13 may be configured to describe a place where a target human relationship is mad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ary plan page 10, and has a shape 131 for a place or a meeting on the upper side It is also shown, and below the shape 131 for a place or a meeting, a space 132 for describing the number of visits or meetings of a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may be formed.

여기서,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13)는,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131)을 이해하기 쉬운 아이콘의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1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con that is easy to understand the shape 131 of the place or mee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는,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를 통해서, 자신이 목표로 하는 성별별 만남의 인간관계 수와 만남이 이루어지는 장소나 모임 등을 예상하여 기록할 수 있어, 사회적 생활에서 인간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ary plan page 10, the numbe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meeting by gender and the place or meeting where the meeting takes place can be predicted and recor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deliberately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in social lif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의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는 대략 한 달을 기준으로 계획을 세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diary plan page 10 of the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make a plan based on approximately one month.

다이어리 속지(20)는, 다이어리 내에서 다이어리 표지(10) 및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10)에 후속한 페이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ary inlay 20 may be located on a page subsequent to the diary cover 10 and the diary plan page 10 in the diary, and may be formed detachably from the diary.

다이어리 속지(20)는, 일상의 기재를 위한 사용에만이 아니라 사회적 생활에서 인간관계 개선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도록 기재란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어리 속지(20)는, 제목 기재부(21), 인간관계 도시부(22), 인간관계 기재부(23), 인간관계 수 기록부(24) 및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ary inlay 20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as a tool that can be efficiently used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in social life as well as for use only for daily writing. Specifically, the diary inlay 20 includes a title writing unit 21 , a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22 , a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23 , a human relationship number recording unit 24 , and a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25 . can do.

제목 기재부(21)는, 일자 및 제목을 기록하게 구성된다. 제목 기재부(21)는, 다이어리 속지(20)의 최상단에 위치되되, 일자 또는 제목을 횡방향으로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itle writing unit 21 is configured to record a date and a title. The title writing part 2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diary inlay 20, and may be configured to write a date or a tit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목 기재부(21)는, 일례로 횡방향으로 1줄을 차지하도록 구획될 수 있으며, 제목 기재부(21)의 우측 말단에는 후술할 인간관계 수 기록부(24)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itle writing unit 21 may be partitioned to occupy one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and a human relationship number recording unit 2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title writing unit 21 .

제목 기재부(21)는, 다이어리 속지(20) 내에서 일례로 1/10의 공간 즉 10%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The title writing unit 21 may occupy, for example, 1/10 of space, that is, 10% of the space within the diary inlay 20 .

인간관계 도시부(22)는, 제목 기재부(21)에 표시한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간관계 도시부(22)는, 제목 기재부(21)와 인간관계 기재부(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part 22 is comprised so that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indicated in the title description part 21 can be shown.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2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itle description unit 21 and the human relationship description unit 23 .

인간관계 도시부(22)는, 다이어리 속지(20) 내에서 일례로 4/10의 공간 즉 40%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22 may occupy, for example, 4/10 of the space, that is, 40% of the space in the diary inlay 20 .

인간관계 도시부(22)는, 주체를 도시하도록 구성된 주체 도시란(221) 및 타인을 도시하도록 구성된 타인 도시란(2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22 may include a subject city field 221 configured to show a subject and a person city field 222 configured to show others.

주체 도시란(221)은, 여성의 형상, 남성의 형상 또는 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으며, 여성, 남성 또는 여성과 남성의 얼굴 윤곽(2211)만 기도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ubject city column 221 , both a female shape, a male shape, or a female and male shape are shown, and only a female, male, or female and male facial outline 2211 may be shown.

일례로 도 5a에는 다이어리 속지(20)의 주체 도시란(221)에 여성의 형상 즉, 여성의 얼굴 윤곽(2211)만 기도시되어, 여성 사용자에 적합하도록 하며, 도 5b에는 다이어리 속지(20)의 주체 도시란(221)에 남성의 형상 즉, 남성의 얼굴 윤곽(2211)만 기도시되어, 남성 사용자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도 5c에는 다이어리 속지(20)의 주체 도시란(221)에 여성 및 남성의 형상 즉, 여성 및 남성의 얼굴 윤곽(2211)만 기도시되어, 커플 사용자가 공동 다이어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5a, only the female shape, that is, the female face contour 2211, is shown in the subject city column 221 of the diary inlay 20, so that it is suitable for a female user, and in Fig. 5b, the diary inlay 20 is shown. In the subject city column 221 of the male figure, that is, only the male face contour 2211 is shown, so that it can be adapted to a male user, and in Fig. 5c, the subject city column 221 of the diary inlay 20 is shown. In the figure, only female and male shapes, that is, female and male facial contours 2211 are shown, making it suitable for use as a joint diary by a couple user.

즉, 주체 도시란(221)은, 여성, 남성 또는 여성과 남성의 얼굴 윤곽(2211)만이 미리 그려져 있어, 주체의 기분을 얼굴 윤곽(2211)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글쓰는 주체의 당시 기분을 매우 빠르고 용이하게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the subject city column 221, only the female, male, or female and male face contours 2211 are drawn in advance, so that the mood of the subject can be expressed by drawing expressions on the face contour 2211, so that the subject who writes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cord the mood of the person at the time very quickly and easily.

또한, 주체 도시란(221)은, 제목 기재부(21)와 인간관계 기재부(23) 사이에 위치하며, 인간관계 도시부(22)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주체 도시란(221)이 다이어리 속지(20)의 가장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향후 본 일자에 대한 검토 시 바로 눈에 들어와 파악이 용이하므로 기록된 글을 상세히 파악하지 않아도 단번에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체 도시란(221)은, 그 작성이 완료된 그 일 예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ubject city column 221 is positioned between the title description unit 21 and the human relationship description unit 23 , and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22 . In other words, since the subject city column 221 is placed at the very center of the diary inlay 20, the user immediately catches the eye when reviewing the future date and is easy to understand, so that the user can know at a glance without understanding the recorded text in detail. It works. An example of the subject city column 221 in which the creation is completed is shown in FIG. 5 .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예에서, 주체 도시란(221)은, 동물의 형상이 기도시되어 동물의 윤곽만 기도시될 수 있다. Also,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in the subject city column 221 , the shape of an animal may be shown, and only the outline of the animal may be shown.

타인 도시란(222)은, 제목 기재부(21)와 인간관계 기재부(23) 사이에 위치하며, 주체 도시란(221)을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other person's city field 22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itle writing unit 21 and the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23 , and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subject city field 221 .

타인 도시란(222)은, 주체 도시란(221)의 둘레에 배치되며, 공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인 도시란(222)은, 후술할 스티커 지류에 형성된 스티커가 부착되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person's city field 222 is arranged around the subject city's field 221 and may be formed of a blank. A space may be formed so that a sticker formed on a sticker branch,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column 222 .

타인 도시란(222)은, 인간관계 도시부(22) 내에서 주체 도시란(221)보다 더 넓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타인 도시란(222)은, 인간관계 도시부(22) 내에서 주체 도시란(221) 대비 4배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The other person city field 222 may be configured to occupy a larger space than the subject city field 221 in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22 . For example, the other person city field 222 may occupy four times as much space as the subject city field 221 in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22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어리는, 이러한 인간관계 도시부(22)의 기재란을 마련함을 통해서, 사용자가 해당 일자 상에 있었던 일을 편하고 쉽게 그림으로 그릴 수 있도록 하며, 향후 다시 본 일자상의 기록을 살펴볼 경우, 글자만으로 기재된 것보다 더 회상이 쉽고 이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and easily draw a picture on the date by providing the description column of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22, and when looking at the record on the date viewed again in the future , has the effect of being easier to recall and easier to understand than written only in letters.

또한, 본 발명의 다이어리는, 다이어리 속지(20) 내에서 인간관계 도시부(22)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향후 다시 본 일자상의 기록을 살펴볼 경우, 한 눈에 알아보기가 쉽고 이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proportion of the human relationship city part 22 in the diary inlay 20 is the largest, so that when looking at the records on the date seen again in the future, it is eas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at a glance has an easy effect.

인간관계 기재부(23)는, 제목 기재부(21)에 표시한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기록하게 구성된다. 인간관계 기재부(23)는, 인간관계 도시부(22)의 하측에 위치되되 횡방향으로 적어도 2 줄 이상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관계 도시부(22)와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25) 사이에서 5 줄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23 is configured to record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indicated on the title writing unit 21 . The human relationship base unit 23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human relationship illustration unit 22 and partitioned by at least two lines or more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5 lines between the human relationship showing unit 22 and the human relation photo recording unit 25 .

인간관계 기재부(23)는, 다이어리 속지(20) 내에서 일례로 3/10의 공간 즉 30%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The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23 may occupy a space of 3/10, that is, 30% of the space in the diary inlay 20, for example.

인간관계 수 기록부(24)는, 제목 기재부(21)에 표시한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의 수를 기록하게 구성되며, 제목 기재부(21)의 우측에 위치되되, 인간관계의 수를 횡방향으로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recording unit 24 is configured to record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formed on the date indicated on the title writing unit 21, an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itle writing unit 21. It can be configured to write in a direction.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 기재부(21)의 우측에 제목 기재부(21)가 차지하는 횡방향 공간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 , a space on the right side of the title base part 21 may be occupied less than the lateral space occupied by the title base part 21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어리는, 다이어리 속지(20) 내에서 인간관계 수 기록부(24)를 구성하고 있어, 다이어리를 일상의 기재를 위한 사용에만이 아니라 사회적 생활에서 인간관계 개선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recording unit 24 in the diary inner sheet 20, so that the diary can be effectively used not only for daily writing, but also for improving human relations in social lif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tool.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25)는, 제목 기재부(21)에 기재된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에 대한 사진을 기록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25 may be configured to record a photograph of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described in the title description unit 21 .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25)는, 인간관계 기재부(23)의 하측에 위치되되, 횡방향으로 적어도 2칸 이상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관계 기재부(23)의 하측에 3칸 차지할 수 있다.The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25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human relationship base unit 23, and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by at least two spaces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it may occupy 3 spaces on the lower side of the human relationship description unit 23 .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25)는, 다이어리 속지(20) 내에서 일례로 2/10의 공간 즉 20%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The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25 may occupy a space of 2/10, that is, 20% of the space in the diary inlay 20, for exampl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어리는, 다이어리 속지(20) 내에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25)를 구성함으로써, 향후 다시 본 일자상의 기록을 살펴볼 경우, 한 눈에 알아보기가 더욱 쉽고 이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us, the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25 in the diary inlay 20, when looking at the record on the date viewed again in the future,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ier to understand and easier to recognize at a glance .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는, 다이어리 속지(20)에 후속하며 완결된 인간관계의 수 또는 완결된 인간관계의 장소를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는, 다이어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ry result page 30 may record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or the place of completed relationships following the diary inlay 20 . Here, the diary result page 30 may be formed detachably from the diary.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는, 완결 일자 기재란(31), 완결 인간관계 수 기재란(32),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33) 및 완결 소감란(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ary result page 30 may include a field for writing a completion date 31 , a field for listing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32 , a field for listing places for a completed relationship 33 , and a field for writing feelings about completion ( 34 ).

완결 일자 기재란(31)는, 완결된 연 및 월을 기록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mpletion date field 31 may be configured to record the completed year and month,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iary result page 30 .

완결 인간관계 수 기재란(32)는, 완결된 인간관계의 수를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여성과 남성의 형상(321)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고, 여성과 남성의 형상(321)의 하측에 완결된 인간관계 수를 기재할 공란(32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entry column 32 may be configured to list the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and is form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diary result page 30, and both the female and male shapes 321 on the upper side are airways A blank 322 for describing the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may be formed below the figure 321 of a woman and a man.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33)은, 완결된 인간관계의 장소를 기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331)이 기도시되어 있고,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331)의 하측에 완결된 인간관계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할 공란(332)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mpleted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33 may be configured to describe the place of the completed human relationship,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diary result page 30, and the shape 331 for a place or meeting is shown on the upper side when praying and a space 332 to describe the number of visits or meetings of the completed human relationship place may be formed below the shape 331 for a place or a meeting.

여기서,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33)은,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331)을 이해하기 쉬운 아이콘의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complete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3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con that is easy to understand the shape 331 of the place or meeting.

완결 소감란(34)는, 글쓰는 주체의 소감을 도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의 좌측 중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33)과 완결 일자 기재란(31) 사이에 형성되되, 글쓰는 주체의 얼굴 윤곽(341)만 기도시되어, 완결된 인간관계에 대한 주체의 기분을 상기 얼굴 윤곽(341)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정해진 기간(대략 한달)동안의 인간관계에 대한 성과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The final impression column 34 may be configured to show the feeling of the writing subject, and is formed between the final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33 and the completion date description column 31 on the left side of the diary result page 30, Only the face contour 341 of the writing subject is shown, and the subject's mood for the completed human relationship may be configured to be expressed by drawing an expression on the face contour 341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at a glance the performance of the human relationship for a set period (approximately one month).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는,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를 통해서, 인간관계 맺음의 정리를 수행할 수 있고, 자신이 생활 또는 활동했던 영역의 방문 횟수와 만난 사람들의 총 수를 계산하고 확인할 수 있어, 정해진 기간 동안 글쓰기 주체의 생활 패턴과 인간관계를 한 눈에 보기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회적 생활에서 인간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통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rganize human relationships through the diary result page 30, and the number of visits to the area in which the person lived or was active and the total number of people he met Since it can be calculated and checke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check the life patterns and human relationships of the writing subject for a set period at a glance, and it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d statistically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in social lif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의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는 대략 한 달을 기준으로 통계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diary result page 30 of the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statistics can be performed based on approximately one month.

스티커 지류는, 다이어리 내에서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30)에 후속한 페이지에 위치되되, 최후 페이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다이어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ticker feeder is located on a page following the diary result page 30 in the diary, and may be located on the last page, and may be detachably formed from the diary.

스티커 지류는, 다양한 형상의 이모티콘, 동물, 물건 등이 종이로부터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양한 형상의이모티콘, 동물, 물건 등은 종이로부터 탈착되어 다이어리 속지(20)에 부착될 수 있다. The sticker paper is formed so that emoticons, animals, objects, etc. of various shapes are detached from the paper, and the emoticons, animals, objects, etc. of various shapes are detached from the paper and attached to the diary inlay 2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20)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는, 주체 도시란(221)에 여성의 형상, 남성의 형상 또는 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있되, 여성, 남성 또는 여성과 남성의 얼굴 윤곽(2211)만 기도시되어, 상기 주체의 기분을 상기 얼굴 윤곽(2211)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이어리를 즐겁게 작성하고 글쓰기가 쉽고 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As such, in the diary inlay 20 and the diar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female shape, the male shape, or both the female and male shapes are also shown in the subject city column 221 , , only the male or female and male facial contours 2211 are shown, so that the mood of the subject can be expressed by drawing expressions on the facial contours 2211, so that the effect of making a diary enjoyable and writing is easy and convenient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리 속지(20)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어리는, 인간관계 도시부(22)가 주체 도시란(221) 및 타인 도시란(222)을 형성하고 있어, 다이어리를 일상의 기재를 위한 사용에만이 아니라 사회적 생활에서 인간관계 개선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diary inla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ary including the same,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22 forms the subject city column 221 and the other person city column 222, so that the diary can be viewed daily. It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d as a tool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in social life, not just for the description of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다이어리 표지
10: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 11: 목표 일자 기재란
12: 목표 인간관계 수 기재란 121: 얼굴 형상
122: 공란 13: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
131: 장소 형상/모임 형상 132: 공란
20: 다이어리 속지 21: 제목 기재부
22: 인간관계 도시부 221: 주체 도시부
2211: 얼굴 윤곽 222: 타인 도시부
23: 인간관계 기재부 24: 인간관계 수 기록부
25: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
30: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 31: 완결 일자 기재란
32: 완결 인간관계 수 기재란 321: 얼굴 형상
322: 공란 33: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
331: 장소 형상/모임 형상 332: 공란
34: 완결 소감란 341: 얼굴 윤곽
1: Diary cover
10: Diary Plan Page 11: Target Date Field
12: Target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field 121: Face shape
122: blank 13: target relationship place field
131: place shape/meeting shape 132: blank
20: diary inlay 21: title writing part
22: Human Relations City Department 221: Juche City Department
2211: face contour 222: other city part
23: human relationship record department 24: human relationship number record book
25: Relationship Photo Record
30: Diary Results Page 31: Completion Date Field
32: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field 321: face shape
322: blank 33: complete relationship place field
331: place shape/meeting shape 332: blank
34: concluding impressions column 341: face contour

Claims (15)

일자 및 제목을 기록하게 구성된 제목 기재부;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간관계 도시부; 및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기록하게 구성된 인간관계 기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는,
글쓰는 주체를 도시하도록 구성된 주체 도시란; 및
타인을 도시하도록 구성된 타인 도시란을 포함하고,
상기 주체 도시란은,
여성의 형상, 남성의 형상 또는 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되, 여성, 남성 또는 여성과 남성의 얼굴 윤곽만 기도시되어, 상기 주체의 기분을 상기 얼굴 윤곽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속지.
a title writ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the date and title;
a human relationship display unit configured to show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and
Including a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a subject city configured to show a writing subject; and
comprising a city of others column configured to depict others;
The subject city column is
A female figure, a male figure, or both a female and a male figure are shown, but only the female, male, or female and male face contours are shown, so that the mood of the subject can be expressed by drawing an expression on the face contour Diary inl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는,
상기 제목 기재부와 상기 인간관계 기재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주체 도시란은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타인 도시란은, 상기 주체 도시란을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속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Dia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title writing part and the human relationship writing part, the subject city colum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uman relationship city part, and the other person's city column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subject city column deceiv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 도시란은,
동물의 형상이 기도시되어 있되, 상기 동물의 윤곽만 기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속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ject city column,
Diary in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animal is shown, but only the outline of the animal is show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의 수를 기록하게 구성된 인간관계 수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간관계 수 기록부는,
상기 제목 기재부의 우측에 위치되되, 상기 인간관계의 수를 횡방향으로 기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속지.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human relationship number record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formed on the date,
The human relationship number record section,
Doedo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itle writing part, diary inla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escribe the number of the human relationshi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에 대한 사진을 기록하게 구성된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간관계 사진 기록부는,
상기 인간관계 기재부의 하측에 위치되되, 횡방향으로 적어도 2칸 이상 구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속지.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a photograph of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The human relationship photo record unit,
Diary inl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uman relationship base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at least two spac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목 기재부는,
최상단에 위치되되, 상기 일자 또는 제목을 횡방향으로 기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속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tle writing unit,
Doedoe located at the top, diary inla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write the date or tit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관계 기재부는,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의 하측에 위치되되, 횡방향으로 적어도 2줄 이상 구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속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man relationship description unit,
Diary inl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uman relationship diagra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at least two or more lines in the lateral direction.
다이어리 표지;
상기 다이어리 표지에 후속하며 목표로 하는 성별에 대한 인간관계의 수 또는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기록하는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에 후속하는 다이어리 속지로서, 일자 및 제목을 기록하게 구성된 제목 기재부;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간관계 도시부; 및 상기 일자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기록하게 구성된 인간관계 기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간관계 도시부는, 글쓰는 주체를 도시하도록 구성된 주체 도시란; 및 타인을 도시하도록 구성된 타인 도시란을 포함하는, 다이어리 속지; 및
상기 다이어리 속지에 후속하며 완결된 인간관계의 수 또는 완결된 인간관계의 장소를 기록하는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diary cover;
a diary plan page that follows the cover of the diary and records the number of human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the target gender or a place where relationships are formed;
As a diary inlay following the diary plan page, a title writ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a date and a title; a human relationship display unit configured to show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and a human relationship writing unit configured to record the human relationship formed on the date, wherein the human relationship city unit includes: a subject city configured to show a writing subject; and a diary inlay, including a column of other people configured to show others; and
The diar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ary result page which follows the inlay of the diary and records the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or the place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는,
연 및 월을 기록하게 구성된 목표 일자기재란;
목표로 하는 성별에 대한 인간관계의 수를 기재하는 목표 인간관계 수 기재란; 및
목표로 하는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의 횟수를 기재하는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ary plan page,
Target date field configured to record year and month;
The target number of relationships in which the number of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the target gender is recorded; and
A diary comprising: a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in which the number of visits or meetings to a place where a target human relationship is establishe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일자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목표 인간관계 수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되, 상측에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여성과 남성의 형상의 하측에 목표 인간관계 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되며,
상기 목표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이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의 하측에 목표 인간관계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arget date field is arranged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diary plan page,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number entry column is form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diary plan page, both female and male shapes are shown on the top side, and a blank space for writing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number below the female and male shape is formed,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diary plan page, the shape of the place or meeting is also shown on the upper side, and the number of visits to the target human relationship place or the lower part of the shape for the place or meeting Diary, characterized in that a blank is formed to record the number of meeting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는,
완결된 연 및 월을 기록하게 구성된 완결 일자기재란;
완결된 인간관계의 수를 기재하는 완결 인간관계 수 기재란;
완결된 인간관계의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하는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 및
글쓰는 주체의 소감을 도시하는 완결 소감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ary result page,
Completion date field configured to record year and month completed;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in which the number of completed relationships is written;
A completed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in which the number of visits or meetings to the place of the completed relationship is recorded; and
A diar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cluding impression column showing the feelings of the writing subjec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결 일자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의 우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완결 인간관계 수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되, 상측에여성과 남성의 형상 모두가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여성과 남성의 형상의 하측에 완결된 인간관계 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되며,
상기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은,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측에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이 기도시되어 있고, 상기 장소나 모임에 대한 형상의 하측에 완결된 인간관계 장소의 방문 횟수 또는 모임 횟수를 기재할 공란이 형성되며,
상기 완결 소감란은,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의 좌측 중 상기 완결 인간관계 장소 기재란과 상기 완결 일자 기재란 사이에 형성되되, 글쓰는 주체의얼굴 윤곽만 기도시되어,상기 주체의 기분을 상기 얼굴 윤곽에 표정을 그려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mpletion date field is arranged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diary result page,
The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is form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diary result page, both female and male shapes are shown on the upper side, and the number of completed human relationships is listed below the female and male shape. A blank is formed,
The completed human relationship place description colum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ary result page, the shape of the place or meeting is also shown on the upper side, and the number of visits to the completed human relationship place on the lower side of the shape for the place or meeting Or a space is formed to write the number of meetings,
The feeling of completion column is formed between the column on the left side of the diary result page and the column on the place of the final relationship and the column on the date of completion, only the face contour of the writing subject is shown, and the mood of the subject is expressed on the face outline. Dia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raw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속지에 부착될 수 있는 스티커 지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에 후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ticker feed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iary,
A dia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subsequent to the diary result pag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리 플랜 페이지, 상기 다이어리 속지, 상기 다이어리 결과 페이지 및 상기 스티커 지류는,
상기 다이어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iary plan page, the diary inlay, the diary result page and the sticker paper,
Dia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etachably from the diary.

KR1020200129489A 2020-10-07 2020-10-07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KR102340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89A KR102340741B1 (en) 2020-10-07 2020-10-07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89A KR102340741B1 (en) 2020-10-07 2020-10-07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741B1 true KR102340741B1 (en) 2021-12-16

Family

ID=7903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489A KR102340741B1 (en) 2020-10-07 2020-10-07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4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976U (en) * 1999-04-24 2000-11-25 황현택 Check book
KR200228912Y1 (en) * 2000-09-05 2001-07-19 김종상 Diary for student
KR20180111718A (en) * 2018-08-27 2018-10-11 홍현수 Inner page layout of diary
KR200493524Y1 (en) * 2019-10-31 2021-04-15 박온 Dia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976U (en) * 1999-04-24 2000-11-25 황현택 Check book
KR200228912Y1 (en) * 2000-09-05 2001-07-19 김종상 Diary for student
KR20180111718A (en) * 2018-08-27 2018-10-11 홍현수 Inner page layout of diary
KR200493524Y1 (en) * 2019-10-31 2021-04-15 박온 Dia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emons The look of a woman: Facial feminization surgery and the aims of trans-medicine
Thomson Extraordinary bodies: Figuring physical disability in American culture and literature
Nelson et al. The complexities of care: Nursing reconsidered
Hearn National identity: Banal, personal and embedded
Dellinger Masculinities in “safe” and “embattled” organizations: Accounting for pornographic and feminist magazines
Tyner The web‐based recruitment of female foreign domestic workers in Asia
Harvey Julia Augusta: Images of Rome's First Empress on Coins of the Roman Empire
Micir et al. Obliterature: Toward an Amateur Criticism
Simpson et al. Cool’meanings: Tattoo artists, body work and organizational ‘bodyscape
Fleissner Dictation Anxiety: The Stenographer's Stake in Dracula
Symes Chronicles of labour: a discourse analysis of diaries
Abraham Women nurses and the notion of their “empowerment”
KR102340741B1 (en) Inner paper for diary and Diary having the same
Mead Gendering the Obstacles to Progress in Positivist Argentina, 1880–1920
Garvey Anonymity, authorship, and recirculation: A civil war episode
Weller et al. Individual perceptions: a new chapter on Victorian information history
Logan Imitations of insanity and Victorian medical aesthetics
Crangle Out of the Archive: Woolfian Domestic Economies
Block Making meaningful bodies: Physical appearance in colonial writings
Culley ‘A journal of my feelings, mind & Body’: Narratives of Ageing in the Life Writing of Mary Berry (1763–1852)
Kaube Compassion as Commodity: Middle-Class Women and Care Work in the Long Nineteenth Century
Eckert Priscilla Wordsworth’s Pocketbook Diaries and Interfaces of Subjectivity
Federhofer Messy episodes: Indigenous countersigns in Ludwig Choris’s diary and ethnographic portraits of Aleut, Kamchadal and Chukchi (1822)
Hazard The Politics of Media Format: Printing Poor Sarah During the Removal Crisis in Cherokee Nation
Lindblom Love as a Source of Illness in Late Eighteenth-Century Sweden–Examples from the Life Description of Pehr Stenber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