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218B1 - multifunctional billboard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ill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218B1
KR102339218B1 KR1020210115099A KR20210115099A KR102339218B1 KR 102339218 B1 KR102339218 B1 KR 102339218B1 KR 1020210115099 A KR1020210115099 A KR 1020210115099A KR 20210115099 A KR20210115099 A KR 20210115099A KR 102339218 B1 KR102339218 B1 KR 10233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upport
pair
support members
members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근호
Original Assignee
배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호 filed Critical 배근호
Priority to KR102021011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2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218B1/en
Priority to PCT/KR2022/012936 priority patent/WO20230335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illboard, comprising: a pair of backing members having a form in which a pair of side support rods is integrally bent in an up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a horizontal rod, and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pair of support members having a form in which a pair of side support rods is integral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o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acking members; a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for separably coupling adjacent side support rods to each other among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backing members, wherein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backing members are alternatively arrang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weight body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rod of the pair of backing members. Therefore, the multifunctional billboard can be prevented from easily falling over in the strong wind, can combine with any weight body having any shape, can be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can have good storage and portability,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and can combine with a banner having any shape.

Description

다기능 입간판{multifunctional billboard}multifunctional billboard

본 발명은 다기능 입간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 내용이 표시된 현수막과 같은 배너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너 입간판의 프레임 구조를 전방 쏠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세워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어떠한 중량체를 결합시켜도 강한 바람에 쉽게 넘어지지 않고,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와 분해가 용이함은 물론 보관 및 휴대성이 양호하며, 실내외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어떠한 형상을 갖는 배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건 걸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다기능 입간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ill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 the frame structure of a banner billboard configured to simply and conveniently install and move a banner such as a placard on which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stably erected without leaning forward. At the same time, it is improved so that the wind can pass through it, so it does not fall over easily in strong winds no matter what weight is combined, and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due to simple disassembly and assembly, as well as good storage and portability, and can be used indoors or outdoors It is possible and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illboard invent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hanging various objects as well as banners having any shape.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옥외 광고는, 건물의 외벽에 돌출되어 부착되는 간판등과 보행자의 주행통로에 위치토록 설치되는 광고판이나 현수막등이 있고, 상기 간판이나 광고판 및 현수막 등에 의해 보행자가 이에 기재되는 광고물을 용이하게 주시토록 하여 시각을 통한 광고를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Generally known outdoor advertisements include a signboard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a billboard or banner installed to be located in a pedestrian's driving path, and advertisements in which pedestrians are described by the signboard, billboard, and banner. It is to make it easy to observe the advertisements through the eyes.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현수막 지지장치는 건물의 벽면에 부착하거나 현수막이 세로방향의 지지바에 연결되는 가로방향의 고정바 상하측에 각각 연결되어 보행자의 눈높이와 적당한 위치에 위치하여 고정됨으로써 일정 광고효과를 가져 오도록 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banner support device related to such a technology is attached to the wall of a building or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horizontal fixing bar in which a banner is connected to a vertical support bar, and is fixed at the eye level of pedestrians and fix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provide a certain advertisement to bring about an effect.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수막 지지장치는, 현수막의 고정및 철거가 힘들게 됨은 물론 고정 및 철거시간이 증가되고, 현수막 지지물이 항상 일정 형상을 유지하여 일정 보관공간 및 설치공간을 필요로 함은 물론 운반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banner support device as described above not only makes it difficult to fix and remove the banner, but also increases the fixing and dismantling time, and the banner support always maintains a certain shape, requiring a certain storage space and installation space, as well as transportation. There is a downside to being uncomfortable.

한편, 최근에는 사진, 문자 등의 광고 내용이 표시된 직물지, 수지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너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배너 게시대(또는 배너 입간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배너 게시대는 통상 받침대에 모래나 물의 중량체를 넣어서 바람에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너 게시대는 고정식 게시대와 달리 이동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여러 분야의 점포에서 널리 사용 중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banner posts (or banner billboards) have been widely used to post banners made of fabric paper, resin sheets, etc. on which advertisement contents such as photos and texts are displayed. It is configured not to easily fall over by the wind by putting a weight of water, and the banner post is widely used in stores in various fields because it is easy to move and has advantages such as a low price, unlike a fixed post.

종래 현수막 지지장치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203062호가 제시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banner support devic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203062 has been proposed.

이와 같은 현수막 지지장치는 지지편의 양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바에 의해 접힘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현수막의 일측을 고정하는 현수막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편에 연결되어 현수막의 타측을 지지하는 현수막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Such a banner suppor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piece, and a support part installed so as to be foldable by an elastic bar elastically connecting the supports; It has a form configured to include a banner fixing means installed on the support to fix one side of the banner, and a banner supporting means connected to the support piece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banner.

또한, 상기 현수막 고정수단은 복수의 지지대 중 두 지지대의 내측에서 스프링을 개재하여 지지대의 외부에 돌출토록 연결되는 고정걸이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현수막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편의 상측에 고정홀을 각각 형성하여 그 내측에 삽입토록 되면서 상부에 고정걸이를 갖는 지지바로서 이루어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나머지 지지대에 이송홀을 갖는 걸림편이 설치되어 탄성바의 일측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져 있다.In addition, the banner fixing means is formed as a fixing hook tha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through a spring on the inside of the two supports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the banner support means forms a fixing hole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iece, It is made as a support bar having a fixed hook on the upper part while being inserted therein, and a locking piece having a transfer hole is installed on the other suppor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so that one side of the elastic bar is inser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수막 지지장치는, 지지편의 하부에 회전 가능토록 연결되는 두 지지대와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바의 길이가 정형화 되어 연결되는 구성으로 고정할수 있는 광고시트의 크기가 한정되어 다양한 크기를 갖는 광고시트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banner suppor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two support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iece and the support bar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iece are standardized and the size of the advertisement sheet that can be fixed is limi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fix advertisement sheets having various sizes.

뿐만 아니라, 종래 대부분의 배너 게시대는 전방으로 쏠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안정감이 부족함은 물론 바람에 쉽게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 배너 게시대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부분 지지봉을 꽂을 공간이 부족한 속이 빈 통 형상의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어 중량을 추가할 수 없고, 특히 내부로 물이나 모래 등이 채워지는 받침대가 없이는 실외용 배너 게시대로 사용이 불가능하다.In addition, most of the conventional banner post stands have a structure that leans forward, so they lack stability and easily fall over in the wind. It is impossible to add weight because it uses a pedestal in a shape, and it is impossible to use as an outdoor banner post without a pedestal filled with water or sand.

또한, 실외용을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받침대 내부로 물이나 모래를 채워줘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받침대로 인하여 휴대성이 떨어지며, 배너 게시대의 설치장소가 변경될 경우 받침대 내에 물 또는 모래를 다시 채워주거나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배너 게시대 자체를 다른 용도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outdoor use is used indoors,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fill the pedestal with water or sand, and the pedestal reduces portability.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empty it or emptying it,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nner post itself cannot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여기서 종래 배너 게시대의 대표적인 종류를 좀더 살펴 보면, 세로형의 깃발형과 X자형 및 Y자형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깃발형 게시대의 경우 바람이 불어도 배너가 유동성있게 흔들리면서 바람에 의한 항력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X자형과 Y자형 게시대에 비해 잘 넘어지지 않는다.Here, if we take a closer look at the typical types of banner posts in the prior art, vertical flag types, X-shaped and Y-shaped, etc. are used. It does not fall over easily compared to the Y-shaped and Y-shaped bulletin boards.

그러나, 깃발형의 경우 바람이 불면 배너가 회전하게 되므로 광고효과가 저하됨은 물론이고 가격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X자형 및 Y자형 게시대의 경우 바람이 세게 불면 게시대 자체가 넘어지게 되어 광고효과를 상실함은 물론이고 안전사고를 유발하거나 또는 사람들의 통행에 불편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lag type, as the banner rotates when the wind blows, the advertising effect is lowered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the price. In addition to loss of effectivenes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safety accident or inconveniences people's passage.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459938호(2014년 11월 03일)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59938 (November 03, 2014)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3-0005812호(2013년 10월 08일)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5812 (October 08, 2013)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10545호(2010년 10월 27일)Domestic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10545 (October 27, 2010)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9147호(2005년 06월 29일)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89147 (June 29, 2005)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광고 내용이 표시된 현수막과 같은 배너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이동할 수 있는 배너 입간판의 프레임 구조를 전방 쏠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세워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줌으로써, 강한 바람에 쉽게 넘어지지 않고, 어떠한 형상을 갖는 중량체라도 결합시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와 분해가 용이함은 물론 보관 및 휴대성이 양호하고, 실내외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어떠한 형상을 갖는 배너도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건 걸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성과 그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입간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frame structure of a banner signboard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install and move a banner such as a placard on which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s stably erected without leaning forward. By forming it to hold and allowing the wind to pass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fall easily in strong wind, and it can be combined with a weight body having any shape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 course, it has good storage and portability,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and can be used for hanging various objects as well as combining banners of any shape, greatly improving the usability and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ignboard that can be ordered.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grasp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technical field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입간판은, 수평봉의 양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지지봉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바닥면에서 정해진 거리를 두고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수평봉의 양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지지봉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받침부재들의 상부에서 정해진 거리를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서로 90도 위상차를 갖고 얻갈리게 배치되는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중 서로 인접한 측면 지지봉들을 각각 상호 분해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과;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의 수평봉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체와;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 및 한 쌍의 지지부재가 상기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에 의해 사각 틀체 형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4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이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너;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functional bill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m in which a pair of side support rods are integrally bent in an up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a horizontal rod, and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a pair of support members; a pair of support members having a form in which a pair of side support bars are integral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in a downward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s; a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for mutually disassembling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each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or more weight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bars of the pair of supporting members;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nd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and a banner is detachably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form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do.

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들의 수평봉 사이 간격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 및 유지되게 하는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stalls a space adjusting and maintain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bars of the support members is adjusted and maintained at a desired distance by the user.

또한, 상기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는 양 단부에 각각 봉 걸림고리가 구비된 2개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으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들의 수평봉 상부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X"자 형으로 결합된 간격 조절겸 유지봉으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중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 측면 지지봉 사이에 "X"자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acing adjusting and maintaining member is composed of two spacing adjusting and retaining rods each having a rod engaging ring at both ends, and install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op of the horizontal rods of the support members, or an “X”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installed in an "X" shape between the side support rods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by forming a space adjusting and maintaining rod coupled in a shape.

또, 상기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로 2개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을 "X"자 형태로 결합하여 형성할 경우, 상호 교차부위에 "U"자 형상의 봉 삽입홈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ming the two spacing adjusting and retaining rods by combining them in an “X” shape as the spacing adjusting and maintaining member, a “U”-shaped rod insertion groove is further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at the mutual inter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X"자 형으로 결합된 간격 조절겸 유지봉의 교차부위에 걸고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is further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val control and maintenance rods coupled in an "X" shape.

또,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은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와; 양단부 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와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복수의 양방향 결합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fixedly installed at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 ends of the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couplings having a shape in which thread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side both ends and removably coupling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of the supporting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of the supporting members in a mutually detachable man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nut;

또한, 상기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에는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단부를 1차 상호 결합한 후,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2차 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풀림 방지용 너트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 has a secondary fixing function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after primary mutual coupling of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 ends of the support members through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stalls a nut for preventing loosening.

또, 상기 중량체는 내부에 물 또는 모래를 체워 넣을 수 있는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사각 함체의 저면 양측에서 상기 받침부재들의 수평봉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작용을 함과 동시에 중량체들을 적층시키는 형태로 설치할 때 상호 결합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사각 함체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중량체들을 적층시키는 형태로 설치할 때 상기 걸림돌기들이 각각 끼워져 걸려지는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ight body is molded into a hollow rectangular box shape that can be filled with water or sand inside, but 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box, the horizontal bars of the supporting members do not separate outwardly. When installing in the form of stacking the sieves, a pair or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are protruded to maintain the mutually coupled shape, 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the locking projections are inserted respectively when installing in the form of stacking the weigh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r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to be hooked are formed.

또한, 상기 받침부재의 측면 지지봉들은 내측을 향해 상호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 지지봉들은 외측을 향해 상호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재들과 지지부재들을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을 통해 사각 틀체 형상으로 결합하였을 때, 사면이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 are inclined at a mutually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inside, and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 are inclined at a mutually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upport members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When combin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hrough the support rod coupl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slopes has a trapezoidal shap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입간판에 의하면, 광고 내용이 표시된 현수막과 같은 배너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설치 및 이동할 수 있는 배너 입간판의 프레임 구조를 전방 쏠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세워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줌으로써, 강한 바람에 쉽게 넘어지지 않고, 어떠한 형상을 갖는 중량체라도 결합시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와 분해가 용이함은 물론 보관 및 휴대성이 양호하고, 실내외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어떠한 형상을 갖는 배너도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건 걸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성과 그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sign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structure of the banner signboard that can easily and conveniently install and move a banner such as a placard on which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s formed to maintain a stably erected form without leaning forward.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so that the wind can pass through it, so that it does not fall easily in strong wind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by combining a weight body having any shape. Good portability,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an expert or researcher in the art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중 일부 확대 정단면도.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서로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중량체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illboard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illboard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ight to which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each configuration includ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일부 확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서로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중량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illboard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illboard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ight to which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기능 입간판은 도 1 내지 도 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한 쌍의 받침부재(10)와 한 쌍의 지지부재(20),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체(40)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서는 배너(50) 및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60)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갖고, 강한 바람에 쉽게 넘어지지 않으며, 어떠한 형상을 갖는 중량체(40)라도 결합시킬 수 있고, 설치와 분해가 용이함은 물론 보관 및 휴대성이 양호하며, 실내외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어떠한 형상을 갖는 배너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According to this, the multifunctional bill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The means 30, including at least one weight body 40, and further, has a form that further includes a banner 50 and a space control and holding member 60, does not easily fall over in a strong wind, It can be combined with a weight body 40 having a shape, is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has good storage and portability,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and can be combined with banners having any shape. It is used as a major technical component.

이때,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속이 빈 관체 또는 속이 꽉찬 봉을 이용하여 성형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이 설치되는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되는 수평봉(11)의 양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후술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20)에 구비된 측면 지지봉(22)들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봉(12)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즉, 대략 "┗┛" 형태로 절곡된 형상)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0 are molded using a hollow tube or a solid rod molded from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indoors or outdoors where the multifunctional signboar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stalled. A pair of side support rods 12 that are re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with side support rods 22 provided in a pair of support members 2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od 11 are integrally bent. It has a shape (ie, a shape bent into an approximately "┗┛" shape).

이와 같은 상기 받침부재(10)들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이 설치되는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배너(50)의 하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다기능 입간판 전체를 지지 및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한다.Such support members 10 have a form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surface of the indoor or outdoor where the multifunctional signboar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stalled, and the lower end of the banner 50 to be described later is detachable At the same tim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entire multifunctional signboard.

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는 전술한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10)와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속이 빈 관체 또는 속이 꽉찬 봉을 이용하여 성형한 것으로, 수평봉(21)의 양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지지봉(22)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즉, 상기 받침부재(10)의 형상과 반대로 대략 "┏┓" 형태로 절곡된 형상)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0, like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0 described above, are molded using a hollow tube body molded of metal or synthetic resin or a solid rod, and the horizontal bar 21 A pair of side support rods 22 are integrally bent from both ends in a downward direction (ie, a shape bent in a substantially "┏┓" shape as opposed to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10).

이와 같은 상기 지지부재(20)들은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상부에서 정해진 거리를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 즉, 상기 받침부재(10)들과 서로 90도 위상차를 갖고 얻갈리게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을 통해 상기 받침부재(10)들과 결합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배너(50)의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upport members 20 as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s 10,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s 10 and the support members 10 are arrang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It has a form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s 10 through a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30 and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upper end of the banner 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detachably installed.

이때, 상기 받침부재(10) 및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수평봉(11)(21)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구비된 상기 측면 지지봉(12)(22)들은 도 1과 같이 각각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한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side support rods 12 and 22 integral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ods 11 and 21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upport members 20 are upward or downwar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 It is not limited to a form bent to form a right angle.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부재(10) 및 상기 지지부재(20)들을 제작함에 있어서, 도 1 과 같이 제작할 수도 있지만, 도 2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의 측면 지지봉(12)들은 내측을 향해 상호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 지지봉(22)들은 외측을 향해 상호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형태를 다른 실시 예로 제시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manufacturing the supporting member 10 and the supporting member 20, it may be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1, but as shown in FIG. 2, the side supporting rods 12 of the supporting member 10 are inside. Formed to be inclined at a mutually predetermined angle toward each other, the side support rods 22 of the support member 20 are provided to be inclined at a mutually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as another embodiment.

이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 및 상기 지지부재(20)의 수평봉(11)(21) 양단부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측면 지지봉(12)(22)들을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상호 경사지게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10)들과 지지부재(20)들을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을 통해 사각 틀체 형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사면이 도 2와 같이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 support rods 12 and 22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ods 11 and 21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toward the inside or the outside, respectively, are mutually facing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n the inclined state, when the support members 10 and the support members 20 are combin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hrough the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30, each of the slopes has a trapezoidal shape as shown in FIG. will have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0) 및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상기 측면 지지봉(12)(22)들을 상기한 일 실시 예서와 같이 각각 상향 또는 하측 방향 절곡 형성한 상태에서보다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이 보다 미려하고 안정성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rather than in the state in which the side support rods 12 and 22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upport members 20 are bent upward or downward, respectively,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iffer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al signboard to which Ye is applied is more beautiful and the stability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90도 위상차를 갖고 얻갈리게 배치되는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측면 지지봉(12)과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측면 지지봉(22) 중 서로 인접한 측면 지지봉(12)(22)들을 각각 수직방향으로 일직선 또는 경사진 형태로 상호 분해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30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and the side support rods 12 of the support members 1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s 20 are alternately arranged. Among the support rods 22, the adjacent side support rods 12 and 22 each perform a function of decomposably coupling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or an inclined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은 도 1 및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복수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와 복수의 양방향 결합너트(3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에 더하여 풀림 방지용 너트(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31 and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coupling nuts 32,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s of FIGS. 1 and 2, and , In addition to this, it may further include a nut 33 for preventing loosening.

상기한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는 각각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측면 지지봉(12) 상단부와,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측면 지지봉(22)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양방향 결합너트(32)와 풀림 방지용 너트(33)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30 , the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31 are the upper end of the side support rod 12 of the support members 10 , and the side support rod of the support members 20 , respectively. (22) It has a form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32 and the loosening prevention nut 33 to be detachably screwed together to be described later.

또, 상기 복수의 양방향 결합너트(32)는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측면 지지봉(12) 상단부와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측면 지지봉(22)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기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들의 서로 다른 나사산 형성 방향에 대응하여, 양단부 내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길이가 긴 너트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coupling nuts 32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support bar 12 of the support members 10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support bar 22 of the support members 20, respectively, and are fixed to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 31) to correspond to the different threading directions, both ends have a long nut shape having thread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side.

이와 같은 양방향 결합너트(32)는 서로 90도 위상차를 갖고 얻갈리게 배치된 상기 받침부재(10) 및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 지지봉(12)(22)에 각각 구비된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와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어 상기 받침부재(10)들과 상기 지지부재(20)들이 대략 사각 틀체 또는 피나미드형 틀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uch a bidirectional coupling nut 32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and has a form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ide support rods 12 and 22 of the support member 20, respectively, The support member 10 by removably coupling the bolts 31 for connecting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lts 31 for connecting the side support bars of the support members 20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20 performs a func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or pinamid type frame.

또한, 상기 풀림 방지용 너트(33)는 상기 받침부재(10) 및 상기 지지부재(20)의 측면 지지봉(12)(22)에 각각 구비된 상기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들 사이에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32)가 결합되기에 앞서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32)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측면 지지봉(12)과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측면 지지봉(22) 단부들을 1차 상호 결합한 후, 상기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들에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갖는 상기 풀림 방지용 너트(33)들을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32)의 상하 양단부 측으로 조여주는 방식을 통해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32)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자동으로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즉,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32)를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31)들에 2차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nti-loosening nut 33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31 provided on the side support rods 12 and 22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respectively, in both directions. The coupling nut 32 has a screwed shape before being coupled, and the side support rods 12 of the support members 10 and the side support rods 22 of the support members 20 through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32 . ) After the first mutual coupling of the ends, the anti-loosening nuts 33, which are screwed to the bolts 31 for connecting the side support rods, are tighten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32. Through a method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32 from being automatically loosened by an external impact, that is, a function of secondary fixing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32 to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31 carry out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체(40)는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10)의 수평봉(12) 상면에 도 3과 같이 1단 이상 다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 자체가 강한 바람 등에도 넘어지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t least one weight body 40 has a form detachably installed in one or more stages in multiple stages as shown in FIG.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12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ignboard itself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it from falling down even in strong winds.

이와 같은 상기 중량체(4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물 또는 모래 등을 체워 넣을 수 있는 속이 빈 사각 함체(41)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사각 함체(41)의 저면 및 상면 양측에는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42) 및 걸림돌기 삽입홈(43)을 형성시킨 형태를 갖는다.Such a weight body 40 is molded in the shape of a hollow square box 41 that can be filled with water or sand inside by using a synthetic resin, but a pair on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top of the square box 41 Alternatively, it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42 and a locking protrusion insertion groove 43 are formed.

이때, 상기 사각 함체(41)의 저면 양측에 돌출 성형된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42)는 도 4의 (a)와 같이 종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도 4의 (b)와 같이 4모서리에 원봉 또는 사각봉 형태를 갖고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중량체(40)를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올려 놓았을 때, 각각의 내면이 도 3과 같이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수평봉(11)이 외측면에 걸려져 상기 받침부재(10)들의 수평봉(11)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작용을 통해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 자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중량체(40)를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적층시키는 형태로 설치할 때, 상기 사각 함체(41)의 상면 양측에 성형된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 삽입홈(43)에 각각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중량체(40)들이 상호 결합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 pair or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42 protruding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are formed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a) or as shown in Fig. 4 (b). When the weight body 4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 in a shape protruding with a round bar or square bar shape at the four corners, each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s 10 as shown in FIG. The horizontal rod 11 is caught on the outer surface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flow of the multi-functional billboard itself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rough a locking action to prevent the horizontal rod 11 of the supporting members 10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When one or more weight bodies 40 are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y a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 each of a pair or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4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They are coupled in a fitting form so that the weights 40 maintain their mutually coupled shape.

또, 상기 사각 함체(41)의 상면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4모서리에 원봉 또는 사각봉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상기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 삽입홈(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적층시키는 형태로 설치할 때, 상부에 위치된 상기 사각 함체(41)의 저면 걸림돌기(42)들이 하부에 설치된 사각 함체(41)의 상면 걸림돌기 삽입홈(43)들에 각각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여 외부에서 어떠한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중량체(40)들이 상호 결합된 형태를 유지하며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입간판이 하나 이상의 중량체(40)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지속하게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r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43 are forme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or are formed in the four corners with a round or square rod-shaped groove. When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 the lower surface locking projections 42 of the rectangular housing 4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re the upper surface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43 of the rectangular housing 41 installed on the lower side ) so that they are fitted and hung, the weights 40 maintain their mutually coupled form no matter what pressure or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multifunctional billboar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y the load applied from one or more weights 40 Continue the ability to prevent falls.

상기에서 제시한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42) 및 걸림돌기 삽입홈(43)은 상기 사각 함체(41)의 저면 및 상면에 형성시킨 예로 한정할 수 없고,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와 반대로 상기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42)를 사각 함체(41)의 상면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한 쌍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 삽입홈(43)은 상기 사각 함체(41)의 저면 양측에 형성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air or a plurality of the locking projections 42 and the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43 presented above cannot be limited to examples formed on the bottom and top surfaces of the rectangular housing 41, and although not shown, the opposite is the case. The pair or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4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and the pair or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4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다면, 상기한 중량체(40)를 본 발명을 적용시킨 다기능 입간판 1개 이상을 설치하였을 때, 제일 하단부에 설치되는 중량체(40)의 사각 함체(41) 저면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 삽입홈(43)에는 받침부재(10)의 수평봉(11)들이 각각 끼워져 걸리고, 중량체(40)의 사각 함체(41) 상면 양측에 종방향으로 길게 돌출 성형된 한 쌍의 걸림돌기(42)는 그 상부에 적층되는 중량체(40)의 사각 함체(41) 저면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 삽입홈(43)에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If one or more multi-functional billboard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installed,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weight body 4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of the weight body 40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e horizontal bars 11 of the support member 10 are fitted and caught in the pair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43, respectively, and a pair of locking stone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of the weight body 40 The group 42 is fitted and fixed in a pair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4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quare housing 41 of the weight body 40 stacked thereon.

한편, 상기 배너(50)는 사진, 문자 등의 광고 내용이 표시된 직물지, 수지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 부호 기입을 생략한 복수의 배너 고정고리 등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10) 및 한 쌍의 지지부재(20)가 상기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에 의해 사각 틀체 또는 피라미드 형 틀체 형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4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이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입간판을 이용한 광고 및 홍보 등의 효과를 발휘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nner 50 is made of fabric paper, resin sheet, etc. on which advertisement contents such as photos and text are displayed, and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0 and A pair of support members 20 are detachably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formed by being coupled in a square frame or pyramid shape by the side support bar coupling means 30 to advertise and promote using a billboard. It performs a function that exerts an effect such as

또한, 상기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6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에 구비된 수평봉(21) 또는 측면 지지봉(22)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수평봉(21) 사이 간격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되도록 함은 물론 이렇게 조절된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pacing adjusting and maintaining member 60 is detachably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bars 21 or side support bars 22 provided i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0, the support member 20 ) of the horizontal rods 21 to be adjusted to the desired interval by the user, as well as to maintain the adjusted interval.

이때, 상기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60)는 양 단부에 각각 봉 걸림고리(62)가 구비된 2개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61)으로 구성하여 도 1과 같이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수평봉(21) 상부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또 "X"자 형으로 결합된 간격 조절겸 유지봉(61)으로 구성하여 도 2과 같이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측면 지지봉(22) 중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 측면 지지봉(22)들 사이에 "X"자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pacing adjusting and maintaining member 60 is composed of two spacing adjusting and retaining rods 61 having rod hooking rings 62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as shown in FIG. 1 , the horizontal bars of the supporting members 20 are (21) It can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part, and it is composed of a spacing adjusting and maintaining rod 61 coupled in an "X" shape, and the side support rods 22 of the support members 20 as shown in FIG. ) between the side support rods 22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X" shape may be detachably installed.

상기에서 제시한 상기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60) 중 2개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61)을 "X"자 형태로 결합하는 형태로 성형할 경우, 상호 교차부위의 두께가 하나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 지름과 동일하도록 도시 생략한 "U"자 형상의 봉 삽입홈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더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molding in a form in which two of the space adjusting and retaining rods 61 among the gap adjusting and retaining members 60 presented above are combined in an “X” shape, the thickness of the mutual crossing portion is one space adjusting and retaining rod 61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U"-shaped rod insertion grooves (not shown)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as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holding rod.

또, 2개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61)이 "X"자 형태로 결합되는 부위를 각각 납짝하게 형성하여 교차부의의 두께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짭짝한 형태를 갖는 교차점 중심부에 리벳 등을 이용하여 회전축을 설치해 주게 되면, 상호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 휴대와 보관, 설치 및 분해를 보다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where the two spacing adjustment and retaining rods 61 are coupled in an "X" shape is flattened, respectively,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intersection, and at the same time, a rivet, etc. If the rotating shaft is installed using the

뿐만 아니라, 상기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60)로 2개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61)으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20)들의 수평봉(22) 상부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 각각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61)에 옷걸이 등을 이용하여 옷이나 수건 등을 포함한 각종 물건을 걸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pace adjusting and maintaining member 60 is composed of two space adjusting and retaining rods 61 and install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horizontal rods 22 of the support members 20, each It is also possible to hang various things, including clothes and towels, by using a hanger or the like on the holding rod 61 and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

이에 더하여 "X"자 형으로 결합된 간격 조절겸 유지봉(61)의 교차부위에 도 2와 같이 옷걸이 형상의 걸고리(63)를 더 설치해 줄 경우, 상기 걸고리(63)를 다양한 형태를 갖는 각종 물건을 선택적으로 걸수 있어 제품의 사용성과 그에 따른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when a hanger-shaped hanger 63 is further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acing adjusting rod 61 coupled in an "X" shape, as shown in FIG. By selectively hanging things,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and its compati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기 받침부재(10)와 지지부재(20),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30), 중량체(40) 및 배너(50)을 포함하여 부대 용품 등은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 생략한 가방 등에 넣어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essory products including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upport member 20, the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30, the weight body 40 and the banner 5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can be stored and moved by putting it in a bag not shown.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ha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10 : 받침부재
11 : 수평봉 12 : 측면 지지봉
20 : 지지부재
21 : 수평봉 22 : 측면 지지봉
30 :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 31 :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
32 : 양방향 결합너트 33 : 풀림 방지용 너트
40 : 중량체 41 : 사각 함체
42 : 걸림돌기 43 : 걸림돌기 삽입홈
50 : 배너
60 :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 61 : 간격 조절겸 유지봉
61 : 봉 걸림고리 62 : 걸고리
10: support member
11: horizontal bar 12: side support bar
20: support member
21: horizontal bar 22: side support bar
30: side support bar coupling means 31: side support bar connection bolt
32: two-way coupling nut 33: anti-loosening nut
40: weight 41: square body
42: locking projection 43: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
50 : banner
60: spacing adjustment and holding member 61: spacing adjustment and maintenance rod
61: rod hook 62: hook hook

Claims (9)

수평봉의 양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지지봉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정해진 거리를 두고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와;
수평봉의 양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 지지봉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받침부재들의 상부에서 정해진 거리를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서로 90도 위상차를 갖고 얻갈리게 배치되는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중 서로 인접한 측면 지지봉들을 각각 상호 분해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having a form in which a pair of side support rods are integrally bent in an up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od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pair of support members having a form in which a pair of side support bars are integral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 in a downward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s;
A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for mutually decomposable coupling of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that are arrang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in a mutually decomposable manner; A multi-functional bill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 및 한 쌍의 지지부재가 상기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에 의해 사각 틀체 형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4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이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nd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and a banner detachably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formed by the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Multifunctional bill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들의 수평봉 사이 간격이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조절 및 유지되게 하는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functional bill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stalls a spac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s and the horizontal bars of the support member to adjust and maintain the desired interval to be adjusted and maintain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 및 유지부재는,
양 단부에 각각 봉 걸림고리가 구비된 2개의 간격 조절겸 유지봉으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들의 수평봉 상부에 정해진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하거나,
또는 양 단부에 각각 봉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X"자 형으로 결합되는 간격 조절겸 유지봉으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중 서로 반대측에 위치된 측면 지지봉 사이에 "X"자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pacing adjusting and maintaining member,
It consists of two spacing adjusting and maintaining rods each provided with a rod engaging ring at both ends, and installed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lternatively, it is provided with a rod hooking ring at both ends and is composed of a spacing adjustment and maintenance rod coupled in an "X" shape, and is detachable in an "X" shape between the side support rods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Multifunctional bill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은,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와;
양단부 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와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복수의 양방향 결합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support rod coupling means,
a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s connecting bolts fixedly installed at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 ends of the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couplings having a shape in which thread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side both ends and removably coupling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of the supporting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ide support rod connection bolts of the supporting members in a mutually detachable manner Nut; Multifunctional bill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봉 연결용 볼트에는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들의 측면 지지봉과 상기 지지부재들의 측면 지지봉 단부를 1차 상호 결합한 후, 상기 양방향 결합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너트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6.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ide support rod ends of the support members are first coupled to the bolt for connecting the side support rods through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a nut for preventing loosening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idirectional coupling nut is further installed Multifunctional billboar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의 수평봉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체를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다기능 입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billboar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weight body is further installed detach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ar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내부에 물 또는 모래를 체워 넣을 수 있는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사각 함체의 저면 양측에서 종방향으로는 상기 받침부재들의 수평봉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사각 함체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중량체들을 적층시키는 형태로 설치할 때, 상기 걸림돌기들이 각각 끼워져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돌기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eight is
It is molded into a rectangular hollow box shape that can be filled with water or sand inside, but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that prevent the horizontal bars of the supporting members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are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tangular enclosure do,
Multi-function billboard, characterized in that when installed in the form of stacking the weight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box, a pair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s are fitted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측면 지지봉들은 내측을 향해 상호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 지지봉들은 외측을 향해 상호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재들과 지지부재들을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봉 결합수단을 통해 사각 틀체 형상으로 결합하였을 때, 사면이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간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 mutually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inside, and the side support rods of the support member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 mutually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support members and the support member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ide support rods. Multifunctional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when combin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hrough means, each of the four sides has a trapezoidal shape.
KR1020210115099A 2021-08-30 2021-08-30 multifunctional billboard KR102339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099A KR102339218B1 (en) 2021-08-30 2021-08-30 multifunctional billboard
PCT/KR2022/012936 WO2023033505A1 (en) 2021-08-30 2022-08-30 Multi-functional standing sign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099A KR102339218B1 (en) 2021-08-30 2021-08-30 multifunctional bill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218B1 true KR102339218B1 (en) 2021-12-14

Family

ID=7893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099A KR102339218B1 (en) 2021-08-30 2021-08-30 multifunctional billboar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9218B1 (en)
WO (1) WO202303350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05A1 (en) * 2021-08-30 2023-03-09 배근호 Multi-functional standing signboard
WO2024053940A1 (en) * 2022-09-07 2024-03-14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Self-supported screen assembl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147Y1 (en) 2005-04-27 2005-07-07 장진호 a variable stand for support banner with various size
KR20100010545U (en) 2009-04-17 2010-10-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Banner Board
KR20130005812U (en) 2012-03-28 2013-10-08 이정섭 Banner holder
KR101459938B1 (en) 2013-08-20 2014-11-07 윤진현 A banner signboard
KR20160044188A (en) * 2014-10-15 2016-04-25 조인영 Banner advertised board
KR20210000854U (en) * 2019-10-10 2021-04-21 정성의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63B1 (en) * 2008-11-18 2009-08-07 최병무 A poster column for supporting banner
JP6837646B2 (en) * 2019-06-18 2021-03-03 パール金属株式会社 Supports such as poles
KR102339218B1 (en) * 2021-08-30 2021-12-14 배근호 multifunctional billboar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147Y1 (en) 2005-04-27 2005-07-07 장진호 a variable stand for support banner with various size
KR20100010545U (en) 2009-04-17 2010-10-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Banner Board
KR20130005812U (en) 2012-03-28 2013-10-08 이정섭 Banner holder
KR101459938B1 (en) 2013-08-20 2014-11-07 윤진현 A banner signboard
KR20160044188A (en) * 2014-10-15 2016-04-25 조인영 Banner advertised board
KR20210000854U (en) * 2019-10-10 2021-04-21 정성의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05A1 (en) * 2021-08-30 2023-03-09 배근호 Multi-functional standing signboard
WO2024053940A1 (en) * 2022-09-07 2024-03-14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Self-supported scree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505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218B1 (en) multifunctional billboard
KR200494748Y1 (en)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US20180137789A1 (en) Magnetic mounting system
KR102465546B1 (en) bill platform
KR101391918B1 (en) A moving banner advertisement apparatus
KR101383154B1 (en) Hanging device for banner
CN210325117U (en) Detachable advertisement frame convenient to assemble
CN201465491U (en) Advertisement frame
KR200310184Y1 (en) hanger
KR20140001549U (en) Placard a rack system
KR102517408B1 (en) Prefabricated assembly for mounting mobile banners
US9881527B1 (en) Flexible tensioned banner
KR200363314Y1 (en) Supporting tool for screen-signboard device
US20130287477A1 (en) Expanding devices
CN214942263U (en) Net piece linkage
KR200425854Y1 (en) Inclined rail puck
CN214624098U (en) Show board with adjustable primary school's education is used
KR102386157B1 (en) Device for Fixing Hanging Banner
CN216408502U (en) Hanger and television
CN209029049U (en) A kind of vertical advertising show shelf
KR20100010545U (en) Banner Board
KR200362644Y1 (en) Holder for a display stand
KR200357879Y1 (en) we are a hanging banner hanger which has a jadongpyeolchim facility of the jijidae
CN201975041U (en) Advertisement mast
JP3082956U (en) Hanging curtain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