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577B1 -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577B1
KR102338577B1 KR1020210050766A KR20210050766A KR102338577B1 KR 102338577 B1 KR102338577 B1 KR 102338577B1 KR 1020210050766 A KR1020210050766 A KR 1020210050766A KR 20210050766 A KR20210050766 A KR 20210050766A KR 102338577 B1 KR102338577 B1 KR 10233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ver
parking
modu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디 filed Critical (주)제이엔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주차센서는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모듈; 자석의 접근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리드스위치; 특정 거리 내의 자석 접근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시간 체크모듈; 관리자 단말기 및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 리드스위치, 근접시간 체크모듈 및 통신모듈의 데이터를 관리 저장하거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하고, 자석의 접근에 따라 구동모드를 변경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SMART PARKING SENSOR HAVING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교통이 확장되고 운전 편의성이 증대하면서 차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한정된 면적에서 주차를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인 주차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건물의 경우, 지하를 활용하여 주차장을 건설하고 있고, 그 외에도 기차역이나 관공서 등에서는 실외의 지상 또는 지하를 활용한 별도의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주차장을 운영하기 위해, 최근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하는 차량 주차센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주차센서가 활용됨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차량의 주차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차차량이 많은 주차장에서도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주체센서 상당수는 주차장의 바닥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매립형 센서는, 건물의 천장이나 벽에 설치되어야 하는 센서들과 달리 바닥에 매립되므로, 실내주차장뿐 아니라 실외주차장에도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매립형 센서는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발생하므로 고장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것과 배터리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매립형 센서는 매립형 센서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센서가 수용되고, 케이스의 상부에 커버가 덮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매립형 센서는, 주차장의 바닥에 매립되되, 커버가 주차장의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매립형 센서는, 지중에 매립되는 특성 상, 그 상단에 배치되는 커버의 상단면과 주차장의 바닥면이 동일 높이가 되도록 설치되기가 어렵다.
만약 매립형 센서가 주차장의 바닥면 상부로 튀어나오게 설치되는 경우, 주차 또는 출차 중인 차량으로 인해 매립형 센서의 커버나 케이스가 파손될 수 있다. 이처럼 커버나 케이스의 파손이 발생되면, 파손된 커버나 케이스의 틈을 통해 물이 매립형 센서의 내부로 침투하여 센서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매립형 센서가 주차장의 바닥면 보다 낮게 매립된다면, 매립형 센서의 상부에 물이 고인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매립형 센서의 완벽한 방수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와 같이 장기간 물이 고인 상태에서는 물이 매립형 센서의 내부로 침투하여 센서의 고장을 일으킬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배터리 효율 및 내구성이 개선된 주차센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배터리 효율 및 내구성이 개선된 주차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는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모듈; 자석의 접근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리드스위치; 특정 거리 내의 자석 접근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시간 체크모듈; 관리자 단말기 및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 리드스위치, 근접시간 체크모듈 및 통신모듈의 데이터를 관리 저장하거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자석의 접근에 따라 구동모드를 변경한다.
상기 센서모듈은 지자기 센서 및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은 상기 자석의 근접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가 스위칭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및 음파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드는, 상기 센서모듈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주차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동되는 센싱모드; 상기 센서모듈이 동작을 중단하는 슬립모드; 및 설정 변경을 위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구동모드를 제어하는 모드제어부; 상기 지자기 센서의 단주기 및 상기 레이다 센서의 장주기에 따라 상기 지자기 센서 및 레이다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고,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주기 제어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말기 인증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센싱모드에서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의 자석 근접 시간이 제1근접시간에 해당되면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의 자석 근접 시간이 제2근접시간에 해당되면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통신부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통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스마트 주차센서의 설정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대기모드 진입 후 특정 시간 동안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이 없는 경우 센싱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근접시간은 5초 이상이고, 상기 제2근접시간은 1초 이상이고, 상기 특정 시간은 5초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지자기 센서의 단주기, 지자기 센서의 감도, 레이더 센서의 장주기, 레이더 센서의 감도, 스마트 주차센서의 ID 부여, 신호 공급 G/W ID 부여 및 채널 부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주기 제어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주기 간격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흐름이 장주기에 해당되면 상기 레이다 센서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주차 또는 비주차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흐름이 장주기에 해당되지 않으면 단주기 간격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시간의 흐름이 단주기 간격에 해당되면 상기 지자기 센서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 데이터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레이다 센서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주차 또는 비주차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인증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스마트 주차센서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주차센서 ID 및 주차센서 패스워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센서 정보의 매칭 여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고, 통신부를 통해 인증된 관리자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주차센서는, 센서 등과 같은 부품들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케이스와 결합되는 커버 및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수평조절부재는 지면을 기준으로 한 커버의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의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면서 지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주차장 바닥면에 설치됨으로써, 주차 또는 출차 중인 차량 등으로 인해 주차센서가 파손되거나 주차센서의 상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커버 내부에 삽입된 회로기판과 커버 사이에 차폐부재가 배치되고 차폐부재는 센서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센서를 주변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로기판과 배터리가 실링부에 의해 이물질이나 물기의 침투로부터 보호되면서 센서의 작동을 위한 통로는 실링부에 의해 막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커버의 커버플레이트가 케이스의 측벽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를 측벽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측벽에는 케이스의 측벽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부재는 체결홈에 삽입되며 측벽과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체결홈은 체결부재의 길이보다 더 긴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리 및 보수를 위해 커버(120)를 수 차례 개방하더라도 체결부재에 의한 고정력이 감소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센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지면 상부로 노출되게 지중에 매립되는 주차센서로서, 지중에 매립될 수 있게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지면 상부로 노출되는 커버; 및 지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의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는 수평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절부재는, 상기 커버에 착탈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커버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상부면 중 상기 결합부와 맞닿는 면인 결합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결합면과 마주하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이 상기 결합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이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부재는, 상기 결합면 또는 상기 지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제1체결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에는, 제2체결홀이 상기 제1체결홀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센서; 및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로 둘러싸인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채우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스 사이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커버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부는, 에폭시 재질의 충진재가 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하우징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채워진 후 경화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차센서는, 상기 센서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측방향 외측에는,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실링홈이 상기 회로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며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차센서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측벽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측벽과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길이보다 더 긴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길이보다 3 내지 5배 긴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배터리 효율 및 내구성이 개선된 주차센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커버의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면서 지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주차장 바닥면에 설치됨으로써, 주차 또는 출차 중인 차량 등으로 인해 주차센서가 파손되거나 주차센서의 상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손된 커버나 케이스의 틈을 통한 물의 침투나 주차센서의 상부에 장기간 고인 물의 침투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물의 침투로 인한 회로기판, 센서, 배터리 등의 고장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배터리가 실링부에 의해 이물질이나 물기의 침투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센서의 작동을 위한 통로는 실링부에 의해 막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반복되는 경우에도 방진, 방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 즉 유지 보수의 편의성과 방진, 방수 성능의 신뢰성을 모두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의 블록도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자석과 리드스위치의 관계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리드스위치와 근접시간 체크모듈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모드제어부가 구동모드를 변환하는 개념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센서주기 제어부의 알고리즘을 순서도로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차센서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₃-₃'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주차센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주차센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 주차센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의 블록도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자석과 리드스위치의 관계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리드스위치와 근접시간 체크모듈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모드제어부가 구동모드를 변환하는 개념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스마트 주차센서에서 센서주기 제어부의 알고리즘을 순서도로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100)는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모듈(1000); 자석의 접근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리드스위치(2000); 특정 거리 내의 자석 접근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시간 체크모듈(3000); 관리자 단말기 및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4000); 및 상기 센서모듈, 리드스위치, 근접시간 체크모듈 및 통신모듈의 데이터를 관리 저장하거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000);을 포함하고, 자석의 접근에 따라 구동모드를 변경한다.
상기 구동모드는 상기 센서모듈(1000)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주차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동되는 센싱모드; 상기 센서모듈(1000)이 동작을 중단하는 슬립모드; 및 설정 변경을 위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는 대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000)은 지자기 센서(1100) 및 레이더 센서(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자기 센서(1100)는 지자기를 검출하는 센서로써, 금속을 포함하는 차량의 접근에 따라 달라지는 데이터로부터 차량의 입출차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 센서(1300)는 분해능이 높고, 금속 아닌 장애물은 투과하는 주파수의 파장을 적용하고 있어 주차면, 특히 야외 주차면 위의 장애물(예를 들어, 낙엽, 눈 등)에 방해를 받지않고 실제로 차량의 추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100)는 지자기 센서(1100) 및 레이더 센서(1300)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주차 여부 판단에 대한 신뢰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제어모듈(5000)의 센서주기 제어부(5300)의 알고리즘에 의해 전력을 비교적 적게 소비하는 지자기 센서(1100)는 단주기로 구동하고, 전력을 비교적 많이 소비하는 레이더 센서(1300)는 장주기 또는 상기 지자기 센서(110)의 센싱 값에 따라 특정 상황에만 구동시킴으로써, 배터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위치(2000)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자석의 근접에 따라 스위칭 되는 구성으로 이는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배선이 전하를 띠고, 이로써 인력으로 특정 배선과 연결(예를 들어, 도 3의 근접시간 체크모듈(T)이 구비된 배선)될 수 있다.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3000)은 도 3을 참고하면, 자석의 근접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가 스위칭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자석(3100)이 스마트 주차센서(100)에 접근하는 경우,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자석의 근접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자석 근접 시간에 따라 후술하는 제어모듈(5000)의 모드제어부(5100)는 스마트 주차센서(100)의 구동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4000)은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및/또는 서버(미도시)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스마트 주차센서의 목적 및 환경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모듈(40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및 음파 통신이 가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0)는 상기 센서모듈(1000), 리드스위치(2000), 근접시간 체크모듈(3000) 및 통신모듈(4000)의 데이터를 관리 저장하거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5000)은, 상기 구동모드를 제어하는 모드제어부(5100); 상기 지자기 센서의 단주기 및 상기 레이다 센서의 장주기에 따라 상기 지자기 센서 및 레이다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고,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주기 제어부(5300);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말기 인증부(550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모드제어부(5100)는, 상기 센싱모드에서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3000)의 자석 근접 시간이 제1근접시간에 해당되면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3000)의 자석 근접 시간이 제2근접시간에 해당되면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스마트 주차센서(100)의 설정 변경이 필요하거나, 작동의 문제로 리셋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 스마트 주차센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센싱모드, 슬립모드 및 대기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리셋 및/또는 설정 변경이 용이하며, 이는 매립형 주차센서를 분리하지 않고도 유지,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5100)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통신부(4000)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미도시)가 통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스마트 주차센서(100)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대기모드 진입 후 특정 시간 동안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이 없는 경우(설정 변경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바로 센싱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근접시간은 5초 이상이고, 상기 제2근접시간은 1초 이상이고, 상기 특정 시간은 5초 이상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설정정보는 지자기 센서의 단주기, 지자기 센서의 감도, 레이더 센서의 장주기, 레이더 센서의 감도, 스마트 주차센서의 ID 부여, 신호 공급 G/W ID 부여 및 채널 부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주기 제어부(5300)는, 도 5를 참고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주기 간격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흐름이 장주기에 해당되면 상기 레이다 센서(1300)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주차 또는 비주차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흐름이 장주기에 해당되지 않으면 단주기 간격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시간의 흐름이 단주기 간격에 해당되면 상기 지자기 센서(1100)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 데이터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레이다 센서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주차 또는 비주차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센싱모드의 루틴 동작에 해당되는 것으로, 자석(3100)이 리드스위치(2000)에 제1접근시간 동안 접근이 일어나지 않으면 계속되고, 자석(3100)이 리드스위치(2000)에 제1접근시간 동안 접근이 있고, 이를 근접시간 체크모듈(3000)에 의해 접근시간이 산출되면, 모드제어부(5100)는 스마트 주차센서(100)를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인증부(550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스마트 주차센서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주차센서 ID 및 주차센서 패스워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센서 정보의 매칭 여부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고, 통신부를 통해 인증된 관리자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스마트 주차센서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주차센서의 전반적인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주차센서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₃-₃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6에 도시된 주차센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주차센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서는 배터리 및 실링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고, 도 9 및 도 11에서는 실링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 둔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100)는 케이스(110)와 커버(120)와 회로기판(130)과 배터리(140) 및 수평조절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와 커버(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케이스(110)와 커버(120)의 결합체는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와 커버(120)의 결합체는, 지중에 매립될 수 있게 마련된다. 예컨대, 케이스(110)와 커버(120)는, 강도가 높은 금속이나 강도가 높으면서도 부식에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공간에 회로기판(130) 및 이 회로기판(130)과 연결된 배터리(140)가 수용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부방향"이라 함은 케이스(110)로부터 커버(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하부방향"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커버(120)로부터 케이스(110)가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측방향"이라 함은 커버(120)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커버(120)는, 케이스(110)의 상부를 덮으며 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지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10)의 상부면은 지면과 거의 동일면에 가까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은,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130)에는, 배터리(14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소자와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30)에는,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센서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부(131)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센서로서 레이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부(131)는 지면 상부로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발신하고, 수신부(133)는 송신부(131)에서 발신된 후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며, 센서는 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주차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지자기 센서가 상기 센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하여 주차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레이더 센서 및 지자기 센서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자기 센서에 의해 지구 자기장의 변화가 감지되면 레이더 센서가 작동되는 방식으로 주차 유무를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상기 회로기판(130)과 함께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40)는, 회로기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130) 및 센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10)와 커버(120)의 결합체의 내부에 회로기판(130) 및 배터리(140)가 수용된 형태로 주차센서(100)가 제공되고, 이러한 주차센서(100)는 지중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센서(100)의 설치 위치 및 자세는, 수평조절부재(15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수평조절부재(150)는, 커버(120)에 착탈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조절부재(150)는, 커버(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을 기준으로 한 커버(120)의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할 수 있다. 수평조절부재(15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스 및 커버의 구조]
케이스(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지면으로부터 하부로 보링(Boring)되어 형성된 설치공(h)에 삽입되는 형태로 지중에 매립될 수 있다. 보링 작업의 특성 상, 통상적으로 설치공(h)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감안하여, 케이스(110)는 설치공(h)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바닥면(111) 및 측벽(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11)은, 케이스(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면(111)은,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의 하부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측벽(115)은,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을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바닥면(111)이 위치한 케이스(110)의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벽(115)의 외측면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115)의 내측면은, 측벽(115)의 외측면처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측벽(115)의 내측면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115)의 내측면이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을 사각 형상으로 둘러싸고, 이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측벽(115)의 상부에는, 커버(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커버플레이트(121)가 안착되는 안착면(116)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116)은, 커버플레이트(121)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측벽(115)에는, 체결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7)은, 안착면(116)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17)은 케이스(110)와 커버(12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체결홈(117)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120)는, 케이스(110)의 상부를 덮으며 케이스(11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커버플레이트(121)와 커버하우징(125)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21)는, 케이스(11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차센서(100)가 지중에 매립되었을 때, 커버플레이트(121)의 상부면은 지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21)는, 케이스(110)의 상부를 덮으며 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21)는, 케이스(110)의 안착면(1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이스(11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21)와 케이스(110) 간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16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160)는 체결홈(117)에 삽입되며 측벽(115)과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Screw)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체결부재(160)는, 안착면(116)에 안착된 커버플레이트(121)를 측벽(11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재(160)는 커버플레이트(121)의 상부에서 커버플레이트(121)를 관통한 후 체결홈(117)에 삽입되며 측벽(115)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커버플레이트(121)를 측벽(11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21)에는, 체결홀(121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160)가 커버플레이트(121)를 관통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하우징(125)은, 커버플레이트(121)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하우징(125)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하우징(125)은 측벽(115)으로 둘러싸인 케이스(110)의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하우징(125)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30) 및 배터리(140) 등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와 커버(120)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커버플레이트(121)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커버하우징(125)은 케이스(1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회로기판(130) 및 배터리(140)는 커버하우징(125) 내부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주차센서의 내부 구조]
회로기판(130)은, 케이스(110)와 커버(120)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130)은, 센서, 예컨대 송신부(131)와 수신부(133)가 실장된 면이 커버플레이트(121)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송신부(131)와 수신부(133)는 커버플레이트(121)와 마주하며 커버플레이트(12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커버플레이트(121)에는 관통홀(121b)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홀(121b)은, 송신부(131)와 수신부(133)를 커버플레이트(121)의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커버플레이트(121)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관통홀(121b)이 배치되되, 그 중 하나는 송신부(131)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수신부(133)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관통홀(121b)의 측방향 외측, 즉 관통홀(121b)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관통홀(121b)을 둘러싸는 실링홈(171)이 배치된다. 실링홈(171)은, 회로기판(130)과 마주보는 커버플레이트(121)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실링홈(171)은 커버플레이트(121)의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1b)에는, 투과부재(17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재(170)는, 관통홀(121b)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부재(170)는, 전파를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170)는, 관통홀(121b)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나 물기가 커버플레이트(121) 하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관통홀(121b)을 차폐한 상태에서, 송신부(131)에서 발신되는 전파 및 외부에서 수신부(133)를 향해 반사되는 전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170)의 하부에는, 차폐부재(135)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재(135)는, 센서, 즉 송신부(131)와 수신부(133)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커버플레이트(121)와 회로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13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오링(O-ring)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플레이트(121)와 회로기판(130) 사이에 한 쌍의 차폐부재(135)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 중 하나의 차폐부재(135)는 송신부(131)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차폐부재(135)는 수신부(133)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투과부재(170)의 하부에는, 실링홈(171)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171)은, 회로기판(130)과 마주보는 투과부재(170)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관통홀(121b)이 형성된 커버플레이트(121)의 내주면과 인접한 투과부재(170)의 테두리에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차폐부재(135)는, 상기 실링홈(171)에 안착된 상태로 커버플레이트(121)와 투과부재(17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140)는, 회로기판(130)과 동일 공간, 즉 케이스(110)와 커버(120)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회로기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140)는, 회로기판(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플레이트(121)와 배터리(140) 사이에 회로기판(13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130) 및 배터리(140)가 수용된 수용공간에는, 실링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145)는, 케이스(110) 및 커버(120)로 둘러싸인 수용공간 내부를 채우며 회로기판(130)과 케이스(110) 사이, 그리고 회로기판(130)과 커버(12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실링부(145)의 형성 방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주차센서의 조립 관련 구조]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의 조립 관련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주차센서의 조립을 위해,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커버(120)의 내부에 회로기판(130) 및 배터리(14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커버(120)의 개방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즉 커버플레이트(121)가 하부를 향하도록 커버(120)가 뒤집힌 상태에서, 먼저 회로기판(130)이 커버(120)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로기판(130)이 커버(120)의 내부에 설치되기 전에, 먼저 투과부재(170) 및 차폐부재(135)가 커버플레이트(12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관통홀(121b)을 통해 투과부재(170)가 커버플레이트(121)에 끼워지는 형태로 투과부재(170)가 커버플레이트(121)에 설치된 후, 투과부재(170)의 하부면에 형성된 실링홈(171)에 차폐부재(170)가 안착된 형태로 차폐부재(135)가 커버플레이트(1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재(135)는, 차폐부재(135)의 적어도 일부분이 실링홈(171)에 삽입된 형태로 커버플레이트(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커버플레이트(121)에 결합된 차폐부재(135)의 일부분은, 실링홈(171)으로부터 회로기판(13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투과부재(170) 및 차폐부재(135)의 설치가 완료된 후, 회로기판(130)이 커버(120)에 설치된다. 회로기판(130)은, 커버플레이트(121)와 커버하우징(125)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이 내부공간에서 커버플레이트(12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은, 송신부(131) 및 수신부(133)가 커버플레이트(121)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한 쌍의 차폐부재(135)가 송신부(131) 및 수신부(133)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게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121)와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과 커버플레이트(121) 간의 결합은, 회로기판(130)의 하부에서 회로기판(130)을 관통하여 커버플레이트(121)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회로기판(130)은 차폐부재(135)를 커버플레이트(121) 측으로 가압하면서 커버플레이트(1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과부재(170)와 회로기판(130) 사이에 배치된 차폐부재(135)는, 투과부재(170)와 회로기판(130)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투과부재(170)와 회로기판(13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135)는, 투과부재(170)와 회로기판(13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되는 동시에 측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커버플레이트(121) 및 이에 형성된 실링홈(171)과도 밀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배터리(140)와 회로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회로기판(130)이 수용된 공간과 동일 공간에 배터리(140)를 삽입함으로써, 회로기판(130)과 배터리(14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과 배터리(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45)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부(145)는, 회로기판(130) 및 배터리(140)가 수용된 내부공간, 즉 커버플레이트(121)와 커버하우징(125)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에폭시 재질의 충진재가 채워진 후 경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45)는, 커버플레이트(121)와 회로기판(130) 사이, 커버하우징(125)과 회로기판(130) 사이, 배터리(140)와 커버하우징(125) 사이를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커버(120)의 내부에 채워진 실링부(145)는, 커버(120) 내부로 침투한 이물질이나 물기가 회로기판(130)이나 배터리(14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부재(135)가 송신부(131)와 수신부(133)를 측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폐부재(135)는, 투과부재(170)와 회로기판(13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압축되는 동시에 측방향으로 팽창되면서 투과부재(170)와 회로기판(130) 및 커버플레이트(121)와 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135)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은 차폐부재(135) 외부로부터 차폐되며, 이로 인해 실링부(145)는 송신부(131)와 수신부(133) 주변에 채워질 수가 없게 된다. 이로써 송신부(131)와 투과부재(170) 사이, 수신부(133)와 투과부재(170) 사이가 실링부(145)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즉 회로기판(130)과 배터리(140)가 이물질이나 물기의 침투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실링부(145)에 의해 밀봉되는 상태에서, 송신부(131)와 수신부(133)의 작동을 위한 통로는 실링부(145)에 의해 막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커버(120)의 내부에 채워진 충진재가 경화되어 실링부(145)의 형성이 완료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커버(120)가 서로 결합되면, 주차센서(100)의 조립이 일차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케이스(110)와 커버(120)의 결합은, 커버하우징(125)이 케이스(11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커버플레이트(121)가 케이스(110)의 안착면(1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121)가 케이스(110)의 안착면(1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60)는 커버플레이트(121)의 상부에서 커버플레이트(121)를 관통한 후 체결홈(117)에 삽입되며 측벽(115)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20)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케이스(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홈(117)이 체결부재(160)의 길이보다 더 긴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체결홈(117)은 체결부재(160)의 길이보다 3 내지 5배 긴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120)는 체결부재(160)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통해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주차센서(100)가 지중에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도 커버(120)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로기판(130)이나 배터리(140)와 같은 내부 부품들 대부분이 실링부(145)에 의해 밀봉되어 커버(12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커버(120)만을 분리하여도 주차센서(100)의 수리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주차센서(100)의 수리 및 보수를 위한 커버(120)의 분리가 반복되고, 이로 인해 체결부재(160)의 체결과 분리가 반복되다 보면, 체결홈(117)의 파손이 누적될 수 있다. 그 결과, 체결부재(160)에 의한 고정력이 감소되고 그로 인해 커버(120)와 케이스(110)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커버(120)와 케이스(110) 간의 틈을 통해 이물질이나 물기가 주차센서(100)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주차센서(100)의 고장이 발생된 우려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홈(117)이 체결부재(160)의 길이보다 더 긴 깊이, 예컨대 체결부재(160)의 길이보다 3 내지 5배 긴 깊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커버(120)의 분리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체결부재의 길이를 점차 증가시면, 즉 커버(120)의 분리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좀 더 긴 길이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면, 수리 및 보수를 위해 커버(120)를 수 차례 개방하더라도 체결부재에 의한 고정력이 감소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주차센서(100)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반복되는 경우에도 방진, 방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 즉 유지 보수의 편의성과 방진, 방수 성능의 신뢰성을 모두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주차센서의 수평 조절 관련 구조]
도 1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센서의 조립 관련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주차센서를 매립,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 바닥에 구멍을 내어 설치공(h)을 형성하고, 이 설치공(h)에 실란트(Sealant)를 채운다.
그런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절부재(150)를 주차센서(100)에 설치하고, 수평조절부재(150)가 설치된 주차센서(100)를 실란트가 굳기 전에 설치공(h)에 삽입한다.
도 8 및 도 16을 참조하면, 수평조절부재(150)는 커버(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플레이트(121)와 결합됨으로써 주차센서(100)에 설치될 수 있다.
수평조절부재(150)가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121)의 상부면은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21)의 상부면에는, 미끄러짐을 억제시키기 위한 올록볼록한 패턴이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플레이트(121)의 상부면 중, 수평조절부재(1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결합부(151)와 맞닿는 면인 결합면(124)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면(124)이 커버플레이트(121)의 테두리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고, 한 쌍의 결합면(124)이 커버플레이트(121)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수평조절부재(150)는, 결합면(124)과 결합됨으로써 커버(12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조절부재(150)가 한 쌍의 결합면(124)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즉 한 쌍의 수평조절부재(150)가 커버플레이트(121)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수평조절부재(150)는, 결합면(124) 또는 지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조절부재(150)는, 결합부(151) 및 지지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51)는, 커버(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플레이트(121)에 착탈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151)는 수평조절부재(150)의 중심 측에 배치되며, 결합면(124)과 마주하는 결합부(151)의 일측면은 결합면(124)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1)는, 커버플레이트(121)의 결합면(124)과 맞대어진 상태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151)에는 제1체결홀(151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면(124)에는, 제2체결홀(124a)이 제1체결홀(151a)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51)에는 복수개의 제1체결홀(151a)이 수평조절부재(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결합면(124)에는 복수개의 제2체결홀(124a)이 수평조절부재(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체결홀(151a)들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결합부(151)의 상부로부터 제1체결홀(151a) 및 제2체결홀(124a)을 통해 수평조절부재(150) 및 커버플레이트(121)를 관통하면서 수평조절부재(150)와 커버플레이트(12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부(155)는, 결합부(151)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지지부(155)는, 수평조절부재(150)가 커버(120)에 설치되었을 때, 커버(120)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부(155)는, 주차센서(100)가 지중에 매립될 때 지면에 안착되어 결합부(151) 및 이와 결합된 주차센서(1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마주하는 지지부(155)의 일측면은 결합면(124)과 마주하는 결합부(151)의 일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수평조절부재(150) 상에서, 커버(120)의 상부면과 맞닿는 면과 지면과 맞닿는 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조절부재(150)가 커버(120)의 상부면에 결합되되, 각각의 수평조절부재(150)의 결합부(151)가 커버플레이트(121)의 결합면에 결합된 형태로 수평조절부재(150)가 주차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수평조절부재(150)가 주차센서(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차센서(100)를 설치공(h)에 삽입하면, 수평조절부재(150)의 지지부(155)가 지면에 걸쳐진 상태로 주차센서(100)가 설치공(h)에 삽입된다.
주차센서(100)의 상단, 즉 커버(120)의 상부면이 수평조절부재(15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커버(120)의 상부면의 위치는 수평조절부재(150)에 의해 규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조절부재(150) 상에서, 커버(120)의 상부면과 맞닿는 면과 지면과 맞닿는 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지면에 걸쳐진 수평조절부재(150)는, 수평조절부재(150)와 결합된 커버(120)의 상부면을 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커버(120)의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주차센서(100)는, 지면 상부로 노출되는 면인 커버(120)의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좀 더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차센서(100)가 지중에 매립된 상태에서, 주차센서(100) 주변에 채워진 실란트가 굳으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절부재(150; 도 16 참조)를 커버(120)로부터 분리시키면, 주차센서(100)의 매립,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주차센서(100)는, 커버(120)의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면서 지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주차장 바닥면에 설치됨으로써, 주차 또는 출차 중인 차량 등으로 인해 주차센서(100)가 파손되거나 주차센서(100)의 상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센서(100)는, 파손된 커버(120)나 케이스(110)의 틈을 통한 물의 침투나 주차센서(100)의 상부에 장기간 고인 물의 침투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물의 침투로 인한 회로기판, 센서, 배터리 등의 고장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주차센서(100)는, 송신부(131)와 수신부(133)를 각각 둘러싸며 그 주변을 차폐하는 차폐부재(135)를 이용하여 수신부(133)와 투과부재(170) 사이가 실링부(145)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센서(100)는, 회로기판(130)과 배터리(140)가 실링부(145)에 의해 이물질이나 물기의 침투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송신부(131)와 수신부(133)의 작동을 위한 통로는 실링부(145)에 의해 막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주차센서(100)에 따르면, 체결홈(117)이 체결부재(160)의 길이보다 더 긴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수리 및 보수를 위해 커버(120)를 수 차례 개방하더라도 체결부재에 의한 고정력이 감소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주차센서(100)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유지 보수가 반복되는 경우에도 방진, 방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 즉 유지 보수의 편의성과 방진, 방수 성능의 신뢰성을 모두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주차센서 1000: 센서모듈
1100: 지자기 센서 1300: 레이더 센서
2000: 리드스위치 3000: 근접시간 체크모듈
4000: 통신모듈 5000: 제어모듈
5100: 모드제어부 5300: 센서주기 제어부
5500: 단말기 인증부
110: 케이스 111: 바닥면
115: 측벽 116: 안착면
117: 체결홈 120: 커버
121: 커버플레이트 121a: 체결홀
121b: 관통홀 123: 실링홈
124: 결합면 124a: 제2체결홀
125: 커버하우징 130: 회로기판
131: 송신부 133: 수신부
135: 차폐부재 140: 배터리
145: 실링부 150: 수평조절부재
151: 결합부 151a: 제1체결홀
155: 지지부 160: 체결부재
170: 투과부재 h: 설치공

Claims (9)

  1. 지자기 센서 및 레이더 센서를 포함하고,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모듈;
    자석의 접근에 따라 스위칭 되는 리드스위치;
    특정 거리 내의 자석 접근 시간을 측정하는 근접시간 체크모듈;
    관리자 단말기 및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 리드스위치, 근접시간 체크모듈 및 통신모듈의 데이터를 관리 저장하거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자석의 접근에 따라 구동모드를 변경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이며,
    상기 구동모드는,
    상기 센서모듈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주차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동되는 센싱모드; 상기 센서모듈이 동작을 중단하는 슬립모드; 및 설정 변경을 위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대기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구동모드를 제어하는 모드제어부; 상기 지자기 센서의 단주기 및 상기 레이다 센서의 장주기에 따라 상기 지자기 센서 및 레이다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고, 주차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주기 제어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말기 인증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은 상기 자석의 근접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가 스위칭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센싱모드에서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의 자석 근접 시간이 제1근접시간에 해당되면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근접시간 체크모듈의 자석 근접 시간이 제2근접시간에 해당되면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통신되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스마트 주차센서의 설정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대기모드 진입 후 특정 시간 동안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이 없는 경우 센싱모드로 전환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주기 제어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주기 간격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흐름이 장주기에 해당되면 상기 레이다 센서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주차 또는 비주차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의 흐름이 장주기에 해당되지 않으면 단주기 간격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시간의 흐름이 단주기 간격에 해당되면 상기 지자기 센서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 데이터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레이다 센서를 구동하여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주차 또는 비주차를 판단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주차센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지면 상부로 노출되게 지중에 매립되는 주차센서로서,
    지중에 매립될 수 있게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지면 상부로 노출되는 커버;
    지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의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는 수평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절부재는,
    상기 커버에 착탈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커버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KR1020210050766A 2021-04-06 2021-04-19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KR102338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44 2021-04-06
KR20210044544 2021-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577B1 true KR102338577B1 (ko) 2021-12-13

Family

ID=7883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766A KR102338577B1 (ko) 2021-04-06 2021-04-19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222A (ko) * 2017-03-09 2018-09-20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를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9406B1 (ko) * 2020-09-22 2021-02-24 (주)제이엔디 기밀한 내구성을 가지는 포팅구조의 무선주차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222A (ko) * 2017-03-09 2018-09-20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를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19406B1 (ko) * 2020-09-22 2021-02-24 (주)제이엔디 기밀한 내구성을 가지는 포팅구조의 무선주차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02B1 (ko) 지하 맨홀을 활용한 지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US20080137484A1 (en) Seismic sensor housing, seismic sensor, and seismic acquisition system made therewith
CN102277882A (zh) 混凝土打桩监视系统及安装方法
US20120007749A1 (en) System for Identifying Vehicles in a Parking Facility
CN106912147A (zh) 用于户外通讯系统的控制系统
US11776376B2 (en) Flood monitoring unit and system
US20110032121A1 (en) Method, System, And Optical Communication Assembly For Obtaining Traffic Information
KR102338577B1 (ko) 내구성이 개선된 스마트 주차센서
US7558536B2 (en) Antenna/transceiver configuration in a traffic sensor
KR20170021219A (ko) 레이저 거리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장치 및 그에 의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방법
AU2006235797B2 (en) Sensor intended to be embedded in a layer of cement material of a pavement and security system including said sensor
AU2007202662B2 (en) Seismic sensor for a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system including such a sensor
KR102001960B1 (ko) 스마트 맨홀 뚜껑의 안테나모듈 방수 및 매립 구조
KR20180087215A (ko) 레이저 거리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장치 및 그에 의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방법
KR102238666B1 (ko) 주차감지장치
US20060089789A1 (en) Vehicle data logging systems
KR20170125763A (ko) 레이저 거리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장치 및 그에 의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방법
CN110617788A (zh) 一种道路井盖异常状态监测装置及安装方法
US10705249B2 (en) Electronic marker with integral level indicator
CN203520595U (zh) 一种极低功耗的窨井盖状态监测装置
WO2020127268A1 (en) Vehicle proximity sensor for in-ground installation
JPH0334712Y2 (ko)
CN209486907U (zh) 一种车辆在位检测装置
KR102219406B1 (ko) 기밀한 내구성을 가지는 포팅구조의 무선주차센서
KR102298485B1 (ko) IoT 지적 기준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