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445B1 -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445B1
KR102338445B1 KR1020180057994A KR20180057994A KR102338445B1 KR 102338445 B1 KR102338445 B1 KR 102338445B1 KR 1020180057994 A KR1020180057994 A KR 1020180057994A KR 20180057994 A KR20180057994 A KR 20180057994A KR 102338445 B1 KR102338445 B1 KR 10233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auditory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630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552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6233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8005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4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5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con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청력을 통해 인식 또는 감지되는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청각 이외의 감각을 통해 전달하는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FOR OFFER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 받고,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육감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일상 생활에서 많은 소리, 음성 등을 접하게 된다. 소리, 음성 등은 음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로서, 음원으로부터 전파되어 가는 성질을 가진다. 소리, 음성 등은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되는데, 도달된 순간에 사용자가 청력을 통해 소리, 음성 등을 인식 또는 감지하지 못한다면, 소리, 음성 등은 소멸되게 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2371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력을 통해 인식 또는 감지되는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청각 이외의 감각을 통해 전달하는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은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되고,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되며, 단위 시간 또는 단위 크기인 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청각 데이터로부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성분을 기초로 상기 청각 데이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은 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분절한 청각 데이터의 제1 스펙트럼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제2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은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의 후속으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연계된 가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된 청각 데이터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한 전자 장치, 사람, 사물, 동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의미 데이터는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이거나,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감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데이터는 상기 청각 데이터를 인지할 경우, 사용자가 후속적으로 하는 리액션과 대응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은 상기 제1 장치와 다른 제2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액션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액션과 대응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션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거나 접근하는 대상체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액션을 검출하고, 상기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기 대상체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대상체의 이동 속도와 대응되는 크기의 자극을 생성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되고,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되며, 단위 시간 또는 단위 크기인 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청각 데이터로부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을 기초로 상기 청각 데이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분절한 청각 데이터의 제1 스펙트럼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제2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스펙트럼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의 후속으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연계된 가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청력을 통해 인식 또는 감지되는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회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하드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태 머신 회로, 및/또는 펌웨어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인스트럭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모듈은,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는 집적 회로 칩과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10)은 정보 출력 장치(100), 제1 장치(201), 제2 장치(202), 데이터 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1 장치(201)를 통해 감지된 청각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가이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1 장치(201)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0)는 청각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발생원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위치,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등)을 센싱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정보 출력 장치(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발생된 청각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청각 데이터가 인지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상기 청각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는 의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네비게이션, 전화기, 시계 등에 의해 생성된 청각 데이터를 감지하고, 상기 청각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의 의미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의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력 데이터는 사용자의 청각을 제외한 시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길 안내를 목적으로 하는 전자 장치로부터의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알려주거나, 신호 위반, 속도 제한 등의 알림을 알려주는 청각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로부터 전화벨, 초인종 소리 등과 같은 청각 데이터를 감지하면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고, 상기 소리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의미 데이터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의미 데이터는 발생된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를 지니는 것이고, 가이드 데이터는 의미 데이터 이후에 사용자가 해야 하는 행동, 반응, 리액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정보 출력 장치(100)는 상기 다른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소리를 선천적으로 또는 상황상 감지하지 못한 사용자를 위해서, 상기 소리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리와 대응되는 액션은 상기 소리가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이거나, 상기 소리가 포함하는 감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말이면서 상대방의 반응(리액션)을 요청하는‘실례합니다’로 인식될 수 있는 소리를 감지하면, ‘실례합니다’를 의미 데이터로 검출하고, 상기 의미 데이터와 대응되어 사용자의 행동, 반응에 해당하는 ‘무슨 일 이시죠?’, ‘괜찮습니다’ 등과 같은 가이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의미 데이터 및 가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울음 소리를 감지하면, 특히 의사표현을 하지 못하는 아기 울음 소리를 감지하면, 상기 울음 소리에 포함된 감정인 의미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울음 소리에 포함된 의미 데이터는 ‘배고픔’, ‘졸림’, ‘지겨움’, ‘소화불량’, ‘기저귀가 축축’, ‘놀고 싶을 때’ 중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에서,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2 장치(202)를 통해 청각 데이터 이외의 다양한 타입의 센싱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0)는 청각 데이터 이외의 다양한 타입의 센싱 데이터들을 수신,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센싱 데이터에 포함되는 액션을 검출하고, 상기 액션을 전달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2 장치(20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장치(201)는 정보 출력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다양한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 소리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장치(202)는 정보 출력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주변의 환경 변화(온도, 습도, 가스, 소리 등)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장치(202)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광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00)는 사용자가 정보 출력 장치(100)를 통해 시각, 촉각, 미각, 후각을 통해 전달받고 싶은 청각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청각 데이터를 주파수 분석, 스펙트럼 분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가 포함하는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음성과 대응되는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00)는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텍스트를 의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청각 데이터를 통해 상기 청각 데이터가 포함하고 있는 감정(또는 의미 데이터)을 추출하고, 상기 감정을 의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300)는 상기 청각 데이터의 의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청각 데이터의 후속으로 이어져야 하는 행동, 행위, 반응 등에 대한 설명을 가이드 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베이스(300)는 청각 데이터, 의미 데이터, 가이드 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수정, 변경,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정보 출력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의미 데이터, 가이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정보 출력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청각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베이스(300)는 청각 데이터의 생성 주체에 대한 정보를 아기, 사람, 사물, 전자장치, 동물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1 수신부(110), 분절부(120), 측정부(130), 검색부(140), 스펙트럼 분석부(150),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 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10)는 청각 데이터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제1 장치(201)로부터 주변의 전자 장치, 사물, 사람, 동물 등에 의해 생성된 청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10)는 정보 출력 장치(100)가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에 존재하는 자유 공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위 크기, 및/또는 단위 시간만큼의 청각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크기 및/또는 단위 시간은 사용자에게 전달할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체감적으로 지연되어 전달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 및/또는 시간이어야 한다.
필터부(120)는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필터부(120)는 상기 청각 데이터를 증폭 시킨 후, 대역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지 않는 청각 데이터를 노이즈로 설정하고,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0)는 청각 데이터 중 텍스트로 인식될 수 있는 구간을 추출할 수도 있다. 필터부(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청각 데이터 또는 센싱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청각 데이터는 하나의 주파수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주파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상적으로 발생되는 소리는 복수의 주파수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측정부(130)는 상기 청각 데이터의 진동수 및 진폭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도플러 효과에 따라 상기 진동수 및 진폭을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의 발생원의 움직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가 주파수를 제일 먼저 측정하는 것은 수신된 청각 데이터가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지 여부가 확실치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소 짧은 단위 시간인 1초, 0.5초, 0.2초 단위의 청각 데이터를 수신 또는 입력 하게 된다. 이렇게 짧은 청각 데이터는 단위 크기 또는 시간 만큼의 청각 데이터 만으로는 의미를 가질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정보 출력 장치(100)는 청각 데이터가 포함하는 텍스트를 추출하거나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주파수 만을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검색부(1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간과해서는 안될 청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초인종에서 발생하는 초인종 소리,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전화벨, 문자 알림음,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발생하는 경로 안내, 속도 제한 알림, 스쿨존 알림, 방지턱 알림, 사고 다발 주의 구역 알림, 주변 사람에 의해서 생성된 ‘실례합니다’, ‘도와주세요’, ‘잠깐만요’, ‘여기요’, ‘저기요’, ‘잠시’ 등의 소리일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는 언어로 해석될 수 없는 청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아기의 의사 표현이지만 언어로 직역될 수 없는 아기 울음소리, 동물의 의사 표현이지만 언어로 직역될 수 없는 동물 울음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정보 출력 장치(100) 또는 데이터 베이스(300)와 관련된 모듈을 개발하거나 상기 모듈들을 관리하는 사람을 말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사용자를 말할 수도 있다. 사용자, 즉 정보 출력 장치(100)의 사용자와 구분하기 위해서 관리자로 명명하였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스펙트럼 분석부(150)는 상기 청각 데이터의 제1 스펙트럼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제2 스펙트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비교하여, 제1 및 제2 스펙트럼의 전부 또는 일부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부(150)는 제1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청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부(150)는 주파수 분석 결과를 기초로 몇 개 정도의 청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의 지속 시간이 10초라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는 연속적으로 수신된 청각 데이터의 지속 시간이 상기 기준 데이터의 지속 시간을 초과하는 정도로 청각 데이터를 합친 후, 스펙트럼 분석을 할 수 있다. 단위 시간의 청각 데이터는 다소 기준 데이터의 시간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스펙트럼 분석부(150)는 비교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기준 데이터의 시간 만큼의 청각 데이터를 병합하고, 병합한 청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청각 데이터는 인접한 전 또는 후의 청각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부(150)는 청각 데이터의 스펙트럼을 분석할 뿐 아니라, 수신된 청각 데이터가 의미 있게 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는 수신된 청각 데이터가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좀더 정확하게 매칭되는 기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주파수 분석 결과 만을 이용하여, 기준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응되는 청각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발생원의 움직임(위치,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등)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감지된 청각 데이터의 제1 스펙트럼 및 기준 데이터의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하는 경우, 기준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사용자의 촉각, 시각, 후각, 미각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경로 안내와 대응되는 청각 데이터가 감지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청각 데이터가 포함하는 텍스트인 ‘300미터 앞에서 좌회전 하세요’, ‘방지턱 조심하세요’, ‘60Km 속도 제한 구역입니다’,’스쿨존 입니다. 서행하세요’등과 같은 의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데이터는 의미 데이터와 동일한 텍스트를 전달하거나 상기 의미 데이터와 대응되는 촉각, 시각, 후각, 미각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를 듣지 않고,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른 소리(음악, 전화 통화 등) 또는 운전에 집중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주행 안내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에 의해 발생되는 말과 대응되는 청각 데이터가 감지되면, 주파수 측정 및 스펙트럼 분석 과정을 거쳐서, 주파수 및 스펙트럼이 일치하는 기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없는 경우,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말을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텍스트를 의미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사람에 의해 발생되지만 청력에 의해 인지되지 않을 수 있는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례합니다’, ‘도와주세요’, ‘잠깐만요’, ‘여기요’, ‘저기요’, ‘잠시’등의 청각 데이터를 감지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텍스트를 촉각, 시각, 후각, 미각을 통해 전달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에 의해 발생되긴 하지만 직역되지 않는 소리, 또는 의사 표현을 하지 못하는 객체로부터의 청각 데이터가 감지되면, 아기 울음 소리 등이 감지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청각 데이터를 주파수 측정, 스펙트럼 분석 한 후에 상기 청각 데이터가 포함하는 감정을 의미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의미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아기 울음소리로부터 ‘배고픔’, ‘졸림’, ‘지겨움’, ‘소화불량’, ‘기저귀가 축축’, ‘놀고 싶을 때’중 하나를 의미 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의미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발생된 청각 데이터가 감지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청각 데이터와 일치하는 기준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전화벨과 대응되는 청각 데이터가 감지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전화벨과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인 ‘전화 수신’을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초인종 소리와 대응되는 청각 데이터가 감지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초인종 소리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인 ‘사람 방문’을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화재 경보음이 감지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화재 경보음과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인 ‘화재’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인종 소리, 전화벨 소리 등은 각 개별적으로 보유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출력부(170)는 상기 출력 데이터가 사용자의 촉각, 후각, 시각, 미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한다. 물론, 후각 또는 미각을 통해서는 구체적인 텍스트를 전달하기는 어려우나, 텍스트와 대응되어 설정된 패턴을 이용하여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촉각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진동 소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소자는 점자를 표현하도록 구동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청각 데이터 이외의 다양한 타입의 센싱 데이터를 인지 또는 감지하는 제2 장치(202)를 통해 정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 주변에서 발생되는 액션을 수집하고 검출할 수 있다. 액션의 검출을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2 수신부(111), 추출부(180), 액션 검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정보 출력 장치(100)는 다양한 타입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청각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발생원의 움직임(위치,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제2 수신부(111)는 제2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수신부(111)는 제2 장치(202)로부터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과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과 관련된 데이터(위치, 행동, 상태 변화 등) 또는 청각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발생원의 존재 유무 및 발생원의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부(111)는 제2 장치(202)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센싱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장치(202)에 구비된 근접 센서를 통해 소정의 사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2 수신부(111)는 상기 사물의 접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장치(202)에 구비된 가스 센서를 통해 소정의 기체의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변화가 감지되면, 제2 수신부(111)는 상기 기체의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변화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장치(202)에 구비된 소리 입력 센서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임계 크기 이상의 크기 또는 속도를 가지는 소리, 움직임, 객체가 감지되면, 제2 수신부(111)는 상기 소리, 움직임, 객체와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추출부(180)는 상기 제2 장치(20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신호는 제2 장치(20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포함된 다른 형식의 신호를 말한다. 제2 장치(20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따라 소스 신호는 영상 신호, 온도 센싱 값, 습도 센싱 값, 가속도 값, 위치 값, 가스 농도 값 등에 해당하는 신호 일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제1 액션을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를 각 소스 신호의 타입 별로 분류하고, 소스 신호의 타입을 고려하여 상기 소스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로부터 사용자로 접근하는 대상체를 감지하고,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제1 액션을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대상체를 추출하고, 접근하는 대상체의 움직임을 제1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근접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값을 수신함으로써, 접근하는 대상체와 대응되는 제1 액션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션 검출부(190)는 다가오는 자동차, 사람, 사물 등과 같은 움직임을 제1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션 검출부(190)는 사용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하였지만 사용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이벤트를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대상체를 검출하고, 임계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대상체의 움직임을 제1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타입 별 센싱 값을 추출하고, 타입 별 센싱값이 이전에 획득된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타입 별 센싱 값으로부터 현저하게, 즉 미리 설정된 임계 크기 이상으로 변화된 경우, 상기 센싱 값의 변화를 제1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션 검출부(190)는 온도, 습도, 가스 등과 대응되는 센싱 값이 크게 변화하는 제1 액션을 검출할 수 있다. 온도, 습도, 가스 등과 대응되는 센싱 값이 현저하게 변하는 것은 주변의 환경이 크게 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는 소정의 위험(화재, 화산 폭발, 폭우, 천재지변 등)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검출된 액션은 단독으로 출력 데이터로 생성되기도 하지만, 제1 수신부(110)에 의한 청각 데이터로부터의 의미 데이터와 연동하여 출력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제1 장치로부터의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와 연동하여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청각 데이터로부터의 의미 데이터가 300m 지점에서 우회전하는 것인 경우, 우측에서 임계 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액션을 검출하면, 상기 액션을 고려하여, ‘우회전 시 우측에서 오는 차량을 조심하십시오.’ 또는 ‘우회전 전에 속도를 감속하고 기다리십시오. ‘와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제1 장치로부터의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와 연동하지 않고, 단독으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급차가 다가오는 액션을 감지하면,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구급차가 다가옴을 알려주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길을 비켜 줘야 함을 알려주는 가이드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는 청각 데이터 이외의 다양한 센싱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감지된 청각 데이터로부터 발생원의 움직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감지된 청각 데이터로부터 상기 청각 데이터의 진동수를 측정하고, 상기 진동수를 고려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의 발생원의 움직임을 결정할 수 있다.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청각 데이터의 발생원의 움직임은 다가오는 움직임 또는 멀어지는 움직임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은 제1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제1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00),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분해, 상기 주파수 성분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S300),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S400),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500),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에서는 제1 수신부(110)는 주변의 전자 장치, 사물, 사람, 동물 등에 의해 생성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200에서는 필터부(120)는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필터부(120)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증폭 시킨 후, 대역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지 않는 제1 데이터를 노이즈로 설정하고,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0)는 제1 데이터 중 텍스트로 인식될 수 있는 구간을 추출할 수도 있다.
S300에서는 측정부(130)는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하나의 주파수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주파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상적으로 발생되는 소리는 복수의 주파수로 이루어진다.
S400에서는 검색부(1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간과해서는 안될 청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초인종에서 발생하는 초인종 소리,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전화벨, 문자 알림음,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발생하는 경로 안내, 속도 제한 알림, 스쿨존 알림, 방지턱 알림, 사고 다발 주의 구역 알림, 주변 사람에 의해서 생성된 ‘실례합니다’, ‘도와주세요’, ‘잠깐만요’, ‘여기요’, ‘저기요’, ‘잠시’ 등의 소리일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는 언어로 해석될 수 없는 청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아기의 의사 표현이지만 언어로 직역될 수 없는 아기 울음소리, 동물의 의사 표현이지만 언어로 직역될 수 없는 동물 울음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S500에서는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주파수 분석 결과 만을 이용하여, 기준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기준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출력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제1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를 그대로 출력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S600에서는 정보 출력 장치(100)는 출력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고려하여,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 데이터 생성 단계(S500)는 스펙트럼 분석 단계(S510, S520) 및 출력 데이터 생성 단계(S530)로 세분화될 수 있다.
S510에서는 정보 출력 장치(100)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스펙트럼 분석한 제1 스펙트럼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제2 스펙트럼을 추출할 수 있다. S520에서는 정보 출력 장치(100)에 의해 상기 제1 스펙트럼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도가 임계 일치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30에서는 정보 출력 장치(100)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연계된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와 연계된 의미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언어)와 일치할 수도 있으나 그러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가 언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의미 데이터가 상기 제1 데이터와 대응하여 출력 데이터로 생성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방법은 센싱 값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700), 액션 검출 단계(S710), 출력 데이터 생성 단계(S720), 출력 제어 신호 생성 단계(S730)를 포함할 수 있다.
S700에서는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2 장치(202)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2 장치(202)로부터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주변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제2 장치(202)로부터 청각 데이터의 발생원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710에서는 정보 출력 장치(100)는 상기 제2 장치(20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신호는 제2 장치(20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형식의 신호를 말한다. 제2 장치(20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따라 소스 신호는 영상 신호, 온도 센싱 값, 습도 센싱 값, 가속도 값, 위치 값, 가스 농도 값 등에 해당하는 신호 일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로부터 사용자로 접근하는 대상체를 감지하고,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제1 액션을 검출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청각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발생원을 추출하고,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위치,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영상 신호를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상기 영상 신호에 포함된 대상체를 추출하고, 접근하는 대상체의 움직임을 제1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제1 액션을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대상체를 검출하고, 임계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대상체의 움직임을 제1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액션 검출부(19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타입 별 센싱 값을 추출하고, 타입 별 센싱값이 이전에 획득된 하나 이상의 소스 신호에 포함된 타입 별 센싱 값으로부터 현저하게, 즉 미리 설정된 임계 크기 이상으로 변화된 경우, 상기 센싱 값의 변화를 제1 액션으로 검출할 수 있다.
S720에서는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상기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검출된 액션은 단독으로 출력 데이터로 생성되기도 하지만, 제1 수신부(110)에 의한 청각 데이터로부터의 의미 데이터와 연동하여 출력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제1 장치로부터의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와 연동하여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접근하는 대상체의 움직임과 대응하는 액션과 대응하여, 상기 대상체가 접근하는 방향 및 접근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대상체의 접근 방향과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대상체의 접근 속도와 대응되는 크기 만큼의 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대상체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액션과 대응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감지된 센싱 값의 종류 및 변화량을 고려하여, 종류와 대응되는 지점에 변화량과 대응되는 크기 만큼의 자극,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출력 데이터 생성부(160)는 청각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발생원의 움직임(위치,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등)와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730에서는 출력 데이터가 정보 출력 장치(1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가 진동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정보 출력 장치(100)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진동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가 신경 또는 세포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정보 출력 장치(100)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자극, 감각 등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뇌 신경, 뇌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감각을 감지할 수 있는 신경 또는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제어 신호의 형식, 형태, 포맷은 전달되는 방식, 방법,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주변에 존재하는 길 안내 전자 장치로부터의 청각 데이터를 감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중에는 네비게이션 장치(S1)의 표시부를 통한 이미지(시각 데이터) 및 소리(청각 데이터)를 통해 길 안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시각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을 할 수도 있으나 네비게이션 장치(S1)로부터의 청각 데이터가 감지 또는 인식되지 않게 되면, 사용자는 바람직한 길을 지나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장치(S1)로부터의 우회전 하세요. 60km 이하로 주행하세요(D1) 등과 같은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 네비게이션 장치(S1)를 확인하기 위해 시선을 네비게이션 장치로 이동하는 수고를 덜어주며 자연스럽게 안전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정보 출력 장치(101)은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촉각을 통해 출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청각 데이터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PC와 같은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10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S2)에 의해 발생한 청각 데이터(D2, Excuse me, 또는 Hi, Mr, Ehsms 길을 묻는 말 등)를 감지하고,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정보 출력 장치(102)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과 같은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103)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S3)에 의해 발생한 청각 데이터(D3, Excuse me)를 감지하고,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되는 의미 데이터 및/또는 가이드 데이터를 정보 출력 장치(103)를 통해 촉각, 후각, 또는 미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제1 장치(201) 및 제2 장치(202)를 통해 획득된 청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300m 지점에서 우회전하세요’라는 청각 데이터를 감지하고, 사용자와 대응되는 제1 객체(OBJECT1)의 우측에서 임계 속도 이상으로 다가오는 제2 객체(OBJECT2)와 대응되는 액션을 검출하면, 상기 청각 데이터 및 액션을 고려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청각 데이터와 대응하여, ‘우측의 제2 객체(OBJECT2)를 조심하십시오’와 같은 출력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정보 출력 장치
201: 제1 장치
202: 제2 장치
300: 데이터 베이스

Claims (15)

  1. 정보 출력 장치가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되고,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되며, 단위 시간 또는 단위 크기인 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청각 데이터로부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성분을 기초로 상기 청각 데이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와 다른 제2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액션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션과 대응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분절한 상기 청각 데이터의 제1 스펙트럼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제2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출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의 후속으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연계된 가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된 청각 데이터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한 전자 장치, 사람, 사물, 동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인, 정보 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 데이터는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이거나,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감정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 출력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데이터는 상기 청각 데이터를 인지할 경우, 사용자가 후속적으로 하는 리액션과 대응되는 데이터 인, 정보 출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거나 접근하는 대상체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액션을 검출하고,
    상기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대상체의 이동 속도와 대응되는 크기의 자극을 생성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출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와 다른 제2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를 발생하는 발생원을 검출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청각 데이터의 진동수 및 진폭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진동수 및 진폭을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의 발생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청각 데이터의 발생원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 하는, 정보 출력 방법.
  10.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되고,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되며, 단위 시간 또는 단위 크기인 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청각 데이터로부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을 기초로 상기 청각 데이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출력부;
    상기 제1 장치와 다른 제2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액션을 검출하는 액션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액션과 대응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출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분절한 상기 청각 데이터의 제1 스펙트럼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제2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지를 판단 하는 스펙트럼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펙트럼 사이의 일치 정도가 미리 설정된 일치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출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출력 데이터의 후속으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연계된 가이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정보 출력 장치.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정보 출력 장치가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되고,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되며, 단위 시간 또는 단위 크기인 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청각 데이터로부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성분을 기초로 상기 청각 데이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장치와 다른 제2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를 발생하는 발생원을 검출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15. 정보 출력 장치로서,
    제1 장치를 통해 감지되고,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되며, 단위 시간 또는 단위 크기인 청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노이즈를 제거한 청각 데이터로부터 상기 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을 기초로 상기 청각 데이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하는 기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기준 데이터가 포함하는 의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출력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1 출력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출력부;
    상기 제1 장치와 다른 제2 장치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청각 데이터를 발생하는 발생원을 검출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을 검출하며, 상기 발생원의 움직임과 대응되는 제3 출력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출력 장치.
KR1020180057994A 2016-03-24 2018-05-21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38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994A KR102338445B1 (ko) 2016-03-24 2018-05-21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29A KR101862337B1 (ko) 2016-03-24 2016-03-24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057994A KR102338445B1 (ko) 2016-03-24 2018-05-21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529A Division KR101862337B1 (ko) 2016-03-24 2016-03-24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630A KR20180056630A (ko) 2018-05-29
KR102338445B1 true KR102338445B1 (ko) 2021-12-13

Family

ID=7883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994A KR102338445B1 (ko) 2016-03-24 2018-05-21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4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27B1 (ko) 2002-10-09 2005-10-07 에스케이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 교통 정보 생성방법, 및 네비게이션 방법
KR100963253B1 (ko) * 2008-03-10 2010-06-10 (주)에이치쓰리시스템 맥박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기록매체
KR101641418B1 (ko) * 2014-07-25 2016-07-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주목도에 기반한 햅틱 신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630A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342B2 (en) Sound event detec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08257B1 (ko) 조기에 위험을 경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8301443B2 (en) Identifying and generating audio cohorts based on audio data input
US1040986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arching utilizing acoustical context
US20130070928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mobile audio event recognition
CN106716513A (zh) 行人信息系统
US11609565B2 (en) Methods and systems to facilitate monitoring center for ride share and safe testing method based for selfdriving cars to reduce the false call by deuddaction systems based on deep learning machine
KR102474247B1 (ko) 개인 안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475720B1 (en) Audio augmented reality system
US11675562B2 (en) Data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338445B1 (ko) 정보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360771B2 (en) Alert processing
KR101564347B1 (ko) 긴급 구조 요청 단말 및 긴급 구조 요청 방법
US20170270782A1 (en) Event detecting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applying the event detecting method and related accessory
Srinivas et al. A new method for recognition and obstacle detection for visually challenged using smart glasses powered with Raspberry Pi
US20210375111A1 (en) Notification device, wearable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WO2018109120A1 (en) Children monitoring system
Dim et al. Alert systems to hearing-impaired people: a systematic review
García-Navas et al. A new system to detect coronavirus social distance violation
KR102433246B1 (ko) 음성에 기초한 어린이의 감정 컨디션 검출 시스템
KR20160005989A (ko) 청각장애인용 안전보조시스템
KR101768692B1 (ko) 전자 출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33242B1 (ko) 음성에 기초한 어린이의 감정 컨디션 검출방법
Tan et al. Siren tracking system with emergency support using self-organizing map
Williams Bicycle crash detection: Using a voice-assistant for more accurate repo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