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367B1 -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367B1
KR102338367B1 KR1020210019637A KR20210019637A KR102338367B1 KR 102338367 B1 KR102338367 B1 KR 102338367B1 KR 1020210019637 A KR1020210019637 A KR 1020210019637A KR 20210019637 A KR20210019637 A KR 20210019637A KR 102338367 B1 KR102338367 B1 KR 10233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support unit
vertical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to KR102021001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일부가 바닥과 접촉하여 지지하며 한 쌍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호 연결되어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어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모듈, 일정 면적을 가지며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후방으로 만곡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탄성 소재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등받이모듈이 후방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시키는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Chair including a combined hinge module}
본 발명은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각각의 소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등받이모듈과 프레임모듈을 결합시키며 안정적으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좌석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의자 다리부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의자에 앉아 고정된 자세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작업을 하게 되면, 추간연골의 혈액 및 양분 공급이 차단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직되며, 특히 잘못된 자세의 척추는 정상적인 척추 라인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증상이 심해질 경우에는 척추의 추간연골이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에 앉은 착석자는 수시로 등을 젖히고 펴서 척추에 적당한 움직임을 유발하여 추간연골 및 주변 근육의 긴장을 풀고 혈액 순환과 양분 공급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를 위해 등받이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성능의 의자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의자의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틸팅 기능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틸팅 기능은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앉을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등받이 틸팅 기능에 대해 일정 수준의 고정능력 및 탄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 오히려 사용자의 요추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정 수준의 탄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소재를 이용한 구조는 ?v받이의 틸팅을 위해 복잡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등받이와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복잡해지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파손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의자에 대해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성을 가지는 지지유닛과 탄성을 가지는 탄성연결유닛을 일체로 구성하여 프레임모듈과 등받이모듈을 결합시키며, 일부가 틸팅 됨으로써 등받이모듈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는, 일부가 바닥과 접촉하여 지지하며 한 쌍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호 연결되어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상기 수직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어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모듈, 일정 면적을 가지며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후방으로 만곡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등받이모듈이 후방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시키는 힌지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모듈은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제1지지유닛, 상기 제1지지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서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일부가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2지지유닛 및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과 상기 제2지지유닛 사이에서 둘레를 감싸며 상호 연결시고, 횡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탄성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감싸며,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는 제1삽입부 및 상기 제1삽입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1분리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방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으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둘레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제1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결합부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는 제2삽입부 및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분리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분리방지부는 상기 결합부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둘레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모듈은 하면의 일부가 상기 연결프레임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끝단부에 상기 좌판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모듈은 하면에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전방에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는, 프레임모듈, 좌판, 등받이모듈을 포함하며, 힌지모듈의 삽입을 통해 등받이모듈과 프레임모듈을 간단하게 결합시키고 등받이모듈의 틸팅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힌지모듈의 양단부에 각각 제1리브 및 제2리브가 형성되어 프레임모듈과 등받이모듈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후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서 좌판모듈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의자에서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의자에서 힌지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의자에서 힌지모듈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에서 좌판모듈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의자에서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의자에서 힌지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의자에서 힌지모듈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크게 프레임모듈(100), 좌판모듈(200), 등받이모듈(300) 및 힌지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전체적인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전체를 지지하며, 상기 좌판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나 목제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수직프레임(110), 지지프레임(130) 및 연결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길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전체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0) 한 쌍으로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단부에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후술하는 상기 등받이모듈(3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상기 수직프레임(110) 각각의 후방에 아치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후방에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함께 의자에서 다리를 형성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추가적인 다리를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이 한 쌍을 이루며 각각 폭 방향을 따라 배치 됨으로써 4개의 다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중간부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좌판모듈(200)이 결합 됨으로써 상기 좌판모듈(200)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상기 좌판모듈(200)과 결합 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프레임(120)에서 상기 좌판모듈(20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후방으로 돌출된 별도의 연장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122)의 끝단부에 상기 좌판모듈(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판모듈(200)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122)의 끝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회전 시 하면의 일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20)상에 접촉하여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모듈(100)은 상기 수직프레임(110), 상기 연결프레임(120) 및 상기 지지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좌판모듈(200)을 일정 높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10) 중 일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등받이모듈(3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일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결합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부(112)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112)에 상기 힌지모듈(40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좌판모듈(200)은 상기 프레임모듈(10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써,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바닥과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좌판모듈(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모듈(10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판모듈(200)은 상면에 사용자가 안착되고 하면에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상하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끝단부에 상기 회전부(210)가 회전축을 가지며 결합되는 연장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2)의 끝단부에 상기 회전부(210)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후방에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판모듈(200)의 하면에서 상기 회전부(210)의 전방에는 별도의 접촉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좌판모듈(200)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후방에서 상기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회전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부(320)가 상기 연결프레임(120)에 접촉함으로써, 상용자의 둔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320)는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좌판모듈(200)은 상기 연결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210)와 상기 연장부(1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320)가 상기 연결프레임(120)에 접촉 함으로써 2점 지지형태로 일정 높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등받이모듈(300)은 상기 프레임모듈(100)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측면에서 감싸며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일정 면적을 가지며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결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10)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모듈(300)은 폭 방향에 따른 중간부가 후방으로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이 사용자의 측부에 배치되고 중간부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모듈(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에 따른 양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결합부(310)에 결합되며, 후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는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10)는 양 단부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힌지모듈(40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힌지모듈(400)은 상기 프레임모듈(100)과 상기 등받이모듈(30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일정각도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모듈(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모듈(400)은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탄성소재로 구성되며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310)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모듈(100)과 상기 등받이모듈(300)을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힌지모듈(400)은 일부가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후방으로 틸팅 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복원된다.
상기 힌지모듈(4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힌지모듈(400)은 크게 제1지지유닛(410), 제2지지유닛(420) 및 탄성연결유닛(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유닛(410)은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부(412) 및 제1분리방지부(414)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부(412)는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삽입부(41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경도를 가지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12)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부(412)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2)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는 상기 제1삽입부(412)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면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는 상기 제1삽입부(412)가 상기 돌출부(112)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함께 삽입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112)의 내면에 접촉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는 상기 제1삽입부(412)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는 상기 제1삽입부(412)가 상기 돌출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제1리브(414a) 및 제1지지대(414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브(414a)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으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타탄을 향해 둘레가 등가하도록 테이펴진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리브(414a)는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속하여 영역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제1리브(414a)가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리브(414a)는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기 분리방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2) 내부로 함께 삽입된다.
상기 제1지지대(414b)는 상기 제1리브(414a)가 일정 수준 이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 외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리브(414a)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리브(414a)는 상기 돌출부(112) 내부로 삽입 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되며, 삽입 과정에서 일부가 변형된다. 이때, 상기 제1리브(414a)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대(414b)가 복수 개의 상기 제1리브(414a)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지지유닛(410)은 상기 제1삽입부(412) 및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에 형성된 상기 제1리브(414a)에 의해 상기 돌출부(112)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잇다.
한편, 상기 제2지지유닛(420)은 상기 제1지지유닛(410)과 유사한 형태로 반대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유닛(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서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일부가 상기 결합부(310) 내부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지지유닛(420)은 크게 제2삽입부(422) 및 제2분리방지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제2삽입부(422)는 상기 결합부(310)의 내부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삽입부(412)의 타측과 인접하게 이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삽입부(422)는 상기 제1삽입부(412)와 유사하게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 끝단부가 도출되어 상기 결합부(310)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412) 및 상기 제2삽입부(422)는 각각 상기 결합부(310)와 상기 돌출부(112)에 삽입되는 단부에 별도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적으로 상기 결합부(310)와 상기 돌출부(112)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삽입부(422)는 일측 끝단부에 하나의 홀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상기 제2분리방지부(4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분리방지부(424)는 상술한 상기 제1분리방지부(414)와 유사한 형태로, 상기 제2삽입부(422)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 구간에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10)의 내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제2분리방지부(4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제2리브(424a) 및 상기 제2지지대(424b)가 형성되며, 상기 제2리브(424a)는 상기 제2리브(424a)와 반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리브(414a)와 상기 제2리브(424a) 각각은 상기 제1지지유닛(410)과 상기 제2지지유닛(420) 각각이 상기 돌출부(112)와 상기 결합부(310)에 삽입되는 경우 간섭을 최소화하며, 이와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변형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리브(424a) 역시 상기 제2지지대(424b)에 의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상기 결합부(310)와 상기 제2지지유닛(420)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지지유닛(420)은 상기 제1지지유닛(410)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이격 배치된다.
한편, 상기 탄성연결유닛(430)은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410)과 상기 제2지지유닛(420) 사이에서 둘레를 감싸며 상호 연결시키고, 횡 방향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연결유닛(430)은 일정 수준 이상의 유연함과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제1지지유닛(410)의 타측과 상기 제2지지유닛(420)의 일측을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2)와 결합부(31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유닛(410)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유닛(420)이 틸팅되는 경우 전방은 인장되고, 후방은 압축 됨으로써 복원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연결유닛(430)은 고무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유닛(410) 및 상기 제2지지유닛(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감싸며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유닛(420)이 일정 각도 휘어 지더라도 상기 탄성연결유닛(430)이 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412)와 상기 제2삽입부(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연결유닛(430)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게 분리되어 전후방향으로 폭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제1삽입부(412)와 상기 제2삽입부(422)가 인접한 부분에서 전방은 균일한 거리로 이격 되어 있으나, 후방은 경사를 가지며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유닛(410)에서 상기 제2지지유닛(420)이 틸팅되는 경우 후방으로만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제1삽입부(412)와 상기 제2삽입부(422)가 간섭이 발생하여 틸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삽입부(412)와 상기 제2삽입부(422)가 상기 탄성연결유닛(430) 내부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되, 후방으로 틸팅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전방으로 틸팅 시 간섭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모듈(400)의 틸팅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힌지모듈(400)은 상기 제1지지유닛(410) 상기 제2지지유닛(420) 및 상기 탄성연결유닛(430)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12)와 상기 결합부(310)에 양 단부가 삽입됨과 상기 탄성연결유닛(430)에 의해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모듈(100)과 상기 등받이모듈(300)을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모듈(300)과 상기 프레임모듈(100)을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의도하지 않게 상기 등받이모듈(300)이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고, 틸팅방향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상기 프레임모듈(100), 상기 좌판모듈(200), 상기 등받이모듈(300) 및 상기 힌지모듈(400)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모듈(400)을 통해 간단하게 상기 프레임모듈(100)에 상기 등받이모듈(300)을 결합시키고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모듈
110: 수직프레임
120: 연결프레임
130: 지지프레임
200: 좌판모듈
300: 등받이모듈
310: 결합부
400: 힌지모듈
410: 제1지지유닛
420: 제2지지유닛
430: 탄성연결유닛

Claims (7)

  1. 일부가 바닥과 접촉하여 지지하며 한 쌍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호 연결되어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면적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어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모듈;
    일정 면적을 가지며 폭 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후방으로 만곡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탄성 소재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등받이모듈이 후방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시키는 힌지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모듈은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제1지지유닛, 상기 제1지지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서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일부가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2지지유닛 및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유닛과 상기 제2지지유닛 사이에서 둘레를 감싸며 상호 연결시고, 횡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탄성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는 제1삽입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결합부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탄성연결유닛 내부에서 상호 인접하게 분리되어 전후방향으로 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가 인접한 부분에서 전방은 균일한 거리로 이격 되어 있으나, 후방은 경사를 가지며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2지지유닛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감싸며,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지지하는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제1삽입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1분리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방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으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둘레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제1리브를 포함하는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분리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분리방지부는 상기 결합부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둘레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형태의 제2리브를 포함하는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모듈은,
    하면의 일부가 상기 연결프레임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끝단부에 상기 좌판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모듈은 하면에 상기 연장부와 결합되는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전방에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의자.
KR1020210019637A 2021-02-15 2021-02-15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102338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637A KR102338367B1 (ko) 2021-02-15 2021-02-15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637A KR102338367B1 (ko) 2021-02-15 2021-02-15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367B1 true KR102338367B1 (ko) 2021-12-13

Family

ID=7883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637A KR102338367B1 (ko) 2021-02-15 2021-02-15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3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027U (ko) * 2009-02-04 2010-08-12 서원호 좌판 접이식 의자
KR20190117277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미도화학 분리방지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한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027U (ko) * 2009-02-04 2010-08-12 서원호 좌판 접이식 의자
KR20190117277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미도화학 분리방지 조립모듈 및 이를 포함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696B2 (en) Seat, in particular an office chair
US7320503B2 (en) Backrest for seats and chairs having pressure and tensile elements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US7648201B2 (en) Support element
US5195801A (en) Tiltable chair
US8544955B2 (en) Tiltable chair
US10104968B2 (en) Seat assembly for task-oriented seating
KR102277397B1 (ko)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KR100434997B1 (ko) 의자의 등받이
KR10213032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102338367B1 (ko) 결합형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101152803B1 (ko) 기능성 쿠션시트
KR102514761B1 (ko) 탄성복원이 가능한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102293114B1 (ko) 신축성을 갖는 틸팅형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KR200250521Y1 (ko) 허리받침대가 장착된 의자등받이
KR102497164B1 (ko) 등받이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499915B1 (ko) 의자 좌판 지지 구조
KR102324422B1 (ko) 틸팅형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프레임
KR102245900B1 (ko)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KR101132398B1 (ko) 능동형 시트 서포트
KR20210091877A (ko) 효율적으로 상체를 받쳐주는 의자 등받이
KR200385449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220143534A (ko) 자세 교정형 의자
JP2006311945A (ja) 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