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032B1 - Knee bolster bracket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Knee bolster bracket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8032B1 KR102338032B1 KR1020200007555A KR20200007555A KR102338032B1 KR 102338032 B1 KR102338032 B1 KR 102338032B1 KR 1020200007555 A KR1020200007555 A KR 1020200007555A KR 20200007555 A KR20200007555 A KR 20200007555A KR 102338032 B1 KR102338032 B1 KR 102338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ee
- support
- impact
- cross bar
- cowl cro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은,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에서 탑승자를 향해 돌출배치된 제1 지지부; 탑승자의 무릎을 마주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차량 충돌시 무릎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충격수용부; 상기 충격수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상기 충격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끝단 양측에서 대칭을 이루며 판상으로 하방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양측면과 용접결합되고,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상하로 길게 용접결합되어 상기 제1,2 지지부의 좌우방향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이 정면 또는 비스듬하게 충격수용부에 충돌하더라도 제1,2 지지부의 좌우방향 휘어짐 변형은 견고하게 억제되는 한편,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1,2 지지부의 전후방향 접힘변형을 통해 온전히 감쇄 내지 완충되므로, 탑승자의 무릎 보호는 물론, 탑승자의 전방 쏠림 방지로 인해 에어백에 의한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Disclosed is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a cowl cross bar of a vehicle toward a occupant; a shock receiving unit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unit to face the passenger's knee and receiving an impact from the knee during a vehicle collision;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owl cross bar and the impact receiv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impact receiving portion; and the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cowl cross bar are symmetrically extended downward in a plate shape, are weld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re welded up and down to the cowl cross ba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for suppressing the de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knee of the occupant collides with the impact receiving unit in the front or obliquely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 left and right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is firmly suppressed, while the impact applied to the kne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Since it is completely attenuated or buffered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folding deformation of the occupant, the airbag protects the occupant's knees and prevents the occupant from leaning forward eff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이 비스듬하게 충돌하더라도 휘어지지 않고 무릎을 견고히 지지하며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니볼스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bolster bracket that does not bend even when an occupant's knee collides at an angle during a vehicle collision, firmly supports the knee, and can effectively cushion the impact. it'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에는 전방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전장치에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내장된 에어백, 글러브박스 측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차량 충돌시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이 앞쪽으로 과도하게 차량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스티어링 칼럼의 하측에 설치되는 니볼스터(Knee bolster) 등이 있다.In general, the driver's seat of a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safety devices to protect the driver in case of a frontal collision. There is a knee bolst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ering column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knee while preventing the occupant's knee from being excessively leaned forward of the vehicle.
이때,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무릎이 앞쪽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유는, 무릎이 과도하게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머리와 가슴 부분이 뒤로 젖혀지게 되어 에어백에 의한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for absorbing the shock applied to the knee and preventing the knee from moving excessively forward is that when the knee moves excessively forward, the head and chest parts are tilted back, so protection by the airbag is difficult. because it is not done properly.
이와 같은 안전장치인 니볼스터는 각기 다른 지역별(북미,유럽) 규제에 근거하여 다양한 재질(강성)과 형상으로 제작되어 서로 상이한 위치에 다른 결합방식으로 장착되고 있다.Such a safety device, the knee bolster, is manufactured in various materials (rigidity) and shapes based on the regulations of different regions (North America, Europe), and is mounted in different positions in different coupling methods.
일례로, 종래 무릎 보호장치(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1), 스티어링 컬럼 마운팅 브라켓(2) 및 마운팅 브라켓(2)의 양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4)이 각각 설치되는 카울 크로스바(3)에 고정되어 스티어링 컬럼(1)의 하측에서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an example, in the conventional
이러한 종래 무릎 보호장치(5)는, 특정 공간부가 내측에 형성되도록 고정브라켓(4)의 아래쪽으로 굴곡진 폐곡선 형태를 이루고, 충격 흡수를 위해 무릎 보호장치(5)를 구성하는 하판(6)이 구부러진 형태로 되어 있어, 차량의 충돌시 운전자의 무릎이 무릎 보호장치(5)에 부딪칠 경우, 무릎 보호장치(5)가 변형되면서 무릎의 상해를 저감시킨다.The conventional
그러나 경우에 따라 그 변형량이 많아서 무릎의 충격 흡수보다는 오히려 운전자의 무릎이 차량 전방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 스티어링 컬럼 어셈블리 등에 부딪혀 심각한 부상을 야기하게 된다.However, in some cases, si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is large, rather than absorbing the shock of the knee, if the driver's knee is push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it collides with the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the like, causing serious injury.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무릎의 전방 침투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카울 크로스바(3)에 고정된 고정브라켓(4)의 강성부족으로 고정브라켓(4)과 무릎 보호장치(5)가 이를 지탱하지 못하고 좌우로 회전하며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when the front penetration of the knee is made in an oblique direction, the fixing bracket 4 and the
위와 같은 종래 무릎 보호장치(5)의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 내지 해소하면서도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을 견고히 지지하며 무릎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개선 또는 다양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 is a need for structural improvement or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can improve or eliminate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이 정면 또는 비스듬하게 충돌하더라도 좌우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카울크로스바와의 결합영역에 대한 강성을 구조적으로 보완하면서도, 무릎을 견고히 지지하며 충격을 중접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ructurally supplement the rigidity of the coupling area with the cowl cross bar so that the knee of the passenger does not b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even if the knee of the passenger collides with a frontal or oblique collision during a vehicle collision, while firmly supporting the knee and preventing the impact It is to provide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that can be buffered with
상기 목적은,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에서 탑승자를 향해 돌출배치된 제1 지지부; 탑승자의 무릎을 마주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차량 충돌시 무릎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충격수용부; 상기 충격수용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상기 충격수용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끝단 양측에서 대칭을 이루며 판상으로 하방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의 양측면과 용접결합되고,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상하로 길게 용접결합되어 상기 제1,2 지지부의 좌우방향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wl crossbar of the vehicle toward the occupant; a shock receiving unit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unit to face the passenger's knee and receiving an impact from the knee during a vehicle collision;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owl cross bar and the impact receiv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impact receiving portion; and the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cowl cross bar are symmetrically extended downward in a plate shape, are weld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re welded up and down to the cowl cross ba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It is achieved by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for suppressing the de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면대면으로 접하며 넓은 용접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접하는 끝단이 각각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확대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coupling part may include an enlarged bending part formed by bending the ends of the cowl crossbars in contact with the cowl crossbars to the outside in order to form a wide welding area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wl crossbars face-to-face.
상기 제1 지지부는, 차량 충돌에 따른 무릎 충격시 상기 충격수용부의 전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충격을 감쇄시키는 제1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unit, in order to guid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hock receiving unit in the event of a knee impact according to a vehicle collision, may include a first cushioning unit that is bent upward to attenuate the impact.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충격수용부의 전방 이동에 대응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방 접철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단 일측에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완충부와 함께 충격을 감쇄시키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in order to guide the upward folding of the second support part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hock receiving part to attenuate the impact together with the first buffer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buffer to make it.
상기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은, 무릎 충격에 대한 감쇄 기능의 강화를 위해, 상기 충격수용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의 일측면에 걸친 영역을 덮으며 결합되는 판상의 측면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knee bolster bracket having the reinforcing structure includes a plate-shaped side reinforcement which is coupled to cover an area spanning one side of the impact receiving part,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reinforcing coupling part in order to strengthen the damping function for the knee impact. may include more.
상기 측면보강부의 감쇄 기능의 증감은, 상기 보강결합부와 상기 측면보강부가 서로 접하는 영역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보강결합부와 상기 측면보강부 간의 접촉마찰 저항을 증감시키는 나사조절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Increase/decrease in the attenuation function of the side reinforcement part, the reinforcing coupling part and the side reinforcement part are installed through the area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inforcing coupling part and the side reinforcement part through the screw adjustmen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ontact friction resistance between the can be made through.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카울크로스바에서 탑승자를 향해 돌출배치된 제1 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차량 충돌시 무릎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는 충격수용부와, 제1 지지부의 하부에서 충격수용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가 마련되고,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의 끝단 양측에서 대칭을 이루며 판상으로 하방 연장형성된 보강결합부가 제2 지지부의 양측면과 용접결합되고, 카울크로스바와 상하로 길게 용접결합됨에 따라,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이 정면 또는 비스듬하게 충격수용부에 충돌하더라도 제1,2 지지부의 좌우방향 휘어짐 변형은 견고하게 억제되는 한편,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1,2 지지부의 전후방향 접힘변형을 통해 온전히 감쇄 내지 완충되므로, 탑승자의 무릎 보호는 물론, 탑승자의 전방 쏠림 방지로 인해 에어백에 의한 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receiving part is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protruding toward the occupant in the cowl crossbar of the vehicle and the impact by the knee is applied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the shock receiving part is support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pport part A second support part is provided, and a reinforcing coupling part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the cowl cross bar and extending downward in a plate shape is weld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is welded to the cowl cross bar and up and down long. Accordingly, even when a passenger's knee collides with the impact receiving unit at an angle or frontally during a vehicle collision, the lateral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is strongly suppressed, while the impact applied to the knee is appli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Since it is completely attenuated or buffered through the folding deformation, protection by the airbag is effectively achieved by preventing the occupant from leaning forward as well as protecting the occupant's kne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하여 무릎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무릎 보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ight side view and a left side view of FIG. 1 ;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Figure 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when a knee impact is applied with respect to Figure 1 .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knee protection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대하여 무릎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 무릎 보호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ight side view and a left side view of FIG. 1 ,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and FIG. 4 is about FIG. It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when a knee impact is appli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knee protection device.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차량의 전방), 후(차량의 후방)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화살표 쪽),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위, 화살표 쪽), 하(아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The X, Y, and Z axe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not for the purpose of limiting rights. The axis indicates the left (arrow side) and right direction, and the Z axis is defined as indicating the up (up, arrow side) and down (down) directions. 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is based thereon, except when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100)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이 충격수용부(120)에 충돌하더라도 제1,2 지지부(110,130)의 좌우방향 휘어짐 변형을 견고하게 억제하여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제1,2 지지부(110,130)의 전후방향 접힘변형을 통해 온전히 감쇄 내지 완충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내지 기능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1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0), 충격수용부(120), 제2 지지부(130), 보강결합부(140) 및 측면보강부(15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조절부(160)를 더 포함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pecifically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action or function,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 지지부(110)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 무릎의 전방 이동(X축 화살표)을 억제하여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 보호가 이루어지게 하고, 동시에 접힘변형을 통해 탑승자의 무릎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First, the
이러한 제1 지지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카울크로스바(10)에서 탑승자를 향해 돌출배치되되, 경량화와 구조적인 강성확보를 위해 단면이 '┏┓'형상으로 절곡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제1 지지부(110)의 일측에는, 차량 충돌에 따른 무릎 충격시 후술할 충격수용부(120)의 전방 이동(X축 화살표)과 접힘변형을 통한 충격 감쇄를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제1 완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이때, 제1 완충부(112)의 하단 일측에는 충격수용부(120)의 전방 이동(X축 화살표)과 접힘변형의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recess (112a) that serves as a basis for forward movement (X-axis arrow) and folding deformation of the
충격수용부(120)는, 차량 충돌시 무릎에 의한 충격이 직접 가해지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제1 지지부(110)와 일체성을 이루며 제1 지지부(110)에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탑승자의 무릎을 상하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이러한 충격수용부(120)는, 상술한 제1 지지부(110)와 마찬가지로, 경량화와 구조적인 강성확보를 위해 '┏┓'형상으로 절곡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충격수용부(120)가 탑승자의 무릎을 마주하는 쪽에는, 양쪽 무릎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겉면이 탄성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패드(122)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side of the
이러한 패드(122)는, 폴리우레탄,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등을 소재로 사출성형하거나 압축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제2 지지부(130)는, 상술한 제1 지지부(110)와 함께 차량 충돌시 탑승자 무릎의 전방 이동(X축 화살표)을 억제하면서 접힘변형을 통해 탑승자의 무릎 보호가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상술한 충격수용부(120)에 가해지는 무릎의 충격을 반대쪽에서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제2 지지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지지부(110)의 하부에서 카울크로스바(10)와 충격수용부(120) 사이에 배치되고, 경량화와 구조적인 강성확보를 위해 상술한 제1 지지체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형상으로 절곡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제2 지지부(130)의 일측에도, 제1 지지부(110)와 마찬가지로 차량 충돌에 따른 무릎 충격시 후술할 충격수용부(120)의 전방 이동에 대응한 접힘변형을 통한 충격 감쇄를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제2 완충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Also on one side of the
이때, 제2 완충부(132)의 하단 일측에도, 충격수용부(120)의 전방 이동과 제2 지지부(130)가 전후로 접철되는 소성변형의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32a)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recess 132a, which is a basis for plastic deformation in which the forward movement of the
또한, 제2 지지부(130)가 충격수용부(120)와 접하게 되는 일단부에는, 충격수용부(120)를 면대면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34)이 제2 지지부(130)에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충격수용부(120)와 용접결합(WB)될 수 있다.In addition, at one end at which the
그리고 제2 지지부(130)의 타단부에는, 넓은 면적으로 카울크로스바(10)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견고한 용접결합(WB)을 이루기 위한 용접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other end of the
보강결합부(140)는, 카울크로스바(10)에 상술한 제1 지지부(110)를 견고히 고정하는 한편, 충격에 의한 제1,2 지지부(110,130)의 좌우방향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카울크로스바(10)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110)의 끝단 양측에서 대칭을 이루며 판상으로 하방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결합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 끝단이 제2 지지부(130)의 양측면과 각각 용접결합(WB)되는 한편, 전방쪽 끝단이 카울크로스바(10)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상하로 길게 용접결합(WB)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이때, 카울크로스바(10)와 접하는 보강결합부(140)의 전방쪽 끝단은, 각각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확대절곡부(142)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강결합부(140)는 카울크로스바(10)와 면대면으로 접하며 넓은 용접영역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s of the reinforcing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결합부(140)가 카울크로스바(10)에 대하여 상단부와 좌우 양측에서 각각 확대절곡부(142)를 통해 면접촉된 상태로 용접결합(WB)되고, 보강결합부(140)의 아래쪽 끝단이 다시 제2 지지부(130)의 양측면과 각각 용접결합(WB)됨에 따라 제1,2 지지부(110,130)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이 정면 또는 비스듬하게 충격수용부(120)에 충돌하더라도 용접결합(WB)된 카울크로스바(1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Y축 방향)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견고하게 억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to 4, the reinforcing
이러한 제1,2 지지부(110,130)에 대한 좌우방향 변형 억제로 인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은 충격수용부(120)의 전방 이동(X축 화살표)과 제1,2 지지부(110,130)(제1,2 완충부(112,132))의 전후방향의 접힘변형을 통해 온전히 감쇄 내지 완충될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의 무릎 보호와, 탑승자의 전방 쏠림 방지로 에어백에 의한 보호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e to the left-right deformation suppression for the first and
측면보강부(150)는, 무릎 충격에 대한 감쇄 기능의 강화를 위해 마련된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판재의 접힘 또는 휘어짐 변형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볼록형 굴곡부(154)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러한 측면보강부(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수용부(120), 제1 지지부(110) 및 보강결합부(140)의 일측면에 걸친 영역을 덮으며 결합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충격수용부(120), 제1 지지부(110) 및 보강결합부(14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This
이때, 측면보강부(150)의 충격에 대한 감쇄 기능의 조절은, 굴곡부(154)의 개수를 증감시키거나 측면보강부(150)를 구성하는 판재 자체의 두께를 증감시켜 이루어질 수 있고, 충격수용부(120), 제1 지지부(110) 및 보강결합부(140)의 일측면에 대한 측면보강부(150)의 용접량을 증감시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djustment of the damping function for the impact of the
상술한 패드(122)와 인접하게 되는 측면보강부(150)의 끝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패드(122)를 관통하며 패드(122)에 설치된 패스너(122a)와 끼움결합되는 체결규제판(152a)이 돌출성형될 수 있고, 패스너(122a)와 상술한 체결규제판(152a)이 끼움결합되는 깊이를 규제하는 측면 지지용 체결규제판(152b)이 각각 돌출성형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이러한 복수의 체결규제판(152a,152)으로 인해 패드(122)는 충격수용부(120)에 대하여 정위치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plurality of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100)에 의하면, 탑승자의 무릎이 정면 또는 비스듬하게 충격수용부(120)에 충돌하더라도 제1,2 지지부(110,130)의 좌우방향 휘어짐 변형은 견고하게 억제되고,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은,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지지부(110,130)의 전후방향 접힘변형을 통해 감쇄 내지 완충됨에 따라 탑승자의 무릎 보호와 함께 탑승자의 전방 쏠림이 효과적으로 방지 내지 저지되어 결국, 에어백에 의한 보호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knee bolster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구성인 충격수용부(120), 제2 지지부(130), 보강결합부(140) 및 측면보강부(150) 등을 포함하고, 추가로 나사조절부(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knee bolster
여기서 나사조절부(160)는, 보강결합부(140)와 측면보강부(150)가 서로 접하는 영역에 관통설치되어 보강결합부(140)와 측면보강부(150) 간의 접촉마찰 저항을 증감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충격시 접힘변형되는 제1,2 지지부(110,130)의 접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이러한 볼트와 너트를 통해 나사조임이 조절되면, 충격시 보강결합부(14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측면보강부(150)와 보강결합부(140) 간의 접촉마찰 저항이 다양하게 증감되므로, 제1,2 지지부(110,130)의 접힘변형에 의한 무릎 충격 또한 가변적으로 완충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screw tightening is adjusted through these bolts and nuts, the contact friction resistance between 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카울크로스바 WB: 용접결합
100: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
110: 제1 지지부 112: 제1 완충부
112a,132a: 요홈 120: 충격수용부
122: 패드 122a: 패스너
130: 제2 지지부 132: 제2 완충부
134: 지지판 140: 보강결합부
142: 확대절곡부 150: 측면보강부
152a,152b: 체결규제판 154: 굴곡부
160: 나사조절부10: cowl cross bar WB: welding joint
100: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110: first support 112: first buffer
112a, 132a: groove 120: shock receiving part
122:
130: second support 132: second buffer
134: support plate 140: reinforcing coupling part
142: expanded bent part 150: side reinforcement part
152a, 152b: fastening control plate 154: bent part
160: screw adjustment unit
Claims (6)
무릎 충격에 대한 감쇄 기능의 강화를 위해, 상기 충격수용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의 일측면에 걸친 영역을 덮으며 결합되는 판상의 측면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보강부의 감쇄 기능의 증감은,
상기 보강결합부와 상기 측면보강부가 서로 접하는 영역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보강결합부와 상기 측면보강부 간의 접촉마찰 저항을 증감시키는 나사조절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a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wl crossbar of the vehicle toward the occupant; a shock receiving unit bent downwardly from the first support unit to face the passenger's knee to receive an impact from the knee during a vehicle collision; a second support part provided between the cowl cross bar and the impact receiving part under the first support part so as to support the impact receiving part; and the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cowl cross bar are symmetrically extended downward in a plate shape, are weld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re welded up and down to the cowl cross ba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Including a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that suppresses the de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damping function for the knee impact, the impact receiving por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late-shaped side reinforcement portion coupled to cover the area spanning one side of the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attenuation function of the side reinforcement,
The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coupling part and the side reinforcement part are installed through a reg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made through a screw adjusting part that increases or decreases the contact friction resistance between the reinforcement coupling part and the side reinforcement part.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면대면으로 접하며 넓은 용접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카울크로스바와 접하는 끝단이 각각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확대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coupling part,
The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nlarged bent part formed by bending the ends in contact with the cowl cross bar outward, respectively, in order to form a wide welding area in contact with the cowl cross bar.
상기 제1 지지부는,
차량 충돌에 따른 무릎 충격시 상기 충격수용부의 전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충격을 감쇄시키는 제1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art,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cushioning unit that is bent upward to attenuate the impact in order to guid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hock receiving unit in the event of a knee impact according to a vehicle collision.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충격수용부의 전방 이동에 대응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방 접철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단 일측에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완충부와 함께 충격을 감쇄시키는 제2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upport part,
In order to guide the upward folding of the second support unit in response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hock receiving unit, it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unit and includes a second buffer unit for damping the shock together with the first buffer unit. A knee bolster bracket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555A KR102338032B1 (en) | 2020-01-20 | 2020-01-20 | Knee bolster bracket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555A KR102338032B1 (en) | 2020-01-20 | 2020-01-20 | Knee bolster bracket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4201A KR20210094201A (en) | 2021-07-29 |
KR102338032B1 true KR102338032B1 (en) | 2021-12-13 |
Family
ID=7712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7555A KR102338032B1 (en) | 2020-01-20 | 2020-01-20 | Knee bolster bracket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803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51945B1 (en) * | 2021-01-20 | 2022-06-07 |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 Knee airbag cov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1897A (en) | 2001-05-09 | 2002-11-19 | Nissan Motor Co Ltd | Knee bolster for vehicle |
JP2007038981A (en) * | 2005-08-05 | 2007-02-15 | Suzuki Motor Corp |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for instrument panel |
JP2016168891A (en) * | 2015-03-11 | 2016-09-23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Knee bolster |
JP2018020666A (en) * | 2016-08-03 | 2018-02-08 | スズキ株式会社 | Knee bolster for vehicle |
-
2020
- 2020-01-20 KR KR1020200007555A patent/KR1023380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1897A (en) | 2001-05-09 | 2002-11-19 | Nissan Motor Co Ltd | Knee bolster for vehicle |
JP2007038981A (en) * | 2005-08-05 | 2007-02-15 | Suzuki Motor Corp |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for instrument panel |
JP2016168891A (en) * | 2015-03-11 | 2016-09-23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Knee bolster |
JP2018020666A (en) * | 2016-08-03 | 2018-02-08 | スズキ株式会社 | Knee bolster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4201A (en) | 2021-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36609B2 (en) | Car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 |
US20010026090A1 (en) | Headrest on a vehicle seat | |
KR20080017435A (en) | Vehicle with energy-absorbing member in the vehicle end portion structure | |
JP2005001430A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of automobile | |
KR102338032B1 (en) | Knee bolster bracket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
JP6855208B2 (en) | Knee bolster device for vehicles | |
JPH10309968A (en) | Rebound restraint method for vehicular shock absorbing seat and vehicular shock absorbing seat | |
KR102271623B1 (en) | Side extensions for vehicle bumper reinforcement | |
JP5470743B2 (en) | Vehicle seat structure | |
JP5109569B2 (en) | Front bumper structure | |
KR100537313B1 (en) | Protective device for passenger's knee | |
JP3546143B2 (en) | Vehicle seat | |
JPH0626956B2 (en) | Leg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occupants | |
JP3105348B2 (en) | Car knee protector structure | |
JP3480326B2 (en) | Vehicle knee protector structure | |
JP2001146140A (en) | Bumper structure | |
KR19990038078U (en) | Shock absorber structure of automobile | |
KR100542107B1 (en) | Structure for reinforcing knee bolster for vehicle | |
JP4228737B2 (en) | Vehicle side door | |
JPH06234343A (en) | Occupant protecting device for automobile | |
KR100622419B1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knee of passenger or driver | |
JP2590504Y2 (en) | Vehicle door structure | |
KR100489254B1 (en) | Multistep shock absorption structure for driver's knee protector | |
WO2003091062A1 (en) | Seat back for vehicle | |
JPH057882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