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010B1 - 조정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조정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010B1
KR102338010B1 KR1020210094687A KR20210094687A KR102338010B1 KR 102338010 B1 KR102338010 B1 KR 102338010B1 KR 1020210094687 A KR1020210094687 A KR 1020210094687A KR 20210094687 A KR20210094687 A KR 20210094687A KR 102338010 B1 KR102338010 B1 KR 10233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adjustments
selector
le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박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수 filed Critical 박정수
Priority to KR102021009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46Trigger safeties, i.e. means for preventing trigge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42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 F41A19/43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in bolt-action guns
    • F41A19/46Arrangements for the selection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간 조절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절 장치는 총기에 형성된 조정간을 한 손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가 형성된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간과 맞물리는 조정간결합부 및 상기 조정간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버와 결합되며, 날개부를 관통하고 경사각이 형성된 테이퍼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조정간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방아쇠 손잡이를 잡은 한 손으로도 상기 조정간을 조작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신뢰성이 높으며, 상기 조정간을 상기 조정간결합부가 맞물려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조정간을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정간 조절 장치{Selector lever}
본 발명은 조정간 조절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국군제식화기의 한 갈래로써 K계열 총기의 조정간에 부착하여 조정간을 회전함에 있어서, 기존에는 한 손으로 조작하지 못했던 조정간을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개인화기에는 반자동, 점사, 자동 등 개인화기의 발사 방식을 조절하는 장치로 조정간이 부착되어 있으며, 보통 안전장치를 겸한 설계로 되어있어, 상기 조정간을 '안전'위치에 높으면 방아쇠를 당겨도 장전된 탄알이 발사되지 않게된다.
보통 조정간을 회전시킬 때에는 개인화기의 방아쇠 손잡이 부분을 잡은 손의 엄지손가락을 움직여 조정간에 형성된 레버를 조작하게된다.
하지만, K계열 총기의 경우 조정간을 조작함에 있어서 '안전'기능에서 '단발'기능으로 전환하는 것은 한 손으로도 쉽게 가능하지만, '단발'기능에서 '안전'기능으로 전환하거나 '연발'기능에서 '단발'기능으로 전환할 때에는 한 손으로는 손가락이 닿지 않아 조작이 불가능하여 총열을 받치고 있던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조작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빠른 대응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준이 흔들려 총기가 견착된 구조물이나 벽등에 부딪히거나 오발사고로 이어지는 등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국군 내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오발사고 및 총기사고는 오조준에 의한 사고가 대다수를 차지하는데, 이는 사격간에 조정간을 조작할 때 총열덮개를 잡아 총기를 지탱하고 있는 손을 사용하게 되어 지지력이 약해지는 것으로 총구 방향이 틀어지면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상당수이다.
또한, 이 외에도 시가전, 수색작전 등 긴박한 상황에서 총열덮개를 잡고 있는 손을 조정간으로 움직이면서 총기가 흔들려 주변 구조물에 부딪혀 총열이 손상되거나 소리가 나서 기도비닉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조정간 디자인을 등록디자인 제30-1035487호의 형상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의 디자인으로도 한 손으로는 손쉽게 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한 형상이였으며, 해당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국군에 보급되어 있는 개인화기의 조정간을 모두 교체해야하므로 비용이 과다소모될 것이 분명한 바다.
따라서, 기존의 조정간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방아쇠 손잡이를 잡은 한 손으로도 조정간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조정간 조절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등록디자인 제30-1035487호(2019. 12. 11.)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조정간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방아쇠 손잡이를 잡은 한 손으로도 상기 조정간을 조작할 수 있는 조정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에도 사용자가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을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의 날개부에 도포하되, 상기 야광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빛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정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총기에 형성된 조정간을 한 손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가 형성된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간과 맞물리는 조정간결합부 및 상기 조정간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버와 결합되며, 날개부를 관통하고 경사각이 형성된 테이퍼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날개부는 상기 테이퍼공의 위치와 먼 날개를 더 길게 형성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쉽게 조정간을 회전할 수 있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조정간이 가리키는 기능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정간의 셀렉트부의 방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야간에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을 도포하되, 야광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빛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특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테이퍼공은 조정간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버와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조정간을 교체하지 않으면서 방아쇠 손잡이를 잡은 한 손으로도 상기 조정간을 조작할 수 있는 조정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조정간 조절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신뢰성이 높으며, 상기 조정간을 상기 조정간결합부가 맞물려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조정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는 상기 조정간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버와 결합되며, 날개부를 관통하고 경사각이 형성된 테이퍼공을 포함하고 있어, 전장상황에서 발생하는 부딪힘과 같은 충격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또한, 야간에도 사용자가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을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의 날개부에 되어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의 차폐부가 마련되어 상기 야광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빛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장착예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장착예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장착예시 결합부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 9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일체형 예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일체형 예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정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100)는 총기에 형성된 조정간(S)을 한 손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11)가 형성된 날개부(10)를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날개부(10) 하부에는 총기의 격발기능을 조정하는 조정간(S)과 맞물려 결합되는 조정간결합부(2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10)는 방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느 각도에서든 동일한 힘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조정간(S)을 회전할 때 손가락에 들어가는 힘을 줄여 누르는 힘에 의해 조준이 크게 빗나가거나 흔들리는 일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날개(11)는 2쌍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날개(11)는 2쌍 내지 6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날개(11)의 갯수와 위치는 본 발명의 설명에 구애받지 아니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날개(11)은 반드시 쌍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날개부(10)에 방사형으로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10) 측면에 홈을 다수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절간 조절 장치(100)를 사용하여 조정간(S)을 조작할 때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정간결합부(20)는 상기 조정간(S)과 맞물릴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조정간(S)과 맞물리는 표면에 얇은 고무패드를 실링하여 상기 조절 장치(100)가 조정간(S)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간결합부(20)는 상기 조정간(S)의 현재 격발기능을 표시하는 바늘이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조정간결합부(20) 일측에 상기 바늘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에게 상기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10)의 일측에 상기 바늘과 같은 방향이 표시된 기능표시부(40)를 형성한다.
상기 기능표시부(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0)의 형상을 변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상기 날개부(10) 상부에 화살표 또는 이등변 삼각형 등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도형을 음각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나, 기본적으로는 상기 날개부(10)의 형상을 변형하여 형성하는 것이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 장치(10)는 상기 조정간(S)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버(L)와 결합되며, 날개부(10)를 관통하고 경사각이 형성된 테이퍼공(30)을 포함하되, 상기 테이퍼공(30)은 조정간(S)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버(L)와 결합됨에 있어서, 테이퍼공(30)의 경사각과 상기 레버(L)가 맞물리면서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테이퍼공(30)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레버(L)와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장착예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장착예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장착예시 결합부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도 9의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100)는 방아쇠 손잡이의 상측에 형성된 조정간(S)에 결합되고, 상기 날개부(10)는 날개(11)를 형성하되, 상기 조정간(S)의 회전축을 고려하여 상기 테이퍼공(30)에서 먼 위치의 날개(11)를 더 길게 형성하는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쉽게 조정간(S)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정간(S)의 바늘은 상기 조정간결합부(20) 일측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돌출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바늘을 통해 현재 조정된 격발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에 의해 상기 바늘이 가려져 격발기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없을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100)의 상부에 기능표시부를 형성하여 상기 조절 장치(100)의 상부만 확인하는 것으로도 상기 바늘의 방향을 볼 수 있게하여 격발기능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날개부(10)는 야간에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을 도포하되, 야광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빛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특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야광물질은 삼중수소를 사용한 야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으며 삼중수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상기 야광물질의 외부접촉을 완전히 차단하는 차폐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야광물질은 축광식 야광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야전에서는 축광식 야광의 효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삼중수소를 사용한 야광물질 도포방식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일체형 예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정간 조절 장치의 일체형 예시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는 상기 종래 조정간과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조정간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총기에 기존 조정간 대신 장착되는 것으로 조정간 기능을 수행하는 일체형 조정간 조절 장치(100a)이다.
상기 내용에서 본 발명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다.
100 : 조정간 조절 장치 100a : 일체형 조절 장치
10 : 날개부 11 : 날개
20 : 조정간결합부 30 : 테이퍼공
40 : 기능표시부
S : 조정간 L : 레버

Claims (5)

  1. 조정간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는 총기에 형성된 조정간을 한 손으로도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가 형성된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간과 맞물리는 조정간결합부; 및
    상기 조정간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버와 결합되며, 날개부를 관통하고 경사각이 형성된 테이퍼공;을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는 상기 테이퍼공의 위치와 먼 날개를 더 길게 형성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정간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야간에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을 도포하되, 야광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빛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특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간 조절 장치는 일체형의 조정간으로 구성되어 조정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간 조절 장치.

KR1020210094687A 2021-07-20 2021-07-20 조정간 조절 장치 KR10233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87A KR102338010B1 (ko) 2021-07-20 2021-07-20 조정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687A KR102338010B1 (ko) 2021-07-20 2021-07-20 조정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010B1 true KR102338010B1 (ko) 2021-12-09

Family

ID=7886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87A KR102338010B1 (ko) 2021-07-20 2021-07-20 조정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0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40770A1 (en) * 2019-04-26 2020-10-29 Magpul Industries Corp. Selector track having varying heights and removable selector lever sto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40770A1 (en) * 2019-04-26 2020-10-29 Magpul Industries Corp. Selector track having varying heights and removable selector lever st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5029B2 (en) Combined reflex and laser sight with co-aligned iron sights
US11402175B2 (en) Optical system with cant indication
US5400540A (en) Aiming light and mounting assembly therefor
US4627183A (en) Firearm with aiming light
US5522167A (en) Switch apparatus
EP1514070B1 (en) Remote control module for a vehicle
US8186093B1 (en) Dot sight device of plurality of calibers
US5887352A (en) Gun sight system
KR101569735B1 (ko) 멀티 무기시스템
US5134798A (en) Two sight mount
US4945667A (en) Simulated sighting device
US20130008072A1 (en) Dot sight device
US10337832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weapon optics
US20170370668A1 (en) Rotational safety device for firearm
US11499791B2 (en) Trigger and safety actua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2338010B1 (ko) 조정간 조절 장치
KR100522269B1 (ko) 권총 및 소총용 광총
US5560133A (en) Firearm grip
EP1537375B1 (en) Tracer round
EP3473964B1 (en) Shotgu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such a shotgun
EP0256173B1 (en) Improved gun sight
US4991510A (en) Impact fuse having fore-bore safety
RU2379611C2 (ru) Пистолет с вращающейся ударной системой, недоступный для детей и гарантированный от самопроизвольного выстрела
WO1996041998A2 (en) Laser range finding and detonating device
JP3173747U (ja) 照星調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