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675B1 -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675B1
KR102337675B1 KR1020210068031A KR20210068031A KR102337675B1 KR 102337675 B1 KR102337675 B1 KR 102337675B1 KR 1020210068031 A KR1020210068031 A KR 1020210068031A KR 20210068031 A KR20210068031 A KR 20210068031A KR 102337675 B1 KR102337675 B1 KR 10233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address
value
distributed identifier
identity certif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협
신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루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루프
Priority to KR102021006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암호화폐 송금 방법은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신원증명서 발급서버로 신원증명서(VC; verifiable credential)의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신원증명서 발급서버에서 요청받은 신원증명서를 생성하여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검증값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 및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로 제출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한다.

Description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MITTANCE OF CRYPTOCURRENCY THAT CAN VERIFY PAYEE}
이하의 일 실시 예들은 암호화폐 송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암호화폐 송금시 수취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에 기반한 암호화폐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암호화폐의 송금이 빈번해 지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에 기반한 암호화폐에서 주소에 해당하는 암호화폐 주소는 은행의 계좌번호와 다르게 신뢰기관 없이 개인이 직접 생성할 수 있으며 주소의 주인이 누구임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암호화폐를 송금하는 송신자가 수신인을 확인하지 못하므로 원하지 않는 수신자에게 잘못 송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호화폐 송금 과정에서 송신자는 수신자가 제공하는 암호화폐 주소의 주인이 송신자가 알고 있는(송금하기 원하는) 수신자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또한, 송신자는 자신이 송금한 암호화폐가 어떤 수신자에게 전달되었는지 기록을 남기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방법은,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신원증명서 발급서버로 신원증명서(VC; verifiable credential)의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신원증명서 발급서버에서 요청받은 신원증명서를 생성하여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검증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 및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로 제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암호화폐 송금 방법은,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를 추출해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폐 송금 방법은,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해시한 해시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암호화한 암호화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블록체인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송금 주소로 하고, 임의의 암호화폐 주소 또는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수신 주소로 선택하고, 데이터 영역에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입력한 송금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송금 트랜잭션의 결과인 트랜잭션 해시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이용해서 상기 블록체인에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은, 신원증명서(VC; verifiable credential)의 발급하는 신원증명서 발급서버; 상기 신원증명서 발급서버로 상기 신원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신원증명서 발급서버로부터 상기 신원증명서를 수신하면,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검증값을 생성하고,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신원증명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 및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로 제출하는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 및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는,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를 추출해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는,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해시한 해시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암호화한 암호화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것은,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것은,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송금 주소로 하고, 임의의 암호화폐 주소 또는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수신 주소로 선택하고, 데이터 영역에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입력한 송금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하여 등록하고, 상기 송금 트랜잭션의 결과인 트랜잭션 해시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이용해서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원증명서를 발급하고,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고,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로 제출함으로써,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여 암호화폐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계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했을 때, 수취인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에서 송금 트랜잭션을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했을 때, 수취인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에서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송금 트랜잭션을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계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100)은 신원증명서 발급 서버(110),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 블록체인(130) 및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원증명서 발급 서버(110)는 신원증명서(VC; verifiable credential)의 발급한다. 이때, 신원증명서는 탈 중앙화 방식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를 이용한 신원증명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신원증명서에는 암호화폐 수신자(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의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분산식별자 기반의 신원증명서의 경우에 주체(암호화폐 수신자)의 분산식별자(DID), 발급자의 DID, 주체의 신원정보(이름, 생년월일, E-mail,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로 신원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고,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로부터 신원증명서를 수신하면,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검증값을 생성하고,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130)에 등록하고, 신원증명서, 암호화폐 주소 및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로 제출한다.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의 제출은 이미 공지된 신원증명서 제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3C Verifiable Credentials Data Model(https://w3c.github.io/vc-data-model/)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는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의 DID 프라이빗 키로 전자서명 될 수 있다.
이때, 암호화폐 주소와 연계된 분산식별자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분산식별자(DID)를 직접 블록체인(130)에 등록하지 않고,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것은 블록체인(130)에 분산식별자의 실제 값이 공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암호화폐 주소와 연계된 분산식별자(DID)가 공개되면, 누구나 잔액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것은 분산식별자에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해시한 해시값을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해시를 이용한 분산식별자 검증값의 생성은 아래 <수학식 1>을 통해서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1]
Hash(DID || Account || SCAddress || TxHash || Nonce)
여기서, Hash(x)는 x를 해시하여 해쉬값을 생성하는 해시함수이고, a||b는 a의 뒤에 이어서 b가 오도록 연결하는 함수이고, DID는 분산식별자이고, Account는 암호화폐 주소이고, SCAddress는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이고, TxHash는 트랜잭션 해시값이고, Nonce는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생성한 임의의 값이다.
이때, 분산식별자(DID) 검증값 생성에 사용된 값은 분산식별자(DID)증거값으로써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로 전달되어야 한다. <수학식 1>의 분산식별자(DID) 검증값 생성에 사용된 값(Account, SCAddress, TxHash, Nonce) 중 일부는 경우에 따라 제외되거나 다른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것은 분산식별자에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암호화한 암호화값을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암호화를 이용한 분산식별자 검증값의 생성은 아래 <수학식 2>를 통해서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2]
Sign(DID || Account || SCAddress || TxHash || Nonce)
Sign(x)는 x를 암호화하여 암호화값을 생성하는 암호화 함수이고, a||b는 a의 뒤에 이어서 b가 오도록 연결하는 함수이고, DID는 분산식별자이고, Account는 암호화폐 주소이고, SCAddress는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이고, TxHash는 트랜잭션 해시값이고, Nonce는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생성한 임의의 값이다.
이때, DID검증값 생성에 사용된 값은 DID증거값으로써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로 전달되어야 한다. <수학식 2>의 DID검증값 생성에 사용된 값(Account, SCAddress, TxHash, Nonce) 중 일부는 경우에 따라 제외되거나 다른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블록체인(130)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저장하는 블록체인으로 암호화폐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일 수도 있고,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블록체인 일 수도 있다.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에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것은,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블록체인(130)로부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고,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할 수 있다.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의 검증에 성공하면,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이름, 전화번호 등)를 추출해서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암호화폐 주소와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했을 때, 수취인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로 신원증명서(VC; verifiable credential)의 발급을 요청한다(201).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는 요청받은 신원증명서를 생성하여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202).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검증값을 생성하고,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210) 생성한 후에,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210)를 통해 블록체인(130)에 등록한다(203).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신원증명서, 암호화폐 주소 및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로 제출한다(205). 이때, 분산식별자 증거값는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이고, 분산식별자 증거값는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포함한다.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블록체인으로부터 스마트 컨트랙트(210)를 통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한다(206).
그리고,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획득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고, 검증에 성공하면,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를 추출해서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한다(208).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에서 송금 트랜잭션을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했을 때, 수취인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로 신원증명서(VC; verifiable credential)의 발급을 요청한다(301).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는 요청받은 신원증명서를 생성하여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302).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검증값을 생성하고, 암호화폐 주소를 송금 주소로 하고, 임의의 암호화폐 주소 또는 암호화폐 주소를 수신 주소로 선택하고, 데이터 영역에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입력한 송금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13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303).
그리고,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블록체인(130)으로부터 송금 트랜잭션의 결과인 트랜잭션 해시값을 획득한다(304).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신원증명서, 암호화폐 주소 및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로 제출한다(305). 이때, 분산식별자 증거값는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이고, 분산식별자 증거값는 트랜잭션 해시값을 포함한다.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블록체인으로부터 트랜잭션 해시값을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한다(306).
그리고,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획득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고, 검증에 성공하면,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를 추출해서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한다(308).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에서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로 신원증명서(VC; verifiable credential)의 발급을 요청한다(410).
신원증명서 발급서버(110)에서 요청받은 신원증명서를 생성하여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412).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 검증값을 생성한다(414).
이때, 414단계는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분산식별자에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해시한 해시값을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414단계는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분산식별자에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암호화한 암호화값을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130)에 등록한다(416). 416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이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신원증명서, 암호화폐 주소 및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로 제출한다(418). 이때, 분산식별자 증거값는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에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한다(420). 420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이후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이 검증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422).
422단계의 확인결과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의 검증에 성공하면,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를 추출해서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한다(424).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에서 암호화폐 주소와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한다(426).
422단계의 확인결과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의 검증에 실패하면,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신원증명서를 검증한다(510).
그리고,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한다(512).
그리고,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블록체인(130)로부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한다(514).
그리고,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한다(51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한다(610).
그리고,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암호화폐 주소와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블록체인(130)에 등록한다(612).
도 6과 같이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130)에 등록하는 경우, 분산식별자 증거값에는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130)에 등록하는 경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할 때,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서 블록체인(130)에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의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송금 트랜잭션을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는 암호화폐 주소를 송금 주소로 하고, 임의의 암호화폐 주소 또는 암호화폐 주소를 수신 주소로 선택하고, 데이터 영역에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입력한 송금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13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710).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120)에서 송금 트랜잭션의 결과인 트랜잭션 해시값을 획득한다(712).
도 7과 같이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130)에 등록하는 경우, 분산식별자 증거값에는 트랜잭션 해시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130)에 등록하는 경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140)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할 때, 트랜잭션 해시값을 이용해서 블록체인(130)에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신원증명서 발급서버로 신원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신원증명서 발급서버에서 요청받은 신원증명서를 생성하여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 및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로 제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해시한 해시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암호화한 암호화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하는
    암호화폐 송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를 추출해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블록체인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송금 주소로 하고, 임의의 암호화폐 주소 또는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수신 주소로 선택하고, 데이터 영역에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입력한 송금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송금 트랜잭션의 결과인 트랜잭션 해시값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이용해서 상기 블록체인에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방법.
  9. 신원증명서의 발급하는 신원증명서 발급서버;
    상기 신원증명서 발급서버로 상기 신원증명서의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신원증명서 발급서버로부터 상기 신원증명서를 수신하면, 상기 신원증명서를 이용해서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생성하고, 암호화폐 수신을 위한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신원증명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 및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포함하는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로 제출하는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 및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는,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해시한 해시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분산식별자에 상기 암호화폐 주소,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트랜잭션 해시값, 임의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암호화한 암호화값을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으로 생성하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는,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의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신원증명서에서 수신자의 정보를 추출해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함께 출력하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는,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 주소로 암호화폐를 송신하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것은,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기록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폐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것은,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송금 주소로 하고, 임의의 암호화폐 주소 또는 상기 암호화폐 주소를 수신 주소로 선택하고, 데이터 영역에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입력한 송금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전송하여 등록하고, 상기 송금 트랜잭션의 결과인 트랜잭션 해시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송신 단말기에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검증하는 것은,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을 제출하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신원증명서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가능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추출하고,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이용해서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폐 주소와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을 이용해서 상기 분산식별자 검증값을 검증하고,
    상기 분산식별자 증거값은,
    상기 트랜잭션 해시값을 포함하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KR1020210068031A 2021-05-27 2021-05-27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KR10233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31A KR102337675B1 (ko) 2021-05-27 2021-05-27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31A KR102337675B1 (ko) 2021-05-27 2021-05-27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675B1 true KR102337675B1 (ko) 2021-12-09

Family

ID=7886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031A KR102337675B1 (ko) 2021-05-27 2021-05-27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7977A1 (ko) * 2021-12-27 2023-07-06 (주)이스톰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553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정보 검증 기반 암호화폐 거래 제공 방법
KR20190128309A (ko) * 2018-05-08 2019-11-18 라온시큐어(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분증 및 이의 발급과 신원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077334B1 (ko) * 2018-02-01 2020-02-13 유비벨록스(주) 인증서를 활용하는 암호화폐의 p2p 송금 시스템 및 인증서를 활용하는 암호화폐의 p2p 송금방법
KR102248237B1 (ko) * 2020-11-10 2021-05-04 (주)소프트제국 브라우저 기반 보안pin인증을 이용한 did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334B1 (ko) * 2018-02-01 2020-02-13 유비벨록스(주) 인증서를 활용하는 암호화폐의 p2p 송금 시스템 및 인증서를 활용하는 암호화폐의 p2p 송금방법
KR20190115553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정보 검증 기반 암호화폐 거래 제공 방법
KR20190128309A (ko) * 2018-05-08 2019-11-18 라온시큐어(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분증 및 이의 발급과 신원확인 방법 및 시스템
KR102248237B1 (ko) * 2020-11-10 2021-05-04 (주)소프트제국 브라우저 기반 보안pin인증을 이용한 did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7977A1 (ko) * 2021-12-27 2023-07-06 (주)이스톰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및 거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3943B2 (en) Issuing virtual documents in a block chain
US2022032135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wnership verification using blockchain
US11895239B1 (en) Biometric electronic signature tokens
US20230246842A1 (en) Compact recordation protocol
US9871655B2 (en) Method for deriving a verification token from a credential
KR101883156B1 (ko) 인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인증 서버 및 서비스 서버
JP2020502857A (ja) 情報保護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197218B1 (ko) 분산 id와 fido 기반의 블록체인 신분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6585038B2 (ja) 暗号化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GB2434724A (en) Secure transactions using authentication tokens based on a device &#34;fingerprint&#34; derived from its physical parameters
KR10221818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서 관리를 수행하는 노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785511A (zh) 证明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1070378B1 (en) Signcrypted biometric electronic signature tokens
KR102337675B1 (ko) 수취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388930B1 (ko) 분리 서명 기반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CN114389810A (zh) 证明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868564B1 (ko) 사용자 본인 확인(identification) 등록과 로컬 인증을 연계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529050B1 (ko) 모바일 전자영수증 서비스 방법
TW202116038A (zh) 電子裝置之認證方法及系統
KR102419311B1 (ko) 신뢰실행 환경 및 블록체인 기반 프라이버시 강화 자기주권 신원증명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87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oviding and distributing a trusted electronic record or certificate based on an electronic document relating to a user
WO2023026343A1 (ja) 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データ管理システム
WO2024042583A1 (ja) 情報処理装置、aiモデル認証システム、aiモデル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2008145B2 (en) Method and server for certifying an electronic document
US20200218830A1 (en) Method and server for certifying an electronic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