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639B1 - Prefab pallet - Google Patents

Prefab pal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639B1
KR102337639B1 KR1020200047155A KR20200047155A KR102337639B1 KR 102337639 B1 KR102337639 B1 KR 102337639B1 KR 1020200047155 A KR1020200047155 A KR 1020200047155A KR 20200047155 A KR20200047155 A KR 20200047155A KR 102337639 B1 KR102337639 B1 KR 10233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pper plate
protrusions
present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9341A (en
Inventor
장대석
Original Assignee
장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석 filed Critical 장대석
Priority to KR102020004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639B1/en
Publication of KR2021012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3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팰릿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부(101)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공(102)이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상판(10); 상판(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지지다리(20);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측면에서 외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30); 결합돌부(30)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또 다른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부(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도구 없이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조립 설치가 가능하며, 견고한 구조적 강도를 가짐으로써 상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안전한 적재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llet, wherein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10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102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10); Doedo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2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coupling protrusions 30 each protruding outward from two sides meeting at right angles of the upper plate 10; Coupling grooves 40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meeting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plate 10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30; inclu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acilitating disassembly and assembly without a separate tool, quick and simple assembly and installation are possible, and by having a solid structural strength,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safe loading of articles loaded on the upper part.

Description

조립식 팰릿{Prefab pallet}Prefab pallet

본 발명은 조립식 팰릿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 등의 바닥에 설치할 때, 별도의 도구 없이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조립 설치가 가능케 함과 동시에 견고한 구조적 강도를 가짐으로써 상부에 적재되는 물품의 안전한 적재가 가능케 한 조립식 팰릿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llet, and more particularly, when installed on the floor such as a warehouse for storing various items, by facilitating disassembly and assembly without a separate tool, quick and easy assembly and installation are possible and strong structural strength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pallet that enables the safe loading of goods loaded on the upper part by having.

일반적으로 창고는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장소를 말하는데, 근래 택배 및 물류 시스템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일반 공산품 뿐만 아니라, 신선식품 및 냉동식품의 단일 배송이 보편화됨에 따라, 신선식품 및 냉동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냉장창고 및 냉동창고(이하, ‘저온창고’라 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a warehouse refers to a place where various items are stored.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urier and distribution systems, single delivery of fresh and frozen food as well as general industrial products has become common. Refrigerated warehouses and frozen warehous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 temperature warehouses') are increasing significantly.

한편, 저온창고에 물품을 보관하는 경우에, 보관된 물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toring goods in a low-temperature warehouse, it is important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is maintained uniformly as a whole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stored goods.

특히 다층으로 물품이 적층되어 보관되는 경우에, 바닥에 깔린 물품의 온도는 지열의 영향으로 온도가 높아지면서 변질될 우려가 높아지기 때문에 저온창고의 바닥에는 원활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팰릿을 깔고, 팰릿 상부에 물품을 적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acking items in multiple layers, the temperature of the items spread on the floor increases the risk of deterioration as the temperature rises under the influence of geothermal heat. , it is common to load and store goods on top of pallets.

그리하여 종래에는 열전도가 낮은 나무로 제작된 팰릿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나무로 팰릿을 제작하는 경우에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제품의 가격이 비싸질 뿐만 아니라, 습기에 취약하여 장시간 사용 시 팰릿이 썩거나 부패하면서 각종 오염균이 번식함으로써 저온창고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의 변질 우려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pallets made of wood with low heat conduction were mainly used, but when the pallets are made of wood,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and the product price becomes high, and the pallet rots or decays wh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vulnerable to moistur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isk of deterioration of the goods stored inside the low-temperature warehouse increased by the propagation of various contaminants.

또한, 팰릿이 썩거나 부패하는 과정에서 구조적 강도가 약해지면서 상부에 적재된 물품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팰릿이 파손되어 팰릿 상부에 적재된 물품이 쓰러지거나 추락하면서 물품이 손상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as the structural strength weakens in the process of rotting or decaying the pallet, it cannot withstand the load of the goods loaded on it, and the pallet is damaged, and the goods loaded on the pallet fall or fall. there was.

그리하여 근래에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팰릿이 주로 사용된다.Therefore, in recent years, prefabricated pallets that are injection molded with synthetic resin and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mainly used.

그런데 종래의 조립식 팰릿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조립 시 간격 조절이 불가능하여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저온창고의 경우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팰릿이 상호 과도하게 밀착되면서 수평을 이루기 때문에 고르지 못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지 않거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low-temperature warehouse with an uneven floor surfac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when assembl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pallets have an uneven floor surface because the prefabricated pallets assembl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xcessively and horizontal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adhere stably to the surface or that assembly is not performed smoothly.

또한, 저온창고의 바닥면 형태와 넓이에 따라 가로세로 방향으로 다수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저온창고의 넓이와 조립 완료된 조립식 팰릿의 넓이 사이에 단위 조립식 팰릿의 넓이보다 작은 여분의 공간이 남는 경우에 여분의 공간까지 조립식 팰릿을 완전히 깔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bining multiple number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hape and width of the floor surface of the low-temperature warehouse, if an extra spac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unit prefabricated pallet remains between the width of the low temperature warehouse and the width of the assembled prefabricated palle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was difficult to completely lay the prefabricated pallet up to the space of

그리하여 종래에는 여분 공간의 넓이에 맞게 합성수재로 된 조립식 팰릿을 전동톱으로 절단하여 조립하기도 하였으나, 이를 위해서는 항상 조립식 팰릿 설치 현장에 전동톱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 팰릿을 절단하여 길이를 맞추고 조립하는 데 따른 설치 작업의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Thus, conventionally, prefabricated pallets made of synthetic material were cut and assembled with a power saw to match the width of the extra spa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nconvenience of installation work due to matching the length and assembling it is aggravated.

등록특허공보 제10-0536661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536661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판으로 형성되며, 각 측면의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도구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한 조립 설치가 가능케 한 조립식 팰릿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verall shape of a square plate, and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of each side, respectively, so that the assembly is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without a separate too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llet that enables

또한, 결합돌부와 결합홈부를 다중으로 형성하여 조립 시 간격 조절이 가능케 한 조립식 팰릿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llet that allows adjustment of the spacing during assembly b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또한, 격자형으로 절개홈선을 형성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도 원하는 크기로 절단 가능케 한 조립식 팰릿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llet that can be cut to a desired size without a separate tool by forming an incision groove line in a grid shape.

또한, 선택천공부를 형성하여 가로세로 방향으로 다수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도 특정 위치의 파손된 조립식 팰릿을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한 조립식 팰릿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llet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nd replacing the damaged prefabricated pallet at a specific location even in a state where multiple assembly is comple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y forming a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은,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부(101)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공(102)이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상판(10);a top plate 10 having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10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102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상기 상판(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지지다리(20);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2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width and length;

상기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측면에서 외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30);coupling protrusions 30 each protruding outward from two sides of the upper plate 10 meeting at right angles;

상기 결합돌부(30)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또 다른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부(40); 를 포함한다.coupling grooves 40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meeting at right angles of the upper plate 10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30; includes

상기 결합돌부(30)는, 양 측면에 다중돌부(301)가 더 구비되고,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further provided with multiple protrusions 301 on both sides,

상기 결합홈부(40)는, 상기 다중돌부(301)에 대응하는 다중홈부(401)가 양측 내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groove portion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groove portion 401 corresponding to the multi-protrusion portion 301 is further provided on both inner surfaces.

상기 결합돌부(3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결합봉(302)이 더 돌출 형성되고,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0, a coupling rod 302 is further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상기 결합홈부(40)는 바닥면이 구비되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봉(302)이 결합되는 결합공(40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groove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further formed with a coupling hole 402 to which the coupling rod 302 is coupl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10)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는 격자형의 절개홈선(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plat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id-shaped cut-out groove lines 50 that intersec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10)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천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천공안내홈선(601)이 구비된 선택천공부(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plate 10 includes a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60 provided with a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of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form the perfora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천공부(60)는 경계가 되는 천공안내홈선(601)의 내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가압지지돌부(60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6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upport protrusion 602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side of 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serving as a boundary.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도구 없이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누구나 신속하고 간편한 조립 설치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without a separate tool, so that anyone can quickly and easily assemble and install.

또한, 합성수지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됨으로써,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가격도 저렴하여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는 일반창고 뿐만 아니라, 식품 등을 보관하는 저온창고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being manufactured by the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method, it is not only excellent in structural strength and durability, but also easy to handle and store, and the price is low.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n

또한,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다중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식 팰릿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조립할 때 간격 조절이 가능케 되어, 바닥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 조립 설치할 때에도 원활한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르지 못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multiple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when assembling prefabricated pallet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ability is further improved by adhesion.

또한, 격자형으로 절개홈선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도 원하는 크기로 절단 가능케 되어 조립식 팰릿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단위 크기의 조립식 팰릿보다 작은 여분의 공간에 맞게 적절한 크기로 조립식 팰릿을 손쉽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립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저장창고에 대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grid-shaped incision groove line, it is possible to cut to the desired size without a separate tool.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fabricated pallet, the prefabricated pallet can be easily cut to an appropriate size to fit the extra space smaller than the prefabricated pallet of unit size. There is an effect that not only the convenience of assembly and installation work is further improved, but also the space utilization for the storage warehouse can be improved.

또한, 조립식 팰릿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특정 위치에서 파손된 조립식 팰릿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조립식 팰릿이 분리된 위치에 새로운 조립식 팰릿을 손쉽게 끼워 맞출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립 설치가 완료된 조립식 팰릿의 유지 보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prefabricated pallet is assembled, it is possible to easily disassemble the damaged prefabricated pallet at a specific position, as well as to easily fit a new prefabricated pallet in the position where the damaged prefabricated pallet is separate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maintenance quickly an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립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립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n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not intended to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any of them.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은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 등의 바닥에 설치할 때, 별도의 도구 없이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판(10), 지지다리(20), 결합돌부(30), 결합홈부(40)를 포함한다.When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loor such as a warehouse for storing various items, the top plate 10, the support leg 20, the coupling protrusion 30, the coupling groove 40 ) is included.

상기 상판(10)은 대략 사각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부(101)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공(102)이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사방으로 소정 높이의 측판(103)이 형성된다.The upper plate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10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102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side plate 103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상기 미끄럼방지돌부(101)는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두며, 상판(10)에서의 돌출 높이는 1에서 3㎜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on-slip protrusion 101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따라서 상판(10)의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었을 때, 미끄럼방지돌부(101)에 의해 물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Therefore, when the article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0, the sliding of the article is prevented by the non-slip protrusion 101.

상기 통기공(102)은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됨으로써 조립 설치가 완료된 상판(10)의 상하부로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판(10) 상부에 적재 보관되는 물품의 보관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물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a plurality of the ventilation holes 10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ssembling and installation is complete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op plate 10 smoothly ventilate, so that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items loaded and stored on the top plate 10 is uniform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product.

상기 측판(103)은 대략 사각의 판 형태로 된 상판(10)의 사면 테두리에 일체로 되되, 하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됨으로써 상판(10)의 강도가 보강된다.The side plate 103 is integrated with the edge of the four sides of the top plate 10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and by being integrated to protrude downward, the strength of the top plate 10 is reinforced.

이때, 상판(10)의 저면과 측판(103)의 내면 간에는 다수의 리브가 소정 간격으로 더 구비됨으로써 상판(10)의 강도를 더욱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ibs are further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03 so that the strength of the top plate 10 can be more firmly reinforced.

또한, 측판(103)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기홈(103a)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판(10)의 상하부로 통기가 이루어질 때, 통기홈(103a)에 의해 통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ide plate 103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103a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ventilation is made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plate 10, ventilation can be made more smoothly by the ventilation grooves 103a.

또한, 상판(10)의 저면에는 격자형으로 되어 하방으로 고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힘살부(1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힘살부(103)의 양단부는 측판(103)의 내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판(10)의 구조적 강도가 보강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attice-shaped force rib portion 104 formed to protrude downward by a fixed length.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orce sal part 103 are formed to exte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03 , thereby reinforc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upper plate 10 .

상기 지지다리(20)는 상판(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되되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The support legs 20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a plurality of them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이때, 지지다리(20)의 길이는 상판(10)의 측면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다리(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10)이 지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각 지지다리(20) 사이 및 상판(10) 아래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게 됨에 따라 물품의 보관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물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2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ide height of the upper plate 10, so that the upper plate 10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2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ach support leg 20 As the communication between and under the upper plate 10 is facilitated,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article is maintained uniformly,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article.

한편, 지지다리(20)의 하단부에는 고무패킹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ubber packing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leg (20).

따라서, 지지다리(20)가 지면에 밀착될 때 고무패킹에 의해 지면과의 마찰력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다리(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상판(10)의 상부에 물품을 적재할 때, 상판(10)의 요동이 방지되어 물품의 적재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upport leg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article is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10 by preventing the sliding of the support leg 20 as friction with the ground increases by the rubber packing, the upper plate ( 10) is prevented, so that the loading operation of goods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또한 지지다리(20)는 상기 힘살부(103)와 이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다리(20)의 구조적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상판(10)의 상부에 더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support leg 2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orce sal part 103 ,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upport leg 20 is reinforced, so that a greater amount of goods can be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10 .

상기 결합돌부(30)는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측면에서 외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wo sides meeting at a right angle of the upper plate 10 .

이때, 결합돌부(30)의 형상은, 평면에서 볼 때 상판(10)의 측판(103)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보다, 양 측면이 외향으로 더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되, 각 측면에서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when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side plate 103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more convexly, and are semicircularly convex on each side. It would be desirable to be formed in a certain way,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결합돌부(30)는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coupling protrusions 3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결합홈부(40)는 결합돌부(30)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또 다른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The coupling groove portion 40 is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meeting at right angles to the top plate 10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0 .

이때, 결합홈부(40)의 형상은 양 측면이 외향으로 더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30)에 대응하게 양측 내면이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결합돌부(30)의 외면과 결합홈부(40)의 내면 간에는 소정 간격의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portion 40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are concave in a semicirc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0 formed to protrude more convex outwardly,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0 and the coupling groove 40 )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inner surfaces.

그리하여 결합홈부(40)의 수직 상방에 결합돌부(30)가 위치하게 한 후, 결합돌부(30)가 결합홈부(40) 내부로 투입되게 삽입하면 결합돌부(30)와 결합홈부(4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을 가로세로 퍼즐 형태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후 임의 분리(수평 방향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Thus,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coupling groove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ecess 40, the coupling protrusion 30 and the coupling groove 40 are As the combination is made,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horizontal and vertical puzzle, as well as to prevent arbitrary separation (horizontal separation) after assembly is completed.

아울러, 결합된 조립식 팰릿을 분해할 때에는 조립할 때와 반대로 결합홈부(40) 내에 투입된 결합돌부(30)가 수직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조립식 팰릿을 수직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상호 조립된 조립식 팰릿의 분해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disassembling the combined prefabricated pallet, as opposed to when assembling, if the prefabricated pallet is lifted vertically upwar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0 injec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0 is discharged vertically upward, the disassembly of the assembled prefabricated pallet is quick and will be done easily.

따라서,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 등의 바닥에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을 설치할 때, 별도의 도구 없이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loor, such as a warehouse for storing various items,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without a separate tool, so that anyone, regardless of age or sex,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 assembly work.

아울러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은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됨으로써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가격도 저렴하여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는 일반 창고 뿐만 아니라, 식품 등을 보관하는 저온창고 등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so it has excellent structural strength and durability, as well as easy handling and storage, and low price. It can also be used conveniently.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립 상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결합돌부(30)는, 양 측면에 다중돌부(301)가 더 구비되고, 결합홈부(40)는 양측 내면에 다중돌부(301)와 대응되는 다중홈부(40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further provided with multiple protrusions 301 on both sides, and the coupling groove 40 is further provided with multiple protrusions 401 and corresponding multiple protrusions 401 on both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do.

이때, 다중돌부(301)는 결합돌부(30)와 결합홈부(40)의 결합 시 결합돌부(30)의 임의 분리(수평 방향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돌부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으로서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multiple protrusion 301 i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prevent arbitrary separation (horizontal separa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30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0 and the coupling groove 40 are coupled. It would be preferable to form,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advance.

따라서, 결합홈부(40)의 수직 상방에 결합돌부(30)가 위치하게 한 후, 결합돌부(30)가 결합홈부(40) 내부로 투입되게 삽입하여 결합돌부(30)와 결합홈부(40)를 결합할 때, 필요에 따라 결합돌부(30)가 결합되는 결합홈부(40)의 위치 조절을 통해 상호 조립되는 조립식 팰릿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케 된다.Therefore, after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coupling groove 40,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0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30 and the coupling groove 40. When combinin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refabricated pallets to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40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coupled, if necessary.

즉, 다중돌부(301)가 다중홈부(401)에 모두 결합되면, 조립식 팰릿 간 조립 간격이 좁아지고, 다중돌부(301) 중 일부만 다중홈부(401)의 일부에 결합되면 조립식 팰릿 간 조립 간격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상호 조립되는 조립식 팰릿 간의 유동이 가능케 된다. That is, when all of the multiple protrusions 301 are coupled to the multi-groove portion 401, the assembly interval between the prefabricated pallets is narrowed, and when only some of the multiple protrusions 301 are coupled to a part of the multi-groove 401, the assembly gap between the prefabricated pallets is Not only is it widened, it also allows for flow between the prefabricated pallets that are assembled together.

따라서, 조립식 팰릿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조립할 때 간격 조절이 가능케 되어, 바닥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 조립 설치할 때 조립식 팰릿 간 간격 조절을 통해 조립식 팰릿 간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르지 못한 바닥면에서도 안정적인 조립 설치가 가능케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when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pallet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when assembling and installing on an uneven floor, assembling between the prefabricated pallets can be made smoothly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prefabricated pallets, as well as the uneven floor surface It also enables stable assembly and install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립 상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assembly state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 but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결합돌부(3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결합봉(302)이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40)에는 상기 결합봉(302)이 결합되는 결합공(40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upling rod 302 is further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upling protrusion 30, and a coupling hole 402 to which the coupling rod 302 is coupled is further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40. do.

이때, 상기 결합돌부(30)는 상판(10)에 일체로 된 측판(103) 높이의 1/2 높이로 형성되되, 측판(103)의 외측면 상측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결합돌부(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봉(302)은 측판(103) 높이의 1/2 높이로 형성되어 측판(103)의 저면과 결합봉(302)의 저면이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formed to have a height of 1/2 of the height of the side plate 103 integrated with the top plate 10 , and is form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03 ,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0 . The coupling rod 30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plate 103 is formed at a height of 1/2 of the height,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plate 10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rod 302 are preferably located on the same height, but this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is is not limiting.

또한, 상기 결합홈부(40)는 측판(103) 높이의 1/2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되며, 결합홈부(40)의 저면에는 바닥판이 형성되되, 그 바닥판에 결합공(40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portion 40 is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1/2 of the height of the side plate 103, and a bottom plat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portion 40, and a coupling hole 402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do.

따라서, 결합홈부(40)의 수직 상방에 결합돌부(30)가 위치하게 한 후, 결합돌부(30)가 결합홈부(40) 내부로 투입되게 삽입하면 결합돌부(30)와 결합홈부(40)의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결합돌부(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봉(302)이 결합홈부(40)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402)에 결합되면서,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coupling groove 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ecess 40, the coupling protrusion 30 and the coupling groove 40 are inserted. At the same time as the coupling is made, the coupling rod 30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40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40, so that a more robust coupling is made.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상기 상판(10)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는 격자형의 절개홈선(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plat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id-type incision groove line 50 that cross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이때, 절개홈선(50)은 상판(10)의 상면 뿐만 아니라, 상판(10)의 사방에서 상판(10)과 일체로 형성된 측판(103)까지 연장 형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 groove line 50 extends not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 but also extends from all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10 to the side plate 103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plate 10 .

따라서, 저온창고의 넓이(면적)에 따라 다수의 조립식 팰릿을 가로세로 필요한 면적만큼 조립 설치한 후, 저온창고의 넓이와 조립 완료된 조립식 팰릿의 넓이 사이에 단위 크기의 조립식 팰릿의 넓이보다 작은 여분의 공간이 남을 때에 상판(10)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된 격자형의 절개홈선(50)을 따라 힘으로 접거나 부러뜨려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필요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위 크기로 제작되는 조립식 팰릿을 이용해 여분의 공간까지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assembling and installing a number of prefabricated pallets according to the area (area) of the low-temperature warehouse, there is an extra spac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unit size between the width of the low-temperature warehouse and the width of the assembled prefabricated pallet. When space is left, it is folded or broken by force along the grid-shaped incision groove line 50 that is formed to cross the top plate 1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it can be cut to the required siz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out a separate tool. Prefabricated pallets that are made to size can be installed neatly even in extra space.

도 9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식 팰릿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상판(10)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천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선택천공부(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lat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perforation portion 60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form the perforation portion.

상기 선택천공부(60)는 천공안내홈선(601)을 포함한다.The selective perforation part 60 includes a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

상기 천공안내홈선(601)은 상판(10)의 상면에 대략 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천공안내홈선(601)을 따라 천공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이 쉽게 투입될 수 있는 크기의 원형, 타원형, 호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llipses, arcs, polygons, etc. to make it clear in advance that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또한, 천공안내홈선(601)은 상판(10)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is preferably form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그리하여 천공안내홈선(601)이 형성된 선택천공부(60)의 상면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강하게 가압하거나 타격하면, 천공안내홈선(601)을 따라 선택천공부(60)가 상판(10)에서 분리되면서 천공부가 형성된다.Thus,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60 on which 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is formed is strongly pressed or struck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6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0 along 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 A perforation is formed.

따라서 조립식 팰릿의 조립 설치가 완료된 후 각종 물품을 적재 보관하는 과정에서 특정 위치의 조립식 팰릿이 파손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조립식 팰릿의 선택천공부(60)를 상판(10)에서 분리시켜 천공부를 형성한 후, 천공부에 양손을 투입하여 상판(10)를 양손으로 잡고 수직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조립식 팰릿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파손된 조립식 팰릿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조립식 팰릿이 분리된 위치에 새로운 조립식 팰릿을 손쉽게 끼워 맞출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립 설치가 완료된 조립식 팰릿에 대해서도 유지 보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prefabricated pallet at a specific location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loading and storing various items after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of the prefabricated pallet is completed, the user separates the selectable perforation 60 of the prefabricated pallet from the top plate 10 to the perforation After forming,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damaged prefabricated pallet even when the prefabricated pallet is assembled by putting both hands into the perforation and holding the top plate 10 with both hands and lifting it vertically. The ability to easily fit a new prefabricated pallet in a separate location makes maintenance quick and easy, even for prefabricated pallets that have been assembled and installed.

한편, 상기 선택천공부(60)를 가압지지돌부(6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6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support protrusion 602 .

상기 가압지지돌부(602)는 선택천공부(60)의 경계가 되는 천공안내홈선(601) 내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다.The pressure support protrusion 602 is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side of 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serving as the boundary of the selective perforation part 60 .

이때, 가압지지돌부(602)는 천공안내홈선(601)이 평면상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사각형의 각 변 내측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when the pressure support protrusion 602 is formed in a quadrangle in plan view, it is preferable to form one for each inner side of the quadrang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천공안내홈선(601)을 따라 선택천공부(60)를 상판(10)에서 강제 분리하고자 할 때, 드라이버와 같이 일직선으로 된 간단한 도구의 일단부를 상판(10)에 형성된 통기공(102)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구의 타단부를 이용해 가압지지돌부(602)를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선택천공부(60)를 상판(10)에서 강제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천공부의 형성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60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0 along 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one end of a simple tool in a straight line such as a screwdriver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1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02. When the pressure support protrusion 602 is pressed vertically downward using the other end of the tool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Formation of study can be made more easily.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 상판 101: 미끄럼방지돌부
102: 통기공 103: 측판
20: 지지다리 30: 결합돌부
301: 다중돌부 302: 결합봉
40: 결합홈부 401: 다중홈부
402: 결합공 50: 절개홈선
60: 선택천공부 601: 천공안내홈선
602: 가압지지돌부
10: top plate 101: non-slip protrusion
102: vent 103: side plate
20: support leg 30: coupling protrusion
301: multi-protrusion 302: coupling rod
40: coupling groove 401: multiple groove
402: coupling hole 50: incision groove line
60: selective perforation unit 601: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2: pressure support protrusion

Claims (6)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부(101)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기공(102)이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상판(10);
상기 상판(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지지다리(20);
상기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두 측면에서 외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30);
상기 결합돌부(30)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판(10)의 직각으로 만나는 또 다른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돌부(30)는,
양 측면에 형성된 다중돌부(301);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봉(302); 을 포함하여 상판(10)에 일체로 된 측판(103) 높이의 1/2 높이로 형성되되, 측판(103)의 외측면 상측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40)는,
상기 다중돌부(301)에 대응하게 양측 내면에 형성된 다중홈부(401);
상기 결합봉(302)이 결합되게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402); 을 포함하여 상판(10)에 일체로 된 측판(103) 높이의 1/2 높이로 형성되되, 측판(103)의 외측면 하측에 위치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10)은,
가로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는 격자형의 절개홈선(50);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천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천공안내홈선(601)이 구비된 선택천공부(6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택천공부(60)는,
경계가 되는 천공안내홈선(601)의 각 변의 내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가압지지돌부(602);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팰릿.
a top plate 10 having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10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102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plurality of supporting legs 2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width and length;
coupling protrusions 30 each protruding outward from two sides of the upper plate 10 meeting at right angles;
coupling grooves 40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meeting at right angles of the upper plate 10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30; Consists of including,
The coupling protrusion 30 is,
Multiple protrusions 301 formed on both sides;
a coupling rod 30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Formed to a height of 1/2 of the height of the side plate 103 integrated with the top plate 10, including
The coupling groove portion 40,
Multiple grooves 401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to correspond to the multiple protrusions 301;
a coupling hole 40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which the coupling rod 302 is coupled; It is formed to a height of 1/2 of the height of the side plate 103 integrated with the upper plate 10, including
The top plate 10 is
A grid-type incision groove line 50 that cross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selective perforation portion 60 provided with a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a user can selectively form the perforation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selective perforation part (60),
a pressure support protrusion 602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upward from the inside of each side of the perforation guide groove line 601 as a boundary; Prefabricated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47155A 2020-04-20 2020-04-20 Prefab pallet KR102337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55A KR102337639B1 (en) 2020-04-20 2020-04-20 Prefab pal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55A KR102337639B1 (en) 2020-04-20 2020-04-20 Prefab pal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341A KR20210129341A (en) 2021-10-28
KR102337639B1 true KR102337639B1 (en) 2021-12-08

Family

ID=7823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155A KR102337639B1 (en) 2020-04-20 2020-04-20 Prefab pal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63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747Y1 (en) * 2007-02-12 2008-04-30 모영주 Floor board for storage room
KR200454702Y1 (en) * 2010-11-16 2011-07-20 변경희 Prefabricated Pallet with Adjustable Widt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287Y1 (en) * 1991-06-28 1993-03-22 삼성전자 주식회사 Press metal mold
JP2575105Y2 (en) * 1991-10-15 1998-06-25 盟和産業株式会社 Floor structure
JPH09100583A (en) * 1995-10-05 1997-04-15 Chikuma Seiko:Kk Ventilation opening
KR100536661B1 (en) 2003-10-27 2005-12-14 강재주 a assmble type multi use 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747Y1 (en) * 2007-02-12 2008-04-30 모영주 Floor board for storage room
KR200454702Y1 (en) * 2010-11-16 2011-07-20 변경희 Prefabricated Pallet with Adjustable 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341A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9787B1 (en) Pallet with telescoped leg assembly
US9221580B2 (en) Multiple pallet assembly
US7726248B2 (en) Twin sheet pallet
US7748329B2 (en) Pallet assembly
US8087364B2 (en) Assembly of pallet component and fasteners
AU2007241641B2 (en) Improved Pallet
US8434618B2 (en) Shipping container
US6564725B2 (en) Load supporting platform
US4635562A (en) Sidewall assembly for tote box
US20120291677A1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US8943981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KR200465332Y1 (en) Assembly pallet
WO2023036232A1 (en) Combined plastic pallet
KR200464149Y1 (en) Pallet loading rack
KR102337639B1 (en) Prefab pallet
KR20170039086A (en) Pallet and method of making a pallet
US20040139593A1 (en) Composite pallet
KR101171138B1 (en) Pallet
WO2018236207A1 (en) Pallet assembly
EP0849184B1 (en) Carrying element such as pallet
WO2013154415A1 (en) Fast assembly plastic pallet
US11305912B2 (en) Pallet
KR200381444Y1 (en) The pallette in kit form
KR100818353B1 (en) Sectional plastic pallet
JP6793264B1 (en) Pall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