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424B1 -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424B1
KR102337424B1 KR1020210033653A KR20210033653A KR102337424B1 KR 102337424 B1 KR102337424 B1 KR 102337424B1 KR 1020210033653 A KR1020210033653 A KR 1020210033653A KR 20210033653 A KR20210033653 A KR 20210033653A KR 102337424 B1 KR102337424 B1 KR 10233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ssel
pressure
water
medical wast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송
임재황
Original Assignee
지오그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그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오그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75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medical waste
    • B09B3/009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의료 폐기물의 부피를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멸균처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 기관에 설치하여 멸균 처리를 통해 의료 폐기물을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는 상면에 투입도어(11)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배출도어(12)가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면 하부에 수평으로 수평연결부(21)가 형성되는 압력용기(2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단망(30)과, 상기 차단망(30)의 상부로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파쇄부(4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전기가열기(5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마이크로파발생기(6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7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있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감압시키면서 물을 회수하는 감압응축부(80)와, 상기 파쇄부(4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TREATING MEDICAL WASTE}
본 발명은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의료 폐기물의 부피를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멸균처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 기관에 설치하여 멸균 처리를 통해 의료 폐기물을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폐기물은 의학적 폐기물과 수의학적 폐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최근 전세계적인 전염병 등의 발생으로 의료 폐기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의료 폐기물은 감염성이 있다는 것이 가장 위험한데, 이 감염성 폐기물들의 범주로는 감염성 매개체와 이와 관련된 생물학적 매개체의 배양물과 원액, 병원성 폐기물, 사람혈액과 혈액부산물, 주사바늘, 동물의 배설물, 심각한 전염환자의 치료시 사용된 장갑과 다른 일회용 물질을 포함한 폐기물 등이 있다.
상기한 종류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병원의 의사와, 동물병원의 수의사, 그리고 의료 종사자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데, 첫째, 폐기물을 바로 소각하는 방법, 둘째, 쓰레기 매립지와 같은 곳에 폐기물을 스팀 압력 소독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의료 폐기물을 바로 소각할 경우에는 매우 높은 비율의 오염물질을 대기로 방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병원에서 방출되는 폐기물을 소각시에는 비소, 카드늄, 납과 같은 중금속뿐만 아니라, 디옥신과 퓨란, 에틸렌,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기화합물과, 매연, 바이러스, 병원균 등을 포함한 유독성 물질이 직접 대기로 방출되어 환경이 오염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쓰레기 매립지와 같은 곳에서 폐기물을 스팀 압력 소독한 후에 매립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스팀 압력 소독 장치가 대형화될 뿐만 비용과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급격히 증대된 폐기물의 양에 의해 매립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스팀의 고온은 급속히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키지만 박테리아는 바이러스보다 열에 강하여 더 오랜 기간 살아남을 수 있고, 열 살균에 저항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살균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병원이나 의원 등의 의료 기관에서는 의료 기관에 설치하여 의료 폐기물을 직접 멸균 처리하여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설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20-0141883호 "의료폐기물 처리장치"(2020.12.2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의료 폐기물의 부피를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멸균처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 기관에 설치하여 멸균 처리를 통해 의료 폐기물을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 입방체로 구비되고,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투입도어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배출도어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로 긴 관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투입도어의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도어의 내면에 외측단이 밀착되고 외측이 개구된 수평연결부가 전면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압력용기와; 상기 수평연결부의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압력용기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부로 액체를 통과시키면서 고형물을 차단하는 차단망과; 상기 압력용기의 중앙 부위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롤러와, 상기 파쇄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내측 상부에서 투입된 폐기물을 상기 파쇄롤러의 사이로 유도하는 유도판을 포함하는 파쇄부와; 상기 압력용기의 하면에 장착되고, 전기의 공급으로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하면에 충진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전기가열기와; 상기 압력용기에 설치되고, 전기의 공급으로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전기가열기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가열하고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키는 마이크로파발생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력용기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의 관로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상기 압력용기의 상단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기배출관과, 상기 증기배출관의 관로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와, 상기 물탱크의 상단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감압공을 포함하고,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로 감압시키면서 증기를 응축시켜 물로 회수하는 감압응축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파쇄부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고, 사용 이력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상기 투입도어는, 상기 압력용기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투입도어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노출홈과, 상기 제1 노출홈에 의해 노출된 상기 압력용기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투입도어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고무패드와, 상기 투입도어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투입도어의 전면 중앙에 장착되고 외면에 제1 해제버튼이 구비되고 하단에 제1 잠금턱이 돌출되는 제1 잠금해제부와, 상기 제1 잠금턱이 끼워지면서 록킹되거나 상기 제1 해제버튼의 조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수평연결부의 외측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도어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 노출홈과, 상기 제2 노출홈에 의해 노출된 상기 수평연결부의 외측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출도어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 고무패드와, 상기 배출도어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 손잡이와, 상기 배출도어의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외면에 제2 해제버튼이 구비되고 내측에 제2 잠금턱이 돌출되는 제2 잠금해제부와, 상기 제2 잠금턱이 끼워지면서 록킹되거나 상기 제2 해제버튼의 조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2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는, 상기 압력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압력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하면에 충진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수위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상기 차단망은, 수직 단면을 볼 때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차단망의 내측에 구비되고, 모터 구동되면서 상기 차단망에 적재된 파쇄물을 상기 수평연결부를 통해 상기 배출도어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쇄부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상기 압력용기는, 그 하단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압력용기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공급관의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로 강제로 공급할 수 있는 물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압응축부는, 상기 증기배출관의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기와, 상기 증기배출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관을 통해 이동되는 증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의료 폐기물의 부피를 최대한 감소시키면서 멸균처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의료 기관에 설치하여 멸균 처리를 통해 의료 폐기물을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킬 수 있어 의료 폐기물의 처리가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도어 개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는 상면에 투입도어(11)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배출도어(12)가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면 하부에 수평으로 수평연결부(21)가 형성되는 압력용기(2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단망(30)과, 상기 차단망(30)의 상부로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파쇄부(4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는 전기가열기(5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마이크로파발생기(6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7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있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감압시키면서 물을 회수하는 감압응축부(80)와, 상기 파쇄부(4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 입방체로 구비되고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투입도어(11)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배출도어(12)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압력용기(2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입도어(11)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개방하여 의료 폐기물을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투입도어(11)는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투입도어(11)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노출홈(111)과, 상기 제1 노출홈(111)에 의해 노출된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투입도어(11)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고무패드(112)와, 상기 투입도어(11)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 손잡이(113)와, 상기 투입도어(11)의 전면 중앙에 장착되고 외면에 제1 해제버튼(114a)이 구비되고 하단에 제1 잠금턱(114b)이 돌출되는 제1 잠금해제부(114)와, 상기 제1 잠금턱(114b)이 끼워지면서 록킹되거나 상기 제1 해제버튼(114a)의 조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록킹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노출홈(111)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고무패드(112)는 상기 제1 노출홈(111)에 의해 노출된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에 긴밀히 밀착되어 고온 고압 상태에서도 상기 투입도어(11)와 압력용기(20) 사이에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손잡이(11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상기 투입도어(1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잠금해제부(114)는 상기 제1 록킹부(115)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도어(11)를 상기 본체(10)에 닫거나 상기 제1 록킹부(115)에서 분리되어 상기 투입도어(11)를 상기 본체(10)에서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해제버튼(114a)은 사용자가 눌러서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잠금턱(114b)이 상기 제1 록킹부(11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잠금턱(114b)을 움직여 상기 제1 록킹부(115)에 의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잠금턱(114b)은 상기 제1 록킹부(115)에 끼워지면서 자동으로 록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록킹부(115)는 상기 제1 잠금턱(114b)이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투입도어(11)가 견고히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록킹부(115)는 상기 제1 잠금턱(114b)의 끼워짐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지는 기계식 잠금장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잠금턱(114b)을 고정하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자식 잠금장치일 수 있다.
상기 배출도어(1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부를 개방하여 멸균 처리되고 부피가 감소되어 일반 폐기물로 전환된 의료 폐기물이 상기 압력용기(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배출도어(12)는 상기 수평연결부(21)의 외측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도어(12)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 노출홈(121)과, 상기 제2 노출홈(121)에 의해 노출된 상기 수평연결부(21)의 외측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출도어(12)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 고무패드(122)와, 상기 배출도어(12)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 손잡이(123)와, 상기 배출도어(12)의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외면에 제2 해제버튼(124a)이 구비되고 내측에 제2 잠금턱(124b)이 돌출되는 제2 잠금해제부(124)와, 상기 제2 잠금턱(124b)이 끼워지면서 록킹되거나 상기 제2 해제버튼(124a)의 조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2 록킹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노출홈(121)은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 상기 수평연결부(21)의 외측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고무패드(122)는 상기 제2 노출홈(121)에 의해 노출된 상기 수평연결부(21)의 외측단에 긴밀히 밀착되어 고온 고압 상태에서도 상기 배출도어(12)와 수평연결부(21) 사이에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손잡이(1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상기 배출도어(1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잠금해제부(124)는 상기 제2 록킹부(125)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도어(12)를 상기 본체(10)에 닫거나 상기 제2 록킹부(125)에서 분리되어 상기 배출도어(12)를 상기 본체(10)에서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해제버튼(124a)은 사용자가 눌러서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잠금턱(124b)이 상기 제2 록킹부(12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잠금턱(124b)을 움직여 상기 제2 록킹부(125)에 의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잠금턱(124b)은 상기 제2 록킹부(125)에 끼워지면서 자동으로 록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록킹부(125)는 상기 제2 잠금턱(124b)이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배출도어(12)가 견고히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록킹부(125)는 상기 제2 잠금턱(124b)의 끼워짐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지는 기계식 잠금장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잠금턱(124b)을 고정하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자식 잠금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압력용기(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긴 관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투입도어(11)의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도어(12)의 내면에 외측단이 밀착되고 외측이 개구된 수평연결부(21)가 전면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의료 폐기물을 수용한 상태로 고온 고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금속재 용기이다.
이와 같은 상기 압력용기(20)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고 폐쇄된 하부에는 물이 수용되며, 상기 수평연결부(21)를 통해 멸균 처리된 의료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압력용기(20)는 그 하단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압력용기(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관(22)과, 상기 배수관(2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22)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충진된 물이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개폐밸브(23)는 상기 배수관(2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망(30)은 상기 수평연결부(21)의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파쇄부(40)에 의해 의료 폐기물이 파쇄되면서 의료 폐기물에 함유된 액체를 하부로 통과시키면서 파쇄되어 형성된 의료 폐기물의 고형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망(30)을 통과한 액체는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 하부에 채워진 물과 혼합되고, 상기 차단망(30)에 의해 걸러진 고형물은 멸균 처리된 후에 상기 수평연결부(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차단망(30)은 금속재 메시망과 필터를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망(30)은 수직 단면을 볼 때 반원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기 이송스크루(130)를 통해 멸균 처리된 고형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쇄부(40)는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부에서 투입된 의료 폐기물을 미세한 고형물로 파쇄하여 그 부피를 감소시키면서 의료 폐기물이 고온 고압의 멸균 환경에 적절히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파쇄부(40)는 상기 압력용기(20)의 중앙 부위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롤러(41)와, 상기 파쇄롤러(41)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42)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유도판(43)을 포함한다.
상기 파쇄부(40)는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모터구동부(42)에 구동시키면 한 쌍의 상기 파쇄롤러(41)가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의료 폐기물을 통과시키면서 파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판(43)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 상부에서 투입된 폐기물을 상기 파쇄롤러(41)의 사이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가열기(50)는 상기 압력용기(20)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전기의 공급으로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면에 충진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파발생기(60)는 상기 압력용기(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의 공급으로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전기가열기(50)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가열하고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파발생기(60)는 마그네트론으로써,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를 고온 고압 상태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의료 폐기물의 멸균이 적절하면서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물공급부(7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71)와, 상기 물탱크(7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력용기(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71)의 물을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72)과, 상기 물공급관(72)의 관로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73)를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부(70)는 상기 제1 개폐밸브(73)를 개방하여 상기 물공급관(72)을 통해 상기 물탱크(7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 하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물공급부(70)는 상기 물공급관(72)의 관로에 설치되는 물펌프(74)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물펌프(74)는 상기 물탱크(71)의 물을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강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감압응축부(80)는 의료 폐기물의 멸균 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있는 고온 고압 상태의 증기를 상기 물탱크(71)에 저장된 물로 감압시키면서 응축시켜 물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감압응축부(8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71)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기배출관(81)과, 상기 증기배출관(81)의 관로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82)와, 상기 물탱크(71)의 상단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감압공(83)을 포함한다.
상기 감압응축부(80)는 상기 제2 개폐밸브(82)가 개방되면서 상기 증기배출관(81)을 통해 고온 고압의 증기가 상기 압력용기(20)에서 배출되어 상기 물탱크(71)의 내부로 유도되고, 이렇게 유도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물에 의해 1차적으로 감압되면서 온도가 하강되어 응축되면서 물로 변환되어 회수되며, 물을 통과한 압축 공기는 상기 감압공(8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전한 감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감압응축부(80)는 상기 증기배출관(81)의 관로에 설치되는 압력조정기(84)와, 상기 증기배출관(81)을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기(8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정기(84)는 에어 레귤레이터로써, 상기 증기배출관(81)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일정한 압력을 조정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압력조정기(84)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낮춰서 천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온 고압 상태의 증기의 급격한 배출에 의한 기기의 손상이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기(85)는 상기 증기배출관(81)을 통해 이동되는 증기에 냉기를 공급하여 증기의 응축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냉각기(85)는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사이클을 통해 냉각을 일으키는 기계냉각장치일 수 있고, 열전 소자에 의해 냉각을 일으키는 전자냉각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냉각기(85)는 상기 물탱크(71)의 내부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71) 자체 또는 이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여 상기 물탱크(71)로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파쇄부(4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고 사용 이력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처리 장치는 상기 압력용기(20)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에 연결되는 온도센서(100)와, 상기 압력용기(20)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에 연결되는 압력센서(11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에 연결되는 수위감지기(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100)는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90)에 전송하여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110)는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90)에 전송하여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위감지기(120)는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면에 충진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90)에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에 의한 상기 물공급부(70)의 제어로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채워진 물의 수위가 설정된 값에 맞춰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처리 장치는 상기 차단망(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모터 구동되는 이송스크루(130)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와 연결되는 터치스크린(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스크루(130)는 모터 구동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차단망(30)에 적재된 파쇄물을 상기 수평연결부(21)를 통해 상기 배출도어(12)로 이송시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쇄부(4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정 상태 또는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처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잠금해제부(114)를 통해 상기 제1 록킹부(115)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손잡이(113)를 잡고서 상기 투입도어(11)를 들어 올려 상기 압력용기(20)를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 상기 투입도어(11)를 열어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의료 폐기물을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압력용기(20)로 의료 폐기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도어(11)를 닫고 상기 압력용기(20)를 밀폐시킨 상태로 상기 터치스크린(140)을 조작하여 본 처리 장치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모터구동부(42)를 구동시켜 상기 파쇄롤러(41)를 회전시키고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상기 유도판(43)에 의해 상기 파쇄롤러(41)의 사이로 유도된 의료 폐기물은 상기 파쇄롤러(41)를 통과하면서 작은 고형물로 파쇄된다. 이때, 파쇄된 고형물은 상기 차단망(30)에 걸려 적층되고 의료 폐기물에 함유된 액체는 상기 압력용기(20)를 따라 낙하하면서 차단망(30)을 통과하여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면에 채워진 물에 혼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폐기물의 파쇄가 완료된 후에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파쇄롤러(4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전기가열기(50)와 마이크로파발생기(60)를 구동시킨다. 상기 전기가열기(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있는 물과 액체가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때 의료 폐기물에서 배출된 액체에 혼합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1차적으로 처리된다.
상기 전기가열기(50)에 의해 발생된 증기는 자연 대류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차단망(30)에 적재된 고형물을 통과하여 고형물을 1차적으로 살균한다. 상기 전기가열기(50)에 의해 발생된 증기는 계속하여 상기 압력용기(20)와 수평연결부(21)의 내부에 완전히 채워지게 되고, 이때 상기 마이크로파발생기(60)에 의해 조사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증기가 재차 가열되면서 고온 고압 상태가 되면서 액체와 고형물을 2차적으로 완전히 멸균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멸균 처리 상태에서의 온도는 섭씨 120도 이상(최대 150도 내지 200도)일 수 있고, 압력은 1기압 이상(최대 2기압 내지 3기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00)와 압력센서(110)는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온도와 압력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러(90)는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전기가열기(50)와 마이크로파발생기(6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설정된 온도와 압력으로 25분 이상(최대 40분 내지 60분) 유지하여 의료 폐기물을 완전히 멸균시킨다.
이때, 상기 전기가열기(50)에 의한 가열에 의해 상기 압력용기(20)에 채워진 물이 감소되면 이를 상기 수위감지기(120)가 감지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러(90)는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개폐밸브(73)와 물펌프(74)를 제어하여 상기 물탱크(71)의 물을 상기 물공급관(72)을 통해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폐기물의 멸균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전기가열기(50)와 마이크로파발생기(6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각기(85)를 구동시킨 후에 상기 제2 개폐밸브(82)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2 개폐밸브(82)가 개방되면서 상기 압력용기(20)에 있는 고온 고압의 증기가 상기 증기배출관(81)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압력조정기(84)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천천히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증기배출관(81)을 통해 배출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상기 물탱크(71)의 내부에서 물에 배출되어 온도가 저하되면서 감압되고 상기 감압공(8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전히 감압된다. 아울러, 증기는 상기 냉각기(85)에 의해 응축되면서 상기 물탱크(71)에 저장된 물에 닿으면서 온도가 저하되어 응축되면서 물로 전환되어 회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 및 응축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상기 제2 손잡이(123)를 잡고서 상기 제2 잠금해제부(124)를 통해 상기 제2 록킹부(125)를 해제하여 상기 배출도어(12)를 열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러(90)를 통해 상기 이송스크루(130)를 구동시켜 상기 차단망(30)에 적층된 멸균 처리된 고형물을 상기 수평연결부(2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일반 폐기물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처리 장치는 의료 기관에 설치된 상태로 의료 폐기물을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켜 의료 폐기물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본체
11 : 투입도어
111 : 제1 노출홈 112 : 제1 고무패드
113 : 제1 손잡이 114 : 제1 잠금해제부
114a : 제1 해제버튼 114b : 제1 잠금턱
115 : 제1 록킹부
12 : 배출도어
121 : 제2 노출홈 122 : 제2 고무패드
123 : 제2 손잡이 124 : 제2 잠금해제부
124a : 제2 해제버튼 124b : 제2 잠금턱
125 : 제2 록킹부
20 : 압력용기
21 : 수평연결부 22 : 배수관
23 : 개폐밸브
30 : 차단망
40 : 파쇄부
41 : 파쇄롤러 42 : 모터구동부
43 : 유도판
50 : 전기가열기
60 : 마이크로파발생기
70 : 물공급부
71 : 물탱크 72 : 물공급관
73 : 제1 개폐밸브 74 : 물펌프
80 : 감압응축부
81 : 증기배출관 82 : 제2 개폐밸브
83 : 감압공 84 : 압력조정기
85 : 냉각기
90 : 컨트롤러
100 : 온도센서
110 : 압력센서
120 : 수위감지기
130 : 이송스크루
140 : 터치스크린

Claims (5)

  1. 내부가 중공된 사각 입방체로 구비되고,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투입도어(11)가 설치되며, 전면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배출도어(12)가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긴 관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투입도어(11)의 하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도어(12)의 내면에 외측단이 밀착되고 외측이 개구된 수평연결부(21)가 전면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압력용기(20)와;
    상기 수평연결부(21)의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부로 액체를 통과시키면서 고형물을 차단하는 차단망(30)과;
    상기 압력용기(20)의 중앙 부위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롤러(41)와, 상기 파쇄롤러(41)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42)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용기(20)의 내측 상부에서 투입된 폐기물을 상기 파쇄롤러(41)의 사이로 유도하는 유도판(43)을 포함하는 파쇄부(4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하면에 장착되고, 전기의 공급으로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면에 충진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전기가열기(50)와;
    상기 압력용기(20)에 설치되고, 전기의 공급으로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상기 전기가열기(50)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가열하고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키는 마이크로파발생기(6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71)와, 상기 물탱크(7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력용기(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71)의 물을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72)과, 상기 물공급관(72)의 관로에 설치되는 제1 개폐밸브(73)를 포함하는 물공급부(7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71)의 내부에 구비되는 증기배출관(81)과, 상기 증기배출관(81)의 관로에 설치되는 제2 개폐밸브(82)와, 상기 물탱크(71)의 상단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감압공(83)을 포함하고,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상기 물탱크(71)에 저장된 물로 감압시키면서 증기를 응축시켜 물로 회수하는 감압응축부(8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파쇄부(4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고, 사용 이력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컨트롤러(90)와;
    상기 압력용기(20)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90)에 전송하는 온도센서(100)와;
    상기 압력용기(20)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90)에 전송하는 압력센서(110)와;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 하면에 충진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90)에 전송하는 수위감지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도어(11)는,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투입도어(11)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노출홈(111)과,
    상기 제1 노출홈(111)에 의해 노출된 상기 압력용기(20)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투입도어(11)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고무패드(112)와,
    상기 투입도어(11)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 손잡이(113)와,
    상기 투입도어(11)의 전면 중앙에 장착되고 외면에 제1 해제버튼(114a)이 구비되고 하단에 제1 잠금턱(114b)이 돌출되는 제1 잠금해제부(114)와,
    상기 제1 잠금턱(114b)이 끼워지면서 록킹되거나 상기 제1 해제버튼(114a)의 조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록킹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도어(12)는,
    상기 수평연결부(21)의 외측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도어(12)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 노출홈(121)과,
    상기 제2 노출홈(121)에 의해 노출된 상기 수평연결부(21)의 외측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출도어(12)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 고무패드(122)와,
    상기 배출도어(12)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 손잡이(123)와,
    상기 배출도어(12)의 상단 중앙에 장착되고 외면에 제2 해제버튼(124a)이 구비되고 내측에 제2 잠금턱(124b)이 돌출되는 제2 잠금해제부(124)와,
    상기 제2 잠금턱(124b)이 끼워지면서 록킹되거나 상기 제2 해제버튼(124a)의 조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2 록킹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30)은,
    수직 단면을 볼 때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차단망(30)의 내측에 구비되고, 모터 구동되면서 상기 차단망(30)에 적재된 파쇄물을 상기 수평연결부(21)를 통해 상기 배출도어(12)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130)와;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9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쇄부(4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20)는,
    그 하단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압력용기(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관(22)과,
    상기 배수관(22)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70)는,
    상기 물공급관(72)의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71)의 물을 상기 압력용기(20)의 내부로 강제로 공급할 수 있는 물펌프(74)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압응축부(80)는,
    상기 증기배출관(81)의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관(81)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기(84)와,
    상기 증기배출관(81)을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배출관(81)을 통해 이동되는 증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기(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KR1020210033653A 2021-03-15 2021-03-15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KR10233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653A KR102337424B1 (ko) 2021-03-15 2021-03-15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653A KR102337424B1 (ko) 2021-03-15 2021-03-15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424B1 true KR102337424B1 (ko) 2021-12-09

Family

ID=7886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653A KR102337424B1 (ko) 2021-03-15 2021-03-15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6682A (ja) * 2002-02-05 2005-06-09 エコノス エス.アール.エル. 医療廃棄物の殺菌装置
KR101926259B1 (ko) * 2017-05-30 2018-12-06 주식회사 엠투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처리방법
KR20200141883A (ko)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상운테크 의료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6682A (ja) * 2002-02-05 2005-06-09 エコノス エス.アール.エル. 医療廃棄物の殺菌装置
KR101926259B1 (ko) * 2017-05-30 2018-12-06 주식회사 엠투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처리방법
KR20200141883A (ko)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상운테크 의료폐기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az et al. Alternatives for the treatment and disposal of healthcare wastes in developing countries
KR102126463B1 (ko) 스팀과 고주파를 이용한 의료폐기물 처리장치
US5124125A (en) Method for processing infectious waste using microwaves
EP0522145B1 (en) Process for the disposal of medical waste
US5223231A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by microwave autoclaving
JPH11503068A (ja) 廃棄物処理のシステムとプロセス
KR101293675B1 (ko)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장치
WO2008010854A1 (en) Infectious wast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03547295A (zh) 用于医疗废物灭菌的高压釜和其操作方法
US6262405B1 (en) Medical waste treatment and decontamination system
EP3429642B1 (en) Biomedical waste treatment assembly and method
KR102337424B1 (ko) 의료 폐기물 멸균 처리 장치
RU152576U1 (ru) Аппарат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дезинфекции и деструкции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WO2011075129A1 (en) Treatment of healthcare facility waste
WO2012003507A1 (en) Waste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waste handling capabilities
KR101198618B1 (ko) 병원성 폐기물 처리함
WO1995014496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of waste treatment
RU2221592C2 (ru) Способ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нфицированных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TW53162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edical and common disposals with heat
KR20220010847A (ko) 의료용 폐기물 분쇄 멸균장치
RU179774U1 (ru) Аппарат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дезинфекции и деструкции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JP2003250878A (ja) オムツ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H0460668B2 (ko)
Mereuta Medical waste processing in the Republic of Moldova
RU2664365C1 (ru) Аппарат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дезинфекции и деструкции медицинских 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