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987B1 -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987B1
KR102336987B1 KR1020197038837A KR20197038837A KR102336987B1 KR 102336987 B1 KR102336987 B1 KR 102336987B1 KR 1020197038837 A KR1020197038837 A KR 1020197038837A KR 20197038837 A KR20197038837 A KR 20197038837A KR 102336987 B1 KR102336987 B1 KR 102336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ts
information
subpicture
pic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637A (ko
Inventor
오현묵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5Motion estimation with spatial constraints, e.g. at image or region b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장치에 따라 수행되는 360도 영상 인코딩 방법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two-dimensional space) 픽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2D 픽처 내에서 서브픽처 구성을 위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서브픽처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VR(Vertial Reality)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전자적으로 투영된 환경 내에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제공한다. VR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더 고화질의 이미지들과, 공간적인 음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더 개선될 수 있다. VR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터랙티브하게 VR 컨텐츠들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VR 시스템을 위하여 3차원(3D) 상에서의 360도 비디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360도 비디오는 2차원(2D) 픽처로 프로젝션되어 다양한 방법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에 관한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및 전달을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VR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VR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360도 비디오의 서브픽처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360도 비디오의 처리를 위한 영역 재정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인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two-dimensional space) 픽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2D 픽처 내에서 서브픽처 구성을 위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픽처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인코딩을 수행하는 인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인코딩 장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two-dimensional space) 픽처를 획득하고, 상기 2D 픽처 내에서 서브픽처 구성을 위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고,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고, 및 상기 서브픽처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되,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서브픽처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CTS들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 픽처 내에서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코딩 장치는 서브픽처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고, 및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되, 상기 MCTS들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 픽처 내에서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2D(two-dimensional space) 픽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2D 픽처 내에서 서브픽처 구성을 위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서브픽처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영상 정보에 대하여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서브픽처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서브픽처를 처리하여 3D 공간으로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MCTS들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 픽처 내에서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영역 기반 처리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높이고,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인터랙티브 경험(interactive experience)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2D 픽처 상에서의 MCTS들을 재정렬하여 서브 픽처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의 전반적인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인코더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디코더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계층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영역 기반 독립적 프로세싱의 일 예인 MCTS 추출 및 전달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영역 기반 독립적 프로세싱 지원을 위한 이미지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영역 기반 독립적 프로세싱 지원을 위한 비트스트림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트랙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실린더 공간(sylinder surface)에서 양 끝의 영역을 추출하여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5는 재정렬된 MCTS들을 포함하는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큐브맵 프로젝션 스킴이 적용된 2D 픽처의 영역들을 추출하여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7는 재정렬된 MCTS들을 포함하는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MCTS가 재배치되어 출력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도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도면상의 각 구성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각 구성들이 서로 별개의 하드웨어나 별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각 구성 중 두 개 이상의 구성이 합쳐져 하나의 구성을 이룰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이 복수의 구성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각 구성이 통합 및/또는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기 위하여, 360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VR이란 실제 또는 가상의 환경을 복제(replicates) 하기 위한 기술 내지는 그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VR은 인공적으로 사용자에게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적으로 프로젝션된 환경에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360 컨텐츠는 VR을 구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전반을 의미하며, 360 비디오 및/또는 360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360 비디오는 VR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동시에 모든 방향(360도)으로 캡처되거나 재생되는 비디오 내지 이미지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360 비디오는 360도 비디오 또는 전방향(omnidirectional) 비디오로 불릴 수 있다. 360 비디오는 3D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3D 공간 상에 나타내어지는 비디오 내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60 비디오는 구형면(Spherical surface)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360 오디오 역시 VR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컨텐츠로서, 음향 발생지가 3차원의 특정 공간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는, 공간적(Spatial) 오디오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360 오디오는 360도 오디오로 불릴 수 있다. 360 컨텐츠는 생성, 처리되어 사용자들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360 컨텐츠를 이용하여 VR 경험을 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360도 비디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360도 비디오를 제공하기 위하여, 먼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360도 비디오가 캡처될 수 있다. 캡처된 360도 비디오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전송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원래의 360도 비디오로 가공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360도 비디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의 과정은 캡처 과정(process), 준비 과정, 전송 과정, 프로세싱 과정, 렌더링 과정 및/또는 피드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캡처 과정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개의 시점 각각에 대한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캡처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캡처 과정에 의해 도시된 도 1의 (110)과 같은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 1의 (110)의 각 평면은 각 시점에 대한 이미지/비디오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캡처된 복수개의 이미지/비디오를 로(raw) 데이터라 할 수도 있다. 캡처 과정에서 캡처와 관련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 캡처를 위하여 VR 을 위한 특수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로 생성된 가상의 공간에 대한 360도 비디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실제 카메라를 통한 캡처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순히 관련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해당 캡처 과정이 갈음될 수 있다.
준비 과정은 캡처된 이미지/비디오 및 캡처 과정에서 발생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일 수 있다.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는 이 준비 과정에서, 스티칭 과정, 프로젝션 과정,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 및/또는 인코딩 과정 등을 거칠 수 있다.
먼저 각각의 이미지/비디오가 스티칭(Stitching)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스티칭 과정은 각각의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비디오 또는 구형의 이미지/비디오를 만드는 과정일 수 있다.
이 후, 스티칭된 이미지/비디오는 프로젝션(Projection)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프로젝션 과정에서, 스티칭된 이미지/비디오는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이 2D 이미지는 문맥에 따라 2D 이미지 프레임으로 불릴 수도 있다. 2D 이미지로 프로젝션하는 것을 2D 이미지로 맵핑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프로젝션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는 도시된 도 1의 (120)과 같은 2D 이미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코딩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하여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을 거칠 수 있다. 리전별 패킹이란,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Region) 별로 나누어 처리를 가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리전(Region)이란,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프로젝션된 2D 이미지가 나누어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리전들은, 실시예에 따라, 2D 이미지를 균등하게 나누어 구분되거나, 임의로 나누어져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리전들은, 프로젝션 스킴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리전별 패킹 과정은 선택적(optional) 과정으로써, 준비 과정에서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처리 과정은, 비디오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리전을 회전한다거나 2D 이미지 상에서 재배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전들을 회전하여 리전들의 특정 변들이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코딩 시의 효율이 높아지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처리 과정은, 360도 비디오상의 영역별로 레졸루션(resolution)을 차등화하기 위하여, 특정 리전에 대한 레졸루션을 높인다거나, 낮추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 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영역에 해당하는 리전들은, 다른 리전들보다 레졸루션을 높게할 수 있다.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리전별 패킹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코덱을 통한 인코딩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준비 과정은 부가적으로 에디팅(editing) 과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에디팅 과정에서 프로젝션 전후의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에 대한 편집 등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준비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티칭/프로젝션/인코딩/에디팅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들의 초기 시점, 혹은 ROI (Region of Interest) 등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전송 과정은 준비 과정을 거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일 수 있다. 전송을 위해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를 마친 데이터들은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은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수신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수신측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과정은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프로젝션되어 있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3D 모델 상에 리-프로젝션(Re-projection) 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2D 이미지들 상에 프로젝션되어 있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으로 리-프로젝션될 수 있다. 이 과정을 문맥에 따라 맵핑, 프로젝션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 때 맵핑되는 3D 공간은 3D 모델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D 모델에는 구형(Sphere), 큐브(Cube), 실린더(Cylinder) 또는 피라미드(Pyramid) 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과정은 부가적으로 에디팅(editing) 과정, 업 스케일링(up scaling) 과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에디팅 과정에서 리-프로젝션 전후의 이미지/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편집 등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축소되어 있는 경우 업 스케일링 과정에서 샘플들의 업 스케일링을 통해 그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다운 스케일링을 통해 사이즈를 축소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렌더링 과정은 3D 공간상에 리-프로젝션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표현에 따라 리-프로젝션과 렌더링을 합쳐 3D 모델 상에 렌더링한다 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3D 모델 상에 리-프로젝션된 (또는 3D 모델 상으로 렌더링된) 이미지/비디오는 도시된 도 1의 (130)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도 1의 (130)은 구형(Sphere) 의 3D 모델에 리-프로젝션된 경우이다. 사용자는 VR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비디오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게되는 영역은 도시된 도 1의 (140)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피드백 과정은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피드백 정보들을 송신측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피드백 과정을 통해 360도 비디오 소비에 있어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과정에서 헤드 오리엔테이션(Head Orientation) 정보,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뷰포트(Viewport) 정보 등이 송신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VR 환경 상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그 상호작용과 관련된 정보가 피드백 과정에서 송신측 내지 서비스 프로바이더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과정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 각도,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현재 360도 비디오 내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 즉 뷰포트 정보가 계산될 수 있다.
뷰포트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이즈 분석(Gaze Analysis) 이 수행되어, 사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360도 비디오를 소비하는지, 360도 비디오의 어느 영역을 얼마나 응시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게이즈 분석은 수신측에서 수행되어 송신측으로 피드백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VR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방향, 장치가 지원하는 수직(vertical) 혹은 수평(horizontal) FOV(Field Of View) 정보 등에 근거하여 뷰포트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피드백 정보는 송신측으로 전달되는 것 뿐아니라, 수신측에서 소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의 디코딩, 리-프로젝션, 렌더링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및/또는 뷰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360도 비디오만 우선적으로 디코딩 및 렌더링될 수도 있다.
여기서 뷰포트(viewport) 내지 뷰포트 영역이란,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시점(viewpoint) 는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지점으로서, 뷰포트 영역의 정중앙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뷰포트는 시점을 중심으로 한 영역인데, 그 영역이 차지하는 크기 형태 등은 후술할 FOV(Field Of View)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 내에서, 캡처/프로젝션/인코딩/전송/디코딩/리-프로젝션/렌더링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을 360도 비디오 데이터라 부를 수 있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라는 용어는 또한 이러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 내지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쓰일 수도 있다.
상술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하여, 정형화된 미디어 파일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파일은 ISO BMFF (ISO base media file format)를 기반으로 한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box)는 미디어 데이터 또는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된 메타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 내지 오브젝트일 수 있다. 박스들은 서로 계층적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들이 분류되어 미디어 파일이 대용량 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에 적합한 형태를 띄게 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파일은,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의 특정지점으로 이동하는 등, 미디어 정보에 접근하는데 있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ftyp 박스, moov 박스 및/또는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ftyp 박스(파일 타입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파일 타입 또는 호환성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typ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구성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기는 ftyp 박스를 참조하여 해당 미디어 파일을 구분할 수 있다.
moov 박스(무비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박스일 수 있다. moov 박스는 모든 메타 데이터들을 위한 컨테이너 역할을 할 수 있다. moov 박스는 메타 데이터 관련 박스들 중 최상위 계층의 박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moov 박스는 미디어 파일 내에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mdat 박스(미디어 데이터 박스) 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실제 미디어 데이터들을 담는 박스일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들은 오디오 샘플 및/또는 비디오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mdat 박스는 이러한 미디어 샘플들을 담는 컨테이너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moov 박스는 mvhd 박스, trak 박스 및/또는 mvex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mvhd 박스(무비 헤더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포함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mvhd 박스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미디어 생성시간, 변경시간, 시간규격,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k 박스(트랙 박스)는 해당 미디어 데이터의 트랙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오디오 트랙 또는 비디오 트랙에 대한 스트림 관련 정보, 프리젠테이션 관련 정보, 액세스 관련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트랙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실시예에 따라 tkhd 박스(트랙 헤더 박스)를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khd 박스는 trak 박스가 나타내는 해당 트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khd 박스는 해당 트랙의 생성시간, 변경시간, 트랙 식별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vex 박스(무비 익스텐드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후술할 moof 박스가 있을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특정 트랙의 모든 미디어 샘플들을 알기 위해서, moof 박스들이 스캔되어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로 나뉘어질 수 있다(200). 이를 통해 미디어 파일이 분할되어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들(mdat 박스)은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프래그먼트는 moof 박스와 나뉘어진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래그먼트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ftyp 박스 및/또는 moov 박스의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moof 박스(무비 프래그먼트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moof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의 메타데이터 관련 박스들 중 최상위 계층의 박스일 수 있다.
mdat 박스(미디어 데이터 박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mdat 박스는 각각의 해당 프래그먼트에 해당하는 미디어 데이터들의 미디어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moof 박스는 mfhd 박스 및/또는 traf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mfhd 박스(무비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는 분할된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들 간의 연관성과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mfhd 박스는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포함하여, 해당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가 분할된 몇 번째 데이터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fhd 박스를 이용하여 분할된 데이터 중 누락된 것은 없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traf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에 포함되는 분할된 트랙 프래그먼트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 내의 미디어 샘플들이 복호화/재생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트랙 프래그먼트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traf 박스는 tfhd 박스 및/또는 trun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fhd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의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fhd 박스는 전술한 traf 박스가 나타내는 트랙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샘플들에 대하여, 기본적인 샘플크기, 기간, 오프셋, 식별자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run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런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un 박스는 미디어 샘플별 기간, 크기, 재생시점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미디어 파일 내지 미디어 파일의 프래그먼트들은 세그먼트들로 처리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세그먼트에는 초기화 세그먼트(initialization segment) 및/또는 미디어 세그먼트(media segment) 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210)의 파일은, 미디어 데이터는 제외하고 미디어 디코더의 초기화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이 파일은 예를 들어 전술한 초기화 세그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초기화 세그먼트는 전술한 ftyp 박스 및/또는 moov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220)의 파일은, 전술한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이 파일은 예를 들어 전술한 미디어 세그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미디어 세그먼트는 전술한 moof 박스 및/또는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세그먼트는 styp 박스 및/또는 sidx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typ 박스(세그먼트 타입 박스) 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typ 박스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에 대해, 전술한 ftyp 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typ 박스는 ftyp 박스와 동일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sidx 박스(세그먼트 인덱스 박스) 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분할된 프래그먼트가 몇번째 프래그먼트인지가 지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230) ssix 박스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ssix 박스(서브 세그먼트 인덱스 박스)는 세그먼트가 서브 세그먼트로 더 나뉘어지는 경우에 있어, 그 서브 세그먼트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내의 박스들은, 도시된 실시예(250)와 같은 박스 내지 풀 박스(FullBox) 형태를 기반으로, 더 확장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size 필드, largesize 필드는 해당 박스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version 필드는 해당 박스 포맷의 버전을 나타낼 수 있다. Type 필드는 해당 박스의 타입 내지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flags 필드는 해당 박스와 관련된 플래그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360도 비디오에 대한 필드(속성)들은 DASH 기반 적응형(Adaptive) 스트리밍 모델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의 전반적인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400)에 따른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은, HTTP 서버와 DASH 클라이언트 간의 동작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는, HTTP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스트리밍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V 컨텐츠 재생이 끊김없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DASH 클라이언트는 MPD를 획득할 수 있다. MPD는 HTTP 서버 등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MPD에 기술된 세그먼트에의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 해당 세그먼트들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요청은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하여 수행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해당 세그먼트를 획득한 후, 이를 미디어 엔진에서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재생 시간 및/또는 네트워크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필요한 세그먼트를 요청, 획득할 수 있다(Adaptive Streaming). 이를 통해 컨텐츠가 끊김없이 재생될 수 있다.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는 DASH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세그먼트를 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로서 XML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 컨트롤러(DASH Client Controller)는 네트워크 상황을 반영하여 MPD 및/또는 세그먼트를 요청하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는 획득된 정보를 미디어 엔진 등등의 내부 블록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MPD 파서(Parser)는 획득한 MPD 를 실시간으로 파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DASH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필요한 세그먼트를 획득할 수 있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세그먼트 파서(Parser)는 획득한 세그먼트를 실시간으로 파싱할 수 있다. 세그먼트에 포함된 정보들에 따라 미디어 엔진 등의 내부 블록들은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HTTP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MPD 및/또는 세그먼트 등을 HTTP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HTTP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획득한 MPD 및/또는 세그먼트들을 MPD 파서 또는 세그먼트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미디어 엔진(Media Engine) 은 세그먼트에 포함된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MPD의 정보들이 활용될 수 있다.
DASH 데이터 모델은 계층적 구조(410)를 가질 수 있다.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MPD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MPD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를 만드는 복수개의 구간(Period)들의 시간적인 시퀀스를 기술할 수 있다. 구간(Period)은 미디어 컨텐츠의 한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한 구간에서, 데이터들은 어댑테이션 셋들에 포함될 수 있다. 어댑테이션 셋은 서로 교환될 수 있는 복수개의 미디어 컨텐츠 컴포넌트들의 집합일 수 있다. 어댑테이션은 레프리젠테이션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미디어 컨텐츠 컴포넌트에 해당할 수 있다. 한 레프리젠테이션 내에서, 컨텐츠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들로 시간적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접근성과 전달(delivery)를 위함일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에 접근하기 위해서 각 세그먼트의 URL이 제공될 수 있다.
MPD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고, 피리오드(period) 엘레멘트, 어댑테이션 셋 엘레멘트, 레프리젠테이션 엘레멘트는 각각 해당 피리오드, 어댑테이션 셋,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서브 레프리젠테이션들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서브 레프리젠테이션 엘레멘트는 해당 서브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Common) 속성/엘레멘트들이 정의될 수 있는데, 이 들은 어댑테이션 셋, 레프리젠테이션, 서브 레프리젠테이션 등에 적용될 수 (포함될 수) 있다. 공통 속성/엘레멘트 중에는 에센셜 프로퍼티(EssentialProperty) 및/또는 서플먼탈 프로퍼티(SupplementalProperty)가 있을 수 있다.
에센셜 프로퍼티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서플먼탈 프로퍼티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될 수도 있는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술할 디스크립터들은, MPD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에센셜 프로퍼티 및/또는 서플먼탈 프로퍼티 내에 정의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전술한 준비 과정 내지 전송 과정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데이터 입력부, 스티처(Stitcher), 프로젝션 처리부, 리전별 패킹 처리부(도시되지 않음), 메타데이터 처리부,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전송 처리부 및/또는 전송부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캡처된 각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들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는 캡처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입력된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을 스티처로 전달하고, 캡처 과정의 메타데이터를 시그널링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처는 캡처된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에 대한 스티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스티처는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젝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처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스티칭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스티처는 스티칭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칭 과정의 메타데이터에는 스티칭이 수행되었는지 여부, 스티칭 타입 등의 정보들이 있을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다양한 스킴(scheme)에 따라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각 시점별 360도 비디오 데이터의 해당 뎁스(depth)를 고려하여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프로젝션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프로젝션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의 메타데이터에는 프로젝션 스킴의 종류 등이 있을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는 전술한 리전별 패킹(region-wise packing)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를 리전별로 나누고, 각 리전들을 회전, 재배열하거나, 각 리전의 레졸루션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전별 패킹 과정은 선택적(optional) 과정이며, 리전별 패킹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생략될 수 있다. 프로젝션된 픽처에 대한 리전별 패킹 과정 후의 결과는 팩드 픽처(packed picture)라고 불릴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절차가 생략되는 경우 프로젝션된 픽처와 팩드 픽처는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리전별 패킹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리전별 패킹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리전별 패킹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의 메타데이터에는 각 리전의 회전 정도, 사이즈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스티처, 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캡처 과정, 스티칭 과정, 프로젝션 과정, 리전별 패킹 과정, 인코딩 과정, 인캡슐레이션 과정 및/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이러한 메타데이터들을 이용하여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시그널링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할 수도 있다. 시그널링 문맥에 따라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시그널링 정보라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획득하거나 생성한 메타데이터들을 필요에 따라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내부 엘레멘트들에 전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수신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및/또는 전송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리전별 패킹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다양한 포맷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파일 등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것일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해당 데이터들을 ISOBMFF, CFF 등의 파일 포맷으로 인캡슐레이션하거나, 기타 DASH 세그먼트 등의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실시예에 따라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파일 포맷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360 관련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ISOBMFF 파일 포맷 상의 다양한 레벨의 박스(box)에 포함되거나 파일 내에서 별도의 트랙내의 데이터로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 자체를 파일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파일 포맷에 따라 인캡슐레이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에는 방송망을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송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이 것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도 있다.
전송부는 전송 처리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는 방송망을 통한 전송을 위한 엘레멘트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송을 위한 엘레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는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하기 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형태는 ISOBMFF 등의 파일 형태일 수 있다. 실시간으로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저장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온 디맨드, NRT(Non Real Time), 브로드밴드 등을 통해 전달하는 경우에는 인캡슐레이션된 360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에 일정 기간 저장되었다가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피드백 정보를 스티처, 프로젝션 처리부, 리전별 패킹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메타데이터 처리부 및/또는 전송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정보는 메타데이터 처리부에 일단 전달된 후, 다시 각 내부 엘레멘트들로 전달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를 전달받은 내부 엘레먼트들은 이 후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피드백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각 리전을 회전하여 2D 이미지 상에 맵핑할 수 있다. 이 때 각 리전들은 서로 다른 방향,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2D 이미지 상에 맵핑될 수 있다. 리전의 회전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구형의 면 상에서 프로젝션 전에 인접했던 부분, 스티칭된 부분 등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리전의 회전에 관한 정보들, 즉 회전 방향, 각도 등은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인코더는 각 리전 별로 다르게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특정 리전은 높은 퀄리티로, 다른 리전은 낮은 퀄리티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데이터 인코더로 전달하여, 데이터 인코더가 리전별 차등화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뷰포트 정보를 데이터 인코더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뷰포트 정보가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리전들에 대해 다른 리전들보다 더 높은 퀄리티(UHD 등)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 처리부는 각 리전 별로 다르게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리전 별로 다른 전송 파라미터(모듈레이션 오더, 코드 레이트 등)를 적용하여, 각 리전 별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강건성(robustenss)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하여, 전송 처리부가 리전별 차등화된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뷰포트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해당 뷰포트 정보가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리전들에 대해 다른 리전들보다 더 높은 강건성을 가지도록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엘레멘트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변경, 생략되거나 다른 엘레멘트로 대체 또는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가 엘레멘트들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전술한 프로세싱 과정 및/또는 렌더링 과정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부, 수신 처리부,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메타데이터 파서,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그널링 파서는 메타데이터 파서라고 불릴 수 있다.
수신부는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가 전송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되는 채널에 따라 수신부는 방송망을 통하여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 처리부는 수신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송측에서 전송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 것에 대응되도록, 수신 처리부는 전술한 전송 처리부의 역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처리부는 획득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로 전달하고, 획득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처리부가 획득하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시그널링 테이블의 형태일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수신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파일 형태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디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ISOBMFF 등에 따른 파일들을 디캡슐레이션하여, 360도 비디오 데이터 내지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디코더로, 획득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가 획득하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파일 포맷 내의 박스 혹은 트랙 형태일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디캡슐레이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데이터 디코더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디코더는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디코딩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데이터 디코딩 과정에서 획득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파서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에 대한 파싱/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파서는 획득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로 전달할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디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리-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3D 공간으로 리-프로젝션할 수 있다. 3D 공간은 사용되는 3D 모델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리-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사용되는 3D 모델의 타입 및 그 세부 정보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리-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3D 공간 상의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만을 3D 공간으로 리-프로젝션할 수도 있다.
렌더러는 리-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상에 렌더링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는데, 이처럼 두 과정이 한번에 일어나는 경우 리-프로젝션 처리부와 렌더러는 통합되어, 렌더러에서 이 과정들이 모두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렌더러는 사용자의 시점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보고 있는 부분만을 렌더링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VR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렌더링된 360도 비디오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VR 디스플레이는 360도 비디오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tethered), 별도의 장치로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un-tethered).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렌더러, 리-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및/또는 VR 디스플레이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뷰포트 정보,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게이즈(Gaz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정보는 송신측으로 전달되는 것뿐 아니라, 수신측에서 소비될 수도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획득한 피드백 정보를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내부 엘레멘트들로 전달하여, 렌더링 등의 과정에 반영되게 할 수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피드백 정보를 렌더러, 리-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및/또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러는 피드백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또한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등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 내지 보게 될 영역을 우선적으로 디캡슐레이션, 디코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엘레멘트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변경, 생략되거나 다른 엘레멘트로 대체,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가 엘레멘트들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인코더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인코더는 예를 들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에 따른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스킴을 포함한 다양한 인코딩 스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인코더(700)는 픽처 분할부(705), 예측부(710), 레지듀얼 처리부(720), 엔트로피 인코딩부(730), 가산부(740), 필터부(750) 및 메모리(76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듀얼 처리부(720)는 감산부(721), 변환부(722), 양자화부(723), 재정렬부(724), 역양자화부(725) 및 역변환부(726)을 포함할 수 있다.
픽처 분할부(705)는 입력된 영상(input image)를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processing unit)으로 분할할 수 있다. 유닛(unit)은 영상 처리의 기본 단위를 나타낸다. 유닛은 픽처의 특정 영역 및 해당 영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은 경우에 따라서 블록(block) 또는 영역(area)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MxN 블록은 M개의 열과 N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샘플들 또는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들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처리 유닛은 코딩 유닛(coding unit, CU)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 경우 코딩 유닛은 최대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 LCU)으로부터 QTBT (Quad-tree binary-tree) 구조에 따라 재귀적으로(recursively)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코딩 유닛은 쿼드 트리 구조 및/또는 바이너리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하위(deeper) 뎁스의 복수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쿼드 트리 구조가 먼저 적용되고 바이너리 트리 구조가 나중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바이너리 트리 구조가 먼저 적용될 수도 있다.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최종 코딩 유닛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딩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특성에 따른 코딩 효율 등을 기반으로, 최대 코딩 유닛이 바로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코딩 유닛은 재귀적으로(recursively) 보다 하위 뎁스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되어 최적의 사이즈의 코딩 유닛이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코딩 절차라 함은 후술하는 예측, 변환, 및 복원 등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처리 유닛은 코딩 유닛(coding unit, CU)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PU) 또는 변환 유닛(transform unit, TU)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딩 유닛은 최대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 LCU)으로부터 쿼드 트리 구조를 따라서 하위(deeper) 뎁스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split)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특성에 따른 코딩 효율 등을 기반으로, 최대 코딩 유닛이 바로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코딩 유닛은 재귀적으로(recursively) 보다 하위 뎁스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되어 최적의 사이즈의 코딩 유닛이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소 코딩 유닛(smallest coding unit, SCU)이 설정된 경우 코딩 유닛은 최소 코딩 유닛보다 더 작은 코딩 유닛으로 분할될 수 없다. 여기서 최종 코딩 유닛이라 함은 예측 유닛 또는 변환 유닛으로 파티셔닝 또는 분할되는 기반이 되는 코딩 유닛을 의미한다. 예측 유닛은 코딩 유닛으로부터 파티셔닝(partitioning)되는 유닛으로서, 샘플 예측의 유닛일 수 있다. 이 때, 예측 유닛은 서브 블록(sub block)으로 나뉠 수도 있다. 변환 유닛은 코딩 유닛으로부터 쿼드 트리 구조를 따라서 분할 될 수 있으며, 변환 계수를 유도하는 유닛 및/또는 변환 계수로부터 레지듀얼 신호(residual signal)를 유도하는 유닛일 수 있다. 이하, 코딩 유닛은 코딩 블록(coding block, CB), 예측 유닛은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 PB), 변환 유닛은 변환 블록(transform block, TB) 으로 불릴 수 있다. 예측 블록 또는 예측 유닛은 픽처 내에서 블록 형태의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예측 샘플의 어레이(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환 블록 또는 변환 유닛은 픽처 내에서 블록 형태의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변환 계수 또는 레지듀얼 샘플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부(710)는 처리 대상 블록(이하, 현재 블록이라 함)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포함하는 예측된 블록(predi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부(710)에서 수행되는 예측의 단위는 코딩 블록일 수 있고, 변환 블록일 수도 있고, 예측 블록일 수도 있다.
예측부(710)는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예측부(710)는 CU 단위로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의 경우에, 예측부(710)는 현재 블록이 속하는 픽처(이하, 현재 픽처) 내의 현재 블록 외부의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부(710)는 (i) 현재 블록의 주변(neighboring) 참조 샘플들의 평균(average) 혹은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을 기반으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고, (ii)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 중 예측 샘플에 대하여 특정 (예측) 방향에 존재하는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도 있다. (i)의 경우는 비방향성 모드 또는 비각도 모드, (ii)의 경우는 방향성(directional) 모드 또는 각도(angular) 모드라고 불릴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 예측 모드는 예를 들어 33개 이상의 방향성 예측 모드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비방향성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비방향성 모드는 DC 예측 모드 및 플래너 모드(Plana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부(710)는 주변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에, 예측부(710)는 참조 픽처 상에서 움직임 벡터에 의해 특정되는 샘플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다. 예측부(710)는 스킵(skip) 모드, 머지(merge) 모드, 및 MVP(motion vector prediction)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다. 스킵 모드와 머지 모드의 경우에, 예측부(710)는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현재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스킵 모드의 경우, 머지 모드와 달리 예측 샘플과 원본 샘플 사이의 차(레지듀얼)가 전송되지 않는다. MVP 모드의 경우,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벡터 예측자(Motion Vector Predictor)로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예측자로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유도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에, 주변 블록은 현재 픽처 내에 존재하는 공간적 주변 블록(spatial neighboring block)과 참조 픽처(reference picture)에 존재하는 시간적 주변 블록(temporal neighboring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는 동일 위치 픽처(collocated picture, colPic)라고 불릴 수도 있다. 움직임 정보(motion information)는 움직임 벡터와 참조 픽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모드 정보와 움직임 정보 등의 정보는 (엔트로피) 인코딩되어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스킵 모드와 머지 모드에서 시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에, 참조 픽처 리스트(reference picture list) 상의 최상위 픽처가 참조 픽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참조 픽처 리스트(Picture Order Count)에 포함되는 참조 픽처들은 현재 픽처와 해당 참조 픽처 간의 POC(Picture order count) 차이 기반으로 정렬될 수 있다. POC는 픽처의 디스플레이 순서에 대응하며, 코딩 순서와 구분될 수 있다.
감산부(721)는 원본 샘플과 예측 샘플 간의 차이인 레지듀얼 샘플을 생성한다. 스킵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지듀얼 샘플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변환부(722)는 변환 블록 단위로 레지듀얼 샘플을 변환하여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생성한다. 변환부(722)는 해당 변환 블록의 사이즈와, 해당 변환 블록과 공간적으로 겹치는 코딩 블록 또는 예측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에 따라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변환 블록과 겹치는 상기 코딩 블록 또는 상기 예측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었고, 상기 변환 블록이 4×4의 레지듀얼 어레이(array)라면, 레지듀얼 샘플은 DST(Discrete Sine Transform) 변환 커널을 이용하여 변환되고, 그 외의 경우라면 레지듀얼 샘플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변환 커널을 이용하여 변환할 수 있다.
양자화부(723)는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재정렬부(724)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재정렬한다. 재정렬부(724)는 계수들 스캐닝(scanning) 방법을 통해 블록 형태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1차원 벡터 형태로 재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재정렬부(724)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재정렬부(724)는 양자화부(723)의 일부일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73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대한 엔트로피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은 예를 들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등과 같은 인코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73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외 비디오 복원에 필요한 정보들(예컨대 신택스 요소(syntax element)의 값 등)을 함께 또는 별도로 인코딩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된 정보들은 비트스트림 형태로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 단위로 전송 또는 저장될 수 있다.
역양자화부(725)는 양자화부(723)에서 양자화된 값(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하고, 역변환부(726)는 역양자화부(725)에서 역양자화된 값들을 역변환하여 레지듀얼 샘플을 생성한다.
가산부(740)는 레지듀얼 샘플과 예측 샘플을 합쳐서 픽처를 복원한다. 레지듀얼 샘플과 예측 샘플은 블록 단위로 더해져서 복원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산부(740)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산부(740)는 예측부(710)의 일부일 수 있다. 한편, 가산부(740)는 복원부 또는 복원 블록 생성부로 불릴 수도 있다.
복원된 픽처(reconstructed picture)에 대하여 필터부(750)는 디블록킹 필터 및/또는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을 적용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 및/또는 샘플 적응적 오프셋을 통해, 복원 픽처 내 블록 경계의 아티팩트나 양자화 과정에서의 왜곡이 보정될 수 있다. 샘플 적응적 오프셋은 샘플 단위로 적용될 수 있으며, 디블록킹 필터링의 과정이 완료된 후 적용될 수 있다. 필터부(750)는 ALF(Adaptive Loop Filter)를 복원된 픽처에 적용할 수도 있다. ALF는 디블록킹 필터 및/또는 샘플 적응적 오프셋이 적용된 후의 복원된 픽처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760)는 복원 픽처(디코딩된 픽처) 또는 인코딩/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픽처는 상기 필터부(750)에 의하여 필터링 절차가 완료된 복원 픽처일 수 있다. 상기 저장된 복원 픽처는 다른 픽처의 (인터) 예측을 위한 참조 픽처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760)는 인터 예측에 사용되는 (참조) 픽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인터 예측에 사용되는 픽처들은 참조 픽처 세트(reference picture set) 혹은 참조 픽처 리스트(reference picture list)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디코더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디코더(8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810), 레지듀얼 처리부(820), 예측부(830), 가산부(840), 필터부(850) 및 메모리(8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지듀얼 처리부(820)는 재정렬부(821), 역양자화부(822), 역변환부(823)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면, 비디오 디코딩 장치는(800)는 비디오 인코딩 장치에서 비디오 정보가 처리된 프로세스에 대응하여 비디오를 복원할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디코딩 장치(800)는 비디오 인코딩 장치에서 적용된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비디오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디코딩의 처리 유닛 블록은 일 예로 코딩 유닛일 수 있고, 다른 예로 코딩 유닛, 예측 유닛 또는 변환 유닛일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최대 코딩 유닛으로부터 쿼드 트리 구조 및/또는 바이너리 트리 구조를 따라서 분할될 수 있다.
예측 유닛 및 변환 유닛이 경우에 따라 더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측 블록은 코딩 유닛으로부터 도출 또는 파티셔닝되는 블록으로서, 샘플 예측의 유닛일 수 있다. 이 때, 예측 유닛은 서브 블록으로 나뉠 수도 있다. 변환 유닛은 코딩 유닛으로부터 쿼드 트리 구조를 따라서 분할 될 수 있으며, 변환 계수를 유도하는 유닛 또는 변환 계수로부터 레지듀얼 신호를 유도하는 유닛일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810)는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비디오 복원 또는 픽처 복원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엔트로피 디코딩부(810)는 지수 골롬 부호화, CAVLC 또는 CABAC 등의 코딩 방법을 기초로 비트스트림 내 정보를 디코딩하고, 비디오 복원에 필요한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 레지듀얼에 관한 변환 계수의 양자화된 값 들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CABAC 엔트로피 디코딩 방법은, 비트스트림에서 각 구문 요소에 해당하는 빈을 수신하고, 디코딩 대상 구문 요소 정보와 주변 및 디코딩 대상 블록의 디코딩 정보 혹은 이전 단계에서 디코딩된 심볼/빈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context)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문맥 모델에 따라 빈(bin)의 발생 확률을 예측하여 빈의 산술 디코딩(arithmetic decoding)를 수행하여 각 구문 요소의 값에 해당하는 심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CABAC 엔트로피 디코딩 방법은 문맥 모델 결정 후 다음 심볼/빈의 문맥 모델을 위해 디코딩된 심볼/빈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810)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예측에 관한 정보는 예측부(830)로 제공되고, 엔트로피 디코딩부(810)에서 엔트로피 디코딩이 수행된 레지듀얼 값, 즉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재정렬부(821)로 입력될 수 있다.
재정렬부(821)는 양자화되어 있는 변환 계수들을 2차원의 블록 형태로 재정렬할 수 있다. 재정렬부(821)는 인코딩 장치에서 수행된 계수 스캐닝에 대응하여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재정렬부(821)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재정렬부(821)는 역양자화부(822)의 일부일 수 있다.
역양자화부(822)는 양자화되어 있는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역양자화하여 변환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양자화 파라미터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는 인코딩 장치로부터 시그널링될 수 있다.
역변환부(823)는 변환 계수들을 역변환하여 레지듀얼 샘플들을 유도할 수 있다.
예측부(830)는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포함하는 예측된 블록(predi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부(830)에서 수행되는 예측의 단위는 코딩 블록일 수도 있고, 변환 블록일 수도 있고, 예측 블록일 수도 있다.
예측부(830)는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인트라 예측을 적용할 것인지 인터 예측을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 중 어느 것을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위와 예측 샘플을 생성하는 단위는 상이할 수 있다. 아울러, 인터 예측과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예측 샘플을 생성하는 단위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 예측과 인트라 예측 중 어느 것을 적용할 것인지는 CU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인터 예측에 있어서 PU 단위로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예측 샘플을 생성할 수 있고,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PU 단위로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TU 단위로 예측 샘플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의 경우에, 예측부(830)는 현재 픽처 내의 주변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다. 예측부(830)는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방향성 모드 또는 비방향성 모드를 적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할 예측 모드가 결정될 수도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에, 예측부(830)는 참조 픽처 상에서 움직임 벡터에 의해 참조 픽처 상에서 특정되는 샘플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다. 예측부(830)는 스킵(skip) 모드, 머지(merge) 모드 및 MVP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인코딩 장치에서 제공된 현재 블록의 인터 예측에 필요한 움직임 정보, 예컨대 움직임 벡터, 참조 픽처 인덱스 등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 또는 유도될 수 있다
스킵 모드와 머지 모드의 경우에,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현재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주변 블록은 공간적 주변 블록과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부(830)는 가용한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머지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머지 인덱스가 머지 후보 리스트 상에서 지시하는 정보를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수 있다. 머지 인덱스는 인코딩 장치로부터 시그널링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와 참조 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킵 모드와 머지 모드에서 시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에, 참조 픽처 리스트 상의 최상위 픽처가 참조 픽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스킵 모드의 경우, 머지 모드와 달리 예측 샘플과 원본 샘플 사이의 차이(레지듀얼)이 전송되지 않는다.
MVP 모드의 경우,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벡터 예측자(motion vector predictor)로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유도될 수 있다. 이 때, 주변 블록은 공간적 주변 블록과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복원된 공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또는 시간적 주변 블록인 Col 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머지 후보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머지 모드에서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서 선택된 후보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로 사용된다.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는 상기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블록들 중에서 선택된 최적의 움직임 벡터를 갖는 후보 블록을 지시하는 머지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부(830)는 상기 머지 인덱스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MVP(Motion Vector Prediction)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복원된 공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또는 시간적 주변 블록인 Col 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 예측자 후보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복원된 공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또는 시간적 주변 블록인 Col 블록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는 움직임 벡터 후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 후보 중에서 선택된 최적의 움직임 벡터를 지시하는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부(830)는 상기 움직임 벡터 인덱스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 후보 중에서, 현재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의 예측부는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 움직임 벡터 예측자 간의 움직임 벡터 차분(MVD)을 구할 수 있고, 이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MVD는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에서 상기 움직임 벡터 예측자를 뺀 값으로 구해질 수 있다. 이 때, 예측부(830)는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 벡터 차분을 획득하고, 상기 움직임 벡터 차분과 상기 움직임 벡터 예측자의 가산을 통해 현재 블록의 상기 움직임 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예측부는 또한 참조 픽처를 지시하는 참조 픽처 인덱스 등을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로부터 획득 또는 유도할 수 있다.
가산부(840)는 레지듀얼 샘플과 예측 샘플을 더하여 현재 블록 혹은 현재 픽처를 복원할 수 있다. 가산부(840)는 레지듀얼 샘플과 예측 샘플을 블록 단위로 더하여 현재 픽처를 복원할 수도 있다. 스킵 모드가 적용된 경우에는 레지듀얼이 전송되지 않으므로, 예측 샘플이 복원 샘플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가산부(840)를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산부(840)는 예측부(830)의 일부일 수도 있다. 한편, 가산부(840)는 복원부 또는 복원 블록 생성부로 불릴 수도 있다.
필터부(850)는 복원된 픽처에 디블록킹 필터링 샘플 적응적 오프셋, 및/또는 ALF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샘플 적응적 오프셋은 샘플 단위로 적용될 수 있으며, 디블록킹 필터링 이후 적용될 수도 있다. ALF는 디블록킹 필터링 및/또는 샘플 적응적 오프셋 이후 적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860)는 복원 픽처(디코딩된 픽처) 또는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픽처는 상기 필터부(850)에 의하여 필터링 절차가 완료된 복원 픽처일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860)는 인터 예측에 사용되는 픽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인터 예측에 사용되는 픽처들은 참조 픽처 세트 혹은 참조 픽처 리스트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다. 복원된 픽처는 다른 픽처에 대한 참조 픽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60)는 복원된 픽처를 출력 순서에 따라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9는 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계층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코딩된 데이터는 비디오/이미지의 코딩 처리 및 그 자체를 다루는 VCL(video coding layer)과 코딩된 비디오/이미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하위 시스템과의 사이에 있는 NAL(Network abstraction layer)로 구분될 수 있다.
NAL의 기본 단위인 NAL 유닛은 코딩된 영상을 소정의 규격에 따른 파일 포맷,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TS(Transport Strea) 등과 같은 하위 시스템의 비트열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VCL은 시퀀스와 픽처 등의 헤더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세트(픽처 파라미터 세트(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PS) 등) 및 비디오/이미지의 코딩 과정에, 디스플레이 등의 관련 절차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메시지는 비디오/이미지에 대한 정보(슬라이스 데이터)와 분리되어 있다. 비디오/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VCL은 슬라이스 데이터와 슬라이스 헤더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NAL 유닛은 NAL 유닛 헤더와 VCL에서 생성된 RBSP(Raw Byte Sequence Payload)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NAL 유닛 헤더에는 해당 NAL 유닛의 타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NAL 유닛은 VCL에서 생성된 RBSP에 따라 VCL NAL 유닛과 non-VCL NAL 유닛으로 구분된다. VCL NAL 유닛은 비디오/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NAL 유닛을 의미하고, non-VCL NAL 유닛은 비디오/이미지를 코딩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파라미터 세트 또는 SEI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NAL 유닛을 나타낸다. VCL NAL 유닛은 해당 NAL 유닛이 포함하는 픽처의 성질 및 종류 등에 따라 여러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은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및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를 전송/수신하는 방법은, 각각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수신 장치 또는 그 장치의 실시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수신 장치, 전송/수신 방법의 각각의 실시예 및 그 내/외부 엘리멘트 각각의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 처리부의 실시예들과, 데이터 인코더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그 경우의 수만큼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실시예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렇게 조합된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시점 기반 효율적 프로세싱을 위하여 영역 기반 독립적 프로세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의 특정 영역을 추출 및/또는 처리하여 독립적인 비트스트림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영역 추출 및/또는 처리를 위한 파일포맷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출된 영역의 원 좌표 정보를 시그널링하여 수신단에서의 효율적인 영상 영역 디코딩 및 렌더링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입력 영상의 독립적 프로세싱이 지원되는 영역은 MCTS(motion constraint tile se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적 프로세싱을 지원하기 위하여 MCTS 영역 내로 움직임 추정/움직임 보상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인코딩/디코딩 과정에서 특정 MCTS 내의 블록들에 대한 인터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특정 MCTS 내의 블록들은 움직임 추정/움직임 보상을 위하여 참조 픽처의 대응 MCTS만을 참조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CTS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일은 2차원 픽처의 코딩 트리 블록(CTB)들로 구성된 사각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일은 픽처 내에서 특정 타일 행 및 타일 열을 기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인터 예측에 있어서,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도출함에 있어서 고려되는 공간적 주변 블록들은 상기 대상 블록과 동일한 타일에 포함되는 경우에 가용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은 다수의 MCTS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상기 MCTS 영역들을 예를 들어 i) 동일한 해상도, 다른 퀄리티 및 비트레이트를 기반으로 인코딩될 수 있고, ii) 다른 해상도를 기반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도 10은 영역 기반 독립적 프로세싱의 일 예인 MCTS 추출 및 전달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송 장치는 입력 영상을 인코딩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은 상술한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 또는 팩드 픽처(packed picture)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송 장치는 입력 영상을 예를 들어 일반 HEVC 인코딩 절차에 따라 인코딩할 수 있다(1-1). 이 경우 입력 영상은 인코딩되어 하나의 HEVC 비트스트림(HEVC bs)으로 출력될 수 있다(1-1-a).
다른 예로, 입력 영상은 영역 기반 독립적 인코딩(HEVC MCTS 인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1-2). 이를 통하여 복수의 영역들에 대한 MCTS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다(1-2-b). 또는 MCTS 스트림에서 일부 영역을 추출하여 하나의 HEVC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1-2-a). 이 경우 일부 영역의 디코딩 및 복원을 위한 온전한 정보가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되며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한 하나의 비트스트림을 기반으로 상기 일부 영역을 온전하게 복원할 수 있다. MCTS 스트림은 MCTS (서브)비트스트림이라고 불릴 수 있다.
전송 장치는 (1-1-a) 또는 (1-2-a)에 따른 인코딩된 HEVC 비트스트림을 저장 및 전송을 위한 파일 내 하나의 트랙으로 인캡슐레이션하고(2-1), 수신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2-1-a). 이 경우 해당 트랙은 예를 들어, hvcX, hevX 등의 식별자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한편, 전송 장치는 (1-2-b)에 따른 인코딩된 MCTS 스트림을 저장 및 전송을 위한 파일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2-2). 일 예로, 전송 장치는 독립적 프로세싱을 위한 MCTS들을 개별 트랙으로 인캡슐레이션하여 전달할 수 있다(2-2-b). 이 때 전체 MCTS 스트림의 프로세싱을 위한 베이스 트랙(base track) 또는 일부 MCTS 영역을 추출하여 프로세싱하기 위한 익스트랙터 트랙(extractor track) 등의 정보가 파일에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별 트랙은 예를 들어, hvcX, hevX 등의 식별자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송 장치는 익스트랙터 트랙을 이용하여 하나의 MCTS 영역에 대한 트랙을 포함하는 파일을 인캡슐레이션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2-2-a). 즉, 전송 장치는 하나의 MCTS에 해당하는 트랙만 추출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트랙은 예를 들어, hvt1 등의 식별자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수신 장치는 (2-1-a) 또는 (2-2-a)에 따른 파일을 수신하여, 디캡슐레이션 절차를 수행하고(4-1), HEVC 비트스트림을 도출할 수 있다(4-1-a). 이 경우 수신 장치는 수신된 파일 내 하나의 트랙을 디캡슐레이션하여 하나의 비트스트림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수신 장치는 (2-2-b)에 따른 파일을 수신하여, 디캡슐레이션 절차를 수행하고(4-2), MCTS 스트림 또는 하나의 HEVC 비트스트림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 장치는 파일 내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MCTS들의 트랙들과 베이스 트랙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전체 MCTS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다(4-2-b). 다른 예로, 수신 장치는 파일 내 익스트랙터 트랙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MCTS 트랙을 추출한 후 디캡슐레이션하여 하나의 (HEVC)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4-2-a).
수신 장치는 (4-1-a) 또는 (4-2-a)에 따른 하나의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5-1). 여기서, (4-2-a)에 따른 하나의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경우 출력 영상의 일부 MCTS 영역에 대한 출력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수신 장치는 (4-2-b)에 따른 MCTS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5-2).
도 11은 영역 기반 독립적 프로세싱 지원을 위한 이미지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입력 영상은 좌, 우 두개의 MCTS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술한 1-2 내지 5-2 절차를 통해 인코딩/디코딩되는 이미지 프레임의 형상은 도 11의 (A) 내지 (D)와 같거나 그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1에서 (A)는 1, 2 영역이 모두 존재하며, 개별 영역 독립/병렬 프로세싱이 가능한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다. (B)는 1 영역만 존재하며, 절반의 가로 해상도를 갖는 독립된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다. (C)는 2 영역만 존재하며, 절반의 가로 해상도를 갖는 독립된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다. (D)는 1, 2 영역이 모두 존재하며, 개별 영역 독립/병렬 프로세싱 지원 없이 프로세싱이 가능한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프레임 도출을 위한 1-2-b와 4-2-b의 비트스트림 구성은 다음과 같거나 그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2는 영역 기반 독립적 프로세싱 지원을 위한 비트스트림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VSP는 VPS, SPS, 및 PPS를 나타내며, VSP1은 1번 영역에 대한 VSP, VSP2는 2번 영역에 대한 VSP, VSP12는 1번 및 2번 영역 둘 다에 대한 VSP를 나타낸다. 또한, VCL1은 1번 영역에 대한 VCL, VCL2는 2번 영역에 대한 VCL을 나타낸다.
도 12에서, (a)는 1, 2 모든 영역의 독립/병렬 프로세싱이 가능한 이미지 프레임들을 위한 Non-VCL NAL 유닛들(예를 들어, VPS NAL 유닛, SPS NAL 유닛, PPS NAL 유닛 등)을 나타낸다. (b)는 1 영역만 존재하며, 절반의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 프레임들을 위한 Non-VCL NAL 유닛들(예를 들어, VPS NAL 유닛, SPS NAL 유닛, PPS NAL 유닛 등)을 나타낸다. (c)는 2 영역만 존재하며, 절반의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 프레임들을 위한 Non-VCL NAL 유닛들(예를 들어, VPS NAL 유닛, SPS NAL 유닛, PPS NAL 유닛 등)을 나타낸다. (d)는 1, 2 영역 모두가 존재하며, 개별 영역 독립/병렬 프로세싱 지원 없이 프로세싱이 가능한 이미지 프레임들을 위한 Non-VCL NAL 유닛들(예를 들어, VPS NAL 유닛, SPS NAL 유닛, PPS NAL 유닛 등)을 나타낸다. (e)는 1 영역의 VCL NAL 유닛들을 나타낸다. (f)는 2 영역의 VCL NAL 유닛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레임 (A) 생성을 위하여는 (a), (e), (f)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 (B) 생성을 위하여는 (b), (e)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 (C) 생성을 위하여는 (c), (f)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 (D) 생성을 위하여는 (d), (e), (f)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픽처 상에서 특정 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는 (B), (C), (D)와 같은 이미지 프레임 등을 위한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는 선택된 영역의 원본 프레임에서의 위치 정보를 식별가능하게 할 수 있다.
2 영역만 선택된 경우와 같이(비트스트림이 (c), (f) NAL 유닛들 포함) 선택된 영역이 원본 이미지 프레임의 기준이 되는 좌상단 끝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slice segment header)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어드레스(slice segment address)를 비트스트림 추출과정에서 수정하는 등의 프로세스가 수반될 수도 잇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의 트랙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0에서 상술한 2-2-a 또는 4-2-a와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인캡슐레이션하거나 코딩하는 경우, 관련 파일 구성은 다음 경우들을 포함하거나 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1) 하나의 트랙(10)이 (b), (e)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경우,
(2) 하나의 트랙(20)이 (c), (f)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경우,
(3) 하나의 트랙(30)이 (d), (e), (f)의 NAL 유닛들을 포함하는 경우.
또한, 상기 관련 파일 구성은 다음과 같은 트랙들을 모두 포함하거나 일부 트랙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4) (a)를 포함하는 베이스 트랙(40)
(5) (d)를 포함하며 (e)와 (f)에 접근하기 위한 익스트랙터(ex. ext1, ext2)를 갖는 익스트랙터 트랙(50)
(6) (b)를 포함하며 (e)에 접근하기 위한 익스트랙터를 갖는 익스트랙터 트랙(60)
(7) (c)를 포함하며 (f)에 접근하기 위한 익스트랙터를 갖는 익스트랙터 트랙(70)
(8) (e)를 포함하는 타일 트랙(80)
(9) (f)를 포함하는 타일 트랙(90)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상술한 트랙들을 모두 구성할 수 있으며, 전송시에는 일부만 선택 및 조합해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서는 VSP 1&2 혹은 VSP12 과 VCL1, VCL2로 구성된 비트스트림 (즉, 전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비트스트림)을 받아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서 원하는(예를 들어 VR에서 시청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일부 영역(sub-picture)이 포함된 서브비트스트림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VSP1 과 VSP2는 SEI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비트스트림(서브비트스트림)은 표준 디코더에서 디코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서브픽처의 실제 영역에 대한 VCL NAL 유닛과 이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VSP가 있는 non-VCL NAL 유닛을 포함하여 해당 비트스트림(서브비트스트림)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track 2에 있는 VCL2와 track 3에 있는 VCL2는 동일한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나, 슬라이스 헤더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다ㅡㅕㄴ 원하는 영역에 대한 서브픽처에 관한 트랙 및 서브비트스트림의 원활한 추출 및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재정렬을 위하여 관련 정보를 구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영상은 인코딩 전에 서브픽처 시퀀스들로 분할(split)될 수 있으며, 각 서브픽처 시퀀스는 360도 비디오 컨텐츠의 공간적 에어리어(spatial area)의 서브셋(subset)을 커버할 수 있다. 각 서브픽처 시퀀스는 독립적으로 인코딩되어 단일 계층(single-layer) 비트스트림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각 서브픽처 비트스트림은 개별적 트랙(track) 기반으로 파일 내에 인캡슐레이션될 수 있고 스트리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는 전체 영역을 커버하는 트랙들을 디코딩 및 렌더링할 수 있고, 또는 오리엔테이션 및 뷰포트에 관한 메타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특정 서브픽처에 관련된 트랙을 선택하여 디코딩 및 렌더링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픽처는 하나 또는 다수의 MCT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픽처는 MCTS 세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MCTS 세트는 하나 또는 다수의 MCTS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서브픽처가 다수의 MCTS들을 포함하는 경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조절을 위하여 MCTS의 순서를 가리키는 MCTS 인덱스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의 데이터 디코더는 상기 MCTS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MCTS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MCTS 인덱스 정보는 idx_of_mcts_in_set[i][j][k]의 신텍스 요소 형태로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그 시멘틱스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idx_of_mcts_in_set[ i ][ j ][ k ] specifies the MCTS index of the k-th MCTS in the j-th MCTS set that is associated with the i-th extraction information set . The order index k represents the raster scan order of the k-th MCTSs in the j-th MCTS set where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output picture produced by the j-th MCTS set is provided by the associated activeSPS in the i-th extraction information set. The value of idx_of_mcts_in_set[ i ][ j ][ k ] shall be in the range of 0 to 511, inclusive.
즉, 상기 idx_of_mcts_in_set[i][j][k]의 신텍스 요소는 j-번 MCTS 세트 내의 k-번 MCTS의 MCTS 인덱스를 나타낸다. 상기 j-번 MCTS 세트는 i-번 추출 정보 세트(extraction information set)와 연관된 MCTS 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추출 정보 세트는 출력 픽처를 구성하기 위하여 추출되어야 하는 MCTS들을 포함하는 MCTS 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출력 픽처는 2D 픽처를 기반으로 도출된 상술한 서브 픽처에 대응될 수 있다. 추출 정보 세트는 상술한 SEI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EI 메시지는 추출 정보 세트 SEI 메시지 또는 MCTS 추출 정보 세트 SEI 메시지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j-번 MCTS 세트를 기반으로 특정 너비 및 높이의 출력 픽처(서브 픽처)가 도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순번 인덱스 k는 j-번 MCTS 세트 내에서 출력 픽처(서브 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raster scan order)로 k번째의 MCTS를 나타낸다.
한편, 출력 픽처는 각 MCTS에 대한 MCTS 서브-비트스트림을 추출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픽처는 mctsSetIdxTarget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되는 상기 MCTS 세트 내의 MCTS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픽처 상에서 상기 MCTS들의 정렬은 상술한 MCTS 인덱스 정보에 따른 레스터 스캔 순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 픽처 상에서 상기 MCTS들의 정렬은 idx_of_mcts_in_set[mctsSetIdxTarget][mctsEisIdTarget][k]의 인덱스 순서를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순서 인덱스 k는 출력 픽처 상에서 MCTS들의 래스터 스캔 순서를 나타낸다. 상기 출력 픽처의 너비 및 높이는 활성화된 SPS의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너비 정보 및 상기 높이 정보는 각각 pic_width_in_luma_samples 신텍스 요소 및 pic_height_in_luma_samples 신텍스 요소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된 SPS는 출력비트스트림(outBitstream)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출력비트스트림은 상기 출력 픽처에 대한 인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비트스트림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출력비트스트림은 상술한 서브픽처 비트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출력 픽처(서브 픽처)를 위하여 대체(replacement) PPS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비트스트림 내의 나머지 VCL NAL 유닛 각각에 대하여,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가 다음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내의 slice_pic_parameter_set_id의 값은 pps_pic_parameter_set_id의 값과 같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slice_pic_parameter_set_id는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에 포함되며, 해당 슬라이스 세그먼트와 연관된 PPS의 ID를 나타낸다. pps_pic_parameter_set_id는 상기 대체 PPS에 포함되고, 해당 대체 PPS의 ID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2D 픽처로 프로젝션된 경우, 상기 2D 픽처의 경계는 상기 2D 픽처의 다른 경계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출력 픽처(서브 픽처)는 2D 픽처 상에서 비록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3D 구형면 상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영역을 커버하는 MCT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적 연관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이 재정렬되어 상기 출력 픽처(서브 픽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순번 인덱스 k는 상기 재정렬되어 구성된 상기 출력 픽처(서브 픽처) 상에서의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른 순번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2D 픽처로 프로젝션된 경우, 출력 픽처(서브 픽처)는 2D 픽처 상에서 비록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3D 구형면 상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영역을 커버하는 MCT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적 연관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이 재정렬되어 상기 출력 픽처(서브 픽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순번 인덱스 k는 상기 재정렬되어 구성된 상기 출력 픽처(서브 픽처) 상에서의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른 순번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실린더 공간(sylinder surface)에서 양 끝의 영역을 추출하여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픽처는 실린더형 프로젝션 스킴이 적용된 2D 픽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2D 픽처의 영역 a, b, c, d는 결합하여 하나의 서브픽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역 a, c, 및 영역 b, d는 2D 픽처 상에서 비록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3D 구형면 상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영역 a, b, c, d를 결합하여 하나의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경우, 영상의 배열을 고려할 때 영역 b는 상기 서브픽처 상의 좌상단 영역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영역 c는 상기 서브픽처 상의 우하단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만약 j번 MCTS 세트가 상기 영역들에 대응하는 MCTS들을 포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MCTS 인덱스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idx_of_mcts_in_set[ i ][ j ][ 0 ] = index b,
idx_of_mcts_in_set[ i ][ j ][ 1 ] = index a,
idx_of_mcts_in_set[ i ][ j ][ 2 ] = index d,
idx_of_mcts_in_set[ i ][ j ][ 3 ] = index c
여기서, i번째 추출 정보 세트(extraction information set)에 포함된 활성화된(active) SPS에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의 값은 아래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pic_width_in_luma_samples = width_b + width_a,
pic_height_in_luma_samples = height_b + height_d
즉,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너비는 영역 b의 너비 및 영역 a의 너비의 합과 같고, 상기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높이는 영역 b의 높이 및 영역 d의 높이의 합과 같다.
수신 장치는 출력 비트스트림 영상을 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스 헤더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지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는 MCTS들을 b, a, d, c의 순서로 재정렬하되, pic_width_in_luma_samples에서 주어진 너비에 따라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MCTS를 배치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줄에 MCTS b 및 a를 배치하고, 두 번째 줄에 MCTS d 및 c를 배치하여 다음 도 15와 같이 출력 픽처(서브 픽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5는 재정렬된 MCTS들을 포함하는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수신 장치는 상기 MCTS들의 순서에 따라 슬라이스 헤더 내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지정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큐브맵 프로젝션 스킴이 적용된 2D 픽처의 영역들을 추출하여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2D 픽처의 영역 a, b, c, d, e, f는 결합하여 하나의 서브픽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역 a, b, c, d 및 영역 e, f는 2D 픽처 상에서 비록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3D 구형면 상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만약 j번 MCTS 세트가 상기 영역들에 대응하는 MCTS들을 포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MCTS 인덱스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idx_of_mcts_in_set[ i ][ j ][ 0 ] = index e,
idx_of_mcts_in_set[ i ][ j ][ 1 ] = index f,
idx_of_mcts_in_set[ i ][ j ][ 2 ] = index a,
idx_of_mcts_in_set[ i ][ j ][ 3 ] = index b
idx_of_mcts_in_set[ i ][ j ][ 4 ] = index c,
idx_of_mcts_in_set[ i ][ j ][ 5 ] = index d
여기서, i번째 추출 정보 세트(extraction information set)에 포함된 활성화된(active) SPS에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의 값은 아래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pic_width_in_luma_samples = width_e + width_f,
pic_height_in_luma_samples = height_e + height_a + height_c,
즉,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너비는 영역 e의 너비 및 영역 f의 너비의 합과 같고, 상기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높이는 영역 e의 높이, 영역 a의 높이 및 영역 c의 높이의 합과 같다.
수신 장치는 출력 비트스트림 영상을 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스 헤더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지정한다. 이 경우 수신 장치는 MCTS들을 e, f, a, b, c, d의 순서로 재정렬하되, pic_width_in_luma_samples에서 주어진 너비에 따라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MCTS를 배치한다. 이 경우 첫 번째 줄에 MCTS e 및 f를 배치하고, 두 번째 줄에 MCTS a 및 b를 배치하고, 세번째 줄에 MCTS c 및 d를 배치하여 다음 도 17과 같이 출력 픽처(서브 픽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은 재정렬된 MCTS들을 포함하는 출력 픽처(서브 픽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수신 장치는 상기 MCTS들의 순서에 따라 슬라이스 헤더 내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지정한다.
한편, MCTS 추출 정보 세트 SEI 메시지의 정보를 통해 일부 영상 부분을 커버하는 출력 픽처(서브픽처)에 대한 서브비트스트림을 추출할 때, 슬라이스 주소 대체(replacement)는 다음 표 2 또는 3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19135517062-pct00001
Figure 112019135517062-pct00002
여기서,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mctsSetIdxTarget ][ 0 ] 은 MCTS EIS SEI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MCTS를 지칭하는 값으로써 시간적(temporal) MCTS SEI 메시지의 mcts_id와 매칭되는 값이며, mctsEisIdTarget은 MCTS EIS SEI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information set (VPS, SPS, PPS) 중 목표가 되는 information set을 지칭하며, mctsSetIdxTarget는 동일 information set의 영향을 받는 MCTS 들의 세트들 중 특정 MCTS 세트을 지칭하며, 0은 특정 MCTS 세트 내에서 가장 첫 번째 MCTS를 지칭한다. 또한 top_left_tile_index[ i ][ 0 ] 는 mcts_id[ i ] =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 mctsSetIdxTarget ][ 0 ] 인 i번째 MCTS를 구성하는 타일들 중 좌상단의 가장 첫 번째 타일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것이며, num_tile_columns_minus1+1은 디코딩된 픽처에서 열(column)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in***는 입력 영상(즉, 전체 영상을 포함하는 2D 프로젝션 픽처 또는 2D 팩드 픽처 상에서의 관련 파라미터)를 나타내며, out***는 출력 영상(즉, 상기 입력 영상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MCTS를 포함하는 서브픽처) 상에서의 관련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6.5.1절은 미리 정의된 표준, 예를 들어, HEVC 표준문서의 6.5.1절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colWidth[j]는 j-번 타일 열(column)의 너비를 나타내며, 상기 너비는 CTB들 단위(in units of CTBs)에 기반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너비는 CTB들의 개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rowHeight[j]는 j-번 타일 행(row)의 높이를 나타내며, 상기 높이는 CTB들 단위(in units of CTBs)에 기반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높이는 CTB들의 개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MCTS 추출 정보 세트 SEI 메시지의 정보를 통해 일부 영상을 출력 픽처(서브픽처)로 추출할 때, 상기 표 2 또는 표 3에 따른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설정 하고 슬라이스의 순서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1.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 mctsSetIdxTarget ][ 0 ]인 MCTS에 대해서 출력 영상에서 좌상단에 놓일 MCTS 의 수평, 수직 방향의 오프셋 (colWidthOffsetInTiles, rowHeightOffsetInTiles) 을 구한다.
1) each_tile_one_tile_set_flag 가 0인 경우, mcts_id[i] =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 mctsSetIdxTarget ][ 0 ]인 i에 대해
colWidthOffsetInTiles = top_left_tile_index[ i ][ 0 ]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rowHeightOffsetInTiles = top_left_tile_index[ i ][ 0 ]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2) each_tile_one_tile_set_flag 가 1인 경우
colWidthOffsetInTiles =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 mctsSetIdxTarget ][ 0 ]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rowHeightOffsetInTiles =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 mctsSetIdxTarget ][ 0 ] / ( num_tile_columns_minus1 + 1 )
여기서,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mctsSetIdxTarget ][ 0 ] 은 MCTS EIS SEI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MCTS를 지칭하는 값으로써 시간적(temporal) MCTS SEI 메시지의 mcts_id와 매칭되는 값이며, mctsEisIdTarget은 MCTS EIS SEI 메시지에서 전달되는 information set (VPS, SPS, PPS) 중 목표가 되는 information set을 지칭하며, mctsSetIdxTarget는 동일 information set의 영향을 받는 MCTS 들의 세트들 중 특정 MCTS 세트 지칭하며, 0은 특정 MCTS 세트 내에서 가장 첫 번째 MCTS를 지칭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top_left_tile_index[ i ][ 0 ] 는 mcts_id[ i ] = idx_of_mcts_in_set[ mctsEisIdTarget ] [ mctsSetIdxTarget ][ 0 ] 인 i번째 MCTS를 구성하는 타일들 중 좌상단의 가장 첫 번째 타일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것이며, num_tile_columns_minus1+1은 디코딩된 픽처에서 열(column) 방향으로의 타일들의 수를 나타냄은 상술한 바와 같다.
2. 입력 영상에 대해 타일 단위의 오프셋인 colWidthOffsetInTiles, rowHeightOffsetInTiles를 CTB 단위의 ctbAddrColWidthOffset, ctbAddrRowHeightOffset 으로 변환한다.
ctbAddrColWidthOffset=colWidth[0]+colWidth[1]+...+colWidth[colWidthOffsetInTiles]
ctbAddrRowHeightOffset=rowHeight[0]+rowHeight[1]+...+rowHeight[rowHeightOffsetInTiles]
예를 들어, 상기 colWidth[j] 및 rowHeight[j]는 균일(uniform) 간격(spacing)을 갖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uniform_spacing_flag를 기반으로 다음 표 4 및 5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9135517062-pct00003
Figure 112019135517062-pct00004
3. VCL NAL 유닛 내에 포함된 슬라이스에 대해 출력 영상에 적합하도록 슬라이스 헤더 내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을 변환해준다. (단, outBitstream 에는 출력 영상에 포함되는 MCTS에 해당하는 NAL 유닛만 있는 상태이다)
1) 입력 영상 (전체 영상)의 PPS를 이용하여 현재 VCL NAL 유닛 내의 슬라이스 내 첫 번째 CTB의 위치 (inCtbAddrColWidth, inCtbAddrRowHeight) 를 입력 영상 내 CTB 단위로 구해준다. 이 때, PicWidthInCtbsY 는 입력 영상의 Y 채널 (즉, 루마 성분)에 대해 수평방향 길이를 CTB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inCtbAddrColWidth = slice_segment_address % PicWidthInCtbsY
inCtbAddrRowHeight = slice_segment_address / PicWidthInCtbsY
2) 해당 슬라이스에 대해 (ctbAddrColWidthOffset, ctbAddrRowHeightOffset) 만큼 이동했을 때의 첫 번째 CTB의 위치 (outCtbAddrColWidth, outCtbAddrRowHeight) 를 입력 영상 내 CTB 단위로 구해준다. 이 때, PicHeightInCtbsY는 입력 영상의 Y채널에 대해 수직방향 길이를 CTB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outCtbAddrColWidth = ( inCtbAddrColWidth - ctbAddrColWidthOffset + PicWidthInCtbsY ) % PicWidthInCtbsY
outCtbAddrRowHeight = ( inCtbAddrRowHeight - ctbAddrRowHeightOffset + PicHeightInCtbsY ) % PicHeightInCtbsY
3) 출력 영상에서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는 다음과 같이 구해준다. 이 때 PicWidthInCtbsY는 출력 영상의 Y 채널에 대해 수평방향 길이를 CTB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slice_segment_address = outCtbAddrColWidth + outCtbAddrRowHeight * PicWidthInCtbsY
4.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가 증가하는 순서로 VCL NAL 유닛을 재정렬 해준다.
5. 첫 번째 슬라이스 세그먼트에 대해 슬라이스 헤더 내 first_slice_segment_in_pic_flag 를 1로 변경해준다.
상술한 방법은 전송 장치(또는 인코딩 장치)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수신 장치(또는 디코딩 장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MCTS의 순서를 기반으로 MCTS의 위치를 재배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 장치에서는 새로운 슬라이스 주소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수신 장치는 독립 프로세싱이 가능한 서브 픽처를 도출하여 디코딩 및 렌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영상에 대한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는 경우, 전체 영상 중 일부(ex. 서브 픽처)만 포함하되 디코딩이 가능한 비트스트림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디코딩 및 렌더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체 영상 중 일부(ex. 서브 픽처)만 포함하되 디코딩이 가능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 혹은 추출하는 것은 트랜스 코딩이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픽처의 첫번째 MCTS를 위한 오프셋 정보를 별도로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상기 오프셋 정보는 수신 장치뿐 아니라 전송 장치에서 서브픽처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정보는 ctbAddrColWidthOffset 및 ctbAddrRowHeightOffset과 같이 CTB 단위로 너비 및 높이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MCTS가 재배치되어 출력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2D 입력 픽처의 MCTS E, F, D, B, C, A는 MCTS 재배치를 통하여 하나의 서브픽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MCTS E, F, 및 MCTS D, MCTS B, C 및 MCTS A는 입력 픽처 상에서 비록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3D 구형면 상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MCTS들을 재배치하는 경우, 오프셋 정보가 가리키는 지점을 픽처의 좌상단 지점에 대응되도록 재배치함으로써 출력 픽처로 상기 서브픽처를 도출할 수 있다. 이후 MCTS들은 그 인덱싱 순서에 따라 래스터 스캔 순서로 재배치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설정 하고 슬라이스의 순서를 재구성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오프셋 정보는 각 MCTS의 위치 정보를 더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MCTS를 입력 픽처 상에서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MCTS들을 머지하여 출력 픽처로 상기 서브픽처를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CTS들은 래스터 스캔 순서로 넘버링되고, 이를 기반으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설정 하고 슬라이스의 순서를 재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픽처(서브 픽처)는 360도 비디오 컨텐츠의 공간적 에어리어(spatial area)의 서브셋(subset)을 커버할 수 있으며, 각 출력 픽처(서브 픽처)는 독립적으로 인코딩되어 단일 계층(single-layer) 비트스트림으로 출력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으며, 각 출력 픽처(서브 픽처) 비트스트림은 개별적 트랙(track) 기반으로 파일 내에 인캡슐레이션될 수 있고 스트리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CTS 기반하여 구성된 트랙 기반으로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이 있을 경우, 대상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NAL 유닛들만을 추출하여 디코딩 가능한 비트스트림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를 재설정하고 슬라이스의 순서를 재구성하기 위한 관련 정보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련 정보는 일부 또는 전체 영상이 인코딩된 상태에서 일부 트랙을 추출하여 서브픽처 또는 새로운 비트스트림을 구성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인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영상 인코딩 방법은 인코딩 장치(데이터 인코더) 또는 상기 인코딩 장치(데이터 인코더)를 포함하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two-dimensional space) 픽처를 획득한다(S2000). 여기서 상기 360도 비디오는 360도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360도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일 수 있고, 또는 컴퓨터 등의 영상 처리 장치를 통하여 생성 또는 합성된(synthesized)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D 픽처는 상술한 원본 픽처, 프로젝티드 픽처/팩드 픽처, 및 구성된 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상기 2D 픽처 내에서 서브픽처 구성을 위한 MCTS들을 도출한다(S2010). 상기 서브픽처는 하나 또는 복수의 MCTS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MCTS들 중 일부는 상기 2D 픽처 상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MCTS들 중 일부는 상기 2D 픽처 상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으나, 프리젠테이션 또는 렌더링될 3D 공간(구형면) 상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CTS들은 상술한 MCTS 집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MCTS 세트는 MCTS 추출 정보 세트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메시지에 의하여 지시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한다(S2020).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코딩 장치는 상술한 표 2 또는 표 3에 개시된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딩 장치는 상기 MCTS들 중 제1 MCTS의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수평 오프셋 및 수직 오프셋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MCTS는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MCTS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 및 상기 수직 오프셋은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9135517062-pct00005
여기서, colWidth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너비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열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rowHeight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직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높이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행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top_left_tile_indx[i][0]은 상기 제1 MCTS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들 중 가장 첫 번째 타일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num_tile_columns_minus1 + 1은 상기 2D 픽처 내에서 타일 행들 개수를 나타낸다.
인코딩 장치는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평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coding tree block) 단위의 수평 오프셋을 도출하고,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직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MCTS들 중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9135517062-pct00006
여기서, out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out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직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직 위치를 나타내고, ctbAddrColWidth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오프셋, ctbAddrWowHeight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 PicWidthInCtbsY는 상기 서브픽처를 포함하는 전체 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너비, PicHeightInCtbsY는 상기 전체 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상기 MCTS들 각각에 대한 VCL(video coding layer) NAL(network abstract layer) 유닛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VCL NAL 유닛은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는 슬라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헤더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9135517062-pct00007
여기서, 이 때의 PicWidthInCtbsY는 출력 비트스트림에 대한 영상의 너비를 나타낸다.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에 의하여 도출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CTS들은 연관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상기 서브픽처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S2030).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MCTS들에 대한 MCTS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 인덱스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MCTS들을 상기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상기 MCTS들 각각에 대한 VCL(video coding layer) NAL(network abstract layer)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의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픽처의 상기 너비 정보 및 상기 높이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SPS(sequence parameter set)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타일 단위의 수평 오프셋 및 상기 타일 단위의 수직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오프셋 및 상기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MCTS 추출 정보 세트 SEI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 장치는 상기 서브픽처를 독립적으로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된 영상 정보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서 저장 장치,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디코딩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인코딩된 영상 정보 및/또는 메타데이터를 파일 등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영상 정보 및/또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하여 ISOBMFF, CFF 등의 파일 포맷으로 인캡슐레이션하거나, 기타 DASH 세그먼트 등의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파일 포맷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파일 포맷에 따라 인캡슐레이션된 파일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파일을 처리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에는 방송망을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 또는 브로드밴드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도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전송 처리된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코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영상 디코딩 방법은 디코딩 장치(데이터 디코더) 또는 상기 디코딩 장치(데이터 디코더)를 포함하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코딩 장치는 서브픽처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S2100). 디코딩 장치는 방송망을 통하여 시그널링된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디코딩 장치는 브로드밴드 등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저장매체를 통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픽처는 팩드 픽처 또는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코딩 장치는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MCTS들을 도출한다(S110). 상기 서브픽처는 하나 또는 복수의 MCTS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MCTS들 중 일부는 상기 2D 픽처 상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MCTS들 중 일부는 상기 2D 픽처 상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으나, 프리젠테이션 또는 렌더링될 3D 공간(구형면) 상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CTS들은 상술한 MCTS 집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MCTS 세트는 MCTS 추출 정보 세트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메시지에 의하여 지시될 수 있다.
상기 MCTS들은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코딩 장치는 상술한 표 2 또는 표 3에 개시된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 장치는 상기 MCTS들 중 제1 MCTS의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수평 오프셋 및 수직 오프셋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MCTS는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MCTS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 및 상기 수직 오프셋은 상기 수학식 1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하여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디코딩 장치는 타일 단위의 수평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coding tree block) 단위의 수평 오프셋을 도출하고, 타일 단위의 상기 수직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MCTS들 중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상기 수학식 2를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상기 MCTS들 각각에 대한 VCL(video coding layer) NAL(network abstract layer)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CL NAL 유닛은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는 슬라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헤더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는 상기 수학식 3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에 의하여 도출되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을 기반으로 상기 MCTS들을 래스터 스캔 순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CTS들은 연관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MCTS들에 대한 MCTS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코딩 장치는 상기 MCTS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MCTS들을 상기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의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픽처의 상기 너비 정보 및 상기 높이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SPS(sequence parameter set)에 포함될 수 있다.
디코딩 장치는 상기 MCTS들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픽처를 디코딩한다(S2120). 인코딩 장치는 상기 서브픽처를 독립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이후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코딩된 서브픽처를 처리하여 3D 공간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들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유사/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단계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전술한 데이터 입력부, 스티처, 시그널링 처리부, 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전송 처리부 및/또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및 그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전술한 수신부, 수신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시그널링 파서,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및 그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장치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이거나, 그 외의 하드웨어로 구성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이 들은 장치 내/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듈들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유사/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모듈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파트, 모듈 또는 유닛은 메모리(또는 저장 유닛)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거나 하드웨어 파트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 또는 하드웨어 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모듈/블록/유닛들은 하드웨어/프로세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들은 코드로서 실행될 수 있다. 이 코드는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쓰여질 수 있고, 따라서 장치(apparatus)가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내어진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방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1)

  1. 인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인코딩 방법으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2D(two-dimensional space) 픽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2D 픽처 내에서 서브픽처 구성을 위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MCTS 에 기반하여 상기 2D 픽처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MCTS에 대한 MCTS 인덱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
    상기 2D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너비 정보, 상기 2D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높이 정보, 상기 MCTS들을 위한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에 대해 추출 및 재정렬이 수행될 때,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가 조정되는,
    인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TS들 중 제1 MCTS의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수평 오프셋 및 수직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MCTS는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MC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 및 상기 수직 오프셋은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051991833-pct00038

    여기서, colWidth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너비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열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rowHeight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직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높이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행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top_left_tile_indx[i][0]은 상기 제1 MCTS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들 중 가장 첫 번째 타일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num_tile_columns_minus1 + 1은 상기 2D 픽처 내에서 타일 행들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평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coding tree block) 단위의 수평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직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MCTS들 중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502986018-pct00039

    여기서, out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out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직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직 위치를 나타내고, ctbAddrColWidth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오프셋, ctbAddrRowHeight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 PicWidthInCtbsY는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너비, PicHeightInCtbsY는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상기 MCTS들 각각에 대한 VCL(video coding layer) NAL(network abstract layer)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VCL NAL 유닛은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는 슬라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헤더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051991833-pct00040

    상기 MCTS들은 연관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TS들은 MCTS 집합에 포함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MCTS들에 대한 MCTS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 인덱스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MCTS들을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의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픽처의 상기 너비 정보 및 상기 높이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SPS(sequence parameter set)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방법.
  8. 디코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상 디코딩 방법으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정보의 픽처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MCTS에 대한 MCTS 인덱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너비 정보,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높이 정보, 상기 MCTS들을 위한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에 대해 추출 및 재정렬이 수행될 때,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가 조정되는,
    디코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MCTS들 중 제1 MCTS의 상기 픽처 상에서의 수평 오프셋 및 수직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MCTS는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MC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 및 상기 수직 오프셋은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051991833-pct00041

    여기서, colWidth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너비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열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rowHeight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직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높이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행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top_left_tile_indx[i][0]은 상기 제1 MCTS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들 중 가장 첫 번째 타일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num_tile_columns_minus1 + 1은 상기 픽처 내에서 타일 행들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평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coding tree block) 단위의 수평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직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MCTS들 중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502986018-pct00042

    여기서, out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out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직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직 위치를 나타내고, ctbAddrColWidth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오프셋, ctbAddrRowHeight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 PicWidthInCtbsY는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너비, PicHeightInCtbsY는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상기 MCTS들 각각에 대한 VCL(video coding layer) NAL(network abstract layer)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VCL NAL 유닛은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는 슬라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헤더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051991833-pct00043

    상기 MCTS들은 연관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CTS들은 MCTS 집합에 포함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MCTS들에 대한 MCTS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MCTS들을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서브픽처의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를 포함하되,
    서브픽처의 상기 너비 정보 및 상기 높이 정보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SPS(sequence parameter set)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15.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2D(two-dimensional space) 픽처를 획득하고,
    상기 2D 픽처 내에서 서브픽처 구성을 위한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도출하는 프로세서,
    상기 MCTS 에 기반하여 상기 2D 픽처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인코더;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MCTS에 대한 MCTS 인덱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
    상기 2D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너비 정보, 상기 2D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높이 정보, 상기 MCTS들을 위한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에 대해 추출 및 재정렬이 수행될 때,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가 조정되는,
    비디오 데이터 인코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CTS들은 MCTS 집합에 포함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MCTS들에 대한 MCTS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 인덱스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MCTS들을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인코더.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CTS들 중 제1 MCTS의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수평 오프셋 및 수직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MCTS는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MC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인코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처의 좌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 및 상기 수직 오프셋은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051991833-pct00044

    여기서, colWidth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평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너비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열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rowHeightOffsetInTiles는 상기 제1 MCTS의 상기 수직 오프셋이 타일 단위로 높이 방향으로 몇번째 타일 행 위치에 대응되는지 나타내고, top_left_tile_indx[i][0]은 상기 제1 MCTS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들 중 가장 첫 번째 타일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num_tile_columns_minus1 + 1은 상기 2D 픽처 내에서 타일 행들 개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인코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평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coding tree block) 단위의 수평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일 단위의 상기 수직 오프셋을 기반으로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MCTS들 중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502986018-pct00045

    여기서, out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out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서브픽처 상에서의 상기 CTB 단위의 수직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Colwidth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평 위치를 나타내고, inCtbAddrRowHeight는 상기 특정 MCTS에 대한 상기 2D 픽처 상에서의 CTB 단위의 수직 위치를 나타내고, ctbAddrColWidth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평 오프셋, ctbAddrRowHeightOffset은 상기 CTB 단위의 수직 오프셋, PicWidthInCtbsY는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너비, PicHeightInCtbsY는 상기 서브픽처에 대한 CTB 단위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인코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서브픽처를 구성하는 상기 MCTS들 각각에 대한 VCL(video coding layer) NAL(network abstract layer)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VCL NAL 유닛은 슬라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는 슬라이스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헤더는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는 다음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Figure 112021051991833-pct00046

    상기 MCTS들은 연관된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인코더.
  21.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들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정보의 픽처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MCTS에 대한 MCTS 인덱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너비 정보, 상기 픽처를 디코딩하기 위한 높이 정보, 상기 MCTS들을 위한 슬라이스 세그먼트의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CTS에 대해 추출 및 재정렬이 수행될 때, 상기 슬라이스 세그먼트 주소 정보가 조정되는,
    비디오 데이터 디코더.
KR1020197038837A 2017-07-04 2017-11-23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336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8516P 2017-07-04 2017-07-04
US62/528,516 2017-07-04
US201762535178P 2017-07-20 2017-07-20
US62/535,178 2017-07-20
PCT/KR2017/013437 WO2019009473A1 (ko) 2017-07-04 2017-11-23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637A KR20200008637A (ko) 2020-01-28
KR102336987B1 true KR102336987B1 (ko) 2021-12-08

Family

ID=6495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837A KR102336987B1 (ko) 2017-07-04 2017-11-23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59049B2 (ko)
KR (1) KR102336987B1 (ko)
WO (1) WO2019009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13A1 (en) * 2017-01-10 2018-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tadata for 3d images
CN116781935A (zh) * 2018-09-14 2023-09-19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译码中的分块指示
US11290734B2 (en) * 2019-01-02 2022-03-29 Tencent America LLC Adaptive picture resolution rescaling for inter-prediction and display
MX2021011023A (es) * 2019-03-11 2021-11-12 Huawei Tech Co Ltd Un codificador, un decodificador y métodos correspondientes.
KR102517054B1 (ko) * 2020-08-13 2023-03-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통형 컨볼루션 네트워크 연산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객체 인식 및 시점 추정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769A1 (en) * 2011-07-17 2013-01-1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picture size in video coding
US9749627B2 (en) * 2013-04-08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 data for motion-constrained tile set
KR20200045013A (ko) * 2013-07-15 2020-04-29 소니 주식회사 상호작용성을 위한 모션-구속된 타일 세트들 sei 메시지의 확장들
RU2018135747A (ru) * 2013-07-22 2018-11-19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US10694192B2 (en) * 2014-06-27 2020-06-23 Koninklijke Kpn N.V. HEVC-tiled video streaming
JP2016019248A (ja) * 2014-07-10 201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表示制御装置、動画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04521B2 (en) * 2017-03-03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Extracting MCTS sub-bitstreams for video coding
KR20230106741A (ko) * 2017-03-20 2023-07-13 지이 비디오 컴프레션, 엘엘씨 고급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 추출 및 다중 해상도 비디오송신
EP3422724B1 (en) * 2017-06-26 2024-05-01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omnidirectional vide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M. Oh, et al. On MCTS extraction information set SEI message. JCT-VC of ITU-T and ISO/IEC. JCTVC-AB0037 Ver.1, Jul. 6, 2017, pp.1-3
R. Skupin, et al. MCTS extraction with slice reordering. JCT-VC of ITU-T and ISO/IEC. JCTVC-AA0029 Ver.2, Apr. 1, 2017, pp.1-3*
Y. Wu, et al. Motion-constrained tile sets SEI message. JCT-VC of ITU-T and ISO/IEC. JCTVC-M0235 Ver.3, Apr. 25, 2013, pp.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637A (ko) 2020-01-28
US20200186833A1 (en) 2020-06-11
US11259049B2 (en) 2022-02-22
WO2019009473A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875B1 (ko)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KR102277267B1 (ko)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US11778171B2 (e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ideo coding and decoding
JP7492978B2 (ja) ビデオエンコーディングおよびデコーディング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65255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ignaling of regions of interest
KR102334628B1 (ko) 360도 비디오의 영역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US20200153885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int cloud data, a method for transmitting point cloud data, an apparatus for receiving point cloud data and/or a method for receiving point cloud data
KR102336987B1 (ko) 360도 비디오의 영역 기반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9135024A1 (en) A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olumetric video
US10863198B2 (en) Intra-prediction method and device in image coding system for 360-degree video
US11418564B2 (en) Point cloud data transmission device, point cloud data transmission method, point cloud data reception device, and point cloud data reception method
KR102518819B1 (ko)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송신 장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송신 방법,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수신 방법
US11601634B2 (en) Point cloud data transmission device, point cloud data transmission method, point cloud data reception device, and point cloud data reception method
CN115443652A (zh) 点云数据发送设备、点云数据发送方法、点云数据接收设备和点云数据接收方法
WO2019115867A1 (en) A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volumetric video
US20200374558A1 (en) Image decoding method and device using rotation parameters in image coding system for 360-degree video
US11908168B2 (en) Point cloud data transmission device, point cloud data transmission method, point cloud data reception device, and point cloud data reception method
CN116724555A (zh) 媒体文件处理方法及其装置
CN116982318A (zh) 媒体文件处理方法及设备
WO2020175905A1 (ko) 시그널링된 정보에 기반한 픽처 파티셔닝 방법 및 장치
CN117296317A (zh) 媒体文件处理方法及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