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018B1 -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018B1
KR102336018B1 KR1020210028629A KR20210028629A KR102336018B1 KR 102336018 B1 KR102336018 B1 KR 102336018B1 KR 1020210028629 A KR1020210028629 A KR 1020210028629A KR 20210028629 A KR20210028629 A KR 20210028629A KR 102336018 B1 KR102336018 B1 KR 10233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space
gas
monitoring
spac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완
Original Assignee
김이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완 filed Critical 김이완
Priority to KR102021002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대한 것으로, 산업 현장의 가스실, 정화실, 배수실, 및 배전실의 밀폐 공간(S)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상기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 가스와 오폐수 및 누전에 따른 화재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위험감지장치(100), 및 상기 밀폐 공간(S)의 외부에 구성되어 상기 위험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 측정된 결과들의 파악과 함께 상기 밀폐 공간(S)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monitoring safe apparatus for worker in sealed space}
본 발명은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현장의 밀폐 공간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한 작업자들의 부상이나 사상과 같은 위험성을 미연에 실시간의 모니터링 방식으로 방지하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는 예컨대 가스실, 정화실, 배관실, 및 배전실과 같은 밀폐 장소의 공간들이 있으며, 작업자들은 이러한 밀폐 장소와 같은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예기치못한 사고가 유발되고 있다.
이러한 밀폐 장소와 같은 공간에서의 예기치못한 사고나 돌발 사고가 발생될 경우, 작업자들은 안전이 담보되지 못한 채 부상이나 사상과 같은 인명 사고를 당할 수 밖에 없다.
작업자들이 예컨대 가스실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가스가 새어 나오는 예기치 못한 사고에 작업자들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가스실 자체가 밀폐된 공간인 관계로 작업자들은 새어 나오는 가스에 질식사하는 인명 사고를 당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이러한 가스실뿐만 아니라 정화실, 배관실, 배전실 및 기타 등과 같은 밀폐 장소의 공간에서도 만일 예기치못한 사고나 돌발 사고 발생시 작업자들은 제대로 안전 조치를 취하지도 못한 채 부상이나 사상과 같은 인명 사고를 당하게 된다.
따라서, 산업 현장의 이러한 밀폐 장소와 같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불안감 해소와 함께 작업자들의 안전성마저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001 : 공개특허 제10-2020-0139976호(공개일자 2020년 12월 15일)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업 현장의 이러한 밀폐 장소와 같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불안감 해소와 함께 작업자들의 안전성마저 확보할 수 있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업 현장의 가스실, 정화실, 배수실, 및 배전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상기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 가스나 오폐수 혹은 누전에 따른 화재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위험감지장치(100), 및 상기 밀폐 공간(S)의 외부에 구성되어 상기 위험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 측정된 결과들의 파악과 함께 상기 밀폐 공간(S)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위험감지장치(100)는 가스실과 같은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 가스를 감지 측정하는 가스측정장치(110), 배수실과 같은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감지 측정하는 누수측정장치(120), 및 배전실과 같은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에 따른 화재를 감지 측정하는 누전측정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200)는 박스형 구조의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210)에 소정의 보관함(211)과 함께 카메라조작버튼(212) 및 소리송수신버튼(2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220)에 모니터(221)와 함께, 가스검지농도표시기(222), 누수검지표시기(223), 누전검지표시기(224), 및 소리송수신기(2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200)는 밀폐 공간(S)의 내부에 설치되는 CCTV부(2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가스측정장치(110)는 독성가스나 가연성가스와 같은 가스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111), 및 상기 제1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한 가스의 측정 농도를 표시해주는 시청각표시부(112)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누수측정장치(120)는 액체와 같은 유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121),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한 유체의 측정 농도를 표시해주는 시청각표시부(122)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누전측정장치(130)는 누전에 따른 발화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131), 및 상기 제3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발화의 측정 농도를 표시해주는 시청각표시부(132)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 현장의 이러한 밀폐 장소와 같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불안감 해소와 함께 작업자들의 안전성마저 확보할 수 있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밀폐 장소에서의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한 작업자들의 부상이나 사상과 같은 인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작업자와 외부 감시자가 간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인사 사고 및 물적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가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상태를 입체적인 개념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험감지장치(100)의 가스측정장치(110)에 대한 구성들을 일례로 상세하게 입체적으로 도시한 개념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장치(200)에 대한 구성들을 상세하게 입체적으로 도시한 개념의 도면이다.
도 4는 위험감지장치(100)가 포함하는 구성들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가스측정장치(110)가 포함하는 구성들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누수측정장치(120)가 포함하는 구성들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누진측정장치(130)가 포함하는 구성들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상세한 설명의 보충적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참고할만한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의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는 하기에서 일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되, 이러한 일 실시예가 본 발명의 특징적 사상을 모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감지장치(100) 및 모니터링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험감지장치(100)는 예컨대 가스실 및 정화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서 누설되는 암모니아, 벤젠,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메탄가스, 시안화수소, 부탄, 에틸렌 등과 같은 가스를 측정하여 이를 시각 및 청각으로 표시하여 밀폐 공간(S)의 위급한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도 4와 같은 가스측정장치(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의 위험감지장치(100)는 예컨대 배수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서 누수를 측정하여 이를 시각 및 청각으로 표시하여 밀폐 공간의 위급한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도 4와 같이 누수측정장치(12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예컨대 배전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서 누전을 측정하거나 누전에 따른 발화를 측정하여 이를 시각 및 청각으로 표시하여 밀폐 공간(S)의 위급한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는 도 4와 같이 누전측정장치(13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위험감지장치(100)는 예컨대 가스실 및 정화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 설치될 수 있는 도 4와 같이 가스측정장치(110)와, 예컨대 배수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 설치될 수 있는 누수측정장치(120), 및 예컨대 배전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 설치될 수 있는 누전측정장치(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가스측정장치(110)는 기체 물체 상태의 유체로서 예컨대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암모니아, 염소, 시안화수소, 황화수소 등의 독성가스나 가연성가스와 같은 가스를 감지하는 도 2 및 도 5와 같이 제1 센서부(111), 및 상기 제1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가스의 시청각표시부(112 : 112a,112b,112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센서부(111) 및 상기 시청각표시부(112)는 하나의 어셈블리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되,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센서부(111)는 가스 감지를 위한 가스검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청각표시부(112)는 상기 제1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경보를 알릴 수 있는 부저(112a)와 함께 작업자와 외부감시자 간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음성송수신기(112b) 및 가스의 측정 농도표시를 위한 농도표시기(112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수측정장치(120)는 액체 물체 상태의 유체로서 예컨대 하수, 오수 등의 물의 누수를 감지하는 도 2를 참고로 한 도면 6과 같이 제2 센서부(121)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물의 누수에 대한 시청각표시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센서부(121) 및 상기 시청각표시부(122)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센서부(121)는 물의 누수 감지를 위한 액체검지센서(121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청각표시부(122)는 상기 제2 센서부(121)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경보를 알릴 수 있는 부저(122a)와 함께 작업자와 외부감시자 간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음성송수신기(122b) 및 물의 측정 농도표시를 위한 농도표시기(122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전측정장치(130)는 전기의 누전에 따른 화재를 감지하는 도 2를 참고로 한 도면 7과 같이 제3 센서부(131) 및 상기 제3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전기 누전에 대한 시청각표시부(1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3 센서부(131) 및 상기 시청각표시부(132)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센서부(131)는 전기의 누전 감지를 위한 전기검지센서(131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청각표시부(132)는 상기 제3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경보를 알릴 수 있는 부저(132a)와 함께 작업자와 외부감시자 간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음성송수신기(132b) 및 전기의 누전 측정 농도표시를 위한 농도표시기(132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위험감지장치(100)에서 감지 측정된 결과들은 밀폐 공간(S)의 외부에 확보된 상기의 모니터링장치(200)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의 모니터링장치(200)는 예컨대 박스형의 구조로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박스의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질 수 있다.
박스의 상기 몸체부(210)에는 예컨대 소정의 보관함(211)과 함께 카메라조작버튼(212) 및 소리송수신버튼(2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덮개부(220)에는 예컨대 모니터(221)와 함께, 가스검지농도표시기(222), 누수검지표시기(223), 누전검지표시기(224), 및 소리송수신기(2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장치(200)는 특히 밀폐 공간(S)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예컨대 CCTV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CCTV부(230)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밀폐 공간(S)의 내부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단이라면 이러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CTV부(230)는 서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가스검지농도표시기(222), 상기 누수검지표시기(223), 및 상기 누전검지표시기(224)에 표시된 농도의 정도를 판단하는 소형컴퓨터(예컨대 MCU)인바 상기 서보장치(300)와 연결되어 RGB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서보장치(300)의 동작과 정지에 관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서보장치(300)의 동작과 정지에 따라 상기 CCTV부(230)가 회전되는 방식으로 밀폐 공간(S)의 위급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상기 CCTV부(230)에서 모니터링하는 상기의 밀폐 공간(S)은 상술된 가스실, 정화실, 배수실, 및 배전실과 같은 작업이 가능한 밀폐 공간들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RGB의 색들은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색들이 설정된 색들과 일치될 경우, 상기 서보장치(300)가 동작되며 상기 CCTV부(230)가 설정된 회전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반면, 변경된 색들이 설정된 색들과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서보장치(300)가 동작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CCTV부(230)도 회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의 서보장치(300)는 충분한 설명으로도 이해될 수 있는 관계로 별도의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서보장치(300)는 기어링(310)과 상기 기어링에 물려 회전되며 상기 기어링을 회전시키는 유도링(320) 및 상기 유도링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33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CTV부(230)는 상기 기어링(310)의 회전을 통해 회전되며 밀폐 공간(S)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RGB의 색들은 상기 제어부(400)에 코딩 방식으로 설계된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의 프로그램은 setup(), loop(), if(), 및 map 함수의 설계 조합을 통한 가변 저항의 연결에 따라 변경되면서 설정된 색들과 일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제어부(400)는 상기 CCTV부(230)의 인근에 설치된 가스정화기나 배수펌프나 소화기와 같은 기기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개별의 동작장치(미도시)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가스정화기나 배수펌프 혹은 소화기와 같은 기기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동작장치(미도시)는 상기의 가스정화기나 배수펌프나 소화기와 같은 기기들의 작동에 적합한 설계 구조의 개별 적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유해가스는 누수되는 물이나 연소되는 불에 비해 짧은 시간 내에 작업자들의 생명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관계로, 유해가스의 누수에 보다 강력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스정화기가 요구된다. 물론, 유해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뿐만 아니라 화재로 발생되는 유독연기까지 모두 포함하는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유해가스의 누수시에는 짧은 시간 내에 이에 대한 신속하고도 강력한 가스정화작용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인체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스정화기기 필요하다.
이러한 가스정화기의 경우 예컨대 유해가스의 필터링에 탁월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다단식 필터들의 접목 구조로서 제1 필터, 제2 필터, 및 제3 필터를 포함하는 다단식 겹칩 구조의 필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필터는 휘발성유기화합물(揮發性有機化合物;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정화에 탁월한 세라믹 저온촉매성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필터는 예컨대 0.3㎛ 정도의 미세입자 제거에 탁월한 헤파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필터는 악취 및 전처리에 탁월한 우레탄 카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제어부(400)는 상기 가스정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의 인가에 수반되는 동작장치(미도시)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가스정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의 동작장치(미도시)는 상기 가스정화기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일 수 있고, 이러한 상기의 전원공급장치를 상기 제어부(400)가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의 가스정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의 제어부(400)는 가스검지센서로부터의 유해가스 감지 시작점에서부터 예컨대 초(sec) 단위로 카운팅하는 타이머의 설정된 임계값(소요시간)에 맞춰 상기의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를 통한 상기의 가스정화기를 작동시킴으로써, 급박하고도 위급한 상황에서의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 조치가 자동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가스검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유해가스의 독성농도 정도에 따라 타이머의 설정된 임계값(소요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제어부(400)는 상기 CCTV부(230)의 인근에 설치된 가스정화기나 배수펌프나 소화기와 같은 기기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개별의 동작장치(미도시)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가스정화기나 배수펌프 혹은 소화기와 같은 기기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동작장치(미도시)는 가스정화기나 배수펌프 혹은 소화기에 각각 다르게 적용 가능한 개별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정화기는 가스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펌프는 배수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소화기는 배전실과 같은 밀폐 공간(S)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정화기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한 동작장치(미도시)의 작동으로 가스실에서 누설되는 가스를 정화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한 작동으로 배수실에서 누수되는 오폐수를 배수할 수 있고, 상기 소화기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한 작동으로 배전실에서 발화될 수 있는 불을 소화할 수 있다.
밀폐 공간(S)
위험감지장치(100) 가스측정장치(110)
제1 센서부(111) 시청각표시부(112)
부저(112a) 음성송수신기(112b)
농도표시기(112c)
누수측정장치(120) 제2 센서부(121)
시청각표시부(122) 부저(122a)
음성송수신기(122b) 농도표시기(122c)
누전측정장치(130) 제3 센서부(131)
시청각표시부(132) 부저(132a)
음성송수신기(132b) 농도표시기(132c)
모니터링장치(200) 몸체부(210)
보관함(211) 카메라조작버튼(212)
소리송수신버튼(213) 덮개부(220)
모니터(221) 가스검지농도표시기(222)
누수검지표시기(223) 누전검지표시기(224)
소리송수신기(225) CCTV부(230)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산업 현장의 가스실, 정화실, 배수실, 및 배전실의 밀폐 공간(S)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상기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 가스, 오폐수 및 누전에 따른 화재를 감지하여 측정하는 위험감지장치(100); 및 상기 밀폐 공간(S)의 외부에 구성되어 상기 위험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 측정된 결과들의 파악과 함께 상기 밀폐 공간(S)의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20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험감지장치(100)는 가스실의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 가스를 감지 측정하는 가스측정장치(110); 배수실의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감지 측정하는 누수측정장치(120); 및 배전실의 밀폐 공간(S)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공간(S)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에 따른 화재를 감지 측정하는 누전측정장치(130); 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니터링장치(200)는 박스형 구조의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210)에 소정의 보관함(211)과 함께 카메라조작버튼(212) 및 소리송수신버튼(2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220)에 모니터(221)와 함께, 가스검지농도표시기(222), 누수검지표시기(223), 누전검지표시기(224), 및 소리송수신기(2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링장치(200)는 밀폐 공간(S)의 내부에 설치되는 CCTV부(2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CCTV부(230)는 서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회전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소형컴퓨터로서 상기 서보장치(300)와 연결되어 RGB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서보장치(300)의 동작과 정지에 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장치(110)는 독성가스와 가연성가스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111); 및 상기 제1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한 가스의 측정 농도를 표시해주는 시청각표시부(112);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측정장치(120)는 액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121);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한 유체의 측정 농도를 표시해주는 시청각표시부(122);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측정장치(130)는 누전에 따른 발화를 감지하는 제3 센서부(131); 및 상기 제3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발화의 측정 농도를 표시해주는 시청각표시부(132);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KR1020210028629A 2021-03-04 2021-03-04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KR10233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629A KR102336018B1 (ko) 2021-03-04 2021-03-04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629A KR102336018B1 (ko) 2021-03-04 2021-03-04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018B1 true KR102336018B1 (ko) 2021-12-03

Family

ID=7886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629A KR102336018B1 (ko) 2021-03-04 2021-03-04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0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40B1 (ko) * 2012-07-25 2013-04-11 네오트 주식회사 위험물 보관함 안전시스템
KR20190110195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가연물 저장설비의 화재 감시장치 및 화재 감시방법
KR102163106B1 (ko) * 2019-07-26 2020-10-07 주식회사 미성 맨홀 및 물놀이 장소의 누전 경보 시스템
KR20200139976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2204982B1 (ko) * 2019-10-02 2021-01-18 안상로 자가통신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현장제어 및 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40B1 (ko) * 2012-07-25 2013-04-11 네오트 주식회사 위험물 보관함 안전시스템
KR20190110195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가연물 저장설비의 화재 감시장치 및 화재 감시방법
KR20200139976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2163106B1 (ko) * 2019-07-26 2020-10-07 주식회사 미성 맨홀 및 물놀이 장소의 누전 경보 시스템
KR102204982B1 (ko) * 2019-10-02 2021-01-18 안상로 자가통신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현장제어 및 안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ammed et al. A comprehensive system for detection of flammable and toxic gases using IoT
US6952169B1 (en) Cordless/wireless automatic detection and suppression system
KR102336018B1 (ko) 밀폐 공간의 작업자를 위한 모니터링 안전장치
KR102266545B1 (ko)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JP2015056060A (ja) 携帯用ガス警報器
Okeke et al. Design and simulation of gas and fire detector and alarm system with water sprinkle
CN211043309U (zh) 一种有限空间有毒有害气体监测装置
JP2004094863A (ja) 酸欠等を防止する作業環境管理システム
EP3012506B1 (en) Active automatic safety system for working environments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Stojković Occupational safety in hazardous confined space
KR20200139976A (ko)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200333763Y1 (ko) 휴대용 다목적 비상경보장치
CN105169603A (zh) 远红外综合气体分析消防车
KR102311141B1 (ko) 지능형 가스 및 화염 감지시스템
KR20230036738A (ko) 질식사고 예방시스템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9372817U (zh) 便携式气体探测器
CN207199121U (zh) 一种气体泄漏处理训练演示装置
JP3948858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CN111626562A (zh) 一种智能化的危化品用应急演练方法
CN208580084U (zh) 一种乙炔浓度探测报警及保护装置
RU2795280C1 (ru) Манометр
KR200272435Y1 (ko) 소방대원을 위한 휴대형 안전경보장치
RU2730962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