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059B1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059B1
KR102335059B1 KR1020140121828A KR20140121828A KR102335059B1 KR 102335059 B1 KR102335059 B1 KR 102335059B1 KR 1020140121828 A KR1020140121828 A KR 1020140121828A KR 20140121828 A KR20140121828 A KR 20140121828A KR 102335059 B1 KR102335059 B1 KR 10233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battery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315A (ko
Inventor
김대현
김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2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0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계통 신호를 근거로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CAPACITY DIVIDING OF BATTERY PACK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계통 신호를 근거로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발전 시스템 및 계통과 연계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발전 시스템은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한 뒤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발전 시스템은 태양관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조력 발전 시스템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 모두를 총칭하며, 상기 계통은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을 총칭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계통이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계통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으로 공급하거나, 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된 전력이나 배터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는 각 배터리 셀의 전압, 배터리 팩의 전압 및 전류 등을 측정하여 각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팩 또는 각 배터리 셀의 상태(전압, 전류 및 온도 등)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상위의 프로세서 또는 전력변환기(PCS 또는 Inverter)로 전송하고, 이로부터 명령을 받아 배터리의 충방전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고 충방전시 배터리의 잔존 용량 등을 계산하게 된다(도 1 참조).
반면, 계통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가 작동하게 되는데, 무정전 전원 장치는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된 전력이나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은 무정전 전원 장치(UPS) 방식의 자동변환제어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거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대한 배터리가 별도로 구비되어 구성되기도 하는데(도 2 참조), 이러한 방식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은 항상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를 켜놓고 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충전기의 소비 전류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은 배터리의 용량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배터리의 용량은 사용자에 의해 탄력적으로 운용될 수 없기 때문에, 전체 부하량이 늘어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필요한 총 용량에 해당하는 새로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단순히 배터리 용량의 증가를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별도의 배터리를 연결하여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에너지 저장 장치와 별도의 배터리의 전원선을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4214호
종래의 기술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소비전력을 개선하면서 배터리 팩(또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각 셀)의 용량을 확장하거나 상기 배터리 팩에 저장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대한 배터리 팩이 별도로 구비된 시스템 내에서 실질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대한 배터리 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각각에 대한 배터리 팩을 하나로 통합하되, 계통 상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즉, 본 발명은 계통 신호를 근거로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계통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계통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통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한 배터리 팩의 가변적 용량 분배 방법에 있어서, (a) 계통으로부터 아날로그의 계통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b) 획득된 아날로그의 계통 신호를 디지털 계통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계통 신호를 계통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계통 주파수와 정격 주파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결과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각각에 대한 배터리 팩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 팩을 불필요하게 구비해야만 하는 비경제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통 상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부하량이 증가할 경우, 추가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또는 배터리 팩을 연결할 필요 없이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으로 분배할 수 있다.
게다가, 계통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즉, 정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을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통 상태 또는 전력 수요에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을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이 적용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모식도이다.
도 3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36)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계통(4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계통 감지부(31)와 연결된다.
상기 계통 감지부(31)는 계통(40)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필터부(32), 신호 변환부(33), 마이크로프로세서부(34) 및 메모리(35)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34)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34)는 상기 신호 변환부(33)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계통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34)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계통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통 감지부(31)에 포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부(34)는 계통을 감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배터리 팩(36)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기능성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34)는 계통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배터리 팩(36)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계통 감지부(31)로부터 획득한 신호(계통 주파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으로 전달되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상기 계통 주파수를 근거로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36)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36)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36)의 전체 용량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대하여 각각 적당한 수준으로 분배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배터리 팩(36)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36)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취지를 고려할 때 복수의 배터리 팩(36)의 구비에 따른 낭비를 없앨 수 있도록 단일 배터리 팩(3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팩(36)은 각각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된 용량(38)과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된 백업용 용량(37)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된 용량(38)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된 백업용 용량(37)으로 충당될 수 있으며, 이와 역으로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된 백업용 용량(37)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된 용량(38)으로 충달될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된 용량(38) 및/또는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된 백업용 용량(37)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재분배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터리 팩(36) 중 용량의 재분배 정도는 계통 감지부(31)로부터 획득한 신호(계통 주파수)를 근거로 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전력 변환 시스템(Power Conversion System; PCS) 및/또는 인버터(39)와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변환 시스템(Power Conversion System; PCS) 및/또는 인버터(39)는 계통(40)과 연계되거나 연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PCS 및/또는 인버터(39)는 발전 시스템, 계통(40) 및 배터리 팩(36)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 팩(36), 부하 또는 계통(40)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이 적용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의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계통 감지부(31)로부터 획득한 계통 주파수(Fg) 신호가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으로 전달된다(S1).
그리고,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에서 상기 계통 주파수(Fg)와 정격 주파수(Fs)의 크기를 비교한다(S2 ~ S2").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계통 주파수(Fg)와 정격 주파수(Fs)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계통이 현재 비정상 상태(예를 들어, 정전)이거나 곧 비정상 상태가 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격 주파수(Fs)는 한국전력공사에서 고시한 송, 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의 별표3. 송전용 전기설비 성능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60±0.2 Hz (비정상 상태시 62 Hz ~ 57.5 Hz까지 허용)이다.
상기 계통 주파수(Fg)와 정격 주파수(Fs)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계통 주파수(Fg)가 정격 주파수(Fs)를 초과한 경우(S2),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용량을 현 상태로 유지시킨다(S3).
이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상기 배터리 팩(36)을 충전하도록 작동한다(S4).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계통 주파수(Fg)와 정격 주파수(Fs)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계통 주파수(Fg)와 정격 주파수(Fs)가 동일한 경우(S2'),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37)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38)이 크도록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도록 작동한다(S3').
이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된 배터리 팩(38)을 방전하도록 작동한다(S4').
계통 주파수(Fg)와 정격 주파수(Fs)가 동일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현재 사용 전력량, 현재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 부하의 필요 전력량 및 과거 계통 감지부(31)로부터 획득한 신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배터리 팩(36)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계통 주파수(Fg)와 정격 주파수(Fs)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격 주파수(Fg)가 계통 주파수(Fs)를 초과한 경우(S2"),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용량(38)보다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용량(37)이 크도록 상기 배터리 팩(36)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도록 작동한다(S3").
이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30)은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된 배터리 팩(37)을 방전하도록 작동한다(S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배터리 팩을 구비하여 운영되던 종래의 시스템에서 하나의 배터리 팩만으로도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 팩을 불필요하게 구비해야만 하는 비경제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통 상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부하량이 증가할 경우, 추가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또는 배터리 팩을 연결할 필요 없이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계통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즉, 정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을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할당된 배터리 팩의 용량으로 전환함으로써 정전 가능성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계통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계통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통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계통 주파수와, 정격 주파수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계통 주파수와 상기 정격 주파수의 크기의 비교에 기반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계통 주파수와 상기 정격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현재 사용 전력량, 현재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 부하의 필요 전력량 및 과거 계통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신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감지부는, 아날로그의 계통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계통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를 계통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주파수가 상기 정격 주파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주파수가 상기 정격 주파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팩을 충전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주파수와 상기 정격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보다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이 크도록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 주파수와 상기 정격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된 상기 배터리 팩을 방전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7.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계통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계통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계통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계통 주파수와 정격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현재 사용 전력량, 현재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 부하의 필요 전력량 및 과거 계통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신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정격 주파수가 상기 계통 주파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할당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보다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되는 상기 배터리 팩의 용량이 크도록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격 주파수가 상기 계통 주파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할당된 상기 배터리 팩을 방전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1.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한 배터리 팩의 가변적 용량 분배 방법에 있어서,
    (a) 계통으로부터 아날로그의 계통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획득된 아날로그의 계통 신호를 디지털 계통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계통 신호를 계통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계통 주파수와 정격 주파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계통 주파수와 상기 정격 주파수의 크기의 비교에 기반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각각에 할당되는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계통 주파수와 정격 주파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 주파수와 상기 정격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현재 사용 전력량, 현재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 부하의 필요 전력량 및 과거 계통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신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 용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KR1020140121828A 2014-09-15 2014-09-15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KR10233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28A KR102335059B1 (ko) 2014-09-15 2014-09-15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28A KR102335059B1 (ko) 2014-09-15 2014-09-15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315A KR20160032315A (ko) 2016-03-24
KR102335059B1 true KR102335059B1 (ko) 2021-12-06

Family

ID=5565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828A KR102335059B1 (ko) 2014-09-15 2014-09-15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7339A1 (ja) * 2019-04-24 2020-10-29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システム
KR102161000B1 (ko) * 2020-02-20 2020-09-29 아이에프텍(주)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고장진단 및 장애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30055202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17B1 (ko) 2013-07-30 2013-10-29 이화전기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를 구비한 무정전전원장치의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1331183B1 (ko) 2013-06-17 2013-11-20 주식회사 이온 에너지저장 기능을 갖는 무정전전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955B1 (ko) * 2007-11-07 2009-12-10 한국전기연구원 전력계통에서의 fft를 이용한 위상추종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54944B1 (ko) * 2008-03-12 2010-04-27 이규옥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이용한 무정전시스템
KR101084214B1 (ko) 2009-12-03 2011-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174891B1 (ko) * 2010-06-01 2012-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492B1 (ko) * 2012-12-18 2014-07-08 세방전지(주)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83B1 (ko) 2013-06-17 2013-11-20 주식회사 이온 에너지저장 기능을 갖는 무정전전원장치
KR101322617B1 (ko) 2013-07-30 2013-10-29 이화전기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를 구비한 무정전전원장치의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315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501B1 (ko)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CN106816884B (zh) 能量存储系统
US10763682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884575B1 (en) Battery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battery module to a battery rack
KR101369633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851409B2 (en) Energy storage device controlling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US10298006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20176088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063447B2 (en)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same
US20150222117A1 (en) Battery tray, battery rack, energ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battery tray
JP2003244854A (ja) 蓄電装置の充放電制御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並びに電力貯蔵システム
WO200710416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 an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KR20130062894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1122681A1 (ja) 系統安定化システム、電力供給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集中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US9705361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US20150263564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40084917A (ko) 전력 관리 시스템
KR102061308B1 (ko) 배터리 관리를 위한 제어전원 공급시스템과 그 공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335059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용량의 가변적 분배 방법
US9853474B2 (en) Battery pack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020626A (ko) 축전지 상태 및 부하 전력을 고려한 고전압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US11418051B2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KR20130123851A (ko)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570172B1 (ko) 수동형 ess
KR20170036328A (ko)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