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04B1 - Antibacterial keyboard - Google Patents

Antibacterial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304B1
KR102334304B1 KR1020200106149A KR20200106149A KR102334304B1 KR 102334304 B1 KR102334304 B1 KR 102334304B1 KR 1020200106149 A KR1020200106149 A KR 1020200106149A KR 20200106149 A KR20200106149 A KR 20200106149A KR 102334304 B1 KR102334304 B1 KR 10233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key
keyboard
key button
antibacteri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지원
Original Assignee
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원 filed Critical 강지원
Priority to KR102020010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ntibacterial keyboard, which improves the antibacterial function by applying an antibacterial film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ver of a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antibacterial keyboard includes: a base; a printed circuit board seated on the base and having a key pattern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 key button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 holes exposing the key buttons of the key button array and covering the key button array to be fastened to the base, wherein a first antibacterial film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 is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Description

항균 키보드{Antibacterial keyboard}Antibacterial keyboard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가진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키보드의 인쇄회로기판과 커버에 이중으로 항균 필름을 적용하여 내부 침투한 세균(바이러스)에 대한 항균 기능을 향상시킨 항균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bacterial keyboard having improved antibacterial function against infiltrating bacteria (viruses) by applying a double antibacterial film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ver of the keyboard.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손에 가장 잘 붙어 다니기 때문에 손이 닿는 부분에 대한 항균 처리가 필요하다. 최근에 향균 효과를 가진 구리가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엘리베이터 버튼이나 도어 손잡이 부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Bacteria and viruses usually stick best to the hands, so antibacterial treatment is required on the parts you touch. Recently, copper with antibacterial effect has been produced in the form of a film and is widely used for elevator buttons and door handles.

구리(Cu)는 산화가 잘 되는 금속으로 산화 시에 주변의 산소를 빼앗아 활성산소를 만든다.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구리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세포막에 구멍이 생기고, 세포막에 생긴 구멍으로 활성산소가 들어가 내부에 있는 핵산을 파괴시킴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게 된다. Copper (Cu) is a metal that oxidizes well, and when it oxidizes, it takes away oxygen from the surroundings to create active oxygen. When bacteria or virus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pper surface, a hole is formed in the cell membrane, and active oxygen enters the hole in the cell membrane and destroys the nucleic acid inside, thereby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or viruses.

키보드의 경우도 사람의 손이 가장 많이 닿는 물건 중의 하나이므로 키보드에 대한 항균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In the case of a keyboard, it is one of the things that people touch the most, so antibacterial treatment for the keyboard is necessary.

키보드를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키보드 위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 키보드의 외관과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위생에도 매우 안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키보드에는 키보드 스킨이 씌워져 있다. When the keyboard is used for a long time, dust or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 on the keyboard, which deteriorates the appearance and durability of the keyboard and is very bad for hygiene.

선행 특허문헌에 나와 있는 기술을 보면 향균 처리된 키보드 스킨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키보드 스킨에 항균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대부분 구리 필름 등의 항균필름을 사용하는데, 항균필름이 적용된 키보드 스킨은 사용자의 키보드 터치감을 떨어뜨린다. Looking at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ior patent literature, the contents of the keyboard skin treated with antibacterial are disclosed. In order to add an antibacterial function to the keyboard skin, most antibacterial films such as copper film are used.

한편 키보드 스킨이 키보드의 내구성과 위생에 도움을 주긴 하지만 키보드를 덮고 있어서 키보드의 외관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사용자들이 키보드 스킨을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고 이런 경향은 태블릿 PC 사용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keyboard skin helps the durability and hygiene of the keyboard, it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keyboard opaque as it covers the keyboard. Due to this disadvantage, users tend not to use keyboard skins, and this trend is prominent among tablet PC users.

태블릿 PC의 경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판을 터치하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태블릿 PC용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태블릿 PC 사용자들이 키보드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고 상술한 것처럼 키보드 스킨으로 키보드 외관이 불투명하게 보이는 시각적 답답함이 있어서 키보드 스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In the case of tablet PCs, since it is inconvenient to touch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keyboards for tablet PCs are often used. However, tablet PC users often do not use keyboard skins because they have to carry keyboards with them, and as described above, keyboard skins make the appearance of the keyboard opaque, causing visual frustration.

이와 같이 태블릿 PC 사용자들 중심으로 키보드 스킨을 사용하지 않은 경향이 크기 때문에 종래 향균 처리된 키보드 스킨은 큰 의미가 없으며 대부분 키보드를 자주 닦아 주는 정도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since there is a large tendency for tablet PC users not to use keyboard skins, conventional antibacterially treated keyboard skins do not have much meaning, and most of them can be replaced by wiping the keyboard frequently.

이처럼 사용자가 키보드 위를 닦아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키보드의 키 버튼 사이에 있는 틈으로 들어간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As such, it is not difficult for a user to wipe the top of the keyboard to remove bacteria or viruses, but it is not easy to remove bacteria or viruses that have entered the gap between the key buttons of the keyboard.

키보드 내부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키보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바깥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 특히 휴대용 키보드의 경우 손으로 들고 다니면서 뒤집어지고 흔들리기 때문에 키보드 내부로 들어간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바깥으로 떨어져 나올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Bacteria or viruses inside the keyboard are more likely to come out due to the impact applied to the keyboar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ortable keyboard, it is turned over and shaken while holding it by h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that bacteria or viruses that have entered the keyboard will fall out.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026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02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보드 내부로 들어간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시 나오더라도 증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kill bacteria or viruses that have entered the keyboard so that they do not multiply even if bacteria or viruses come out again due to external shock or shaking.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키보드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며 상면에 키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키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키 버튼 어레이와, 상기 키 버튼 어레이의 키 버튼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키 버튼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 버튼 어레이를 덮어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키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1 항균필름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ase, a printed circuit board seated on the base and having a key patter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 and a ke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 are formed, including a button array,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 holes exposing the key buttons of the key button array, and covering the key button array to be fastened to the b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is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여기서, 상기 키 버튼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2 항균필름이 상기 커버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hol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이때, 상기 커버가 상기 키 버튼 어레이를 덮어 상기 키 버튼 구멍으로 상기 키 버튼이 노출될 때, 상기 제2 항균필름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가 상기 키 버튼 구멍의 크기보다 작아 상기 키 버튼 구멍의 면적에서 상기 키 버튼의 점유 면적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2 항균필름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cover covers the key button array and the key button is exposed through the key button hole, the size of the hole formed in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key button hole in the area of the key button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ther than the occupied area of the key button is blocked by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한편, 상기 제1 항균필름 및 상기 제2 항균필름에는 기포가 형성되어 있거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and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air bubbles are formed, or hol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키보드 내부로 들어가면 항균필름에 의해 사멸되기 때문에 내부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시 외부로 나오더라도 감염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bacteria or viruses enter the keyboard, they are killed by the antibacterial film, so even if the bacteria or viruses inside the keyboard come out again, the problem of infection does not occur.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내면에 부착되는 항균필름의 구멍 크기가 커버의 키 버튼 구멍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키 버튼 구멍에 키 버튼이 삽입될 때 발생하는 틈이 항균필름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종래에 그 틈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들어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le size of the antibacterial film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key button hole of the cover, the gap that occurs when the key button is inserted into the key button hole is blocked by the antibacterial film.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bacteria or viruses entering through the gap.

즉, 본 발명은 키 버튼 구멍의 틈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틈을 차단하는 항균필름이 1차적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고, 또한 틈을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내부로 들어와도 키보드의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착된 항균필름이 2차적으로 키보드 내부로 들어온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항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bacteria or viruses enter the gap of the key button hole, the antibacterial film that blocks the gap primarily kills bacteria or viruses, and also, even if bacteria or viruses enter the inside through the gap,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keyboard Since the antibacterial film attached to the top can secondarily kill bacteria or viruses that have entered the keyboard,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antibacterial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키보드의 부품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키보드의 커버 내면에 항균필름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키보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arts of an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2 is a view showing an antibacterial film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of the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antibacteri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each drawing, lik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이나 "…부" 또는 "…부재"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성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이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part” or “…member”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have a meaning or role that is distinct from each other by itself. not to hav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ubstitut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키보드의 부품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state in which parts of an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키보드는 키보드의 밑면인 베이스(10), 키 패턴(22)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20), 인쇄회로기판(20)의 키 패턴(22)에 장착되는 키 버튼 어레이(40) 및 키 버튼 어레이(40)를 덮어 베이스(10)와 체결되는 커버(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10, which is the underside of the keyboard, a printed circuit board 20 on which a key pattern 22 is formed, and a key pattern 22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t includes a key button array 40 mounted on the , and a cover 60 that covers the key button array 40 and is coupled to the base 10 .

베이스(10)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20) 및 키 버튼 어레이(40)를 수용하고, 커버(60)는 베이스(10)와 체결됨으로써, 베이스(10)와 커버(60)가 항균 키보드의 케이스를 구성하게 된다. The base 10 accommodates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the key button array 40 therein, and the cover 60 is fastened to the base 10 so that the base 10 and the cover 60 are connected to the antibacterial keyboard. construct the case.

키 버튼 어레이(40)는 키 패턴(22)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버튼(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60)에는 키 버튼 어레이(40)의 키 버튼(4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키 버튼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The key button array 4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 buttons 42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s 22 . A plurality of key button holes 62 for exposing the key buttons 42 of the key button array 40 to the outside are formed in the cover 6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20) 위에는 제1 항균필름(30)이 부착되고, 커버(60)의 내면에는 제2 항균필름(50)이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항균필름(30, 60)으로 산화력이 뛰어난 구리필름을 사용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30 is attach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 and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6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pper film having excellent oxidizing power is used as the antibacterial films 30 and 60 .

제1 항균필름(30)에는 키 패턴(22)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20) 위에 제1 항균필름(30)을 부착할 때 필름 구멍(32) 안으로 키 패턴(22)이 들어가도록 제1 항균필름(30)의 부착 위치를 조정한다. A plurality of holes 32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 22 are formed in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30 . When attaching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30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30 is adjusted so that the key pattern 22 enters the film hole 3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키보드의 커버 내면에 항균필름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antibacterial film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of the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a)는 커버(60)와 제2 항균필름(50)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이고, (b)는 커버(60)의 내면에 제2 항균필름(50)이 부착되어 있는 모습니다. 2, (a) is a state in which the cover 60 and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are separated, (b) is a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60, there seems to be.

제2 항균필름(50)에는 커버(60)의 키 버튼 구멍(62)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60)의 내면에 제2 항균필름(50)을 부착할 때, 키 버튼 구멍(62)에 필름 구멍(52)이 위치하도록 제2 항균필름(50)의 부착 위치를 조정한다. A plurality of holes 52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holes 62 of the cover 60 are formed in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 When attaching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60,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is adjusted so that the film hole 52 is located in the key button hole 62.

커버(60)의 내면에 제2 항균필름(50)이 부착되면, 키 버튼 구멍(62)의 면적에서 키 버튼(42)이 점유하는 면적을 제외한 부분 즉, 커버(60)와 키 버튼(62) 간의 틈(62a)까지 제2 항균필름(50)이 도달하게 된다. When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60 , the area excluding the area occupied by the key button 42 from the area of the key button hole 62 , that is, the cover 60 and the key button 62 . ) to the gap (62a) between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is reached.

다시 말해서 제2 항균필름(50)에 형성된 구멍(52)의 크기가 키 버튼 구멍(62)의 크기보다 작아서, 커버(60)가 키 버튼 어레이(40)를 덮어 키 버튼 구멍(62)으로 키 버튼(42)이 노출될 때, 각 키 버튼 구멍(62)에 발생하는 틈(62a)이 제2 항균필름(50)에 의해 차단된다.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hole 52 formed in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key button hole 62 , so that the cover 60 covers the key button array 40 and provides a key to the key button hole 62 . When the button 42 is exposed, the gap 62a generated in each key button hole 62 is blocked by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키보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3 shows a cross-section of an antibacterial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20) 위에 제1 항균필름(30)이 부착되어 있고, 커버(60)의 키 버튼 구멍(62) 안으로 키 버튼(42)이 노출되어 있을 때, 커버(60)의 내면에 부착된 제2 항균필름(50)이 키 버튼 구멍(62) 내의 틈(62a)까지 도달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30 is attach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 and the key button 42 is exposed into the key button hole 62 of the cover 60 , the cover (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60) reaches to the gap (62a) in the key button hole (62).

이와 같이 키 버튼 구멍(62)과 키 버튼(42) 간의 크기 차로 인해 발생하는 간격(틈)이 제2 항균필름(5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종래 그 틈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들어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gap (gap) caused by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key button hole 62 and the key button 42 is blocked by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conven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teria or viruses from entering the gap. can

키 버튼 구멍(62)의 틈(62a)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1차적으로 제2 항균필름(50)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고, 또한 제2 항균필름(50)이 차단하지 못한 미세한 틈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인쇄회로기판(20) 위에 부착된 제1 항균필름(30)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접촉되기 때문에 2차적으로 제1 항균필름(30)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다. When bacteria or viruses enter the gap 62a of the key button hole 62,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primarily kills the germs or viruses, and also a minute gap that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50 cannot block. Even when bacteria or viruses ent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 since bacteria or virus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30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30 can secondarily kill the bacteria or viruse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 of the antibacteri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항균필름(30, 50)은 일반적인 구리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a)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기포(32)가 형성된 구리필름을 사용하거나, (b)와 같이, 일정한 패턴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구멍(34)이 형성된 구리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4, the antibacterial films 30 and 50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general copper film, but as (a), a copper film in which various types of bubbles 32 are formed, or , (b), a copper film having holes 34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used.

(a) 또는 (b)와 같이 기포나 구멍이 형성된 항균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항균필름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접촉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an antibacterial film with bubbles or holes is used as in (a) or (b), the surface area of the antibacterial film can be widened,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ntact with bacteria or viru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키보드의 인쇄회로기판 위에 1개의 항균필름을 부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항균필름을 부착할 수 있고 이 경우 일반적인 항균필름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 또는 구멍이 형성된 항균필름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antibacterial film is attach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keyboar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antibacterial films can be attached. Antibacterial films with bubbles or holes can be used in combination.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베이스 20: 인쇄회로기판
30: 제1 항균필름 40: 키 버튼 어레이
50: 제2 항균필름 60: 커버
10: base 20: printed circuit board
30: first antibacterial film 40: key button array
50: second antibacterial film 60: cover

Claims (5)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며 상면에 키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키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키 버튼 어레이와,
상기 키 버튼 어레이의 키 버튼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키 버튼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 버튼 어레이를 덮어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키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1 항균필름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키 버튼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제2 항균필름이 상기 커버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가 상기 키 버튼 어레이를 덮어 상기 키 버튼 구멍으로 상기 키 버튼이 노출될 때, 상기 제2 항균필름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가 상기 키 버튼 구멍의 크기보다 작아 상기 키 버튼 구멍의 면적에서 상기 키 버튼의 점유 면적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2 항균필름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키보드.
bas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seated on the base and having a key pattern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 key button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 an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 holes exposing the key buttons of the key button array and covering the key button array and fastened to the base;
A first antibacterial film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key pattern is attach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antibacterial film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hol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
When the cover covers the key button array and the key button is exposed through the key button hole, the size of the hole formed in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key button hole so that the key in the area of the key button hole Antibacteri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except for the area occupied by the button is blocked by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균필름 및 상기 제2 항균필름에 기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키보드.
According to claim 1,
Antibacteri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air bubb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and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균필름 및 상기 제2 항균필름에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구멍이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키보드.
According to claim 1,
Antibacterial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tibacterial film and the second antibacterial film are formed in a uniform pattern.
KR1020200106149A 2020-08-24 2020-08-24 Antibacterial keyboard KR102334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49A KR102334304B1 (en) 2020-08-24 2020-08-24 Antibacterial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49A KR102334304B1 (en) 2020-08-24 2020-08-24 Antibacterial key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304B1 true KR102334304B1 (en) 2021-12-01

Family

ID=7889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149A KR102334304B1 (en) 2020-08-24 2020-08-24 Antibacterial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108A (en) * 1997-10-09 1999-04-27 Kawakami Sangyo Kk Antifungal foamed sheet
JP2007058297A (en) * 2005-08-22 2007-03-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Keyboard cover sheet and elastomer sheet
KR20110080266A (en) 2010-01-05 2011-07-13 박경득 Antibiotic treating keyboard cover
JP2014219965A (en) * 2013-05-03 2014-11-20 徐 雲恒Yun−Heng,Shiu Keyboard top cover and light-emitting keyboard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108A (en) * 1997-10-09 1999-04-27 Kawakami Sangyo Kk Antifungal foamed sheet
JP2007058297A (en) * 2005-08-22 2007-03-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Keyboard cover sheet and elastomer sheet
KR20110080266A (en) 2010-01-05 2011-07-13 박경득 Antibiotic treating keyboard cover
JP2014219965A (en) * 2013-05-03 2014-11-20 徐 雲恒Yun−Heng,Shiu Keyboard top cover and light-emitting keyboard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3331C (en) Cover plat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push-through dial keypad
US20090231792A1 (en) User interface component with a removable cover
KR102334304B1 (en) Antibacterial keyboard
USD502180S1 (en) Ergonomic two-thumb keyboard
KR102636532B1 (en) input device
US20080047814A1 (en) Keypad and compact video device equipped therewith, provided with a screen
US20010005198A1 (en) Mouse for computer having an open/close click-button covers
TWI672714B (en) Keyboard and key structure thereof
KR20010030246A (en) Keypad with multi-directional rocker button having enhanced tactility
TWM279963U (en) Improved pushbutton switch structure of control panel
KR20020053004A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device which forms a control button
JPH01176615A (en) Double-sided input switch
KR101150211B1 (en) Keyboard
JPH0428076Y2 (en)
KR101165944B1 (en) Keyboard
KR200390744Y1 (en)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Keypad
KR200324637Y1 (en) The Keyboard device of personal computer for disabled person
US8058573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press panel
KR100664163B1 (en) Monolithic key pad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5189909A (en) Keyboard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566016B2 (en) Small electronic equipment
KR200386664Y1 (en) An electron product structure
KR200335894Y1 (en) Structure of cover for keyboard
KR200248311Y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number button for telephone
JP2006042215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