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758B1 -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758B1
KR102333758B1 KR1020210110512A KR20210110512A KR102333758B1 KR 102333758 B1 KR102333758 B1 KR 102333758B1 KR 1020210110512 A KR1020210110512 A KR 1020210110512A KR 20210110512 A KR20210110512 A KR 20210110512A KR 102333758 B1 KR102333758 B1 KR 10233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ircuit breaker
breaker
disconnector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운성
손동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원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1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H02B15/02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with mimic diagr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모선 1.5차단방식 변전소의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다양한 계통연계조건에서 계통전압 선택회로를 디지털기법을 통하여 단순, 간소화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 및 중전기기 손상 예방을 예방할 수 있는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Grid voltage selection circuit of breaker for grid connection}
본 발명은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모선 1.5차단방식 345kV 변전소의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다양한 계통연계조건에서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 및 전력기기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법을 이용하여 단순화시킨 계통전압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쇼핑센터, 사무실 및 각 가정 등의 최종 소비자가 사용하는 전기는 전력수요지 인근에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로부터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계통의 중심에 있는 변전소는 전력설비에 대한 감시, 보호 및 제어 등의 운영과 관련된 장치들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2005년에 제정된 IEC 61850 변전자동화 국제규격은 변전소의 정보제공 방법을 표준화하여 이기종간의 상호운용성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최신의 IT기술의 적용으로 물리적인 신호의 전송을 디지털 신호의 전송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변전소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송전선로 또는 전력기기를 계통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기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전력계통의 전압, 위상, 주파수 및 상회전이 일치하여야 한다.
만일 상기의 계통병입 조건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통에 연결할 경우 비동기투입 상태가 되어 차단기에서 단락사고와 같은 큰 아크가 발생하거나 전력기기에 커다란 전기적 충격이 가해져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복모선 1.5차단방식(2B-1.5CB)과 분기모선(Bay)이 여러 개 적용된 변전소의 경우 계통연결을 위한 조건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며, 다양한 계통연계조건에서 계통전압 선택회로 구성시 많은 제어케이블(銅케이블)과 보조릴레이가 소요되고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계통연계장치의 고장요인 발생 및 과다한 구리케이블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701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5257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모선 1.5차단방식 345kV 변전소의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다양한 계통연계조건에서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 및 전력기기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디지털기법을 이용하여 단순화시킨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제1 모선측에 구비되는 제1 차단기; 제2 모선측에 구비되는 제2 차단기; 상기 제1 차단기와 상기 제2 차단기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차단기; 상기 제1 차단기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단로기; 상기 제2 차단기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단로기; 상기 제3 차단기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단로기; 제1 송전선로에 구비되는 제4 단로기; 및 제2 송전선로에 구비되는 제5 단로기;를 포함한다.
상기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상기 제1 차단기, 상기 제2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의 계통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제1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 제1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 제1 모선-제2 모선 전압, 제2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 및 제2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보조계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한 쌍의 상기 제1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 AND 게이트;
한 쌍의 상기 제2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3 AND 게이트;
한 쌍의 상기 제3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2 AND 게이트;
상기 제1 AND 게이트 및 상기 제2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4 AND 게이트;
상기 제2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5 AND 게이트;
상기 제3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6 AND 게이트;
상기 제4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7 AND 게이트;
상기 제7 AND 게이트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8 AND 게이트;
상기 제6 AND 게이트, 상기 제4 단로기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5 AND 게이트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0 AND 게이트;
상기 제4 단로기, 상기 제5 단로기 및 상기 제2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1 AND 게이트;
상기 제5 단로기 및 상기 제3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2 AND 게이트;
상기 제1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3 AND 게이트;
상기 제8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4 AND 게이트;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2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5 AND 게이트;
상기 제8 AND 게이트 및 상기 제1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6 AND 게이트;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2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7 AND 게이트;
상기 제10 AND 게이트 및 상기 제2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8 AND 게이트;
상기 제10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9 AND 게이트; 및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20 AND 게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계통연계 제어회로를 디지털 기법을 이용하여 단순, 간소화함으로써 계통연계 제어장치의 고장요인 감소 및 신뢰도 향상으로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계통연계시 비동기 투입에 의한 주요 전력기기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제어케이블과 보조릴레이가 감소되어 모자익반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가 실제 구현된 축소형 모자이크 배전반(Mimic Mosaic Panel)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출력접점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결 관련 종합 다이어그램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345kV 축소형 모자이크 배전반(Mimic Mosaic Panel)의 완전 디지털화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모자이크 배전반에서 계통병입(Synchro) 배전반으로 연계된 하드웨어 케이블을 제거하고, 계통병입의 병입 조건을 좀 더 안정화된 계통병입장치(계통병입 체크 기능을 포함하는 PLC와 유사한 시스템)의 내장을 통해 2중화를 구현하여 축소형 모자이크 배전반 제어설비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제1 모선측에 구비되는 제1 차단기(110), 제2 모선측에 구비되는 제2 차단기(120), 상기 제1 차단기(110)와 상기 제2 차단기(120)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차단기(130), 상기 제1 차단기(110)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단로기(210), 상기 제2 차단기(120)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단로기(220), 상기 제3 차단기(130)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단로기(230), 제1 송전선로에 구비되는 제4 단로기(240) 및 제2 송전선로에 구비되는 제5 단로기(2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제1 모선(345kV #1 BUS)과 제2 모선(345kV #2 BUS) 사이에 세 개의 차단기가 구비되고, 각각의 차단기의 양 단에는 한쌍의 단로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단기(Circuit Breaker, CB)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로, 정상상태의 전로 뿐만 아니라 이상상태, 특히 단락상태의 전로도 개폐할 수 있다.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DS)는 부하전류를 제거한 후 회로를 격리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충전된 전로(電路)를 개폐하여 회로의 접속변경, 구분이나 차단기 등의 점검보수시 전원으로부터 분리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가 SYNCHRO반(Digital Synchro Panel)과 통합된 모자익(MOSAIC) 배전반의 실제 구현된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EC 61850 국제 표준에서는 변전소를 스위치구성, 변압기, 모선 등 작은 단위를 통해 단선도를 분할하여 표현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집합체를 베이(Bay)라 정의한다. 베이는 전압 레벨에 포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전압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변전소는 여러 개의 베이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변전소는 345kV 계통에 총 4개의 베이(7100, 7200, 7300, 740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51 및 7□61는 도 1의 한 쌍의 제1 단로기(210)이다.
7□01 및 7□02는 도 1의 제3 단로기(230)이다.
7□52 및 7□62는 도 1의 제2 단로기(220)이다.
7□21은 제1 송전선로에 구비된 제4 단로기(240)이며, 7□22는 제2 송전선로에 구비된 제5 단로기(250)이다.
7□71은 제1 차단기(110), 7□72는 제2 차단기(120), 7□00은 제3 차단기(130)를 의미한다.
여기서, 첫 번째 문자열에 표기된 숫자 7은 전압레벨을 의미하며, 7은 전압이 345kV임을 나타낸다.
두 번째 문자열에 표기된 도형 □는 일반적인 베이를 나타내는 부호로, 예컨대 두번째 베이인 경우 도 3의 좌측 상단에 도시된 7□51는 7251로 정의된다.
세 번째 문자열에 표기된 숫자들은 특정의 개폐기가 속하는 군을 의미한다. 이때, 군이라 함은 발전기, 변압기, 모선연결 등과 같이 개폐기가 속하는 역할의 범위를 나타낸다. 각각의 숫자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표 1]
Figure 112021096448053-pat00001
네 번째 문자열에 표기된 숫자들은 개폐기가 속하는 회로에 있어 그 개폐기의 주 역할 또는 위치를 의미한다. 각각의 숫자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표 2]
Figure 112021096448053-pat00002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이러한 차단기 및 단로기가 논리게이트인 AND게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한 쌍의 상기 제1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 AND 게이트(G1), 한 쌍의 상기 제2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2 AND 게이트(G3), 한 쌍의 상기 제3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3 AND 게이트(G2), 상기 제1 AND 게이트 및 상기 제2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4 AND 게이트(G4), 상기 제2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5 AND 게이트(G5), 상기 제3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6 AND 게이트(G6), 상기 제4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7 AND 게이트(G7), 상기 제7 AND 게이트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8 AND 게이트(G8), 상기 제6 AND 게이트, 상기 제4 단로기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9 AND 게이트(G9), 상기 제5 AND 게이트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0 AND 게이트(G10), 상기 제4 단로기, 상기 제5 단로기 및 상기 제2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1 AND 게이트(G11), 상기 제5 단로기 및 상기 제3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2 AND 게이트(G12), 상기 제1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3 AND 게이트(G13), 상기 제8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4 AND 게이트(G14),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2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5 AND 게이트(G15), 상기 제8 AND 게이트 및 상기 제1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6 AND 게이트(G16),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2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7 AND 게이트(G17), 상기 제10 AND 게이트 및 상기 제2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8 AND 게이트(G18), 상기 제10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9 AND 게이트(G19) 및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20 AND 게이트(G2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제7 AND 게이트(G7)는 제4 AND 게이트(G4)의 출력인 A+B와 제1 송전전로측에 표시된 제4 단로기(240)의 출력의 논리곱을 구현하는 디지털 논리 게이트이다.
여기서, 입력되는 숫자에 21과 같이 언더바(Underbar)가 있는 경우 7□21 단로기가 개방(open)된 상태임을 의미하며, 입력되는 숫자에 21와 같이 언더바 가 없는 경우 7□21단로기가 폐쇄(Close)된 상태임을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상기 제1 차단기, 상기 제2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의 계통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제1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1B1L), 제1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1B2L), 제1 모선-제2 모선 전압(1B2B), 제2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2B1L) 및 제2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2B2L)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복수의 보조계전기(325-152X, 325-152Y, 325-152Z, 325-252X, 325-252Y, 325-252Z, 325-252Z1, 325-352X, 325-352Y, 325-352Z)를 더 포함한다.
제1 차단기(7□71)를 계통연결(Synchro)하기 위해서는 제1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 제1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 및 제1 모선-제2 모선 전압이 입력되어야 하는데, 세 개의 보조계전기(325-152X, 325-152Y, 325-152Z)가 구비된다.
여기서, 325-152X 보조계전기는 제1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을 취득하고, 325-152Y 보조계전기는 제1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을 취득하고, 325-152Z 보조계전기는 제1 모선-제2 모선 전압을 취득한다.
325-152X 보조계전기는 제21 AND 게이트에 연결되며, 제21 AND 게이트는 제1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1B1L)을 출력하는 제13 AND 게이트(G13) 및 7□71 SY 출력접점의 논리곱을 구현한다.
여기서 7□71 SY출력접점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제1 송전선로, 제2 송전선로, 두 개의 - Voltage Selection, 두 개의 차단기 닫힘 회로, 1개의 로직 회로, 1개의 계통병입 램프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결 관련 종합 다이어그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의 좌측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입력부는 D1의 계통연결을 위해 검출되는 전압 부분으로, 예컨대 1B1L, 1B2B, 1B2L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조건 입력부는 D1 및 D2에서 원격 감시 제어(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시스템 및 모자익(MOSAIC) 판넬에서 계통 연결을 위한 전압 조건과 차단기 운전 조건을 설정한다.
조건 판단부는 D1 및 D2의 조건 입력부에서 입력된 조건과 전압 입력부에서 검출된 입력전압에 근거하여 양단 전력 계통의 동기 여부를 판단한다.
전압 판단부는 D1 및 D3에서 해당 차단기를 계통 연결을 위해 검출된 전압차(Vdif)가 설정부에서 지정한 전압과의 차이를 판단한다.
동기 판단부는 D3에서 25 Syn. Check Relay 접점 양단 계통(#1Bus 및 #1 T/L)으로부터 동상(同相,in phase)의 전압을 각각 입력받은 전압 입력부로부터 양단 전압의 전위차(Vdif,△V)를 이용하여 양단 전압의 동기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으로 양단 전압의 전위차(Vdif)가 전압 설정치 이내이면 동기 상태로 판단한다.
설정부는 D3에서 양단 전압의 전위차(Vdif)를 설정한다.
출력부는 D3에서 양계통 연결 조건을 만족하여 차단기 투입회로에 투입 신호를 보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복모선 1.5차단방식(2B-1.5CB)과 분기모선(Bay)이 여러 개 적용된 변전소의 다양한 계통연계조건에서 계통연계 제어회로를 단순, 간소화하고 모자이크반에서 계통연계 보호반으로 연계된 제어케이블을 제거하고 로직화함으로써 계통연계 제어회로의 2계열화를 통한 고장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계통연계 제어장치의 신뢰도 향상으로 전력계통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 차단기
120: 제2 차단기
130: 제3 차단기
210: 제1 단로기
220: 제2 단로기
230: 제3 단로기
240: 제4 단로기
250: 제5 단로기

Claims (3)

  1. 제1 모선측에 구비되는 제1 차단기;
    제2 모선측에 구비되는 제2 차단기;
    상기 제1 차단기와 상기 제2 차단기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차단기;
    상기 제1 차단기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단로기;
    상기 제2 차단기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단로기;
    상기 제3 차단기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단로기;
    제1 송전선로에 구비되는 제4 단로기;
    제2 송전선로에 구비되는 제5 단로기; 및
    상기 제1 차단기, 상기 제2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의 계통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제1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 제1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 제1 모선-제2 모선 전압, 제2 모선-제1 송전선로 전압 및 제2 모선-제2 송전선로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보조계전기;를 포함하는,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에 있어서,
    상기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는,
    한 쌍의 상기 제1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 AND 게이트;
    한 쌍의 상기 제2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2 AND 게이트;
    한 쌍의 상기 제3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3 AND 게이트;
    상기 제1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4 AND 게이트;
    상기 제2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5 AND 게이트;
    상기 제3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6 AND 게이트;
    상기 제4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7 AND 게이트;
    상기 제7 AND 게이트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8 AND 게이트;
    상기 제6 AND 게이트, 상기 제4 단로기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5 AND 게이트 및 상기 제5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0 AND 게이트;
    상기 제4 단로기, 상기 제5 단로기 및 상기 제2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1 AND 게이트;
    상기 제5 단로기 및 상기 제3 AND 게이트에 연결되는 제12 AND 게이트;
    상기 제1 AND 게이트 및 상기 제4 단로기에 연결되는 제13 AND 게이트;
    상기 제8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4 AND 게이트;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2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5 AND 게이트;
    상기 제8 AND 게이트 및 상기 제1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6 AND 게이트;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2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7 AND 게이트;
    상기 제10 AND 게이트 및 상기 제2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8 AND 게이트;
    상기 제10 AND 게이트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19 AND 게이트; 및
    상기 제9 AND 게이트, 상기 제1 차단기 및 상기 제3 차단기에 연결되는 제20 AND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0512A 2021-08-20 2021-08-20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KR10233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512A KR102333758B1 (ko) 2021-08-20 2021-08-20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512A KR102333758B1 (ko) 2021-08-20 2021-08-20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758B1 true KR102333758B1 (ko) 2021-12-01

Family

ID=7890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512A KR102333758B1 (ko) 2021-08-20 2021-08-20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894B1 (ko) * 2022-10-26 2023-06-05 주식회사 무원이앤씨 발전소 동기발전의 변전소 전력계통 연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054Y2 (ja) * 1988-03-04 1997-10-22 大阪瓦斯株式会社 連系保護リレー装置
KR20070010832A (ko) * 2005-07-20 2007-01-24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선로 부하공급 차단기
KR100897015B1 (ko) 2008-12-24 2009-05-14 이현우 계통연계 출력전압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557087B1 (ko) * 2015-05-12 2015-10-19 한국전력공사 비동기 투입방지용 차단장치
KR101752572B1 (ko) 2014-12-10 2017-06-29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2개의 서브 전기 계통을 분리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KR20210046165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전력공사 송배전 부하전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054Y2 (ja) * 1988-03-04 1997-10-22 大阪瓦斯株式会社 連系保護リレー装置
KR20070010832A (ko) * 2005-07-20 2007-01-24 한국전력공사 송배전선로 부하공급 차단기
KR100897015B1 (ko) 2008-12-24 2009-05-14 이현우 계통연계 출력전압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52572B1 (ko) 2014-12-10 2017-06-29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2개의 서브 전기 계통을 분리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KR101557087B1 (ko) * 2015-05-12 2015-10-19 한국전력공사 비동기 투입방지용 차단장치
KR20210046165A (ko) * 2019-10-18 2021-04-28 한국전력공사 송배전 부하전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894B1 (ko) * 2022-10-26 2023-06-05 주식회사 무원이앤씨 발전소 동기발전의 변전소 전력계통 연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rauss Practical electrical network auto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US10923888B2 (en) Interchangeable switchgear modules and related systems
KR102333758B1 (ko) 계통연계용 차단기의 계통전압 선택회로
US8817444B2 (en) Control arrangement
KR102333750B1 (ko) 복모선 1.5차단방식 변전소의 계통연계 제어회로
WO2003090397A2 (en) Wide area network as applied to switchyard/substation control design
Esmeraldo et al. Circuit-breaker requirements for alternative configurations of a 500 kV transmission system
Tobias et al. Improved quality of supply in MV distribution networks using directional blocking scheme
KR102539894B1 (ko) 발전소 동기발전의 변전소 전력계통 연계장치
Meena et al. Unsymmetrical fault analysis & protection of the existing power system
CN111224384A (zh) 比较线路两侧线电压向量差采用合解环操作断线保护方法
CN100411272C (zh) 高压线路中引入第二路电力线进行无中断切换的方法
WO2014201475A1 (en) Ring main unit
EP2408075A1 (en) Air-insulated switchgear
US2300465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EP1155486B1 (en) Medium voltage switching device
Whittaker Protection co-ordinated with communication and control
Filimonenko et al. Peculiarities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Relay Protection of a Transformer Substation
Loukkalahti et al. Digitalization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The Kalasatama smart grid project
US1155134A (en) Means for protecting electrical systems.
Ma et al. Innovative MV switchgear for today's applications
CN104037622A (zh) 一种两进两出带分段的配电站
CN1146084A (zh) 气体绝缘式传输线
Blower Progress in distribution switchgear
Briscombe et al. Stanford University Palou Substation Modernization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