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696B1 -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 Google Patents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696B1
KR102333696B1 KR1020200009973A KR20200009973A KR102333696B1 KR 102333696 B1 KR102333696 B1 KR 102333696B1 KR 1020200009973 A KR1020200009973 A KR 1020200009973A KR 20200009973 A KR20200009973 A KR 20200009973A KR 102333696 B1 KR102333696 B1 KR 10233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ank
air
discharge pipe
solenoid valv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470A (ko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케이
Priority to KR102020000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6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가스 충전이 필요 없이 자동 충전이 가능하여 무대 세팅을 보다 수월하게 하고, 자동 충전 시 소음이 최소화되며, 무제한 및 연발로 에어 샷을 분출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에 공기를 자동 충전시켜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냉동기 컴프레셔; 상기 에어탱크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하고, 개방 시 상기 에어탱크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NOISELESS AUTOMATIC CHARGING CANNON SHO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연장이나 시상식장에서는 세레머니 연출이나 특수 효과를 연출하기 위하여 에어탱크가 부착된 장비에 가스(이산화탄소가스 혹은 질소)를 주입하고, 주입된 가스를 이용하여 분출물(꽂가루, 릴테잎 또는 물)을 분출하는 무대연출용 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무대연출용 가스주입 분출 장치는 에어샷, 캐논샷 또는 에어캐논이라고 불리며, 강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분출물을 분출하는 용도로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샷 장치의 구조는 질소 가스나 이산화탄소 가스를 수용하는 탱크와, 탱크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분출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된다. 이때,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는 분출물(꽂가루, 릴테잎 또는, 물)을 공중에 흩날리도록 함으로써, 무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에어샷 장치 질소 가스(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로 탱크를 충전한 후 발사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질소 가스(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소모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유지비가 발생된다.
또한, 탱크의 압력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며, 질소 가스(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전부 소진한 경우 해당 가스통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특히 질소가스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질소 가스 탱크로 인해 세팅 장비가 증가하게 되어 그에 따른 무대 세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84382호(등록일자: 2011년11월10일) 등록특허공보 제10-1059326호(등록일자: 2011년08월1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가스 충전이 필요 없이 자동 충전이 가능하여 무대 세팅을 보다 수월하게 하고, 자동 충전 시 소음이 최소화되며, 무제한 및 연발로 에어 샷을 분출할 수 있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는,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에 공기를 자동 충전시켜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냉동기 컴프레셔; 상기 에어탱크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하고, 개방 시 상기 에어탱크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과 외부의 수조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하고, 개방 시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배출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여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배출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점멸 개수 및 점등색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상기 배출관 내부로 유입된 물의 양을 표시하는 수위표시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다수개가 상기 에어탱크의 외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탱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단위에어탱크가 서로 직렬로 결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단위에어탱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탱크 중 상호 결합되는 제1 단위에어탱크와 제2 단위에어탱크 간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의 원형 측부 중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와 선 접촉하는 제1 원호부에는, 상기 제1 원호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원호부에 대하여 수직 돌출된 다수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된 다수의 제1 롤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의 원형 측부 중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원호부와 선 접촉하는 제2 원호부에는, 상기 제2 원호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원호부에 대하여 수직 돌출된 다수의 제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된 다수의 제2 롤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롤 베어링과,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제2 롤 베어링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에는,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와 접촉하는 원형의 제1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에는,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와 접촉하는 원형의 제2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의 중심에는 제1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의 중심에는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호 연통되는 제2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는,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기 제2 결합 홀에 삽입 개재되고, 중심부가 볼록한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와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의 내부 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홀이 구비된 연통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는,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기 제2 결합 홀의 각 내측을 따라 형성되어 하나로 홈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외주연 중심부를 상기 연통부재의 횡방향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된 링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와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통부재의 연결 홀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가스 충전이 필요 없이 자동 충전이 가능하여 무대 세팅을 보다 수월하게 하고, 자동 충전 시 소음이 최소화되며, 무제한 및 연발로 에어 샷을 분출할 수 있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워터 캐논 구성이 추가 구비된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어탱크의 회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S부분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위에어탱크의 측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위에어탱크의 측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탱크의 회전 구성에 의한 배출관의 틸팅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워터 캐논 구성이 추가 구비된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100)는 에어탱크(110), 냉동기 컴프레셔(120), 배출관(130),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40),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150),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160),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에어탱크(110)의 회전 구성에 따라 연통부재(180)와 링 베어링(19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탱크(110)는 공기를 수용하며 냉동기 컴프레셔(120)에 의해 공기가 자동 충전되어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탱크(110)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사양에 따라 다수 개가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탱크(110)의 결합 구조에 따른 회전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냉동기 컴프레셔(120)는, 에어탱크(110)와 연결되며, 에어탱크(110)에 공기를 자동 충전시켜 공기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냉동기 컴프레셔(120)는 냉동기기에 적용되는 컴프레셔로, 일반적인 에어 컴프레셔보다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무소음에 가깝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냉동기 컴프레셔(120)는 에어탱크(110)를 상시 자동 충전하여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질소 가스 탱크에 의한 가스 충전이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해 발사 횟수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가스 통과 배관 연결 등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무데 세팅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에어탱크(110)의 용량과 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배출관(130)을 다수 개 설치할 수 있으며, 연발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130)는, 에어탱크(110)에 외측 결합되어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130)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에어탱크(110)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에어탱크(110)로부터 배출되는 꽂가루, 릴테잎 또는 물 등의 분출물을 일정한 방향과 위치로 토출되도록 한다. 배출관(130)의 멀티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에어탱크(110)와 배출관(13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하고, 개방 시 에어탱크(110)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를 배출관(130)으로 배출하며, 폐쇄 시 에어탱크(110)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가 배출관(130)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배출관(130)과 마찬가지로 에어탱크(1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150)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150)이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을 적용한 무선 방식의 통신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추가 배선 연결을 제거함으로써 무대 세팅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배출관(130)과 외부의 수조(10)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하고, 개방 시 수조에 수용된 물을 배출관(130)으로 배출하도록 하며, 폐쇄 시 배출관(13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170)는,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16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170)이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160)와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을 적용한 무선 방식의 통신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추가 배선 연결을 제거함으로써 무대 세팅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배출관(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뿐만 아니라 물의 분사도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위센서(131)와 수위표시램프(132)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131)는, 배출관(130)의 각 내부에 설치되고,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160)를 통해 배출관(13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여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센서(131)는, 사각형의 부레 혹은 원형의 부레형상을 이용하여 부레 내부의 자석과 부레를 가이드 하는 스템 내부의 자기센서(리드스위치, MR센서, 홀센서)에 의하여 배출관(1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부레는 스템에 미끄럼 결합되어 있고, 수조의 수위의 따라 스템에서 가이드되어 상하로 유동되는데, 부레의 내부에 있는 자석이 스템에 있는 자기센서에 대한 자장의 변화를 일으키게 됨으로써 자기센서를 통해 전류가 흐르거나, 자기센서의 전압이 변화되어 수조의 수위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수위표시램프(132)는, 배출관(13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위센서(131)로부터 수신되는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점멸 개수를 달리하여 배출관(13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관(130)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 총 2단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중 사용자가 1단계의 수위로 워터 샷을 배출하고자 할 때 1단계의 수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수위감지신호를 수위표시램프(132)로 출력하여 1개의 LED 램프가 켜지도록 하거나, 녹색으로 발광하여 1단계 수위감지에 따른 표시를 할 수 있으며, 2단계의 수위(1단계 수위보다 높은 수위 설정치)로 워터 샷을 배출하고자 할 때 2단계의 수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수위감지신호를 수위표시램프(132)로 출력하여 2개의 LED 램프가 켜지도록 하거나, 적색으로 발광하여 2단계 수위감지에 따른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어탱크의 회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S부분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위에어탱크의 측단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위에어탱크의 측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탱크의 회전 구성에 의한 배출관의 틸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탱크(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단위에어탱크(110A, 110B)가 서로 직렬로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탱크(110)는 상호 결합되는 제1 단위에어탱크(110A)와 제2 단위에어탱크(11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배출관(130A, 130B)과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제1 단위에어탱크(110A)와 제2 단위에어탱크(11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는 이들의 결합 부분에 대한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에어탱크(110A)의 원형 측부에는 제1 원호부(111a)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1 원호부(111a)는 해당 원형 측부를 이루는 원호를 따라서 형성되며 제2 단위에어탱크(110B)의 제2 원호부(111b)와 선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 원호부(111a)에는 다수의 제1 돌기(112a)가 형성되며 제1 돌기(112a)마다 제1 롤 베어링(113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여기서, 제1 돌기(11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호부(111a)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제1 원호부(111a)에 대하여 수직 돌출되며, 다수의 제1 롤 베어링(113a)은 제1 돌기(11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롤 베어링(113a)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돌기(112a)이 제공하는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에어탱크(110B)의 원형 측부에는 제2 원호부(111b)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2 원호부(111b)는 해당 원형 측부를 이루는 원호를 따라서 형성되며 제1 단위에어탱크(110A)의 제1 원호부(111a)와 선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 원호부(1112)에는 다수의 제2 돌기(112b)가 형성되며 제2 돌기(112b)마다 제2 롤 베어링(113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여기서, 제2 돌기(11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원호부(111b)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제2 원호부(111b)에 대하여 수직 돌출되며, 다수의 제2 롤 베어링(113b)은 제2 돌기(11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롤 베어링(113b)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2 돌기(112b)이 제공하는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112a) 및 제1 롤 베어링(113a)과, 제2 돌기(112b) 및 제2 롤 베어링(113b)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원호부(111a)와 제2 원호부(111b)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상호 선 접촉하지만, 제1 돌기(112a) 및 제1 롤 베어링(113a)을 따라 이루어지는 원호 CA1는 제2 돌기(112b) 및 제2 롤 베어링(113b)을 따라 이루어지는 원호 CA2의 바깥쪽에 위치됨으로써 서로 중첩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위에어탱크(110A)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에어탱크(110B)와 접촉하는 원형의 제1 격벽(114a)이 형성되며, 제2 단위에어탱크(110B)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에어탱크(110A)의 제1 격벽(114a)와 접촉하는 원형의 제2 격벽(11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격벽(114a)과 제2 격벽(114b)은 중심부가 관통된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면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벽(114a)의 중심 즉, 관통된 부분에는 제1 결합 홀(115a)이 형성되며 제2 격벽(114b)의 중심 즉, 관통된 부분에도 제1 결합 홀(115a)과 상호 연통되며 대칭적 구조를 갖는 제2 결합 홀(11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 홀(115a)과 제2 결합 홀(115b)은 단순히 직선 형태로 이어진 구멍이 아니라 내측면이 안으로 오목한 타원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 결합 홀(115a)과 제2 결합 홀(115b)에 삽입 결합되는 연통부재(180)의 형상 때문이다.
상기 연통부재(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홀(115a)과 제2 결합 홀(115b)에 삽입 개재되고, 중심부가 볼록한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부가 볼록한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연통부재(180)가 내측면이 오목한 제1 결합 홀(115a)과 제2 결합 홀(115b)에 삽입 개재됨으로써 연통부재(180)가 제1 결합 홀(115a)과 제2 결합 홀(115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재(18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에어탱크(110A)와 제2 단위에어탱크(110B)의 내부 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홀(181)이 구비되어 다수 개로 분리 결합된 에어탱크(110)의 내부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링 베어링(1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홀(115a)과 제2 결합 홀(115b)의 각 내측을 따라 형성되어 하나로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장착 홈(116a)과 제2 장착 홈(116b)에 삽입되고, 연통부재(180)의 외주연 중심부를 연통부재(180)의 횡방향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링 베어링(190)은 제1 단위에어탱크(110A) 또는/및 제2 단위에어탱크(110B)가 회전될 때
연통부재(180)과 제1 결합 홀(115a) 및 제2 결합 홀(115b)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통부재(180)의 둘레 부분에 그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설치됨으로써 연통부재(180)가 제1 단위에어탱크(110A) 또는/및 제2 단위에어탱크(110B) 간의 회전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단위에어탱크(110A) 및 제2 단위에어탱크(110B) 중 적어도 하나가 연통부재(180)의 연결 홀(181)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배출관(130) 즉 제1 배출관(130A)와 제2 배출관(130B)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에어탱크(110A)가 중심축(C)을 기준으로 θ1만큼 회전함으로써 제1 배출관(130A)이 θ1만큼 틸팅될 수 있으며, 제2 단위에어탱크(110B)가 중심축(C)을 기준으로 θ2만큼 회전함으로써 제2 배출관(130B)이 θ2만큼 틸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단위에어탱크(110A)와 제2 단위에어탱크(110B) 각각은 θ1+θ2만큼의 회전 범위를 갖도록 각각 움직일 수 있으며, 상술한 원호 CA1과 원호 CA2 경로 상에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를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회전 범위를 가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가스 충전이 필요 없이 자동 충전이 가능하여 무대 세팅을 보다 수월하게 하고, 자동 충전 시 소음이 최소화되며, 무제한 및 연발로 에어 샷을 분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110: 에어탱크
110A제1 단위에어탱크
111a: 제1 원호부
112a: 제1 돌기
113a: 제1 롤 베어링
114a: 제1 격벽
115a: 제1 결합 홀
116a: 제1 장착 홈
110B: 제2 단위에어탱크
111b: 제2 원호부
112b: 제2 돌기
113b: 제2 롤 베어링
114b: 제2 격벽
115b: 제2 결합 홀
116b: 제2 장착 홈
120: 냉동기 컴프레셔
130: 배출관
130A: 제1 배출관
130B: 제2 배출관
131: 수위 센서
132: 수위표시램프
140: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150: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
160: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
170: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
180: 연통부재
181: 연결 홀
190: 링 베어링
10: 수조

Claims (6)

  1.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에 공기를 자동 충전시켜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냉동기 컴프레셔;
    상기 에어탱크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에어탱크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하고, 개방 시 상기 에어탱크에 충전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다수개가 상기 에어탱크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에어탱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단위에어탱크가 서로 직렬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단위에어탱크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에어탱크 중 상호 결합되는 제1 단위에어탱크와 제2 단위에어탱크 간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의 원형 측부 중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와 선 접촉하는 제1 원호부에는, 상기 제1 원호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원호부에 대하여 수직 돌출된 다수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된 다수의 제1 롤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의 원형 측부 중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원호부와 선 접촉하는 제2 원호부에는, 상기 제2 원호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원호부에 대하여 수직 돌출된 다수의 제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된 다수의 제2 롤 베어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롤 베어링과,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제2 롤 베어링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과 외부의 수조 사이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하고, 개방 시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콘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워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배출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여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배출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점멸 개수 및 점등색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상기 배출관 내부로 유입된 물의 양을 표시하는 수위표시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에는,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와 접촉하는 원형의 제1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에는,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와 접촉하는 원형의 제2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의 중심에는 제1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의 중심에는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호 연통되는 제2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는,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기 제2 결합 홀에 삽입 개재되고, 중심부가 볼록한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와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의 내부 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홀이 구비된 연통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는,
    상기 제1 결합 홀과 상기 제2 결합 홀의 각 내측을 따라 형성되어 하나로 홈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외주연 중심부를 상기 연통부재의 횡방향에 대하여 감싸도록 설치된 링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에어탱크와 상기 제2 단위에어탱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연통부재의 연결 홀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 방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KR1020200009973A 2020-01-28 2020-01-28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KR102333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73A KR102333696B1 (ko) 2020-01-28 2020-01-28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73A KR102333696B1 (ko) 2020-01-28 2020-01-28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70A KR20210096470A (ko) 2021-08-05
KR102333696B1 true KR102333696B1 (ko) 2021-12-02

Family

ID=7731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973A KR102333696B1 (ko) 2020-01-28 2020-01-28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6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614Y1 (ko) * 1999-09-28 2000-03-15 최병길 무소음 에어 콤프레셔
KR200282504Y1 (ko) * 2002-04-22 2002-07-22 김용규 스팀세차기
KR200451802Y1 (ko) 2010-09-10 2011-01-12 우길택 행사용 물 축포
KR101084382B1 (ko) * 2011-06-15 2011-11-18 주상봉 무대 연출용 가스 분출 장치
KR101836318B1 (ko) * 2017-08-07 2018-03-08 (주)협신엔지니어링 물 폭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326B1 (ko) 2011-02-07 2011-08-24 주상봉 무대 연출용 다채널 가스 분사 장치
KR101431127B1 (ko) * 2011-11-29 2014-08-18 유흥락 오색테이프 발사용 축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614Y1 (ko) * 1999-09-28 2000-03-15 최병길 무소음 에어 콤프레셔
KR200282504Y1 (ko) * 2002-04-22 2002-07-22 김용규 스팀세차기
KR200451802Y1 (ko) 2010-09-10 2011-01-12 우길택 행사용 물 축포
KR101084382B1 (ko) * 2011-06-15 2011-11-18 주상봉 무대 연출용 가스 분출 장치
KR101836318B1 (ko) * 2017-08-07 2018-03-08 (주)협신엔지니어링 물 폭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70A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4545B2 (en) Compressed gas gun
JP6640158B2 (ja) 遊技機
US7900622B2 (en) Paintball marker with user selectable firing modes
US20030168052A1 (en) Compressed gas-powered projectile accelerator
US10295302B2 (en) CO2 stock with quick latch system
JP6390005B2 (ja) パチンコ機
US8671708B2 (en) Ice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JP5798602B2 (ja) 弾球遊技機
KR102333696B1 (ko) 무소음 자동 충전 캐논 샷 장치
JP5719285B2 (ja) 遊技機
US77705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ing a projectile
US20060162715A1 (en) Paintball gun having a pneumatic assembly
US20110083654A1 (en) Paintball loader and paintball Galting gun
JP2020032283A (ja) 遊技機
JP6233630B2 (ja) 弾球遊技機
JP2009279232A (ja) 弾球遊技機
US9291420B1 (en) Simulated weapon
JP2013146489A (ja) 遊技機
KR101426025B1 (ko) 압력 게이지를 구비한 호스 릴 및 이를 구비한 소방함
ES2726993T3 (es) Pistola de aire totalmente automática con cámara magnética
JP2005224436A (ja) 遊技機用役物及びそれを用いた遊技機
US20120227724A1 (en) Paintball Markers
US10247508B2 (en) Air distribution device for a dual barrel pneumatic gun
WO2004085949A1 (en) A toy pistol with automatic magazine
KR200344498Y1 (ko) 서바이벌게임용 페인트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