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66B1 - Protector - Google Patents

Pro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66B1
KR102333466B1 KR1020190165440A KR20190165440A KR102333466B1 KR 102333466 B1 KR102333466 B1 KR 102333466B1 KR 1020190165440 A KR1020190165440 A KR 1020190165440A KR 20190165440 A KR20190165440 A KR 20190165440A KR 102333466 B1 KR102333466 B1 KR 10233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bolt
protector
locking
stu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4606A (en
Inventor
방성협
최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6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66B1/en
Publication of KR2021007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의 리테이너 삽입구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위치와,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되,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와 접하지 않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구 및 별도 부재 없이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 및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king unit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having a bolt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tud bolt formed on a vehicle panel is inserted; and a retainer movably coupled to the retainer insertion hole of the locking part, wherein the retainer includes a coupling position coupled to the locking part and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and coupled to the locking part 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between the release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stud bolt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Accordingly, the protector can be installed on the vehicle panel without a tool or a separate member,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design freedom.

Description

프로텍터 {Protector}protector {Protector}

본 발명은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or for easy installation in a vehicle.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다. 최근 차량에 장착되는 전장품 증가에 따른 회로가 증가하고 있어, 차량에 장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결합된다.A plurality of wiring harness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devices in the vehicle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Recently, as the number of circuits is increasing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mounted on the vehicle, the wiring harness mounted on the vehicle is increasing. This wiring harness is coupled to a protector for the wiring harnes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wiring harness or fixing it to a vehicle.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1)는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에 가결합 시킨 후, 스터드볼트에 너트(3)를 결합시켜 차량 판넬에 고정시킨다. 이때, 너트(3)는 충분한 결합력 확보를 위해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 the protector 1 is temporarily coupled to the stud bolts formed on the vehicle panel, and then the nut 3 is coupled to the stud bolts to be fixed to the vehicle panel. At this time, the nut 3 is coupled using a tool to secure sufficient coupling force.

다만, 공구를 사용하여 너트(3)를 스터드볼트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공구를 스터드볼트에 결합시기 위한 작업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게 된다. 즉, 스터드볼트 주변으로 타 부품이 근접해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프로텍터(1)의 결합부가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계를 해야한다.However, in order to couple the nut 3 to the stud bolt using a tool, it is essential to secure a working space for coupling the tool to the stud bolt. That is, it is impossible to arrange other parts close to the stud bolt, and the design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otector 1 to which the stud bolt is coupled can secure sufficient free space.

따라서, 너트(3)를 사용하여 스터드볼트에 프로텍터(1)를 고정시킬 경우, 여유공간 미확보에 따라 공구 작업 난이도 상승 및 주변 부품 손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유 공간을 고려한 설계를 필요로 함에 따라 설계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the protector 1 is fixed to the stud bolt using the nut 3, the difficulty of tool work increases and the surrounding parts are damaged according to the non-secured free spa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s lowered as a design considering the free space is required to prevent such a problem from occurring.

아울러, 너트(3)를 스터드볼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 공수 발생에 따른 작업 시간 증가, 원가 및 중량 상승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e in working time, cost and weight increase due to the generation of work man-hours for coupling the nut 3 to the stud bolt.

본 발명은 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텍터를 차량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or that can be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uch as a machine, and can be fixed to a vehicle without using a too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의 리테이너 삽입구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위치와,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되,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와 접하지 않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cking part protruding on one side and having a bolt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tud bolt formed in a vehicle panel is inserted; and a retainer movably coupled to the retainer insertion port of the locking unit, wherein the retainer includes a coupling position coupled to the locking unit and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inserted into the locking unit, and coupled to the locking unit 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between the release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stud bolt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스터드볼트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so as to move linearly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axis of the stud bolt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파지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는, 상기 스터드볼트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tainer may include: a gripping part formed on one side to be grippable; and a plurality of bolt holders extending from the gripping part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at the coupling posi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bolt holders are symmetr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stud bolts. do it with

상기 볼트 홀더는,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상기 볼트 홀더의 일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lt holder may include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lt holder to be engaged with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그리고, 상기 맞물림돌기는, 상기 스터드볼트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ngaging projections,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ud bol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numbers.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ainer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a first locking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when the retainer is in the engaging position.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의 단부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파지부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고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고정면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face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bolt holders; and a fixing surface formed to face the gripping part,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more gently than the fixing surface.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걸림홀과 이격되어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when the retainer is in the release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second locking ho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hole a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걸림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터드볼트의 축방향으로 해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hole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ud bol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locking hole.

여기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결합위치에 있는 상기 볼트 홀더와 접하도록 상기 락킹부 내부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tainer holder formed inside the locking uni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lt holder at the coupling position.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 홀더는, 상기 스터드볼트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볼트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tainer holder may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tud bolt, and a plurality of the retainer holder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tud bolt.

또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볼트 홀더와 접하는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bolt holder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아울러,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돌기 사이의 폭이, 상기 볼트 홀더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dth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bolt and the press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lt holder.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can be expected.

먼저, 공구 및 별도 부재 없이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 및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otector can be installed on the vehicle panel without tools and separate members,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and design freedom.

또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tool, the fatigue of the operator is reduced, and there i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working time.

그리고, 별도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고정 부재의 오결합 등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며,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fix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due to erroneous coupling of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quality is improved,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and weight.

아울러, 한 번의 동작으로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orkability is improved by enabling the protector to be installed and removed from the vehicle panel in one operation.

또한, 차량 판넬의 스터드볼트가 프로텍터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by allowing the stud bolts of the vehicle panel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rotector.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설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by exhibiting all of the above effects, and th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도 1은 종래의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테이너가 고정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구역 Ⅳ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구역 Ⅴ의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2의 락킹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락킹부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락킹부의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11은 도 4의 절단선 ⅩⅠ-ⅩⅠ'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ⅩⅡ-ⅩⅡ'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절단선 ⅩⅢ-ⅩⅢ'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절단선 ⅩⅣ-ⅩⅣ'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절단선 ⅩⅤ-ⅩⅤ'에 따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tec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tainer of Fig. 2 is in a fixed posi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zone IV of Fig. 2;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zone V of Fig. 3;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locking part of FIG. 2 .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part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VIII-VIII' of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part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X-IX' of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er of Fig. 2;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XI-XI' of FIG. 4;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of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XIII' of FIG. 5;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V-XIV' in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XV' of FIG. 14;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2의 락킹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2의 리테이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5는 리테이너의 위치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to 15 show a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2 to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9 are views showing the locking unit of FIG. 10 shows the retainer of FIG. 2 . 11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tainer.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는, 차량 판넬에 구비된 스터드볼트(300)에 프로텍터(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텍터(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락킹부(100)와,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리테이너(200)가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ixing the protector 10 to the stud bolts 300 provided in the vehicle panel, and a lock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or 10 . A retainer 200 is formed that is coupled to the part 100 and the locking part 100 and moves between a coupling position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and a releasing position to be releas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락킹부(100)는 차량 판넬에 접하는 일면을 하면으로, 그 이면을 상면인 것으로 한다. 또한, 리테이너(200)는 락킹부(100)에 결합되었을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락킹부(100)의 상면을 향하는 측을 상측, 하면을 향하는 측을 하측으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one surface of the locking unit 100 in contact with the vehicle panel is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is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retainer 200 has a sid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unit 100 as an upper side, and a side facing a lower side as a lower side, based on a direction when it is coupled to the locking unit 100 .

락킹부(100)는,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도록 프로텍터(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볼트삽입홀(110), 리테이너 삽입구(120), 해지홀(130) 및 리테이너 홀더(140)가 형성된다. The locking part 1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protector 10 so as to be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 and includes a bolt insertion hole 110 , a retainer insertion hole 120 , a release hole 130 , and a retainer holder 140 . ) is formed.

볼트삽입홀(110)은, 스터드볼트(300)가 결합되도록 락킹부(100)의 하면에 형성된다. 볼트삽입홀(110)은 차량 판넬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터드볼트(300)의 전체가 락킹부(100)에 수용되기만 하면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볼트삽입홀(110)에 스터드볼트(300)가 삽입되어 락킹부(100)의 하면이 차량 판넬에 접하도록 안착되기만 하면, 락킹부(100)의 하면에서 상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면에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볼트삽입홀(110)은 스터드볼트(300)가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스터드볼트(300)의 지름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lt insertion hole 11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so that the stud bolt 300 is coupled. The bolt insertion hole 110 can be freely configured as a hole or a groove as long as the entire stud bolt 300 protruded from the vehicle panel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unit 100 . That is, as long as the stud bolt 300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unit 100 is sea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vehicle panel, it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unit 100, , may be formed as a recessed groove in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 insertion hole 110 has a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ud bolt 300 so that the stud bolt 300 is stably inserted and accommodated.

이처럼, 볼트삽입홀(110)을 스터드볼트(300)가 완전히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10)를 안정적으로 차량 판넬에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stud bolt 300 to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bolt insertion hole 110 , the protector 10 can be stably seated and fixed on the vehicle panel,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리테이너 삽입구(120)는, 리테이너(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락킹부(100)의 측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리테이너 삽입구(120)는, 락킹부(100)의 측면에서 락킹부를 관통하여 홈으로 형성되되, 볼트삽입홀(110)과 연통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리테이너 삽입구(120)는, 볼트삽입홀(110)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결합된 리테이너(200)가, 볼트삽입홀(110)에 삽입된 스터드볼트(30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is a retainer 200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and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cking unit 100 . In more detail,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is formed as a groove passing through the locking part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 and is formed to a depth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11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communicates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110 in a vertical direction. This is to ensure that the retainer 200 coupled to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10, thereby stably coupled to maintain the coupling force. .

이처럼, 볼트삽입홀(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내주면에는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이 형성된다.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은,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함몰된 홀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은, 락킹부(100)의 상면 측을 향하는 일면이다.As such, a first locking hole 121 and a second locking hole 122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110 . The first locking hole 121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s 230 of the retainer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re formed as recessed holes in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 Here,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on which the first locking hole 121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are formed is one surfac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

제1 걸림홀(121)은,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결합된다. 또한, 제1 걸림홀(121)은 해지홀(130)과 연통되도록 락킹부(100)의 상면을 향해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The first locking hole 121 is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230 of the retainer 20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etainer 200 is in the engaging position. In addition, the first locking hole 121 is formed with a sufficient length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to communicate with the release hole 130 .

제2 걸림홀(122)은, 리테이너(200)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결합된다. 제2 걸림홀(122)은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함몰된 홈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locking hole 122 is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230 of the retainer 20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etainer 200 is in the released position. The second locking hole 122 is formed as a groove recessed in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to a depth sufficient to insert and engage the fixing protrusion 230 of the retain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은,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걸림홀(121)이 제2 걸림홀(122)보다 볼트삽입홀(110)에 가깝도록 형성된다.The first locking hole 121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tainer 200 moves between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releasing position, and the first locking hole 121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to be closer to the bolt insertion hole 110 than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해지홀(130)은,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를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락킹부(100)의 상면에 함몰되어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해지홀(130)은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로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록 락킹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해지홀(130)에 핀을 삽입하여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를 가압함으로써,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The release hole 130 is formed to separate the fixing protrusion 230 of the retainer 200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first locking hole 121 when the retainer 200 is in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locking part 100 )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locking hole 121 .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hole 130 is formed to a sufficient depth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locking hole 121 . More specifically, by inserting a pin into the release hole 1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locking hole 121 and pressing the fixing protrusion 230 of the retain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hole 121 .

이처럼, 락킹부(100)에 해지홀(130)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결합위치에 위치되어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된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As such, by separately forming the release hole 130 in the locking part 100, the retainer 200, which is located at the coupling position and is coupled with the stud bolt 300,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to separate the protector 10 from the vehicle panel. can do it

리테이너 홀더(140)는,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를 양 측에서 가압하도록 락킹부(100) 내부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리테이너 홀더(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100)의 내부에 두 개로 형성되며, 볼트삽입홀(110)에 배치되어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삽입홀(110)에 삽입된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을 향해 가압돌기(141)가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가압돌기(141)는 결합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와 접하여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가 스터드볼트(300)와 밀착되도록 한다. 즉, 락킹부(100)의 내부에 리테이너 홀더(140)를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200)와 스터드볼트(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tainer holder 140 is formed inside the locking part 100 to press the bolt holder 220 of the retain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both sides when the retainer 200 is in the engaging positio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 the retainer holder 140 is formed in two inside the locking part 100 , is disposed in the bolt insertion hole 110 , and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ud bolt 300 . is formed with Then, the pressing protrusion 141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10 . The pressing protrusion 1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tainer 200 at the coupling position so that the bolt holder 220 of the retain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ud bolt 300 . That is, by additionally forming the retainer holder 140 inside the locking unit 100 , the retainer 200 and the stud bolt 300 are stably coupled to maintain the coupling.

또한,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의 두께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볼트 홀더(220)가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리테이너 홀더(140)는 스터드볼트(30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리테이너 홀더(140)의 주변에는 리테이너 홀더(140)가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retainer holder 140 and the stud bolt 30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lt holder 220 of the retainer 200 to be described later. Here, when the bolt holder 220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retainer holder 140 and the stud bolt 300 , the retainer holder 140 is open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stud bolt 300 . Accordingly, a space in which the retainer holder 140 can be ope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must be secured around the retainer holder 140 .

아울러, 리테이너 홀더(140)의 가압돌기(141)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가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rotrusion 141 of the retainer holder 140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bolt holder 220 of the retain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easily inserted between the retainer holder 140 and the stud bolt 300 .

리테이너(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락킹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부(210)와 락킹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볼트 홀더(220) 및 고정돌기(230)가 형성된다.The retainer 200 is coupled to the locking part 100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 the holding part 210 and the locking part 10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part 100 . The bolt holder 220 and the fixing protrusion 230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re formed.

파지부(210)는, 리테이너(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결합되면, 락킹부(100)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파지부(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파지부(210)는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락킹부(100)의 측면에 접하도록 락킹부(10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때, 파지부(2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락킹부(10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지부(210)는, 리테이너 삽입구(120)부터 락킹부(100)의 상면까지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지부(210)의 일단이 락킹부(100)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holding part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ainer 200 , and when the retainer 200 is coupled to the locking part 100 ,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 As shown in FIG. 10 , the gripping unit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facilitate gripping by an operato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art 210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when the retainer 200 is in the coupled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moves the retainer 200 from the engaging position to the releasing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so that the holding part 210 can be easily gripped. That is, the gripper 21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so that one end of the gripper 210 protrud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 .

이처럼, 파지부(210)가 락킹부(100)의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락킹부(100)의 상면 위로 일단이 올라오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파지부(210)를 파지하여 리테이너(200)를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작업자는 파지부(210)의 일면에 접촉하여 리테이너(200)를 가압하는 것으로,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지홀(130)에 핀을 삽입하여 고정돌기(230)를 가압하여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킨 후, 락킹부(100)의 상면보다 위로 올라온 파지부(210)의 일단을 밀어냄으로써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파지부(210)의 일단을 밀어내는 방향은 스터드볼트(30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이다.In this way, the holding part 210 is formed parallel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and by forming one end to ris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the operator grips the holding part 210 to retain the retainer 200.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move it. In more detail, the operator presses the retainer 200 by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gripper 210 , thereby moving the retainer 200 from the released position to the engaging position. Then, after inserting a pin into the release hole 130 to press the fixing protrusion 230 to separate it from the first locking hole 121 , one end of the gripping part 210 rai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is pressed. By pushing, the retainer 200 can be moved from the engaged position to the released position.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gripper 210 is pushed is a direction that crosses the axis of the stud bolt 300 .

볼트 홀더(220)는, 파지부(21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삽입되어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볼트 홀더(220)는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감싸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볼트 홀더(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과 유사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터드볼트(30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양측에서 스터드볼트(300)와 접하도록 두 개로 형성된다. 이때, 두 개의 볼트 홀더(220)는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The bolt holder 22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gripper 210 ,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 and is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 In more detail, the bolt holder 220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so as to surround the retainer 200 so that the retainer 200 is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lt holder 220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urface having a similar curvatur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 In addition, two stud bolts 300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stud bolts 300 from both side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axis of the stud bolts 300 . At this time, the two bolt holders 220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stud bolts (300).

또한, 볼트 홀더(220)는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접하는 일면에 맞물림돌기(221)가 형성된다. 맞물림돌기(221)는,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로서,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310)의 골에 맞물리게 된다. 이처럼, 스터드볼트(300)의 나사산(310)의 골에 맞물리는 맞물림돌기(221)는 스터드볼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접하는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나사산(310)의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맞물림돌기(221)가 나사산(310)에 맞물려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olt holder 220 is formed with an engaging projection 221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The engaging protrusion 221 i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olt holder 220 , and is engaged with the trough of the screw thread 31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 As such, the engagement protrusions 221 engaged with the valleys of the screw threads 310 of the stud bolt 300 may b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ud bolt 300 and formed in a plurality of numbers. That is, by being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bolt holder 220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at the same interval as the pitch of the threads 310 and formed in plurality, the retainer 200 moves to the engaging position while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221) is to be engaged in engagement with the screw thread (310).

이처럼, 스터드볼트(300)에 접하는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맞물림돌기(221)룰 형성함으로써, 결합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가 스터드볼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by forming the engaging projection 221 on one surface of the bolt holder 220 in contact with the stud bolt 300, the retainer 200 at the coupling position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ud bolt 300. there is an effect

고정돌기(230)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삽입된 리테이너(200)를 락킹부(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두 개의 볼트 홀더(22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기(230)는 볼트 홀더(220)가 파지부(210)에서 연장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볼트 홀더(22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리테이너(200)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볼트삽입홀(110)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리테이너(200)가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삽입됐을 때,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이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을 향해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기는 볼트 홀더(220)의 단부를 바라보는 경사면(231)과 파지부(210)를 바라보는 고정면(232)이 형성되며, 경사면(231)이 고정면(232)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된다.The fixing protrusion 230 is to fix the retainer 200 inserted into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to the locking part 100 , and is formed between the two bolt holders 220 .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formed to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lt holder 220 extends from the grip portion 210 , and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bolt holder 220 , so that the retainer 200 is coupled to the position. When in the, do not extend to the bolt insertion hole (110). Also, when the ret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 a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in which the first locking hole 121 and the second locking hole 122 are forme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31 facing the end of the bolt holder 220 and a fixed surface 232 facing the gripping part 210 , and the inclined surface 231 has a gentler slope than the fixed surface 232 . is formed

이처럼, 상이한 경사로 형성된 경사면(231)과 고정면(232)은, 고정돌기(230)가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돌기(230)가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될 때는, 볼트 홀더(220)의 단부를 바라보는 경사면(231)이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의 테두리에 먼저 접하게 되면서 고정돌기(230)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리테이너(200)가 해제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될 때, 고정돌기(230)는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되어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된다. 이때에도 경사면(231)이 제2 걸림홀(122)의 테두리에 먼저 접하게 됨으로써, 고정돌기(230)는 용이하게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된 고정돌기(230)는 고정면(232)이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As such, the inclined surface 231 and the fixing surface 232 formed at different inclinations allow the fixing protrusion 230 to be easi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holes 121 and 122 . More specifically, whe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121 or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e inclined surface 231 facing the end of the bolt holder 220 is the first locking hole.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easily inserted while firs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121 or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In addition, when the retainer 200 is moved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coupling positio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hole 122 and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121 . Even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ed surface 231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e fixing protrusion 23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230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121 or the second locking hole 122 has a fixing surface 23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hole 121 or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As it comes into contact, the retainer 20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part 100 .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락킹부(100)와 리테이너(200)가 결합되어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되는 구조를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의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art 100 and the retainer 200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formed in the vehicle panel will be fir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 and the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work method for fixing the protector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pane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20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락킹부(100)에는 결합되고 스터드볼트(300)에는 결합되지 않는 해제위치와,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는 결합위치 사이를 직선 이동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tainer 200 is coupled to the locking part 100 and not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as shown in FIGS. 11 and 12, in a release position, and in FIGS. 13 to 15, the locking part It is coupled to the (100) and moves linearly between the coupling positions coupled to the stud bolts (300).

먼저, 리테이너(200)를 락킹부(1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볼트 홀더(220)와 고정돌기(230)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고정돌기(230)의 단부가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고정돌기(230)가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리테이너(200)가 삽입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고정돌기(230)가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되면서 하측으로 휘어져 있던 고정돌기(23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후에는, 제2 걸림홀(122)의 내주면에 고정면(232)이 접하게 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서 해제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해제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는, 고정돌기(230)가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되어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파지부(210)는 락킹부(100)의 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First, in order to couple the retainer 200 to the locking part 100 , the bolt holder 220 and the fixing protrusion 230 are inserted into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 Then, as th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bent downward. And, if the retainer 200 continues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fixing protrusion 230 bent downward while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12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after, since the fixing surface 2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e retainer 20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art 100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s such, in the retainer 200 in the released positio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122 so that the retainer 200 is coupled to the locking unit 100 . At this time, the holding part 21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

그리고, 해제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파지부(210)가 락킹부(100)의 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파지부(210)에 힘을 가하면, 가장 먼저, 고정돌기(230)의 경사면(231)이 제2 걸림홀(122)의 테두리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돌기(230)는 경사면(231)을 따라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면서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된다.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된 고정돌기(230)는,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삽입될 때와 같이 고정돌기(230)의 단부가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고정돌기(230)가 계속해서 하측으로 휘어져 있게 된다. 즉, 고정돌기(230)가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nd, in order to move the retainer 200 in the released position to the engaging position, when the holding part 210 applies a force to the holding part 210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first, the fixing protrusion The inclined surface 231 of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en,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bent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31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e fixing protrusion 230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hole 122 has the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as when the ret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100 . As the fixing protrusion 230 continues to be bent downward. That is, since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hole 122 , the retainer 200 can be moved to the coupling position.

이후 결합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리테이너(200)는, 볼트 홀더(220)의 단부가 스터드볼트(300)와 리테이너 홀더(140) 사이로 삽입된다. 즉, 볼트 홀더(220)가 스터드볼트(300)와 리테이너 홀더(140) 사이로 삽입되면서, 리테이너(200)의 지속적인 직선 이동에 따라, 볼트 홀더(220)가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After the retainer 200 is moved to the coupling position, the end of the bolt holder 220 is inserted between the stud bolt 300 and the retainer holder 140 . That is, as the bolt holder 220 is inserted between the stud bolt 300 and the retainer holder 140 , according to the continuous linear movement of the retainer 200 , the bolt holder 220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 .

이와 동시에, 고정돌기(230)가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되면서 하측으로 휘어져 있던 고정돌기(23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된 고정돌기(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면(232)이 제1 걸림홀(121)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리테이너(200)가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결합위치로 이동된 리테이너(200)는, 파지부(210)가 락킹부(100)의 측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At the same time, the fixing projection 230 is bent downward while the fixing projec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12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s for the fixing protrusion 230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121 , the retainer 200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while the fixing surface 2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hole 121 . to prevent In addition, in the retainer 200 moved to the engaging position, the holding part 2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00 , thereby preventing the retainer 20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100 any more.

이처럼,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된 고정돌기(230)는,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된 해지홀(130)을 통해 삽입된 핀에 의해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될 수 있다.As such, the fixing protrusion 230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12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hole 121 by a pin inserted through the release hole 13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locking hole 121 . can be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결합되고, 락킹부(100)의 내부에서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된다. 그리고, 락킹부(100)에 형성된 리테이너 홀더(140)로 볼트 홀더(220)를 한번 더 가압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스터드볼트(300)와 안정적으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의 거리가 볼트 홀더(220)의 두께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 홀더(140)가 볼트 홀더(2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더욱 강한 힘으로 리테이너 홀더(140)가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10)가 차량 판넬에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200 is coupled to the locking unit 100 , and is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inside the locking unit 100 . And, by pressing the bolt holder 220 once more with the retainer holder 140 formed in the locking part 100 , the retainer 200 can stably maintain the coupling force with the stud bolt 300 . He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tainer holder 140 to press the bolt holder 220 by form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tainer holder 140 and the stud bolt 300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lt holder 220 . . Accordingly, by allowing the retainer holder 140 to be coupled to the stud bolt 300 with a stronger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tector 10 from being fixed to the vehicle panel and detached.

또한, 본 발명은 스터드볼트(300)가 락킹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10)가 차량 판넬에 고정된 후, 스터드볼트(3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즉, 프로턱터(10)를 차량 판넬에 설치한 후에는 스터드볼트(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프로텍터(10)의 결합부분이 가려지게 됨으로써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터드볼트(300)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프로텍터(10) 주변으로 부품 설치 및 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tud bolt 3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protector 10 is fixed to the vehicle panel by inserting the stud bolt 300 into the locking part 100 to be coupled thereto. That is, after the protector 1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panel, the stud bolt 3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otector 10 is covered,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end of the stud bolt 300 from being expos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injuries when the operator performs work such as installing and replacing parts around the protector 10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텍터(10)는, 차량 판넬에 고정되기 전에, 먼저 리테이너(200)를 락킹부(100)에 삽입하여 해제위치에서 결합되도록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스터드볼트(300)가 볼트삽입홀(110)에 삽입되도록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가결합 시킨다. 이후에, 작업자는 파지부(210)를 눌러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200)를 스터드볼트(300)에 결합시킨다. 이처럼, 프로텍터(10)에 형성된 모든 파지부(210)를 가압하여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로 이동시키면, 프로텍터(10)가 차량 판넬에 고정된다.The prot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epared by first inserting the retainer 200 into the locking unit 100 before being fixed to the vehicle panel so as to be coupled at the released position. Then, the protector 10 is temporarily coupled to the vehicle panel so that the stud bolt 300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10 . Thereafter, the operator presses the gripper 210 so that the retainer 2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100 and moved to the engaging position, thereby coupling the retainer 200 to the stud bolt 300 . As such, when all the holding parts 210 formed on the protector 10 are pressed to move the retainer 200 to the coupling position, the protector 10 is fixed to the vehicle panel.

이후, 수리, 교체 등을 위해 차량 판넬에 고정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충분한 길이의 핀을 해지홀(130)에 삽입하여 고정돌기(230)를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킨 후, 파지부(210)를 락킹부(100) 측면에서 이격되도록 당겨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프로텍터(10)에 형성된 모든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면,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ereafter, in order to separate the protector 10 fixed to the vehicle panel for repair or replacement from the vehicle panel, the operator inserts a pin of sufficient length into the release hole 130 to insert the fixing protrusion 230 into the first locking hole. After being separated from 121 , the retainer 200 is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pulling the gripping part 2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part 100 side. If all retainers 200 formed on the protector 10 are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by repeatedly performing this operation, the protector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vehicle panel.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텍터(10)는,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다. 즉, 한 번의 동작으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설치 및 제거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the prot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and separated from the vehicle panel in a simple and easy way. That is, by enabling the operation of installing and removing the protector 10 to the vehicle panel in one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fatigue of the operator an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아울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스터드볼트(300) 주면에 공구를 적용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며,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너트 등을 파지하여 스터드볼트(300)에 결합시키고 공구를 사용하는 등의 동작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작업이 용이해지고, 미결합 등에 의한 결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rotector 10 on the vehicle panel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free space for applying the tool to the main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is unnecessary, so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s improved has the effect of being In addition, as the operator grips the nut and the like and couples it to the stud bolt 300 and the operation of using a tool becomes unnecessary, the operation becomes easier, and the quality is improved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upling defect caused by non-combination, etc. there is

또한, 공구, 너트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by not using a member such as a tool or a nut,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by not using a nut made of a metal material.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onl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one embodiment, and the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accompanying the roo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프로텍터 100 : 락킹부
110 : 볼트삽입홀 120 : 리테이너 삽입구
121 : 제1 걸림홈 122 : 제2 걸림홈
130 : 해지홀 140 : 리테이너 홀더
141 : 가압돌기 200 : 리테이너
210 : 파지부 220 : 볼트 홀더
221 : 맞물림돌기 230 : 고정돌기
231 : 경사면 232 : 고정면
300 : 스터드볼트 310 : 나사산
10: protector 100: locking part
110: bolt insertion hole 120: retainer insertion hole
121: first engaging groove 122: second engaging groove
130: release hole 140: retainer holder
141: pressing projection 200: retainer
210: grip part 220: bolt holder
221: engaging projection 230: fixing projection
231: inclined surface 232: fixed surface
300: stud bolt 310: thread

Claims (13)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30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110)이 형성되는 락킹부(100); 및
상기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100)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위치와, 상기 락킹부(100)에 결합되되 상기 락킹부(100)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300)와 접하지 않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락킹부(100)의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결합되는 리테이너(200);
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200)는,
파지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부(210); 및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파지부(210)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 홀더(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a locking part 100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having a bolt insertion hole 110 into which a stud bolt 300 formed on a vehicle panel is inserted; and
A coupling position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coupled to the locking part 100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100, and a coupling position coupled to the locking part 100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100 a retainer 200 coupled to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of the locking part 100 so as to be movable between the stud bolt 300 and a release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stud bolt 300;
including,
The retainer 200 is
A gripper 210 formed on one side to be gripped; and
a plurality of bolt holders 220 extending from the holding part 210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at the coupling position;
Protecto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락킹부(100)에 삽입된 스터드볼트(30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락킹부(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er 200 is
A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locking part (100) so as to move linearly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axis of the stud bolt (300) inserted into the locking part (10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220)는, 상기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bolt holders 220 is a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tud bolt (30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볼트 홀더(220)는,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0)에 맞물리도록 상기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돌기(2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bolt holder 220,
an engaging projection 22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lt holder 220 so as to be engaged with a thread 310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Protector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돌기(221)는,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engaging projection 221 is,
A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ud bolts (300)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number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리테이너(200)가 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etainer 200 is
a fixing protrusion 230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hole 12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when the retainer 200 is in the coupling position;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30)는,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220)의 단부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경사면(231); 및
상기 파지부(210)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고정면(232);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231)은, 상기 고정면(232)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an inclined surface 231 formed to face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bolt holders 220; and
a fixing surface 232 formed to face the grip portion 210;
including,
The inclined surface 231 is a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more gently than the fixing surface (23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걸림홀(121)과 이격되어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홀(122)에 상기 고정돌기(2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etainer 200 is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hole (12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tainer insertion hole (1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hole (121) when in the release position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100)는,
상기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축방향으로 해지홀(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ocking unit 100,
The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hole (130)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tud bolt (30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locking hole (121).
청구항 3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100)는,
상기 결합위치에 있는 상기 볼트 홀더(220)와 접하도록 상기 락킹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홀더(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9,
The locking unit 100,
a retainer holder 140 formed inside the locking part 1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lt holder 220 at the coupling position;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홀더(140)는,
상기 스터드볼트(3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141);
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tainer holder 140,
a pressing protrusion 141 protruding toward the stud bolt 300;
including,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so as to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tud bolt (30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141)는,
상기 볼트 홀더(220)와 접하는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ssing protrusion 141 is,
A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bolt holder 220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돌기(141) 사이의 폭이, 상기 볼트 홀더(22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A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ud bolt (300) and the pressing protrusion (14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lt holder (220).
KR1020190165440A 2019-12-12 2019-12-12 Protector KR102333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40A KR102333466B1 (en) 2019-12-12 2019-12-12 Pro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40A KR102333466B1 (en) 2019-12-12 2019-12-12 Pro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06A KR20210074606A (en) 2021-06-22
KR102333466B1 true KR102333466B1 (en) 2021-12-02

Family

ID=7660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440A KR102333466B1 (en) 2019-12-12 2019-12-12 Pro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6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296A (en) * 2008-01-31 2009-08-13 Mk Seiko Co Ltd Bolt holding structure in base material
JP2016046898A (en) 2014-08-22 2016-04-04 未来工業株式会社 Attachment body to bolt, and wiring/piping material suppor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721A (en) * 1994-05-18 1995-11-28 Sumitomo Wiring Syst Ltd Clip for stud bolt and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the clip
JPH08191523A (en) * 1995-01-09 1996-07-23 Sumitomo Wiring Syst Ltd Molded protector for wire harness
JPH09303360A (en) * 1995-07-24 1997-11-25 Hideaki Oki Clip n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296A (en) * 2008-01-31 2009-08-13 Mk Seiko Co Ltd Bolt holding structure in base material
JP2016046898A (en) 2014-08-22 2016-04-04 未来工業株式会社 Attachment body to bolt, and wiring/piping material suppo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06A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0662B2 (en) Terminal insertion apparatus
KR102333466B1 (en) Protector
CN107933449B (en) Rope clip for vehicle
KR100952436B1 (en) Connector
US10249982B2 (en) Power supply device
JP6009528B2 (en) Charging inlet
JP6027460B2 (en) Cover mounting structure for high voltage parts
JP2008143555A (en) Sealing tool
KR101857584B1 (en) Bumper Assembly Plastic Club
KR100767528B1 (en) A combining structure of a bolt holder
JP2017182981A (en) Connector jig
KR100823343B1 (en) Cable entry apparatus for junction box
EP3376608A2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is connector assembly
KR200426244Y1 (en) Jig for connector cable insertion
JP3183131B2 (en) Terminal bracket removal tool for straightening plate
KR200142619Y1 (en) Cable protecting supporter
KR101649559B1 (en) Rework key
JP6481859B2 (en) Connector fitting device
WO2023145000A1 (en) Jig and connector mounting method
KR102610778B1 (en) Separation improvement type protector locking device
CN215659996U (en) Screw rand assembly quality
JP2019042801A (en) Clamp device
KR102417170B1 (en) Protector for wiring harness
KR101061060B1 (en) Jig for preventing secession of connector
KR102063406B1 (en) connecting device of electric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