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974B1 -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 Google Patents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974B1
KR102332974B1 KR1020200038860A KR20200038860A KR102332974B1 KR 102332974 B1 KR102332974 B1 KR 102332974B1 KR 1020200038860 A KR1020200038860 A KR 1020200038860A KR 20200038860 A KR20200038860 A KR 20200038860A KR 102332974 B1 KR102332974 B1 KR 10233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troesophageal
fixing clip
reflux disease
coupled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367A (ko
Inventor
박성수
금보라
이장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7/601,08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23195A1/en
Priority to PCT/KR2020/004490 priority patent/WO2020204616A1/ko
Publication of KR2020011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식도의 상단에 고정되는 몸체;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역류방지판; 및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위식도 상단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Anti-reflux valve for prevent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본 발명은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위상부에 삽입 또는 장착되어 항역류 수술의 잠정적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서구에서 흔한 질환으로 인식되었던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 생활습관 및 식습관의 서구화에 따라 한국에서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빅데이터로 조사한 결과(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HC17C0050), 2012년 11.8% 였던 유병률이 2016년 19.1%로 5년간 8%의 강한 유병률 상승추세를 보였다.
위식도역류질환의 1차 치료는 약물치료이나, 투약을 중단하지 못하고 표준용량으로 12주 연속 투약하는 환자수는 2016년 11만명으로 추산되며, 표준용량의 약물치료로 증상조절이 적절치 않아 표준용량 2배 이상의 약물을 투약하는 환자도 2016년 7천명으로 추산되고 있다.(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HC17C0050의 결과)
한편,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인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의 효과비교 및 경제성 평가' 연구결과에 의하면,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시행한 전향적 임상연구에서 수술적 치료는 증상조절, 치료 만족도와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수술군에서 의료비용과 의료이용 횟수의 감소를 보여줌과 동시에 결론적으로 수술적치료가 비용효과면에서 절대우위의 치료대안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대한위암학회 산하 '대한위식도역류질환 수술연구회'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연간 약 100건 정도의 항역류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이는 위의 유병률과 장기투약환자수를 고려해 볼 때 0.5% 미만의 건수로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수술의 장점이 효과적 측면과 비용적 측면에서도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수술대상의 극히 일부만 수술시행이 되고 있는 것은 수술전 필수 시행되어야 하는 검사들의 불편함과 더불어 골드-스탠드(Gold-standard) 검사가 없음으로 인한 수술효과의 비보장성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술의 효과를 미리 예상할 수 있는 진단적 검사법의 개발로 불편한 검사들을 대치하고 수술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는 의료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4626호, 2009년 11월 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위상부에 삽입 또는 장착되어 항역류 수술의 잠정적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위상부에 설치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식도의 상단에 고정되는 몸체;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역류방지판; 및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위식도 상단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클립은 일영역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에 결합되어 위식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는 고정클립이 고정되는 결합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고정클립은 결합홀에 결합되어 위식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클립은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는 고정클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역류방지판은 몸체에 제1 역류방지판 및 제2 역류방지판이 상하로 적층배치되어 차례로 회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위상부에 설치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식도의 상단에 고정되는 몸체; 및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위식도 상단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며, 몸체는 하방향을 따라 관경이 작아지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역류방지부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는 둘레면을 따라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는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위상부에 삽입 또는 장착되어 위 등에서 분비되는 내분비 체액이 위의 상단을 통해서 역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항역류 수술의 잠정적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가 장착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의 도면이다.
도 7은 클립결착도구에 본 발명의 고정클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가 장착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의 도면이다.
몸체(1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식도의 상단에 고정된다. 몸체(110)는 하단에는 역류방지판(120)이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단차(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111)가 형성되면서, 역류방지판(120)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재질로 코팅이 형성되어 역류방지판(120)과의 밀착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고정클립(130)이 고정되는 결합홀(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은 3개가 120도 간격으로 몸체(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은 몸체(110)의 상단 바깥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클립(130)은 일영역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클립(130)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단 바깥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으로 고정클립(130)의 중앙영역은 결합홀(111)에 지지되고, 양단이 몸체(110)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위의 도 7에 도시된 클립결착도구(T)를 통해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역류방지판(120)은 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111)에 결합되어 하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역류방지판(120)은 음식물 등을 섭취할 때에만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동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역류방지판(120)은 평상시에 단차(111)에 의해서 안정적인 음식물 이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는 회동될 수 없기 때문에 위 등에서 분비되는 내분비 체액이 위의 상단을 통해서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진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20)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해 위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몸체(210), 역류방지판(220) 및 고정클립(2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2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식도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몸체(210)는 둘레방향을 따라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홈(212)은 삽입방향의 종단이 진입방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클립(230)이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212)은 상하방향으로 적층 배치되어 고정클립(23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홈(212)은 다른 방법으로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한 홈 형상의 소정영역이 자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한 홈 형상의 소정영역이 자력으로 형성될 때에, 후술하는 고정클립(230)은 홈(2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영역이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류방지판(220)은 전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클립(230)은 몸체(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212)에 결합되어 몸체(210)를 위식도 상단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위식도에 고정되는 영역이 고리형상(2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형상(231)의 타단은 홈(2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32)는 대략적인 형상이 전방을 향하여 그 고정부(232)의 직경이 더욱 커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212)에 결합됨으로써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클립(230)은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10)를 분리시킨 후에 고정클립(230)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수술 및 치료 후에 사후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클립(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홈(212)에 연결되는 고정부(232)가 자석의 재질로 형성되어 홈(2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30)는 몸체(310), 역류방지판(320) 및 고정클립(3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몸체(310)와 고정클립(330)간의 결합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몸체(310)와 역류방지판(320)의 구조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몸체(310)는 하방향을 향하여 2단으로 제1 단차(311a) 및 제2 단차(311b)가 형성되며, 제2 단차(311b)는 제1 단차(311a)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역류방지판(320)은 제1 역류방지판(320a) 및 제2 역류방지판(320b)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제1 단차(311a) 및 제2 단차(311b)에 차례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단차(311a) 및 제2 단차(311b)를 따라 제1 역류방지판(320a) 및 제2 역류방지판(320b)을 따라 순차적인 회동을 통하여 안정적인 음식물 이동을 제공함과 동시에 반대로는 회동될 수 없기 때문에 위 등에서 분비되는 내분비 체액이 위의 상단을 통해서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40)는 몸체(410) 및 고정클립(4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몸체(410)와 고정클립(420)간의 결합구조는 전술한 도 2 내지 4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결합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몸체(410)의 구조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몸체(410)는 하방향을 따라 직경이 좁아지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역류방지부(411)를 구비할 수 있다. 역류방지부(411)는 재질이 얇고 탄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음식물이 내려갈 때에, 그 구조가 탄력에 의해서 확장되면서 음식물이 내려갈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부(411)는 압력에 의해서 압착되기 때문에 위내용물이 역류하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부(411)는 외주면이 주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주름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음식물이 내려갈 때에, 그 구조가 탄력에 의해서 확장되기가 더욱 용이하며, 압력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 또한 용이하여 압력에 의한 압착으로 위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역류방지부(411)는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클립을 위식도에 고정할 때에, 도 7에 도시된 클립결착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는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위상부에 삽입 또는 장착되어 위 등에서 분비되는 내분비 체액이 위의 상단을 통해서 역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항역류 수술의 잠정적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210, 310, 410 : 몸체
120, 220, 320, 420 : 역류방지판
130, 230, 330, 430 : 고정클립

Claims (8)

  1.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위상부에 설치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에 있어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위식도의 상단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역류방지판; 및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위식도 상단에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판은,
    상기 몸체에 제1 역류방지판 및 제2 역류방지판이 상하로 적층배치되어, 차례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일영역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위식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클립이 고정되는 결합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어 위식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클립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38860A 2019-04-04 2020-03-31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KR10233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1,081 US20220323195A1 (en) 2019-04-04 2020-04-02 Anti-reflux valve for prevent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PCT/KR2020/004490 WO2020204616A1 (ko) 2019-04-04 2020-04-02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9792 2019-04-04
KR1020190039792 2019-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67A KR20200118367A (ko) 2020-10-15
KR102332974B1 true KR102332974B1 (ko) 2021-12-01

Family

ID=7288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60A KR102332974B1 (ko) 2019-04-04 2020-03-31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9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8504A1 (en) 2004-03-26 2005-10-13 Demarais Denise M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US20080208356A1 (en) * 2001-08-27 2008-08-28 Stack Richard S Satiation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304A (en) * 1987-07-13 1989-04-11 Bivona, Inc. Speech prosthesis device
US7118600B2 (en) 1998-08-31 2006-10-10 Wilson-Cook Medical, Inc.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8356A1 (en) * 2001-08-27 2008-08-28 Stack Richard S Sati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50228504A1 (en) 2004-03-26 2005-10-13 Demarais Denise M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367A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105B2 (en) Upper stomach gastric implants
AU2006314966B2 (en) A cardia stent
JP4512597B2 (ja) 胃腸管内に固定される装置および固定方法
US20210401606A1 (en) Flanged gastrointestin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7785291B2 (en) Bioerodible self-deployable intragastric implants
US9198790B2 (en) Upper stomach gastric implants
JP4947799B2 (ja) 身体組織括約筋など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398969B2 (en) Upper stomach gastric implants
US2006015537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ttachment of a gastrointestinal sleeve
US20070156248A1 (en) Bioerodible self-deployable intragastric implants
US20220346934A1 (en) Gastrointestinal impla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11969371B2 (en) Duodenal gastrointestinal devices and related treatment methods
US20130296765A1 (en) Intragastric implants with duodenal anchors
US20120259427A1 (en) Pyloric Valve
HUE028842T2 (en) Intragastric space filler
KR102332974B1 (ko) 위식도 역류질환 방지를 위한 항역류 밸브
US20220323195A1 (en) Anti-reflux valve for prevent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US20140025100A1 (en) Re-shaping intragastric implants
EP2741808B1 (en) Anchoring and delivery system for a gastro-duodenal implant
EP3346957B1 (en) Endoscopically deployable anti-reflux device
JP2023524849A (ja) ストーマ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