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896B1 -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896B1
KR102332896B1 KR1020200180983A KR20200180983A KR102332896B1 KR 102332896 B1 KR102332896 B1 KR 102332896B1 KR 1020200180983 A KR1020200180983 A KR 1020200180983A KR 20200180983 A KR20200180983 A KR 20200180983A KR 102332896 B1 KR102332896 B1 KR 10233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terminal
music
music content
inve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기
민할렐루야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정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기 filed Critical 정명기
Priority to KR102020018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896B1/ko
Priority to PCT/KR2021/017516 priority patent/WO2022139206A1/ko
Priority to KR1020210164242A priority patent/KR20220090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은,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투자자 단말에게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저작권 관리 서버에 상기 음악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로부터 저작권 등록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면, 상기 저작권료를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MUSIC COPYRIGHT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사가 투자자로부터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 제작에 대하여 투자를 받음으로써, 투자자가 제작사/아티스트들과 공동으로 음악 저작권을 소유하고, 음악 콘텐츠를 통한 저작권 수익 발생 시 투자자에게 투자한 금액에 상응하는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정의하면, 많은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문화예술활동으로 소비자들에게 관련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특히, 음악 산업은 작곡, 작사, 편곡, 출판, 저작권, 공연, 매니저먼트, 음반 제작 및 배급과 출판, 광고, 영화 음악 등 아티스트와 음원을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산업을 포괄하고 있다.
또한, 음악 산업은 음악이라는 예술을 대중들에게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음반 기획, 제작, 유통, 판매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지만, 산업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에 따라 최첨단 산업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IT 및 CT(문화기술, Culture Technology) 발전과 함께 디지털 및 스트리밍 음원 중심으로 개편 및 확산 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 등장과 음악 소비 문화 변화로 공연, 방송, 영상, 머천다이징(MD)과 같은 산업 분야의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음악 콘텐츠는 창작, 녹음 및 녹음 매체로의 임가공, 마케팅 및 유통 단계가 포함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창작 단계에서는 발행사(엔터테인먼트)가 유망하거나 실력 있는 아티스트 발굴 및 트레이닝과 프로듀서,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연주자 등과 음악 창작 활동을 한다. 이후, 음악을 녹음하고 LP, CD, 카세트테이프와 같은 유형의 물리적 음반, 디지털 음원 등으로 변환하여 음반사, 유통사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최근에는 IT 및 CT(문화기술, Culture Technology) 발전을 토대로 미디어 시장이 발전하고 전세계적으로 모바일 기기 보급 증가하면서, 음악 산업은 기존 영역을 넘어 음악 콘텐츠와 연동 가능한 영상 콘텐츠(영화, 광고 등), 머천다이징(MD), 공연 등 산업도 빠르게 확장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악 산업은 전세계 시장에서도 각국이 보유하고 있는 음악예술문화를 지키면서 막대한 시장 규모를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국가 브랜드 및 인지도 향상 등 국가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범 국가적 전략 사업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음악 산업 주요 분야를 세부적으로 나누면, 음반 및 음원 산업, 공연 산업, 라이선싱 & 머천다이징 산업, 영상 콘텐츠 산업이다.
음반 및 음원 산업은 1990~2000년대 LP나 카세트테이프 등 초기에 각광받던 아날로그 방식의 음반 시장 주축으로 이루다가 불법 다운로드, 불법 CD/DVD 유통 등 부작용과 인터넷, 모바일 등 신규 매체의 등장으로 기존 시장이 축소되고 새로운 산업 구조가 형성되었다. 2010년 ~ 현재까지는 스트리밍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LP, CD등 물리적 음반 산업이 축소되고 있는 반면에 국내 음반 시장은 아이돌에 대한 충성심이 높은 팬덤 덕분에 소유의 가치를 인정 받으면서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공연산업은 아티스트와 팬들간에 직접적인 소통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산업이다. 최근에는 증강현실 등 과학 기술 접목 되기도 하는 등 새로운 방식의 공연이 시도되고 있다.
라이선싱(Licensing)은 지적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을 창조한 저작권자가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을 타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허용하고, 이에 상응하는 대가로 로열티를 받는 것이다. 또한 머천다이징 사업(MD)은 스타의 캐릭터나 얼굴, 팀로고 등을 이용한 상품을 개발 및 판매하는 사업이다.
영상 콘텐츠 사업은 콘텐츠 유통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공중파나 케이블 방송사가 일방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TV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Youtube나 V-Live 등 온라인 영상 플랫폼 등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엔터테인먼트사는 히트 가수나 곡을 만들기 위해 신인 아티스트나 작곡가/작사가를 발굴하기 보다는 기존의 유명한 아티스트나 작곡가/작사가들에게 과다한 투자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그러므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새로운 아티스트나 신인 작곡가/작사가의 발굴 자체가 어려운 형편이고, 그에 따라 음악적인 다양성도 결여되고 있다.
또한, 음악 창작자들의 권인 보호를 위해 음원 가격 인상, 불법 다운로드 및 복제 DVD 유통 예방에 노력하고 있으나, 창작자 간 빈부격차는 극심해지고 있고, 퀄리티 좋은 음악 콘텐츠가 많이 배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엔터테인먼트사와 같은 제작사가 기획단계에 있는 음악 콘텐츠나 제작 중에 있는 음악 콘텐츠들에 대하여 투자를 받음으로써, 투자자가 해당 음악에 대한 저작권을 제작사/아티스트들과 공동으로 소유하고, 음악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 시 그 수익에 관하여 투자자들에게 투자한 금액에 상응하는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제작사가 투자자로부터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 제작에 대하여 투자를 받음으로써, 투자자가 제작사/아티스트들과 공동으로 음악 저작권을 소유하고, 상기 음악 콘텐츠를 통한 저작권 수익 발생 시 투자자에게 투자한 금액에 상응하는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은,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투자자 단말에게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저작권 관리 서버에 상기 음악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로부터 저작권 등록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면, 상기 저작권료를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작사 자본금을 더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제작사 자본금 및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이용하여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고, 상기 특수목적회사의 자본금을 음악 콘텐츠 제작에 쓰일 수 있도록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어를 통해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는, 광고사 서버로부터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광고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토어에서 상기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에 대한 수익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하고, 아티스트별 판매 수익률, 투자자의 성별, 투자자의 나이 및 광고 분석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 타겟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고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는, 음악 저작권 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에 있어서,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하는 자금 요청 수신부, 상기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투자자 단말에게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는 투자금 확보부,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자금 제공부, 상기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저작권 관리 서버에 상기 음악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는 저작권 등록 요청부,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로부터 저작권 등록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면, 상기 저작권료를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저작권료 배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금 요청 수신부는, 제작사 자본금을 더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자금 제공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의 투자금 확보를 완료하면, 상기 제작사 자본금 및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이용하여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고, 상기 특수목적회사의 자본금을 음악 콘텐츠 제작에 쓰일 수 있도록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어를 통해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품 판매부는, 광고사 서버로부터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광고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스토어에서 상기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에 대한 스토어 수익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스토어 수익 배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하고, 아티스트별 판매 수익률, 투자자의 성별, 투자자의 나이 및 광고 분석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 타겟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고사 서버에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제작사가 투자자로부터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 제작에 대하여 투자를 받음으로써, 투자자가 제작사/아티스트들과 공동으로 음악 저작권을 소유하고, 상기 음악 콘텐츠를 통한 저작권 수익 발생 시 투자자에게 투자한 금액에 상응하는 수익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서버에서 수행되는 광고 및 상품 판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음악'이라는 용어는 청각을 통하여 인식되는 협의의 음악뿐만 아니라 음악을 표현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등 음악과 관련된 일체의 저작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시스템은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 제작사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저작권 관리 서버(400), 광고사 서버(500) 및 사용자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는 제작사의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투자자로부터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 제작에 대하여 투자금을 확보함으로써, 투자자가 제작사/아티스트들과 공동으로 음악 저작권을 소유하고, 음악 콘텐츠를 통한 저작권 수익 발생 시 발생된 저작권 수익을 기반으로 제작사 및 투자금 모집에 참여한 투자자별 수익금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수익금을 제작사 및 투자자별로 배분하여 지급 처리할 수 있다.
제작사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및 사용자 단말(600)은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제작사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600)을 사용하는 제작사, 투자자,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을 완료한 이후에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로부터 음악 저작권 거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는 제작사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사용자 단말(600)에게 음악 저작권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메일, 비밀번호, 이름, 나이, 성별, 휴대전화번호, 은행, 계좌번호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제작사 단말(200)은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사의 단말로, 엔터테인먼트사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자자 단말(300)은 제작사의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투자자의 단말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 발생 시 투자한 금액에 상응하는 수익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작권 관리 서버(400)는 음악 콘텐츠를 포함하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등록하고, 저작물 사용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하는 서버로, 한국 저작권 협회(KOMC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관리 서버(400)는 방송(유무선 방송, 라디오 등), 전송(음원 유통사, 유튜브 등), 복제(음반, 영화, 광고 등), 공연(노래방, 유원시설 등), 해외, 기타(매장 음악 등)에서의 저작물 사용에 따라 저작권료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광고사 서버(500)는 제작사에 소속된 아티스트를 모델로 하는 광고를 의뢰하는 광고사의 서버이다. 광고사는 제작사와 계약을 체결하면, 해당 아티스트가 모델인 상품 광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이를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는 광고사 서버(500)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참여한 아티스트가 광고하는 상품 광고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600)에게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상품 광고 영상과 연결된 자체 스토어에서 해당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해당 광고 영상과 연결된 자체 스토어에서 아티스트가 광고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600)이 스토어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는 판매한 상품의 수익을 제작사 단말(200) 및 투자자 단말(300)에게 배분할 수 있다.
네트워크(700)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 제작사 단말(200), 투자자 단말(300), 저작권 관리 서버(400), 광고사 서버(500) 및 사용자 단말(600)이 서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으로서 통신 양태를 특별하게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70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각종 사물 지능 통신[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 IoST(internet of small things) 등]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70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시스템에 따르면, 작사/작곡/편곡가, 실연자/가수, 음원 유통사는 저작권 수익을 원래대로 가져가되, 제작사 및 투자자에 저작권 수익을 배분함으로써, 투자자는 별도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제작사는 음악 콘텐츠 제작 비용을 세이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관리 서버(100)는 자금 요청 수신부(110), 투자금 확보부(120), 자금 제공부(130), 저작권 등록 요청부(140), 저작권료 배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100)는 상품 판매부(160), 스토어 수익 배분부(170), 데이터 분석부(180), 및 데이터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금 요청 수신부(110)는 제작사 단말(200)로부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는 음악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해당 제작사 소속 아티스트 정보, 음반 발매 예정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는 아티스트의 제품 광고 모델 계약을 통한 추가 수익 창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투자금 확보부(120)는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투자자 단말(300)에게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투자금 확보부(120)는 투자자 단말(300)에게 음악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해당 제작사 소속 아티스트 정보, 음반 발매 예정일 등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투자자 단말(300)은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통해 투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투자금 확보부(120)는 아티스트의 제품 광고 모델 계약을 통한 추가 수익 창출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다.
자금 제공부(13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제작사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자금 제공부(130)는 제작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필요 투자 금액만큼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고, 일정 기간동안 제한없이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자금 요청 수신부(110)는 제작사 자본금을 더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자금 제공부(13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의 투자금을 확보하면, 제작사 자본금 및 확보된 투자금을 이용하여 특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Company: SPC)를 설립하고, 특수목적회사의 자본금을 음악 콘텐츠 제작에 쓰일 수 있도록 제작사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저작권 등록 요청부(140)는 제작사 단말(200)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저작권 관리 서버(400)에 음악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저작권 관리 서버(400)는 해당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등록하고, 해당 음악 콘텐츠 사용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할 수 있다.
저작권료 배분부(150)는 저작권 관리 서버(400)로부터 저작권 등록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면, 상기 저작권료를 제작사 단말(200) 및 투자자 단말(300)에게 배분할 수 있다. 즉, 저작권료 배분부(150)는 지급된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제작사 및 투자금 모집에 참여한 투자자별 수익금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수익금을 제작사 및 투자자별로 배분하여 지급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료 배분부(150)는 저작권 거래 관련 정보를 제작사 단말(200) 및 투자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저작권 거래 관련 정보는 지급된 저작권료, 산출된 투자자별 수익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판매부(160)는 스토어를 운영하여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은 제작사가 진행중인 음악 콘텐츠 또는 그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한 아티스트와 관련된 상품으로, 아티스트의 음반, 아티스트가 모델로 활동중인 상품, 아티스트가 개발한 상품 또는 아티스트가 관심있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판매부(160)는 광고사 서버(500)로부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광고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6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판매부(160)는 음악 콘텐츠에 참여한 아티스트인 아이유가 모델로 활동중인 소주 광고 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품 판매부(160)는 음악 콘텐츠에 참여한 아티스트인 아이유가 개발 또는 관심있는 상품을 홍보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부(160)는 스토어에서 해당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판매부(160)는 음악 콘텐츠에 참여한 아티스트가 모델로 활동중인 소주를 판매할 수 있다. 또는, 상품 판매부(160)는 음악 콘텐츠에 참여한 아티스트가 개발 또는 관심있는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600)은 해당 광고 영상과 연결된 자체 스토어에서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티스트 중심 미디어 커머스로 콘텐츠 자체 제작과 해당 상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스토어 수익 배분부(170)는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에 대한 수익금을 제작사 단말(200) 및 투자자 단말(300)에게 배분할 수 있다. 즉, 스토어 수익 배분부(170)는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의 수익금를 기반으로 제작사 및 투자금 모집에 참여한 투자자별 수익금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수익금을 제작사 및 투자자별로 배분하여 지급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어 수익 배분부(170)는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를 제작사 단말(200) 및 투자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는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의 수익금, 산출된 투자자별 수익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사와 아티스트가 단순 광고 모델을 통한 단순 수익 창출이 아닌, 추가 수익 창출 방법으로 미디어와 커머스를 사용자 단말 연동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여 전자상거래 또는 콘텐츠 자체 판매 채널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분석부(18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사 서버(5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분석부(180)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하고, 아티스트별 판매 수익률, 투자자의 성별, 투자자의 나이 및 광고 분석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 타겟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고사 서버(500)에 제공할 수 있다. 광고사 서버(500)는 이러한 데이터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타겟 용도 또는 마케팅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90)는 저작권 및 스토어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작사 DB(191), 투자자 DB(193), 사용자 DB(195), 상품 정보 DB(19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작사 DB(191)에는 제작사 정보,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는 음악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해당 제작사 소속 아티스트 정보, 음반 발매 예정일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자자 DB(193)에는 투자자의 이메일, 비밀번호, 이름, 나이, 성별, 휴대전화번호, 은행, 계좌번호 등을 포함하는 투자자 개인 정보, 투자 금액, 투자한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와 같이 투자 및 투자에 대한 수익금 정산을 위해 필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 DB(195)에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휴대전화번호, 계좌번호와 같이 상품 구매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품 정보 DB(197)에는 자체 스토어에서 판매하는 상품 정보, 해당 상품에 연결된 광고 영상 정보, 상품 판매 수익 등 상품 판매 및 스토어 수익금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서버에서 수행되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금 요청 수신부(110)는 제작사 단말(200)로부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10).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는 음악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해당 제작사 소속 아티스트 정보, 음반 발매 예정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는 아티스트의 제품 광고 모델 계약을 통한 추가 수익 창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투자금 확보부(120)는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투자자 단말(300)에게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S320).
이어서, 자금 제공부(13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S330, YES),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제작사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S340).
일 실시예에서, 자금 요청 수신부(110)는 제작사 자본금을 더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자금 제공부(130)는 투자자 단말(300)로부터의 투자금 확보를 완료하면, 제작사 자본금 및 확보된 투자금을 이용하여 특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Company: SPC)를 설립하고, 특수목적회사의 자본금을 음악 콘텐츠 제작에 쓰일 수 있도록 제작사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저작권 등록 요청부(140)는 제작사 단말(200)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저작권 관리 서버(400)에 음악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350).
이어서, 저작권료 배분부(150)는 저작권 관리 서버(400)로부터 저작권 등록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면, 상기 저작권료를 제작사 단말(200) 및 투자자 단말(300)에게 배분할 수 있다(S360). 즉, 저작권료 배분부(150)는 지급된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제작사 및 투자금 모집에 참여한 투자자별 수익금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수익금을 제작사 및 투자자별로 배분하여 지급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저작권 거래 서버에서 수행되는 광고 및 상품 판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 저작권 거래 서버(100)의 상품 판매부(160)는 스토어를 운영하여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은 제작사가 진행중인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한 아티스트와 관련된 상품으로, 아티스트의 음반, 아티스트가 모델로 활동중인 상품, 아티스트가 개발한 상품 또는 아티스트가 관심있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판매부(160)는 광고사 서버(500)로부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광고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600)에게 제공할 수 있다(S410).
이어서, 상품 판매부(160)는 스토어에서 해당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S420). 이 때, 사용자 단말(600)은 해당 광고 영상과 연결된 자체 스토어에서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티스트 중심 미디어 커머스로 콘텐츠 자체 제작과 해당 상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스토어 수익 배분부(170)는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에 대한 수익금이 발생하면(S430, YES), 스토어 수익금을 제작사 단말(200) 및 투자자 단말(300)에게 배분할 수 있다(S440). 즉, 스토어 수익 배분부(170)는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의 수익금를 기반으로 제작사 및 투자금 모집에 참여한 투자자별 수익금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수익금을 제작사 및 투자자별로 배분하여 지급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데이터 분석부(18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사 서버(500)에 제공할 수 있다(S460). 즉, 데이터 분석부(180)는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하고, 아티스트별 판매 수익률, 투자자의 성별, 투자자의 나이 및 광고 분석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 타겟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고사 서버(500)에 제공할 수 있다. 광고사 서버(500)는 이러한 데이터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타겟 용도 또는 마케팅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사와 아티스트가 단순 광고 모델을 통한 단순 수익 창출이 아닌, 추가 수익 창출 방법으로 미디어와 커머스를 사용자 단말 연동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여 전자상거래 또는 콘텐츠 자체 판매 채널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 110: 자금 요청 수신부
120: 투자금 확보부 130: 자금 제공부
140: 저작권 등록 요청부 150: 저작권료 배분부
160: 상품 판매부 170: 스토어 수익 배분부
180: 데이터 분석부 190: 데이터 저장부
191: 제작사 DB 193: 투자자 DB
195: 사용자 DB 197: 상품 정보 DB
200: 제작사 단말 300: 투자자 단말
400: 저작권 관리 서버 500: 광고사 서버
600: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운영관리 서버가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투자자 단말에게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운영관리 서버는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운영관리 서버는 저작권 관리 서버에 상기 음악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로부터 저작권 등록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면, 상기 저작권료를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관리 서버가 자체 스토어를 통해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작사 자본금을 더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제작사 자본금 및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이용하여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고, 상기 특수목적회사의 자본금을 음악 콘텐츠 제작에 쓰일 수 있도록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는,
    광고사 서버로부터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광고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자체 스토어에서 상기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에 대한 수익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하고, 아티스트별 판매 수익률, 투자자의 성별, 투자자의 나이 및 광고 분석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 타겟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고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7. 음악 저작권 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에 있어서,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 및 필요 투자 금액을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하는 자금 요청 수신부;
    상기 제작 자금 요청에 따라 투자자 단말에게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는 투자금 확보부;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자금 제공부;
    상기 제작사 단말로부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음악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저작권 관리 서버에 상기 음악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요청하는 저작권 등록 요청부;
    상기 저작권 관리 서버로부터 저작권 등록된 음악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면, 상기 저작권료를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저작권료 배분부; 및
    자체 스토어를 통해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부를 포함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금 요청 수신부는,
    제작사 자본금을 더 포함하는 제작 자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자금 제공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로부터 투자금을 확보하면, 상기 제작사 자본금 및 상기 확보된 투자금을 이용하여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고, 상기 특수목적회사의 자본금을 음악 콘텐츠 제작에 쓰일 수 있도록 상기 제작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부는,
    광고사 서버로부터 상기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광고 영상을 수신하면, 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자체 스토어에서 상기 광고 영상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스토어에서 판매한 상품에 대한 스토어 수익금을 상기 제작사 단말 및 상기 투자자 단말에게 배분하는 스토어 수익 배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
  12.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정보,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스토어 거래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하고, 아티스트별 판매 수익률, 투자자의 성별, 투자자의 나이 및 광고 분석 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광고 타겟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고사 서버에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저작권 거래 운영 서버.
KR1020200180983A 2020-12-22 2020-12-22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33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83A KR102332896B1 (ko) 2020-12-22 2020-12-22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1/017516 WO2022139206A1 (ko) 2020-12-22 2021-11-25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64242A KR20220090410A (ko) 2020-12-22 2021-11-25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83A KR102332896B1 (ko) 2020-12-22 2020-12-22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242A Division KR20220090410A (ko) 2020-12-22 2021-11-25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896B1 true KR102332896B1 (ko) 2021-12-01

Family

ID=788999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983A KR102332896B1 (ko) 2020-12-22 2020-12-22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64242A KR20220090410A (ko) 2020-12-22 2021-11-25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242A KR20220090410A (ko) 2020-12-22 2021-11-25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32896B1 (ko)
WO (1) WO202213920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440A (ko) * 2014-01-17 2015-07-28 (주) 헤어커투어 기업과 유명인 간 협력사업 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13235A (ko) * 2014-03-27 2015-10-08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7883A (ko) * 2016-11-23 2018-05-31 제탄 아룬라오 우타와르 지식재산권 기반의 특별 목적 회사 설립 플랫폼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1930215B1 (ko) * 2018-06-28 2018-12-17 양헌정 유명인의 협찬물품 중계 및 구매 시스템
JP2020144558A (ja) * 2019-03-05 2020-09-10 ミュージックセキュリティーズ株式会社 音楽投資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440A (ko) * 2014-01-17 2015-07-28 (주) 헤어커투어 기업과 유명인 간 협력사업 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13235A (ko) * 2014-03-27 2015-10-08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디지털 콘텐츠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7883A (ko) * 2016-11-23 2018-05-31 제탄 아룬라오 우타와르 지식재산권 기반의 특별 목적 회사 설립 플랫폼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1930215B1 (ko) * 2018-06-28 2018-12-17 양헌정 유명인의 협찬물품 중계 및 구매 시스템
JP2020144558A (ja) * 2019-03-05 2020-09-10 ミュージックセキュリティーズ株式会社 音楽投資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206A1 (ko) 2022-06-30
KR20220090410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x E-commerce business models for the music industry
Vaccaro et al. The evolution of business models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music industry
Swatman et al. The changing digital content landscape: An evaluation of e‐business model development in European online news and music
Power And et al. Competitiveness, local production systems and global commodity chains in the music industry: entering the US market
Fox et al. A broadcasting model for the music industry
US20040210538A1 (en) Method of generating or increasing product sales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on-line content for free over a distributed computer network
US20060265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product
Zhu et al. The economics of digital bundling: the impact of digitization and bundling on the music industry
Andersen et al. Copyrights, competition and development
JP2007534080A (ja) ウェブベースのデータ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Meier Popular Music Making and Promotional Work Inside the ‘New'Music Industry: Autonomy and community
Handke et al. Cultural economics and the Internet
Renard et al. Network Perspectives on the Relevance of New Revenue Streams in the Digital Era Music Industry.
Yahya et al. Music royalty payment schem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arun et al. NFT application for music industry using blockchain smart contracts
KR2000005827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선구매 및 이익 분배 방법
KR102332896B1 (ko)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Singh et al. Online music retail in India
US20230419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NFT Marketplace
Peltz Digital distribution models reviewed: The content provider’s perspective
Perritt Jr Music markets and mythologies
US20080215451A1 (en) StreamSale distribution model
Wirtz et al. Business Models and Value Creation in the Music Market
Galphat et al. Blockchain based Music Streaming Platform using NFTs
Moro-Visconti Music Recording Labels: Business Models and Valuation (with Andrea Cesaret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