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781B1 - Assembly flowerpot - Google Patents

Assembly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781B1
KR102332781B1 KR1020190142044A KR20190142044A KR102332781B1 KR 102332781 B1 KR102332781 B1 KR 102332781B1 KR 1020190142044 A KR1020190142044 A KR 1020190142044A KR 20190142044 A KR20190142044 A KR 20190142044A KR 102332781 B1 KR102332781 B1 KR 10233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lar
lower frame
flowerpo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5509A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미소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소조경(주) filed Critical 미소조경(주)
Priority to KR102019014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81B1/en
Publication of KR2021005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의 윤곽을 형성하는 뼈대부; 및 상기 뼈대부와 결합되어 흙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뼈대부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keleton forming the outline of the flowerpot; and a wall portion coupled to the skeleton portion to form a space in which soil can be accommodated, wherein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the skeleton portion to block the space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조립식 화분{ASSEMBLY FLOWERPOT}Prefab Flowerpot {ASSEMBLY FLOWERPOT}

본 발명은,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 제작이 간편하고, 특히, 다량의 흙과 부피가 큰 원예식물의 뿌리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운반이나 관리시에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lowerp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flowerpot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in particular, stably accommodates a large amount of soil and bulky roots of horticultural plants to maintain durability during transport or management. It's about pots.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이나 소형나무와 같은 식물을 심어 가꾸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흙과 원예식물의 뿌리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그릇 형태로 제작될 수 잇다.In general, flowerpots, which are used to plant and cultivate plants such as flowers or small trees,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owl with an open top so as to stably accommodate soil and roots of horticultural plants.

이러한 화분은, 플라스틱재, 목재, 흙, 금속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원예식물이나 나무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Such a flowerpo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material, wood, soil, and metal material, and may have various siz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a horticultural plant or tree.

예를 들어, 야외에서 진행되는 행사나 공연장, 박람회, 도로변 등에서 실외 미관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화분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화분보다 크기가 크고 중량도 무겁다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a flowerpot installed to create an outdoor beauty in an outdoor event, a performance hall, a fair, or a roadside may be larger in size and heavier than a flowerpot used in a home or office.

그 중, 약 1.5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나무의 뿌리와 흙을 수용한 채 실외에 설치되는 화분은 흙과 나무의 중량을 버티기 위해서 강한 내구성이 요구된다.Among them, pots installed outdoors while accommodating the roots and soil of trees having a size of about 1.5 m or more require strong durability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oil and trees.

그러나, 이러한 대용량 화분은 나무와 흙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관점으로만 제작되기 때문에, 자연 친화적인 느낌이 떨어져 실외 미관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se large-capacity flowerpots are produced only from the viewpoint of stably accommodating trees and soi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utdoor aesthetics is rather deteriorated due to a lack of nature-friendly feeling.

근래에는 화분 자체에 미려함을 부여하는 다양한 무늬가 새겨진 석재 화분이나 토기 화분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화분 자체의 중량이 증대되는 관계로 인하여 실외에 화분을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다수의 인력 및 장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특히, 토기 화분의 경우에는 고중량의 흙과 나무를 지탱하지 못하여 운반이나 설치시에 쉽게 깨지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석재 화분이나 토기 화분은 그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도 있다.In recent years, stone flowerpots or earthenware flowerpots with various patterns that give beauty to the flowerpot itself are used. However, due to the increased weight of the flowerpot itself, it is very cumbersome to install the flowerpot outdoors and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equipment. presents the proble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arthenware pots, they cannot support heavy soil and trees, so they are easily broken during transportation or installation. In addition, stone flowerpots or earthenware flowerpot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expensive.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데크 플레이트와 같은 판 상의 목재를 이용하여 대용량 화분을 제작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centl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rge-capacity flowerpot using wood on a plate such as a deck plate has been used.

목재를 재료로 하여 제작되는 대용량 화분은, 실외에서 자연 친화적인 느낌을 제공함과 동시에 플라스틱재 화분이나 토기 화분보다 강한 내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어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Large-capacity flowerpots made of wood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natural-friendly feeling outdoo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stronger durability than plastic flowerpots or earthenware pots, so they are widely used now.

하지만,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대용량 화분은, 여전히 석재 화분 또는 금속 화분에 비하여 내구성이 떨어져 운반시나 설치시에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목재를 이용하여 대용량 화분을 제작할 시에는, 목재의 길이방향 단부를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 연결지점이 흙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벌어져 결국 화분의 외부로 흙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large-capacity flowerpots made of wood are still less durable than stone flowerpots or metal flowerpots, so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during transportation 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when producing a large-capacity flowerpot using wood, it is required to connect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wood to each other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or bol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il does not withstand it and eventually leaks out of the po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목재의 연결지점에 보강 부재를 덧대어 화분의 강성을 보강하고 흙의 누출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오히려 화분의 외관을 보기 않좋게 하고, 별도의 작업과정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einforcement member was adde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woo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pot and to prevent soil leakage, but this rather deteriorates the appearance of the pot and requires a separate work process.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8904호의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화분"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lated prior art document, there is a "prefabricated flowerpot using wood" of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8904 No. 20-0428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조립방식으로 목재들을 결합하여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flowerpot that is easy to manufacture by combining woods in a sliding assembly method.

또한, 본 발명은, 고중량의 흙과 나무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lowerpot configured to stably accommodate heavy soil and trees.

또한,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인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외력으로부터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lowerpot configured not to be damaged or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ile maintaining a nature-friendly aesthetic.

본 발명은, 화분의 윤곽을 형성하는 뼈대부; 및 상기 뼈대부와 결합되어 흙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뼈대부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keleton forming the outline of the flowerpot; and a wall portion coupled to the skeleton portion to form a space in which soil can be accommodated, wherein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the skeleton portion to block the space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뼈대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 및 상기 기둥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기둥 프레임과 협력하여 레일홈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keleton portion, the lower frame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 upper fram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whi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each having longitudinal end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a guide frame having longitudinal e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while being disposed parallel to the pillar frame, and forming a rail groove in cooperation with the pillar frame.

또한, 상기 벽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놓여지는 바닥부재; 및 상기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외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벽부재는,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상기 레일홈에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기둥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portion, a floor member placed on the lower frame; and a plurality of outer wall member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wherein the outer wall members have longitudinal end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s formed between the pillar frames and the guid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s. can be moved along.

또한,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수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이 다각형의 변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are arranged in a vertical or oblique direction to connect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each other, but when the lower fram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side, the corner side of the lower frame may be disposed to connect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바닥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에서 상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formed to be bent upwardly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to prevent the floor member from flowing.

또한,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각각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may have a shape bent at the same angle, respectively.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기둥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기둥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lumn frame while wrapp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lumn frame.

또한,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절곡지점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절곡 지점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rame for maintaining an interval between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wherein the auxiliary frame may connect the bending point of the pillar frame and the bending point of the guide fram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다리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다리 프레임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eg fram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provided under the lower frame, and the leg fram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fork of the forklift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뼈대부는 금속재로 제작되고 상기 벽부는 목재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keleton par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wall part may be made of wo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제공하는 목재와 고중량의 흙과 식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금속의 뼈대부가 적절히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정원, 차도, 보도, 공연장, 박람회 등과 같은 실외 공간에서 크기가 큰 식물의 뿌리와 다량의 흙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Since the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wood providing a nature-friendly image and a metal skeleton that can stably support heavy soil and plants are properly combined, garden, driveway, sidewalk It can be used by stably accommodating the roots of large plants and a large amount of soil in outdoor spaces such as concert halls, exhibition halls, et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다수개의 목재로 구성된 벽부를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뼈대부와 슬라이딩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because it can be coupled to a wall part made of a plurality of wood in a sliding insertion manner with the skeleton part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지게차에 의해 들리어 져 운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대용량으로 제작되어도 운반 및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lifted and transported by a forklift, it provides convenience of transport and installation even when manufactured in a large capac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금속재의 뼈대부를 구성하는 기둥 프레임과 가이드 프레임이 화분의 모시리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화분의 모서리측이 흙의 하중에 따른 힘으로부터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그 내구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constituting the skeleton part of the metal material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lowerpot, the corner side of the flowerpot is protected from the force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soil. It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and its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뼈대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뼈대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keleton in Figure 1;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 A shown in FIG. 2 ;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skeleton shown in Figure 2;
5 is a front view of a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prefabricated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100)은, 제작하고자 하는 화분 형태의 윤곽을 형성하는 뼈대부(200); 및 상기 뼈대부(200)와 결합되어 흙과 식물의 뿌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부(300);를 크게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prefabricated flowerp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eleton 200 forming an outline of a flowerpot shape to be produced; and a wall portion 300 that is coupled to the skeleton portion 200 to form a space in which soil and plant roots can be accommodated.

먼저, 상기 뼈대부(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하부 프레임(210); 상기 하부 프레임(21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로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220); 상기 상부 프레임(2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230); 및 상기 기둥 프레임(230)과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상부 프레임(2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기둥 프레(230)임과 협력하여 레일홈(250)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skeleton 200, as shown in FIGS. 2 to 5, a lower frame 210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 upper frame 220 disposed on the lower frame 210 whi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210;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230 each having longitudinal end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20 and the lower frame 210; and the longitudinal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20 and the lower frame 210 while being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illar frame 230 , and in cooperation with the pillar frame 230 , a rail groove 250 . A guide frame 240 forming a; may include.

상기 하부 프레임(21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는 각 선분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ㄴ'자 단면을 가지는 금속재를 용접방식으로 연결하여 원형틀, 사각틀, 오각틀 등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21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each line segment forming a circle or polygon. That is,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frame, a square frame, a pentagonal frame, etc. by connecting a metal material having a 'b' cross section by welding.

상기 하부 프레임(210)은 후술할 벽부(300)의 바닥부재(310)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바, 상기 바닥부재(310)의 길이방향 단부측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211); 및 상기 제1지지부재(211)에서 상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3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지지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2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bottom member 310 of the wall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laced, and a first support member 211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member 310 . );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12 formed to be bent upwardly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211 to prevent the bottom member 310 from flowing.

상기 상부 프레임(220)도, 'ㄴ'자 단면을 가지는 금속재를 용접방식으로 연결하여 원형틀, 사각틀, 오각틀 등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10)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frame 220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frame, a square frame, a pentagonal frame, etc. by connecting a metal material having a 'B' cross-section by a welding method, and as described above, can have a form.

예컨대, 하부 프레임(210)이 사각틀의 형태로 제작되면 상부 프레임(220)도 사각틀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공간이 넓어지는 형태의 화분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하부 프레임(210)이 형성하는 크기보다 상부 프레임(220)이 형성하는 크기를 더 크게 제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wer frame 21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the upper frame 220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In this case, in order to manufacture a flowerpot of a shape in which the space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size formed by the upper frame 220 may be larger than the size formed by the lower frame 210 .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이 각각 사각틀의 형태를 가지되, 상부 프레임(220)이 하부 프레임(210)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10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each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upper frame 220 forms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the lower frame 210 . is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ly, the prefabricated flowerp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drawing as having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space gradually widen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상기 기둥 프레임(230)도 절곡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The pillar frame 230 may also be manufactured in a bent form,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in the drawing as having a 'L'-shaped cross-section.

기둥 프레임(230)은, 앞에서 설명되었던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하여 그 개수가 배치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The number of the pillar frames 230 may vary in number and arrangement ang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described above.

예컨대,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이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틀의 형태로 제작되면, 기둥 프레임(23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채 그 길이방향 하단은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상단은 상부 프레임(220)과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the same size as each other, the pillar frame 230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210 . and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20 .

또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 프레임(220)이 하부 프레임(210)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사각틀의 형태로 제작되면, 기둥 프레임(230)은 경사방향으로 세워진 채 그 길이방향 하단은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상단은 상부 프레임(220)과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 , when the upper frame 22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lower frame 210 , the column frame 230 is erected in the inclined direction and the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210 , and an upper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20 .

그리고, 기둥 프레임(230)은,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이 형성하는 형태에 대응하여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23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hapes formed by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

이때, 기둥 프레임(230)은,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이 다각틀의 형태로 제작되면,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의 모서리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그 모서리측에 각각 배치된 채 상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뼈대부(200)의 전체적인 강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frame, the column frame 230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rners of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upper frame 220 and the lower frame 210 to each other while being disposed on the corner side, in view of increasing the overall rigidity of the skeleton part 200 .

한편,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은, 기둥 프레임(230)의 길이방향 단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기둥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연결된다. 즉, 기둥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하단은 하부 프레임(210)이 형성하는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하부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상단은 상부 프레임(2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부 프레임(220)과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pillar frame 21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wrapped around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pillar frame 230 . That is, the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frame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210 in a state inserted inside the lower frame 210 , and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frame 210 . In this state, it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220 .

기둥 프레임(230)이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에 연결되면, 기둥 프레임(230)의 길이방향 단부가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의 절곡 부위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화분의 자연 친화적인 미관이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흙이 채워지는 공간부에서 기둥 프레임(230)이 배치된 방향으로 발생되는 외력에 반하는 반력을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의 절곡 부위가 제공하기 때문에 기둥 프레임(230)이 방사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화분의 내구성이 더욱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pillar frame 230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in the above manner, the longitudinal end of the pillar frame 230 is at the bent portion of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it is covered by the veneer, and thus, the nature-friendly aesthetics of the flowerpot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bent portion of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provides a reaction for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lumn frame 230 is arranged in the space part filled with soil, the column frame 230 is It is prevented from flowing or deforming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ot can be further maintained.

상기 가이드 프레임(240)도 절곡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프레임(240)은, 기둥 프레임(230)이 절곡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진 채로 절곡될 수 있다.The guide frame 240 may also be manufactured in a bent form,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in the drawing as having a 'L'-shaped cross-section. Here, the guide frame 240 may be bent while having the same angle as the angle at which the pillar frame 230 is bent.

또한, 가이드 프레임(2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는바, 기둥 프레임(230)과 비접촉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둥 프레임(230)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은 폭방향 길이를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guide frame 240 is dispos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230 , and may be provided in a non-contact state with the pillar frame 230 . , has a width direction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pillar frame (230).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40)도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하여 그 개수와 배치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기둥 프레임(230)과 대응되는 배치각도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angle of the guide frame 240 may also be ch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and size of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corresponding to the pillar frame 230 .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240)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230)과 가이드 프레임(240)이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레일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레일홈(250)은, 후술할 벽부(300)의 외벽부재(31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By the guide frame 24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 a rail groove 250 may be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pillar frame 230 and the guide frame 240 facing each other. The rail groove 25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outer wall member 310 of the wall par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slidably mov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프레임(23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24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보조 프레임(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kelet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auxiliary frame 260 for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 frame 230 and the guide frame 240 is further may include

상기 보조 프레임(260)은, 기둥 프레임(230)의 절곡지점과 가이드 프레임(240)의 절곡지점을 서로 연결하는 금속 플레이트라 할 수 있으며, 용접방식으로 기둥 프레임(230)과 가이드 프레임(2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260 may be a metal plate connecting the bending point of the pillar frame 230 and the bending point of the guide frame 240 to each other, and the pillar frame 230 and the guide frame 240 are welded by a welding method. can be fixedly connected to

보조 프레임(260)은 기둥 프레임(230) 또는 가이드 프레임(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흙의 하중에 의해 흙이 채워지는 공간부에서 방사방향으로 발생되는 외력에 가이드 프레임(240)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둥 프레임(230)과 가이드 프레임(240) 사이에는 보조 프레임(26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frame 260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230 or the guide frame 240, and the guide frame 240 is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space part filled with soil by the load of the soil. It serves to prevent movement or deform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frame 260 is provided between the pillar frame 230 and the guide frame 240 .

상기 벽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210)에 놓여지는 바닥부재(310); 및 상기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230) 사이에 마련되며,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외벽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l portion 30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bottom member 310 placed on the lower frame 210; and a plurality of outer wall members 320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230 and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바닥부재(310)와 외벽부재(320)는 데크 플레이트와 같은 목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floor member 310 and the outer wall member 320 may be made of wood, such as a deck plate.

바닥부재(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10)에 놓여지는바 그 길이방향 단부측 저면이 하부 프레임(210)의 제1지지부재(211) 윗면과 접촉되게 놓여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member 310 may be placed on the lower frame 210 so that its longitudinal end sid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11 of the lower frame 210 .

따라서, 작업자가 다수개의 바닥부재(310)를 하부 프레임(210)의 제1지지부재(211)에 마련함으로써 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된 하부측 개구부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opening formed in the lower frame 210 may be blocked from the outside by providing the plurality of floor members 310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11 of the lower frame 210 by the operator.

외벽부재(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 단부가 기둥 프레임(230)과 가이드 프레임(240) 사이에 형성된 레일홈(250)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outer wall member 320, as described above, the longitudinal end thereof may be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250 formed between the pillar frame 230 and the guide frame 240 .

따라서, 작업자가 다수개의 외벽부재(320)를 레일홈(250)에 삽입시킨 후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230) 사이에 형성된 측방 개구부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Therefore, if the operator repeatedly performs the process of sliding downward after inserting the plurality of outer wall members 320 into the rail groove 250, the side opening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230 may be blocked from the outside. have.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흙과 식물의 뿌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구획될 수 있다.When the above state is reached, the space in which the soil and the roots of plants can be accommodated may be partitioned in a state tha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참고로, 받침부재(310)와 외벽부재(320)는, 뼈대부(20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뼈대부(200)의 하부 프레임(210)에 형성된 공간의 형태에 대응되어 받침부재(310)가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2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형태에 대응되어 외벽부재(320)가 다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of course, the support member 310 and the outer wall member 320 may be manufactured whi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keleton part 200 . That is,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31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pace formed in the lower frame 210 of the skeleton 200 , and similarly, in the shape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230 .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outer wall members 320 may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대부(2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프레임(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kelet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g frame 270 as shown in FIGS. 2 and 5 .

상기 다리 프레임(270)은,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leg frame 27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under the lower frame 210 ,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상기 다리 프레임(270)은, 하부 프레임(210)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승된 위치로 배치되게 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leg frame 270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fork of the forklift can be inserted by disposing the lower frame 210 at a position elev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따라서, 지게차의 포크가 다리 프레임(27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 후 하부 프레임(210)의 저부를 용이하게 들어올려 운반 및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fork of the forklift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leg frames 270 ,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210 is easily lifted to provid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1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뼈대부(200)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을 오각형의 형태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틀로 제작하고 그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230)을 일정각격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prefabricated flowerp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entagonal or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S. 6 and 7 . That is,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constituting the skeleton 200 are manufactured as a frame having a pentagonal or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2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Of course, it can be placed as

특히,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이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틀로 제작되었을 때, 벽부(30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외벽부재(310)는 하부 프레임(210) 또는 상부 프레임(220)의 곡률을 따라 커브 형태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ower frame 210 and the upper frame 220 are manufactured as a frame having a circular shape, the plurality of outer wall members 310 constituting the wall portion 300 is the lower frame 210 or the upper frame 220 . It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having a curve shape along the curvature of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뼈대부(200)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외관을 가지는 화분을 제작할 수도 있다.In this way, by manufacturing the skelet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flowerpots having various appearance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 조립식 화분 200 : 뼈대부
210 : 하부 프레임 220 : 상부 프레임
230 : 기둥 프레임 240 : 가이드 프레임
250 : 레일홈 260 : 보조 프레임
270 : 다리 프레임 300 : 벽부
310 : 바닥부재 320 : 외벽부재
100: prefabricated flowerpot 200: skeleton
210: lower frame 220: upper frame
230: pillar frame 240: guide frame
250: rail groove 260: auxiliary frame
270: leg frame 300: wall part
310: floor member 320: outer wall member

Claims (10)

화분의 윤곽을 형성하는 뼈대부; 및
상기 뼈대부와 결합되어 흙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뼈대부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고,
상기 뼈대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 및
상기 기둥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기둥 프레임과 협력하여 레일홈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놓여지는 바닥부재; 및
상기 다수개의 기둥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며,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외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벽부재는,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상기 레일홈에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기둥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이 다각형의 변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의 모서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바닥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에서 상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각각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기둥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기둥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절곡지점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절곡 지점을 서로 연결하며,
흙이 수용되는 상기 공간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이 형성하는 크기는 상기 하부 프레임이 형성하는 크기보다 크며,
상기 기둥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이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방사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기둥 프레임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armature forming the outline of the flowerpot; and
It includes; a wall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skeleton portion to form a space in which soil can be accommodated;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the skeleton portion to block the space portion from the outside,
The skeleton part,
a lower frame having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 upper fram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whi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each having longitudinal end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and a guide frame having longitudinal e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while being disposed parallel to the pillar frame, and forming a rail groove in cooperation with the pillar frame; and
The wall part,
a floor member placed on the lower frame;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wall members having different lengths.
The outer wall member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by inserting a longitudinal end into the rail groove formed between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disposed in an oblique direction, but when the lower frame is formed in a polygonal side shape, it is disposed on the corner side of the lower frame to connect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each other, ,
The lower frame is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membe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formed to be bent upwardly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to prevent the floor member from flowing;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each have a shape bent at the same angle,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lumn frame while wrapping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lumn frame,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frame for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 frame and the guide frame, wherein the auxiliary frame connects the bending point of the pillar frame and the bending point of the guide frame to each other,
The size formed by the upper frame is larger than the size formed by the lower frame so that the space in which the soil is accommodated can gradually widen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pillar frame, the guide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are disposed to be inclin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lower fram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frame is disposed,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guide frame is prefabricated flowerpot, characterized in that short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pillar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다리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다리 프레임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leg fram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re provided under the lower frame,
The leg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fork of the forklift can be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뼈대부는 금속재로 제작되고 상기 벽부는 목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flower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keleton part is made of metal and the wall part is made of wood.
KR1020190142044A 2019-11-07 2019-11-07 Assembly flowerpot KR102332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044A KR102332781B1 (en) 2019-11-07 2019-11-07 Assembly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044A KR102332781B1 (en) 2019-11-07 2019-11-07 Assembly flow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09A KR20210055509A (en) 2021-05-17
KR102332781B1 true KR102332781B1 (en) 2021-11-30

Family

ID=7615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044A KR102332781B1 (en) 2019-11-07 2019-11-07 Assembly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8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9967A (en) * 2009-11-27 2011-06-09 Kikuichi:Kk Wooden cultivation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6495A (en) * 1994-08-26 1996-03-05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Plant-growing vessel
KR20170046201A (en) * 2015-10-20 2017-05-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더푸른 Prefabricated Vegetation 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9967A (en) * 2009-11-27 2011-06-09 Kikuichi:Kk Wooden cultivation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09A (en)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8371B1 (en) Modular pallet and multilayer support structure
EP1813739B1 (en) Modular cemetery construction structure
US4628645A (en) Portable deck
US7131624B2 (en) Landscape edging form assembly and method
US5535568A (en) Self indexing landscape module
KR100809626B1 (en) Fence for flower bed
KR102332781B1 (en) Assembly flowerpot
KR102002834B1 (en) Multipurpose prefabricated flowerbeds
KR102171690B1 (en) Boundary plate for landscape
JP4975086B2 (en) Wooden cultivation container
KR101072007B1 (en) Pillar for landscaping structure including pavilion and pergola
KR102157856B1 (en) Prefabricated pots
CN210460180U (en) Combined fence flower nursery
KR102182296B1 (en) Assembly house
KR102353754B1 (en) bamboo fence structure
KR102542259B1 (en) Skeletal structure for Christmas tree
JP2001342632A (en) Assembly fence construction
CN217884548U (en) Modular assembled fruit and vegetable planting groove
KR100619274B1 (en) Prefabricate flower bed
JPS5817845Y2 (en) veranda/balcony
JP3044094U (en) Unit assembly type fence structure and hedge fence structure
KR200461786Y1 (en) Canopy structure, equipped with outdoor tables
CN210610442U (en) Stable multilayer pergola
KR20230138664A (en) Flower garden fence for landscaping
AU4458799A (en) Wire bar chair bas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