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557B1 - Long chairs for worship - Google Patents

Long chairs for wor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557B1
KR102332557B1 KR1020190008940A KR20190008940A KR102332557B1 KR 102332557 B1 KR102332557 B1 KR 102332557B1 KR 1020190008940 A KR1020190008940 A KR 1020190008940A KR 20190008940 A KR20190008940 A KR 20190008940A KR 102332557 B1 KR102332557 B1 KR 10233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shion
frame
hinge
wor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5353A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ublication of KR2020001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3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2Church benches; Confession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배용 장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 한쌍의 다리부재 및 다리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본체; 상기 다리부재의 상측에 형성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되는 예배용 장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eral chair for worsh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body including a backrest, a pair of leg members, and a plate memb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g member; It relates to a funeral chair for worship formed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ushio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member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cushion portion.

Description

예배용 장의자{Long chairs for worship}Long chairs for worship

본 발명은 예배용 장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예배용 장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eral chair for worsh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eral chair for worship in which the length of the front and back sides can be adjusted so that a user can easily take a break.

의자는 용도 및 설치 장소에 따라 1인용 의자, 장의자, 흔들의자, 회전식 의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chairs, such as single-person chairs, funeral chairs, rocking chairs, and swivel chair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installation location.

다양한 종류의 의자 중, 교회나 성당 등의 종교시설에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여러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장의자가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외에도 관공서 및 기업 등에서도 세미나 또는 교육 등을 목적으로 장의자를 사용하고 있다.Among the various types of chairs, religious facilities such as churches and cathedrals often have funeral chairs that can sit together in order to efficiently use narrow spaces. The funeral director is being used for this purpose.

종래의 장의자는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불가하므로 휴식이 필요할 경우에 몸체를 기울여 비스듬히 눕는 자세로 휴식을 취하여 사용자의 허리, 목 등 신체에 무리가 간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The conventional funeral chair cannot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so when a rest is necessary, the user takes a break in a position in which the body is tilted and slan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user's waist and neck are strain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장의자에 누워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종래의 장의자는 대부분 시트의 정후면 폭이 좁아 사용자가 누워서 휴식을 취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 most cases, the user lays down on the funeral chair and takes a rest, but the conventional funeral chair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lie down and rest because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side of the seat is mostly narr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정후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예배용 장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eral chair for worship in which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a break.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배용 장의자는 등받이, 한쌍의 다리부재 및 다리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본체; 상기 다리부재의 상측에 형성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uneral home for wor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ir body including a backrest, a pair of leg members and a plate member formed on the front of the leg member; It may include a cushio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member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cushion portion.

또한, 상기 쿠션부는,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이 단단한 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쿠션부재 및 상기 제1 쿠션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part includes a first cushion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g member and formed in the form of a hard plate, and a second cushion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detachably formed. It can be characterized as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 경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첩부재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1 경첩판; 일단이 상기 제1 경첩판에 회동연결되는 제1 경첩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 경첩프레임의 타단에 회동연결되는 다리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hinge member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he first hinge member, the first hinge plat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It may include a first hinge frame having one e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late and a leg frame having one e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frame.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2 경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첩부재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2 경첩판 및 일단이 상기 경첩판에 회동연결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제2 경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hinge member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he second hinge member, a second hinge plat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nd one end of the hinge plate It may be pivotally connected and may include a second hinge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접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며,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접이프레임 및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air of folding portion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he folding portion, the fixing memb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It may include a folding fram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the other end being rotated based on one end, and a wheel member being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frame.

또한, 상기 판부재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프레임은, 자석 및 철재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자석부재에 상기 접이프레임의 후면측이 붙어 상기 접이프레임을 접는 경우 상기 접이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 member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member, and the folding frame is formed of one of a magnet and an iron materi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folding frame is fixed when the folding frame is folded with the rear side of the .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쿠션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형태로 인출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쿠션부의 하측 양끝단에 형성되며, 후면측 하단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에 인입되고, 정면측으로 인출 가능하며, 후면측 하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외부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단에 회동연결되는 회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프레임부의 인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shion portion and includes a frame portion drawn out in a slide form, the frame portion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cushion portion, the inner frame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It is drawn into the inner frame, is withdrawable to the front side, and includes an outer frame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side, and a rotation frame having one end pivot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er frame,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frame portion is fixed.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양측이 상기 다리부재에 접하며, 정면측이 상기 판부재의 후면과 접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판 및 하측이 상기 수납판의 후면측에 회동연결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med between the leg members, the receiving unit,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leg member, the front sid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nd a lower si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plat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에 의하면, 제2 쿠션부재의 이동에 의해 정후면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누워 휴식을 취하기에 적합하다.According to the funeral chair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can be adjust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so it is suitable for the user to lie down and take a rest.

또한, 제2 쿠션부재가 자유롭게 분리되므로 쿠션이 파손 될 경우,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ushion member is freely separated, when the cushion is damaged, it has an effect of easy replacement.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탈착 가능한 제2 쿠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측판에 연결되는 제2 쿠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조합예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조합예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조합예시도이다.
도 7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제1 경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제2 경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접이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a) and (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detachable second cushion member for the funeral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and (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connected to the side plate of the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uneral director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b) are a combination example of a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bination of a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of a combination of a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b) and (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first hinge member of the funeral hom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second hinge member of the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and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folding part of the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 (b) and (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frame of the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ean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ing"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에 대하여 첨부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uneral chair for worsh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attached thereto.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탈착 가능한 제2 쿠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측판에 연결되는 제2 쿠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배면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조합예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조합예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조합예시도, 도 7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제1 경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제2 경첩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접이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 (a) and (b) are used state diagrams showing the use of a detachable second cushion member for a funeral service funer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 and (b) a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a second cushion member connected to the side plate of the funeral director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and (b) are a combination example of a funeral service funeral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a) and (b) of Figure 6 (a) and (b) are a combination example of a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 and (c) of Figure 7 are the present invention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irst hinge member of the funeral hom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 and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folding part of the funeral director for wor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 and (c) of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rame of the funeral servic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쿠션부의 폭(A)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좌식 및 와식 변경이 용이한 예배용 장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eral chair for worship in which the width (A) length of the cushion part can be adjusted, so that it is easy to change the seated position and the reclining type.

일반적으로, 장의자는 등받이 각도 조절이 어려워 휴식이 필요한 경우, 비스듬히 눕는 자세로 휴식을 취해 사용자의 목, 허리 등 신체에 무리가 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가 늘어났으나, 대부분 정후면 길이가 좁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식을 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general, when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for the elderly person to take a brea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takes a break in an obliquely lying position, which puts a strain on the user's neck, waist, etc. , most of the front and rear lengths are narrow,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take a break easi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쿠션부의 정후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예배용 장의자의 필요성이 있어 개발된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because there is a need for a funeral director who can easily take a res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ushion part.

더욱 자세하게는, 도 1, 2, 3, 4, 7,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는 본체(1), 쿠션부(2) 및 지지부(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2, 3, 4, 7, and 10, the funeral hom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 a cushion part (2) and a support part (3) may include.

먼저, 본체(1)는 등받이(10), 다리부재(11), 판부재(12), 측판(13) 받침대(14)를 포함하는 의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body 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10 , a leg member 11 , a plate member 12 , a side plate 13 , and a pedestal 14 .

등받이(10)는 사용자의 등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며, 장시간 앉아있을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면에 쿠션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ckrest 1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s back touches, and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a cushion may be formed in the front to prevent strain on the user's waist.

이때, 쿠션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오염이나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shion is formed to be detachable so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in case of contamination or damage.

다리부재(11)는 쿠션부(2)를 지지하기 위해 쿠션부(2) 및 등받이(10)와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g member 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nnected to the cushion part 2 and the backrest 10 to support the cushion part 2 .

판부재(12)는 다리부재(11)의 정면에 형성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member 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g member 11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측판은(13)은 쿠션부(2) 및 등받이(10)의 양측에 형성되며, 내측면에 'ㄱ'형태의 가이드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late 1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2 and the backrest 10, and may include a guide groove 130 in the form of 'a' on the inner surface.

받침대(14)는 등받이(10)의 후면 상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물품을 받칠 수 있도록 후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destal 14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ackrest 1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backward to support the user's article.

또한, 본체(1)는 수납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 may further include a accommodating part 15 .

수납부(15)는 다리부재(11)의 사이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다수의 착석자가 장의자에 촘촘하게 앉아 수납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착석자의 물건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15 is formed between the leg members 11, and thus, even when a large number of seated persons sit tightly on the funeral chair and there is insufficient storage space, it is possible to easily accommodate the seated person's things.

또한, 수납부(15)는 수납판(150), 수납홈(151) 및 도어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15 may include a accommodating plate 150 , a accommodating groove 151 , and a door member 152 .

수납판(150)은 양측이 다리부재(11)에 접하여 정면측이 판부재(12)의 후면과 접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plate 1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leg member 11 and the front side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

수납홈(151)은 다리부재(11)의 내측에 형성되며, 부채꼴의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151 is formed inside the leg member 11 and may be formed in a sectoral arc shape.

도어부재(152)는 하측이 수납판(150)의 후면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정면판(1520), 측면판(1521) 및 수납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door member 15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plate 150 , and may include a front plate 1520 , a side plate 1521 , and a receiving protrusion (not shown).

정면판(1520)은 하측이 수납판(15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15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hose lower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late 150 .

측면판(1521)은 90˚ 미만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정면판(1520)의 양측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late 1521 is formed in a sector shape having a central angle of less than 90°, and a pai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1520 .

또한, 측면판(1521)은 일측 측면이 정면판(1520)의 측면에 접하고, 타측 측면이 다리부재(11)의 후면에 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1521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ont plate 1520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leg member 11 .

수납돌기(미도시)는 측면판(1521)의 타측에 형성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수납홈(151)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수납홈(151)에 삽입될 수 있다.The receiving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1521 , and more specifically,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15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51 .

따라서, 도어부재(152)를 회동시키는 경우, 수납돌기(미도시)가 수납홈(151)에 걸려 정면판(1520) 및 측면판(152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수납부(15)에 수납된 물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when the door member 152 is rotated, the receiving protrusion (not shown) is caught in the receiving groove 151 to fix the positions of the front plate 1520 and the side plate 1521 , and accordingly, the receiving part 15 )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so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stable storage.

다음으로, 쿠션부(2)는 다리부재(11)의 상측에 형성되며, 제1 쿠션부재(20) 및 제2 쿠션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ushion part 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member 11 , and may include a first cushion member 20 and a second cushion member 21 .

제1 쿠션부재(20)는 다리부재(11)의 상측에 형성되며, 하측에 받침판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member 20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leg member 11 , and a support plat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이에 따라, 제1 쿠션부재(20) 파손되어 예배용 장의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cushion member 20 from being damaged and the funeral home for worship being damaged.

제2 쿠션부재(21)는 제1 쿠션부재(20)의 상측에 구비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ushion member 2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20 and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이에 따라, 제2 쿠션부재(21)의 오염 및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is contaminated or damaged, it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한편으로, 제2 쿠션부재(21)는 측판(13)에 연결되어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side plate 13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move and rotate.

더욱 자세하게는, 제2 쿠션부재(21)는 후측 양단에 돌출된 가이드돌기(210)를 포함하며, 가이드돌기(210)는 가이드홈(130)에 삽입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includes guide protrusions 210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rear side, and the guide protrusions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30 .

이에 따라, 제2 쿠션부재(21)를 지지부(3)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돌기(210)를 기준으로 제2 쿠션부재(21)를 회동시켜 제2 쿠션부재(21)를 등받이(10)의 정면측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Accordingly, not only can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be moved upwards of the support part 3 , but also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guide protrusion 210 to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ckrest 10 .

따라서, 등받이에 등이 닿지 않는 어린 아이나 체구가 작은 사람도 안정성 있게 착석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it has the effect that even a small child or a small person whose back does not touch the back can be seated stably.

교회나 성당 등과 같은 종교시설에는 다수개의 장의자가 다소 촘촘한 간격으로 위치하며, 접이식 의자의 경우, 쿠션과 쿠션 사이가 회동 운동되도록 연결되어 주위의 사물에 구애받으므로 종교시설에서 용이하게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religious facilities such as churches and cathedrals, a number of funeral chairs are located at rather tight intervals, and in the case of folding chairs, it is difficult to use easily in religious facilities because the cushions are connected so that they rotate so that they are dependent on the surrounding objects. This can happen.

그러나, 본 발명은 정면에 위치한 장의자의 받침대(14)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좌식 및 와식 조절이 가능한 예배용 장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uneral chair for worship that can freely sit and recline, regardless of the support 14 of the funeral director located in the front.

다음으로, 지지부(3)는 쿠션부(2)의 하측을 지지하며, 제1 경첩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upport part 3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cushion part 2 and may include a first hinge member 30 .

제1 경첩부재(30)는 제2 쿠션부재(21)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판부재(12)의 정면에 접이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inge member 30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

이때, 제1 경첩부재(3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선대칭 형태의 한쌍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hinge member 3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s a pair of line symmetrical shape for stable support as shown in FIG. 4A .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판부재(12)의 정면 중앙측에 한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아래에서 도 3의 (b)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since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may be formed on the front center side of the plate member 12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b) below.

또한, 제1 경첩부재(30)는 제2 쿠션부재(2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쌍을 이루지 않고 판부재(12)의 정면에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hinge members 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without forming a pai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

이에 따라, 제1 경첩부재(30)를 회동시켜 제2 쿠션부재(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by rotating the first hinge member 30 .

또한, 제1 경첩부재(30)는 제1 경첩판(300), 제1 경첩프레임(301) 및 다리프레임(30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inge member 30 may include a first hinge plate 300 , a first hinge frame 301 , and a leg frame 302 .

제1 경첩판(300)은 판부재(12)의 정면 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inge plate 30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

제1 경첩프레임(301)은 일단이 제1 경첩판(3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hinge frame 30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late 300 .

다리프레임(302)은 일단이 제1 경첩프레임(30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leg frame 30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frame 301 .

또한, 지지부(3)는 프레임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 may further include a frame part 31 .

프레임부(31)는 제1 쿠션부재(20)의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형태로 인출되어 쿠션부(2)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frame part 3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20 and is drawn out in a slide form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cushion part 2 .

더욱 자세하게는, 프레임부(31)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첩부재(30)의 양측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 pair of the frame part 3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member 30 as shown in FIG. 4B .

또한, 프레임부(31)는 내부프레임(310), 외부프레임(311) 및 회동프레임(31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part 31 may include an inner frame 310 , an outer frame 311 , and a rotating frame 312 .

내부프레임(310)은 외부프레임(311)이 내측에 인입되도록 정후면이 개구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310 may have an open front and rear surface so that the outer frame 311 enters the inside,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또한, 내부프레임(310)은 제1 쿠션부재(20)의 하측 양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310 may be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first cushion member 20 .

또한, 내부프레임(310)은 외부프레임(311)이 정면측으로 이동하여 내부프레임(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측 하단에 걸림홈(3100)이 형성되며, 이때, 걸림홈(3100)에 걸림돌기(3111)가 걸려 내부프레임(310)의 인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310 has a locking groove 310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to prevent the outer frame 311 from moving to the front side and separated from the inner frame 310, at this time, the locking groove 3100. The pulling-out position of the inner frame 310 may be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3111 .

외부프레임(311)은 내부프레임(310)에 인입되며, 정면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3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frame 310 and may be formed so as to be drawn out toward the front side.

더욱 자세하게는, 외부프레임(311)은 인출 시, 일단이 정면측으로 인출되며, 타단이 내부프레임(310)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outer frame 311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is drawn out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frame 310 when the outer frame 311 is drawn out.

또한, 외부프레임(311)은 내부프레임(3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재(3110) 및 걸림돌기(311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frame 311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3110 and a locking protrusion 3111 to prevent it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ner frame 310 .

연결부재(3110)는 외부프레임(311)이 내부프레임(310)의 후면측으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프레임(311)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110 may be formed on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311 to prevent the outer frame 311 from being completely drawn out toward the rear side of the inner frame 310 .

즉, 연결부재(3110)가 내부프레임(310)의 정면측에 걸려 외부프레임(311)이 내부프레임(310)의 후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3110 is caught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frame 310 to prevent the outer frame 311 from being separated to the rear side of the inner frame 310 .

걸림돌기(3111)는 외부프레임(311)의 후면측 하단에 형성되며, 걸림홈(3100)에 걸려 외부프레임(311)이 내부프레임(310)의 정면측으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31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of the outer frame 311 , and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3100 to prevent the outer frame 311 from being completely drawn out to the front side of the inner frame 310 .

회동프레임(312)은 일단이 연결부재(3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회동프레임(312)의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on frame 3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110 , and in more detail,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frame 312 may be connect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one end of the rotation frame 312 .

한편 또 다른 예로, 제2 경첩부재(32)에 의해 쿠션부(2)가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cushion part 2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hinge member 32 .

이하, 첨부된 도 5 및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uneral chair for wors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5 and 8 .

도 5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는 제1 실시예의 제1 경첩부재(30)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5 and 8, the funeral chair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substantially the same form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first hinge member 30 of the first embodiment. .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제2 경첩부재(32)는 제2 쿠션부재(21)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판부재(12)의 정면에 접이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inge member 32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

이때, 제2 경첩부재(32)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선대칭 형태의 한쌍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hinge member 32 may be formed in plurality as a pair of line symmetrical shape for stable support as shown in FIG. 5A .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재(12)의 정면 중앙측에 한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may be formed on the front center side of the plate member 12 as shown in FIG. 5 ( b ).

또한, 제2 경첩부재(32)는 제2 쿠션부재(2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쌍을 이루지 않고 판부재(12)의 정면에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hinge members 3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without forming a pai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

이에 따라, 제2 경첩부재(32)를 회동시켜 제2 쿠션부재(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by rotating the second hinge member 32 .

또한, 제2 경첩부재(32)는 제2 경첩판(320) 및 제2 경첩프레임(321)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hinge member 32 may include a second hinge plate 320 and a second hinge frame 321 .

제2 경첩판(320)은 판부재(12)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inge plate 32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

제2 경첩프레임(321)은 일단이 제2 경첩판(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hinge frame 3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plate 32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한편 또 다른 예로, 접이부(33)에 의해 쿠션부(2)가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ushion part 2 is supported by the folding part 33 .

이하, 첨부된 도 6 및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uneral chair for worshi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6 and 9 .

도 6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배용 장의자는 제1 실시예의 제1 경첩부재(30)를 제외하고, 판부재(12)의 정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석부재(120)를 포함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6 and 9, the funeral home for worshi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first hinge member 30 of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magnet members formed on the front of the plate member 12 120, except for this, may be configured in substantially the same form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판부재(12)는 접이프레임(33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정면에 다수개의 자석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late member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 members 120 on the front side to fix the position of the folding frame 332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접이부(33)는 제2 쿠션부재(21)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판부재(12)의 정면에 접이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oldable portion 33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

이때, 접이부(33)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선대칭 형태의 한쌍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6 , a plurality of foldable portions 33 may be formed as a pair of line symmetrical shapes for stable suppor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재(12)의 정면 중앙측에 한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may be formed on the front center side of the plate member 12 as shown in (b) of FIG. 6 .

또한, 접이부(33)는 제2 쿠션부재(2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쌍을 이루지 않고 판부재(12)의 정면에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olding parts 33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without forming a pair in orde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

이에 따라, 접이부(33)를 회동시켜 제2 쿠션부재(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ushion member 21 can be stably supported by rotating the folding part 33 .

또한, 접이부(33)는 고정부재(330), 수용부재(331), 접이프레임(332) 및 바퀴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part 33 may include a fixing member 330 , a receiving member 331 , a folding frame 332 , and a wheel member 333 .

고정부재(330)는 판부재(12)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3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

수용부재(331)는 고정부재(330)의 정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빈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member 33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330 ,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접이프레임(332)은 'ㄷ'자 형태의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수용부재(331)에 삽입되며,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olding frame 3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shaped cylindrical pipe, one end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member 331, and the other end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one end.

또한, 접이프레임(332)은 자석 및 철재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자석에 붙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frame 332 may be formed of one of a magnet and an iron material, but since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ttached to the magnet.

이에 따라, 접이프레임(332)을 접을 경우, 타단이 판부재(12)의 정면에 형성된 자석부재(120)에 붙어 접이프레임(332)의 접힌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olding frame 332 is folde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magnet member 1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2 to fix the folded position of the folding frame 332 .

바퀴부재(333)는 접이프레임(332)의 타단에 형성되며, 접이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접이프레임(332)의 회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무, 우레탄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wheel member 333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frame 332, and is one of rubber and urethane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folding frame 332 and to minimize noise generated when the folding frame 332 is rotated.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of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충격 및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minimizing impact and noise.

이에 따라, 접이프레임(332)의 회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하므로 쿠션부(2)를 안정성 있게 받쳐주며, 소음이 감소되어 종교시설의 조용한 예배시간에도 용이한 접이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Accordingly, the folding frame 332 not only rotates easily, but also absorbs shock, so it stably supports the cushion part 2, and noise is reduced, so that it can be easily folded even during quiet worship times in religious facilities.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According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본체
10: 등받이
11: 다리부재
12: 판부재
120: 자석부재
13: 측판
130: 가이드홈
14: 받침대
15: 수납부
150: 수납판
151: 수납홈
152: 도어부재
1520: 정면판
1521: 측면판
1522: 수납돌기
2: 쿠션부
20: 제1 쿠션부재
21: 제2 쿠션부재
210: 가이드돌기
3: 지지부
30: 제1 경첩부재
300: 제1 경첩판
301: 제1 경첩프레임
302: 다리프레임
31: 프레임부
310: 내부프레임
3100: 걸림홈
311: 외부프레임
3110: 연결부재
3111: 걸림돌기
312: 회동프레임
32: 제2 경첩부재
320: 제2 경첩판
321: 제2 경첩프레임
33: 접이부
330: 고정부재
331: 수용부재
332: 접이프레임
333: 바퀴부재
1: body
10: backrest
11: Leg member
12: plate member
120: magnet member
13: side plate
130: guide home
14: pedestal
15: storage unit
150: storage plate
151: storage groove
152: door member
1520: front plate
1521: side plate
1522: receiving projection
2: cushion part
20: first cushion member
21: second cushion member
210: guide projection
3: support
30: first hinge member
300: first hinge plate
301: first hinge frame
302: leg frame
31: frame part
310: inner frame
3100: jamming groove
311: outer frame
3110: connection member
3111: stumbling block
312: rotating frame
32: second hinge member
320: second hinge plate
321: second hinge frame
33: folding part
330: fixing member
331: receiving member
332: folding frame
333: wheel member

Claims (8)

예배용 장의자에 있어서,
등받이, 한쌍의 다리부재 및 다리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본체;
상기 다리부재의 상측에 형성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 및 등받이의 양측에 형성되되, 내측면에 ‘ㄱ’형상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측판 및
상기 쿠션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는,
사용자의 등이 맞닿는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쿠션 및
후면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물품을 받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이 단단한 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쿠션부재 및
상기 제1 쿠션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1 쿠션부재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후측 양단에 형성된 제2 쿠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다리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양측이 상기 다리부재에 접하며, 정면측이 상기 판부재의 후면과 접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판 및
하측이 상기 수납판의 후면측에 회동연결되는 도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재는,
하측이 수납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정면판 및
상기 정면판의 양측에 형성되되, 90˚ 미만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배용 장의자


In the funeral home for worship,
a chair body including a backrest, a pair of leg members, and a plate member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eg member;
a cushion par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member;
A side plat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shion part and the backrest, the side plate including a guide groove of a 'L' shape on the inner surface, and
It includes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cushion part,
the backrest,
A cushion formed to be detachable on the part where the user's back abuts, and
It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and includes a pedestal provided in a protruding shape to support the user's article,
The cushion part,
A first cushion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g member,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hard plate;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includes a second cushion member having guide projecti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rear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side plate,
The body is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leg members,
The storage unit,
a receiving plat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leg member and the front side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he lower side includes a door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plate,
The door member,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lat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late, and
Doedo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funeral chair for worshi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de plate formed in a fan shape having a central angle of less than 9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쿠션부재가 제1 쿠션부재의 전방으로 인출될 경우 제2 쿠션부재의 하부에서 판부재의 정면으로 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경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첩부재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1 경첩판;
일단이 상기 제1 경첩판에 회동연결되는 제1 경첩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제1 경첩프레임의 타단에 회동연결되는 다리프레임을 포함하는 예배용 장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When the second cushion member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first cushion member, it includes a first hinge member provided so as to be foldable to the front of the plate memb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The first hinge member,
a first hinge plat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 first hinge frame having one e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late; and
A funeral chair for worship including a leg frame having one e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쿠션부재가 제1 쿠션부재의 전방으로 인출될 경우 제2 쿠션부재의 하부에서 판부재의 정면으로 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경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첩부재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제2 경첩판 및
일단이 상기 경첩판에 회동연결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제2 경첩프레임을 포함하는 예배용 장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When the second cushion member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first cushion member, it includes a second hinge member provided so as to be foldable to the front of the plate membe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The second hinge member,
a second hinge plat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nd
A funeral chair for worship including a second hinge frame having one e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hinge plate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쿠션부재가 제1 쿠션부재의 전방으로 인출될 경우 제2 쿠션부재의 하부에서 판부재의 정면으로 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접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며,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되도록 형성되는 접이프레임 및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예배용 장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When the second cushion member is drawn out to the front of the first cushion member, it includes a folding part provided to be foldable to the front of the plate member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The folding part,
a fixing member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a folding fram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the other end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one end, and
A funeral chair for worship including a wheel memb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fram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는,
상기 판부재의 정면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프레임은,
자석 및 철재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자석부재에 상기 접이프레임의 후면측이 붙어 상기 접이프레임을 접는 경우 상기 접이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배용 장의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te memb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 member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member,
The folding frame,
It is formed of one of magnet and iron materials,
Accordingly, when the folding frame is folded by attaching the rear side of the folding frame to the magnet member, the position of the folding frame is fixed.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쿠션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형태로 인출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쿠션부의 하측 양끝단에 형성되며, 후면측 하단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에 인입되고, 정면측으로 인출 가능하며, 후면측 하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외부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단에 회동연결되는 회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프레임부의 인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배용 장의자.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The support part,
It is formed under the cushion part and includes a frame part drawn out in a slide form,
The frame part,
an inner frame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cushion unit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side;
An outer frame that is drawn into the inner frame, can be withdrawn to the front side,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One end includes a rotation frame that is rotation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er frame,
The funeral chair for worshi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the extraction position of the frame part is fixed.
삭제delete
KR1020190008940A 2018-08-02 2019-01-23 Long chairs for worship KR1023325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0515 2018-08-02
KR1020180090515 2018-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53A KR20200015353A (en) 2020-02-12
KR102332557B1 true KR102332557B1 (en) 2021-11-29

Family

ID=6956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940A KR102332557B1 (en) 2018-08-02 2019-01-23 Long chairs for wor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55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781B1 (en) * 1996-05-04 1999-06-15 노규상 A sliding bed combined with a sofa
KR200474172Y1 (en) * 2014-06-17 2014-08-26 이강덕 A combination sofa and bed
JP2017217332A (en) * 2016-06-09 2017-12-14 コーエイ産業株式会社 Care bed-cum-benc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577Y1 (en) * 1987-08-13 1990-07-26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Density measurement of cloth
KR20100065432A (en) * 2008-12-08 2010-06-17 정길준 Built-up ben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781B1 (en) * 1996-05-04 1999-06-15 노규상 A sliding bed combined with a sofa
KR200474172Y1 (en) * 2014-06-17 2014-08-26 이강덕 A combination sofa and bed
JP2017217332A (en) * 2016-06-09 2017-12-14 コーエイ産業株式会社 Care bed-cum-b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53A (en)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473B1 (en) A chair
KR102100593B1 (en) Sofa with Removable Armrest
KR101538342B1 (en) The chair
KR102332557B1 (en) Long chairs for worship
KR101763770B1 (en) Caster Apparatus having Deceleration device
US10813482B2 (en) Portable mattress seating apparatus
JP5485629B2 (en) Chair
US633087A (en) Chair.
CN111163665A (en) Seat, in particular a high chair for children
CA2835356A1 (en) Outdoor reclining chair
JP2008302083A (en) Rocking chair
KR101905096B1 (en) Split-type chair with backrest, dining table and fixing means
JP2008264243A (en) Wheelchair
KR101829131B1 (en) Seats for Theater
KR102290271B1 (en) Multi-function Chair
JP7382187B2 (en) Chair
JPH042593Y2 (en)
KR101939737B1 (en) Chair
KR200401964Y1 (en) The chair and the furniture where the table is combined
JP3631164B2 (en) Infant seating device
KR101210873B1 (en) Chair mounted with table
JP6783617B2 (en) Support structure and fixtures for fixtures
KR200372576Y1 (en) Armchair
JP2000245562A (en) Horizontal piling chair
WO2018179541A1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