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774B1 -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774B1
KR102331774B1 KR1020200004342A KR20200004342A KR102331774B1 KR 102331774 B1 KR102331774 B1 KR 102331774B1 KR 1020200004342 A KR1020200004342 A KR 1020200004342A KR 20200004342 A KR20200004342 A KR 20200004342A KR 102331774 B1 KR102331774 B1 KR 10233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tretchable
adhesive patch
adhesive
electrical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954A (ko
Inventor
이득희
임성환
손동희
이상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5Optical trac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68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using pointers, e.g. pointers having reference marks for determining coordinates of body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72Reference field transducer attached to an instrument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61B2090/3945Active visible markers, e.g. light emitting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83Reference marker arrangements for use with image guided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91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having specific anchoring means to fixate the marker to the tissue, e.g. hoo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성 점착패치는, 일면에 점착재가 도포된 필름형 점착 기판; 상기 점착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 기판 및 상기 전극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STRETCHABLE ADHESIVE PATCH FOR FIDUCIAL MARKER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용 증강현실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적용에 있어서, 환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기능을 하기 위해 도입되는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을 통한 진단기술의 발달로 광학식 위치추적장치 및 카메라 등의 영상 기기와 함께 사용되어, 환자의 환부를 이미지로 구현하는 수술용 증강현실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수술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다.
의사가 환자에게 수술 등을 시행함에 있어서는 일정 정도 이상의 정밀도를 확보해야 하며 의사는 수술 중에 현재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수술시 이용되고 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란 마커에 의한 표시, 컴퓨터 위치추적 장치, 및 카메라 등의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술부위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수술법이 의사의 경험에 의존한 것이라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적용한 수술은 컴퓨터를 통한 정확한 검증 과정을 거친 만큼 정확도가 높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환부를 표시하기 위한 수술용 환자 기준 마커는 광학식 위치추적 장치와 함께 환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기능을 하기 위하여 도입된다.
그러나, 현재 수술에 사용되고 있는 환자 기준 마커는 이러한 수술 시스템 내에서 구현되는 영상 내 환자의 환부를 놓치지 않게 표시해주는 기능만을 제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환자 기준 마커는 형광 혹은 발색기능에 더하여 단순히 일시적 부착성만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술의 급작스런 연기로 인해 환자 체재에 마커를 장시간 방치하거나, 수술 중 마커가 미끄러져 위치가 틀어지거나, 심지어 마커가 환부에서 떨어져 나가는 등의 경우, 기존 마커는 인체 친화적이지 않고 일회성 부착 성능만을 제한적으로 가지므로 상기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종래의 수술용 증강현실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6028에는 환자의 환부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적외선 기준 마커를 환부 피부 표면에 부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비롯한 최근의 수술용 증강현실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도, 기준 마커가 반복적인 기계적 변형에 대한 신축성(stretchability)를 갖거나, 피부와 같은 기계적 물성(약 100kPa까지의 압력)을 가져, 환자의 어떠한 움직임에도 견고하게 환자의 몸에서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더라도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환자에게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는 마커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0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에게 편안함을 부여하는 동시에 피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면서도 장시간 떨어지지 않고,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여러 방향의 구부림 변형에도 발광 및 환부 표시 성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축성 점착패치는, 일면에 점착재가 도포된 필름형 점착 기판; 상기 점착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 기판 및 상기 전극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 기판은 실리콘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전도성 금속제 잉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 기판은 상기 전극 주변으로 상기 전극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적외선 LED이며, 상기 전극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 기판 및 상기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은,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ethylene-co-1-butylene), poly(butadiene), hydrogenated poly(butadien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혹은 random copolymer, 및 poly(hydroxyalkanoate) 중 어느 하나를 주쇄(backbone)로 하는 탄성중합체(elastomer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은, PDMS-4,4'-methylenebis(phenyl urea)(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수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은, (a) 신축성 고분자가 혼합된 용액으로부터 필름형 점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점착 기판 상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c) 복수의 광원을 상기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실리콘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액을 몰드에 투입하고 건조시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전극의 스크린프린팅용 마스크를 상기 점착 기판 위에 배치하는 단계; 및 전도성 금속제 잉크를 상기 마스크 위에 걸쳐 유동시켜 유리 슬라이드 상으로 스크린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광원은 적외선 LED이며, 상기 광원을 상기 전극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광원의 양단에는 전선을 부착하고, 전도성 금속제 잉크를 상기 전선 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점착 기판에 상기 전극 주변으로 상기 전극을 따라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축성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분산시켜 상기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을 몰드에 투입하고 건조시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광원 및 상기 전극을 상기 점착 기판 상에 배치하고, 60도의 열을 30분간 가하여 상기 광원 및 상기 전극을 상기 점착 기판 내로 매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숭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영상 내 환자의 환부를 놓치지 않게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편안함을 부여하는 동시에 피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면서도 장시간 떨어지지 않고,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여러 방향의 구부림 변형에도 발광 및 환부 표시 성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자가치유 고분자 기판 및 신축성 전극을 적용하여, 환자의 움직임에 있어서도 피부와의 접착성이 높게 유지되면서도, 사람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신축성이 있어 광원의 빛을 유지하고 만약 흠집이 일어나도 자가 회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순서에 따라 신축성 점착패치가 제조되는 상태를 차례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신축성 및 마이크로 CT와의 호환성을 검증한 실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복수의 기공에 따른 땀 투과성 및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작 예시 및 적외선 LED 구동 확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를 환자에게 실 부착한 상태, 및 환자의 움직임 중에서의 LED 구동의 확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순서에 따라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가 제조되는 상태를 차례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자가치유 전극의 특성을 검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 제품의 자가치유 특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작예시 및 적외선 LED 구동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피부에의 부착성 및 환자의 움직임 중 LED 구동 상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를 환자의 신체를 모사한 팬텀모델에 부착하여 성능을 검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는 수술용 증강현실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적용에 있어서, 환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기능을 하기 위해 도입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환부의 위치의 표시가 필요한 다양한 의료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는 점착 기판(10), 전극(20), 및 복수의 광원(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축성 점착패치는 전자 패치형 듀얼 환자 기준 마커 또는 광학-방사선 환자 기준 마커 등의 임의의 마커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 기판(10)은 필름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점착재가 도포되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다. 점착 기판(10)은 상용 고무 또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와 같은 신축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점착 기판(10)은 2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2개의 점착 기판(10)은 전극(20) 및 복수의 광원(30)을 양측으로부터 덮는 방식으로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기판(10)은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PDMS(polydimethylsiloxane)와 같은 실리콘계 고분자 물질, 또는 Ecoflex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DMS(polydimethylsiloxane) 또는 Ecoflex 물질은 신축성 고분자 물질은 피부와 유사한 기계적 강도(약 100~300kPa)를 갖는다. 따라서, 피부 부착 시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장기간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생체 적합성 또한 우수하다.
이때, 점착 기판의 착용감 및 신축성의 최적화를 위하여 점착 기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점착 기판(10)의 형상은 환자의 환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환자의 환부를 둘러쌀 수 있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 기판의 크기는 가로 및 세로 길이의 곱이 11cm*12c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점착 기판(10)이 원형의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ㄷ'자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점착 기판(10)의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신축성 점착패치의 용도에 따라 그 형태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점착 기판(10)의 일면에 도포되는 점착재는 예를 들어 Silbioine(RT Gel 4717 A&B)와 같은 점착 물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점착 물질은 피부의 기계적 강도보다 훨씬 낮은 3 kPa의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를 착용할 때, 착용감이 크게 향상되며 장기간 피부에 부착함에 따라 발생하는 염증반응과 같은 부작용이 최소화된다.
한편, 점착 기판(10)은 복수의 기공(11)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 기판(10) 전면적으로 피부의 호흡구 역할을 하는 기공(Pore)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공(11)은 전극(20) 주변으로 전극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점착 기판(10)은 피부와 유사한 기계적 물성(modulus) 및 땀 투과성능을 지닐 수 있다.
전극(2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점착 기판(10) 상에 배치된다. 전극(20)은 상용 전도성 잉크 또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와 같은 신축성 전극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20)은 전도성 금속제 잉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금속제 잉크를 스크린프린팅하는 방식으로 전극(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금속제 잉크는 예를 들어, DuPont 사의 PE873 제품 등의 신축성을 갖는 Ag 잉크일 수 있다. 상기 신축성을 갖는 Ag 잉크는 스크린 마스크 공정을 통해 정밀한 패턴 형성이 가능한 신축성 재료로서, 전기전도도가 매우 높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전기배선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20)은 예를 들어, 점착 기판(10)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점착 기판(1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를 따라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전극(20)은 환자의 환부를 둘러싸는 형태의 임의의 형태로 점착 기판(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20)은 복수의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라인은 상기 점착 기판(1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라인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광원(30)이 배치될 수 있다.
광원(3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전극(20)에 접속된다. 광원(30)은 적외선 LED일 수 있으며, 전극(2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CT 호환 가시광/적외선 LED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20)의 LED 발광을 통해 환부가 수술 내비게이션 시스템 내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이와 연동된 CT/X-ray 등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더라도 장시간 환부 부위 특정 및 관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순서에 따라 신축성 점착패치가 제조되는 상태를 차례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은, 신축성 고분자가 혼합된 용액으로부터 필름형 점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s10), 점착 기판 상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s20), 및 복수의 광원을 상기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또한, 점착 기판에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20), 점착 기판(10) 위에 전기배선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신축성 전극(20)을 적용한 회로층을 구성하고, 회로층에 광원(30)를 접속한 후, 다른 점착 기판(10)으로 신축성 전극(20) 및 광원(30)을 덮는 방식으로 양 점착 기판(10) 사이에 수납한다.
필름형 점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s10)는, 신축성 고분자는 실리콘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액을 몰드에 투입하고 건조시켜 굳히는 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신축성 기판 제작 용액을 정해진 양으로 혼합하여 몰드에 투입하고 건조되어 시간을 두고 굳힐 수 있다. 그 다음, 완전히 굳은 신축성 기판을 들어내어 다른 작업대에 옮겨 모서리를 잘라내고 사각형 모양을 맞추어 초기 상태의 점착 기판(10)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 기판 상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s20)는, 전극(20)의 스크린프린팅용 마스크(21)를 점착 기판 위에 배치하는 단계(s21), 및 전도성 금속제 잉크를 상기 마스크(21) 위에 걸쳐 유동시켜 유리 슬라이드 상으로 스크린프린팅함으로써 전극(20)을 형성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스크린프린팅 방법을 위한 마스크를 기판 위에 올린다. 그 다음, 전도성 잉크 용액을 마스크 위에 흐르게 한 뒤 유리 슬라이드로 스크린프린팅하여 기준마커 LED 회로를 만들 수 있다.
복수의 광원을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s30)는, 광원(30)은 적외선 LED이며, 광원(30)을 전극(20)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고록 배치하는 단계(s31), 및 상기 각각의 광원(30)의 양단에 전선을 부착하고, 전도성 금속제 잉크를 상기 전선 위에 도포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LED 회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에 LED를, 양 끝에는 전선을 실리콘 접착제로 붙인 후 경화시킨다. 그 다음, 한번 더 전도성 잉크 용액을 그 위에 덮어주고 건조시킨다. 그 다음. 신축성 기판 용액을 정해진 양으로 섞어 LED회로를 따라 그 위에 덧발라주어 광원(30)이 전극(20)에 접속된 상태로 점착 기판(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점착 기판에 복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s40)는, 점착 기판(10)에 전극(20) 주변으로 상기 전극(20)을 따라 복수의 기공(1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환부에 대응하게 점착 기판(10)의 중앙 부분을 사각형으로 잘라내어 'ㄷ'자 형태로 만든 후, LED 회로 주변을 따라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을 거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가 제조되면, 제조된 신축성 점착패치를 환자의 피부에 붙여 부착성 테스트 및 근적외선(NIR) 카메라로 IR 발광성능을 확인하는 검증 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형광, 발색 기능 및 일시적인 일회성 부착성능만을 가지는 기존 마커의 단점을 개선하여, 수술용 내비게이션에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존의 환자 기준 마커를 대체할 수 있는 환자 기준 마커를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검증 단계를 통하여 성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개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검증 단계는, 전자 연성패치용 기판, 점착재료 및 신축성 전극 개발 및 최적화 단계, X선 호환가능한 발광소자를 집적하여 신축성 및 발광성능을 평가하는 단계, 및 이를 통한 환자기준마커 초기 시작품을 개발하고 제품 안정성을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X선 호환가능한 발광소자를 집적하여 신축성 및 발광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X선으로부터 전기적 손상을 입지 않는 발광소자를 신축성 기판 및 전극에 집적하기 위한 공정을 최적화하고, 이를 통해 다수의 발광소자가 연결된 패치의 기계적 신축성 및 발광성능 평가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환자기준마커 초기 시작품을 개발하고 제품 안정성을 개선하는 단계는, 이와 같이 개발된 패치를 이용한 광학-방사선 듀얼 환자 기준마커 시제품을 제작해 그 실용성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이때, 환자가 패치를 실제로 착용할 때, 장기간의 사용 시에도 안정적인 전원이 발광소자에 전달되도록 패치의 전기적 성능 및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신축성 및 마이크로 CT와의 호환성을 검증한 실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는 약 67% 정도의 연신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CT 상에서도 LED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
즉, 점착 기판(10) 및 전극(20)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중 어느 일부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는 수술 내비게이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되는 영상 내 환자의 환부를 놓치지 않도록 표시해주는 기존 마커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역할이 제한되지 않고, 기존 마커에서의 부족한 신축성 및 일시적인 일회성 부착성능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복수의 기공에 따른 땀 투과성 및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는 점착 기판(10)은 복수의 기공(11)을 형성함으로써, 기공이 없는 경우보다 수증기 투과가 잘 되어 피부 세포의 호흡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WVTR(수분투과도) 시험 결과 기공이 있는 경우가 기공이 없는 경우에 비해 수분 투과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기공(11)에 의해 모듈러스(modulus) 값도 훨씬 낮아지므로 컨포멀(conformal) 부착 특성을 갖고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피부에 부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작 예시 및 적외선 LED 구동 확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를 환자에게 실 부착한 상태, 및 환자의 움직임 중에서의 LED 구동의 확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LED가 잘 구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측의 도면은 LED를 켠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하측의 도면은 LED를 끈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LED의 발광성능을 평가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패치에 반영된 LED의 발광성능을 평가한 결과, 외부 전원(7V 이상)을 LED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LED는 제작된 패치형 마커 내에서도 발광 기능을 잘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는 패치를 환자 등에 예시적으로 부착하였을 때, 기립, 굽힘, 꼬는 자세와 같은 등 부위의 여러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전단력에도 패치가 구겨지거나 떨어지지 않고 신체의 변형에 충분히 반응하는 신축성 및 지속적 부착성의 높은 성능이 확인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작방법의 구성과 상이하지 않은 범위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에 있어서는, 점착 기판(10) 및 전극(20) 중 적어도 하나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은,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ethylene-co-1-butylene), poly(butadiene), hydrogenated poly(butadien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혹은 random copolymer, 및 poly(hydroxyalkanoate) 중 어느 하나를 주쇄(backbone)로 하는 탄성중합체(elastomer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은, PDMS-4,4'-methylenebis(phenyl urea)(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는 ECOFLEX, silbi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용매에 분산시켜 몰드에 투입하는 과정을 거쳐 자가치유능을 갖는 신축성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물질이 용매에 분산되는 중에 예를 들어 Ag 플레이크와 같은 금속 소재를 몰드에 투입하여 자가치유능을 갖는 신축성 전극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가치유능을 갖는 신축성 기판 및 전극을 사용하면,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자가치유가 가능하며 자가치유 후에도 우수한 신축성 및 전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들을 각각 마커의 기판 및 전극으로 이용하면, 마커 제작시 기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피부와 기계적 물성이 유사하므로 점착패치가 피부에 부착되더라도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자가치유능을 갖는 신축성 전극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은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수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부에 분산 분포하는 전기전도체 입자들은 복합체가 전기전도성을 갖도록 하는 요소이다. 또한, 복합체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내부에서 동적 재배열이 일어나면서 복합체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 전기전도체 입자는 대표적으로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입자로는 Ag, Au, Cu 등의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W, Mo, Ti, Cr, Ni, 및 P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입자들은 습식법, 분말야금법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제조 방법이나 분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입자는 구형, 플레이트(flake)형, 판상(plate)형, 섬유(fiber)형, 와이어(wire)형 등의 형상을 가지며, 형태를 특정할 수 없는 부정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에 있어서 분산 분포되는 전기전도체는 다른 크기의 동일 물질의 입자들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클러스터(cluster)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입자의 크기가 큰 것을 제1 전기전도체 입자라 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입자를 제2 전기전도체 입자라 한다. 예를 들어, 제1 전기전도체 입자는 500nm 내지 2㎛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전기전도체 입자는 50nm 이하의 크기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고분자를 용해한 용액에 전기전도체 입자를 투입하여 제조한 혼합용액을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는 이러한 혼합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원료일 수 있다. 또한, 제2 전기전도체 입자는 투입된 제1 전기전도체 입자를 공급원으로 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전도체 입자가 금속 입자일 경우, 매트릭스 내에서 상기 금속입자 표면에 형성된 산화층으로부터 금속 이온이 매트릭스로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 매트릭스로부터 공급되는 전자와 결합하여 나노 수준의 크기를 갖는 제2 전기전도체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금속 입자는 공급원인 제1 금속 입자의 주변에 분산되어 분포하게 되다.
이러한 미세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을 따르는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사슬 구조가 재배열되면서 소성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매트릭스의 소성 변형 중에 그 내부에 분포한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도 재배열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전기전도체 클러스터에 의해 전기전도도 특성의 현저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복합체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연신되는 과정 중에 전기전도도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에로서, 외력을 인가하여 복합체의 길이를 연신시키는 변형을 일으킨 후, 상기 변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경우 변형 초기에 비해 전기전도도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순서에 따라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가 제조되는 상태를 차례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조방법도 신축성 고분자가 혼합된 용액으로부터 필름형 점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s100), 점착 기판 상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s200), 및 복수의 광원을 상기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형 점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축성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분산시켜 상기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용액을 몰드에 투입하고 건조시켜 굳히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자가치유 고분자를 클로로포름 용매에 넣어 분산시킨다. 그 다음, 분산시킨 자가치유 고분자 용액을 몰드에 투입한다. 그 다음, 몰드에 자가치유 고분자를 투입할 때, 2개의 자가치유 고분자 기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용 용액 및 뚜껑용 용액을 각각의 몰드에 투입한다.
점착 기판 상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s200), 및 복수의 광원을 상기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s3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먼저 형성된 자가치유 고분자 기판을 기판상에 전극 및 광원을 배치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한 곳으로 옮긴다. 그 다음,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 기판 위에 전선과 적외선 LED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위치시킨 전선과 적외선 LED 사이를 자가치유 전극으로 형성된 발열경로로 연결하여 접속시킬 수 있다.
점착 기판 상에 전극을 배치하고 광원을 상기 전극에 접속한 후에는, 광원 및 전극을 점착 기판 상에 배치하고, 이를 그대로 핫플레이트로 옮겨 60도의 열을 30분간 가하여 광원 및 전극을 점착 기판 내로 매립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선과 LED, 및 자가치유 전극이 점착 기판의 내부로 묻혀들어갈 수 있다.
그 다음, 이와 같이 제조된 점착패치 위에 상기 형성된 뚜껑용 자가치유 고분자 기판을 덮어 최종적인 점착패치를 완성할 수 있다. 그 다음, 파워서플라이에 점착패치의 전선을 연결하여 점착패치의 발광성능을 테스트하며, 점착패치의 발광성능과 함께 열화상카메라를 통하여 발열성능을 측정하며, 점착패치의 환자 기준마커로서의 부착성 및 발광성 테스트를 위해 제조된 점착패치를 환자의 몸에 부착하고 적외선 카메라의 가시성을 확인하는 검증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자가치유 전극의 특성을 검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 제품의 자가치유 특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에 사용되는 전극은 자가치유 고분자와 은 나노/마이크로 입자 기판 신축성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치유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은 나노/마이크로 입자를 침투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매우 높은 연신 하에서도 우수한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약 1700% 이상으로부터 3500%에 이르기까지 연신이 가능하며 자가치유되는 특성들을 지닌다.
한편,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외부의 자극 없이 접합 가능하며, 높은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도 자기치유 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접합 집적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는 자가치유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칼집에 대하여도 점착패치가 자가치유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작예시 및 적외선 LED 구동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피부에의 부착성 및 환자의 움직임 중 LED 구동 상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점착패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b)에는 도 14의 (a)에 도시된 점착패치의 적외선 LED 구동 상태를 적외선 카메라로 확인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는 외부 전원 공급시 장착된 LED의 발광 기능이 잘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5의 (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의 피부에의 실 부착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b)에는 도 15의 (a)에 도시된 점착패치의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LED의 발광성능을 확인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는 예를 들어, 환자의 등 부위와 같은 환자의 피부에 부착시에도, 환자의 기립, 굽힘, 회전, 꼬는 자세, 체조, 또는 기지개와 같은 다양한 움직임에도 구겨지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히 마커로 사용가능할 만큼 피부의 기계적 변형에 대한 신축성 및 지속적 부착성이 검증되었으며, LED의 발광성능도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치유 고분자 점착패치를 환자의 신체를 모사한 팬텀모델에 부착하여 성능을 검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검증을 위하여,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먼저 환자의 신체를 모사한 팬텀 모델에 기준마커를 부착하고, 그 다음, 마커 전선부에 파워 서플라이를 연결한 후, 전압을 가하여 LED를 발광시킨다. 도 16의(b)를 참조하면, 팬텀 모델에 부착되어 있는 마커 자체의 신축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마커를 약 30%까지 더 신축하여도 LED의 발광 성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팬텀 모델 자체를 약 30%까지 더 신축시켜도 마커 자체가 박막과 같이 편안하게 피부에 부착됨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LED의 발광 성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점착패치의 예시들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단순히 수술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영상 내 환자의 환부를 놓치지 않게 표시해주는 역할만을 하는 기존 마커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기존 마커의 한계인 부족한 신축성 및 일시적인 일회성 부착성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점착패치의 LED를 통해 가시적으로 혹은 CT/X선을 통해 의료기기용 영상시스템으로 장시간 수술 중 환부 부위 특정 및 관찰이 가능하며, 종래의 기준 마커에 비하여 더욱 효율적이면서도 신축성이 있어, 장기 사용시에도 환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한다.
또한, 상용고무 기판 및 신축성 전도성 잉크 기반의 마커뿐만 아니라, 자가치유 고분자 기판 및 신축성 전극을 적용하여, 환자의 움직임에 있어서도 피부와의 접착성이 높게 유지되면서도,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신축성이 있어 광원의 빛을 유지하고 만약 흠집이 일어나도 자가 회복될 수 있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7)

  1. 일면에 점착재가 도포된 필름형 점착 기판;
    상기 점착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 기판 및 상기 전극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 기판은 상기 전극 주변으로 상기 전극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기판은 실리콘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전도성 금속제 잉크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외선 LED이며, 상기 전극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기판 및 상기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은,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ethyleneoxide (PEO), Perfluoropolyether (PFPE), polybutylene (PB), poly(ethylene-co-1-butylene), poly(butadiene), hydrogenated poly(butadiene),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 혹은 random copolymer, 및 poly(hydroxyalkanoate) 중 어느 하나를 주쇄(backbone)로 하는 탄성중합체(elastomer materi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은, PDMS-4,4'-methylenebis(phenyl urea)(MPU)0.4-isophorone bisurea units (IU)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수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
  10. (a) 신축성 고분자가 혼합된 용액으로부터 필름형 점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점착 기판 상에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c) 복수의 광원을 상기 전극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 기판은 상기 전극 주변으로 상기 전극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실리콘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액을 몰드에 투입하고 건조시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전극의 스크린프린팅용 마스크를 상기 점착 기판 위에 배치하는 단계; 및
    전도성 금속제 잉크를 상기 마스크 위에 걸쳐 유동시켜 유리 슬라이드 상으로 스크린프린팅함으로써 상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광원은 적외선 LED이며, 상기 광원을 상기 전극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광원의 양단에는 전선을 부착하고, 전도성 금속제 잉크를 상기 전선 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축성 고분자를 용매에 녹여 분산시켜 상기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액을 몰드에 투입하고 건조시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광원 및 상기 전극을 상기 점착 기판 상에 배치하고, 60도의 열을 30분간 가하여 상기 광원 및 상기 전극을 상기 점착 기판 내로 매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는,
    자가치유능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 분포되는 복숭의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전도체 클러스터는,
    제1 전기전도체 입자; 및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와 동일한 물질로서,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의 주변에 분산 분포되며, 상기 제1 전기전도체 입자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 전기전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점착패치의 제조방법.
KR1020200004342A 2020-01-13 2020-01-13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3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42A KR102331774B1 (ko) 2020-01-13 2020-01-13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42A KR102331774B1 (ko) 2020-01-13 2020-01-13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954A KR20210090954A (ko) 2021-07-21
KR102331774B1 true KR102331774B1 (ko) 2021-11-30

Family

ID=7714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42A KR102331774B1 (ko) 2020-01-13 2020-01-13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207B1 (ko) * 2021-08-25 2024-01-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소자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광소자 모듈 및 상기 광소자 모듈을 포함하는 광소자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028B1 (ko) 2005-12-14 2007-06-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환부의 증강현실영상 투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0365A (ko) * 2012-03-29 2013-10-10 주식회사로케트전기 광 치료용 피부 패치
KR101543555B1 (ko) * 2013-11-04 2015-08-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축성 전기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0029B1 (ko) * 2015-02-17 2022-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954A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An ultrastretchable and self-healable nanocomposite conductor enabled by autonomously percolative electrical pathways
You et al. Block copolymer elastomer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US11357104B2 (en) Garment-typ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Huang et al. Flexible electronics: stretchable electrodes and their future
Yamagishi et al. Ultra‐deformable and tissue‐adhesive liquid metal antennas with high wireless powering efficiency
Kim et al. Hygroscopic auxetic on-skin sensors for easy-to-handle repeated daily use
TWI697915B (zh) 伸縮性導體片、具有黏接性之伸縮性導體片及在布帛上形成由伸縮性導體片構成之配線的方法
KR102055511B1 (ko) 생체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ES2608858T3 (es) Montaje textil electrónico
JP7459072B2 (ja) 複数の測定点を備えた電極パッチ
Karolina Pierchala et al. Soft electronic materials with combinatorial properties generated via mussel-inspired chemistry and halloysite nanotube reinforcement
EP2830492A1 (en) Appendage mountable electronic devices conformable to surfaces
CN105944228A (zh) 一种基于液态金属的植入式柔性神经电极及其制备方法
KR102331774B1 (ko) 기준 마커용 신축성 점착패치 및 그 제조방법
Jeong et al. Mechanical durability enhancement of gold-nanosheet stretchable electrodes for wearable human bio-signal detection
Oh et al. Air‐Permeable Waterproofing Electrocardiogram Patch to Monitor Full‐Day Activities for Multiple Days
Zhou et al. Multichannel noninvasive human–machine interface via stretchable µm thick sEMG patches for robot manipulation
Baek et al. Interconnection of multichannel polyimide electrodes using anisotropic conductive films (ACF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Kim et al. Soft Conductive Interfacing for Bioelectrical Uses: Adhesion Mechanisms and Structural Approaches
Ping et al. Liquid metal enabled conformal electronics
Xu et al. Facile fabrication of multilayer stretchable electronics via a Two-mode mechanical cutting process
Zhao et al. Electrical failure mechanism in stretchable thin-film conductors
Ibrahim et al. Characterization of screen printed Ag-PDMS flexible electrode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US20230158293A1 (en) Flexible nonmetallic electrode
JP7215430B2 (ja) 生体情報計測用衣服および伸縮性積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