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67B1 -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167B1
KR102331167B1 KR1020200020782A KR20200020782A KR102331167B1 KR 102331167 B1 KR102331167 B1 KR 102331167B1 KR 1020200020782 A KR1020200020782 A KR 1020200020782A KR 20200020782 A KR20200020782 A KR 20200020782A KR 102331167 B1 KR102331167 B1 KR 10233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tunnel
air
electrode
ai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6594A (en
Inventor
전소영
전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2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167B1/en
Publication of KR2021010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5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25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ors, e.g. in parallel or in series, stacked separators, dry-wet separator comb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8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other than static mechanical means, e.g. internal ventilator or recyc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70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insulating in electric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4Ionising electrode being a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터널 내의 오염 대기를 전기 집진 장치를 통해서 제거하는 동시에, 터널 내부에서의 화재 발생 시 생성되는 유독성의 연기를 제거하도록 하여, 터널 내의 공기질 개선 및 재난 발생 시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는, 터널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방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유입 호퍼와, 유입 호퍼의 후방에 연결되어 유입 호퍼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 순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집진전극과 집진전극 각각의 내부에 유동 경로면과 이격되도록 수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마이크로 펄스하전 전원을 생성하여 집진전극 및 방전전극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유입 호퍼와 집진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분진을 전처리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 및 집진 모듈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유입 호퍼, 전처리 장치 및 집진 모듈 순으로 공기가 공기 순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순환력을 부여하는 후방 팬;을 포함하되, 집진 모듈은, 전처리 장치와 후방 팬 사이에 서로 다수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air quality in the tunnel and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by removing the polluted atmosphere in the tunnel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t the same time removing the toxic smoke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inside the tunnel To this end,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let hoppe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in front, and the rear of the inlet hoppe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pper, and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extending in a linear shape with a flow path formed at least in part in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arranged to be accommodat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w path surface in each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 dust collection module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o generate micro-pulse electric power and supplying it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hopper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a pre-treatment device for pre-treating the dust; and a rear fan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to provide a circulation force so that the air moves in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in the order of the inlet hopper, the pretreatment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dularized so that a plurality of them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Description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미세먼지, 복합 분진 및 기름 등의 오염 물질이 함유된 오염 대기를 처리하는 전기 집진기에 대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터널 내의 오염 대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 등 비상 시에 유독성의 연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터널 내의 공기질 개선 및 재난 발생 시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treats polluted air containing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complex dust, and oil.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air quality in tunnels and minimize damage in case of disasters by purifying toxic smoke.

터널은 도로, 철도, 수로 등을 통하게 하기 위해 땅속을 뚫은 통로를 의미한다. 이 중, 도로 및 철도 등을 통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터널은, 최근 교통 정체의 해소 및 교통 편의를 위해서 다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Tunnel means a passage through the ground to allow roads, railroads, waterways, etc. to pass through. Among them, tunnels installed to pass through roads and railroads are recently installed and used in a number of places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traffic congestion and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이러한 터널의 경우, 차량 및 철도 등의 통과 시, 사용자들이 터널 내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터널의 특성 상 유해 물질이 매우 많이 존재하게 되며, 공기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매우 나쁜 공기질의 분포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In the case of such a tunnel, users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tunnel when passing vehicles and railroads,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tunnel, a lot of harmful substances are present, and air circul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resulting in very poor air quality distribution. , improvement has been requested.

이를 위해서 터널에는 공기를 일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팬이 설치되어 작동되고 있다. 순환 팬은 전기 구동식 등의 팬을 포함하는 기기로서, 터널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구동됨으로써, 터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터널 내부에 유입시키는 등 공기를 순환시켜 터널 내의 공기질을 개선하게 된다.To this end, a circulation fan for circulating air in one direc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tunnel. A circulating fan is a device including an electrically driven fan, and is installed and driven on the ceiling of a tunnel to circulate air such as exhausting the air inside the tunnel to the outside 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tunnel to improve the air quality in the tunnel. will improve

그러나 이러한 순환 팬은 그 공기 질 개선 효율이 매우 낮으며, 내부의 오염 물질의 농도가 높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터널에 인접된 외부의 공기 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i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cy of such a circulation fan is very low, and when air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quality of the outside adjacent to the tunnel is deteriorat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8954호 등에서는, 터널의 벽면에 세정수를 살수하는 기술적 특징을 고안하여, 이에 따라서 공기가 세정수와 접촉되면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공기가 터널의 벽면에 접촉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터널 내의 공기질 개선 효율이 설치 비용에 비하여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No. 20-0318954, etc., devised a technical feature of spraying washing water on the wall of the tunnel, and accordingly, a technology for removing pollutants while the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is presenting However, these technologies have a limitation in that air has to contact the wall of the tunnel,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cy in the tunnel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installation cost.

한편, 터널 내부는 상기의 순환 팬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나, 화재 등이 발생 시, 그 연기가 제대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거되지 못하여, 터널 내부에서 차량의 화재 등의 원인으로 재난이 발생되는 경우, 연기에 의한 질식 등의 2차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 대형 재난으로 확대되는 위험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circulation fa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side the tunnel, but when a fire occurs, the smoke cannot be properly discharged or removed, Secondary accidents such as suffocation due to smoke are highly likely to occur, and there is a risk of expanding into a large-scale disaster.

이에 따라서 터널 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동시에, 터널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화재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기 등 2차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air quality in the tunnel and at the same time removing factors that cause secondary accidents such as smoke generated by fires that may occur inside the tunnel.

이에 본 발명은, 터널 내의 오염 대기를 전기 집진 장치를 통해서 제거하는 동시에, 터널 내부에서의 화재 발생 시 생성되는 유독성의 연기를 제거하도록 하여, 터널 내의 공기질 개선 및 재난 발생 시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polluted atmosphere in the tunnel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toxic smoke generated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thereby improving the air quality in the tunnel and minimizing dama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s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ha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는, 터널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방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유입 호퍼와, 상기 유입 호퍼의 후방에 연결되어 유입 호퍼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 순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집진전극과 상기 집진전극 각각의 내부에 상기 유동 경로면과 이격되도록 수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마이크로 펄스하전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집진전극 및 상기 방전전극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유입 호퍼와 상기 집진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분진을 전처리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 및 상기 집진 모듈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 호퍼, 상기 전처리 장치 및 상기 집진 모듈 순으로 공기가 공기 순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순환력을 부여하는 후방 팬;을 포함하되,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전처리 장치와 상기 후방 팬 사이에 서로 다수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hoppe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to guide the movement of air in the front, and the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that ar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inlet hoppe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pper, and a flow path is formed in at least a part in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flow path surface inside each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arranged to be accommodated;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o generate micro-pulse charged power and supplying it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a pretreatment device disposed between the inlet hopper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to pretreat the dust; and a rear fan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to provide a circulation force so that the air moves in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in the order of the inlet hopper, the pretreatment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dularized so that a plurality of devices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device and the rear fan.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후방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디폴트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1 출력값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후방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터널 내 유해 물질의 집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터널 내 화재 발생에 대한 외부 단말로부터의 상태 전환 입력을 수신하여 비상 상태로 전환 시, 상기 제1 출력값보다 높은 전류값의 기설정된 제2 출력값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후방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터널 내 화재 발생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 내 유해 물질의 집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comprising;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rear fan; wherein the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rear fan with a first output value preset in a default state to control hazardous substances in the tunne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with a preset second output value of a current value higher than the first output value when switching to an emergency state by receiving a state change input from an external terminal for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tunnel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ar fan to perform a dust collection func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smok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tunnel.

상기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는 터널 내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부 단말에는 각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설치 위치 및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전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상태 전환 입력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각 구동 제어부가 설치된 상기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태 전환 입력에 대해서만 응답하여 상기 비상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s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installed in the tunnel,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 including each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stored in the external terminal, The driving control unit, upon receiving the state change input,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change input, and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stalled with each driving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o switch to the emergency state in response to only a state change input.

상기 유입 호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모듈에 대한 공기 유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순환력을 부여하는 전방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let hopper, and provides a circulation force for increasing the inflow of air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상기 방전전극은 와이어 형태의 선 전극이며, 메인 라인 및 메인 라인의 양 단측의 전극 측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전극의 전극 측 결합부와 체결되어 상기 방전전극이 상기 집진 모듈에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측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electrode is a wire-shaped wire electrode, and includes a main line and electrode-side coupling parts at both ends of the main line,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electrode-side coupling part of the discharge electrode so that the discharg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ed-side fastening part configured to be installed and detached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적어도 상기 집진모듈에 포함된 상기 집진전극, 상기 방전전극, 및 상기 집진전극과 상기 방전전극 사이의 절연체는, 서로 전후방 연결이 가능한 제1 결합부재 및 터널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상부의 제2 결합부재가 설치된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절연체는 적어도 상기 유동 경로와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insulator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included 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e a first coupling member that can be connected back and forth to each other,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at an upper portion for installation in a tunnel ceiling.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in which is installed, the insulator preferably has a space inside the case so that at least the flow path and air movement are blocked.

본 발명의 상기의 구성 및 각 구성이 유기적으로 결합함에 따라서 수행하는 기능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터널 천정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팬 등의 후방 팬에 의하여 순환되는 공기가 유입 호퍼 등을 통해서 플라즈마형 집진 필터셀로 구성된 집진 모듈에 유입되도록 하여, 집진 모듈에 의하여 전기 집진 방식으로 순환되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집진하여 공기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organically combin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ed by a rear fan such as a circulation fan that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tunnel and circulates air is plasma through an inlet hopper, etc. By allowing it to flow into a dust collecting module composed of a type dust collecting filter cell, the air quality can be improved by collecting pollutants in the air circulated by the dust collecting module in an electric dust collecting method.

즉, 터널 내에서 공기가 집중적으로 순환되는 후방 팬의 전방에 유입 호퍼를 통해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고, 이동 경로 상에 집진 모듈을 하나 이상 모듈화하여 설치함으로써, 터널 내의 공기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by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air through an inlet hopper in front of the rear fan through which air intensively circulates in the tunnel, and modularizing and installing one or more dust collection modules on the movement path, the air quality in the tunnel can be greatly improved. can have an effect.

특히, 화재 발생 시 전방 팬 및 집진 모듈의 파워를 변동시켜 화재 발생 시 발생되는 유독성 연기를 인근의 후방 팬 및 집진 모듈을 통해 흡입하고 이를 전기 집진 방식을 통해 정화시킴으로써, 유독성 연기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 시 유독성 연기에 의한 터널 내의 2차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changing the power of the front fan and dust collecting module in case of a fire, the toxic smoke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is sucked through the nearby rear fan and dust collecting module, and it is purified through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method to remove the toxic smoke as much as possible.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secondary accidents in the tunnel due to toxic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구성 및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집진 모듈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구동 제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집진 모듈 내의 방전 전극의 구성 예.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example of a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ust collection module for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configuration examples of discharge electrodes in a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recogn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various methods may be employed in the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n advantage in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herein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though some components are omitted, or excessively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explain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are the technical features and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is not limite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lurality of drawings will be simultaneously referenced and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one technical feature or component constituting the invention.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구성 및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한 집진 모듈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구동 제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집진 모듈 내의 방전 전극의 구성 예이다.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example of a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views for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ust collecting module, Figs.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a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0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discharge electrode in a dust collec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 전원 공급부(29) 및 전처리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the above drawings together,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 to 7 ,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the power supply unit ( 29)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treatment device (40).

집진 모듈(20)은 집진 모듈(20)은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천장(100)에 설치되어 전방의 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순환력을 부여하는 후방 팬(30)과 공기가 유동되도록 일종의 케이스로 구성된 배기 호퍼(31)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후방 팬(10)에 의하여 이동되는 공기(A)가 유입되며, 이를 전기 집진 방식을 통해 정화시킨다. 즉,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하전시키고, 이를 집진전극(22)을 통해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B)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100 of the tunnel as shown in FIG. 2 and the like, and the air flows with the rear fan 30 that gives a circulation force to move the air in the front to the rear. As a configuration connected through an exhaust hopper 31 configured as a kind of case as possible, air (A) moved by the rear fan 10 is introduced through this, and it is purified through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ethod. That is, it performs a function of charging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collecting them throug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purifying the air, and discharging (B).

이러한 공기의 이동을 위한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서 유입 호퍼(10)가 최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유입 호퍼(10)는 터널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방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며, 집진 모듈(20)은 유입 호퍼(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유입 호퍼(10)를 통해 공기가 모이면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A movement path for the movement of such air may be formed, and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inlet hopper 10 may be installed at the forefront. The inlet hopper 1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front air, and the dust collection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inlet hopper 10 to collect air through the inlet hopper 10 and flow in. It can be installed to be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은 실린더(23)를 형성하는 집진전극(22)을 포함한다. 집진 모듈(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어 1차적인 집진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집진전극(22)은 구체적으로, 공기 순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전극으로서, 유동 경로는 상술한 실린더(23)의 내부 경로를 의미한다. 실린더(23)를 제외한 집진전극(22)의 구조는 실린더(23)가 이루는 실질적인 제1 집진전극의 형태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이해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includes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forming the cylinder 23 .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is configured to perform a primary dust collecting function by introducing contaminated air as shown in FIG. 1 . Specifically,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is a plurality of electrodes extending in a linear shape having a flow path formed at least in part in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and the flow path refers to an internal path of the cylinder 23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excluding the cylinder 23 will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antially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formed by the cylinder 23 to each other.

방전전극(26)은 막대 형상의 전극으로서, 공기를 급속으로 이온화하여 공기 중의 이온화된 오염물질이 집진전극(22)의 실린더(23) 내부에 집진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방전전극(26)은 상술한 집진전극(22)의 구조와 유사하게, 막대 형상의 방전전극(26)과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25, 25-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전전극(26)은 설치 시 실린더(23)의 개구부(24)를 통해 삽입되며, 오염된 공기 역시 개구부(24)를 통해 유입되어 오염된 공기, 즉 전방 팬(10)의 후방으로부터 배출되어 유입되는 공기 상의 오염 물질이 방전 및 집진되도록 구성된다.The discharge electrode 26 is a rod-shaped electrode and is configured to rapidly ionize air so that ionized contaminants in the air are collected in the cylinder 23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electrode 2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rod-shaped discharge electrode 26 and frames 25 and 25-1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When the discharge electrode 26 is installed, it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24 of the cylinder 23 , and the contaminated air is also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24 , that is, the contaminat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rear of the front fan 10 and introduced.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and collect contaminants in the air.

집진 모듈(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펄스 전압을 갖는 전원이 인가된다. 이를 통해 플라즈마 효과가 발생되어 먼지 제거 및 세균 제거에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나노 촉매 필터가 상기의 집진 모듈(20)에 인접한 위치,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방전전극(26)을 연결하는 프레임(25, 25-1)이 배치될 수 있는 집진 모듈(20)의 케이스(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나노 촉매 필터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전처리 필터(40)에 해당하거나 전처리 필터(40)와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부수적인 부재로서 이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is applied with power having a micropulse voltage. Through this, a plasma effect is generated and it can effectively function to remove dust and bacteria. Also,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catalyst filter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for example, the frames 25 and 25-1 connecting the discharge electrodes 26 shown in FIG. 3 are provided. 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21 of the dust collection module 20 that may be disposed. In this case, the nano-catalyst filter may be understood as an auxiliary member that corresponds to the pre-treatment filter 40 a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s installed independently of the pre-treatment filter 40 .

프레임(25, 25-1)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의 케이스(21) 내부의 집진전극(22)의 양 단측 영역에 와이어 형태의 방전전극(26)을 양쪽에서 고정 지지하는 동시에 전원 공급부(29)를 통해 다수개의 방전전극(26)에 마이크로 펄스 전원을 동시에 인가하기 위해서 설치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한 바(Bar) 형태의 방전전극(26)을 한쪽에서 고정 지지하는 동시에 다수개의 방전전극(26)에 마이크로 펄스 전원을 동시에 인가하기 위해서 하나의 프레임(25)만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frames 25 and 25-1 have wire-shaped discharge electrodes 26 on both end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inside the case 21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 as shown in FIGS. 3 and 4 . It is installed to simultaneously support and simultaneously apply micropulse power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26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9, or as shown in FIG. 5, a discharge electrode 26 in the form of a strong bar. Only one frame 25 may be installed to simultaneously support and simultaneously apply micropulse power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26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전극(26)이 와이어 형태가 아닌 강도가 높은 바(Bar) 형태의 전극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프레임(25-1)은 설치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5)에만 방전전극(26)이 고정되어 집진전극(22)의 실린더(23)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방전전극(26)은 도 8 내지 9와 같이 프레임(25)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현되거나, 그 강도를 고려하여 프레임(25)에 용접 방식 등으로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은 또 다른 제1 절연체(27-1)는 미설치 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3 and 4 , when the discharge electrode 26 is a bar-shaped electrode having high strength rather than a wire form, the above-described As shown, the other frame 25 - 1 is not installed, and as shown in FIG. 5 , the discharge electrode 26 is fixed only to the frame 25 and is located inside the cylinder 23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 It can be implemented to be In this case, the discharge electrode 26 may be implemented to be latched and fixed to the frame 25 as shown in FIGS. 8 to 9 , or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frame 25 by a welding method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its strength. Also, in this case, another first insulator 27-1 as described later may not be installed.

한편, 도 3에 도시되나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에는 절연체(27)가 순환되는 공기와 차단되도록 케이스(28) 내부에 수용되어 집진 모듈(20)에 설치되거나, 도 3과 달리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8)에는 절연체(27)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집진전극(22) 및 방전전극(26)의 프레임(25)이 절연체(27)와 각각 연결되도록, 공기 순환이 차단되도록 개구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has an insulator 27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28 so as to block the circulating air and is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 or adjacently unlike in FIG. 3 . can be placed. The case 28 has an opening (not shown) opened to block air circulation so that the frame 25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and the discharge electrode 26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sulator 27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sulator 27 . city) can be formed.

절연체(27)은 애자로 지칭되는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전극과 방전전극을 절연하도록 그 사이에 배치 및 연결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27)에 대응되어, 프레임(25-1)과 집진전극(22)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또 다른 절연체(27-1)가 도 4 등과 같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절연체(27)로 지칭되는 것은 필요에 따라서 절연체(27) 그 자체만을 지시하거나, 그 기능에 대한 설명일 경우 제1 절연체(27, 26-1)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The insulator 27 is a member referred to as an insulator, 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the insulator 27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components disposed and connected therebetween to insulat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other insulator 27-1 corresponding to the insulator 27 to insulate between the frame 25-1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as shown in FIG. 4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sulator 27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dicates only the insulator 27 itself as necessary, or includes the first insulators 27 and 26-1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its function.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27)는 공기 유동 경로의 외부, 즉 집진 모듈(20)이 배치되는 외형의 외부에 배치되어, 공기와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절연체(27)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에 설치되거나, 그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insulator 27 is disposed outside the air flow path, that is, outside the outer shap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is disposed, so as to be configured to be blocked from the air. can Meanwhile, the insulator 27 may b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as shown in the drawings, or may be installed adjacent thereto.

한편 방전전극(26)의 경우, 상술한 도면들의 예와 같이 단측이 프레임(25)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다른 단측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프레임(25-1)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절연체(27, 27-1)에 의하여 집진전극(22)과 절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집진전극(22)과 절연 연결되더라도 절연체로 구성되는 고정체(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electrode 26, one end is configured to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rame 25 as in the examples of the above drawings,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frame 25-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 may be configured to be insul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by the insulators 27 and 27-1. Alternatively, even if it is insul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ly installed on a fixed body (not shown) made of an insulator.

그러나,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 방전전극(26)은 상술한 고정체 및 프레임(25, 25-1)에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가 도 8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다.However, in terms of maintenance, the discharge electrode 26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installed and detached from the above-described fixed body and frames 25 and 25 - 1 . Examples of this are shown in FIGS. 8 to 10 .

먼저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방전전극(26)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와이어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가 결합된 와이어 형태의 선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실질적인 선 전극을 이루는 메인 라인(262)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discharge electrode 26 may be specifically configured as a wire-type wire electrode in which one wire or more wires are combined. As a specific configuration, the main line 262 forming a substantial line electrode may be included.

한편, 상술한 프레임(25) 및 고정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집진 모듈(20)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고, 방전전극(26)이 집진 모듈(20)에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측 체결부(프레임(25, 25-1) 및 고정체를 포함하는 개념)이 집진 모듈(20)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rame 25 and a fixed body,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26 may be installed and detached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 The configured fixed-side fastening part (concept including the frames 25 and 25 - 1 and the fixed body) may be included 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메인 라인(262)의 양단측에는, 전극 측 결합부(261, 26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측 결합부는,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측은 후크(264), 단측은 와이어의 절곡 제조 방식을 통해 구성되는 링(261)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전극 측 결합부를 구성하는 양 단측이 모두 후크 또는 호두 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후크(264)와 링(261)의 설치 위치 역시 메인 라인(262)의 양 단측에서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both ends of the main line 262 may include electrode-side coupling portions 261 and 264 . At this time, the electrode-side coupling portion, as shown in FIG. 8, may be configured with a hook 264 on the short side and a ring 261 on the short side configured through the bending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re, or both ends constituting the electrode-side coupling portion are All can consist of hooks or walnut rings. Of course,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hook 264 and the ring 261 may also be freely configured at both ends of the main line 262 .

또한, 메인 라인(262)의 일 영역에는, 설치 시 와이어를 인장하여 후크 결합을 체결한 뒤 이를 회복 시 탄성을 주도록 하여, 설치의 용이성 확보와 더불어 설치 후 강한 체결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전극 탄성체(263)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구조에 따라서 전극 탄성체(263)는 메인 라인(262)의 양 단측 중 적어도 어느 한 단측에 인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In addition, in one area of the main line 262, the electrode elastic body ( 263) may be formed. Of course, as shown in FIG. 8 , the electrode elastic body 263 is preferably formed to be adjacent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main line 262 according to the electrode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방전전극(26)이 고정 측 체결부에 결합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한 단측의 링(261) 등의 전극 측 결합부는, 고정체(251), 프레임(25, 25-1) 등에 형성된 후크(2511)에 걸리도록 고정되며, 다른 단측의 후크(264)의 전극 측 결합부는, 프레임(250)에 형성된 후크 결합을 위한 결합체(2501)에 걸리도록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고정체(251), 프레임(25, 25-1) 등에 후크(2511)가 형성되거나, 다른 고정체(251), 프레임(25, 25-1) 등 측에 결합체(2501)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링(261) 및 후크(264)가 메인 라인(262)의 양 단측에 어떻게 컴비네이션을 이루면서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electrode 26 is coupled to the fixed-side coupling portion, as shown in FIG. 9 , for example, the electrode-side coupling portion such as a ring 261 on one end includes a fixed body 251, a frame ( 25, 25-1) is fixed to be caught on the hook 2511, and the electrode-side coupling part of the hook 264 on the other end is fixed to be caught on the coupling body 2501 for hook coupling formed in the frame 250. can Of course, the hook 2511 must be formed on the fixing body 251, the frames 25, 25-1, etc., or the coupling body 2501 is formed on the other fixing body 251, the frame 25, 25-1, etc. It does not have to be, and as described above, the ring 261 and the hook 264 may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depending on how the combination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main line 262 .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측 결합부의 다양한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크(154)가 일 단측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프레임(250)의 방전전극(26)의 고정 위치에 다른 후크 등의 결합체(2501)가 형성되어, 이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 various configuration examples of the electrode-side coupling unit are illustrated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a) of FIG. 10 ,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a hook 154 may be formed on one end, and at this time, another hook at a fixed posi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26 of the frame 250 . A coupling body 2501 such as this is forme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it.

도 10의 (b) 실시예에서는, 후크(264)가 결합되는 결합체(2502)는 다단 걸림부(2503)가 형성되어, 다양한 높이에서 인장력을 변경시키면서 후크(264)를 걸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ure 10 (b), the coupling body 2502 to which the hook 264 is coupled is formed with a multi-stage engaging portion 2503, while changing the tensile force at various heights. Can be configured to engage and engage the hook 264 have.

한편 도 10의 (c) 실시예에서는, (b)와 같이 다단 걸림부(2503)에 의한 불연속적 인장력 변경과 달리, 후크(264)가 결합되는 결합체(2504)에 탄성체(2505)가 형성되어, 연속적인 인장력 변경 구조로 후크(264)를 걸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0 (c), unlike the discontinuous change in tensile force by the multi-stage engaging portion 2503 as shown in (b), the elastic body 2505 is formed in the assembly 2504 to which the hook 264 is coupled. , may be configured to engage the hook 264 in a continuous tensile force change structure.

도 10의 (d) 실시예에서는, (a) 내지 (c) 실시예와 달리, 프레임(250)에 별도의 구성을 설치하여 후크(264)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250)에 홀(2506)을 형성하고, 해당 홀(2506)에 후크(264)를 삽입하면서 프레임(250) 자체에 후크(264)가 걸림되는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d) embodiment of Figure 10, unlike the (a) to (c) embodiment, a separate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the frame 250 to be coupled with the hook 264, rather than to be coupled to the hook 264, but a hole in the frame 250 Forming 2506 and inserting the hook 264 into the hole 2506, the frame 250 itself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in such a way that the hook 264 is caught.

물론 상술한 (a) 내지 (d)의 실시예는 각 실시예가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그 특징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크(264)의 형성 위치는 메인 라인(262)의 양 단측의 어느 하나 또는 전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명에 대응되어, 도 10에서는 프레임(250)에 대한 설치를 위한 구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동일한 실시예가 고정체(251)에 대한 설치를 위한 구조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to (d) may be implemented in which each embodiment is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all or some of its features are combined. In additi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hook 264 may be any one or the entirety of both ends of the main line 262 . Corresponding to this description,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for installation on the frame 250 is described in FIG. 10 , the same embodiment will be implemented as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for installation on the fixture 251 . It should be understood as possible.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와이어 형태의 방전전극(26)은 인장하면서 고정 측 체결부에 걸리도록 체결되는 동시에, 체결 완료 시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와이어가 강하게 제1 집진전극(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세척 등의 유지 보수 측면에 있어서도 설치 프로세스와 반대의 프로세스를 통해 간편하게 방전전극(26)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se various embodiments, the discharge electrode 26 in the form of a wire is fastened to be caught on the fixed side fastening part while being tensioned, and at the same time, the wire is strongly fix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electrode 12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when the fastening is completed. can be In addition, in terms of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charge electrode 26 can be easily separated through a process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proces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은 집진전극(22), 방전전극(26) 및 절연체(27, 27-2) 등을 포함하는 구성인데, 해당 구성들은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해서 전방 팬(10)의 후방에 전방 팬(10) 및 터널의 천장(100) 등과 각각 결합하여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의 각 구성은 케이스(21)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술한 도 2 내지 5의 구조로서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includes a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 a discharge electrode 26 , and insulators 27 and 27-2, etc., which are configured by a front fan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the rear of the front fan 10 and the ceiling 100 of the tunnel, etc., respectively coupled to be fixed.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 each component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may be installed as the structure of FIGS. 2 to 5 described above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21 .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체(27, 27-1)에 오염 물질이 접착됨에 따른 쇼트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체(27, 2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유동 경로와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케이스(21) 내부의 별도의 공간이 구성되어, 해당 공간에 절연체(27, 27-1)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당 공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전극(22) 및 방전전극(26) 등이 연결되는 개방구만이 존재하고 해당 개방구는 고무 등의 탄성체들로 빈 공간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due to the adhesion of contaminants to the insulators 27 and 27-1, the insulators 27 and 27-1 are connected to the air flow path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space inside the case 21 is configured to block air movement, and the insulators 27 and 27 - 1 may be position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only an opening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and the discharge electrode 26 are connected exists in the corresponding space, and the corresponding opening may be configured to seal the empty space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이때 케이스(21)에는, 집진 모듈끼리 전후방 연결이 가능한 제1 결합부재(220) 및 터널 천장(100)에 설치 및 고정되기 위한 상부의 제2 결합부재(230, 2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20)는 일종의 케이스 사이에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유지하기 위한 서브 케이스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결합부재(230, 231)은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 210, 211), 유입 호퍼(10), 후방 팬(30) 등의 외형에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천장(100)과의 앵커 결합을 위한 앵커 볼트(231) 및 앵커 볼트 연결 브라켓(230) 등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구성은, 천장(100)과 각 구성들의 결합 구조에 따라서 다른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case 21 , a first coupling member 220 capable of front and rear connection between dust collection modules and an upper second coupling member 230 and 231 for installation and fixing to the tunnel ceiling 100 may be formed, respectively. . The first coupling member 220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 sub-case for maintaining a movement path of air between a kind of case,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0, 231 is a case 21 as shown in FIG. , 210, 211), the inlet hopper 10, is formed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ar fan 30, etc., anchor bolts 231 and anchors for anchor coupling with the ceiling 100 It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of the bolt connection bracket 230 and the like. Of cours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will be natural that other member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eiling 100 and each configu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 모듈(20)은 제1 결합부재(220)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수개의 케이스(210, 211)가 연결된다. 이는, 터널 내의 공기 처리량, 후방 팬(30)의 동작에 의한 후방에서의 단위 시간 당 공기 유동량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시간 당 공기 집진량에 따라서, 다수개의 집진 모듈(20)이 그룹화되어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 a plurality of cases 210 and 2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through the first coupling member 220 . According to this, according to the air dust collection amount per time determined by the air throughput in the tunnel, the air flow amount per unit time in the rear by the operation of the rear fan 30, etc.,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modules 20 in groups. in order to be prepared in case there is

도 1에는 다수개의 집진 모듈(200, 201)이 공기 이동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도록 모듈화 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널 내부의 후방 팬(30)의 스펙에 따라서, 3차원적, 즉 x, y, z 축으로 서로 다수개가 모듈화되어 연결/설치될 수 있다.In FIG. 1, a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modules 200 and 201 are illustrated as being modularized so that they are long connected in the air movement direction, bu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rear fan 30 inside the tunnel, three-dimensional, that is, x, y, A plurality of modules can be connected/installed to each other along the z-axi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팬(11)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집진 모듈(20)의 구조 상 공기 유입 속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집진 모듈(20)로부터 이동되는 공기를 전방에서 더욱 강하게 유입시킴으로써 공기의 원활한 처리 및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전방 팬(11)이 집진 모듈(20) 및 해당 집전 모듈이 그룹화되어 설치되는 경우 그 그룹의 최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an 11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s shown in FIG. 6 . This is because the air inflow speed may not be sufficiently secur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described above, so that the air moving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is introduced more strongly from the front to enable smooth processing and circulation of air. For this purpose, the front fan 11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most side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and the corresponding current collecting module when the group is installed.

전원 공급부(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마이크로 펄스하전 전원을 생성하여 집진전극(22) 및 방전전극(26)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29 receives external power to generate micro-pulse electric power and supply it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2 and the discharge electrode 26 .

구체적으로, 이러한 펄스형 전기 집진기에는 각 전극에 직류 전원 및 펄스형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 펄스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회로가 설치되어, 입력 전압으로부터 고전압 펄스를 발생하여 방전 전극에 인가하도록 하는 동시에 저전압을 집진 전극에 인가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such a puls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a power circuit for generating pulsed power is installed to apply a DC power and a pulsed power to each electrode, and a high voltage pulse is generated from the input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a low voltage is applied at the same time. A power circuit for applying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교류의 전원공급을 받아서, 정류기를 포함하는 변압회로를 통해 고전압을 발생시키며, 펄스 스위칭 장치 등을 통해서 해당 고전압의 전원을 펄스 전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C power supply, generating a high voltage through a transformer circuit including a rectifier, and converting the power of the high voltage into a pulse power through a pulse switching device or the like.

전처리 장치(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노 촉매 필터 등으로 구성되거나 일반적인 메쉬형 필터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큰 입자 또는 일정한 오염물질 등의 분진을 전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호퍼(10)과 집진 모듈(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집진 모듈(20)이 다수개 연결되는 경우 각 집진 모듈(20)의 공기 이동 방향의 연결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treatment device 40 may be configured to, for example, a nano-catalyst filter or the like, or a general mesh-type filter to be installed, and may be configured to pre-process dust such as large particles or certain contaminant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let hopper 10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20 , but when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modules 20 are connected, the air movement direction of each dust collecting module 20 is It can also be arranged in the connection area.

이러한 전처리 장치(40)에는 필터 세척 모듈(41)이 설치될 수 있다. 자동 세척 수단은 세척액 이동 경로 및 노즐, 세척액 순환 펌프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전처리 장치(4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장치(40)에 설치되는 필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해당 세척 기능은 후술하는 외부 단말(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A filter cleaning module 41 may be installed in the pretreatment device 40 . The automatic cleaning means includes a cleaning liquid movement path and nozzle, a cleaning liquid circulation pump, and the like, and automatically cleans the inside of the pretreatment device 40, preferably a filter installed in the pretreatment device 40 as described above. perform the function The cleaning function may be controlled by the external terminal 5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 장치는, 일반적인 구동 시 상술한 바와 같이 터널 내의 분진 등의 유해 물질을 전기 집진 방식을 통해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나,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독성 가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in the tunnel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during general operation. It performs the function, but in the event of a fire, it must perform the function of removing the toxic gas generated by the fire.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29) 및 후방 팬(30)을 포함하여, 상술한 전방 팬 및 필터 세척 모듈(41)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wer supply unit 29 and the rear fan 30 as shown in FIG. 6 , and includes the front fan described above. and a driving control unit 50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filter washing module 41 and the like.

이때 구동 제어부(50)의 핵심 기능은 전원 공급부(29) 및 전방 팬 또는 후방 팬(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즉, 상술한 유해 물질 제거를 위한 상태, 즉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일반적인 사용 상태로서 디폴트 상태에서, 구동 제어부(50)는 기설정된 제1 출력값으로 전원 공급부(29) 및 후방 팬(30)의 구동을 제어하여 터널 내 유해 물질의 집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 core function of the driving control unit 50 is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power supply unit 29 and the front fan or the rear fan 30 . That is, in the default state as a state for removing the above-mentioned harmful substances, that is, a general use state in which no fire occurs, the driving control unit 50 drives the power supply unit 29 and the rear fan 30 with a preset first output value. control to perform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 the tunnel.

이때 제1 출력값은 외부의 전원(70)에서 각 구성에 가해지는 전원의 절대값 또는 상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팬(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변환 등을 수행하는 변압기(33), 집진 모듈(20)에 마이크로 펄스하전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변환 등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부(29), 전방 팬(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변환 등을 수행하는 변압기(13) 및 필터 세척 모듈(4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변환 등을 수행하는 변압기(42) 등에 동일한 전압이 이용되는 경우 해당 전압값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구동 전압으로 구동되는 경우 디폴트 상태에서의 각 구동 전압을 1로 설정한 상대값으로 의미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output value may mean an absolute value or a relative value of power applied to each componen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70 . For example, a transformer 33 that performs power conversion, etc. to supply power to the rear fan 30, a power supply unit 29 that performs power conversion etc. to supply micro-pulse charge to the dust collection module 20, The same voltage is used in the transformer 13 that performs power conversion, etc. to supply power to the front fan 11 and the transformer 42 that performs power conversion, etc. to supply power to the filter cleaning module 41 In this case, it may mean a corresponding voltage value, or in the case of driving with different driving voltages, it may mean a relative value in which each driving voltage in a default state is set to 1.

한편 구동 제어부(50)는 터널 내 화재 발생에 대해서 해당 터널을 관리하는 관제 단말 등의 외부 단말(60)로부터의 상태 전환 입력을 수신하여 비상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상술한 제1 출력값과 다른, 바람직하게는 제1 출력값보다 높은 전류(전압)값의 기설정된 제2 출력값으로 전원 공급부(29), 전방 팬(11) 및/또는 후방 팬(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터널 내의 화재 발생에 따라서 발생되는 연기(유독성) 내의 유해 물질의 집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control unit 50 receives a state change input from an external terminal 60 such as a control terminal for managing the tunnel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tunnel and switches to an emergency state, different from the first output value, Preferably,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29, the front fan 11 and/or the rear fan 30 with a preset second output value of a current (voltage) value higher than the first output value, the fire in the tunnel is prev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ust collection func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generated smoke (toxic).

이때 제2 출력값은 상술한 제1 출력값과 동일한 개념으로써, 각 구성의 구동 전압에 따른 절대값 또는 상대값이 될 수 있다. 이때 상대값을 의미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구동 전압이 디폴트 상태에서 1로 설정된 경우, 해당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output value has the same concept as the above-described first output value, and may be an absolute value or a relative value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of each configuration. 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relative value,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each driving voltage is set to 1 in the default state as described above, it is set to a value great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한편, 터널 내에는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가 다수개 설치되어 상술한 외부 단말(6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이때 외부 단말(60)에는 관리를 위해서 각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터널 내의 설치 위치 및 식별 번호가 매칭되어 관리됨으로써,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 각각(E1, E2)의 설치 위치 및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y be installed in the tunnel and managed by the above-described external terminal 60 .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tunnel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 including each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matched and managed in the external terminal 60 for management, so that each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s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manage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E1, E2) and its monitoring can be performed.

이 경우,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 시, 모든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가 상술한 화재 발생에 의한 비상 상태로 전환될 필요가 없다. 즉 외부 단말(60)에서는 비상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만을 지정하여 해당 상태의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상태 전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fire occurs in the tunnel,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all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s does not need to be switched to the emergency state due to the above-described fire. That is, the external terminal 60 may specify only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to be converted into an emergency state and perform a state change input for requesting the change of the corresponding state.

이 경우, 각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에 연동된 구동 제어부(C1, C2)는, 외부 단말(60)로부터 상태 전환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상태 전환 입력에 포함된 식별 정보, 즉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구동 제어부(29)가 설치된(또는 연동된)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태 전환 입력에 대해서만 응답하여 비상 상태로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를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riving controllers C1 and C2 linked to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each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receive the state change input from the external terminal 60,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change input That is, by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driving control unit 29 is installed (or interlock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 including the installed (or interlocked)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to an emergency state in response only to a state switching input.

이를 통해서,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서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를 비상 상태로 전환하여, 유독성 연기의 신속한 제거를 수행할 수 있고 필요 시 추가적인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에 대한 상태 전환 입력을 수행하여, 화재 발생에 따른 유독성 연기의 발생 시 이를 즉시 광범위하게 제거하여, 화재 발생 시의 유독성 연기에 의한 2차 인명 피해 및 유독성 연기에 의한 시야 방해에 따른 터널 외부로의 탈출 방해를 해소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switched to an emergency state at the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red, so that the rapid removal of toxic smoke can be performed and, if necessary, the tunnel including an additional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By performing a state change input to the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hen toxic smoke is generated due to a fire, it is immediately and extensively removed. It can eliminate obstacles to escape to the outside.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without a particularly opposing description can be embedded, so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in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more. In addi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터널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방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유입 호퍼와, 상기 유입 호퍼의 후방에 연결되어 유입 호퍼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 순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집진전극과 상기 집진전극 각각의 내부에 상기 유동 경로면과 이격되도록 수용 배치되는 다수개의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마이크로 펄스하전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집진전극 및 상기 방전전극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유입 호퍼와 상기 집진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분진을 전처리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 및
상기 집진 모듈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 호퍼, 상기 전처리 장치 및 상기 집진 모듈 순으로 공기가 공기 순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순환력을 부여하는 후방 팬;을 포함하되,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전처리 장치와 상기 후방 팬 사이에 서로 다수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후방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디폴트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1 출력값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후방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터널 내 유해 물질의 집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터널 내 화재 발생에 대한 외부 단말로부터의 상태 전환 입력을 수신하여 비상 상태로 전환 시, 상기 제1 출력값보다 높은 전류값의 기설정된 제2 출력값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후방 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터널 내 화재 발생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 내 유해 물질의 집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
An inflow hoppe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unnel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front air, and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inflow hoppe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hopper, and a flow path is formed at least in part in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a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extending therein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disposed inside each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w path surface;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o generate micro-pulse electric power and supplying it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a pretreatment device disposed between the inlet hopper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to pretreat the dust; and
A rear fan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 to provide a circulation force so that the air moves in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in the order of the inlet hopper, the pretreatment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The dust collection module,
It is modularized so that a plurality of them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between the pretreatment device and the rear fan,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rear fan,
The drive control unit,
Control the driving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rear fan with a preset first output value in the default state to perform a dust collection fun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 the tunnel, and receive a state change input from an external terminal for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tunnel to make an emergency To perform a dust collection func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smok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tunnel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rear fan with a preset second output value of a current value higher than the first output valu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compris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는 터널 내에 다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부 단말에는 각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설치 위치 및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전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상태 전환 입력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각 구동 제어부가 설치된 상기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상태 전환 입력에 대해서만 응답하여 상기 비상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s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installed in the tunnel,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ing device including each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stored in the external terminal,
The drive control unit,
When the state change input i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change input is compared, and only for the state change input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the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stalled with each driving control unit.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switches to the emergency state in respon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호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모듈에 대한 공기 유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순환력을 부여하는 전방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
According to claim 1,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let hopper, the front fan that gives a circulation force to increase the air inflow to the dust collect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은 와이어 형태의 선 전극이며, 메인 라인 및 메인 라인의 양 단측의 전극 측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전극의 전극 측 결합부와 체결되어 상기 방전전극이 상기 집진 모듈에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정 측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electrode is a wire-shaped wire electrode, and includes a main line and electrode-side coupling parts at both ends of the main line, and the dust collec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electrode-side coupling part of the discharge electrode so that the discharg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ed-side fastening part configured to be installed and detached from the dust collect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집진모듈에 포함된 상기 집진전극, 상기 방전전극, 및 상기 집진전극과 상기 방전전극 사이의 절연체는, 서로 전후방 연결이 가능한 제1 결합부재 및 터널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상부의 제2 결합부재가 설치된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절연체는 적어도 상기 유동 경로와 공기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터널 공기질 개선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insulator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included 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e a first coupling member that can be connected back and forth to each other,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at an upper portion for installation in a tunnel ceiling.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 a case in which is installed, the insulator is at least the flow path and the air movement is block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so that the ai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comprising a modular plasma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KR1020200020782A 2020-02-20 2020-02-20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331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82A KR102331167B1 (en) 2020-02-20 2020-02-20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82A KR102331167B1 (en) 2020-02-20 2020-02-20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594A KR20210106594A (en) 2021-08-31
KR102331167B1 true KR102331167B1 (en) 2021-11-26

Family

ID=7748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82A KR102331167B1 (en) 2020-02-20 2020-02-20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1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7B1 (en) * 2009-03-10 2009-08-19 주식회사 리트코 Roof type high speed tunnel air cleaning system
JP2009240973A (en) * 2008-03-31 2009-10-22 Nishimatsu Const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exhaust gas
KR101902274B1 (en) * 2017-05-30 2018-09-28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 Electrical Filter Type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Underground Tun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973A (en) * 2008-03-31 2009-10-22 Nishimatsu Const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exhaust gas
KR100913117B1 (en) * 2009-03-10 2009-08-19 주식회사 리트코 Roof type high speed tunnel air cleaning system
KR101902274B1 (en) * 2017-05-30 2018-09-28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A Electrical Filter Type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Underground Tu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594A (en)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403B1 (en) Particulate Matter removal system of subway vent
US7465338B2 (en) Electrostatic air-purifying window screen
US8419841B2 (en) Air processing device
KR20100093811A (e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carbon fiber
SA9112004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air gases, especially air and exhaust gases
KR102340176B1 (en) System for air cleaning in subway station
KR20120091675A (en) White plume and odorous gas treatment module
CN101124046A (en) Rigid electrode ionization for packed bed scrubbers
CZ301801B6 (en) Method for separating substances in the form of particles and/or drops from a gas flow
KR102331167B1 (en) Tunnel Air Quality Improvement Device with Modular Plasma Electric dust collector
CN206483572U (en) A kind of high voltag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CN110882843A (en) Dust cleaning equipment
KR101404056B1 (en) Dust collecting speed fan tunnel with self-cleaning electric filter
CN110068033A (en) A kind of rotating self-cleaning oil fume purifier assembly
JP3667109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method
KR20130024589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its method
CN216631191U (en) Negative pressure electrostatic filter guide plate
CN101961681A (en) High-voltage power supply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polarity
CN210585381U (en) Carbon powder purification device
KR100227127B1 (en) Electrostatic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rona discharge
CN203757873U (en) Fresh air purifier
KR102441995B1 (en) Air purifier
KR102135516B1 (en) Deordorizing filter dry coating apparetus based atmospheric dry aerosol process
KR102283463B1 (en) Complex hybrid type electric dust collector filter cell
JP3798192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ethod for adjusting silent discharge cu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