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43B1 -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partment - Google Patents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par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1143B1 KR102331143B1 KR1020190178650A KR20190178650A KR102331143B1 KR 102331143 B1 KR102331143 B1 KR 102331143B1 KR 1020190178650 A KR1020190178650 A KR 1020190178650A KR 20190178650 A KR20190178650 A KR 20190178650A KR 102331143 B1 KR102331143 B1 KR 102331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ergy
- reinforcing
- protruding
- reinforcing part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온돌 난방식 공동주택의 위층 바닥에 발생된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슬라브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탄성복원력과 진동감쇄 특성을 갖는 고무를 주원료로 1,0mm∼2.5mm의 두께(T)를 갖는 판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2mm∼3mm의 두께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1보강부(120)와, 상기 제1보강부(120)의 하부로 돌출되게 경사면(131)을 가지며 4mm∼5mm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부(130)와, 상기 제2보강부(130)의 하부로 4mm∼7mm의 높이를 가지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통형 형상의 지지돌기(1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an apartment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be installed on a slab to block the impact sound generated on the upper floor of an ondol heating apartment hou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shaped body 110 having a thickness (T) of 1.0 mm to 2.5 mm using rubber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and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as a main raw material, and a thickness of 2 mm to 3 mm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 first reinforcing part 120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0,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131 protruding to a height of 4 mm to 5 mm It is achieved by being composed of the portion 13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40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having a height of 4 mm to 7 mm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130 .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온돌 난방식 공동주택의 위층 바닥에 발생된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슬라브에 설치되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an apartment house, and more particularly, a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installed on a slab to block the impact sound generated on the upper floor of an ondol heating apartment hou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is about
층간소음(層間騷音)은 다세대 주택 혹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음 공해이다. Inter-floor noise (層間騷音) is noise pollution that occurs mainly in multi-family houses or multi-family houses such as apartments.
층간소음은 화장실 물소리, 바닥충격음소리, 피아노 소리, 오디오 소리, 대화소리, TV 소리 등을 총칭하여 부르는 것으로, 층간소음 중 바닥충격음은 경량충격음(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 법적기준 58㏈ 이하)과 중량충격음(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바닥충격음, 법적기준 50㏈ 이하)으로 분류된다. Inter-floor noise is a generic term for toilet water, floor impact sound, piano sound, audio sound, dialogue sound, and TV sound. Below) and heavy impact sound (floor impact sound caused by heavy and soft impact, legal standard 50dB or less).
과거 단독주택 위주의 생활에서, 오늘날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 일반화되면서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다수의 세대가 한 겹의 벽과 바닥을 사이에 두고 생활하는 공동주택의 특성 상, 층간소음으로 인한 다툼이 일어날 수 있다. In the past living mainly in single-family houses, the problem started to arise as multi-family houses such as apartments became common today. quarrels may arise.
특히 층간소음 중에서도 콘크리트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발생하는 바닥충격음(고체전달음)은 인접세대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소음은 주로 위층 아래층에서 아이들이 뛰는 소리와 물건을 끌어 옮기거나 떨어지는 등의 소리이고, 층간소음은 다른 소음공해와 마찬가지로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이웃 주민간에 많은 문제와 민원 제기등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된지 오래다.In particular, among floor noise, floor impact sound (solid-transmission sound) generated by a direct impact on the concrete surface has the property of being easily transmitted to adjacent households. Like other noise pollution, inter-floor noise has a bad effect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it has long been raised as a social problem such as many problems and complaints between neighboring residents.
이러한 층간소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토교통부고시 제 2016-824호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 대통령령 제 28628호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등 에서는 층간소음 방지와 관련된 주택건설기준 등을 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inter-floor noise problem,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fication No. 2016-824 Standards for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Floor Impact Sound Blocking Structures for Apartment Houses, Presidential Decree No. 28628 Regulations for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etc. It suggests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related to noise prevention between floors.
또한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다양한 연구논문들(슬래브 두께 및 강성의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김태희, 공동주택 바닥충격음을 고려한 바닥마감구조 대안별 성능평가 등)이 진행되어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various research papers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reducing floor impact noise according to changes in slab thickness and stiffness-Kim Tae-hee, performance evaluation by alternative floor finishing structure considering floor impact sound in apartment houses, etc.) have been published and published. have.
따라서 종래에도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10-1740046호에 게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층간 슬라브 바닥면에 안치되며 겔(Gel)재질로서, 진동에 속하는 바닥충격음을 차단하도록 한 겔시트; 상기 겔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며 고무재질로서, 저주파에 속하는 중량충격음을 차단하도록 한 고무시트; 상기 고무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며 폼재질로서, 고주파에 속하는 경량충격음을 차단하도록 한 폼시트; 및 상기 폼시트, 고무시트, 겔시트의 사이에 각각 적층되는 접착시트;로 구성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inter-floor noise, which has become a social problem even in the prior art, a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0046, it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inter-floor slab and is a gel material to block the floor impact sound belonging to the vibration. one gel sheet; a rubber sheet laminated on top of the gel sheet and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block a heavy impact sound belonging to a low frequency; a foam sheet laminated on top of the rubber sheet and made of a foam material to block a light impact sound belonging to a high frequency; and an adhesive sheet laminated between the foam sheet, rubber sheet, and gel sheet, respectively.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소음 방지를 위한 여러 패널들을 적층하는 구조여서 중량충격음과 같이 순간하중(중량 충격음 측정방법인 뱅 타입의 순간하중)이 4,500N/m2정도 가해지는 경우,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소음이 흡수되기도 전에 바닥에 순간하중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발생된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가 아래층으로 그대로 전달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such a conventional apartment house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panels are stacked for noise prevention, an instantaneous load such as a weight impact sound (a bang-type instantaneous load that is a weight impact sound measurement method) of 4,500N/m2 is applied. As the energy and vibration energy are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by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the apartment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ock energy and vibration energy generated by the instantaneous load applied to the floor before the noise is absorbed is transmitted as it is to the lower floor. .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윗층의 바닥판에 순간하중(중량 충격음 측정방법인 뱅 타입의 순간하중)이 4,300kg/m2정도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가 단열재와 기포콘크리트층 사이에 설치된 층간소음 방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됨과 동시에 열에너지로 변환 흡수되면서, 충격음 및 진동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even when an instantaneous load (a bang-type instantaneous load that is a weight impact sound measurement method) of about 4,300 kg/m2 is appli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floor, the impact energy and vibration energy is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by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installed between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aerated concrete lay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absorbed.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우수한 탄성복원력과 진동감쇄 특성을 갖는 고무를 주원료로 1,0mm∼2.5mm의 두께(T)를 갖는 판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2mm∼3mm의 두께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1보강부(120)와, 상기 제1보강부(120)의 하부로 돌출되게 경사면(131)을 가지며 4mm∼5mm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부(130)와, 상기 제2보강부(130)의 하부로 4mm∼7mm의 높이를 가지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통형 형상의 지지돌기(1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한편, 상기 지지돌기(140)는 지름이 3.5mm∼4.5mm 이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돌기(140)의 상부에 형성된 제2보강부(130)에서 흡수하고 남은 충격에너지 및 진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이 더욱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또한, 상기 제1보강부(120)는 몸체(110)의 저면 가로 및 세로방향에 각각 형성됨을 밝혀 둔다.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reinforcing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탄성복원력과 진동감쇄 특성을 갖는 고무 자체의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제1보강부 및 상기 제1보강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보강부와 상기 제2보강부에 형성된 원통형 형상의 지지돌기에 의해, 중량충격음과 같이 순간하중(중량 충격음 측정방법인 뱅 타입의 순간하중)이 4,500N/m2정도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격에너지 및 진동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순차적인 흡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having its own elastic force of rubber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and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a first reinforcing part formed under the body, a second reinforcing part formed under the first reinforcing part, and the second Even when an instantaneous load (a bang-type instantaneous load, which is a method of measuring a weight impact sound) of about 4,500 N/m2 is applied by the cylindrical support protrusion formed in the reinforcing part, the impact energy and vibration energy are effectively sequential As it is absorbed and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ransmission to the lower layer.
한편, 콘크리트슬라브의 상부면에 지름이 3.5mm∼4.5mm 이내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의 하단부만 접촉되는 관계로, 상부층에서 발생된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효과적으로 변화되면서 흡수되어지게 됨으로써, 상부층에서 발생된 충격하중 및 소음에 의해 아래층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only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which is formed with a diameter of 3.5 mm to 4.5 m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is in contact, the impact energy and vibration energy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are effectively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absorbed, so that the upper lay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ccupants living downstairs do not feel any discomfort due to the impact load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돌기가 제1보강부와 제2보강부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슬라브의 상부면과 몸체 하부 사이에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관계로, 상기 몸체와 콘크리트슬라브 사이로 유입된 열에너지가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되어지게 됨으로써, 상부층에서 발생된 충격하중 및 소음에 의해 아래층에서 거주하고 있는 거주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되는 등의 효가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upport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reinforcing part and the second reinforcing part, the stable standing state is maintai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thermal energy introduced between the body and the concrete slab is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so that the occupants living in the lower floor do not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impact load and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which is a very useful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보인 저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우수한 탄성복원력과 진동감쇄 특성을 갖는 고무를 주원료로 1,0mm∼2.5mm의 두께(T)를 갖는 판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2mm∼3mm의 두께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돌출 형성되는 제1보강부(120)와, 상기 제1보강부(120)의 하부로 돌출되게 경사면(131)을 가지며 4mm∼5mm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부(130)와, 상기 제2보강부(130)의 하부로 4mm∼7mm의 높이를 가지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통형 형상의 지지돌기(140)로 구성된다.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the apartmen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rubber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and vibration damping properties as a main raw material, and a plate-
한편, 상기 지지돌기(140)는 지름이 3.5mm∼4.5mm 이내로 형성된다. Meanwhile, the
또한, 상기 제1보강부(120)는 몸체(110)의 저면 가로 및 세로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reinforcing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100)의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The effect of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floor
도 4는 일반적인 아파트 등의 층간 바닥 슬라브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콘크리트슬라브(500) 상부에 방지재(100) 및 EPS소재와 같은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단열재(200)가 순차적으로 안착 구비되고, 그 위에 기포콘크리트(300) 및 마감몰탈(400)이 순차적으로 시공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floor floor slab of a general apartment, etc., on the
이러한 바닥 슬라브 시공과정에서,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재(100)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능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몸체(110)의 하부와 콘크리트슬라브(500) 사이의 공간부(600)에 공기압축이 발생하여 에어쿠션 완충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In this floor slab construction process, the interlayer
즉, 윗층의 바닥판에 순간하중(중량 충격음 측정방법인 뱅 타입의 순간하중)이 4,500N/m2정도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은 일차적으로 단열재(200)에 전달되어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가 흡수된 후 본 발명인 방지재(100)에 전달되어지게 되고, 상기 단열재(200)에서 전달이 이루어진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는 방지재(100)의 몸체(110)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이차적인 감쇠가 이루어지면서 충격에너지 및 진동에너지가 흡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That is, when an instantaneous load (a bang-type instantaneous load, which is a method of measuring a weight impact sound) is applied to the floor plate of the upper floor about 4,500 N/m2, the impact is first transmitted to the insulating
한편, 상기 몸체(110)에서 흡수하고 남은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는 재차 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제1보강부(120)에 의해 감쇠가 이루어지면서 흡수되고, 상기 제1보강부(120)에서 흡수하고 남은 진동에너지와 충격에너지는 제2보강부(130)를 통해 흡수됨과 동시에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경사면(131)을 통해 몸체(110) 저면과 콘크리트슬라브(500)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00)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공간부(600)로 유입된 열에너지는 폭넓게 분산되면서 소멸되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shock energy and vibration energy absorbed by the
한편, 상기 제2보강부(130)에서 흡수하고 남은 진동에너지와 충격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지지돌기(140)로 전달되고, 상기 지지돌기(140)로 전달이 이루어진 진동에너지와 중격에너지는 콘크리트슬라브(500)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지지돌기(140)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진동에너지와 충격에너지가 흡수됨과 동시에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몸체(110) 저면과 콘크리트슬라브(500)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00)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공간부(600)로 유입된 열에너지는 폭넓게 분산되면서 소멸되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vibration energy and impact energy absorbed by the second reinforcing
또한, 상기 지지돌기(140)에서 충격에너지및 진동에너지를 전량 흡수하지 못한 경우에는 지름이 3.5mm∼4.5mm 이내로 형성된 지지돌기(140)의 하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콘크리트슬라브(500) 상부로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entire amount of impact energy and vibration energy is not absorbed by the
이때. 상기 상기 지지돌기(140)는 지름이 3.5mm∼4.5mm 인 관계로 최소한의 진동 및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키면서 아래층으로 진동에너지및 충격에너지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한편, 상기 지지돌기(140)는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제2보강부(130)와 상기 제2보강부(130)의 상부에 형성된 제1보강부(120)에 지지되면서 지름이 3.5mm∼4.5mm인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하단부가 콘크리트슬라브(500)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로인해 상기 콘크리트슬라브(500)와 몸체(110) 저면 사이에 안정적으로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공간부(600)에서는 몸체(110)와 제1보강부(120) 및제2보강부(130)와 지지돌기(140)에서 진동에너지와 중격에너지가 흡수되면서 변환된 열에너지를 폭넓게 분산시키면서 소멸시키게 된다. Due to this, the state in which the space portion is stably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100 : 방지재
110 : 몸체
120 : 제1보강부
130 : 제2보강부
131 : 경사면
140 : 지지돌기
200 : 단열재
300 : 기포콘크리트
400 : 마감몰탈
500 : 콘크리트 슬라브
600 : 공간부100: prevention material
110: body
120: first reinforcement part
130: second reinforcement part
131: slope
140: support projection
200: insulation
300: aerated concrete
400: finishing mortar
500: concrete slab
600: space part
Claims (3)
상기 몸체(110)가 단열재(200)에서 전달이 이루어진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이차적인 감쇠가 이루어지면서 충격에너지 및 진동에너지가 흡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1,0mm∼2.5mm의 두께(T)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보강부(120)는 충격에너지와 진동에너지가 재차 감쇠가 이루어지면서 흡수되도록 2mm∼3mm의 두께를 가지며 가로 및 세로방향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120)의 하부로 돌출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2보강부(130)는 제1보강부(120)에서 흡수하고 남은 진동에너지와 충격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면서 몸체(110) 저면과 콘크리트슬라브(500) 상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00)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사면(131)을 가지며 4mm∼5mm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부(13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140)는 콘크리트슬라브(500)와 몸체(110) 저면 사이에 안정적으로 공간부(600)가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공간부(600)에서는 몸체(110)와 제1보강부(120) 및 제2보강부(130)와 지지돌기(140)에서 진동에너지와 중격에너지가 흡수되면서 변환된 열에너지가 폭넓게 분산되도록 하단부가 콘크리트슬라브(500)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지름이 3.5mm∼4.5mm인 원통형 형상으로 4mm∼7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재.A plate-shaped body 110 made of rubber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and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as a main raw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portions 120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0 A cavity composed of a second reinforcing part 130 protruding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131 to protrude downward of In the noise prevention material between floors of a house,
Thickness of 1.0mm to 2.5mm so that the body 110 absorbs and disperses the impact energy and vibration energy transmitted from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00 by its own elastic force while secondary attenuation is made. The first reinforcing part 120 formed of (T)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has a thickness of 2 mm to 3 mm so that the shock energy and vibration energy are absorbed while being damped agai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parts 130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part 120, respectively,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t has an inclined surface 131 that absorbs energy and converts it into thermal energy while discharging it to the space 600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slab 500, and has a height of 4 mm to 5 mm, , The support protrusion 140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30 is stably formed between the concrete slab 500 and the body 110 while maintaining the space 600 in the space. In the part 600,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body 110, the first reinforcing part 120, the second reinforcing part 13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40 absorb the vibration energy and the septum energy while distributing the converted thermal energy widely.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n apartment 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of 3.5 mm to 4.5 mm and a height of 4 mm to 7 m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5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650A KR102331143B1 (en) | 2019-12-30 | 2019-12-30 |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par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8650A KR102331143B1 (en) | 2019-12-30 | 2019-12-30 |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part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529A KR20210085529A (en) | 2021-07-08 |
KR102331143B1 true KR102331143B1 (en) | 2021-11-26 |
Family
ID=7689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8650A KR102331143B1 (en) | 2019-12-30 | 2019-12-30 |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par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1143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187Y1 (en) | 2003-05-19 | 2003-08-06 | (주)코리아사운드콘트롤 | Panel for preventing impact vibration and sound between floor in apartment house |
KR20140001880U (en) * | 2012-09-24 | 2014-04-02 |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 The vibration-proofing pad |
KR20150031580A (en) | 2013-09-16 | 2015-03-25 | (주) 포유엔지니어링 | The structure for soundproof interlayer |
-
2019
- 2019-12-30 KR KR1020190178650A patent/KR102331143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529A (en)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7987B1 (en) | Base structure for sound insulation and vibration-proof used in a floor of an apartment building | |
CN107002404B (en) | Construction material | |
KR102077086B1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loor impact sound of building | |
KR101477783B1 (en) | Floating floor type vibroisolating sheet for using the complex material | |
KR100987212B1 (en) | Buffer material and Floor impact sound absorbing panel with the same | |
KR100827424B1 (en) | Ondo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62925B1 (en) | Plate for sound insulation | |
KR20060021933A (en) | A floating floor system for prevention of noise | |
KR100718698B1 (en) | Plate for sound insulation | |
KR102331143B1 (en) |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partment | |
KR102119407B1 (en) | Vibration dampener for reduction of crashing sound | |
KR101488443B1 (en) | Vibration absorbing devic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092992B1 (en) | Structure with air layer for excluding of floor impact sound | |
KR100705845B1 (en) | Double Slab Structure of Building | |
KR100995303B1 (en) | Apartment building inter layer floor impact insulation material using domping mat | |
KR20100005135U (en) | Percussion intercept board for the floor of apartment house | |
KR200453109Y1 (en) | crashing sound preventing structure of building | |
KR20210045210A (en) |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 of apartment | |
KR100827426B1 (en) | Ondol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423540Y1 (en) | Plate for sound insulation | |
KR102295294B1 (en) |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to prevent interlayer noise of multi-storey buildings | |
KR100718700B1 (en) | Plate for sound insulation | |
KR200378945Y1 (en) | A product for reducing noise in architecture | |
KR20190050305A (en) | Noise reduction between floors | |
KR101526541B1 (en)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