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13B1 -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 Google Patents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113B1
KR102331113B1 KR1020210094754A KR20210094754A KR102331113B1 KR 102331113 B1 KR102331113 B1 KR 102331113B1 KR 1020210094754 A KR1020210094754 A KR 1020210094754A KR 20210094754 A KR20210094754 A KR 20210094754A KR 102331113 B1 KR102331113 B1 KR 10233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chair
rotation
rear brack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to KR102021009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1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with a backrest which can adjust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at which the backres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hape of user's body when the user is seated. To this end, the chair with a backrest that can adjust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ar bracket including a first rear bracket a front inner sid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a flexible backrest, a lower end of which is fixed to a seat, at an upper end of which a first hinge pieces is formed, and a second rear bracket an upp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rest, at a lower portion of which a second hinge pie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inge piece is formed, and which rotates in a front-back direction of the chair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racket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rest can mo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hair; a rotating bracke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backrest and the rear bracket by hinges, respectively, and including an actua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bracket; a coil elastic spring providing an elastic pressing forc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backrest moves forward; a step control dial provided on the rear bracket to be rotatable so that the inner end faces the actuating protrusion of the rotating bracket, and including multi-step protrusions of different heights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inner end; and a tension unit provided under the flexible backrest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move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rest forward.

Description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본 발명은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 시 등판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밀착될 수 있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user is seated, the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at which the back plate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body type. It relates to the provided chairs.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다리, 상기 시트부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상기 시트부, 다리, 등받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general chair includes a seat part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 leg for supporting the seat part, a backrest provided behind the seat part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a frame supporting the seat part, legs, and back support by organically connecting the seat part, legs, and backrest. consists of including

한편,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등판부가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이 잘 되도록 하여 착석감이 높일 수 있는데, 종래 의자는 착석자가 등판부를 뒤로 가압할 때, 등판부가 결합된 프레임이 프레임의 자체의 탄성에 의해 밀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the backrest par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so that the seated feeling can be increased. It is an adhesive structure.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시 사용자의 등부에 등판부를 밀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hair described above has a limit in adhering the back plate to the user's back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또한, 사용자마다 신체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착석 시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In addition, since each user has a different body structure, a structure capable of smoothly adhering to the user's back when the user is seated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is.

또한, 사용자가 다리를 꼰 상태로 앉으면 등판의 한쪽에만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편심외력에 의자의 프레임의 자체의 탄성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여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its with his legs crossed, the force is applied to only one side of the back plate, and the elasticity of the frame of the chair itself does not properly adapt to this eccentric external force, causing inconvenience.

등록특허 제10-0791451호(등록일자 2007년12월27일)Registered Patent No. 10-0791451 (Registration Date December 27, 2007)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 시 등판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밀착될 수 있으며, 특히, 등판 상부의 각도 조절과 등판 하부의 텐션량 조절이 각각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등판의 상태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so that when the user is seated, the back plat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ype, and in particular, the angle adjustment of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and the amount of tension of the lower part of the back plate can be adjusted, respectively. It is to provide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that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state of the back plate to a desired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and adjustable angle and tension amoun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는, 플렉서블 등판의 하부에 전면 내측이 연결되고 하단이 좌판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제1 힌지편을 형성하는 제1 후방브라켓과,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상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1 힌지편에 대응 연결되는 제2 힌지편을 형성하여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상부가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후방브라켓의 상부에서 의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후방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방브라켓; 및 상기 등판의 하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동브라켓; 상기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는 코일탄성스프링; 및 내측 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의 작동돌기에 마주하도록 상기 후방브라켓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내측 단부에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턱부가 원형 배열로 형성된 단계조절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하측에서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tension a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ront inn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eat plate, and the first hinge pie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A first rear bracket and a second hinge piece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and a second hinge piece connected to the lower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hinge piece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a rear bracket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ear bracket that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and a pivoting bracke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and the rear bracket,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rear bracket; a coil elastic spring providing an elastic pressing forc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moves forward; and a step control dial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bracket so that the inner end faces the actuating protrusion of the rotation bracket, and multi-stepped portions having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a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inner end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move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forwar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힌지편을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제2 힌지편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2 후방브라켓과 함께 회전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과 축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편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되되, 상기 제2 후방브라켓이 설정회전범위 내에서는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제2 후방브라켓이 설정회전범위를 넘어 회전하면 의자 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 hinge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hinge piece and having both end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second hinge piec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ear bracket; and the hinge shaft and axi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iece, respectively, so that the second rear bracket rotates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within a set rotation range, and the second rear bracket rotates beyond the set rotation range When the chair rotates in the rear direction, a rotation control unit for returning;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제1 힌지편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하도록 수용되고 내측 중앙이 상기 힌지축 단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과 함께 의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동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수용되어 상부가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의자 전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내측에 안쪽이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핀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후방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회동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치부재의 양편에 대응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수용되고 상단이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핀부재의 단부에 안착하도록 형성되어 상단이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단이 핀부재를 밀어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회동부재에서 후퇴시켜 이격되게 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tation control unit comprises: a housing formed to be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iece, respectively; a rotat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rotate and having an inner center inserted and fixed to an end of the hinge shaft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together with the hinge shaft; a latch memb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be slidably moved so that the upper part is engag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member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onl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a pin member inserted inside the latch member and having both ends formed to slide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latch member;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latch member and the other end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to press the latch member toward the rotation member;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latch member and accommodated to rotate in the housing, an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lower end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end of the pin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member for pushing the member to retract the latch member from the rotation member to be spaced apart.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 상부쪽에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부재가 회전하도록 삽입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내부 하부쪽에 상기 래치부재의 하부가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안착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핀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hous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hinge shaft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 boss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to rotate the switch member is formed in an inner upper portion, and the latch member is formed in an inner lower portion. A guide rail o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lidably moves, a guide hole through which an end of the pin member is inserted and guided, and a support groov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may be formed,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부재는, 내측 중앙에 상기 힌지축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양측으로 각각 상기 스위치부재의 상단을 밀어 상기 스위치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래치부재의 상부에 맞물리는 회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tation member has a fixing hole formed in the inner center at which an end of the hinge shaft is inserted and fixed, and a first button and a second button for rotating the switch member by pushing the upper end of the switch member on both sides on the upper side, respectively. These are respectively formed, and a rotation gear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member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래치부재는, 상부에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에 맞물리는 래치기어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는 핀홀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atch member has a latch gear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member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pin hole into which the pin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to penetrate,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at the rear side. A groove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1 스위치가 형성되고, 하단에 돌출되어 상기 핀부재의 단부를 밀기 위한 제2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witch member may have a first switch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and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member, and a second switch protruding from a lower end to push the end of the pin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회전범위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재 사이에 각도로서,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이 0°이면 1단이고,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이 0°보다 큰 α°이면 2단이고,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이 α°보다 큰 β°이면 3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set rotation range is an angle between the rotation member and the switch member, and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is 0°, it is one stage, and If the rotation angle is greater than 0° α° is two stages, and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member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is β° greater than α°, it may be formed in three stages.

바람직하게,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상부 및 제2 후방브라켓의 상단 연결은 상기 등판의 상부에 내측이 오목하게 파인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후방브라켓의 상단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upper conn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bracket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concave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bracket is provided. can be formed and connected.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등판에 구비된 제1 힌지브라켓에 제1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브라켓에 구비된 제2 힌지브라켓에 제2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 한 쌍의 회동링크; 및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브라켓에 대한 상기 등판의 간격에 따라 제1 힌지축 및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tation bracket has one end connected to a first hinge bracket provided on the back plate so as to be rotatably hinged by a first hinge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econd hinge bracket provided in the rear bracket on a second hinge shaft. A pair of pivoting links hinged rotatably by; and a work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pair of pivoting links and protruding toward the rear bracket, and a first hinge shaft and a second hinge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back plate with respect to the rear bracket.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bout an axis.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탄성스프링은, 제1 힌지축 및 제2 힌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 축삽입되고, 상기 회동브라켓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il elastic spring is axially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hinge shaft and the second hinge shaft, and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moves forward as the rotation bracket rotates.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조절다이얼은, 내측 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의 작동돌기에 마주하도록 상기 후방브라켓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내측 단부에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턱부가 원형 배열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다단턱부 중 어느 하나의 턱부가 상기 작동돌기와 택일적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control dial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bracket so that the inner end faces the operation protrusion of the rotation bracket, and multi-stepped portions having different protruding heights a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inner end por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any one of the multi-stepped jaws may be configured to alternatively face the actuating protrus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등판의 상부를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등판의 상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맞춰 등판을 밀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upper angle of the backboard by moving the upper part of the backboard in stages, so that the backboard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body type or posture.

또한, 사용자가 착석 시 등판의 하부가 사용자의 등부에 밀착되는 텐션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tension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back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when the user is seat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회전제어부를 도시한 분해도면 및 정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텐션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를 구성하는 단계조절다이얼의 분해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텐션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1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2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3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4단 텐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 tension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of FIG. 3 .
5 and 6 are exploded views and front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rotation control unit of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 tension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 tension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part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of FIG. 10 .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tep adjustment dial constituting the chair with the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the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ension part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stage tension operation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wo-stage tension operation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ree-stage tension operation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stage tension operation of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등판(10), 좌판(20), 헤드레스트(30) 및 요추받침대(40)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후방에는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을 지지하기 위한 후방브라켓(100, 200)이 구비된다. A chair 1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gle and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 a flexible back plate 10, a seat plate 20, and a headrest 30 and the lumbar support 40 are provided, and rear brackets 100 and 200 for supporting the flexible back plate 10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전면에는 메쉬(M)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메쉬(M)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게 된다. A mesh (M) is cove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the mesh (M) supports the user's back.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은 상부와 하부 및 중간부가 테를 이루는 사각형상으로,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양측 후면에는 오목하게 파여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이 전후방으로 휘어지고 길이신축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요홈부(11)가 형성된다. The flexible backplate 10 has a quadrangular shape forming an upper part, a lower part, and a middle part, and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are dug in both rear surfaces of the flexible backplate 10 so that the flexible backplate 10 is bent back and forth and stretched in length. A number of recessed portions 11 are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실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플렉서블 등판(10)이 구비된 의자(1)의 기능 중,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mong the functions of the chair 1 provided with the flexible back plate 10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the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angle will be described.

상기 후방브라켓(100, 200)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후방브라켓(100)과,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후방브라켓(200)으로 구성된다. The rear brackets 100 and 200 are a first rear bracket 100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a second rear bracket 200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composed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하단은 좌판(20)의 하부로 연장되어 조립되고,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전면 내측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상단에는 제1 힌지편(110)이 형성된다. The first rear bracket 1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the lower end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is assembled to ext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20, the first rear bracket (100) The front inn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first hinge piece 11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의 상단 내측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힌지편(110)에 대응 연결되는 제2 힌지편(210)이 형성된다. A second hinge has an inner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iece 110 . A piece 210 is formed.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제1 힌지편(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의 제2 힌지편(210)이 의자(1)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가 의자(1)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The second hinge piece 210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1 based on the first hinge piece 110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1,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상기 제1 힌지편(110)과 상기 제2 힌지편(210)의 내부에는 각도 조절을 위한 힌지축(300)과 회전제어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힌지편(110)과 상기 제2 힌지편(210)의 사이에는 상기 제2 힌지편(2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조립되는 스페이서 부재(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 hinge shaft 300 for angle adjustment and a rotation control unit 400 are provided inside the first hinge piece 110 and the second hinge piece 210 , and the first hinge piece 110 and the second hinge piece 210 are provided. A spacer member 211 assemb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econd hinge piece 21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wo hinge pieces 210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힌지편(110)은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상단부 중앙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편(210)은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편(110)과 상기 제2 힌지편(210)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of the first hinge pieces 1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 and the second hinge piece 21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 Each is formed as a pair, and the first hinge piece 110 and the second hinge piece 210 may have the same diameter.

상기 힌지축(300)은 단면이 육각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00)의 중간 부분은 상기 제1 힌지편(110)과 간섭이나 구속이 없도록 관통하고, 상기 힌지축(300)의 양단은 상기 제2 힌지편(210)의 내측에 형성된 육각 형상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300)은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The hinge shaft 300 is formed in a hexagonal cross-section,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hinge shaft 300 passes through the first hinge piece 110 without interference or restraint, and the hinge shaft 300 of Both ends are inserted into and fixed in a hexagonal groove formed inside the second hinge piece 210 . Accordingly, the hinge shaft 300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rear bracket 200 .

또한, 상기 제1 힌지편(110)의 양측면에는 상기 힌지축(300)과 축결합되도록 수용되어,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이 설정회전범위(A) 내에서는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이 설정회전범위(A)를 넘어 회전하면 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제어부(40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iece 110 are accommodated to be axially coupled with the hinge shaft 300, so that the second rear bracket 20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in the set rotation range (A), When the second rear bracket 200 rotates beyond the set rotation range (A), a rotation control unit 400 is provided to rotate in the rear direction to return.

상기 설정회전범위(A)는 상기 회동부재(420)의 제1 버튼(422)과 상기 스위치부재(460)의 제1 스위치(461) 사이에 각도로서,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420)의 회전각이 0°이면 1단,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420)의 회전각이 7°이면 2단,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420)의 회전각이 14°이면 3단을 의미한다. The set rotation range (A) is an angle between the first button 422 of the rotation member 420 and the first switch 461 of the switch member 460, and the rotation member 42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 if the rotation angle is 0° in the first stage,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member 420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is 7°, in the second stage,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member 420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is 14° means three.

상기 회전제어부(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0), 회동부재(420), 래치부재(430), 핀부재(440), 탄성부재(450) 및 스위치부재(4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rotation control unit 400 includes a housing 410 , a rotation member 420 , a latch member 430 , a pin member 440 , an elastic member 450 and a switch member. (460).

상기 제1 힌지편(110)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되도록 하우징(410)이 구비된다. A housing 410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iece 110 , respectively.

상기 하우징(410)은 서로 마주하여 조립되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410)의 상부에는 상기 힌지축(300)이 삽입되는 관통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 상부측에 상기 관통홀(411)의 둘레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부재(460)가 회전하도록 삽입되는 보스부(412)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 하부측에는 상기 래치부재(430)의 하부가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안착하는 가이드레일(413)이 형성된다. The housing 410 is composed of a pair of members assembled to face each other, and a through hole 411 into which the hinge shaft 30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410 , and the housing 410 . A boss portion 412 protruding from the inner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411 and inserted to rotate the switch member 460 is formed, and the latch member 430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housing 410 . ), a guide rail 413 on which the lower part is seated to slide is formed.

또한,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 측에는 상기 핀부재(440)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홀(414), 상기 탄성부재(450)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홈(415)이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a guide hole 414 through which an end of the pin member 440 is inserted and guided, and a support groove 415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450 is supported ar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410 .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회동부재(420)가 회전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회동부재(420)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300)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300)의 회전 시 일체로 함께 회전된다. A rotating member 4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410 to rotate, and an end of the hinge shaft 30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rotating member 420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inge shaft 300 . is rotated together when rotating.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부재(420)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30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육각 형상의 고정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420)의 상부에 양측으로 각각 상기 스위치부재(460)의 상단을 밀어 상기 스위치부(460)를 회전시키는 제1 버튼(422) 및 제2 버튼(423)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래치부재(430)의 상부에 맞물리는 회동기어(424)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a hexagonal fixing hole 421 into which an end of the hinge shaft 300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rotation member 420, an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member 420, respectively. A first button 422 and a second button 423 for rotating the switch unit 460 by pushing the upper end of the switch member 460 are formed, and a rotation gear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member 43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424) is formed.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래치부재(430)가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래치부재(430)의 상부가 상기 회동부재(420)의 하부에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420)를 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A latch member 43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410 to be slidably mov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atch member 430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member 420 to enable the rotation member 420 . can be rotated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부재(430)는 상부에 상기 회동기어(420)의 하부에 맞물리는 래치기어(431)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핀부재(440)가 삽입되는 핀홀(432)이 관통형성되며, 후방에 상기 탄성부재(450)의 일단이 지지되는 안착홈(433)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latch member 430 has a latch gear 431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gear 42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inhole 432 into which the pin member 440 is inserted is formed through. and a seating groove 433 in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450 is supported is formed at the rear.

상기 래치부재(430)의 내측에는 안쪽이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 슬라이딩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재(430)와 함께 이동하는 핀부재(440)가 구비된다. A pin member 440 is provided inside the latch member 430 , which is inserted inside and both ends are formed to slide inside the housing 410 and move together with the latch member 430 .

상기 래치부재(430)의 후방에는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재(430)를 상기 회동부재(420)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5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5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e rear of the latch member 430 , one end is support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410 , and an elastic member 450 for pressing the latch member 430 toward the rotation member 420 is provided. And, the elastic member 450 may be compos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상기 래치부재(430)의 양편에는 서로 마주하여 대응 위치하는 한 쌍의 스위치부재(460)가 구비된다. A pair of switch members 46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atch member 430 to face and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스위치부재(460)는 상기 하우징(410)에 회전하도록 수용되고, 상단이 상기 회동부재(420)의 상부에 삽입되며, 하단이 상기 핀부재(440)의 단부에 안착하도록 형성되어 상단이 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단이 핀부재(440)를 밀어 상기 래치부재(430)를 상기 회동부재(420)에서 후퇴시켜 이격되게 하도록 형성된다. The switch member 460 is accommodated to rotate in the housing 410 ,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420 , and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end of the pin member 440 , so that the upper end is moved.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the lower end pushes the pin member 440 and the latch member 430 is retracted from the rotation member 420 to be spaced apart.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재(460)는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420)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1 스위치(461)가 형성되고, 하단에 돌출되어 상기 핀부재(440)의 단부를 밀기 위한 제2 스위치(462)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switch member 460 protrudes from the top to form a first switch 461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member 420 , and protrudes from the bottom to push the end of the pin member 440 . A second switch 462 is formed.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에 내측이 오목하게 파인 결합홈(12)과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의 상부에 상기 결합홈(1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20)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와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의 상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coupling groove 12 with a concave inner sid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the coupling groove 12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rotrusion 220 inserted therei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플렉서블 등판(10)의 각도 조절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action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7은 제2 후방브라켓(200)이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각이 0°인 1단에서 회전각이 7°인 2단으로 회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second rear bracket 200 rotates from the first stag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is 0°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second stage in which the rotation angle is 7°.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를 잡고 전방향으로 당기면, 제2 후방브라켓(200)과 힌지축(300)은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축(300)의 단부에 삽입 고정된 회전제어부(400) 내부의 회동부재(420)도 전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각이 0°인 1단에서 회전각이 7°인 2단으로 회전하게 된다. 7, when the user grabs the upp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pulls it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rear bracket 200 and the hinge shaft 300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hinge shaft 300 ), the rotation member 420 inside the rotation control unit 400 inserted and fixed at the end also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otates from the first stage having a rotation angle of 0° to the second stage having a rotation angle of 7°.

즉, 1단에서 회동기어(424)와 래치기어(431)가 맞물린 상태인 회동부재(420)가 회전하면, 회동기어(424)의 회전으로 래치기어(431)가 밀려나게 되므로, 래치부재(430)와 핀부재(440)도 각각 하우징(410)의 가이드레일(413)과 가이드홀(414)을 따라 후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50)는 래치부재(430)의 후퇴 이동으로 압축된다. That is, when the rotation member 420 in which the rotation gear 424 and the latch gear 431 are engaged in the first stage rotates, the latch gear 431 is push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ear 424, so the latch member ( The 430 and the pin member 440 also move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413 and the guide hole 414 of the housing 410 ,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450 is compressed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member 430 .

이후, 회동부재(420)가 2단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면, 탄성부재(450)가 래치부재(430)를 회동부재(420) 쪽으로 가압하여 래치부재(430)와 핀부재(440)는 각각 가이드레일(413)과 가이드홀(414)을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되므로, 래치기어(431)와 회동기어(424)는 다시 맞물리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420)는 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rotation member 420 reaches the second stage and stops, the elastic member 450 presses the latch member 430 toward the rotation member 420 so that the latch member 430 and the pin member 440 are guides, respectively. Since it moves forward along the rail 413 and the guide hole 414 , the latch gear 431 and the rotation gear 424 are meshed again. At this time, the rotating member 42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rear direction.

따라서, 회동부재(420)에 의해 회전각이 7°인 2단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300)과 제2 후방브라켓(200)도 2단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후방브라켓(200)과 연결된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도 제2 후방브라켓(200)의 회전각 만큼 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rotational member 420 rotates in two stages with a rotation angle of 7°, the hinge shaft 300 and the second rear bracket 200 also rotate in two stages, and the second rear bracket 200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connected to the second rear bracket 200 also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rotation angle.

도 8은 제2 후방브라켓(200)이 회전각이 7°인 2단에서 회전각이 14°인 3단으로 회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second rear bracket 200 rotates from the second stage having the rotation angle of 7° to the third stage having the rotation angle of 1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방브라켓(200)이 전방향으로 회전각이 7°인 2단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를 다시 잡고 전방향으로 당기면, 제2 후방브라켓(200)과 힌지축(300)은 전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축(300)의 단부에 삽입 고정된 회전제어부(400) 내부의 회동부재(420)도 전방향으로 회전각이 7°인 2단에서 회전각이 14°인 3단으로 회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 when the user grabs the upp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gain and pulls it forward in the two-stage state where the second rear bracket 200 has a rotation angle of 7°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rear bracket 200 and the hinge shaft 300 are rotated agai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member 420 inside the rotation control unit 400 inserted and fixed at the end of the hinge shaft 300 also has a rotation angle of 7 in the forward direction. It rotates from the 2nd stage with ° to the 3rd stage with a rotation angle of 14°.

즉, 2단에서 회동기어(424)와 래치기어(431)가 맞물린 상태인 회동부재(420)가 회전하면, 회동기어(424)의 회전으로 래치기어(431)가 밀려나게 되므로, 래치부재(430)와 핀부재(440)도 각각 하우징(410)의 가이드레일(413)과 가이드홀(414)을 따라 후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50)는 래치부재(430)의 후퇴 이동으로 압축된다. That is, when the rotation member 420 in which the rotation gear 424 and the latch gear 431 are engaged in the second stage rotates, the latch gear 431 is push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ear 424, so the latch member ( The 430 and the pin member 440 also move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413 and the guide hole 414 of the housing 410 ,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450 is compressed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member 430 .

이후, 회동부재(420)가 3단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면, 탄성부재(450)가 래치부재(430)를 회동부재(420) 쪽으로 가압하여 래치부재(430)와 핀부재(440)는 각각 가이드레일(413)과 가이드홀(414)을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되므로, 래치기어(431)와 회동기어(424)는 다시 맞물리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420)는 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rotation member 420 reaches the third stage and stops, the elastic member 450 presses the latch member 430 toward the rotation member 420 so that the latch member 430 and the pin member 440 are guides, respectively. Since it moves forward along the rail 413 and the guide hole 414 , the latch gear 431 and the rotation gear 424 are meshed again. At this time, the rotating member 42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rear direction.

따라서, 회동부재(420)에 의해 회전각이 14°인 3단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300)과 제2 후방브라켓(200)도 3단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후방브라켓(200)과 연결된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도 제2 후방브라켓(200)의 회전각 만큼 전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rotational member 420 rotates in three stages with a rotation angle of 14°, the hinge shaft 300 and the second rear bracket 200 also rotate in three stages, and the second rear bracket 200 .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connected to the second rear bracket 200 also moves further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rear bracket 200 .

도 9는 제2 후방브라켓(200)이 회전각이 14°인 3단에서 회전각이 0°인 1단으로 복귀 회전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second rear bracket 200 is rotated back from the third stage having a rotation angle of 14° to the first stage having a rotation angle of 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방브라켓(200)이 전방향으로 회전각이 14°인 3단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를 다시 잡고 전방향으로 조금 당기면, 제2 후방브라켓(200)과 힌지축(300)은 전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축(300)의 단부에 삽입 고정된 회전제어부(400) 내부의 스위치부재(460)가 래치부재(430)를 회동부재(420)에서 이격시킴에 따라, 회동부재(420)가 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회동부재(420)는 전방향으로 회전각이 14°인 3단에서 회전각이 0°인 1단으로 회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9 , when the user grabs the upp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gain and pulls it a little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 three-stage state where the second rear bracket 200 has a rotation angle of 14°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rear The bracket 200 and the hinge shaft 300 rotate agai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switch member 460 inside the rotation control unit 400 insert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hinge shaft 300 locks the latch member 430 . As the rotation member 42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ince the rotation member 420 is able to rotate in the rear direction, the rotation member 420 has a rotation angle of 0° in three stages with a rotation angle of 14° in the forward direction. It will rotate in 1st gear.

즉, 3단에서 회동기어(424)와 래치기어(431)가 맞물린 상태인 회동부재(420)가 회전하면, 회동부재(420)의 제1 버튼(422)이 제1 스위치(461)를 밀어 스위치부재(460)가 회전하게되고, 스위치부재(460)의 제2 스위치(462)는 핀부재(440)의 단부를 밀어 핀부재(440)를 후퇴 이동시키므로, 핀부재(440)를 내측에 삽입한 래치부재(430)도 하우징(410)의 가이드레일(413)을 따라 후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50)는 래치부재(420)의 후퇴 이동으로 압축된다. That is, when the rotation member 420 in which the rotation gear 424 and the latch gear 431 are engaged in the third stage rotates, the first button 422 of the rotation member 420 pushes the first switch 461 . The switch member 460 rotates, and the second switch 462 of the switch member 460 pushes the end of the pin member 440 to move the pin member 440 backward, so that the pin member 440 is moved inside. The inserted latch member 430 also moves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413 of the housing 410 .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450 is compressed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latch member 420 .

그리고, 회동부재(420)의 회동기어(424)와 래치부재(430)의 래치기어(431)가 이격됨에 따라, 사용자가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를 잡고 후방향으로 밀면, 회동부재(420)가 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버튼(423)이 제1 스위치(461)를 밀어 스위치부재(460)도 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스위치(46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And, as the rotation gear 424 of the rotation member 420 and the latch gear 431 of the latch member 430 are spaced apart, the user holds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pushes it in the rear direction, the rotation member 420 ) is rotated in the rear direction, the second button 423 pushes the first switch 461 , and the switch member 460 also rotates in the rear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switch 462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이후, 탄성부재(450)가 래치부재(430)를 회동부재(420) 쪽으로 가압하여 래치부재(430)와 핀부재(440)는 각각 가이드레일(413)과 가이드홀(414)을 따라 전진 이동하여 래치기어(431)와 회동기어(424)가 다시 맞물리게 된다. Thereafter, the elastic member 450 presses the latch member 430 toward the rotation member 420 so that the latch member 430 and the pin member 440 move forward along the guide rail 413 and the guide hole 414, respectively. Thus, the latch gear 431 and the rotation gear 424 are meshed again.

따라서, 힌지축(300)과 제2 후방브라켓(200)은 회전각이 0°인 1단으로 복귀되고, 플렉서블 등판(10)의 상부도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Accordingly, the hinge shaft 300 and the second rear bracket 200 are returned to the first stage having a rotation angle of 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also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한편, 플렉서블 등판(10)의 양측 형성된 다수개의 요홈부(11)는 플렉서블 등판(10)을 더욱 유연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makes the flexible back plate 10 more flexible.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실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의 기능 중, 텐션량 조절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mong the functions of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amount of tens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1)의 등판(10) 하부의 텐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텐션부(도 1 및 도 2의 '1000')가 구비된다. A tension unit ('1000' in FIGS. 1 and 2) to adjust the amount of tension on the lower part of the back plate 10 of the chair 1 provided with the back plate with adjustable angle and tension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상기 텐션부(1000)는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측과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을 링크 구조로 연결하도록 조립된다. The tension unit 1000 is assembled to connect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the first rear bracket 100 in a link structure.

상기 텐션부(1000)는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측과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The tension part 100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the first rear bracket 100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A pressing force is provided to move forward.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부(10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브라켓(1100), 코일탄성스프링(1200), 단계조절다이얼(1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tension unit 1000 includes a rotation bracket 1100 , a coil elastic spring 1200 , and a step adjustment dial 1300 .

상기 회동브라켓(1100)은 한 쌍의 회동링크(1100a)와 작동돌기(1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otation bracket 1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rotation links 1100a and an operating protrusion 1130 .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1100a)의 일단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에 구비된 제1 힌지브라켓(1110a)에 제1 힌지축(1110b)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다. One end of the pair of rotation links 1100a is rotatably hinged to a first hinge bracket 1110a provided on the flexible back plate 10 by a first hinge shaft 1110b.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1100a)의 타단은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을 구성하는 설치브라켓(140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된 제2 힌지브라켓(1120a)에 제2 힌지축(1120b)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다.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rotation links 1100a is a second hinge shaft 1120b to a second hinge bracket 1120a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bracket 1400 constituting the first rear bracket 100 . rotatably hinged.

한편,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은 상기 제2 힌지브라켓(1120a)이 일체로 형성된 설치브라켓(1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설치브라켓(1400)은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전면 부분에 일체가 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1400)은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ar bracket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stallation bracket 1400 in which the second hinge bracket 1120a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installation bracket 1400 is the first rear bracket 100 . It can be assembled to be integral with the front part. The installation bracket 14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rear bracket 100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을 구성하는 설치브라켓(1400)의 전면 상부에는 한 쌍의 제2 힌지브라켓(1120a)이 형성되고, 중앙 전면 부분에는 내측 다단 부품(1310)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장착홈(1400h)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400h)의 중심에는 상기 내측 다단 부품(1310)과 외측 손잡이 부품(1330)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도면번호 미표기)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a pair of second hinge brackets 1120a are form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bracket 1400 constituting the first rear bracket 100, and the inner multi-stage part 1310 is rotatable on the central front part. A mounting groove 1400h to be accommodated is formed, and a connection hole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inner multi-stage component 1310 and the outer handle component 13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groove 1400h.

한편, 상기 장착홈(1400h)에 대응하는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대응 부분에는 관통홀(100h)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through hole (100h)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groove (1400h).

상기 작동돌기(1130)는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1100a)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The operation protrusion 1130 is integrally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pair of rotation links 1100a a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rear bracket 100 .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힌지브라켓(1110a)의 높이보다 상기 제2 힌지브라켓(1120a)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동브라켓(1100)이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as the height of the second hinge bracket 1120a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hinge bracket 11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bracket 1100 be installed in an inclined shape. do.

상기 회동브라켓(1100)의 구성에 따르면,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에 대한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간격에 따라 제1 힌지축(1110b) 및 제2 힌지축(1120b)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브라켓(1100)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돌기(1130)가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작동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bracket 1100, as shown in FIGS. 14 to 17,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with respect to the first rear bracket 100, a first hinge shaft 1110b and The rotation bracket 1100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hinge shaft 1120b,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protrusion 1130 is operated to approach or move away from the first rear bracket 100 .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힌지축(1110b) 및 제2 힌지축(11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 코일탄성스프링(1200)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in order to provide an elastic pressing forc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10 moves forward, the first hinge shaft 1110b and the second hinge shaft 1120b) A coil elastic spring 120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hinge shafts.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힌지축(1120b)에 코일탄성스프링(1200)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일탄성스프링(1200)에 의해 상기 회동브라켓(1100)이 탄성적인 회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a coil elastic spring 1200 is provided on the second hinge shaft 1120b, and the rotation bracket 11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rotation force by the coil elastic spring 1200 to receive the flexible back plate. The lower side of (10) provides an elastic pressing force to move forward.

예를 들어, 도 15의 상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되고, 도 15의 하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플렉서블 등판(1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코일탄성스프링(1200)이 압축되면서 플렉서블 등판(10)이 탄성적으로 후방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플렉서블 등판(10)이 사용자의 등부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the upper drawing of FIG. 15 ,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seated in a chair, the state in which the flexible back plate 10 moves forward is maintained, and as shown in the lower view of FIG. 15 , , when the user is seated in a chair and pushes the flexible back plate 10 rearward, the coil elastic spring 1200 is compressed and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elastically moved toward the rear side, and by this elastic force, the flexible back plate (10) can be effectively attached to the user's back.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0)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이 후방으로 밀리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1100)의 작동돌기(1130)에 마주하도록 제1 후방브라켓(100)을 구성하는 설치브라켓(1400)의 장착홈(1400h)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된다. The step adjustment dial 1300 is a component for stepwise controlling the degree to which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pushed backward, and 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inner end of the rotation bracket 1100 is It is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1400h) of the installation bracket (1400) constituting the first rear bracket (100) to face the operation protrusion (1130).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0)은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설치브라켓(1400)에 수용되는 내측 다단 부품(1310)과,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외측에 상기 내측 다단 부품(1310)과 일체로 체결되는 외측 손잡이 부품(1330)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ep adjustment dial 1300 includes an inner multi-stage component 1310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bracket 1400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 and the inner multi-stage on the outside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 It may be divided into an outer handle part 1330 that is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part 1310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다단 부품(1310)의 내측 단부에는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턱부(1310a~1310d)가 원형 배열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다단턱부(1310a~1310d) 중 어느 하나의 턱부가 상기 작동돌기(1130)와 택일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 as multi-stepped portions 1310a to 1310d having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a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at the inner end of the inner multi-stage component 1310, the multi-stepped portion 1310a~ 1310d), any one of the jaws alternatively faces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

상기 외측 손잡이 부품(1330)의 내측면에는 스프링 삽입홈(1330h)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홈(1330h)에는 코일스프링(1330s)이 삽입되며, 상기 코일스프링(1330s)의 외측에는 단계결정볼(1330-1)이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A spring insertion groove 1330h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andle part 1330, a coil spring 1330s is inserted into the spring insertion groove 1330h, and a step determination ball on the outside of the coil spring 1330s. (1330-1) is provided to be supported.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손잡이 부품(1330)의 내측면에 마주하는 상기 제1 후방브라켓(100)의 설치브라켓(1400)의 대응면에는 등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단계결정홈(310)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단계결정홈(310)은 상기 내측 다단 부품(1310)에 형성된 다단턱부(1310a~1310d)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단계결정홈(310)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 a plurality of step determining grooves arranged at an equal angle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installation bracket 1400 of the first rear bracket 100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andle part 1330 . 310 is form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ep-determining grooves 310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multi-stepped portions 1310a to 1310d formed in the inner multi-stage component 1310 . In this embodiment, four step-determining grooves 310 ar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계조절다이얼(13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단계결정볼(1330-1)이 상기 코일스프링(1330s)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계결정홈(310)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상기 외측 손잡이 부품(1330)의 회전이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단계결정볼(1330-1)과 코일스프링(1330s)에 의해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0)이 90도 간격으로 단계조절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tep adjustment dial 1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ep determination ball 1330-1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ep determination grooves 310 by the coil spring 1330s and is positioned. Accordingly, the rotation of the outer handle part 1330 can be adjusted in stages. That is, the step adjustment dial 1300 may be step-adjust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by the step determination ball 1330-1 and the coil spring 1330s.

한편, 상기 단계조절다이얼(1300)의 회전에 따른 작동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ep adjustment dial 1300 is as follows.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턱부(1310a)가 상기 작동돌기(1130)에 마주하도록 1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플렉서블 등판(10)을 후방으로 밀더라도 상기 회동브라켓(110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0)의 단부가 상기 1단 턱부(1310a)에 닿아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고정상태가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4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stage jaw portion 1310a is adjusted to face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the user sits in a chair and pushes the flexible back plate 10 backward even if the Since the end of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formed on the rotation bracket 11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stage jaw part 1310a,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in a fixed state that cannot move backward.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턱부(1310b)가 상기 작동돌기(1130)에 마주하도록 2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플렉서블 등판(1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동브라켓(110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0)의 단부가 상기 2단 턱부(1310b)에 닿기 전까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1단 턱부(1310a)와 2단 턱부(1310b)의 단차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15 , in a state in which the two-stage jaw portion 1310b is adjusted to face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in two stages, the user sits in a chair and pushes the flexible back plate 10 backward. , until the end of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formed on the rotation bracket 1100 touches the second-stage jaw part 1310b,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move backward, and the first-stage jaw part 1310a and It is possible to move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the two-stage jaw portion 1310b.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 턱부(1310c)가 상기 작동돌기(1130)에 마주하도록 3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플렉서블 등판(1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동브라켓(110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0)의 단부가 상기 3단 턱부(1310c)에 닿기 전까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1단 턱부(1310a)와 3단 턱부(1310c)의 단차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16 , in a state in which the three-stage chin portion 1310c is adjusted in three stages to face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 the user sits in a chair and pushes the flexible back plate 10 backward. , until the end of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formed on the rotation bracket 1100 touches the three-stage jaw part 1310c,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move backward, and the first-stage jaw part 1310a and It is possible to move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the three-step chin portion 1310c.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단 턱부(1310d)가 상기 작동돌기(1130)에 마주하도록 4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플렉서블 등판(10)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회동브라켓(1100)에 형성된 작동돌기(1130)의 단부가 상기 4단 턱부(1310d)에 닿기 전까지 상기 플렉서블 등판(1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1단 턱부(1310a)와 4단 턱부(1310d)의 단차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17 , in a state in which the four-stage chin portion 1310d is adjusted in four stages to face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the user sits in a chair and pushes the flexible back plate 10 backward. , until the end of the actuating protrusion 1130 formed on the rotation bracket 1100 touches the four-stage jaw part 1310d, the flexible back plate 10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move backward, and the first-stage jaw part 1310a and It is possible to move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the four-step chin portion 1310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rom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modifications.

1: 의자 11: 요홈부
12: 결합홈 10:등판
20:좌판 30: 헤드레스트
40: 요추받침대 100: 제1 후방브라켓
110: 제1 힌지편 200: 제2 후방브라켓
210: 제2 힌지편 220: 결합돌기
300: 힌지축 400: 회전제어부
410: 하우징 411: 관통홀
412: 보스부 413: 가이드레일
414: 가이드홈 415: 지지홈
420: 회동부재 421: 고정홀
422: 제1 버튼 423: 제2 버튼
424: 회동기어 430: 래치부재
431: 래치기어 432: 핀홀
433: 안착홈 440: 핀부재
450: 탄성부재 460: 스위치부재
461: 제1 스위치 462: 제2 스위치
1000: 텐션부 1100: 회동브라켓
1110a: 제1 힌지브라켓 1110b: 제1 힌지축
1120a: 제2 힌지브라켓 1120b: 제2 힌지축
1130: 작동돌기 1140: 스토퍼 돌기
1200: 코일탄성스프링 1300: 단계조절다이얼
1310: 내측 다단 부품 1310a~1310d: 다단턱부
1330: 외측 손잡이 부품 1330-1: 단계결정볼
1330h: 스프링 삽입홈 1330s: 코일스프링
1: Chair 11: Groove
12: coupling groove 10: back plate
20: seat 30: headrest
40: lumbar support 100: first rear bracket
110: first hinge piece 200: second rear bracket
210: second hinge piece 220: engaging projection
300: hinge shaft 400: rotation control unit
410: housing 411: through hole
412: boss unit 413: guide rail
414: guide groove 415: support groove
420: rotating member 421: fixing hole
422: first button 423: second button
424: rotation gear 430: latch member
431: latch gear 432: pinhole
433: seating groove 440: pin member
450: elastic member 460: switch member
461: first switch 462: second switch
1000: tension unit 1100: rotation bracket
1110a: first hinge bracket 1110b: first hinge shaft
1120a: second hinge bracket 1120b: second hinge shaft
1130: operation projection 1140: stopper projection
1200: coil elastic spring 1300: step adjustment dial
1310: inner multi-stage component 1310a to 1310d: multi-step portion
1330: outer handle part 1330-1: step determination ball
1330h: spring insertion groove 1330s: coil spring

Claims (12)

플렉서블 등판의 하부에 전면 내측이 연결되고 하단이 좌판에 고정되며 상단에는 제1 힌지편을 형성하는 제1 후방브라켓과,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상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1 힌지편에 대응 연결되는 제2 힌지편을 형성하여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상부가 의자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후방브라켓의 상부에서 의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후방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방브라켓; 및
상기 등판의 하측과 상기 후방브라켓에 각각 힌지연결되고,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동브라켓; 상기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는 코일탄성스프링; 및 내측 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의 작동돌기에 마주하도록 상기 후방브라켓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내측 단부에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턱부가 원형 배열로 형성된 단계조절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하측에서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힌지편을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제2 힌지편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2 후방브라켓과 함께 회전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과 축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편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되되, 상기 제2 후방브라켓이 설정회전범위 내에서는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제2 후방브라켓이 설정회전범위를 넘어 회전하면 의자 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제1 힌지편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하도록 수용되고 내측 중앙이 상기 힌지축 단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과 함께 의자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동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수용되어 상부가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의자 전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내측에 안쪽이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핀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후방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회동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치부재의 양편에 대응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수용되고 상단이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핀부재의 단부에 안착하도록 형성되어 상단이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단이 핀부재를 밀어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회동부재에서 후퇴시켜 이격되게 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The front inner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eat plate, the first rear bracket forming a first hinge piece at the upper en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and the lower end corresponds to the first hinge piece a rear bracket comprising a second rear bracket rot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racket to form a second hinge piece connected thereto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back plate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and
a rotation bracket hinged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and the rear bracket, respectively, and comprising an opera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bracket; a coil elastic spring providing an elastic pressing forc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moves forward; and a step control dial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bracket so that the inner end faces the actuating protrusion of the rotation bracket, and multi-stepped portions having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a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on the inner end portion. A tension part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moves fo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back plate;
a hinge shaft passing through the first hinge piece and having both end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second hinge piec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ear bracket; and
When the hinge shaft and the shaf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iece, the second rear bracket rotates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within the set rotation range, and the second rear bracket rotates beyond the set rotation rang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otation control unit for returning by rotating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chair,
The rotation control unit,
a housing formed to be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inge piece;
a rotat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rotate and having an inner center insert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hinge shaft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ir together with the hinge shaft;
a latch memb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be slidably moved so that the upper part is engag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member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only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a pin member inserted inside the latch member and having both ends formed to slide inside the housing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latch member;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latch member and the other end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to press the latch member toward the rotation member;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latch member a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rotate,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end of the pin member.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부 상부쪽에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스위치부재가 회전하도록 삽입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내부 하부쪽에 상기 래치부재의 하부가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안착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핀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hinge shaf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part,
A boss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side to protrude around the through hole and inserted to rotate the switch member,
A guide rail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 member slides on the inner lower side, a guide hole through which an end of the pin member is inserted and guided, and a support groov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are formed, respectively. A chair equipped with a backrest with adjustable angle and ten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내측 중앙에 상기 힌지축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양측으로 각각 상기 스위치부재의 상단을 밀어 상기 스위치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래치부재의 상부에 맞물리는 회동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member is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hinge shaft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A first button and a second button for rotating the switch member by pushing the upper end of the switch member on both sides on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re formed,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 gear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member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는,
상부에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에 맞물리는 래치기어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는 핀홀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member is
A latch gear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It is formed so that a pin hole into which the pin member is inserted is penetrated therein;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n amount of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is formed at the r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1 스위치가 형성되고,
하단에 돌출되어 상기 핀부재의 단부를 밀기 위한 제2 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 member,
A first switch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is formed,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a tension amount,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witch for pushing the end of the pin member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회전범위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재 사이에 각도로서,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이 0°이면 1단이고,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이 0°보다 큰 α°이면 2단이고, 의자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각이 α°보다 큰 β°이면 3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set rotation range is an angle between the rotation member and the switch member, and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is 0°, it is one stag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chair is If α° greater than 0°, it is two stages, and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member rotat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hair is β° greater than α°, it has three stages. old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등판의 상부 및 제2 후방브라켓의 상단 연결은 상기 등판의 상부에 내측이 오목하게 파인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후방브라켓의 상단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nn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flexible back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bracket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and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ar bracket.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that can adjust the angle and ten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등판에 구비된 제1 힌지브라켓에 제1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브라켓에 구비된 제2 힌지브라켓에 제2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된 한 쌍의 회동링크; 및
상기 한 쌍의 회동링크 사이를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후방브라켓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브라켓에 대한 상기 등판의 간격에 따라 제1 힌지축 및 제2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bracket is
A pair of which one end is rotatably hinged to a first hinge bracket provided on the back plate by a first hinge shaft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hinged to a second hinge bracket provided in the rear bracket by a second hinge shaft of the revolving link; and
Is integrally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links,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work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rear bracket,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with adjustable angle and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otate based on a first hinge axis and a second hinge axis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back plate with respect to the rear brack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탄성스프링은,
제1 힌지축 및 제2 힌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힌지축에 축삽입되고, 상기 회동브라켓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등판의 하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il elastic spring,
An ang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hinge shaft and the second hinge shaft,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pressing forc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moves forward as the rotation bracket is rotated. A chair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nd adjustable tens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조절다이얼은,
내측 단부가 상기 회동브라켓의 작동돌기에 마주하도록 상기 후방브라켓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내측 단부에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른 다단턱부가 원형 배열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다단턱부 중 어느 하나의 턱부가 상기 작동돌기와 택일적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와 텐션량의 조절이 가능한 등판이 구비된 의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adjustment dial,
The inner end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bracket to face the actuating protrusion of the rotation bracket, and as multi-stepped portions having different protruding heights are formed in a circular arrangement at the inner end, the multi-stepped por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otation angle A chair provided with a back plate with adjustable angle and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jaws is configured to alternatively face the actuating protrusion.
KR1020210094754A 2021-07-20 2021-07-20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KR102331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754A KR102331113B1 (en) 2021-07-20 2021-07-20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754A KR102331113B1 (en) 2021-07-20 2021-07-20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113B1 true KR102331113B1 (en) 2021-12-01

Family

ID=7889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754A KR102331113B1 (en) 2021-07-20 2021-07-20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1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194B1 (en) *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581250B1 (en) * 2023-06-28 2023-09-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Office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51B1 (en)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Assembly of chair seat
KR20090002112U (en)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바우코리아 The chair which has a waist motor function
KR101917582B1 (en) * 2018-08-17 2018-11-09 주식회사 대하정공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with tension
KR102273376B1 (en) * 2021-01-11 2021-07-07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Chair with a backrest with forward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112U (en)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바우코리아 The chair which has a waist motor function
KR100791451B1 (en)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Assembly of chair seat
KR101917582B1 (en) * 2018-08-17 2018-11-09 주식회사 대하정공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with tension
KR102273376B1 (en) * 2021-01-11 2021-07-07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Chair with a backrest with forward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194B1 (en) *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Backrest body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of three-dimensional elastic structure
KR102581250B1 (en) * 2023-06-28 2023-09-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Office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113B1 (en) A chair equipped with a back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amount of tension
US5601337A (en) Chair
KR100767959B1 (en) Chair
EP2679116B1 (en) A chair
KR101398686B1 (en) Tilting type chair
KR101980566B1 (en)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with flexible
JP6244364B2 (en) Chair arm assembly
US8528973B2 (en)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a restoring force that acts on a backrest of a chair, and office chair with such an adjusting mechanism
CA2489995A1 (en) Support for tilting or synchronized chairs
US20160174720A1 (en) Mechanism to adjust the recline tension for a backrest of a task chair and a task chair with such kind of mechanism
JP2001029162A (en) Chair with synchronously inclining seat and backrest
KR101917582B1 (en)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with tension
CA1304668C (en) Locking mechanism for a foldable piece of seating furniture
KR101691858B1 (en) Chair assembly
KR102292332B1 (en) Chair with a backrest with forward function
US7431397B2 (en) Chair
KR102161119B1 (en) Lumber support device for chairs
JP3585013B2 (en) Support structure for backrest in chair
KR20190079955A (en) The slide structure of the seat for the chair
KR101902770B1 (en)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KR102364369B1 (en)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elasticity
JP5771383B2 (en) Rocking chair
KR102074267B1 (en) A chair with a back plate that closely contacts the user's back
EP3167762B1 (en) Movement mechanism for moving parts of a reclining sofa or chair
KR102581250B1 (en) Offic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