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664B1 -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 - Google Patents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664B1
KR102330664B1 KR1020130108443A KR20130108443A KR102330664B1 KR 102330664 B1 KR102330664 B1 KR 102330664B1 KR 1020130108443 A KR1020130108443 A KR 1020130108443A KR 20130108443 A KR20130108443 A KR 20130108443A KR 102330664 B1 KR102330664 B1 KR 10233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ignal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biosignal
diagnosis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350A (ko
Inventor
김태영
진길주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6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및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상체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시스템은 대상체의 출산과 관련된 감지 신호를 수집하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method for diagnosis of an object, system for diagnosis of an object, portable apparatus for diagnosis of an object and bio-patch}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대상체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한 바이오 패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 신호란, 살아있는 세포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생물학적 신호를 의미한다. 인체 내부의 세포는 활동하면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다른 세포로 전달하거나 또는 소정의 인체 자기장을 인체에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적 신호 또는 자계 등이 모두 생체 신호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생체 신호로는 예를 들어 생체 전기 신호, 생체 임피던스, 생체 음향 신호, 생체 자기 신호, 생체 역학 신호, 생화학신호 또는 생체광학신호 등이 있을 수 있다.
생체 전기 신호는 인체 내부의 미세한 세포 사이에 흐르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신호는 수 uV 정도로 미세할 수도 있고, 수 mV 정도로 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생체 전기 신호로는 심전도 신호, 근전도 신호 또는 뇌전도 신호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생체 자기 신호는 인체에 형성된 인체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생체 음향 신호는 심장 박동 소리와 같이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의미하고, 생체 역학 신호는 인체의 동작 등에 의한 신호를 의미한다. 생화학신호는 화학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고, 생체 광학 신호는 빛의 투과 또는 산란 정도를 기초로 수집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환자나 임부 등과 같은 대상체를 가정 등의 한정된 장소에서도 편리하고 용이하게 진단 및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가 제공된다.
대상체 진단 시스템은, 대상체로부터 출산과 관련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신호는,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대상체의 뇌전도 신호, 임부의 자궁 수축 정도, 태아의 운동량, 태아의 심장 박동수 및 인체 자기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대상체로부터 출산과 관련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이 마련된 바이오 패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가 부착된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및 뇌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감지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자궁 수축을 감지하여 상기 자궁 수축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자궁 수축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대상체의 뇌를 스캔하여 뇌 스캔 정보를 생성하는 뇌 스캐너 및 상기 뇌 스캔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대상체 중 인체의 두부에 장착 가능되어 대상체의 뇌를 스캔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기 감지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 여부의 결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진단 결과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스마트폰, 태블릿피씨(tablet PC),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휴대용 컴퓨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가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는, 임부의 출산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대상체 진단 시스템은,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진단용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표시 가능한 제2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로 더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출산과 관련된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진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 신호는,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대상체의 뇌전도 신호, 임부의 자궁 수축 정도, 태아의 운동량 및 태아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대상체에 대한 생체 신호를 수집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이 마련된 바이오 패치일 수도 있고,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대상체의 뇌를 스캔하여 뇌 스캔 정보를 생성하는 뇌 스캐너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기 감지 신호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상체 진단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출산과 관련된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생체 신호 수집 단계, 상기 수집한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생체 신호는,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대상체의 뇌전도 신호, 임부의 자궁 수축 정도, 태아의 운동량, 태아의 심장 박동수 및 인체 자기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 신호 수집 단계는, 대상체의 통증을 감지하고 상기 통증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자궁 수축을 감지하여 상기 자궁 수축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대상체의 뇌를 스캔하여 뇌 스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인체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인체의 자기장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폰,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피디에이 및 휴대용 컴퓨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송 단계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3 전송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대상체 진단 방법은,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기 감지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 여부의 결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여부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 진단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제1 진단 결과 연산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대상체 진단 방법은,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는 제2 진단 결과 연산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대상체 진단 방법은,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결과를 입력받는 진단 결과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대상체 진단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이오 패치는, 대상체에 부착되는 부착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출산과 관련된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에 의하면, 환자나 임부를 진단하는 의사 등과 같은 진단자가 환자나 임부 등과 같은 대상체를 가정 등의 한정된 장소에서도 편리하고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에 의하면, 환자나 임부를 진단하는 의사 등과 같은 진단자가 실시간으로 환자나 임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진단 결과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에 의하면, 환자나 임부는 병원이 아닌 가정과 같은 개인 공간에서도 자신의 몸 상태 또는 출산 임박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환자나 임부의 불편함이 개선되고, 병원 방문 및 진료 등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도 있게 된다.
도 1은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 및 휴대용 단말 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감지 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9는 정보처리장치 및 진단자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진단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진단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 휴대용 단말기(200) 및 정보 처리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대상체(101)에 대한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대상체(101)로부터 수집된 생체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 즉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에 의해 생체 신호가 감지되는 대상체(101)는, 인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여타의 다른 동식물 역시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가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대상체(101)일 수 있다. 아울러 대상체(101)는 임부일 수도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체(101)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체(101)의 통증을 감지하고, 통증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통증 감지 센서일 수도 있고, 임부의 자궁 수축을 감지하여 자궁 수축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자궁 수축 감지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태아의 움직임 등에 대한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태아 감지 센서일 수도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에 의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는, 인체로부터 감지 및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생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생체 신호는, 심박동과 관련된 에너지에 대한 심전도 신호(EKG, electrocardiogram)일 수도 있고, 대뇌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변화에 대한 뇌전도 신호(EEG, electroencephalogram)일 수도 있다. 또한 생체 신호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인체 자기장일 수도 있다. 이는 대상체(101)가 임부가 아니라 임신한 동물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 따라 대상체(101) 내부에서 유도 가능한 여타 다양한 신호, 예를 들어 자기 공명 신호 등도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가 수집하는 생체 신호일 수 있다.
생체 신호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산과 관련된 생체 신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는 자궁 수축과 관련된 생체 신호일 수도 있고, 진통과 관련된 생체 신호일 수 있다. 진통은 산모가 출산하거나 또는 출산이 임박한 경우에 느끼게 되는 통증으로, 자궁 경부 등의 수축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생체 신호는 태아의 운동량이나 태아의 심장 박동수일 수도 있다. 이외에 심전도 신호, 뇌전도 신호, 인체 자기장 모두 출산과 관련된 생체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진통이나 자궁 수축과 같은 출산과 관련된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한 출산에 관련된 생체 신호에 따라서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다양한 생체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신호만을 감지하여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복수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복수의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복수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대상체(101)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생체 신호를 수집하기 위하여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초음파, 방사선, 방사선 추적자 또는 자기 공명 신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인체 등 대상체(101)에 부착될 수 있는 바이오 패치일 수도 있고, 인체 등의 대상체(101)가 착용할 수 있는 의복과 같은 바이오 셔츠일 수도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대상체(101)가 머리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모자 형상의 장치일 수도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생성한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GSM나 3GPP 계열, 3GPP2 계열, 와이브로 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의 각종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정보처리장치(300)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 또는 정보처리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진단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고, 양자를 모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200)는, 감지 신호나 진단 결과를 변형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정보처리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와이파이, 블루투스™, 엔에프씨 또는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고, GSM나 3GPP 계열, 3GPP2 계열, 와이브로 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의 각종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단 시스템을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기기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종래의 휴대용 기기로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이나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이 이용될 수도 있고, 태블릿 피씨(tablet PC)나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또는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조건에 따라서 상술한 기능을 수행 가능한 소정의 프로세서 및 통신 모듈이 마련된 다양한 전자 장치 역시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200)의 일례로 이용될 수 도 있다.
정보처리장치(300)는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정보처리장치(300)는 진달 결과를 감지 신호를 전달한 휴대용 단말기(200)와 상이한 다른 단말기(201)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자(401)의 단말기(40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고, 진단자(401)의 단말기(400)로부터 진단 결과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 및 휴대용 단말 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 즉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센서(102)와, 감지 센서(102)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제1 통신 모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의 감지 센서(102)는, 심전도 신호나 뇌 전도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 센서(102)는, 통증에 따라 인체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센서(102)는, 심전도 신호나 뇌 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통증을 감지하도록 하는 통증 감지 센서일 수 있다. 통증 감지 센서는 대상체(101)의 통증을 감지하고, 감지된 통증에 따라서 소정의 감지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증 감지 센서는 감지된 통증의 정도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 센서(102)는, 대상체(101)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대상체(101)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신하고 전기적 신호, 즉 감지 신호로 출력하는 방사선 검출 패널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 센서(102)는, 일례로, 대상체(101)에 미리 투여된 방사선 추적자(radiotracer)에 의해 발생되는 방사선, 일례로 감마선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방사선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일례로 방사선 조사부에 의해 대상체(101)로 조사된 방사선을 수광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감지 센서(102)로 이용되는 방사선 검출 패널은 직접 방사선을 수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직접 방식을 이용하는 방사선 검출 패널일 수도 있고, 방사선을 가시 광선으로 변환한 후 가시 광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방식을 이용하는 방사선 검출 패널일 수도 있다. 또한 방사선 검출 패널은 포톤 카운팅디텍터(PCD, photon counting detector)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 센서(102)는, 대상체(101)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기 공명 신호를 감지하는 무선 주파수 코일(RF coil, radio frequency coil)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 센서(102)는 대상체(101) 내부에 자기 공명 신호를 유도하기 위하여 별도의 대상체(101)에 정자장(static magnetic field)을 형성하는 정자장 코일 및 경사자장을 형성하는 경사자장 코일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자장 코일은 대상체(101), 일례로 인체 내에 분포해 있는 원소 중 자기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원소, 예를 들어 수소(H), 인(P), 나트륨(Na)이나 각종 탄소동위원소(C) 등의 원소의 원자핵을 자화시켜 원자핵의 스핀이 세차 운동을 하게 하고, 경사 코일은 자화 벡터의 회전 주파수나 위상을 공간적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주파수 코일은 정자장에 의해 생성된 자화 벡터를 횡 평면상에서 평면과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라머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파를 대상체(ob) 내부의 수소 등의 원자의 원자핵에 인가하여 자기 공명 신호를 유도시킨다. 그러면 무선 주파수 코일에는 유도된 자기 공명 신호에 따라서 프리 인덕션 디케이(FID, free induction decay) 신호가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주파수 코일인 감지 센서(102)는 자기 공명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감지 센서(102)인 무선 주파수 코일은, 오직 자기 공명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수신 전용 코일일 수도 있고, 전자파의 인가 및 자기 공명 신호의 수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 전용 코일일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 센서(102)는, 초음파를 수신한 후 수신한 초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transducer, 114a)일 수도 있다. 도 3은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초음파 조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지 센서(102)가 초음파 트랜스듀서(114a)인 경우,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체(101)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감지 센서(102)로 이용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14a) 또는 별도의 초음파 송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생성한 후, 대상체(101) 내부의 특정 부위에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대상체(101) 내부의 특정 부위에서 조사된 초음파가 반사된다. 특정 부위에서 반사된 에코 초음파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14a)에 도달하고, 초음파 트랜스듀서(114a)는 에코 초음파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초음파 트랜스듀서(114a)는 레이저 등에 의해 대상체(101) 내부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한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수신하고, 대상체(101) 내부에서 발생한 초음파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 즉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감지 센서(102)가 방사선, 자기 공명 신호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감지 센서(102)는 뇌를 스캔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뇌 스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의 제1 통신 모듈(103)은,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 센서(120)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외부의 휴대용 단말 장치(200)의 제2 통신 모듈(2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03)은 유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감지 신호를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선 통신 기술 또는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1 통신 모듈(103)은 실시예에 따라서 증폭기(amplifier), 변조기(modulator), 복조기(demodulator)나 안테나(antenna)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03)은 소정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03)이 이용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 칩이 제1 통신 모듈(103)의 구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5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인체 등의 대상체(101)에 부착될 수 있는 바이오 패치(1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오 패치(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 제1 제1 인쇄 회로 기판(113), 감지 센서(114), 제2 하우징(115) 및 패치부(116, 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5)은, 제1 인쇄 회로 기판(113), 감지 센서(114) 및 패치부(116, 117) 등을 수납 및 내장하며, 제1 인쇄 회로 기판(113), 감지 센서(114) 및 패치부(116, 117) 등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하우징(111) 또는 제2 하우징(115)에는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기호나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바이오 패치(110)의 동작 여부나 바이오 패치에 의해 검출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 또는 제2 하우징(115)은 실시예에 따라서 감지 센서(114)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113)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칩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microprocessor chip)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113)의 통신 칩은 상술한 제1 통신 모듈(10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인쇄 회로 기판(113)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은 감지 센서(114)에 의해 수집된 감지 신호를 증폭하거나 변조, 복조할 수도 있고,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별도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은 바이오 패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은 디스플레이부(1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 센서(114)는 상술한 감지 센서(10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 센서(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심전도 신호, 뇌전도 신호, 에너지장의 변화, 방사선, 자기 공명 신호 및 초음파와 같은 다양한 생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114)는 설계에 따라서 오직 하나의 생체 신호만을 감지할 수도 있고, 복수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 센서(114)는 감지된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센서(114)는, 제1 인쇄 회로 기판(113)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출력한 감지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패치부(116, 117)는 바이오 패치(110)가 대상체(101)의 소정의 부위,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패치부(116, 117)는 얇은 판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판의 두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패치부(116, 117)의 얇은 판은 합성 수지나 합성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패치부(116, 117)의 얇은 판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패치부(116, 1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5) 중 어느 하나에 부착 설치되어 하우징(111, 115)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패치부(116, 117)의 접촉만으로도 감지 센서(114) 등이 인체에 밀착 또는 근접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감지 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102 또는 114)에 따라서 소정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체 신호 수집 장치(110)의 감지 센서(102 또는 114)는, 소정의 시간 주기마다 생체 신호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102 또는 114)는 매초 또는 매분마다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매시간마다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만약 짧은 시간마다 감지 센서(102 또는 114)가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면, 감지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곡선의 그래프로 도시될 수도 있다. 도 6의 그래프에서 x축은 경과되는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감지 센서(102 또는 114)에 의해 측정된 생체 신호의 측정값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감지 신호에 대한 곡선은, 소정의 주기에 의해 소정의 패턴이 반복되는 부분(도 5의 a, 이하 a 부분)과, 종래와는 상이한 패턴이 반복되거나 또는 특정 패턴이 부재한 부분(도 5의 b, 이하 b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a 부분은 일상적인 상태인 경우를 의미하고, b 부분은 통증이 발생하거나 또는 통증의 발생한 징후가 도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 정보처리장치(300) 또는 진단자(401)는 이와 같이 비일상적인 부분(b 부분)을 기초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생체 신호 수집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인체의 두부 등에 착용 가능한 모자 형태로 형성된 뇌 스캔 장치(120)일 수 있다. 이 경우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는 구체적으로 뇌를 스캔하는 뇌 스캐너(121) 및 뇌 스캐너(121)가 부착 및 고정되고 인체의 두부 등에 안착 가능한 착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뇌 스캐너(121)는 상술한 감지 센서(102)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뇌 스캐너(121)는 대상체의 뇌를 스캔하여 뇌 스캔 정보, 즉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대상체(101)가 인체의 경우, 인체의 특정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면 뇌혈관을 통해 유동하는 혈류량 등이 변화하여 뇌가 일상적인 경우와 상이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뇌 스캔을 통하여 뇌의 활성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면 인체의 통증의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뇌 스캐너(121)는 이와 같이 인체의 통증의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뇌를 스캔하여 뇌의 활성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뇌 스캐너(121)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뇌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뇌 스캐너(121)는, 방사선을 뇌에 조사하고 뇌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신함으로써 뇌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뇌 스캐너(121)는, 인체 등의 대상체(101)에 미리 투여된 방사선 추적자를 추적함으로써 뇌를 스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뇌 스캐너(121)는, 외부의 자기장 및 고주파 신호에 따라서 대상체(101) 내부에 자기 공명 신호를 유도한 후, 자기 공명 신호를 검출하여 뇌 스캔을 수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뇌 스캐너(121)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뇌 스캔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뇌 스캐너(121)는 두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감지하고 감지한 뇌파를 이용하여 뇌 스캔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착용부(122)는 인체의 두부에 씌울 수 있도록 내측에 두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뇌 스캔 장치(120)의 착용에 따라 인체의 두부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뇌 스캔 장치(120)는, 대상체(101)의 통증, 예를 들어 진통에 따라 소정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술한 제1 통신 모듈(103)을 통해 휴대용 단말 장치(20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감지 신호는, 뇌에 대한 소정의 영상 데이터의 형식으로 표현 및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0), 제1 제어부(220) 및 제2 통신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10)는 소정의 정보나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소정의 정보나 데이터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에 의해 수집된 감지 신호일 수도 있고, 정보처리장치(300)에서 전달된 진단 결과일 수도 있다. 또한 감지 신호나 진단 결과에 따라 부가되는 각종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진단 결과가 임부의 출산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부가되는 각종 다양한 정보는, 병원이나 담당의 연락처, 출산 예정 일자 또는 시간, 필요한 준비물 또는 출산 시 주의할 점과 같이 임부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2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2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내용 등을 제어하거나, 제2 통신 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알람(alarm)을 위한 사운드 출력이나 휴대용 단말 장치(200)의 진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2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가 진단 결과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단말 장치(200)가 진단 결과의 수신 여부를 알리기 위한 사운드 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제어부(220)는, 제2 통신 모듈(230)이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정보처리장치(300)에 수신한 감지 신호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20)는 감지 신호를 분석하고, 감지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감지 신호의 패턴이 소정의 패턴에 해당하거나 소정의 패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제어부(220)는 감지 신호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 장치(200) 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마련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어부(220)가 감지 신호의 전송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평상시에는 대상체(102)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특별한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300)에 전송하기 때문에, 정보처리장치(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절감하거나, 진단자(401)가 효율적으로 대상체(102)를 진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20)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직접 연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곡선이 소정의 패턴을 이루다가,(a 부분) 만약 종래와는 상이한 패턴이 반복되거나, 예정되지 않은 패턴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어떠한 패턴도 반복되지 않는 경우(b 부분)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생체 신호 곡선에 상응하는 진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220)는, 생체 신호가 자궁 수축에 관한 것인 경우, 자궁 수축의 패턴에 따라서 출산 임박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30)은,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 또는 정보처리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30)은 상술한 다양한 유선 통신 기술 또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통신 모듈(230)은,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모듈(230)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서 수신한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통신 모듈(230)에 의한 감지 신호의 자동 또는 수동 전송은 상술한 제1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제2 통신 모듈(230)은 실시예에 따라서 증폭기, 변조기, 복조기나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30)은 소정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용되는 통신 기술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 칩이 제1 통신 모듈(103)의 구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는, 제3 하우징(240), 제3 하우징(240)과 결합되는 제2 인쇄 회로 기판(221) 및 제4 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240) 및 제4 하우징(241)은, 제2 인쇄 회로 기판(221)이나 디스플레이 패널(211) 또는 배터리(미도시)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각종 부품을 수납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하우징(240) 및 제4 하우징(241) 중 어느 하나에는 표시부(210)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1)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210)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1)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 일반적으로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11)은, 패널 상 특정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도 있다.
제3 하우징(240) 및 제4 하우징(241)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사운드 출력 수단(212)이나,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물리 버튼(213) 등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1)는 제2 인쇄 회로 기판(221)에 설치된 반도체 칩 등으로 구현 가능한 중앙 처리 장치(222)나 그래픽 처리 장치(223) 등의 제어에 따라서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에 의해 수집된 감지 신호, 정보처리장치(300)에서 전달된 진단 결과 또는 감지 신호나 진단 결과에 따라 부가되는 각종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산모 일기 등 역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인쇄 회로 기판(221)에는 각종 반도체 칩과 배선층 등이 설치 및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쇄 회로 기판(221)에는 휴대용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 칩(CPU chip, 222), 제2 통신 모듈(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칩(231) 또는 영상 처리를 주로 수행하는 그래픽 처리 장치 칩(GPU chip, 223)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처리 장치 칩(223)은 실시예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장치 칩(222)이 그래픽 처리 장치 칩(223)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그래픽 처리 장치 칩(223)이 설치된 경우에도 중앙처리장치 칩(222)이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정보처리장치 및 진단자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정보처리장치 및 진단자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정보처리장치(30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하거나 또는 진단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처리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통신 모듈(310) 및 제2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모듈(310)은, 소정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장치, 일례로 휴대용 단말 장치(200) 및 진단자 단말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300)는 제3 통신 모듈(310)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부터 대상체(101)의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1) 진단자 단말기(400)로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2) 이 경우 정보처리장치(300)는 진단자 단말기(400)로부터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결과를 전달받고,(3) 전달받은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4)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신호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 장치(200)와는 다른 별도의 단말장치(201)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정보처리장치9300)가 휴대용 단말 장치(200) 외의 별도의 단말 장치(201)로 진단 결과를 전달함으로써, 대상체(101), 예를 들어 임부나 환자 외에 임부나 환자의 보호자 등에게도 진단 결과를 알려 줄 수 있게 된다.
제2 제어부(32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신호 곡선이 종래와는 상이한 패턴이 반복되거나, 예정되지 않은 패턴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어떠한 패턴도 반복되지 않는 경우(b 부분)에는, 제2 제어부(320)는 정보처리장치(300) 또는 정보처리장치(300)와 연결된 별도의 컴퓨터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등을 참조하여,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진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제1 제어부(220)를 통해 설명한 진단 결과 연산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처리장치(300)는 서버(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진단자 단말기(400)는, 정보처리장치(30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2)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3)
구체적으로 진단자 단말기(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통신 모듈(410), 제3 제어부(420) 및 입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통신 모듈(410)은 소정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 일례로 정보처리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통신 모듈(410)은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진단 결과를 정보처리장치(300) 등에 송신할 수 있다.
제3 제어부(420)는 진단자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제어부(420)는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직접 연산할 수도 있다. 제3 제어부(420)에 의한 진단 결과의 연산 과정은 제1 제어부(220) 및 제2 제어부(320)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진단자 단말기(400)는 제3 제어부(420)에 의해 가공되거나 또는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 정보처리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402)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430)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30)는 진단자(401)로부터 진단자(401)가 감지 신호를 기초로 판단한 진단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진단자(401)가 입력한 진단 결과는 상술한 제4 통신 모듈(410)을 통해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정보처리장치(300)는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 장치(200, 21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진단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가 대상체(101)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생체 신호는, 대상체(101)의 심전도 신호, 대상체(101)의 뇌전도 신호, 임부의 자궁 수축 정도, 태아의 운동량, 태아의 심장 박동수 및 인체 자기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체 신호의 감지를 통해서 대상체(101)의 통증, 예를 들어 진통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생성된 감지 신호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s511)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다시 서버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s512)
정보처리장치(30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다시 진단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진단자(401)는 디스플레이 장치(402) 등에 표시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체(101)를 진단한 후, 진단 결과를 진단자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s514) 입력된 진단 결과는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s515)
정보처리장치(300)는 진단자 단말기(400)로부터 전달 받은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516)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정보처리장치(300)로부터 전달 받은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517) 이 경우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전달 받은 진단 결과를 가공하거나 또는 가공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진단 결과에 부가적인 각종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진단 결과가 정보처리장치(300)로부터 전달된 경우 사운드 등을 통해 전달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도 11은 진단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먼저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가 대상체(101)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s520) 생성된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s521)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522)
정보처리장치(30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s523) 정보처리장치(30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등을 열람하여 감지 신호의 종류, 크기나 패턴 등에 대응되는 진단 결과를 검출하여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정보처리장치(300)는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생성한 진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524)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정보처리장치(300)로부터 전달 받은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s525)
도 12는 진단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진단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가 대상체(101)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s530) 생성된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s531)
감지 신호가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전달되면,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32)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감지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 감지 신호의 패턴이 일반적인 경우와 상이한지 여부 등을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판단 결과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달할 상황인 경우, 예를 들어 임부의 진통이 출산이 곧 예견되거나 또는 임박한 상황인 경우,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533)
정보처리장치(30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 장치(200)가 전달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s524) 이 경우 정보처리장치(300)는 감지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진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신호를 다시 진단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s535) 이 경우, 진단자(401)는 디스플레이 장치(402) 등에 표시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체(101)를 진단한 후, 진단 결과를 진단자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s536) 진단자 단말기(400)는 입력된 진단 결과로 정보처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537)
정보처리장치(300)는 단계 s534에서 생성한 진단 결과 또는 진단자 단말기(400)로부터 전달된 진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s538)
그러면 휴대용 단말 장치(200)는 정보처리장치(300)로부터 전달 받은 진단 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진단 결과에 따라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조기에 병원을 방문할 수도 있게 된다.(s517)
100 : 생체 신호 수집 장치 102 : 감지 센서
103 : 제1 통신 모듈 200 : 휴대용 단말기
210 : 표시부 220 : 제1 제어부
230 : 제2 통신 모듈 300 : 정보처리장치
310 : 제3 통신 모듈 320 : 제2 제어부
400 : 진단자 단말기

Claims (36)

  1. 대상체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통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통증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통증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수집 장치;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휴대용 단말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처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는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및 대상체의 뇌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상기 대상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감지 센서는, 상기 감지된 통증의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바이오 패치인 진단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인체의 두부에 탈부착 가능한 진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진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진단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기 감지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 여부의 결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진단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진단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진단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스마트폰, 태블릿피씨(tablet PC),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휴대용 컴퓨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진단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는 진단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결과는, 임부의 출산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진단용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표시 가능한 제2 휴대용 단말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진단 시스템.
  18. 생체 신호 수집 장치로부터 대상체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된 대상체의 통증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진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는,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및 대상체의 뇌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상기 대상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상기 감지된 통증의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통증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수집 장치는 바이오 패치인 휴대용 단말 장치.
  21. 삭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기 감지 신호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
  24. 대상체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통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통증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통증 감지 단계;
    상기 생성한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감지 신호를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전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는,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및 대상체의 뇌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통증 감지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생체 신호 수집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진단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감지 단계는,
    상기 감지된 통증의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단 방법.
  26. 삭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폰,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피디에이 및 휴대용 컴퓨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인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기 감지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 여부의 결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여부 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단계는,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인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제1 진단 결과 연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연산하는 제2 진단 결과 연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수신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결과를 입력받는 진단 결과 입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송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한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인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한 진단 방법.
  35. 대상체에 부착되는 부착부;
    상기 대상체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통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통증에 상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통증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는 대상체의 심전도 신호 및 대상체의 뇌전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바이오 패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감지 센서는 상기 감지된 통증의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바이오 패치.
KR1020130108443A 2013-09-10 2013-09-10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 KR10233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443A KR102330664B1 (ko) 2013-09-10 2013-09-10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443A KR102330664B1 (ko) 2013-09-10 2013-09-10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50A KR20150029350A (ko) 2015-03-18
KR102330664B1 true KR102330664B1 (ko) 2021-11-24

Family

ID=5302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443A KR102330664B1 (ko) 2013-09-10 2013-09-10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6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58B1 (ko) * 2012-05-10 2013-01-21 이한승 임산부용 검진 키트를 이용한 검진 시스템 및 검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922A (ko) * 2005-01-13 200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환경에 기반한 임산부의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130093212A (ko) * 2012-02-14 2013-08-22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뇌반응 패턴 스캔을 통한 자극 추정 시스템 및 추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58B1 (ko) * 2012-05-10 2013-01-21 이한승 임산부용 검진 키트를 이용한 검진 시스템 및 검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50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040B2 (en) Patch system for in-situ therapeutic treatment
EP2981206B1 (en) Fetal movement monitor
JP2016185288A (ja) 携帯型心電計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U128469U1 (ru) Мобильное диагно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5054188U (zh) 一种便携式母婴监护系统
US20020059081A1 (en) Health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U2742707C1 (ru) Бесконтактный мониторинг частоты сердечных сокращений
KR20150061100A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066203A (ja) 生体情報測定装置及び生体情報収集システム
KR102330664B1 (ko) 대상체 진단 방법, 대상체 진단 시스템, 대상체 진단을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 및 바이오 패치
Kumaresh et al. Non-invasive fetus heart rate and growth measurement with abnormality detection using IoT
Chen et al. A smart scarf for pulse signal monitoring using a flexible pressure nanosensor
Prakash et al. Arm Based Health Care Monitoring Services Using Wireless Network
CN103622750A (zh) 基于平板电脑平台的新型多功能监护仪
CN104305965A (zh) 一种健康管理系统
KR20160058266A (ko) 근거리 무선 전력 전송을 통한 심전도 센싱 스마트폰 케이스
CN205054187U (zh) 一种基于4g模块的家用母婴监护管理系统
Su et al. Wireless Wearable Devices and Recent Applications in Health Monitoring and Clinical Diagnosis
Ramasamy et al. Efficient heart beat detection using embedded system electronics
CN215534452U (zh) 电子设备
CN210871544U (zh) 一种共享一体式智能化基础生命体征监测仪
US20230190101A1 (en)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acquisition of physiological and motor parameters through wearable sensors
Aravind et al. Pregnancy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Doshi et al. Implementation of Wearable ECG Monitor Interfaced with Real-Time Location Tracker
CN106530165A (zh) 健康管理装置、健康管理方法及健康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