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619B1 - A purifier - Google Patents

A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619B1
KR102330619B1 KR1020150026528A KR20150026528A KR102330619B1 KR 102330619 B1 KR102330619 B1 KR 102330619B1 KR 1020150026528 A KR1020150026528 A KR 1020150026528A KR 20150026528 A KR20150026528 A KR 20150026528A KR 102330619 B1 KR102330619 B1 KR 10233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water
display
intake pipe
manipul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4152A (en
Inventor
심용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619B1/en
Publication of KR2016010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저수 직수형정수기의 디스플레이 조작패널의 조립방법과 정수기 내부로의 유해한 외기 차단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결합홀(615)을 가지며,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상기 정수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결합홀(6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여,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진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패널을 모듈화 하여 전면패널에 조립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한편, 취수관으로 유입되는 스팀을 차단하여 내부의 전기적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assembling a display operation panel of a non-low water direct type water purifier and blocking harmful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comprising: a water purifier body; a display manipulation modul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being touched by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body, wherei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ncludes a coupling hole (615) and wherein the water purifier body has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615 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It is easy to assemble while maintaining the assembly strength on the front panel by modularizing it, and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to internal electrical components by blocking the steam flowing into the water intake pipe.

Description

정수기{A purifier}A purifier {A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저수 직수형정수기의 디스플레이 조작패널의 조립방법과 정수기 내부로의 유해한 외기 차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ssembling a display operation panel of a non-low water direct type water purifier and blocking harmful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직수형정수기는 전면패널, 베이스, 후면패널, 좌.우패널, 상면패널 그리고 조작패널부로 구성되어 있다. In general, a direct water purifier consists of a front panel, a base, a rear panel, left and right panels, an upper panel, and an operation panel.

종래의 직수형정수기는 냉온정수기에 비해 냉.온수 기능이 없고 저수통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필터를 통해 여과된 정수를 취수하므로 내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Compared to the hot and cold water purifier, the conventional direct water purifier has no cold/hot water function, does not have a water reservoir, and takes in filtered water through a filter, so its internal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직수형정수기에 있어서 구성품인 전면패널, 베이스, 후면패널, 좌.우패널, 상면패널, 조작패널은 각 구성 패널간 결합강도를 유지하고 변형을 예방하기 위하여 과도한 부자재를 사용하게 된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direct water purifier, the components of the front panel, base, rear panel, left and right panels, top panel, and operation panel use excessive auxiliary materials to maintain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each component panel and prevent deformation. do.

종래 기술인 한국 등록특허 제1,343,225호는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43,225, which is a prior art, discloses a water purifie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water purifier.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인 한국 등록특허 제1,343,225호 역시 과도한 결합부재의 사용으로 말미암아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생산된 제품의 부피 증가로 설치공간을 과다하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Korea Patent No. 1,343,225, which is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lso had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excessive use of coupling members, and also took up an excessive amount of installation space due to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produced product.

또한 취수관과 정수기 내부는 개방되어 취수관을 스팀 청소시 유입되는 스팀으로 인해 피씨비에 유해한 결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ater intake pipe and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were opened, and there was a defect harmful to the PCB due to the steam flowing in during steam cleaning of the water intake pipe.

한국 등록특허 제1,343,225호Korean Patent No. 1,343,2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결합구조는 간결하되 결합강도는 우수하면서도, 취수구 주위를 스팀 등으로 세척시에도 정수기 내부에 마련된 피씨비 등 내부 부품의 손상이 없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upling structure but excellent bonding strength, and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purifier even when washing with steam or the like around the water intake por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does not damage internal components such as PCB.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결합홀(615)을 가지며,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상기 정수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결합홀(6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water purifier body; a display manipulation modul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being touched by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body, wherei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ncludes a coupling hole (615) and the water purifier body include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615 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된 취수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pipe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body.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취수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상기 정수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절곡부가 상기 결합홀(615)의 단턱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pipe; and a bent part bent from the extension part, wherein the bent part is caught by the step of the coupling hole 615 and fixed thereto 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또한, 상기 취수관을 둘러싸는 취수관 데코(130)를 가진 전면패널(10); 및 상기 취수관과 상기 취수관 데코(13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10 having an intake pipe decoration 130 surrounding the intake pipe; and a packing membe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water intake pipe and the water intake pipe decoration 130; an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출수관 데코가 형성된 전면패널(10) 상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마운팅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마운팅 부재가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부에 형성된 안착부(101)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0 on which the water outlet pipe decoration of the water purifier body is formed, and a moun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housing forming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formed, the mounting member It includes a water purifier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101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0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진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패널을 모듈화 하여 전면패널에 조립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강점이 있다.First,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assembly while maintaining the assembly strength on the front panel by modularizing the display operation panel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둘째, 취수관으로 유입되는 스팀을 차단하여 내부의 전기적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to internal electrical components by blocking the steam flowing into the water intake pip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리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의 조립사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manipul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manipul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y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manipul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한 구성을 전체적으로 언급한 뒤 세부적 구성에 관하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후술키로 한다.First, a configuration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whole, and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정수기 본체에는 정수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 되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구비된다.The water purifier body includes a display manipulation modul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being touch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body.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결합홀(615)을 가지며, 정수기 본체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정수기 본체에 장착될 때 결합홀(6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has a coupling hole 615 , and the water purifier body has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615 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결합돌기는 정수기 본체에 마련된 취수관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pipe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body.

결합돌기는 취수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한다.The coupling protrusion ha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pipe, and includes a bent portion bent from the extension portion.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정수기 본체에 장착될 때 절곡부가 결합홀(615)의 단턱에 걸려서 고정된다.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the bent part is caught by the step of the coupling hole 615 and fixed.

전면패널(10)은 취수관을 둘러싸는 취수관 데코(130)를 가진다. The front panel 10 has an intake pipe decoration 130 surrounding the intake pipe.

패킹부재는 취수관과 취수관 데코(13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The packing member seals the space between the intake pipe and the intake pipe decor 130 .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정수기 본체의 출수관 데코가 형성된 전면패널(10) 상부에서 결합된다.The display operation module is coupled at the top of the front panel 10 on which the water outlet pipe decoration of the water purifier body is formed.

마운팅 부재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마운팅 부재가 전면패널(10)의 후부에 형성된 안착부(101)에서 결합된다.The mounting member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housing forming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and the moun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101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0 .

디스플레이 조작모듈은 조작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조작모듈은 조작모듈 하우징에 수용된다.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ncludes a manipulation module housing,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manipulation module housing.

동작 표시 패널은 정수기 본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동작 표시 패널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터치패널이 구비된다.The operation display panel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nd a touch panel disposed to cover the operation display panel is provided.

디스플레이 데코는 조작모듈 하우징의 외주면과 결합되면서 터치패널의 외주면에 결합된다.The display decoration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uch panel while being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조작모듈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제1돌기(611) 및 안착면(612)이 마련되어, 동작 표시 패널이 제1돌기 및 안착면에 결합된다.A first protrusion 611 and a seating surface 612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and the operation display panel is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ating surface.

조작모듈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단차면(613)과 제2돌기(614)가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데코에 마련된 제1후크(641)가 단차면(613)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데코에 마련된 밑면이 제2돌기(614)에 결합된다.A stepped surface 613 and a second protrusion 614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the first hook 641 provided in the display decor is coupled to the stepped surface 613, and the bottom surface provided in the display decor is the second protrusion (614) is coupled.

디스플레이 데코에 형성된 홈(643)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제2후크(631)가 결합된다.A second hook 631 formed in the display panel is coupled to the groove 643 formed in the display decor.

전면패널(10)에는 취수밸브와 취수 정량 제어를 위한 플로우메타가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1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intake valve and a flow meter for quantitative control of water intake as a module.

정수기 본체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에 인접 형성된 상부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body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panel formed adjacent to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상부패널은 정수기 본체에서 개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anel is preferably openable from the water purifier body.

정수기 본체는 파워 피씨비 및 필터보관 함체를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purifier body preferably includes a base unit having a power PCB and a filter storage box.

이외에도 정수기 본체에는 상부패널과 베이스부 사이에 마련되면서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면패널과 본체의 후면을 마감하는 후면패널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body includes a side panel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nel and the base part to close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a rear panel to finis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후면패널에는 원수와 연결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밸브와 원수의 공급을 수동 제어하는 볼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 connection with the raw water and a ball valve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raw water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anel.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정수기는 취수관을 포함하되, 취수관을 둘러싸는 취수관 데코(130)를 가진 전면패널(10)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preferred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take pipe, and has a front panel 10 having an intake pipe decoration 130 surrounding the water intake pipe.

패킹부재(120)는 취수관(110)과 취수관 데코(13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The packing member 120 seals the space between the intake pipe 110 and the intake pipe decoration 130 .

취수관(110)에는 패킹부재(120)의 가장자리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패킹부재의 외주면에는 취수관 데코(130)의 내벽에 밀착되는 격막(121)이 형성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In the water intake pipe 110, the edge portion of the packing member 120 is inserted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it is seated,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member, a diaphragm 121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water intake pipe deco 130 is also preferably formed. .

이 때,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전면패널(10)의 상측에 장착되며, 정수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면서 정수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0 and may be touch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while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결합홀(615)을 가지며, 취수관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전면패널(10)에 장착될 때 결합홀(61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has a coupling hole 615 , and it is preferable that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615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pipe 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10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리 일부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정수기는 취수밸브 및 플로우메타가 모듈로 마련된 전면패널(10)을 갖는다.As shown in FIG. 1 , the water purifier has a front panel 10 provided with a water intake valve and a flow meter as a module.

플로우메타는 취수의 정량적인 제어를 수행한다.The flow meter performs quantitative control of water intake.

전면패널(10)의 상부에는 전면패널(10);가 형성되고 있으며, 전면패널(10);의 하부에는 물받이(80)가 마련된다.A front panel 1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0 , and a drip tray 8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0 .

정수기는 전면패널(1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가 형성된다.In the water purifier, a display operation module 60 is formed on the front panel 10 .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에는 취수선택 버튼부 및 동작상태 표시 피씨비 어쎄이가 마련되어 있다.The display operation module 60 is provided with a water intake selection button unit and an operation state display PCB assay.

상부패널(70)은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에 인접되어 마련되면서 정수기의 상부를 이룬다.The upper panel 7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and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purifier.

좌측패널은 정수기의 좌측벽을 마감하고, 우측패널(50)은 정수기의 우측벽을 마감한다.The left panel closes the left wall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right panel 50 closes the right wall of the water purifier.

베이스부(20)는 정수기의 최하단을 이루면서 내부에는 파워피씨비 및 필터 보관 함체 등이 마련되어 있다.The base 20 forms the lowest end of the water purifier, and a PowerPCB and a filter storage box are provided inside.

후면패널(30)은 상부패널(70)과 베이스부(20)의 사이에서 좌측패널(40) 및 우측패널(50) 에 인접되어 정수기의 후면을 마감한다.The rear panel 30 is adjacent to the left panel 40 and the right panel 50 between the upper panel 70 and the base 20 to close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후면패널(30)에는 감압밸브 및 볼밸브가 마련된다.A pressure reducing valve and a ball valve are provided on the rear panel 30 .

감압밸브는 정수기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라인과 연결되어 원수의 압력을 조절한다.The pressure reducing valve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line that supplies the raw water to the water purifier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raw water.

볼밸브는 원수의 공급을 수동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자동 제어가 가능할 수도 있다.The ball valve can manually control the supply of raw water, and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f necessary.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은 크게 조작모듈 하우징(610)과, 조작모듈 하우징(610)에 결합되는 동작 표시패널(620), 그리고 동작 표시패널(620)의 상부를 닫는 터치패널(630)과 터치패널(63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데코(640)를 포함한다.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largely includes a manipulation module housing 610 , an operation display panel 620 coupled to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and a touch panel 630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display panel 620 and touch and a display decor 640 coupled to the panel 630 .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모듈 하우징(610)의 측벽 내측벽에는 안착면(612) 및 제1돌기(611)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마련된다.In more detail, at least one seating surface 612 and a first protrusion 611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조작모듈 하우징(610)의 측벽 외측벽에는 단차면(613)과 제2돌기(6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At least one stepped surface 613 and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614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side wall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조작모듈 하우징(610)의 바닥의 일측에는 결합홀(6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동작 표시패널(620)의 후부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623)를 수용한다.A coupling hole 6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accommodate a rod 623 elongat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operation display panel 620 . .

한편, 조작모듈 하우징(610)은 조작모듈 하우징(610)의 측벽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운팅 부재(616)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는다.Meanwhile,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has at least one mounting member 616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sidewall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조작모듈 하우징(610)에 형성된 안착면(612) 및 제1돌기(611)에 동작 표시패널(620)가 올려진다.When describ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 the operation display panel 620 is mounted on the seating surface 612 and the first protrusion 611 formed on the manipulation module housing 610 .

다시 말해서 동작 표시패널(620)는 조작모듈 하우징(610)의 내측벽에 고정된다.In other words, the operation display panel 620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동작 표시패널(620)에는 동작상태에 따라 점멸하는 엘이디가 마련된다.The operation display panel 620 is provided with an LED that flicke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한편, 터치패널(630)에는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제2후크(631)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형성되고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second hook 631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ouch panel 630 .

또한, 디스플레이 데코(640)의 내측벽에는 홈(64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있으며, 홈(643)에 인접하여 제1후크(64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groove 643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display decor 640 , and a first hook 641 is formed adjacent to the groove 643 .

터치패널(630)은 동작 표시패널(620)의 상부를 덮으면서 올려지고, 제2후크(631)는 조작모듈 하우징(610)에 외삽되는 디스플레이 데코(640)의 홈(643)에 결합된다.The touch panel 630 is raised whil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display panel 620 , and the second hook 631 is coupled to the groove 643 of the display decor 640 extrapolated to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한편, 디스플레이 데코(640)의 밑면(642)은 전면패널(10)에 올려져서 전면패널(10)에 밀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642 of the display deco 640 is placed on the front panel 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10).

디스플레이 데코(640)는 크롬 등으로 마감 처리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Display decoration 640 is also preferably finished with chrome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의 조립 단면도이다.4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면패널(10)의 좌측 하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개구된 취수관 데코(130)가 형성되고 있으며, 취수관 데코(130)로 취수관(110)이 관통된다.In the lower left end of the front panel 10 , the intake pipe deco 130 ope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formed, and the water intake pipe 110 passes through the intake pipe deco 130 .

취수관 데코(130)내벽과 취수관(110)외벽 사이에는 패킹부재(120)이 제공된다.A packing member 120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intake pipe deco 130 and the outer wall of the water intake pipe 110 .

다시 말해서, 패킹부재(120)은 취수관(110)에 외삽된 채로 취수관(110)과 취수관 데코(130)의 내벽 사이를 차폐한다.In other words, the packing member 120 shields between the intake pipe 110 and the inner wall of the intake pipe decor 130 while being extrapolated to the intake pipe 110 .

이로써, 취수관 데코(130)는 정수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지 아니한 채로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water intake pipe decor 130 is kept airtight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한편, 패킹부재(120)의 외주면에는 격막(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막(121)은 취수관 데코(130)의 내벽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되어 취수관(110)과 취수관 데코(130)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aphragm 1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member 120 , and the diaphragm 121 is more secur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water intake pipe deco 130 to the water intake pipe 110 and the water intake pipe deco 130 . ) to seal the gap between them.

따라서, 취수관(110)으로 스팀을 유입하여 살균청소 작업을 수행할 때 스팀이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피씨비의 손상 문제가 없다.Therefore, when steam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intake pipe 110 to perform sterilization and cleaning, steam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water purifier, so there is no problem of damage to the PCB.

패킹부재(12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탄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cking member 120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and has elasticity.

한편, 취수관(110)의 상단은 우측으로 굽어진 절곡부를 갖고, 우측으로 굽어진 상측에는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돌기(111)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intake pipe 110 has a bent portion bent to the right, and a coupling protrusion 111 extending vertically upwar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bent to the right.

결합돌기(111)는 조작모듈 하우징(610)에 형성된 결합홀(615)에 걸려 결합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111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615 formed in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한편, 조작모듈 하우징(610)에 형성된 마운팅 부재(616)은 전면패널(10)에 형성된 안착부(101) 및 좌측패널(40)과 우측 패널(50)에 결합된다.Meanwhile, the mounting member 616 formed on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i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101 formed on the front panel 10 , and the left panel 40 and the right panel 50 .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은 정수기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전면패널(10) 및 정수기 내부에 마련된 취수관(110)에 결합되어져 보다 간결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10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the water intake pipe 110 provided inside the water purifier, thereby enabling simpler installation.

부언하면,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에 형성된 결합홀(615)을 취수관(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11)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에 형성된 마운팅 부재(616)을 전면패널(10)에 형성된 안착부(101)에 결합하고 이를 우측패널(50) 및 좌측 패널에 체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의 본체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615 formed i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1 formed in the water intake pipe 110 , and at the same time, the mounting member 616 formed i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is attached to the front panel. By coupling to the seating portion 101 formed in (10) and fastening it to the right panel 50 and the left panel, the main assembly of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can be made simply.

이로써, 전면패널(10)에 조립된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은 상하 유동이 없이 조립강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해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10 not only maintains the assembly strength without vertical movement, but is also easy to assembl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60)의 조립사시도이다.5 is an assembly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6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와 같이 조작모듈 하우징(610)의 후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마운팅 부재(616)이 한 쌍 마련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마운팅 부재(616)은 안착부(101) 에 나사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마운팅 부재(616)역시 좌측 패널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 a pair of mounting members 616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module housing 610 , and one mounting member 616 is screwed to the seating part 101 . is coupled, and the other mounting member 616 is also coupled to the left panel.

디스플레이 데코(640)는 전면패널(10)의 상단에서 밀착되어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데코(640)의 상단에는 터치패널(630)가 안착되어 정수기의 최상단을 이루고 있다.
The display deco 640 is closely coupled to the top of the front panel 10 , and the touch panel 63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deco 640 to form the uppermost end of the water purifi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changed.

10.전면패널 20.베이스
30.후면패널 40.좌측패널
50.우측패널 60.디스플레이 조작 모듈
70.상부패널 80.물받이
110.취수관 120.패킹부재
130.취수관 데코 610.조작모듈 하우징
620.동작 표시 패널 630.터치패널
640.디스플레이 데코
10.Front panel 20.Base
30.Rear panel 40.Left panel
50.Right panel 60.Display operation module
70. Upper panel 80. Drip tray
110. Water intake pipe 120. Packing member
130. Intake pipe decoration 610. Control module housing
620. Operation display panel 630. Touch panel
640. Display Deco

Claims (5)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되, 상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정수기 본체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 및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취수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된 결합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에 마련된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water purifier body;
a display manipulation modul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or to receive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water intake pipe provided inside the water purifier body;
includes,
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a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water purifi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취수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이 상기 정수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절곡부가 상기 결합홀의 단턱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onding protrus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water intake pipe, and a bent portion bent from the extension portion,
When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the bent part is fixed by being caught on the step of the coupling hole,
wate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을 둘러싸는 취수관 데코를 가진 전면패널; 및
상기 취수관과 상기 취수관 데코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panel having an intake pipe decoration surrounding the intake pipe; and
A packing member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water intake pipe and the water intake pipe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wate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패널은, 후부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조작 모듈은, 외주면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된 마운팅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panel of the water purifier body includes a seating portion formed at the rear,
The display manipulation module includes a mount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moun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water purifier.
KR1020150026528A 2015-02-25 2015-02-25 A purifier KR102330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28A KR102330619B1 (en) 2015-02-25 2015-02-25 A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28A KR102330619B1 (en) 2015-02-25 2015-02-25 A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52A KR20160104152A (en) 2016-09-05
KR102330619B1 true KR102330619B1 (en) 2021-11-25

Family

ID=5693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528A KR102330619B1 (en) 2015-02-25 2015-02-25 A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619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09B1 (en) * 2003-10-24 2005-08-31 앨트웰텍 주식회사 Method for correcting exchange time of filter in a water-purifying device
KR20050121372A (en) * 2004-06-22 2005-12-27 삼성물산 주식회사 Display for working state of water purifier with type of undersink
KR101343225B1 (en) 2011-07-08 201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52A (en)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1712397S (en) Interior walls with built-in appliances
CN105274822B (en) Ironing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the cylinder for generating steam equipped with discharge orifice
CN103876641A (en) Electric food warmer cover with perspective observation window and electric food warmer
KR102330619B1 (en) A purifier
WO2018032649A1 (en) Steam valve and cooking appliance
CN104452243B (en) A kind of Garment Steamer Machine water guiding system and containing its Garment Steamer Machine
USD873311S1 (en) Main body for refrigerator
WO2019227833A1 (en) Humidifier
JP2023550240A (en) Pot assembly and cooking utensils
CN208301521U (en) The cover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of steam valve, cooking apparatus
CN206745210U (en) Cover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CN107912987B (en) Upper cover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CN207471597U (en) A kind of gas-cooker and the integrated kitchen range with the gas-cooker
CN107752784B (en) Steam valve and cooking utensil
TWI644060B (en) Quick assembly intake structure and countertop stove
CN206354883U (en) Steam valve and cooking apparatus
JP6802560B2 (en) Aquarium equipment
KR20090113939A (en) Dish washing machine
CN208463792U (en) A kind of cooking machine with combination cup lid
TWI580904B (en) Air-intake device of embedded gas stove
JP6846796B2 (en) Aquarium equipment
CN109452877A (en) The cover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of steam valve, cooking apparatus
CN208551193U (en) The cover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of cooking apparatus
CN204219883U (en) A kind of wall-hanging water purifier being provided with direct insertion filter element device
CN212630684U (en) Clean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