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611B1 -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611B1
KR102330611B1 KR1020200085932A KR20200085932A KR102330611B1 KR 102330611 B1 KR102330611 B1 KR 102330611B1 KR 1020200085932 A KR1020200085932 A KR 1020200085932A KR 20200085932 A KR20200085932 A KR 20200085932A KR 102330611 B1 KR102330611 B1 KR 102330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space
ch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황
박유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씨텍
최정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씨텍, 최정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씨텍
Priority to KR102020008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는,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시켜 정화 공기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워터 미스트의 분사에 의한 흡착 작용 및 여과용 필터의 통과에 의한 여과 작용을 통하여 상기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CHAIR HAVING AIR PURIFY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가 가능한 의자를 사용하여 의자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을 원활하게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대기 중에는 황사먼지, 미세먼지, 유해가스, 바이러스 등의 오염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와 에어컨 등과 같은 공기 정화 장치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 정화 장치는 건식 타입과 습식 타입의 두 종류로 크게 나뉘어지고, 건식 공기 정화 장치는 전기 집진식과 필터 여과식으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전기 집진식은 필터가 없기 때문에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기 집진판에 먼지가 쌓이면 정화 능력이 떨어져 먼지 제거 능력이 전반적으로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필터 여과식은 필터 사이로 공기가 흐르면서 각종 미립자를 필터에서 걸러주기 때문에 정화 능력이 뛰어나 황사먼지 제거용으로 최적이라 평가할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유지보수를 위한 필터 교체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습식 공기 정화 장치는 흡입된 공기를 물에 접촉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물에 흡착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소음이 적으며, 가습기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공기 정화 기능을 다양한 구조물(예컨대, 의자, 광고물, 가구, 간판 등)에 적용하여 해당 구조물이 설치된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155호(발명의 명칭: 공기 정화기능을 가진 흡연용 의자, 공개일: 2009.08.14)에는, 흡연시 발생되는 담배 연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흡연용 의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5728호(발명의 명칭: 의자 일체형 공기 청정기, 공개일: 2012.07.09)에는, 의자에 착석한 개인에 대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의자 일체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는, 의자의 일측에 공기 정화 장치를 단순 배치한 구조로서, 의자의 제작 비용이 높아지는데 반하여 의자의 활용도가 매우 한정적인 단점이 있고, 건식 공기 정화 장치에 사용되는 필터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만 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155호(공개 2009.08.14)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5728호(공개 2012.07.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자에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여 의자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을 원활하게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워터 미스트의 분사에 의한 흡착 작용 및 필터의 통과에 의한 여과 작용을 통하여 의자가 설치된 장소의 외부 공기를 높은 정화 효율로 정화할 수 있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자의 수납 공간에 공기 정화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자에 공기 정화 기능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시켜 정화 공기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워터 미스트의 분사에 의한 흡착 작용 및 여과용 필터의 통과에 의한 여과 작용을 통하여 상기 외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의자 본체는, 사람이 앉을 수 있게 수평하게 마련된 좌석 받침대, 및 상기 좌석 받침대에서 지면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의자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좌석 받침대와 상기 의자 다리들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에서 상기 의자 다리들 사이로 인출되도록 상기 수납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 및 상기 정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에서 상기 공기배출구를 향해 공기 유동 경로가 내부에 마련된 정화 케이스,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된 송풍기,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상기 공기 유동 경로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 오염 여과기,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의 공간에 워터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상기 정화 케이스에 마련된 물 분사기, 및 상기 오염 여과기들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오염 여과기들과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에 마련된 수분 제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 여과기들 및 상기 수분 제거기는 상기 정화 케이스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필터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화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오염 여과기들 및 상기 수분 제거기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부가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들 중 가장 상류에 배치된 공간부는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간부들 중 가장 하류에 배치된 공간부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간부들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오염 여과기들로 안내하도록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된 흡입 공간부, 상기 수분 제거기를 통과한 상기 정화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된 배출 공간부, 상기 배출 공간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염 여과기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수분 제거기로 안내하도록 상기 오염 여과기들과 상기 수분 제거기 사이에 형성된 수분 제거 공간부, 및 상기 수분 제거 공간부와 상기 흡입 공간부의 사이에서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워터 미스트가 상기 물 분사기에 의해 분사되는 여과 공간부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 케이스는, 상기 공기 유동 경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양단부에 형성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분사기에 사용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 여과기들과 상기 수분 제거기 및 상기 송풍기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공기흡입구에서 상기 공기배출구를 향해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기는,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상기 워터 미스트로 분사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분사기는,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에 배치된 분사 펌프, 상기 분사 펌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분사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로 안내하는 분사 배관, 및 상기 분사 배관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 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워터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분사된 상기 워터 미스트를 상기 물 저장부로 다시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또는 상기 오염 여과기와 상기 수분 제거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정화 케이스에 배치된 작동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제어기는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탁도 또는 수위에 따라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을 교체하거나 보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분사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물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탁도 센서,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물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위 센서, 상기 물 탱크의 내부에 외부 수원의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물 탱크와 상기 외부 수원에 마련된 물 공급부, 및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물 탱크에 마련된 물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 제어기는 상기 탁도 센서 또는 상기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를 전달 받아서 상기 물 공급부 또는 상기 물 배출부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는, 의자 본체의 수납 공간에 공기정화유닛을 수납시켜 외부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키는 구조이므로, 의자 본체가 설치된 장소의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정화시킬 수 있고, 외부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공기정화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는, 의자 본체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공기정화유닛을 이용하여 워터 미스트의 분사에 의한 흡착 작용 및 필터의 통과에 의한 여과 작용을 통해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구조이므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외부 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정화유닛을 콤팩트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는, 정화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오염 여과기들과 수분 제거기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배치한 후 오염 여과기들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에 워터 미스트를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워터 미스트에 흡착된 오염 물질을 오염 여과기들에서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큰 입자의 오염 물질뿐만 아니라 미세 입자의 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데 워터 미스트를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가습기를 설치하지 않고, 공기정화유닛에서 배출되는 정화 공기를 이용하여 가습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을 절개시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의 물 분사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10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300)을 절개시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300)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300)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300)의 다른 예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정화유닛(300)의 물 분사기(34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100)는 의자 본체(200) 및 공기정화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자에 공기 정화 기능을 부여하여 의자들이 설치된 장소의 대기 중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공기 정화 장치를 의자들의 설치 장소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의자들의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염 물질은 황사먼지, 미세먼지, 꽃가루, 유해가스, 바이러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100)는, 개인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다수의 의자가 설치된 공공 장소에서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100)는 사람들이 자주 모이는 공공 장소 중 의자들이 많이 설치되는 대합실, 교실, 강당, 식당, 승강플랫폼 등에 설치된 다인용 의자(예컨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벤치(bench))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정화 기능 구비된 의자()가 지하철역/전철역의 승강플랫폼에 마련된 의자에 적용되어 플랫폼 내의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100)가 가정이나 회사에서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일인용 의자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의자 본체(200)는 다수의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공공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의자 본체(200)는 통상의 벤치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좌측단과 우측단에 의자 다리가 마련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자 본체(200)의 형상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의자 본체(200)는, 사람이 앉을 수 있게 수평하게 마련된 좌석 받침대(210), 및 좌석 받침대(210)에서 지면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의자 다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 받침대(210)와 의자 다리(220)들 사이에는 공기정화유닛(300)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 공간(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유닛(300)은 수납 공간(230)에서 의자 본체(200)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수납 공간(23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유닛(300)이 의자 본체(200)의 수납 공간(230)에 수납시키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설정하고, 공기정화유닛(300)이 의자 본체(200)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정화유닛(300)은 외부 공기(A1)를 흡입한 후 정화시켜 정화 공기(A5)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유닛(300)은 의자 본체(200)의 수납 공간(230)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수납 공간(230)과 공기정화유닛(300)에는 공기정화유닛(300)을 수납 공간(230)의 내부에 장착시키거나 장착 해제하기 위한 공기정화유닛(300)의 착탈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정화유닛(300)은 워터 미스트(WM)의 분사에 의한 흡착 작용 및 여과용 필터의 통과에 의한 여과 작용을 통하여 외부 공기(A1)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 미스트(WM)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A1)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고, 여과용 필터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A1)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유닛(300)이 흡착 작용과 여과 작용을 모두 활용하여 외부 공기(A1)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공기정화유닛(300)의 정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워터 미스트(WM)를 오염 물질의 제거에 활용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가습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유닛(300)은 벤치 형상의 의자 본체(200)에 형성된 수납 공간(230)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정화유닛(300)의 좌측 단부에는 외부 공기(A1)가 흡입되기 위한 공기흡입구(312a)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정화유닛(300)의 우측 단부에는 정화 공기(A5)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배출구(312b)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정화유닛(300)의 내부에는 공기흡입구(312a)에서 공기배출구(312b)를 향해 공기 유동 경로(P)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흡입구(312a)에 흡입된 외부 공기(A1)가 공기 유동 경로(P)를 따라 유동되는 과정에서 정화될 수 있고, 공기 유동 경로(P)에서 정화된 정화 공기(A5)는 공기배출구(31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정화유닛(300)은, 정화 케이스(310), 송풍기(320), 오염 여과기(330), 물 분사기(340), 수분 제거기(350) 및 작동 제어기(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 케이스(310)는 내부가 중공된 직사각 박스 형상으로 마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 공간(230)의 형상에 대하여 다른 형상으로도 마련할 수 있다. 정화 케이스(310)의 내부 공간에는 송풍기(320), 오염 여과기(330), 물 분사기(340), 수분 제거기(350) 및 작동 제어기(3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오염 여과기(330) 및 수분 제거기(350)는 정화 케이스(310)의 내부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화 케이스(310)는, 공기 유동 경로(P)가 내부에 마련되고 공기흡입구(312a)와 공기배출구(312b)가 양단부에 형성된 케이스 본체(312), 및 케이스 본체(312)의 하부에 배치되고 물 분사기(340)에 사용되기 위한 물(W)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31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형 박스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동 경로(P)는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풍기(320), 오염 여과기(330), 물 분사기(340), 및 수분 제거기(350)는 공기 유동 경로(P)를 따라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은 오염 여과기(330) 및 수분 제거기(350)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공기흡입구(312a)는 케이스 본체(312)의 좌측 단부에 마련되되, 케이스 본체(312)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312a)에는 매우 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철망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공기질 센서(312d)가 공기흡입구(312a) 또는 그 주변부에 설치하여 공기흡입구(312a)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A1)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질 센서(312d)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공기정화유닛(3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질 센서(312d)가 공기흡입구(312a)에 배치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흡입 공간부(S1)의 내부 또는 정화 케이스(310)의 외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구(312b)는 케이스 본체(312)의 우측 단부에는 마련되되, 케이스 본체(312)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312b)에는 정화 공기(A5)의 배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풍향 조절 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공기흡입구(312a)와 공기배출구(312b)은 케이스 본체(312)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어느 한 부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의자 본체(200)의 후방부에 벽체가 근접하게 위치되거나 벽과 연결된 상태이면 공기흡입구(312a)와 공기배출구(312b)가 케이스 본체(312)의 전면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사람들이 의자 본체(200)에 앉는 방향이 일정하면 공기흡입구(312a)와 공기배출구(312b)가 케이스 본체(312)에 사람들의 앉는 방향과 반대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 본체(312)의 상면부에는 후술하는 오염 여과기(330)들 및 수분 제거기(350)를 교체할 때 사용하기 위한 교체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교체홀부는 오염 여과기(330)들 및 수분 제거기(35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교체홀부들에는 케이스 커버(313)가 착탈 가능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물 저장부(314)는, 물 분사기(340)에 사용되기 위한 물(W)을 저장하도록 케이스 본체(3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 탱크(314a), 물 탱크(314a)에 저장된 물(W)의 탁도를 측정하도록 물 탱크(314a)의 내부에 배치되는 탁도 센서(314b), 및 물 탱크(314a)에 저장된 물(W)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물 탱크(314a)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위 센서(314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탁도 센서(314b)의 감지 결과를 통해 물 탱크(314a)에 저장된 물(W)의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되, 물(W)의 오염 정도가 설정 오염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물 탱크(314a)에 저장된 물(W)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위 센서(314c)의 감지 결과를 통해 물 탱크(314a)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되, 물(W)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로 감지되면 물 탱크(314a)에 물(W)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물 저장부(314)는, 물 탱크(314a)의 내부에 외부 수원의 물(W)을 공급하도록 물 탱크(314a)와 외부 수원에 마련된 물 공급부(미도시), 및 물 탱크(314a)에 저장된 물(W)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물 탱크(314a)에 마련된 물 배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 공급부와 물 배출부는,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작동되는 펌프, 물의 공급과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호스, 및 물의 공급과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물 공급부와 물 배출부를 물 탱크(314a)에 설치하여 수위 센서(314c)의 감지 결과에 따라 물 탱크(314a)의 수위를 적정 수위로 자동 조절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320)는 공기 유동 경로(P)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송풍기(320)는 공기 유동 경로(P) 상에 배치되도록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320)가 공기배출구(312b)가 형성된 케이스 본체(312)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 여과기(330)는 공기 유동 경로(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오염 여과기(330)는 공기흡입구(312a)와 공기배출구(312b)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되, 공기 유동 경로(P)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오염 여과기(330)들은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오염 여과기(330)들은 외부 공기(A1)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여과 작용으로 제거하는 필터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오염 여과기(330)가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오염 여과기(330)의 사용 개수는 공기정화유닛(3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염 여과기(330)들은, 공기흡입구(312a)로 흡입된 외부 공기(A1)를 1차 정화시키는 제1 필터 부재(332), 제1 필터 부재(332)에 의해 1차 정화된 1차 정화 공기(A2)를 2차 정화시키는 제2 필터 부재(334), 및 제2 필터 부재(334)에 의해 2차 정화된 2차 정화 공기(A3)를 3차 정화시키는 제3 필터 부재(336)로 제공될 수 있다.
제1,2,3 필터 부재(332, 334, 336)는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공기 유동 경로(P)의 유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2,3 필터 부재(332, 334, 336)는 다양한 재질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2,3 필터 부재(332, 334, 336)가 메탈 재질의 필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터 부재(332)는 외부 공기(A1)에 포함된 오염 물질 중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오염 물질(예컨대, 벌레, 담배꽁초, 꽃가루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 부재(334)는 워터 미스트(WM)를 분사한 1차 정화 공기(A5)를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 부재(336)는 워터 미스트(WM)를 분사한 2차 정화 공기(A5)를 정화시켜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사기(340)는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의 공간부(S2, S3)에 워터 미스트(WM)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물 분사기(340)는 정화 케이스(310)의 내부에 배치되되, 물 저장부(314)에 저장된 물(W)을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물 분사기(340)는 물 저장부(314)에 저장된 물(W)을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로 펌핑하여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의 공간부(S2, S3)로 유동시킨 후 해당 공간부(S2, S3)의 내부에 물(W)을 워터 미스트(WM)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워터 미스트(WM)의 분사 및 흡착으로 인하여 공기의 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등이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분사기(340)는 분사 펌프(342), 분사 배관(344) 및 분사 노즐(34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펌프(342)는 물 탱크(314a)에 저장된 물(W)을 펌핑하도록 물 탱크(314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사 펌프(342)는 물(W)의 펌핑 작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물 탱크(314a)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 배관(344)는 분사 펌프(342)에 의해 펌핑된 물(W)을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S2, S3)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 배관(344)은 통상의 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 배관(344)의 일단부는 분사 펌프(342)에 연결될 수 있고, 분사 배관(344)의 타단부는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S2, S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사 배관(344)은,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S2, S3)의 크기에 따라 일단부에서 복수개의 타단부로 분기될 수 있고, 그렇게 분기된 타단부가 해당 공간부(S2, S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 배관(344)의 타단부가 1개의 일단부에서 2개로 분기된 후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S2, S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케이스 본체(312)의 상부를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346)은 분사 배관(344)을 따라 공급되는 물(W)을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S2, S3)의 내부에 워터 미스트(WM)의 형태로 분사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분사 노즐(346)은 분사 배관(344)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S2, S3)의 내부를 향해 워터 미스트(WM)를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 노즐(346)이 2개로 분기된 분사 배관(344)의 타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되, 해당 공간부(S2, S3)의 상측에 각각 동일한 개수와 배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물 분사기(340)의 형상 및 배치 구조는 공기정화유닛(3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사기(340)의 분사 배관(344')의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분기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S2, S3)에 개별적으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 분사기(340)의 분사 노즐(346')은 분사 배관(344')에 관통되게 형성된 분무홀로서, 분사 배관(344')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분사 배관(344')은 해당 공간부(S2, S3)의 내부로 분무홀부들을 통해 워터 미스트(WM)를 균일하게 분사하도록 해당 공간부(S2, S3)의 상측에 해당 공간부(S2, S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제거기(350)는 오염 여과기(330)들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수분 제거기(350)는 오염 여과기(330)들과 공기배출구(312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수분 제거기(350)는 수분 제거용 필터 부재로 마련되되, 오염 여과기(330)들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수분 제거기(350)가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수분 제거기(350)의 사용 개수는 공기정화유닛(3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제어기(360)는 공기정화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작동 제어기(360)는 정화 케이스(310)의 케이스 본체(3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 제어기(360)의 일측에는, 배터리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 코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제어기(360)는 물 저장부(314)에 저장된 물(W)의 탁도 또는 수위에 따라 물 저장부(314)의 물을 교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동 제어기(360)는 탁도 센서(314b) 또는 수위의 감지 결과를 전달 받아서 물 공급부 또는 물 배출부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제어기(360)에는, 공기정화유닛(30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362), 및 공기정화유닛(3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64)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362)는 케이스 본체(312)의 표면에 배치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원격 조정되는 리모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364)는 케이스 본체(312)의 표면에 디스플레이 부재나 LED 램프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100)의 공기정화유닛(300)에 대한 공간부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정화유닛(300)은 오염 여과기(330)들 및 수분 제거기(350)를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되, 오염 여과기(330)들 및 수분 제거기(350)를 공기 유동 경로(P)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할 수 있다. 즉,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이 오염 여과기(330)들 및 수분 제거기(350)에 의해 구획되어 복수개의 공간부(S1, S2, S3, S4, S5)가 공기 유동 경로(P)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부(S1, S2, S3, S4, S5)들은 오염 여과기(330)들과 수분 제거기(350)의 배치 위치에 따라 크기와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필터 부재(332), 제2 필터 부재(334), 제3 필터 부재(336), 및 수분 제거기(350)가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공기 유동 경로(P)의 유동 방향을 따라 5개의 공간부(S1, S2, S3, S4, S5)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에는 5개의 공간부(S1, S2, S3, S4, S5)가 공기 유동 경로(P)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정화유닛(300)의 공간부(S1, S2, S4, S5, S6)들은, 흡입 공간부(S1), 여과 공간부(S2, S3), 수분 제거 공간부(S4), 및 배출 공간부(S5)로 제공될 수 있다.
흡입 공간부(S1)는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 중 좌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 본체(312)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312a)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흡입 공간부(S1)는 공기흡입구(312a)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A1)를 일시적으로 수용한 후 오염 여과기(330)들 중 제1 필터 부재(332)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제1 필터 부재(332)는 외부 공기(A1)에 포함된 오염 물질 중 입자도가 큰 오염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여과 공간부(S2, S3)는 오염 여과기(33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으로서, 흡입 공간부(S1)와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여과 공간부(S2, S3)에서는, 물 분사기(340)가 워터 미스트(WM)를 분사하여 공기의 오염 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여과 공간부(S2, S3)의 개수는 오염 여과기(330)들의 사용 개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여과 공간부(S2, S3)는, 제1 필터 부재(332)와 제2 필터 부재(334) 사이에 형성된 제1 여과 공간부(S2, S3), 및 제2 필터 부재(334)와 제3 필터 부재(336) 사이에 형성된 제2 여과 공간부(S2, 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 공간부(S2, S3)는 제1 필터 부재(332)를 통과한 1차 정화 공기(A5)를 일시적으로 수용한 후 오염 여과기(330)들 중 제2 필터 부재(334)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여과 공간부(S2, S3)에서는 물 분사기(340)의 워터 미스트(WM)를 이용하여 1차 정화 공기(A5)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 부재(334)는 1차 정화 공기(A5)와 함께 오염 물질이 흡착된 워터 미스트(WM)도 필터링할 수 있다.
제2 여과 공간부(S2, S3)는 제2 필터 부재(334)를 통과한 2차 정화 공기(A5)를 일시적으로 수용한 후 오염 여과기(330)들 중 제3 필터 부재(336)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여과 공간부(S2, S3)에서는 물 분사기(340)의 워터 미스트(WM)를 이용하여 2차 정화 공기(A5)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 부재(336)는 2차 정화 공기(A5)와 함께 오염 물질이 흡착된 워터 미스트(WM)도 필터링할 수 있다.
수분 제거 공간부(S4)는 오염 여과기(330)들 중 제3 필터 부재(336) 및 수분 제거기(3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제2 여과 공간부(S2, S3)와 배출 공간부(S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분 제거 공간부(S4)는 제3 필터 부재(336)를 통과한 3차 정화 공기(A5)를 수분 제거기(35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수분 제거기(350)는 3차 정화 공기(A5)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정화 공기(A5)를 생성할 수 있다.
배출 공간부(S5)는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 중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 본체(312)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312b)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배출 공간부(S5)는 수분 제거기(350)를 통과한 정화 공기(A5)를 일시적으로 수용한 후 공기배출구(312b)로 안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본체(312)의 하면부에 회수부(316)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수부(316)는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에 분사된 워터 미스트(WM)를 물 저장부(314)의 물 탱크(314a)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본체(312)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된 워터 미스트(WM)에 의해서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내부에 물(W)이 고일 수 있다. 이때,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내부에 고인 물(W)은 회수부(316)를 통해 물 저장부(314)의 물 탱크(314a)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수부(316)는, 케이스 본체(312)에서 물 저장부(314)로 물(W)을 자유 낙하시키도록 케이스 본체(312)의 하면부에 통상의 배수홀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케이스 본체(312)에서 물 저장부(314)로 물(W)을 강제 공급하도록 케이스 본체(312)와 물 저장부(314)의 사이에 배수용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부(316)는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하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수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하면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단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회수부가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하면부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부(316')는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하면부에 각각 배치되되, 회수부(316')의 주위에 집수부(318)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수부(316')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하면부에 단수개가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집수부(318)는 회수부(316')로 물(W)을 모을 수 있도록 제1 여과 공간부(S2, S3)와 제2 여과 공간부(S2, S3) 및 수분 제거 공간부(S4)의 하면부에 회수부(316')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한 의자(100)에 대한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한 의자(1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기 오염이 공기질 센서(312d)에 의해 감지되면, 공기정화유닛(300)이 작동하여 의자(1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기 오염을 정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유닛(300)을 작동시키면, 외부 공기(A1)가 공기흡입구(312a)를 통해서 송풍기(320)의 송풍력에 의해 흡입 공간부(S1)로 흡입된다.
흡입 공간부(S1)에 흡입된 외부 공기(A1)는 제1 필터 부재(332)를 통과하여 제1 여과 공간부(S2, S3)로 유동한다. 그 과정에서, 외부 공기(A1)가 1차 정화 공기(A5)로 1차 정화된다.
이때, 물 분사기(340)가 제1 여과 공간부(S2, S3)의 내부에 워터 미스트(WM)를 분사하여 제1 여과 공간부(S2, S3)에 수용된 1차 정화 공기(A5)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흡착 제거한다.
그 다음으로, 오염 물질이 1차로 흡착 제거된 1차 정화 공기(A5)는 제2 필터 부재(334)를 통과하여 제2 여과 공간부(S2, S3)로 유동한다. 그 과정에서, 1차 정화 공기(A5)는 2차 정화 공기(A5)로 2차 정화된다.
이때, 물 분사기(340)가 제2 여과 공간부(S2, S3)의 내부에 워터 미스트(WM)를 분사하여 제2 여과 공간부(S2, S3)에 수용된 2차 정화 공기(A5)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추가로 흡착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오염 물질이 2차로 흡착 제거된 2차 정화 공기(A5)는 제3 필터 부재(336)를 통과하여 수분 제거 공간부(S4)로 유동한다. 그 과정에서, 2차 정화 공기(A5)는 3차 정화 공기(A5)로 3차 정화된다.
따라서, 3차 정화 공기(A5)는 워터 미스트(WM)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3차 정화 공기(A5)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면 가습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정화유닛(300)의 가습 기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3차 정화 공기(A5)는 수분 제거기(350)를 통하여 배출 공간부(S5)로 유동한다. 그 과정에서, 3차 정화 공기(A5)는 정화 공기(A5)로 최종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정화 공기(A5)는 배출 공간부(S5)에 수용된 후 공기배출구(312b)를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 이때, 정화 공기(A5)는 공기배출구(312b)에 배치된 풍향 조절 날개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유닛(300)의 작동으로 인하여 의자 본체(200)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공기정화유닛(300)은, 건조한 동절기에 수분 공급도 가능하여 가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기존에 사용되는 공기 정화 장치보다 적은 유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정화유닛(300)은, 오염 여과기(330)들과 수분 제거기(350)를 정화 케이스(310)의 내부에 카트리지형 필터 타입으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고, 오염 여과기(330)들과 수분 제거기(350)를 반영구적 사용 가능한 필터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정화유닛(300)은, 의자 본체(200)의 수납 공간(230)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구조이므로, 기존의 공기 정화 장치에 대비하여 설치 공간의 확보에 유리할 수 있고, 의자 본체(200)의 설치 장소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200: 의자 본체
230: 수납공간
300: 공기정화유닛
310: 정화 케이스
320: 송풍기
330: 오염 여과기
340: 물 분사기
350: 수분 제거기
360: 작동 제어기
W: 물
WM: 워터 미스트
A1: 외부 공기
A2: 1차 정화 공기
A3: 2차 정화 공기
A4: 3차 정화 공기
A5: 정화 공기

Claims (10)

  1.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시켜 정화 공기를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공기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 및 상기 정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에서 상기 공기배출구를 향해 공기 유동 경로가 내부에 마련된 정화 케이스;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공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된 송풍기;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상기 공기 유동 경로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 오염 여과기;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의 공간에 워터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상기 정화 케이스에 마련된 물 분사기; 및 상기 오염 여과기들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오염 여과기들과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에 마련된 수분 제거기;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워터 미스트의 분사에 의한 흡착 작용 및 여과용 필터의 통과에 의한 여과 작용을 통하여 상기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본체는, 사람이 앉을 수 있게 수평하게 마련된 좌석 받침대; 및 상기 좌석 받침대에서 지면으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의자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좌석 받침대와 상기 의자 다리들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수납 공간에서 상기 의자 다리들 사이로 인출되도록 상기 수납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여과기들 및 상기 수분 제거기는 상기 정화 케이스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필터 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정화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오염 여과기들 및 상기 수분 제거기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부가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들 중 가장 상류에 배치된 공간부는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들 중 가장 하류에 배치된 공간부는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들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오염 여과기들로 안내하도록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된 흡입 공간부;
    상기 수분 제거기를 통과한 상기 정화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구로 안내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된 배출 공간부;
    상기 배출 공간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염 여과기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수분 제거기로 안내하도록 상기 오염 여과기들과 상기 수분 제거기 사이에 형성된 수분 제거 공간부; 및
    상기 수분 제거 공간부와 상기 흡입 공간부의 사이에서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워터 미스트가 상기 물 분사기에 의해 분사되는 여과 공간부;
    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케이스는, 상기 공기 유동 경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양단부에 형성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분사기에 사용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 여과기들과 상기 수분 제거기 및 상기 송풍기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에서 상기 공기배출구를 향해 상기 공기 유동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물 분사기는,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상기 워터 미스트로 분사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기는,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에 배치된 분사 펌프;
    상기 분사 펌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분사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공간부로 안내하는 분사 배관; 및
    상기 분사 배관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 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워터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면부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분사된 상기 워터 미스트를 상기 물 저장부로 다시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수부는, 상기 오염 여과기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또는 상기 오염 여과기와 상기 수분 제거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유닛은,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정화 케이스에 배치된 작동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 제어기는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탁도 또는 수위에 따라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을 교체하거나 보충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분사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의 탁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물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탁도 센서;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상기 물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위 센서; 상기 물 탱크의 내부에 외부 수원의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물 탱크와 상기 외부 수원에 마련된 물 공급부; 및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물 탱크에 마련된 물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제어기는, 상기 탁도 센서 또는 상기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를 전달 받아서 상기 물 공급부 또는 상기 물 배출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KR1020200085932A 2020-07-13 2020-07-13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KR10233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32A KR102330611B1 (ko) 2020-07-13 2020-07-13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32A KR102330611B1 (ko) 2020-07-13 2020-07-13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611B1 true KR102330611B1 (ko) 2021-11-24

Family

ID=7874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932A KR102330611B1 (ko) 2020-07-13 2020-07-13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6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90B1 (ko) * 2004-04-28 2006-11-23 이철호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하는 책상
KR20090008155U (ko) 2008-02-11 2009-08-14 안병연 공기 정화기능을 가진 흡연용 의자
KR20120075728A (ko)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의자 일체형 공기 청정기
KR102025329B1 (ko) * 2019-04-10 2019-09-25 정영철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쉘터
KR102065774B1 (ko) * 2019-04-25 2020-01-14 (주)아이즈텍 미세먼지 저감 벤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90B1 (ko) * 2004-04-28 2006-11-23 이철호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하는 책상
KR20090008155U (ko) 2008-02-11 2009-08-14 안병연 공기 정화기능을 가진 흡연용 의자
KR20120075728A (ko)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의자 일체형 공기 청정기
KR102025329B1 (ko) * 2019-04-10 2019-09-25 정영철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쉘터
KR102065774B1 (ko) * 2019-04-25 2020-01-14 (주)아이즈텍 미세먼지 저감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381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초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898674B1 (ko) 데미스터 필터를 이용한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
EP2433698A1 (en) Wet air cleaner
KR102040399B1 (ko) 물흡착식 공기필터
KR20160035754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306995B1 (ko) 외벽 부착형 공기청정기
CN108939785A (zh) 一种用于室内的空气净化设备
KR102002022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05135546A (zh) 空气净化装置
CN104075377A (zh) 一种中央供氧空气净化器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KR102330611B1 (ko) 공기 정화 기능이 구비된 의자
CN210251703U (zh) 一种工业VOCs废气处理装置
KR20210139027A (ko) 공기정화장치
KR20100062020A (ko) 산업용 공기청정기
CN203507709U (zh) 立式高效室内空气净化机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05135532A (zh) 空气净化器
CN101498483B (zh) 一种冲激式室内空气净化器
KR102161633B1 (ko) 분진 및 온실가스 저감장치
CN209952474U (zh) 一种液洗空气净化器
CN203183843U (zh) 一种车间烟尘自循环净化处理装置
KR102282042B1 (ko) 복합 집진 기능을 가진 문어발 공기 정화장치
KR20220010670A (ko) 고체입자 운송을 위한 상차시스템
CN105674397A (zh) 一种室内用高效空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