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859B1 -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 Google Patents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859B1
KR102329859B1 KR1020200091176A KR20200091176A KR102329859B1 KR 102329859 B1 KR102329859 B1 KR 102329859B1 KR 1020200091176 A KR1020200091176 A KR 1020200091176A KR 20200091176 A KR20200091176 A KR 20200091176A KR 102329859 B1 KR102329859 B1 KR 10232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attery
wiring
solar ce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르
지유성
Original Assignee
이미르
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르, 지유성 filed Critical 이미르
Priority to KR102020009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859B1/ko
Priority to PCT/KR2020/017419 priority patent/WO202201939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50Charging of capacitors, supercapacitors, ultra-capacitors or double 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은 가방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의하는 몸체와,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과, 복수의 공통배선 각각의 상기 공통단자가 형성된 상기 일 단부의 반대쪽인 타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이 상기 전면체를 대향하여 소정 길이의 행 방향 및 소정 길이의 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노출면에서 노출되는 연결판과, 말단에 상기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수형 스냅 버튼이 형성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 상기 전면부, 상기 저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 둘러싸인 내부에 소정 용량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이너포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Bag with multi-layer storage structure}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 모듈 및 수납용 이너포켓을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배치할 수 있는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직물이나 인조피혁 등으로 이루어져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용구로, 그 착용 형태에 따라 등에 착용하는 백팩(back pack)과 어깨에 착용하는 숄더백(shoulder bag) 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0-0046604호 2020년 05월 07일 공개 (명칭: 가방)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 모듈 및 수납용 이너포켓을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배치할 수 있고, 수납된 물품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은 판형의 배면체와, 상기 배면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형의 전면체와, 상기 전면체와 상기 배면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저면체와, 상기 전면체와 상기 배면체의 좌측 및 우측을 연결하는 판형의 좌측면체 및 우측면체를 포함하는 측면체와, 상기 전면체와 상기 배면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상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체, 상기 전면체, 상기 저면체, 상기 측면체 및 상기 상면체로 둘러싸인 내부에 소정 용량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배면체, 상기 전면체, 상기 저면체, 상기 측면체 및 상기 상면체 모두가 외피체 및 내피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되어 가방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의하는 몸체와,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끈과, 상기 전면체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노출면과 상기 배면체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은닉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배면체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노출면과 상기 은닉면의 사이에 배치되며 일 단부에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공통단자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통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통배선 각각의 상기 공통단자가 형성된 상기 일 단부의 반대쪽인 타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이 상기 전면체를 대향하여 소정 길이의 행 방향 및 소정 길이의 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노출면에서 노출되는 연결판과, 상기 몸체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외피부 및 내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되고, 판형의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형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저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판형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하는 측면부와, 상기 배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상기 측면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말단에 상기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수형 스냅 버튼이 형성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 상기 전면부, 상기 저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 둘러싸인 내부에 소정 용량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이너포켓을 포함한다.
상기 가방은 중공의 박스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2차전지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며 슈퍼캐패시터인 버퍼와, 상기 버퍼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관리모듈과, 상기 연결판의 공통단자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배선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과, 상기 배면체, 상기 전면체, 상기 저면체, 상기 측면체 및 상기 상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전자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충전용포켓과, 상기 배터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모듈로부터 상기 몸체 중 상기 충전용포켓이 부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충전용포켓의 내부로 돌출되며 단부에 충전단자가 형성된 충전배선과, 상기 전면체의 외면에 부착되며,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체에 형성된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발전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한 전력을 상기 발전배선을 통해 상기 배터리모듈에 공급하는 가지는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관리모듈은 상기 충전단자에 전자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 및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하는 전력량을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만충 상태이고,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태양전기가 생산하는 전력을 상기 버퍼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고,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포켓은 상기 수형 스냅 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합배선과 연결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수형 스냅 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합배선과 연결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연결판의 상기 공통단자와 연결되는 제어배선 및 상기 제어배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제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너포켓의 상기 수형 스냅 버튼이 상기 연결판의 상기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면, 상기 제어배선, 상기 공통배선 및 상기 복합배선을 통해 상기 이너포켓의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이너포켓의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이너포켓 내의 물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물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너포켓 내의 발광부를 통해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제모듈은 진동모터를 통해 가방을 진동시키는 진동부와, 가방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동감지부를 통해 가방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내부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이 존재하면, 상기 진동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너포켓을 통해 가방에 물품이 수납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가방의 물품을 잊지 않고 챙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연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이너포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배터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충전용 포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태양전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관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기본적으로, 가방의 몸체(100)와 어깨끈(11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가방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의하는 외형을 이룬다. 전면체(100F), 배면체(100B), 좌측면체(100L) 및 우측면체(100R)를 포함하는 측면체(100S)와, 상면체(100H) 및 저면체(100U)를 포함한다.
배면체(100B)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가방을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등에 닿는 부분이다. 전면체(100F)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배면체(100B)에 대향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전면체(100F)는 사용자가 가방을 착용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측면체(100S)는 좌측면체(100L) 및 우측면체(100R)를 포함한다. 좌측면체(100L) 및 우측면체(100R) 각각은 전면체(100F)와 배면체(100B)의 좌측 및 우측을 연결하며 판형으로 형성된다. 저면체(100U)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전면체(100F)와 배면체(100B)의 하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면체(100H)는 전면체(100F)와 배면체(100B)의 상부를 연결하며 소정 형상을 가진다.
몸체의 전면체(100F), 배면체(100B), 좌측면체(100L) 및 우측면체(100R)를 포함하는 측면체(100S)와, 상면체(100H) 및 저면체(100U)로 둘러싸인 내부에 소정 용량의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전면체(100F), 배면체(100B), 좌측면체(100L) 및 우측면체(100R)를 포함하는 측면체(100S), 상면체(100H) 및 저면체(100U)는 일체로 형성되며, 외피체 및 내피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된다.
어깨끈(110)은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착용할 수 있도록 배면체(100B)의 외면에 부착된다. 어깨끈(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인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어깨끈(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연결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연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연결판(200)을 더 포함한다. 연결판(200)은 전체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된다. 연결판(200)은 전면체(100F)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노출면(200F)과 배면체(100B)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은닉면(200B)을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판(200)은 몸체(100)의 배면체(100B)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연결판(200)은 노출면과 은닉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통배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연결판(200)은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공통단자(CC)를 포함하며, 공통배선은 공통배선의 일 단부에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공통단자(CC: Common Connector)에 연결된다.
특히, 연결판(200)은 복수의 공통배선 각각의 공통단자(CC)가 형성된 상기 일 단부의 반대쪽인 타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FSB)이 전면체(100F)를 대향하여 소정 길이의 행 방향 및 소정 길이의 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노출면(200F)에 노출되어 형성된다. 정리하면, 복수의 공통배선의 일단은 공통단자(CC: Common Connector)에 연결되며, 복수의 공통배선 각각의 타 단은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FSB)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이너포켓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이너포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복수의 이너포켓(300)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이너포켓(300) 각각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이너포켓(300)은 외피부 및 내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너포켓(300)은 전면부(300F), 배면부(300B), 측면부(300S), 좌측면부(300L) 및 우측면부(300R)를 포함하는 측면부(300S) 및 상면부(300H)를 포함한다.
전면부(300F) 및 배면부(300B)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호 간에 대향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저면부(300U)는 전면부(300F)와 배면부(300B)의 하부를 연결하며 판형으로 형성된다. 측면부(300S)는 판형의 좌측면부(300L) 및 판형의 우측면부(300R)를 포함하며, 전면부(300F)와 배면부(300B)의 양측을 연결한다. 상면부(300H)는 배면부(300B)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면부(300H)는 걸이 없는 잠금장치(Hookless Fastener), 예컨대, 지퍼(Zipper), 등을 통해 전면부(300B), 측면부(300S)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이너포켓(300)은 전면부(300F), 배면부(300B), 측면부(300S), 좌측면부(300L) 및 우측면부(300R)를 포함하는 측면부(300S) 및 상면부(300H)로 둘러싸인 내부에 소정 용량의 수납공간을 가진다. 이너포켓(300)은 스트랩(310)을 더 포함한다. 스트랩(310)은 배면부(300B)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말단에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FSB)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수형 스냅 버튼(MSB)이 형성된다.
한편, 복수의 이너포켓(300) 각각의 내부에는 감지센서(DS) 및 발광부(LT)가 설치된다. 예컨대, 감지센서(DS)는 포토센서, 레이저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발광부(LT)는 LED가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너포켓(300) 각각은 수형 스냅 버튼(MSB)에 연결되고 스트랩(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합배선(320)을 포함한다. 감지센서(DS) 및 발광부(LT)는 복합배선(320)에 연결되며, 감지센서(DS) 및 발광부(LT)는 복합배선(3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감지 신호, 제어 신호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이너포켓(300) 각각은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포켓(300)의 내부의 수납공간의 용량은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복수의 이너포켓(300) 각각은 수납하는 물품의 속성에 적합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이너포켓(300)은 방수가 요구되는 물품, 예컨대, 젖은 수영복, 수건 등을 수납하기 위해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너포켓(300)은 통풍이 요구되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망사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이너포켓(300)은 보온이 요구되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이너포켓(300)은 수납되는 물품의 형태를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너포켓(300)은 수납되는 물품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포켓(300)은 전면체(100F), 배면체(100B), 좌측면체(100L) 및 우측면체(100R)를 포함하는 측면체(100S), 상면체(100H) 및 저면체(100U)로 둘러싸인 몸체(100) 내부의 소정 용량의 공간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배터리모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배터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배터리모듈(400)을 더 포함한다. 배터리모듈(400)은 중공의 박스형의 케이스(401) 내에 형성되는 배터리(410), 버퍼(420) 및 배터리관리모듈(430)을 포함한다.
배터리(410)는 2차전지이며, 케이스(401) 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배터리(410)는 교체 가능하다. 버퍼(420)는 슈퍼캐패시터이며, 케이스(401) 내에 형성되고, 배터리(410)와 연결된다. 배터리관리모듈(430)은 배터리(410) 및 버퍼(420)와 연결되며, 배터리(410) 및 버퍼(420)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또한, 배터리모듈(400)은 전원공급배선(440)을 통해 연결판(200)의 공통단자(CC)와 연결된다. 배터리모듈(400)은 전원공급배선(440)을 통해 연결판(200)의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FSB) 중 어느 하나와 수형 스냅 버튼(MSB)을 통해 연결된 이너포켓(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충전용 포켓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충전용 포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충전용 포켓(500)을 더 포함한다. 충전용 포켓(500)은 전자기기를 수납하면서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용 포켓(500)은 배면체(100B), 전면체(100F), 저면체(100U), 측면체(100S) 및 상면체(100H)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도 5에 측면체(100S) 중 좌측면체(100L)의 외면에 부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충전용 포켓(500)의 내부에는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해 그 단부에 충전단자(520)가 형성된 충전배선(510)이 마련된다. 단부에 충전단자(520)가 형성된 충전배선(510)은 배터리모듈(400)에 연결된다. 이때, 단부에 충전단자(520)가 형성된 충전배선(510)은 배터리모듈(400)로부터 연장되어 몸체(100) 중 충전용포켓(500)이 부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부(501)를 관통하여 충전용포켓(500)의 내부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태양전지모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태양전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태양전지모듈(600)을 더 포함한다. 태양전지모듈(600)은 태양광 에너지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여 배터리모듈(400)의 배터리(410)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태양전지모듈(600)은 전면체(100F)의 외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태양전지(610)를 포함한다. 태양전지모듈(600)은 발전배선(620)을 통해 배터리모듈(400)과 연결된다. 발전배선(620)은 복수의 태양전지(610)와 연결되어 전면체(100F)의 태양전지모듈(600)이 부착된 부분에 형성된 절개부(미도시)를 관통하여 배터리모듈(400)과 연결된다. 태양전지모듈(600)은 복수의 태양전지(610)가 생산한 전력을 발전배선(620)을 통해 배터리모듈(400)에 공급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모듈(400)의 배터리관리모듈(430)은 충전단자(520)에 전자기기가 연결되면, 배터리(410)의 충전상태 및 태양전지(610)가 생산하는 전력량을 고려하여 전자기기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이때, 배터리관리모듈(430)은 배터리(410)의 충전상태가 만충 상태이고, 태양전지(610)가 생산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태양전지(610)가 생산하는 전력을 버퍼(320)를 통해 전자기기에 공급함으로써, 전자기기를 충전시킨다. 반면, 배터리관리모듈(430)은 태양전지(610)가 생산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배터리(410)의 전력을 전자기기에 공급하여 전자기기를 충전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관제모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의 관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관제모듈(700)을 더 포함한다. 관제모듈(700)은 케이스(701) 내에 이동감지부(720), 진동부(730) 및 관리부(740)를 포함한다.
이동감지부(720)는 가방(10)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동감지부(720)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동감지부(720)는 가방(10)이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감지된 가방(10)의 이동을 관리부(740)에 전달한다.
진동부(730)는 가방(10)에 출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동부(730)는 진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동부(730)는 관리부(740)의 제어에 따라 진동모터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가방(10)을 진동시킨다.
관리부(740)는 가방(10)의 내부의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부(74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관제모듈(700)은 제어배선(750)을 더 포함한다. 제어배선(750)은 연결판(200)의 공통단자(CC)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관리부(740)는 제어배선(750), 공통배선 및 복합배선(320)을 통해 감지센서(DS) 및 발광부(LT)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관리부(740)은 감지센서(DS) 및 발광부(LT)와 통신하며, 감지센서(DS) 및 발광부(LT)를 제어할 수 있다.
이너포켓(300)의 수형 스냅 버튼(MSB)이 연결판(200)의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FSB)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면, 관리부(740)는 이너포켓(300)의 감지센서(DS)를 통해 이너포켓(300) 내의 물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방(10) 자체적으로 이너포켓(300) 내의 물품이 존재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부(740)는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너포켓(300) 내의 발광부(LT)를 통해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300)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관리부(740)는 이동감지부(720)를 통해 가방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복수의 이너포켓(300)의 감지센서(DS)를 통해 그 내부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3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300)이 존재하면, 진동부(730)가 진동하도록 제어한다. 가방(10)의 이동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가방을 착용한 상태이기 때문에 발광부(LT)를 통해 빛을 발광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방의 이동을 감지한 경우,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그 내부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이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가방 100: 몸체
110: 어깨끈 200: 연결판
300: 이너포켓 310: 스트랩
400: 배터리모듈 401: 케이스
410: 배터리 420: 버퍼
430: 배터리관리모듈 440: 전원공급배선
500: 충전용 포켓 501: 절개부
510: 충전용 배선 520: 충전단자
600: 태양전지모듈 601: 절개부
610: 태양전지 620: 발전배선
700: 관제모듈 701: 케이스
720: 이동감지부 730: 진동부
740: 관리부 750: 제어배선

Claims (5)

  1.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에 있어서,
    판형의 배면체와, 상기 배면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형의 전면체와, 상기 전면체와 상기 배면체의 하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저면체와, 상기 전면체와 상기 배면체의 좌측 및 우측을 연결하는 판형의 좌측면체 및 우측면체를 포함하는 측면체와, 상기 전면체와 상기 배면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상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체, 상기 전면체, 상기 저면체, 상기 측면체 및 상기 상면체로 둘러싸인 내부에 소정 용량의 공간을 가지며,
    상기 배면체, 상기 전면체, 상기 저면체, 상기 측면체 및 상기 상면체 모두가 외피체 및 내피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되어
    가방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의하는 몸체;
    사용자가 상기 몸체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끈;
    상기 전면체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노출면과 상기 배면체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은닉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기 배면체의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노출면과 상기 은닉면의 사이에 배치되며 일 단부에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공통단자에 연결되는 복수의 공통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통배선 각각의 상기 공통단자가 형성된 상기 일 단부의 반대쪽인 타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이 상기 전면체를 대향하여 소정 길이의 행 방향 및 소정 길이의 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노출면에서 노출되는 연결판;
    상기 몸체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외피부 및 내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겹으로 형성되고, 판형의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형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저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판형의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하는 측면부와, 상기 배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상기 측면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말단에 상기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수형 스냅 버튼이 형성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 상기 전면부, 상기 저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 둘러싸인 내부에 소정 용량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이너포켓;
    중공의 박스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2차전지인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며 슈퍼캐패시터인 버퍼와, 상기 버퍼 및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관리모듈과, 상기 연결판의 공통단자와 연결되는 전원공급배선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상기 배면체, 상기 전면체, 상기 저면체, 상기 측면체 및 상기 상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전자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충전용포켓;
    상기 배터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모듈로부터 상기 몸체 중 상기 충전용포켓이 부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충전용포켓의 내부로 돌출되며 단부에 충전단자가 형성된 충전배선; 및
    상기 전면체의 외면에 부착되며,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체에 형성된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발전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한 전력을 상기 발전배선을 통해 상기 배터리모듈에 공급하는 가지는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관리모듈은
    상기 충전단자에 전자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 및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하는 전력량을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만충 상태이고,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하는 전력을 상기 버퍼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고,
    상기 태양전지가 생산하는 전력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포켓은
    상기 수형 스냅 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합배선과 연결되는 감지센서;
    상기 수형 스냅 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합배선과 연결되는 발광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방은
    상기 연결판의 상기 공통단자와 연결되는 제어배선 및 상기 제어배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제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너포켓의 상기 수형 스냅 버튼이 상기 연결판의 상기 복수의 암형 스냅 버튼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어배선, 상기 공통배선 및 상기 복합배선을 통해 상기 이너포켓의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이너포켓의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이너포켓 내의 물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물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너포켓 내의 발광부를 통해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모듈은
    진동모터를 통해 가방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가방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감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이동감지부를 통해 가방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내부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내부에 물품이 존재하지 않는 이너포켓이 존재하면, 상기 진동부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KR1020200091176A 2020-07-22 2020-07-22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KR10232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76A KR102329859B1 (ko) 2020-07-22 2020-07-22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PCT/KR2020/017419 WO2022019397A1 (ko) 2020-07-22 2020-12-02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에 수납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176A KR102329859B1 (ko) 2020-07-22 2020-07-22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859B1 true KR102329859B1 (ko) 2021-11-22

Family

ID=7871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176A KR102329859B1 (ko) 2020-07-22 2020-07-22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8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99Y1 (ko) * 2013-04-29 2013-09-04 장원준 보온 난로의 기능을 가진 책가방
JP5419610B2 (ja) * 2009-09-17 2014-02-19 株式会社インディード・クラン バッグ及び容器の中仕切り
CN105559307A (zh) * 2014-10-14 2016-05-11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箱包内物品识别方法、装置、箱包及用户终端
KR20160128202A (ko) * 2015-04-28 2016-11-07 정-위엔 수 내부 안감 및 이를 갖는 방수 가방
US20160350639A1 (en) * 2015-06-01 2016-12-01 Riera Carrión Tere Smart Backpack
KR20180006571A (ko) * 2016-07-08 2018-01-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물품 수납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46604A (ko) 2018-10-25 2020-05-07 임현표 가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9610B2 (ja) * 2009-09-17 2014-02-19 株式会社インディード・クラン バッグ及び容器の中仕切り
KR200468699Y1 (ko) * 2013-04-29 2013-09-04 장원준 보온 난로의 기능을 가진 책가방
CN105559307A (zh) * 2014-10-14 2016-05-11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箱包内物品识别方法、装置、箱包及用户终端
KR20160128202A (ko) * 2015-04-28 2016-11-07 정-위엔 수 내부 안감 및 이를 갖는 방수 가방
US20160350639A1 (en) * 2015-06-01 2016-12-01 Riera Carrión Tere Smart Backpack
KR20180006571A (ko) * 2016-07-08 2018-01-1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물품 수납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46604A (ko) 2018-10-25 2020-05-07 임현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02411U (zh) 无线充电装置
CA2070493C (en) Call selective receiver built in with vibrator
US7863859B2 (en)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apparel
US10063086B2 (en) Portable power charger kit for wirelessly recharging electronic devices
US20150200554A1 (en) Chargeable, portable storage case for optical and other wearable computing devices
EP2653053A1 (en) Solar powered cases
US20020061739A1 (en) Wireless mouse unit, wireless mouse and receiver
US20080231225A1 (en)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and clothing assembly having the same
US7737656B2 (en) Automatic recharging mouse with self-movement feature
US9614371B1 (en)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structures
TW200908903A (en) Portfolio with embedded mobile accessory
US10508474B2 (en) Lock charging apparatus
CN106981932B (zh) 无线充电装置和其方法
KR102329859B1 (ko)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
US20090170395A1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and storage housing
KR102329860B1 (ko) 가방에 수납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CN211656349U (zh) 耳机收纳盒和耳机组件
Varshney et al. Solar powered smart bag
CN210725289U (zh) 一种tws耳机充电盒
EP3010365B1 (en) Audio-visual system for multi-compartment traveling kit
KR101666467B1 (ko) 스마트 신발용 전원공급장치
US202002885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llumination
WO2022019397A1 (ko) 다층 수납 구조를 가지는 가방에 수납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CN201327717Y (zh) 手电筒式摄录一体机
KR101978840B1 (ko) 태양광과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충전 백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