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422B1 - Energy harves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Energy harves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422B1
KR102329422B1 KR1020170107926A KR20170107926A KR102329422B1 KR 102329422 B1 KR102329422 B1 KR 102329422B1 KR 1020170107926 A KR1020170107926 A KR 1020170107926A KR 20170107926 A KR20170107926 A KR 20170107926A KR 102329422 B1 KR102329422 B1 KR 10232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ximum power
voltage
energy sour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2097A (en
Inventor
공병구
강태구
김진아
이재덕
권오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422B1/en
Publication of KR2019002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4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는 에너지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상응하는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하는 최대 전력 점 추적부와,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여 최대 전력을 수집하고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최대 전력 수집부와,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relates to an energy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comprising: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for extracting a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a corresponding energy source based on an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The selector selects the energy source with the largest error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It may include a maximum power collector that outputs the maximum power, and a controller that detects a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and controls the maximum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Figure R1020170107926
Figure R1020170107926

Description

에너지 수집 장치{ENERGY HARVESTING APPARATUS}Energy Harvesting Device {ENERGY HARV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너지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는 에너지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coll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ergy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일반적으로, 화석 연료의 고갈로 인하여 에너지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태양광 등과 같은 신 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여 발전시키는 에너지 수집 장치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In general, as the energy problem becomes serious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the development of an energy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and generating energy from a renewable energy source such as sunlight is accelerating.

이러한 에너지 수집 장치는, 에너지원의 출력 특성 곡선이 최대 전력 점에 도달할 때, 최대 전력을 얻을 수 있다.Such an energy collecting device can obtain maximum power when the output characteristic curve of the energy source reaches the maximum power point.

하지만, 최대 전력 점은, 에너지원의 환경에 따라 가변하는 값이므로, 환경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최대 전력 점을 찾아내야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다.However, since the maximum power point is a variable valu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energy source, the maximum efficiency can be obtained only by finding the maximum power point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따라서, 에너지 수집 장치는, 최대 전력 점을 추적할 수 있는 최대 전력 점 추적 장치(Maxium Power Point Tracking; MPPT)를 필요로 한다.Therefore, the energy collecting device requires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capable of tracking the maximum power point.

또한, 에너지 수집 장치는, 하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최대 전력 점 추적 장치를 통하여 최대 전력을 얻을 수 있었지만, 다른 에너지원에 적용할 수 없어 다른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를 설계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energy collection device could obtain the maximum power from one energy source through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device, it cannot be applied to other energy sources, so there is an inefficiency in designing an energy collection device corresponding to another energy source. there was.

따라서, 향후 서로 다른 다수의 에너지원에 공용으로 적용되고,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는 에너지 수집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n energy collecting device that is commonly appli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energy sources in the future and can efficiently collect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는 에너지 수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is to compare the outpu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with the extracted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select an energy source with the largest error, and detect a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and select the maximum value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ergy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ollecting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by dispo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wer collecting uni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최대 전력을 수집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상응하는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하는 최대 전력 점 추적부와,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여 최대 전력을 수집하고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최대 전력 수집부와,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for extracting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energy sourc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and a selector that selects the energy source with the largest error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energy source with the extracted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adjusts the output voltage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from the selector to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to obtain maximum power It may include a maximum power collector that collects and outputs the collected maximum power, and a controller that detects a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and controls the maximum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여기서, 선택부는,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최대 전력 점 전압 사이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와,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와,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제1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제1 선택기와, 제1 선택기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오차와 최소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lector includes an error amplifier that receives the output voltag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amplifies and outputs an error between the input outpu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energy source. A first comparator that compares signals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s of and a second comparator for comparing an error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from the first selector with a minimum reference value.

그리고, 선택부는, 제1 선택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는 제3 비교기와, 제1 선택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제3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제2 선택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lector includes a third comparator that compares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receives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and selects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third comparato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lector.

또한, 최대 전력 수집부는,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저장하는 제1 버퍼부와, 제1 버퍼부에 저장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부와, 제1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와, 전압 조절부로부터 조절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조절된 전압을 저장하여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제2 버퍼부와,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이 제2 버퍼부로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a first buffer unit for sto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lected energy source, a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is output,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to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 second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o output the adjusted voltage from the voltage adjusting unit, and adjusting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buffer unit for outputting the maximum power collected by storing the voltage, and a third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is output to the second buffer unit.

이어, 제어부는,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할 때, 동일한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1 선택 모드,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2 선택 모드, 배터리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3 선택 모드, 배터리가 한 번만 선택되는 제4 선택 모드 중 어느 한 선택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Next, when detecting the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selection mode in which the same energy source is continuously selected, a second selection mode in which different energy sources are consecutively selected, and a third selection mode in which a battery is continuously selected. Any one of the selection mode and the fourth selection mode in which the battery is selected only once may be detected.

그리고, 제어부는,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할 때,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PWM 신호를 토대로 전압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when controlling the maximum power collector,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PWM signal by adjusting a duty ratio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and may control the voltage controller based on the generated PWM signal.

다음, 제어부는,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저장부와, 검출된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듀티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각 에너지원의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생성부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의 출력 신호와 램프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부와, 각 에너지원의 램프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제2 비교부와, 제1, 제2 비교부의 출력 신호를 토대로 듀티비를 조절하여 PWM 신호 생성하는 PWM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du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is preset and stored, an extraction unit extracting du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from the storage unit, and converting the extracted duty information into an analog signal. a digital-to-analog converter; a ramp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amp signal of each energy source; a first comparator for comparing an output signal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ramp signal generator; It may include a second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signal and the reference signal, and a PWM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WM signal by adjusting a duty ratio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ators.

또한, 본 발명은,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콜드 스타트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며,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콜드 스타트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를 온(on)시키는 콜드 스타트(cold start)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old start voltag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detects whether the generated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and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the cold start voltage is It may further include a cold start unit for outputting to the control unit to turn on the control unit.

여기서, 콜드 스타트부는, 제어부를 온(on) 시킴과 동시에 오프(off)될 수 있다.Here, the cold start unit may b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s turning on the control unit.

이어, 콜드 스타트부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합성하는 에너지원 전압 합성부와, 합성된 전압을 토대로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와, 생성된 클럭 신호를 승압시켜 콜드 스타트 전압을 생성하는 콜드 스타트 전압 생성부와, 생성된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검출부로부터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콜드 스타트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가 온(on)되도록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ld start unit includes an energy source voltage synthesizer that synthesizes output voltages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a clock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clock signal based on the synthesized voltage, and a cold start voltage by boosting the generated clock signal. a cold start voltage generator generating ) may include a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o be.

또한, 콜드 스타트부는, 출력단이 배터리에 연결될 때,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의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가 온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ld start unit may include a second switching unit that outputs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switches the control unit to turn on.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수집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energy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with the extracted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detecting a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By dispo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aximum power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llect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콜드 스타트부를 배치하여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drive the control unit by disposing the cold start unit.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수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에너지원과 최대 전력 점 추적부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에너지원과 최대 전력 점 추적부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택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선택부의 클럭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1의 최대 전력 수집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어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8은 PMW 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콜드 스타트부를 포함하는 최대 전력 수집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콜드 스타트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에너지원 전압 합성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검출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and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and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lection unit of FIG. 1 .
5 is a clock timing diagram of a selection unit.
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maximum power collector of FIG. 1 .
FIG. 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FIG. 1 .
8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generation of a PMW signal.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including a cold start unit.
FIG. 10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ld start unit of FIG. 9 .
1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source voltage synthesizer of FIG. 10 .
FIG. 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detection unit of FIG. 10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수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수집 장치는, 다수의 에너지원(100)으로부터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energy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100 .

여기서, 다수의 에너지원(100)은, 서로 다른 에너지원일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nergy sources 100 may be different energy sources.

일 예로, 다수의 에너지원(100)은, 태양광 에너지원과 같은 제1 에너지원(110), RF(Radio Frequency) 신호 에너지원과 같은 제2 에너지원(120), 진동 에너지원과 같은 제3 에너지원(130), 배터리와 같은 제4 에너지원(1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nergy sources 100 include a first energy source 110 such as a solar energy source, a second energy source 120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energy source, and a second energy source such as a vibration energy source. The third energy source 130 may include a fourth energy source 140 such as a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에너지 수집 장치는,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 선택부(300), 최대 전력 수집부(400), 그리고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ergy collection device may include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 a selection unit 300 , a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 and a control unit 500 .

최대 전력 점 수집부(200)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상응하는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할 수 있다.The maximum power point collection unit 200 may extract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energy sourc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여기서,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 개일 수 있으며, 각 에너지원(100)에 대해 일대일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be plural, and may be dispos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energy source 100 .

일 예로,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의 개수는, 에너지원(10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of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s 20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energy sources 100 .

예를 들면,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가 제1 최대 전력 점 추적기, 제2 최대 전력 점 추적기, 제3 최대 전력 점 추적기, 제4 최대 전력 점 추적기를 포함한다면, 제1 최대 전력 점 추적기는 제1 에너지원에 대응하여 제1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하고, 제2 최대 전력 점 추적기는 제2 에너지원에 대응하여 제2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하며, 제3 최대 전력 점 추적기는 제3 에너지원에 대응하여 제3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하고, 제4 최대 전력 점 추적기는 제4 에너지원에 대응하여 제4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0 includes a first maximum power point tracker, a second maximum power point tracker, a third maximum power point tracker, and a fourth maximum power point tracker, the first maximum power point tracker corresponds to the first energy source and extracts the maximum power point of the first energy source, the second maximum power point tracker extracts the maximum power point of the second energy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ergy source, and the third maximum power The point tracker may extract a maximum power point of the third energy sour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energy source, and the fourth maximum power point tracker may extract a maximum power point of the fourth energy sourc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nergy source.

이 경우,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의 에너지원에 대해 동시에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can simultaneously extract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for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so that the maximum power can be collected at a high speed.

다른 예로서,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의 에너지원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여기서,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의 개수는, 다수의 에너지원(100)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nergy sources 100 .

예를 들면,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가 하나의 최대 전력 점 추적기를 포함한다면, 최대 전력 점 추적기는 제1, 제, 제3, 제4 에너지원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제2, 제3, 제4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0 includes on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rst, third, and fourth energy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rst , the maximum power point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energy sources may be extracted.

이 경우,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의 에너지원에 대해 순차적으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할 수 있는데, 하나의 최대 전력 점 추적기만을 사용하므로, 회로 설계가 간단하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sequentially extract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for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Since only on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is used, the circuit design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an have an effect.

다음, 선택부(300)는, 에너지원(100)의 출력 전압과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Next, the selector 300 may select the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energy source 100 with the extracted maximum power point voltage.

이때, 선택부(300)가 오차가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수의 에너지원들 중, 가장 오차가 큰 에너지원을 우선적으로 최대 전력을 수집함으로써, 최대 전력 수집 시간 및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selection unit 300 selects the energy source with a large error is that, among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the energy source with the largest error is preferentially collected to maximize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time and efficiency. because it can

여기서, 선택부(300)는, 오차 증폭기, 제1 비교기, 제1 선택기 및 제2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lector 300 may include an error amplifier, a first comparator, a first selector, and a second comparator.

오차 증폭기는,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최대 전력 점 전압 사이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error amplifier may receive the output voltag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and amplify and output an error between the input outpu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이어, 제1 비교기는,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할 수 있다.Next, the first comparator may compare signals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s corresponding to each energy source.

다음, 제1 선택기는,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제1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Next, the first selector may receive signals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s corresponding to each energy source, and select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comparator.

그리고, 제2 비교기는, 제1 선택기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오차와 최소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The second comparator may compare the error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by the first selector with the minimum reference value.

경우에 따라, 선택부(300)는, 제3 비교기와 제2 선택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selector 3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mparator and a second selector.

여기서, 제3 비교기는, 제1 선택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고, 제2 선택기는, 제1 선택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제3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third comparator compar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the second selector receiv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and the energy having the largest err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third comparator You can choose a circle.

일 예로, 제어부(500)는, 선택부(300)의 제2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에너지원의 오차가 최소 기준값보다 작다고 인지하면, 에너지원의 선택 대신에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recognizing that the error of the energy sourc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mparator of the selection unit 300 , the controller 500 may select the battery instead of selecting the energy source.

다음, 최대 전력 수집부(400)는, 선택부(300)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여 최대 전력을 수집하고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Next,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may adjust the output voltage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300 to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to collect the maximum power and output the collected maximum power.

일 예로, 최대 전력 수집부(400)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may be a dc-dc converter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0 .

최대 전력 수집부(400)는,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저장하는 제1 버퍼부, 제1 버퍼부에 저장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부, 제1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 전압 조절부로부터 조절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조절된 전압을 저장하여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제2 버퍼부, 그리고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이 제2 버퍼부로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the first buffer unit for sto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lected energy source, the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is output,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 voltage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to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 second switching unit that switch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adjusted voltage is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 unit, a voltage adjus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buffer unit for outputting the maximum power collected by storing , and a third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is output to the second buffer unit.

여기서, 제3 스위칭부는,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을 제2 버퍼에 저장하여 배터리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Here, the third switching unit may store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in the second buffer to be switched to be output to the battery.

그리고, 제어부(500)는, 선택부(300)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최대 전력 수집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detect the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300 and control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여기서, 제어부(500)는, 선택부(300)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할 때, 동일한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1 선택 모드,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2 선택 모드, 배터리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3 선택 모드, 배터리가 한 번만 선택되는 제4 선택 모드 중 어느 한 선택 모드를 검출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 when detecting the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300, the control unit 500, a first selection mode in which the same energy source is continuously selected, a second selection mode in which different energy sources are continuously selected, and the battery Any one of a third selection mode continuously selected and a fourth selection mode in which the battery is selected only once may be det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 제어부(500)는, 최대 전력 수집부(400)를 제어할 때,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PWM 신호를 토대로 전압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n, when controlling the maximum power collecting unit 400, the controller 500 generates a PWM signal by adjusting a duty ratio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and based on the generated PWM signal, the voltage adjusting unit can be controlled

일 예로, 제어부(500)는, 검출한 선택 모드가 동일한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이거나 또는 배터리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일 경우, PWM 신호의 듀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tected sel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ame energy source is continuously selected or a mode in which a battery is continuously selected, the control unit 500 may increase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또한, 제어부(500)는, 검출한 선택 모드가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이거나 또는 배터리가 한 번만 선택되는 모드일 경우,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Also, when the detected sel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different energy sources are continuously selected or a mode in which a battery is selected only once, the control unit 500 may reduce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경우에 따라, 제어부(500)는,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할 때,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설정값을 토대로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In some cases, when adjusting the duty ratio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duty ratio based on a preset value stored in which a duty ratio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is prese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500)가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를 조정하여 최대 전력 수집부(400)를 제어하므로, 최대 전력 수집 시간 및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by adjusting the duty ratio according to the selection mod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time and efficiency.

일 예로, 제어부(500)는,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저장부, 검출된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듀티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각 에너지원의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생성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의 출력 신호와 램프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부, 각 에너지원의 램프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제2 비교부, 그리고 제1, 제2 비교부의 출력 신호를 토대로 듀티비를 조절하여 PWM 신호 생성하는 PWM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include a storage unit in which du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is preset and stored,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du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from the storage unit, and converts the extracted duty information into an analog signal. A digital-to-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a ramp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ramp signal of each energy source, a first comparison section for comparing an output signal of the digital-analog converter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ramp signal generator, and a ramp signal of each energy source and a second comparator comparing the reference signal with the reference signal, and a PWM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PWM signal by adjusting a duty ratio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ators.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콜드 스타트(cold start)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ld start (cold start) unit.

여기서, 콜드 스타트부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콜드 스타트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며,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콜드 스타트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를 온(on)시킬 수 있다.Here, the cold start unit generates a cold start voltag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detects whether the generated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and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the cold start voltage is It can be output to the control unit to turn on the control unit.

그리고, 콜드 스타트부는, 제어부(500)를 온(on) 시킴과 동시에 오프(off)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start unit may b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that the control unit 500 is turned on.

따라서, 본 발명은, 콜드 스타트부를 배치함으로써, 제어부(500)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cold start unit, the control unit 500 can be stably driven.

일 예로, 콜드 스타트부는, 출력단이 배터리에 연결될 때,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의 전압을 제어부(500)로 출력하여 제어부(500)를 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d start unit may output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the controller 500 to turn on the controller 500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예를 들면, 콜드 스타트부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합성하는 에너지원 전압 합성부, 합성된 전압을 토대로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 생성된 클럭 신호를 승압시켜 콜드 스타트 전압을 생성하는 콜드 스타트 전압 생성부, 생성된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 검출부로부터 상기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콜드 스타트 전압을 제어부(500)로 출력하여 제어부(500)가 온(on)되도록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d start unit includes an energy source voltage synthesis unit that synthesizes output voltages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a clock signal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clock signal based on the synthesized voltage, and a cold start voltage by boosting the generated clock signal. a cold start voltage generator generating ) may include a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o be on (on).

여기서, 제1 스위칭부는, 제어부(500)를 온(on) 시킴과 동시에 콜드 스타트부가 오프(off)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witching unit may switch the control unit 500 to be turned on (on) and at the same time to turn the cold start unit off (off).

그리고, 콜드 스타트부는, 출력단이 배터리에 연결될 때,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의 전압을 제어부(500)로 출력하여 제어부(500)가 온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cold start unit, when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output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the control unit 500 to include a second switching unit to switch the control unit 500 is turned on. .

또한, 콜드 스타트부의 클럭 신호 생성부는, 링 오실레이터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clock signal generating unit of the cold start unit may be a ring oscill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에너지원과 최대 전력 점 추적부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에너지원과 최대 전력 점 추적부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and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and maximum pow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with the point tracking uni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전력 점 수집부(200)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상응하는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할 수 있는데,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 개일 수 있으며, 각 에너지원(100)에 대해 일대일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maximum power point collection unit 200 may extract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the corresponding energy sourc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 may be multiple, and may be arrang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energy source 100 .

여기서,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의 개수는, 에너지원(10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energy sources 100 .

예를 들면,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가 제1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1), 제2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2), 제3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3), 제4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4)를 포함한다면, 제1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1)는 제1 에너지원(110)에 대응하여 제1 에너지원(110)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하고, 제2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2)는 제2 에너지원(120)에 대응하여 제2 에너지원(120)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하며, 제3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3)는 제3 에너지원(130)에 대응하여 제3 에너지원(130)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하고, 제4 최대 전력 점 추적기(204)는 제4 에너지원(140)에 대응하여 제4 에너지원(140)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0 may include a first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1 , a second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2 , a third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3 , a fourth maximum power point tracker ( 204 ), the first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1 extracts the maximum power point of the first energy source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ergy source 110 , and the second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2 . extracts the maximum power point of the second energy source 1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ergy source 120 , and the third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3 corresponds to the third energy source 130 and the third energy source The maximum power point of 130 is extracted, and the fourth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4 may extract the maximum power point of the fourth energy source 140 in response to the fourth energy source 140 .

이 경우,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의 에너지원에 대해 동시에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can simultaneously extract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for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so that the maximum power can be collected at a high spe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의 에너지원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여기서,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의 개수는, 다수의 에너지원(100)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nergy sources 100 .

예를 들면,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가 하나의 최대 전력 점 추적기를 포함한다면, 최대 전력 점 추적기는 제1, 제, 제3, 제4 에너지원(110, 120, 130, 140)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제2, 제3, 제4 에너지원(110, 120, 130, 140)의 최대 전력 점을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200 includes on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rst, third, and fourth energy sources 110 , 120 , 130 , 140 . Correspondingly, the maximum power point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energy sources 110 , 120 , 130 , and 140 may be extracted.

이 경우, 최대 전력 점 추적부(200)는, 다수의 에너지원에 대해 순차적으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할 수 있는데, 하나의 최대 전력 점 추적기만을 사용하므로, 회로 설계가 간단하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200 may sequentially extract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for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Since only one maximum power point tracker is used, the circuit design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an have an effect.

도 4는 도 1의 선택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5는 선택부의 클럭 타이밍도이다.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selector of FIG. 1 , and FIG. 5 is a clock timing diagram of the selector.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수집 장치의 선택부(300)는, 에너지원(100)의 출력 전압(Vbuffer)과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Vmpp)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4 and 5, the selection unit 300 of the energy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output voltage (Vbuffer) of the energy source 100 and the extracted maximum power point voltage (Vmpp) The energy source with the largest error can be selected.

이때, 선택부(300)가 오차가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수의 에너지원들 중, 가장 오차가 큰 에너지원을 우선적으로 최대 전력을 수집함으로써, 최대 전력 수집 시간 및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selection unit 300 selects the energy source with a large error is that, among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the energy source with the largest error is preferentially collected to maximize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time and efficiency. because it can

여기서, 선택부(300)는, 오차 증폭기(310), 제1 비교기(320), 제1 선택기(330) 및 제2 비교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lector 300 may include an error amplifier 310 , a first comparator 320 , a first selector 330 , and a second comparator 340 .

일 예로, 오차 증폭기(310)는,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Vbuffer)과 최대 전력 점 전압(Vmpp)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최대 전력 점 전압 사이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rror amplifier 310 receives an output voltage (Vbuffer) and a maximum power point voltage (Vmpp) of each energy source, and amplifies an error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each input energy sourc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can be printed out.

이어, 제1 비교기(320)는,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310)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할 수 있다.Next, the first comparator 320 may compare signals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s 310 corresponding to each energy source.

다음, 제1 선택기(330)는,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310)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제1 비교기(3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Next, the first selector 330 receives signals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s 310 corresponding to each energy source, and selects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comparator 320 . can

그리고, 제2 비교기(340)는, 제3 비교기(350)와 제2 선택기(360)가 없고 제1 선택기(330)만 존재할 경우, 제1 선택기(330)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오차와 최소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comparator 350 and the second selector 360 do not exist and only the first selector 330 exists, the second comparator 340 has an error and the minimum reference value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from the first selector 330 . can be compared.

경우에 따라, 선택부(300)는, 제3 비교기(350)와 제2 선택기(3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selector 3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mparator 350 and a second selector 360 .

여기서, 제3 비교기(350)는, 제1 선택기(330)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고, 제2 선택기(360)는, 제1 선택기(330)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제3 비교기(35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third comparator 350 compares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330 , and the second selector 360 receiv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330 , and receives the third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350 .

이때, 제2 비교기(340)는, 제3 비교기(350)와 제2 선택기(360)가 존재할 경우, 제2 선택기(360)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오차와 최소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hird comparator 350 and the second selector 360 exist, the second comparator 340 may compare the error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from the second selector 360 with the minimum reference value.

일 예로, 제어부(500)는, 선택부(300)의 제2 비교기(3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에너지원의 오차가 최소 기준값보다 작다고 인지하면, 에너지원의 선택 대신에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unit 500 recognizes that the error of the energy sourc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mparator 340 of the selection unit 300, the battery may be selected instead of the selection of the energy source. .

도 6은 도 1의 최대 전력 수집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maximum power collector of FIG. 1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전력 수집부(400)는, 선택부(300)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여 최대 전력을 수집하고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adjusts the output voltage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300 to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to collect the maximum power and output the collected maximum power. have.

일 예로, 최대 전력 수집부(400)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may be a dc-dc converter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0 .

최대 전력 수집부(400)는, 제1 버퍼부(410), 제1 스위칭부(420), 전압 조절부(430), 제2 스위칭부(440), 제2 버퍼부(450), 그리고 제3 스위칭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includes a first buffer unit 410 , a first switching unit 420 , a voltage adjusting unit 430 , a second switching unit 440 , a second buffer unit 450 , and a second 3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460 .

여기서, 제1 버퍼부(410)는,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uffer unit 410 may store the output voltage of the selected energy source.

그리고, 제1 스위칭부(420)는, 제1 버퍼부(410)에 저장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420 may switch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410 is output.

이어, 전압 조절부(430)는, 제1 스위칭부(420)의 스위칭에 따라 제1 버퍼부(410)에 저장된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n, the voltage adjusting unit 430 may adjus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410 to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20 .

다음, 제2 스위칭부(440)는, 전압 조절부(430)로부터 조절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switching unit 440 may switch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adjusted from the voltage adjusting unit 430 is output.

그리고, 제2 버퍼부(450)는, 제2 스위칭부(460)의 스위칭에 따라 조절된 전압을 저장하여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uffer unit 450 may output the maximum power collected by storing the voltage adjus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460 .

이어, 제3 스위칭부(460)는, 제1 버퍼부(410)에 저장된 전압이 제2 버퍼부(450)로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다.Next, the third switching unit 460 may switch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410 is output to the second buffer unit 450 .

여기서, 제3 스위칭부(460)는, 제1 버퍼부(410)에 저장된 전압을 제2 버퍼부(450)에 저장하여 배터리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Here, the third switching unit 460 may store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410 in the second buffer unit 450 to be switched to be output to the battery.

도 7은 도 1의 제어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8은 PMW 신호 생성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unit of FIG. 1 , and FIG. 8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PMW signal genera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할 수 있다.7 and 8 , the controller 500 may detect a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and control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여기서, 제어부(500)는,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할 때, 동일한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1 선택 모드,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2 선택 모드, 배터리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제3 선택 모드, 배터리가 한 번만 선택되는 제4 선택 모드 중 어느 한 선택 모드를 검출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 when the control unit 500 detects the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the first selection mode in which the same energy source is continuously selected, the second selection mode in which different energy sources are continuously selected, and the battery are continuously selected Any one of the third selection mode in which the battery is selected and the fourth selection mode in which the battery is selected only once may be det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 제어부(500)는,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할 때,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PWM 신호를 토대로 전압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n, when controlling the maximum power collector, the controller 500 may generate a PWM signal by adjusting a duty ratio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and control the voltage controller based on the generated PWM signal. .

일 예로, 제어부(500)는, 검출한 선택 모드가 동일한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이거나 또는 배터리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일 경우, PWM 신호의 듀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tected sel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ame energy source is continuously selected or a mode in which a battery is continuously selected, the control unit 500 may increase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또한, 제어부(500)는, 검출한 선택 모드가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이거나 또는 배터리가 한 번만 선택되는 모드일 경우,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Also, when the detected sel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different energy sources are continuously selected or a mode in which a battery is selected only once, the control unit 500 may reduce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경우에 따라, 제어부(500)는,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할 때,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설정값을 토대로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In some cases, when adjusting the duty ratio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the controller 500 may adjust the duty ratio based on a preset value stored in which a duty ratio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is prese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500)가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를 조정하여 최대 전력 수집부(400)를 제어하므로, 최대 전력 수집 시간 및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400 by adjusting the duty ratio according to the selection mode,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time and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어부(500)는, 저장부(510), 추출부(52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530), 램프 신호 생성부(540), 제1 비교부(550), 제2 비교부(560), 그리고 PWM 신호 생성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 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storage unit 510 , an extraction unit 520 , a digital-to-analog converter 530 , a ramp signal generation unit 540 , and a first comparison unit 550 . , a second comparator 560 , and a PWM signal generator 570 .

여기서, 저장부(510)는,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storage unit 510 may store du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set in advance.

그리고, 추출부(520)는, 검출된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정보를 저장부(5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ractor 520 may extract du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from the storage 510 .

다음,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530)는, 추출된 듀티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램프 신호 생성부(540)는, 각 에너지원의 램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Next,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530 may convert the extracted duty information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the ramp signal generator 540 may generate a ramp signal of each energy source. can

이어, 제1 비교부(550)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530)의 출력 신호와 램프 신호 생성부(540)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제2 비교부(560)는, 각 에너지원의 램프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Next, the first comparator 550 compares the output signal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530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ramp signal generator 540 , and the second comparator 560 , A ramp signal and a reference signal can be compared.

그리고, PWM 신호 생성부(570)는, 제1, 제2 비교부(550, 560)의 출력 신호를 토대로 듀티비를 조절하여 PWM 신호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WM signal generator 570 may generate a PWM signal by adjusting a duty ratio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arators 550 and 560 .

도 9는 콜드 스타트부를 포함하는 최대 전력 수집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콜드 스타트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에너지원 전압 합성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검출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9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maximum power collecting unit including a cold start unit, FIG. 10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ld start unit of FIG. 9, FIG. 1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energy source voltage synthesis unit of FIG. It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detection unit.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대 전력 수집부는, 콜드 스타트(cold start)부(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9 to 12 , the maximum power col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ld start unit 600 .

여기서, 콜드 스타트부(600)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콜드 스타트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며,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콜드 스타트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를 온(on)시킬 수 있다.Here, the cold start unit 600 generates a cold start voltag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detects whether the generated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and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The cold start voltage may be output to the controller to turn on the controller.

그리고, 콜드 스타트부(600)는, 제어부를 온(on) 시킴과 동시에 오프(off)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start unit 600 may b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s turning on the control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콜드 스타트부(600)를 배치함으로써,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cold start unit 600, it is possible to stably drive the control unit.

일 예로, 콜드 스타트부(600)는, 출력단이 배터리에 연결될 때,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의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를 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d start unit 600 may output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the controller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to turn on the controller.

예를 들면, 콜드 스타트부(600)는, 도 10과 같이, 에너지원 전압 합성부(630), 클럭 신호 생성부(640), 콜드 스타트 전압 생성부(650), 검출부(660), 스위칭 제어부(670), 그리고 제1 스위칭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the cold start unit 600 includes an energy source voltage synthesis unit 630 , a clock signal generation unit 640 , a cold start voltage generation unit 650 , a detection unit 660 ,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670 , and a first switching unit 620 .

여기서, 에너지원 전압 합성부(630)는,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합성하고, 클럭 신호 생성부(640)는, 합성된 전압을 토대로 클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energy source voltage synthesizer 630 may synthesize output voltages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and the clock signal generator 640 may generate a clock signal based on the synthesized voltage.

이어, 콜드 스타트 전압 생성부(650)는, 생성된 클럭 신호를 승압시켜 콜드 스타트 전압을 생성할 수 있고, 검출부(660)는, 생성된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며, 스위칭 제어부(670)는, 검출부(660)로부터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콜드 스타트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가 온(on)되도록 제1 스위칭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ld start voltage generator 650 may generate a cold start voltage by boosting the generated clock signal, and the detector 660 detects whether the generated cold start voltage reaches a reference voltage, and the switching controller When the cold start voltage from the detection unit 660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the 670 outputs the cold start voltage to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first switching unit 620 so that the control unit is turned on.

다음, 제1 스위칭부(620)는, 스위칭 제어부(6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콜드 스타트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가 온(on)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Next, the first switching unit 620 may output a cold start voltage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670 to switch the control unit to be turned on.

여기서, 제1 스위칭부(620)는, 제어부를 온(on) 시킴과 동시에 콜드 스타트부(600)가 오프(off)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witching unit 620 may switch the cold start unit 600 so that the control unit is turned 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ld start unit 600 is turned off.

그리고, 콜드 스타트부(600)는, 출력단이 배터리에 연결될 때,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의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가 온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cold start unit 600, when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output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the control unit to include a second switching unit 610 for switching so that the control unit is turned on can

여기서, 콜드 스타트부(600)의 스위칭 제어부(670)는, 콜드 스타트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배터리의 전압을 제어부로 출력하여 제어부가 온되도록 제2 스위칭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switching control unit 670 of the cold start unit 600 may control the second switching unit 610 to turn on the control unit by outputt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cold start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또한, 콜드 스타트부(600)의 클럭 신호 생성부(640)는, 링 오실레이터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lso, the clock signal generating unit 640 of the cold start unit 600 may be a ring oscill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최대 전력을 수집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outpu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with the extracted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selects an energy source with the largest error, and detects a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and adds the selected mode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Accordingly, by dispo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ximum power collecting un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llect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그리고, 본 발명은, 콜드 스타트부를 배치하여 제어부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drive the control unit by arranging the cold start unit.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Abov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includes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에너지원
200: 최대 전력 점 추적부
300: 선택부
400: 최대 전력 수집부
500: 제어부
100: energy source
200: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300: selection
400: maximum power collector
500: control

Claims (15)

다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최대 전력을 수집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에 있어서,
각 에너지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토대로 상기 각 에너지원의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추출하는 최대 전력 점 추적부;
상기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상기 추출된 최대 전력 점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가 가장 큰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상기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여 최대 전력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최대 전력 수집부; 그리고,
상기 선택부로부터 선택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상기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력 수집부를 제어할 때, 상기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PWM 신호를 토대로 전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n energy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maximum power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s, comprising:
a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unit for extracting a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based on an output voltage output from each energy source;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energy source with the extracted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 maximum pow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maximum power by adjus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to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nd outputting the collected maximum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selection mode from the selec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is controlled, a PWM signal is generated by adjusting a duty ratio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and the voltage control un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generated PWM signal.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최대 전력 점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되는 각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과 최대 전력 점 전압 사이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각 에너지원에 상응하는 오차 증폭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제1 선택기; 그리고,
상기 제1 선택기로부터 선택된 에너지원의 오차와 최소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lection unit,
an error amplifier receiving the output voltag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each of the energy sources,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error between the input output voltage of each energy source and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 first comparator for comparing signals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energy sources;
a first selector receiving signals output from the error amplifie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energy sources and selecting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comparator; and,
and a second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error of the energy source selected from the first selector with a minimum reference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선택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비교하는 제3 비교기; 그리고,
상기 제1 선택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입력받고, 상기 제3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가장 큰 오차를 갖는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제2 선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lection unit,
a third comparator for compar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and,
and a second selector receiv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s and selecting an energy source having the largest err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third comparato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에너지원의 오차가 상기 최소 기준값보다 작다고 인지하면, 상기 에너지원의 선택 대신에 배터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error of the energy sourc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mparator, the battery is selected instead of the energy sour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력 수집부는,
상기 선택된 에너지원의 출력 전압을 저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제1 버퍼부에 저장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을 최대 전력 점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
상기 전압 조절부로부터 조절된 전압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칭부;
상기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조절된 전압을 저장하여 수집된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제2 버퍼부; 그리고,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이 상기 제2 버퍼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power collection unit,
a first buffer unit for sto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lected energy source;
a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unit is output;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to a maximum power point voltage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 second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adjusted from the voltage control unit is output;
a second buffer unit for outputting the maximum power collected by storing the voltage adjus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and a third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is output to the second buffer uni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칭부는,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전압을 상기 제2 버퍼에 저장하여 배터리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hird switching unit,
Energy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stored in the first buffer is stored in the second buffer and switched to be output to the battery.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선택 모드가 동일한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이거나 또는 배터리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일 경우,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cted sel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ame energy source is continuously selected or a mode in which a battery is continuously selected,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is increas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선택 모드가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속적으로 선택되는 모드이거나 또는 배터리가 한 번만 선택되는 모드일 경우,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cted sel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different energy sources are continuously selected or a mode in which a battery is selected only once, the energy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is reduc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선택 모드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할 때, 상기 선택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설정값을 토대로 듀티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수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a duty ratio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cted selection mode, a duty ratio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ode is preset and the duty ratio is adjusted based on a stored setting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07926A 2017-08-25 2017-08-25 Energy harvesting apparatus KR1023294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26A KR102329422B1 (en) 2017-08-25 2017-08-25 Energy harve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926A KR102329422B1 (en) 2017-08-25 2017-08-25 Energy harves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97A KR20190022097A (en) 2019-03-06
KR102329422B1 true KR102329422B1 (en) 2021-11-22

Family

ID=6576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926A KR102329422B1 (en) 2017-08-25 2017-08-25 Energy harves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4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889B1 (en) * 2021-09-09 2023-07-05 국방과학연구소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137B1 (en) * 2015-11-13 2021-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 input power man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97A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21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variable characteristic through a range of operation
Dolara et al. Energy comparison of seven MPPT techniques for PV systems
US8842456B2 (en) Analog controller for inverter
US10333314B2 (en) Multiple buck stage single boost stage optimizer
WO2021057075A1 (en) Optimize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i-v curve scanning method for photovoltaic assembly
JP2004312994A (en) Power conditioner for passive generator output system
US9685790B2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for solar panels
US20190072590A1 (en) Power detection circuit for tracking maximum power point of solar cell and method thereof
US8358489B2 (en) Smart photovoltaic panel and method for regulating power using same
CN101656473B (en) PWM power supply inverter for improving dynamic rea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29422B1 (en) Energy harvesting apparatus
Fatemi et al. Comparison of three-point P&O and hill climbing methods for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in PV systems
KR20120103588A (en) Power storage control device and power storage control method
US20110215778A1 (en) Solar power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and conversion circuit thereof
KR102376048B1 (en) Apparatus for tracking maximum power point
US10141828B2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US8971065B2 (en) System for providing an alternating current, a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50073680A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cking maximum power
US10819209B2 (en) Multi-source energy harvester system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Başoğlu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s of glob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pproaches in partial shading conditions
CN110582736B (en)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KR101945701B1 (en) Apparatus for tracking maximum power point
KR102514251B1 (en) Power generation units and systems that track peak power
US20120013312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Packiam et al. Steady and transient characteristics of a single stage PV water pum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