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358B1 -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358B1
KR102329358B1 KR1020190112947A KR20190112947A KR102329358B1 KR 102329358 B1 KR102329358 B1 KR 102329358B1 KR 1020190112947 A KR1020190112947 A KR 1020190112947A KR 20190112947 A KR20190112947 A KR 20190112947A KR 102329358 B1 KR102329358 B1 KR 10232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space
unit
ultraviolet rays
plas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229A (ko
Inventor
김진오
Original Assignee
김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오 filed Critical 김진오
Priority to KR102019011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358B1/ko
Priority to PCT/KR2020/006265 priority patent/WO2021049734A1/ko
Priority to US16/978,528 priority patent/US11992568B2/en
Priority to EP20742633.9A priority patent/EP3878477B1/en
Priority to CN202080001946.3A priority patent/CN112805040B/zh
Publication of KR2021003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fr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항의 살균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살균 장치는 살균 공간에 플라즈마 광선을 조사하는 제1살균부; 살균 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부;살균 공간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PLASMA AND ULTRAVIOLET LIGHT AND STERILIZ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항의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및 플라즈마를 통해 수화물의 살균을 가능하게 하는 살균 장치를 개시한다.
공항을 이용하는 승객이라면, 승객은 보안검색대를 통한 수화물의 검사를 반드시 받게 된다. 보안검색대에서 수화물의 보안 검색을 실시하는 경우, 수화물을 담는 바구니가 사용된다. 바구니에는 신발과 같이 비 위생적인 물품이 담기고, 다수인의 개인 물품이 연속적으로 담기기 때문에, 바구니는 오염되기 쉽고, 각종 세균감염에 노출되기 십상이다. 또한, 보안 검색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승객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간접 접촉은 각종 질병의 전염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강한 전염성 질병이 창궐한 시기에는 이러한 전염 문제가 더 심각하게 대두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보안검색대에서 사용된 바구니를 살균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보안검색대를 통한 수화물의 검색은, 수속 절차상, 승객의 신분을 확인한 후, 출국 심사를 진행하기 전의 장소에 위치하게 되는데, 해당 장소는 승객이 밀집되는 장소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화물을 살균하는 살균 장치를 설치하는데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많다. 따라서, 살균 장치를 공항의 보안 검색대 주변 구조물에 유동적으로 배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화물의 실시간 살균을 수행하면서도, 공간 차지를 적게 할 수 있는 살균 장치 및 살균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008호는 카트 자동 살균기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카트 자동 살균기에 대한 발명은 카트의 크기에 맞게 제작되어, 감지 센서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도록 동작하는 카트를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 예의 목적은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동시에 살균하는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살균 장치를 조립하여 상황에 따라 보안검색대 주변 또는 보안검색대에 설치할 수 있는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대상체의 살균 장치 내부의 반출입여부에 따라 살균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에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살균 공간에 플라즈마 광선을 조사하는 제1살균부, 상기 살균 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부, 상기 살균 공간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라즈마 광선이 상기 살균 공간에 조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살균 공간에 대상체가 반입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대상체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제2살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공간으로부터 대상체가 반출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제2살균부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살균공간으로 상기 대상체가 반입되는 반입구와, 상기 살균 공간으로 상기 대상체가 반출되는 반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는, 상기 살균공간을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반입구 및 반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살균공간 외부로 상기 플라즈마 광선 및 자외선이 노출(exposure)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반입구 및 반출구를 상기 대상체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입구 및 반출구를 개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살균부는 상기 살균공간의 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이 통과되도록 표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타공을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자외선에 대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타공은 가로 방향의 슬릿과 세로 방향의 슬릿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공항의 살균 시스템은, 엑스레이(X-ray)를 통해 대상체의 내부를 검색하는 보안검색대, 상기 보안검색대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대상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대상체가 통과하는 살균공간과, 상기 살균공간으로 플라즈마 광선을 조사하는 제1살균부와, 상기 살균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항의 살균 시스템은 상기 대상체의 검색이 수행되는 보안 검색대의 검색공간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안 검색대 및 살균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살균공간에 상기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대상체가 상기 살균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살균부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복수의 살균부를 이용한 2중 살균을 통해, 바구니의 세균을 제거하고, 전염성 있는 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이동성이 확보됨으로써 보안검색대 주변에 유연하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사용 간에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살균부의 모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살균부의 모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정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의 모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의 모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의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은 공항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은 보안검색대가 대상체의 내부를 검색하면, 검색이 수행된 대상체를 살균할 수 있다. 대상체는 보안 검색이 수행되는 물품, 예를 들어, 보안 검색의 대상이 되는 개인 수화물, 개인 수화물을 담는 바구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은 보안 검색을 마치고 나온 대상체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보안검색과 별도로 대상체의 살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은, 살균장치(10), 연결부(11), 이동부(12) 및 받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체는 컨베이어 벨트(30)를 통해 보안검색대(20)에서 공항의 살균 시스템(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안검색대(20)는 엑스레이(X-ray)를 통해 대상체의 내부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에서는 수속 절차에 따라, 승객의 수화물의 내부 검사를 요구하게 되는데, 승객의 수화물은 컨베이어 벨트(30)를 따라 이동하는 바구니에 담겨, 보안검색대(20)를 통과하게 된다. 대상체가 보안검색대(2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보안검색대(20)는 엑스레이를 통해 대상체의 내부 물품을 검사하여, 대상체에 유해 물품이나, 반입금지물품, 소지부적법물품 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보안검색대(20)는 대상체의 검색이 수행되도록,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는 검색공간과, 상기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는 연결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는 보안검색대(20)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대상체를 보안검색대(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는 보안검색대(20)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대상체를 지지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는 케로셀(carousel)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30)에 놓인 대상체는 컨베이어 벨트(3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보안검색대(20)의 검색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살균 장치(10)는 컨베이어 벨트(30)를 통해 운반되는 대상체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는 내부 공간으로 컨베이어 벨트(30)를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장치(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상체의 살균이 수행되는 살균 공간을 포함하고, 컨베이어 벨트(30)는 상기 살균 공간을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대상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한 살균 장치(1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장치(10)에는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한 살균 장치(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이동부(12) 및 받침부(1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12)는 살균 장치(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살균 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동부(12)는 지면에 접촉되는 하단부에 바퀴가 구비됨으로써, 살균 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는 살균 장치(10)의 살균 공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살균 장치(10)가 이동부(12)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살균 장치(10)는 컨베이어 벨트(30)의 경로를 따라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받침부(13)는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한 살균 장치(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부(13)는 예를 들어, 살균 장치(10)의 살균공간 하단에 연결되고, 받침부(13)의 상부에는 컨베이어 벨트(30)가 위치할 수 있다. 받침부(13)는 컨베이어 벨트(30) 및 살균 장치(10)를 연결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30)에 대한 살균 장치(1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받침부(13)의 하단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살균 장치(10)는 이동부(12)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이동부(12) 및 받침부(13)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살균 장치(10) 및 컨베이어 벨트(30)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공항의 살균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연결부(11)는 보안검색대(20) 및 살균 장치(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1)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30)의 경로상에 위치하는 보안검색대(2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11)는 대상체의 검색이 수행되는 보안검색대(20)의 검색 공간의 입구 또는 출구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1)는 살균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연결부(11)는 살균 장치(10)의 받침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1)는 살균 장치(10)와 조립 가능한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살균 장치(10)를 간이하게 보안검색대(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는 살균 장치(10)의 받침부(13)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받침부(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항 현장에서는 공간상의 필요에 따라, 연결부(11)와 살균 장치(10)를 선택적으로 조립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1)의 위치에 따라, 살균 장치(10)는 보안검색대(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30)에 의해 운반되는 대상체는 살균 장치(10) 및 보안검색대(20)를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살균 장치(10)는 보안검색대(20)의 후면, 즉, 검색 공간의 후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검색 과정에서 대상체가 오염되더라도, 살균 장치(10)를 통해 대상체의 살균이 바로 수행되기 때문에, 수화물의 검사 과정에서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도 3과 같이, 살균 장치(10)가 보안검색대(20)의 전면, 즉, 검색 공간의 전면 부분에 연결되는 경우, 대상체는 살균 장치(10)에 의해 살균이 수행된 직후, 보안검색대(20)를 통과하게 되므로,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은 보안검색대(20)의 검색 공간이 대상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 장치(10)는 상술한 것과 같이 반드시 보안검색대(20)에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다. 살균 장치(10)는 컨베이어 벨트를(12) 따라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도 4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30)의 특정 위치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항의 살균 시스템(1)이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살균 장치(10)의 위치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살균 장치(10)는 컨베이어 벨트(30)를 따라 이동하는 대상체를 살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살균부의 모식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살균부의 모식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살균 장치(10)는 서로 다른 2가지의 살균 방식을 통해 대상체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장치(10)는 플라즈마 광선과 자외선을 통해 대상체를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하우징(100), 제1살균부(101), 제2살균부(102), 감지부(103), 제어부(104) 및 커버부재(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살균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형성되고, 대상체의 살균이 수행되는 살균 공간(106)과, 살균 공간(106)으로 대상체가 반입되는 반입구와, 살균 공간으로부터 대상체가 반출되는 반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공간(106)에는 컨베이어 벨트(30)가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컨베이어 벨트(30)는 살균 공간(106)을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대상체가 살균 공간(106)을 통과하도록 지지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살균부(101)는 살균 공간(106)에 플라즈마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살균 공간(106)에 대상체가 위치한 경우, 제1살균부(101)가 조사하는 플라즈마 광선에 의해 대상체가 살균될 수 있다. 플라즈마는 공기를 이온화 시킴으로써, 기화된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할 수 있다.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기화 과산화수소는 미생물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소이온(H+)와 반응하여 미생물의 세포막을 파괴하므로, 높은 멸균성능을 가질 수 있다. 플라즈마 방식의 멸균은 50도 이하의 저온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열에 약한 제품도 쉽게 멸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살균부(101)는 하우징(100)의 상부, 즉, 살균 공간(106)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살균부(101)는 살균 공간(106)을 향해 플라즈마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즉, 살균 공간(106) 내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1살균부(100)는 플라즈마를 살균 공간(106)으로 조사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30)는 살균 공간(106)을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살균 공간(106)에 위치한 컨베이어 벨트(30) 부분은 제1살균부(101)가 조사하는 플라즈마 광선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제1살균부(101)는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 및, 제1고정부재(10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는 직류방전원리를 통해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는 양극과 음극이 각각 인가되는 한 쌍의 판을 포함하고, 한 쌍의 판 사이에 인가된 전압으로 방전을 일으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고정부재(1011)는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를 하우징(1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부재(1011)는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를 살균 공간(106)의 상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고정부재(1011)에 의해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가 발생시키는 플라즈마의 조사 방향이 살균 공간(106)의 중심부를 향해 설정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부재(1010)는 제1고정부재(1011)에 의해 살균공간(106)의 상부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기 때문에,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수소 기체는 살균 공간(106)의 하부를 향해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살균부(101)는 살균 공간(106) 내부의 공기, 하측에 위치한 컨베이어 벨트(30) 및, 컨베이어 벨트(30)의 상부에 위치한 대상체를 살균할 수 있다.
제2살균부(102)는 살균 공간(106)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살균 공간(106)에 대상체가 위치한 경우, 제2살균부(102)가 조사하는 자외선에 의해 대상체가 살균될 수 있다. 제2살균부(102)는 살균 장치(10)의 정면, 즉, 컨베이어 벨트(3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살균 공간(106)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살균부(102)는 발광부재(1020), 지지부재(1021) 및 제2고정부재(10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020)는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부재(1020)는 예를 들어, 자외선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020)는 예를 들어, 자외선을 단파장자외선(UV-C)로 조사할 수 있다. 단파장자외선은 짧은 파장을 가짐으로써 대상체 또는 공기중에 존재하는 세균, 곰팡이, 미생물등을 살균할 수 있다. 단파장 자외선에 의해, 세균, 곰팡이, 미생물의 DNA가 변이되어 핵이 파괴되고, 궁극적으로 세균, 곰팡이등의 세포가 파괴될 수 있다.
보안 검색 과정에서는, 다수 승객의 수화물이 간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수화물에 의해 세균 또는 미생물이 옮겨질 수 있다. 제2살균부(102)는 자외선을 통한 살균을 통해 살균 공간 내에 위치한 수화물에 존재하는 세균, 미생물등을 박멸할 수 있다.
지지부재(1021)는 발광 다이오드를 덮도록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021)는 살균 공간(106)내에 설치되어, 발광부재(1020)를 커버할 수 있다. 지지부재(1021)가 발광부재(1020)를 커버하기 때문에, 살균 공간(106)에 대한 대상체의 이동 과정에서 발광부재(1020)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021)는 자외선에 대한 내열성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내 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021)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021)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대상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의 내 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의 열로 인해 융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21)는 발광부재(1020)가 조사하는 자외선이 살균 공간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표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타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은 타공을 통해 지지부재(1021)를 통과하여 살균 공간(106)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은 타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절(diffraction)하면서 넓은 반경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타공은 자외선의 회절이 발생하기 쉽도록 너비에 비해 폭이 좁은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자외선의 조사 방향을 기준으로, 타공은 가로 방향의 슬릿과 세로 방향의 슬릿을 포함하는 형태, 예를 들어, 십자 형태(10210)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회절 과정에서, 슬릿의 폭 방향으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타공이 가로 방향의 슬릿과 세로 방향의 슬릿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빛의 회절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1022)는 발광부재(1020) 및 지지부재(1021)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고정부재(1022)에 의해 발광부재(1020) 및 지지부재(1021)는 살균공간(106)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살균부(101) 및 제2살균부(102)는 서로 조립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살균부(101) 및 제2살균부(102)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012) 및 제2연결부재(10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012) 및 제2연결부재(1023)의 연결을 통해, 제1살균부(101) 및 제2살균부(102)는 하나의 조립체(assembly)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03)는 살균 공간(106)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03)는 살균 공간(106)에 대한 대상체의 진입 여부 및, 살균 공간(106)에 대한 대상체의 반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03)는 하우징(100)의 반입구 및 반출구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s)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컨베이어 벨트로 적외선을 발사한 후 반사되는 광 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30) 상에 대상체의 위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감지부(103)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살균부(10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4)는 살균 공간(106)에 대상체가 반입된 것을 감지하면, 살균 공간(106)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즉, 살균 공간(106)에 위치한 대상체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2살균부(102)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가 대상체의 반입은 인식했으나 대상체의 반출은 인식 못한 경우, 제어부(104)는 감지부(103)의 대상체 반출입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체가 살균공간내부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대상체의 존재 정보를 인식하면, 제2살균부(102)의 발광부재(1020)를 작동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04)는 살균 공간(106)으로부터 대상체가 반출된 것이 감지되면, 제2살균부(102)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도록 제2살균부(10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2)가 대상체의 반입을 한번 인식하고, 이후 대상체의 반출을 한번 인식한 경우, 제어부(104)는 대상체가 살균공간(106)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대상체가 살균공간(106) 내부에 부존재 한다고 판단한 후 제2살균부(102)의 발광부재(1020)의 자외선 발광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제1살균부는 살균 공간(106)에 대한 대상체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플라즈마 살균을 수행하는 반면, 제2살균부(102)는 대상체가 살균 공간(106)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살균부(101)의 플라즈마 살균 방식은 생성된 과산화수소를 통한 간접적 살균 방식을 가지므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살균 효과가 있는 반면, 제2살균부(102)의 자외선 살균 방식은 자외선의 접촉을 통한 직접 살균 방식을 가지므로, 좁은 공간에 대한 단기적 살균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2살균부(102)를 통한 자외선 살균 방식은, 살균 공간(106)에 대상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최적의 살균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살균부(102)가 살균 공간(106)에 대한 대상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105)는 살균공간(106)으로부터 플라즈마 및 자외선이 노출(exposure)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장치(10) 외부에 위치한 사람이 플라즈마 또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105)는 반입구 및 반출구를 커버하도록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5)는 대상체가 반입구 및 반출구를 통과하는 경우에만, 반입구 및 반출구를 개방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105)는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제어부(104)는 감지부(103)가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커버부재(105)의 개폐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입구에 설치된 감지부(103)가 살균장치(10) 앞으로 도착한 대상체를 인식하면, 반입구에 위치한 커버부재(105)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반출구에 설치된 감지부(103)가 살균을 마치고 살균공간(106) 외부로 이동하려는 대상체를 인식하면, 반출구에 위치한 커버부재(105)가 개방될 수 있다.
반면, 커버부재(105)는 컨베이어 벨트(30) 위의 대상체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고 사람의 작동없이 커버할 수 있다. 즉, 특별한 장치없이 대상체의 반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입구 및 반출구에 커튼 막을 설치하여, 사람의 제어여부에 관계없이 대상체가 살균공간 내부로 반출입하되, 플라즈마 및 자외선 광선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살균 장치(10)는 플라즈마 살균 방식의 제1살균부(101)와, 자외선 살균 방식의 제2살균부(102)를 통해 대상체를 살균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살균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살균 공간(106)에 대한 대상체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여 제2살균부(10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살균부(101) 및 제2살균부(102)는 조립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살균 장치(10)는 공간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공항의 살균 시스템
10: 살균장치
11: 연결부
12: 이동부
13: 받침부

Claims (12)

  1. 살균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살균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 공간에 플라즈마 광선을 조사하는 제1살균부;
    상기 살균 공간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살균 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부;
    상기 살균 공간에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살균부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재를 상기 살균 공간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 및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살균부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와, 상기 살균 공간의 측면에 상기 발광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살균부 및 제2살균부는 서로 조립 가능한,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라즈마 광선이 상기 살균 공간에 조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살균 공간에 상기 대상체가 반입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대상체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제2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공간으로부터 대상체가 반출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제2살균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살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살균공간으로 상기 대상체가 반입되는 반입구와, 상기 살균 공간으로 상기 대상체가 반출되는 반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는, 상기 살균공간을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는, 살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구 및 반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살균공간 외부로 상기 플라즈마 광선 및 자외선이 노출(exposure)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살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반입구 및 반출구를 상기 대상체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입구 및 반출구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살균부는,
    상기 발광부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이 통과되도록 표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타공을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살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자외선에 대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소재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타공은 가로 방향의 슬릿과 세로 방향의 슬릿을 포함하는 형상인, 살균 장치.
  10. 엑스레이(X-ray)를 통해 대상체의 내부를 검색하는 보안검색대;
    상기 보안검색대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상기 대상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대상체가 통과하는 살균공간과, 상기 살균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공간으로 플라즈마 광선을 조사하는 제1살균부와, 상기 살균 공간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살균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살균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상기 살균 장치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살균 장치를 연결시키는 받침부;
    상기 살균 장치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장치와 조립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의 검색이 수행되는 보안 검색대의 검색 공간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보안검색대와 상기 살균 장치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살균부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재와,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재를 상기 살균 공간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 및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살균부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와, 상기 살균 공간의 측면에 상기 발광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살균부 및 제2살균부는 서로 조립 가능한, 공항의 살균 시스템.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는,
    상기 살균공간에 상기 대상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대상체가 상기 살균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2살균부가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항의 살균 시스템.
KR1020190112947A 2019-09-11 2019-09-11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KR10232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947A KR102329358B1 (ko) 2019-09-11 2019-09-11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PCT/KR2020/006265 WO2021049734A1 (ko) 2019-09-11 2020-05-13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US16/978,528 US11992568B2 (en) 2019-09-11 2020-05-13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plasma and ultraviolet light and steriliz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EP20742633.9A EP3878477B1 (en) 2019-09-11 2020-05-13 Sterilization device using plasma and ultraviolet rays, and sterilization system comprising same
CN202080001946.3A CN112805040B (zh) 2019-09-11 2020-05-13 使用等离子体和紫外线的杀菌装置及包括该装置的杀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947A KR102329358B1 (ko) 2019-09-11 2019-09-11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29A KR20210031229A (ko) 2021-03-19
KR102329358B1 true KR102329358B1 (ko) 2021-11-22

Family

ID=7486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947A KR102329358B1 (ko) 2019-09-11 2019-09-11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878477B1 (ko)
KR (1) KR102329358B1 (ko)
CN (1) CN112805040B (ko)
WO (1) WO20210497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428B1 (ko) 2021-12-07 2022-06-16 이대규 이송 컨베이어용 에어 커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582B1 (ko) * 2022-07-11 2023-06-02 주식회사 위드림온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테이블
KR102535779B1 (ko) * 2022-07-19 2023-05-26 주식회사 위드림온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6414A (ja) * 1996-04-17 1997-11-04 Nitsupo Denki Kk 殺菌装置
KR100625771B1 (ko) * 2004-05-27 2006-09-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순환식 유인 오존 살균시스템 및 방법
KR200427008Y1 (ko) 2006-07-06 2006-09-21 박명호 카트 자동 살균기
KR100936552B1 (ko) * 2007-07-06 2010-01-12 이기영 쇼핑 카트 살균장치
CN101920026B (zh) * 2009-12-31 2013-12-25 周云正 隧道空气消毒净化器
WO2011152891A2 (en) * 2010-02-02 2011-12-08 Morpho Detection, Inc. Passenger scanning systems for detecting contraband
CN201969473U (zh) * 2011-03-03 2011-09-14 深圳市汇清科技有限公司 Uv等离子体废气净化器
KR101254717B1 (ko) * 2011-08-24 2013-04-15 (주)엔퓨텍 폐쇄회로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방역관제시스템
KR20130090961A (ko) * 2012-02-07 2013-08-16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터널형 소독장치
KR101384565B1 (ko) * 2012-08-14 2014-04-11 한국식품연구원 비가열 식품 살균장치
US9198990B2 (en) * 2012-10-29 2015-12-01 W. J. Hays Disinfecting device
KR20150115422A (ko) * 2014-04-04 2015-10-14 최종대 카트 살균장치
CN103977439A (zh) * 2014-04-15 2014-08-13 中国科学院等离子体物理研究所 等离子体增强纸币消毒灭菌器与方法
CN204631271U (zh) * 2015-05-09 2015-09-09 朱彩凤 一种带紫外线消毒的安检机
US9970813B1 (en) * 2017-09-14 2018-05-15 Biosense Webster (Israel) Ltd. UV detection of sterilant concentration and dissipation in a volume of a chamber
KR102169596B1 (ko) * 2017-11-27 2020-10-23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살균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KR102342484B1 (ko) * 2019-03-28 2021-12-23 황선면 터널형 공기정화 및 살균시스템
CN112168987A (zh) * 2020-09-08 2021-01-05 广州紫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消毒灭菌设备
CN213911488U (zh) * 2020-09-08 2021-08-10 广州紫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消毒设备
CN213884322U (zh) * 2020-09-08 2021-08-06 广州紫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消毒灭菌设备
CN112089860A (zh) * 2020-09-08 2020-12-18 广州紫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消毒设备
CN113264340A (zh) * 2021-03-09 2021-08-17 福建福夏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可移动嵌入式模块化结构的传送带消毒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428B1 (ko) 2021-12-07 2022-06-16 이대규 이송 컨베이어용 에어 커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29A (ko) 2021-03-19
US20230100199A1 (en) 2023-03-30
CN112805040A (zh) 2021-05-14
CN112805040B (zh) 2023-09-12
EP3878477A4 (en) 2022-03-09
EP3878477A1 (en) 2021-09-15
EP3878477B1 (en) 2023-11-22
WO2021049734A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358B1 (ko) 플라즈마 및 자외선을 이용하는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시스템
US11033643B2 (en) System for disinfecting larger scale spaces and equipment
US20220133924A1 (en) Modular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objects
EP3287146B1 (en) Multi-wavelength ultraviolet light sanitizing systems and methods
JP4732402B2 (ja) 移動式電子線照射滅菌設備
MXPA06006475A (es) Metodo y aparato para validacion del proceso de esterilizacion.
WO2021174712A1 (zh) 一种疫情初步筛查及快速安检舱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20210134465A (ko) 컨베이어형 uv 살균장치
US202200721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ing Cash Exchanges
JP2009028450A (ja) 殺菌灯付きパスボックス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18452Y1 (ko) 이동형 기구의 자외선 살균장치
KR20200098161A (ko) 자외선 살균장치가 구비된 키오스크
US11992568B2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plasma and ultraviolet light and steriliz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230381360A1 (en) Device for access control with physical disinfection
KR20220072948A (ko) 패스스루형 살균소독장치
KR20220005257A (ko) 창구용 물품살균장치
US6777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rradiating product packages
WO2019245490A1 (en) Money disinfection system
EP3900746B1 (en) Tray disinfection device
KR101165962B1 (ko) 식기류 살균 장치
CN105879071B (zh) 一种基于高能电子束的杀菌消毒设备
JPH09253180A (ja) 殺菌装置
KR102510094B1 (ko) 외기 차단 살균 장치
CN215067369U (zh) 一种具有消杀功能的安检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