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279B1 -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 Google Patents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279B1
KR102329279B1 KR1020190143365A KR20190143365A KR102329279B1 KR 102329279 B1 KR102329279 B1 KR 102329279B1 KR 1020190143365 A KR1020190143365 A KR 1020190143365A KR 20190143365 A KR20190143365 A KR 20190143365A KR 102329279 B1 KR102329279 B1 KR 10232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ounting pole
mobile phone
pole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6652A (en
Inventor
양회동
Original Assignee
양회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회동 filed Critical 양회동
Priority to KR102019014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279B1/en
Publication of KR2021005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곡선 형상의 거치 폴대; 상기 거치 폴대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 상기 거치 폴대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편; 상기 이동편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을 파지하는 휴대폰 파지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bed and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bed, and can be freely adjusted 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gripped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ved holder pole ; a stand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unting pole, respectively, for standing the mounting pole; a moving piece that is coupled to and installed on the mounting pole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and moves on the mounting pole; a rotating piec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ie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iece; It includes a; is installed coupled to the rotating piece, the mobile phone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mobile phone.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Mobile phone holder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bed and can be freely adjusted 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 gripped mobile phone by being of a simple assembly type and a mobile type.

휴대폰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그를 위한 악세사리나 부속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한편 동영상을 압축하는 기술과 전송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평상시에도 이동하면서 동영상의 관람이 가능하게 되고 대규모의 모바일 게임의 등장 등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을 차량에서 관람할 수 있는 거치대 또는 거실에 설치하는 거치대와 같은 보조기구가 발달하고 있다.Mobile phones are widespread, and various accessories and accessories for them are being released. 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video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watch videos while moving even during normal tim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such as the appearance of large-scale mobile games are taking place. Auxiliary devices such as a cradle or a cradle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are being developed.

하지만 아직까지 실내에서 편안하게 동영상의 시청이 가능한 휴대폰용 거치대에 대한 발달은 충분히 이루어지지않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휴대폰 화면의 경우 화면의 크기가 작은 편이어서 일정 이상의 거리가 되면 실제적으로 동영상 관람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 cradles that allow comfortable viewing of videos indoors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There was a problem.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81045 등에서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휴대폰 거치대는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어서 침대 등에서 사용할 수 없는 등 그 사용에 한계가 있고, 분리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As a technology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9-81045, etc.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mobile phone holder.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cannot be freely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there is a limitation in its use, such as it cannot be used in a bed, etc.,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store 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bed and can be freely adjusted 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gripped mobile phone because it is composed of a simple assembly type and a mobile typ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곡선 형상의 거치 폴대; 상기 거치 폴대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 상기 거치 폴대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편; 상기 이동편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을 파지하는 휴대폰 파지부;를 포함한다.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curved shape of the mounting pole; a stand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unting pole, respectively, for standing the mounting pole; a moving piece that is coupled to and installed on the mounting pole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and moves on the mounting pole; a rotating piec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ie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iece; It includes a; is installed coupled to the rotating piece, the mobile phone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mobile phon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 폴대는, 일측 방향이 절개된 절개부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ubular shape in which the cutout in one direction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립부는, 직선 형상의 기립 본체; 상기 기립 본체의 중앙 부분에 상기 기립 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의 말단이 삽입되는 폴대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and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raight-shaped standing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anding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nding body, the end of the mounting pole is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대 삽입부에는, 상기 거치 폴대의 말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 폴대가 반대 방향으로 이탈시 걸리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insert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hen the mounting pole is detac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of the mounting pole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편은, 상기 거치 폴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삽입편; 상기 거치 폴태의 외면을 감싸는 외면 접촉편;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내부 삽입편과 외면 접촉편을 연결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양면 또는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제1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iece may include: an inner insertion piec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le; an outer contact piec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a connection piece inserted through the cutout and connecting the inner insertion piece and the outer contact pie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a first elastic press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iece, and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cutou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편은, 상기 외면 접촉편의 외면을 음각하여 형성되는 설치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회동편 본체; 상기 회동편 본체의 양 측부 또는 일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면 접촉편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제2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iece may include: a rotating piece body which is rotatably inserted and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by engrav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rotating piece body, and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폰 파지부는, 상기 회동편 본체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설치봉; 상기 설치봉의 말단에 구 형상으로 설치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부 외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의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폰을 분리가능하게 파지하는 파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holding portion, the installation rod install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piece body; a coupler installed in a spherical shape at the end of the installation rod; a coupling piece coupled to rotatably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a gripping module for separably gripping the mobile phon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편은, 좌우 대칭 형상으로 분리되어 제1 이동편과 제2 이동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이동편과 제2 이동편의 접촉면에는 인력이 발생하는 자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iece is separat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and is composed of a first moving piece and a second moving piece, and it is preferable that a magnet generating an attractive force is install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ece and the second moving piece. do.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부에는, 요부와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에 따르면 거치대 자체가 간편 조립식 및 이동형으로 구성되어 침대 등 다양한 장소에서 별다른 설치 동작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파지된 휴대폰의 위치 및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tself is composed of a simple assembly type and a movable type,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bed without any special installation opera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adjus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gripped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부와 거치 폴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폴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과 거치 폴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O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편과 회동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tand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and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unting p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ving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moving piece and a mounting 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ving 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moving piece and a rotating 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phone h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100)는 도 1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폴대(110), 기립부(120), 이동편(130), 회동편(140) 및 휴대폰 파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11 , the mobile phone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lding pole 110 , a standing unit 120 , a moving piece 130 , a rotating piece 140 , and a cell phone gripping unit 150 . ) may be included.

먼저 상기 거치 폴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지며, 기립되어 휴대폰의 설치 높이를 확보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 폴대(110)는 전체적으로 원호의 일부와 같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다른 곡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 , the mounting pole 110 has a curved shape as a whole, and stands up to secur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mobile phone. Therefore, the mounting pole 110 may have a curved shape such as a portion of a circular arc as a whole, or may have a different curved sha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폴대(110)는 구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구성되며,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의 일측 방향이 절개된 구조를 가지며, 이 절개부(112)는 상기 거치 폴대(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 절개부(112)는 상기 이동편(130)의 안정적인 결합 및 이동에 이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pole 110 is specifically configur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direction of the mounting pole 110 is cut, The cutout 112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ounting pole 110 . This cutout 112 is used for stable coupling and movement of the moving piece 130 .

다음으로 상기 기립부(12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를 기립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기립부(12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이 한 쌍의 기립부(120)는 상기 거치 폴대(110)의 양 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치 폴대(110)를 기립시킨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tanding unit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unting pole 110 , and is a component for standing the mounting pole 110 . Therefore, the standing part 120 is provided as a pair, and the pair of standing parts 12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unting pole 110 to make the mounting pole 110 stand up.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립부(120)를 구체적으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본체(122), 폴대 삽입부(124) 및 걸림부(12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립 본체(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길이를 가져서 상기 거치 폴대(110)의 안정적인 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기립 본체(122)는 직선 형상이 아니고 'ㄱ' 또는 'ㄷ' 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standing par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anding body 122, a pole insertion part 124 and a locking part 126 as specifically shown in FIGS. 2 and 3 . . First, as shown in FIG. 2 , the standing body 122 has a straight shape and has a constant length so that the holding pole 110 can be stably stood up. Of course, the standing body 122 may not have a straight shape, but may have a bent shape in a 'L' or 'C' shape.

그리고 상기 기립 본체(122)는 관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안정적인 기립을 위하여 충분한 길이 또는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standing body 122 has a tube or rod shape, and preferably has a sufficient length or weight for stable standing of the mounting pole 110 .

다음으로 상기 폴대 삽입부(1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본체(122)의 중앙 부분에 상기 기립 본체(122)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말단이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폴대 삽입부(124)는 상기 거치 폴대(110)의 내면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 폴대(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최대한 상기 거치 폴대(110) 내면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s shown in FIG. 2 , the pole insertion part 124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standing body 12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nding body 122, and the mounting pole The end of (110) is an inserted component. Therefore, the pole insertion part 124 is formed with a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110, and the mounting pole 110 is install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mounting pole 110 does not shake in the inserted state. It is preferab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le 110 .

다음으로 상기 걸림부(1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대 삽입부(124)의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말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탈시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26)는 내부에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128)에 의하여 외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가 폴대 삽입부(12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밀려서 후퇴하다가 상기 거치 폴대(100)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6)에 다다르면 탄성력에 의하여 돌출되어 상기 거치 폴대(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 3 , the locking part 126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pole insertion part 124 ,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the end of the mounting pole 110 inserted. This is the part that takes you away. Therefore, the locking part 126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outward by an elastic body 128 such as a spring therein, and while the holding pole 110 is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on part 124, it is pushed and retreated. When the through hole 116 formed in a portion of the mounting pole 100 is reached, it protrudes by an elastic forc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mounting pole 110 .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126)는 그 단면 형상이 부드러운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126 has a smooth curved cross-sectional shape.

다음으로 상기 이동편(130)은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1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를 타고 이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이동편(130)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곡선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대폰(1)을 다양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7 , the moving piece 130 is installed by being coupled to the mounting pole 110 in a state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110 , and riding on the mounting pole 110 . It is a moving component. That is, the moving piece 130 allows the mobile phone 1 to be mounted in various positions while moving along the curved shape of the mounting pole 110 .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편(130)을 구체적으로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삽입편(132), 외면 접촉편(134), 연결편(136) 및 제1 탄성 가압부(13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내부 삽입편(132)은 전체적으로 원형 봉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 삽입편(132)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내면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거치 폴대(110)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piece 130 is specifically shown in FIGS. 7 and 8 , an inner insertion piece 132 , an outer surface contact piece 134 , a connecting piece 136 , and a first elastic pressing part ( 138) can be included. First, the inner insertion piece 132 has a circular rod shape as a whole, and is a component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le 110 . Therefore, the inner insertion piece 132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110, and it is smooth to have a curved shape with a curvature that matches the curvature of the mounting pole 110. It is preferred for sliding movement.

다음으로 상기 외면 접촉편(134)은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130)이 상기 거치 폴대(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 폴대(110)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외면 접촉편(134)은 전체적으로 원형 관 형상을 가지며, 그 내면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외면 직경보다 약간 큰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Next, the outer contact piece 134 is a component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110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ece 13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le 110 as shown in FIGS. 7 and 8 . . Accordingly, the outer contact piece 134 has a circular tubular shape as a whole, and its inner surface has a diameter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le 110 .

그리고 상기 연결편(136)은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폴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112)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내부 삽입편(132)과 외면 접촉편(134)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연결편(136)은 봉 형상의 상기 내부 삽입편(132)의 일측과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일측을 상기 내부 삽입편(132)과 외면 접촉편(134)이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결합시키는 것이다. And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connecting piece 136 is inserted through the cutout 112 in a state coupled to the mounting pole 110 ,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insertion piece 132 and the outer surface. It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pieces 134 . That is, the connecting piece 136 is one side of the rod-shaped inner insertion piece 132 and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134 , the inner insertion piece 132 and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134 are shown in FIGS. 7 and 8 . As shown in Fig. 2, they are combined to form concentric circles.

이때 상기 연결편(136)은 상기 내부 삽입편(132)과 외면 접촉편(134) 사이의 간격을 변동 없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2)의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ece 136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ufficien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inner insertion piece 132 and the outer contact piece 134 without variation, and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utout 112 . have a small thickness.

다음으로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136)의 양면 또는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12)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는 상기 절개부(112)에 상기 연결편(136)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112)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이동편(130)의 위치가 임의 변동되지 않도록 한다. Next,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elastic pressing part 138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piece 136 , and is a component that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cutout 112 . That is, the first elastic pressing part 138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cutout 112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iece 136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12 ,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ving piece 130 is randomly changed. make sure it doesn't happen

한편 상기 이동편(130)의 거치 폴대(110) 상에서의 위치가 더욱 확실하게 임의 변동되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12)의 측면이 요부(114b)와 철부(114a)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절개부(112) 측면이 요부(114b)와 철부(114a)가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면,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6)가 일정 간격 이동하면서 상기 요부(114b)에 걸리면서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물론 더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ving piece 130 on the mounting pole 110 does not change more reliably, the side surface of the cutout 112 has a recess 114b and a convex part 114a.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is repeatedly formed.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cutout 11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cessed part 114b and the convex part 114a are repeated, the first elastic pressing part 136 mov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being caught in the recessed part 114b and the position movement is limited. will become Of course, if you want to move it further, you apply force to move it.

따라서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의 내측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138a)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탄성 가압부(138)를 항상 외측으로 밀고 있는 구조를 가진다. Therefore, an elastic body 138a such as a spring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elastic pressing part 138 to have a structure that always pushes the first elastic pressing part 138 to the outside.

다음으로 상기 회동편(140)은 도 1,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편(130)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이동편(130)이 상기 거치 폴대(11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휴대폰 위치에 자유도를 준다면, 상기 회동편(140)은 상기 거치 폴대(110)의 주위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휴대폰 위치에 자유도를 주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S. 1 and 10 , the rotating piece 140 is a component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iece 1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iece 130 . . That is, if the moving piece 130 gives a degree of freedom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phone while moving the mounting pol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tating piece 140 moves around the holding pole 11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hile It gives degrees of freedom to the location of the phone.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편(140)을 구체적으로 도 1,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 본체(142)와 제2 탄성 가압부(144)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동편 본체(142)는 상기 이동편의 설치홈(137)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회동편 본체(142)는 상기 설치홈(137)의 외면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내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홈(137)은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외면 중 중앙 부분을 일정한 간격 만큼 음각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전 접촉편(134)의 다른 부분과 사이에 일정한 단턱(139)을 형성시킨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pecifically shown in FIGS. 1 and 10 , the rotating piece 140 may include a rotating piece body 142 and a second elastic pressing part 144 . First, the rotating piece body 142 is a cylindrical component that is rotatably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37 of the moving piece. Accordingly, the rotating piece body 142 has an inner surface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tallation groove 137 .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groove 137 is formed by engraving a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134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certain step 139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134 and other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134 . .

그리고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는 상기 회동편 본체(142)의 양 측부 또는 일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단턱(139)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는 상기 회동편(140)이 상기 이동편(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단턱(139) 부분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회동편(14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pressing part 144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rotating piece body 142 and is a component that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step 139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contact piece 134 . That is, the second elastic pressing part 144 elastically presses the stepped portion 139 of the outer contact piece 134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piece 140 is coupled to the moving piece 130 to thereby press the rotational piece. (140) is to prevent any rotation.

따라서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는 내측에 설치되는 용수철 등의 탄성체(146)에 의하여 항상 외측으로 가압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면 접촉편(134)의 단턱(139)면에는 상기 제2 탄성 가압부(144)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도면에 미도시)와 철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second elastic pressing part 144 has a structure that is always pressed outward by an elastic body 146 such as a spring installed inside, and the step 139 of the outer contact piece 134 has the second It is preferable that a structure in which a recess (not shown in the figure) and a convex part are repeatedly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elastic pressing part 144 can be inserted is formed.

한편 상기 회동편(1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편(1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편(130A)과 제2 이동편(130B)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편(130)은, 정확하게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 형상으로 분리되어 제1 이동편(130A)과 제2 이동편(130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rotating piece 140, the moving piece 130 is separated into a first moving piece 130A and a second moving piece 130B, as shown in FIG. 9 .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hat is, the moving piece 130 is precisely divided into a left-right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nd is composed of a first moving piece 130A and a second moving piece 130B.

그리고 상기 제1 이동편(130A)과 제2 이동편(130B)의 접촉면에는 인력이 발생하는 자석(도면에 미도시)이 설치되어 이 제1, 2 이동편(130A, 130B)을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magnet (not shown in the drawing) generating an attractive force is install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moving piece 130A and the second moving piece 130B,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ieces 130A and 130B are easily attached. and separabl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이동편(130)의 경우에는 제1, 2 이동편(130A, 130b)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1 이동편(130A)에 상기 회동편(140)을 먼저 결합시키고 나머지 제2 이동편(130B)을 상기 회동편(140)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제1 이동편(130A)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moving piece 130 having such a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ieces 130A and 130b are separated, the rotating piece 140 is first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iece 130A, and the remaining second moving pieces are moved. While coupling the piece 130B to the pivoting piece 140 , it may be easily coupled in a manner of coupling with the first moving piece 130A.

다음으로 상기 휴대폰 파지부(150)는 도 1 또는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편(140)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1)을 파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휴대폰 파지부(150)는 휴대폰(1)의 후면을 파지하되, 상기 회동편(140)에 자유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 1 or 11 , the mobile phone holding unit 150 is installed by being coupled to the rotating piece 140 , and is a component for holding the mobile phone 1 . That is, the mobile phone holding unit 150 grips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1 ,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piece 140 so as to be freely angle adjustable.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폰 파지부(150)를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봉(152), 결합구(154), 결합편(156) 및 파지 모듈(15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설치봉(152)은 일단이 상기 회동편 본체(142)의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는 상기 결합구(154)가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mobile phone holding unit 150 includes an installation rod 152 , a coupler 154 , a coupling piece 156 , and a holding module 158 . can be configured. First, the installation rod 152 is a component in which one end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piece body 142, and the coupling hole 154 is formed at the other end.

그리고 상기 결합구(154)는 상기 설치봉의 말단에 구 형상으로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결합편(156)이 다양한 각도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편(156)은 상기 결합구(154) 외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도록 결합되며, 그 전면부에 상기 파지 모듈(158)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결합편(156)과 상기 파지 모듈(158)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And the coupling hole 154 is a component installed in a spherical shape at the end of the installation rod, and the coupling piece 156 is freely rotatably coupled at various angles.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iece 156 is coupled to rotatabl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54, and the gripping module 158 is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thereof. Of course, the coupling piece 156 and the gripping module 158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다음으로 상기 파지 모듈(158)은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편(156)의 전면에 결합되며, 휴대폰(1)을 분리가능하게 파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파지 모듈(158)은 사용자가 휴대폰(1)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파지하는 것이며,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gripping module 158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156 and is a component for detachably gripping the mobile phone 1 . That is, the holding module 158 holds the mobile phone 1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screen without holding the mobile phone 1 by hand,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tably holding the mobile phone 1 .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지 모듈(158)이 그 전면에 상기 휴대폰(1)의 배면을 점착할 수 있는 점착면(159)을 가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면(159)은 분리시에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접착하는 접착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ping module 158 has a structure having an adhesive surface 159 capable of adh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1 to its front surface. The adhesive surface 159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to stably adhere without leaving any trac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when separated.

한편 상기 파지 모듈(158) 내부에는 예비 밧데리(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예비 밧데리는 상기 휴대폰이 상기 파지 모듈(158)에 파지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어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다. Meanwhile, a spare battery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ding module 158 . The spare battery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by a connection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gripped by the gripping module 158 to supply power.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
110 : 거치 폴대 120 : 기립부
130 : 이동편 140 : 회동편
150 : 휴대폰 파지부 1 : 휴대폰
100: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mounting pole 120: standing part
130: moving flight 140: meeting flight
150: mobile phone holding unit 1: mobile phone

Claims (3)

일측 방향이 절개된 절개부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곡선 형상의 거치 폴대;
상기 거치 폴대의 양 단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기립시키는 기립부;
상기 거치 폴대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거치 폴대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편;
상기 이동편의 외면에 상기 이동편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휴대폰을 파지하는 휴대폰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편은,
상기 거치 폴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삽입편;
상기 거치 폴대의 외면을 감싸는 외면 접촉편;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내부 삽입편과 외면 접촉편을 연결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양면 또는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 탄성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Having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an incision in one direction is cut over the entire length, the curved mounting pole;
a stand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unting pole, respectively, for standing the mounting pole;
a moving piece that is coupled to and installed on the mounting pole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and moves on the mounting pole;
a rotating piec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ie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iece;
It is coupled to the rotating piece and is installed, and includes a mobile phone gripper for gripping the mobile phone;
The moving piece is
an inner insertion piec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le;
an outer surface contact piec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le;
a connection piece inserted through the cutout and connecting the inner insertion piece and the outer contact piece;
and a first elastic pressing part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iece and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cut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폴대는,
일측 방향이 절개된 절개부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le,
A mobile phon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n one direction is in a tubular shap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는,
직선 형상의 기립 본체;
상기 기립 본체의 중앙 부분에 상기 기립 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 폴대의 말단이 삽입되는 폴대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anding portion,
Straight-shaped standing body;
and a pole insertion part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anding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anding body, and in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holding pole is inserted.
KR1020190143365A 2019-11-11 2019-11-11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KR102329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65A KR102329279B1 (en) 2019-11-11 2019-11-11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65A KR102329279B1 (en) 2019-11-11 2019-11-11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52A KR20210056652A (en) 2021-05-20
KR102329279B1 true KR102329279B1 (en) 2021-11-19

Family

ID=7614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365A KR102329279B1 (en) 2019-11-11 2019-11-11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2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702B1 (en) * 2021-06-16 2022-11-25 박완희 Smart phone moun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6769A1 (en) 2011-07-07 2013-01-10 Cygnus Broadband, Inc. Communications base station with decision function for distributing traffic across multiple backhau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212A (en) * 2009-04-02 2010-10-12 김록곤 Holder for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70037258A (en) * 2015-09-25 2017-04-04 김의진 Holder for b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6769A1 (en) 2011-07-07 2013-01-10 Cygnus Broadband, Inc. Communications base station with decision function for distributing traffic across multiple backhau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amazon.ae/Laptop-Adjustable-Portable-Workstation-Notebook/dp/B07PFB7ZR9 (2019.07.1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52A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03Y1 (e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TWI630340B (en) Fixed device
US20150163936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0824188B1 (en) Headset
US20150172431A1 (en) Multifunctional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20130220847A1 (en) Multipurpose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635112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holding unit and a connecting rod for an MP3 device
KR102329279B1 (en) 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KR102020145B1 (en) A case for wireless earphone
US20090123016A1 (en) Headpiece with releasably engaged earbud securement system
JP2006270836A (en) Portable telephone
US20160015168A1 (en) Rotatable stand
KR102047407B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CN104363340A (en) Mobile terminal
KR20180011601A (en) Holder for display device
CN112546615A (en) Game pad and electronic assembly
KR200491932Y1 (en) Non-adhesive cover unit for earphone case
KR101856972B1 (en) wearable camera
KR200488233Y1 (en) Phone Cradle for Airplane
WO2022011945A1 (en) Storage assembly and device assembly of handheld gimbal camera
US20080253554A1 (en) Flexible hanging-type earphone device
KR102120437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GB2474048A (en) Personal media player support device
KR200482913Y1 (en) Neck band type bluetooth hands-free device equipped with a portable terminal cradle
JP3201014U (en) Accessory set body and trip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