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166B1 - 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 Google Patents

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166B1
KR102329166B1 KR1020200098592A KR20200098592A KR102329166B1 KR 102329166 B1 KR102329166 B1 KR 102329166B1 KR 1020200098592 A KR1020200098592 A KR 1020200098592A KR 20200098592 A KR20200098592 A KR 20200098592A KR 102329166 B1 KR102329166 B1 KR 102329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information
power
remote control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기
김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20009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1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ynchronization and thin function setting method using an IoT connection platform and a system support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synchronizing power of an IoT device to set up a thin function using a wireless IoT connection platform. To this end, a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repeater for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using an IoT platform; and a remote controller which receives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IoT device using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Description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및 씬기능 설정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본 발명은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및 씬기능 설정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IoT 연결 플랫폼을 이용하여 씬기능 설정을 위해 IoT 기기의 전원을 동기화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ynchronizing power and setting a thin function using an IoT connection platform and a system suppor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power of an IoT device for setting a thin function using a wireless IoT connection platform. it's about

셋탑박스(set-top box, STB)는 TV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 적절히 이를 변환하여 그 내용을 TV 화면에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셋탑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가 아닌 신호, 예를 들면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 set-top box (STB)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TV, receives a signal coming from the outside, converts it appropriately, and displays the content on the TV screen. The set-top box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signals other than radio waves for general TV broadcasting, for example, IPTV, cable TV, or satellite TV signals and displaying them on the TV screen.

이러한 셋탑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컨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리모콘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셋탑박스의 동작을 원격 제어한다.The set-top box generally includes a remote control as a set, and the user remo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t-top box by manipulating a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일반적으로 셋탑박스의 리모컨은 셋탑박스만을 제어하도록 제작된다. 이 경우 TV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TV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이는 두 개의 리모컨을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일례로, 셋탑박스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의 리모컨을 조작해야 하며, TV의 볼륨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TV의 리모컨을 조작해야 한다.In general, the remote control of the set-top box is manufactured to control only the set-top box. In this case, in order to control the TV, a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TV must be separately provided, which cau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wo remote controls. For example,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et-top box, the remote control of the set-top box must be operated, and to change the volume of the TV,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must be operated.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셋탑박스와 TV를 동시에 제어 가능한 통합 리모컨이 널리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n integrated remote control that can control the set-top box and the TV at the same time is widely used.

도 1은 종래 통합 리모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ventional integrated remote control.

도 1에 의하면, 통합 리모컨은 버튼 및 통신모듈을구비하고 있다. 버튼은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셋탑박스 전원버튼, TV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TV 전원버튼, TV 볼륨변경버튼, 셋탑박스 볼륨변경버튼, 셋탑박스 채널 변경버튼을 포함한 다수의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다.1,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is provided with a butt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e button includes a set-top box power button that turns on or off the power of the set-top box, a TV power button that turns on or off the TV, a TV volume change button, a set-top box volume change button, and a set-top box channel change button. are being prepared

통신모듈은 버튼이 조작되면, 각 버튼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TV 또는 셋탑박스가 원격제어 되도록 한다.When a button is operate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to remotely control the TV or set-top box.

한편, 셋탑박스가 수신하는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신호 등을 TV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 전원과 TV 전원을 모두 켜주어야 하는데, 셋탑박스 전원버튼과 TV 전원버튼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셋탑박스 전원버튼과 TV 전원버튼을 각각 눌러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통합 리모컨은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셋탑박스의 전원과 TV의 전원 모두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전원버튼을 구비한 리모컨이 제조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watch IPTV, cable TV, or satellite TV signals received by the set-top box on a TV, both the set-top box power and the TV power must be turned on. Press the box power button and the TV power button respectively. 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 a remote control equipped with an integrated power button capable of controlling both the power of the set-top box and the power of the TV using a single button is currently being manufactured.

즉, 통합 전원버튼의 조작을 통해 셋탑박스와 TV의 전원을 켤 수 있게 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통합 전원버튼이 눌러지면, 통합 리모컨은 셋탑박스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원격 제어신호와 TV의 전원을 켜도록 지시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출하며, 해당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한 셋탑박스와 TV는 전원을 켜게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set-top box and TV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power button. In other words, when the integrated power button is pressed,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sequentially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turn on the power of the set-top box and a remote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turn on the TV,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signal. The received set-top box and TV are turned on.

최근에는 단말을 이용하여 셋탑박스와 TV의 원격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IoT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IoT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된 단말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IoT 기기를 원격 제어한다. Recently,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various IoT devices as well as remotely control a set-top box and a TV using a terminal. In more detail, an application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IoT device is driven in a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o remotely control the IoT device.

이외에도,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하여 특정한 행위를 위해 복수의 IoT 기기의 전원을 동기화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므로 서버 또는 허브가 동작하지 않으면 복수의 IoT 기기의 전원을 동기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provides a function to synchronize the power of a plurality of IoT devices for a specific action by utilizing the IoT connection platform,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n installed application must be run in order to utilize the application. If it does not oper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of a plurality of IoT devices cannot be synchronized.

한국등록특허 제10-1881773호(발명의 명칭: 리모컨을 이용한 파워 밸런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리모컨)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1773 (Title of the invention: Power balance method using remote control and remote contro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IoT 연결 플랫폼을 이용하여 복수의 IoT 기기의 전원을 동기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synchronizing the power of a plurality of IoT devices using an IoT connection platfor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리모컨에서 IoT 연결 플랫폼에 연동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checking the power state of an IoT device linked to an IoT connection platform from a remote contro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IoT 연결 플랫폼에 연동된 IoT 기기의 전원을 동기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synchronizing the power of an IoT device linked to an IoT connection platform without using a separate applic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IoT 연결 게이트웨이 또는 허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특정 버튼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IoT 기기가 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allow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to operate according to a set proces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a specific button even if the IoT connection gateway or hub does not operate normall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원 동기화 시스템은 IoT 기기로부터 IoT 플랫폼을 이용하여 기기정보와 전원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중계기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기로부터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컨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repeater for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e information from an IoT device using an IoT platform; and a remote control for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and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IoT device using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

본 발명에 따른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및 씬기능 설정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IoT 연결 플랫폼을 이용하여 복수의 IoT 기기의 전원을 동기화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특히 리모컨에서 IoT 연결 플랫폼에 연동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The method for synchronizing power and setting a thin function using an IoT connection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ystem supporting the same propose a method of synchronizing the power of a plurality of IoT devices using the IoT connection platform, and in particular, from the remote control to the IoT connection platform We propose a method to check the power status of interlocked IoT devices.

본 발명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IoT 연결 플랫폼에 연동된 IoT 기기의 전원을 동기화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서 IoT 연결 게이트웨이 또는 허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특정 버튼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IoT 기기가 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synchronizing the power of an IoT device linked to an IoT connection platform without using a separate application, so that a plurality of IoT devices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a specific button even if the IoT connection gateway or hub does not operate normal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perate by a set process.

도 1은 종래 통합 리모컨의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IoT 연결 플랫폼의 활용한 전원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integrated remote control.
2 illustrates a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utilizing an IoT connect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thes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2 illustrates a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an IoT connect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an IoT connection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에 의하면,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시스템(200)은 리모컨(210), 무선 중계기기(220), IoT 기기(23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200 using the IoT connection platform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210 , a wireless repeater 220 , and an IoT device 230 .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200 utilizing the IoT connection platfor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리모컨(210)은 무선 중계기기와 연결되며, 무선 중계기기(220)로부터 무선 중계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수신한다. 리모컨(210)은 무선 중계기기(220)로부터 수신한 무선 중계기기의 전원상태 및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저장한다.The remote controller 21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repeater, and receives the power state of the wireless repeater or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220 . The remote controller 210 stores the power state of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peater 220 .

리모컨(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조작하여 원격 제어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리모컨(210)은 IoT 기기(230)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신호를 버튼과 매칭하여 저장한다. 즉, 리모컨(210)은 제어가 요구되는 IoT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신호를 설정한다. 리모컨(210)은 해당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서버로부터 해당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The remote control 21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s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outside by manipula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210 stores a remote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IoT device 230 by matching it with a button. That is, when there is an IoT device that requires control, the remote control 210 sets a remote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is not stored, the remote control 210 receives and stores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from an external server.

리모컨(210)은 무선 중계기기(220)와는 RF 통신을 수행하며, IoT 기기(230)와는 IR 통신을 수행한다. 물론 리모컨(210)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중계기기(220) 또는 IoT 기기(2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 210 performs RF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repeater 220 and IR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230 . Of course, the remote controller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repeater 220 or the IoT device 230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리모컨(210)은 전원상태 동기화가 필요한 IoT 기기(230)로 전원을 켜라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물론 전원을 켜라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 리모컨(210)은 무선 중계기기(220)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IoT 기기의 전원이 켜졌는지 확인한다. 리모컨(210)은 무선 중계기기(220)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 뿐만 아니라 기기정보도 함께 수신한다. 리모컨(210)은 정상적으로 전원이 켜지지 않은 IoT 기기에 대해서는 전원을 켜라는 원격 제어신호를 재차 송신한다. 리모컨(210)은 무선 중계기기(220)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도 전원을 켜라는 원격 제어신호를 재차 송신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210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power to the IoT device 230 requiring power state synchronization. Of course, the remote control 210 that has transmitted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power receives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220 and checks whether the power of the IoT device is normally turned on. The remote controller 210 receives device information as well as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220 . The remote control 210 re-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power to the IoT device that is not normally powered on. The remote control 210 may re-transmit a 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power even if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s not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peater 220 .

무선 중계기기(220)는 IoT 기기(230)와 무선 연결되며, 특히 IoT 기기(230)로부터 전원상태 및 기기정보를 수신한다. 기기정보는 제조사, 제품명 등이 포함된다. 무선 중계기기(220)는 무선 IoT 연결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기기(2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리모컨(21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다. 무선 중계기기(220)는 일정 시간 단위 또는 IoT 기기의 요청에 의해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중계기기(220)는 무선 IoT 연결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켜짐 전원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무선 중계기기(220)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상시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 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이 포함되며, 제2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통신모듈이 포함된다.The wireless repeater 22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oT device 230 , and in particular, receives a power state and devic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230 . Device information includes manufacturer and product name. The wireless repeater 2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230 using a wireless IoT connection platform,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ler 210 . . The wireless repeater 220 receives the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or at the request of the IoT device. The wireless repeater 220 preferably maintains an on power stat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IoT device using the wireless IoT connection platform.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repeater 220 is driven by constant power for stable power supply.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무선 중계기기(220)는 수신한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리모컨으로 송신한다. 무선 중계기기(220)는 필요한 경우 IoT 기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는 이를 리모컨(210)으로 송신하며, 전원상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리모컨(210)으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중계기기(220) 역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The wireless repeater 220 transmits the received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o the remote control. If necessary, the wireless repeater 220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 210 whe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s changed. have. To this end, the wireless repeater 220 may also store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oT 기기(230)는 무선 중계기기와 무선 IoT 연결 플랫폼으로 연결되며, 기기정보와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이 켜진 상태로 전원상태가 변경된 IoT 기기(230)는 무선 중계기기(220)로 기기정보와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The IoT device 230 is connected to a wireless relay device and a wireless IoT connection platform, and transmits devi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 power state. The IoT device 230 whose power state is changed from the power off state to the power on state transmits devi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to the wireless repeater 220 .

IoT 기기(230) 역시 적어도 두 개의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통신모듈은 무선 중계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다른 하나의 통신모듈은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IoT device 230 also includes at least two communication modules. One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other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

IoT 기기(230)는 리모컨(210)으로부터 수신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즉, IoT 기기(230)는 리모컨(210)으로부터 전원을 켜라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전원을 켠 후 무선 중계기기(220)로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외에도 IoT 기기(230)는 구동과 관련된 이력정보를 무선 중계기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IoT 기기(230)는 댁내에 위치하는 기기뿐만 아니라, 댁외에 위치하는 기기도 포함되는 것이 당연하다.The IoT device 23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210 . That is, when the IoT device 23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power from the remote controller 210 , after turning on the power, the IoT device 23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tate to the wireless repeater 220 . In addition, the IoT device 230 transmits driving-related history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IoT device 230 includes not only devices located inside the home, but also devices located outside the home.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 중계기기와 IoT 기기는 타입이 설정된다. 즉, 무선 중계기기는 IoT 기기의 설정 변경을 요청하는 기능을 일부 수행할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 모드로 설정되며, IoT 기기는 자신의 리소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서버 모드로 설정된다. 또한, 무선 중계기기와 IoT 기기는 소스코드 레벨에서 클라이언트 모드와 서버 모드를 설정한다.In particular, the types of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IoT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That is, since the wireless repeater can partially perform a function of requesting a setting change of the IoT device, it is set to the client mode, and since the IoT device provides a service related to its own resource, it is set to the server mode. In addition,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IoT device set the client mode and server mode at the source code level.

또한, 중계 제어기기 또는 IoT 제어기기는 리소스(자원) 블록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며, 리소스 블록은 일반 리소스 모델, 리소스 발견, 메시징, 식별자 및 주소표현, CRUND 오프레이션, 보안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lay controller or IoT controller includes a framework including a resource (resource) block, and the resource block includes a general resource model, resource discovery, messaging, identifier and address expression, CRUND operation, and security.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에 의하면, 무선 중계기기(220)는 제1 통신모듈(220a), 제2 통신모듈(220b), 저장모듈(220c), 제어모듈(220d), 전원 공급모듈(220e)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 중계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wireless repeater 2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 a storage module 220c , a control module 220d , and a power supply module 220e .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wireless repea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1 통신모듈(220a)은 IoT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모듈(220a)은 IoT 기기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 및 기기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모듈(220a)은 무선 IoT 연결 플랫폼을 적용하기 위해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적용된다. 제1 통신모듈(220a)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 뿐만 아니라 IoT 기기의 구동정보를 수신하며, 필요한 경우 IoT 기기로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일 예로 제1 통신모듈(220a)은 리모컨의 요청에 따라 IoT 기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communicates with the IoT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receives the power state and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from the IoT device. To this e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applie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to apply a wireless IoT connection platfor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receives not only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but also driving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ransmits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if necessary.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may transmit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IoT devic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remote control.

무선 중계기기는 IoT 기기의 기기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주변에 IoT 기기의 탐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멀티캐스팅(multi-casting)으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무선 중계기기는 고유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멀티캐스팅으로 송신한다. IoT 기기의 탐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IoT 기기는 유니캐스팅(uni-casting)으로 무선 중계기기로 기기정보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IoT 기기는 기기정보를 포함한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등록한다. 일 예로 기기정보는 제조사, 모델명, 제어 가능한 기능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원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order to receive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e wireless repeater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discovery of an IoT device in the vicinity through multi-casting. To this end, the wireless repeater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through multicasting. Upon receiving the signal requesting discovery of the IoT device, the IoT device transmits devic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uni-casting. To this end, the IoT device registers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including devi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evice information may include a manufacturer, a model name, and a list of controllable functions, and may also include power information.

멀티캐스팅으로 기기정보의 전송을 요청받은 IoT 기기는 등록된 기기정보를 무선 중계기기로 송신한다. IoT 기기로부터 기기정보를 수신한 무선 중계기기는 전원상태와 같은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태 정보를 무선 중계기기로 송신한다.The IoT device requested to transmit device information through multicasting transmits the registered devic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When a state such as a power state is changed, the wireless repeater receiving the devic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may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state. When the state is changed, the IoT device transmits the changed stat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epeater.

제2 통신모듈(220b)은 리모컨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2 통신모듈(220b)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리모컨으로 송신한다. 제2 통신모듈(220b)은 RF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블루투스, 지그비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communicates with the remote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transmits the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o the remote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RF communication module, and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may be applied.

제2 통신모듈(220b)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만 리모컨으로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to the remote control only whe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s changed.

저장모듈(220c)은 무선 중계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모듈(220c)은 무선 IoT 연결 플랫폼에 의해 연결된 IoT 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리모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The storage module 220c stores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wireless repeater. The storage module 220c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wireless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remote control.

저장모듈(220c)은 IoT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모듈(220c)은 상술한 정보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module 220c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provided from the IoT device. The storage module 220c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전원 공급모듈(220e)은 외부로부터 상시전원을 공급받는다. 물론 전원 공급모듈(220e)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시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전원 공급모듈(220e)을 구성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module 220e receives constant power from the outside. Of course, the power supply module 220e may include a battery, and when the supply of constant power is cut off, it may be driven using a built-in battery.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module 220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제어모듈(220d)은 무선 중계기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모듈(220d)은 제1 통신모듈(220a)을 이용하여 IoT 기기와 연결을 요청하며, 제2 통신모듈(220b)을 이용하여 리모컨과 연결을 요청한다. 제어모듈(220d)은 연결된 제1 통신모듈(220a)을 이용하여 IoT 기기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수신하도록 요청한다. 제어모듈(220d)은 연결된 제2 통신모듈(220b)을 이용하여 IoT 기기로부터 수신한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리모컨으로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제어모듈(220d)은 IoT 기기로부터 수신한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에 요청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와 수신한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모듈(220d)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2 통신모듈(220b)을 이용하여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220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he control module 220d requests a connection with the IoT devic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and requests a connection with the remote contro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The control module 220d requests to receive the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from the IoT device using the connected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a. The control module 220d requests to transmit the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to the remote control using the connected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The control module 220d requests the memory to store the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and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stored in the memory and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has been chang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s changed, the control module 220d may request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b.

이외에도 제어모듈(220d)은 무선 중계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모듈(220d)은 리모컨이 요청한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요청하거나,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모듈(220d)은 다양한 형태로 연결된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20d performs an oper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wireless repeater. The control module 220d may reques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ed by the remote control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by a set program.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20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connected IoT devices in various form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에 의하면, 리모컨(210)은 제1 통신모듈(210a), 제2 통신모듈(210b), 입력모듈(210c), 제어모듈(210d) 및 저장모듈(210e)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remote controller 21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a,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b, an input module 210c, a control module 210d, and a storage module 210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ther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1 통신모듈(210a)은 IoT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모듈(210a)은 IoT 기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모듈(210a)은 IR 통신모듈이 적용된다. 제2 통신모듈(210b)은 무선 중계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2 통신모듈(210b)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무선 중계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제2 통신모듈(210b)은 RF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블루투스, 지그비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10b)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만 무선 중계기기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a communicates with the IoT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a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IoT device. To this end, the IR communication module is appli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a.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b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repeate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b receives the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b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n RF communication module, and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may be applie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b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only whe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s changed.

저장모듈(210e)은 리모컨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모듈(210e)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 및 기기정보가 저장되며,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신호가 저장된다. 저장모듈(210e)은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신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모듈(210d)의 제어 하에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신호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모듈(210d)은 IoT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신호를 갱신하며, 갱신된 원격 제어신호 저장한다.The storage module 210e stores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remote control. The storage module 210e stores the power state and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store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The storage module 210e stores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210d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is not stored. As such, the storage module 210d updates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the IoT device and stores the updated remote control signal.

입력모듈(210c)은 버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입력모듈(210c)의 조작에 의해 리모컨은 원격 제어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입력모듈(210c)은 버튼 이외에 터치패널, 마이크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영상정보 입력을 위한 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모듈(210c)은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module 210c is configur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buttons. By manipulating the input module 210c, the remote control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outside. The input module 210c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a microphone, etc. in addition to a button, and, if necessary, may include a camera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The input module 210c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other forms.

제어모듈(210d)은 리모컨을 구성하는 각 모듈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모듈(210d)은 제1 통신모듈(210a)을 제어하여 IoT 기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요청하며, 제2 통신모듈(210b)을 제어하여 무선 중계기기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기기정보를 수신하도록 요청한다. 제어모듈(210d)은 제2 통신모듈(210b)로부터 수신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이용하여 IoT 기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인지 꺼진 상태인지 파악한다.The control module 210d controls driving of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remote control. The control module 210d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a to request to transmit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IoT device, and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b to control the power state or devic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lay device. request to receive The control module 210d uses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b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of the IoT device is turned on or off.

제어모듈(210d)은 IoT 기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경우에는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IoT 기기의 전원을 켜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모듈(210d)은 IoT 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경우에는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파악하여 IoT 기기의 전원을 끄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모듈(210d)은 무선 중계기기로부터 수신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이용하여 필요한 원격 제어신호를 IoT 기기로 송신한다.When the power of the IoT device needs to be maintained, the control module 210d detects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n the power of the IoT device. The control module 210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IoT device by identifying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when the power of the IoT device needs to be mainta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210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necessary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IoT device using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peater.

이하에서 리모컨에서 수행되는 기능 중 특정 목적버튼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특정 목적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이다. 일 예로 목적버튼이 영화감상버튼이라면, 영화감상과 관련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즉, 영화감상을 위해 영상기기와 오디오기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영상기기와 오디오기기의 전원은 켜진 상태로 동기화되어야 한다.Hereinafter, among the functions performed on the remote control, a case in which a specific target button is operated will be described. The specific purpose butt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two IoT devices. For example, if the target button is a movie watching butt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n image device, an audio device, etc. related to watching a movie. That is, it is necessary to keep the power of the video device and the audio device turned on for watching a movie. In other words, the power of the video device and the audio device should be synchronized with the on stat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은 영상감상을 위한 목적버튼이 조작되며, 해당 목적버튼과 관련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확인한다. 즉, 리모컨은 영상기기의 전원상태와 오디오기기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며, 영상기기와 오디오기기의 전원상태가 꺼진 상태인 경우에는 전원을 켜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To this end, in the remote contro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arget button for viewing an image is operated, and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related to the target button is checked. That is, the remote control checks the power state of the video device and the audio device,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n the power when the power status of the video device and the audio device is turned off.

부연하여 설명하면, 영상기기의 전원상태가 꺼진 상태이면, 영상기기로 전원을 켜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오디오기기의 전원상태가 꺼진 상태이면, 영상기기의 전원을 끄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리모컨은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other words, if the power status of the video device is off, it sends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n the video device, and if the power status of the audio device is off, it requests to turn off the power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nformation o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리모컨은 무선 중계기기로부터 IoT 기기의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특히 전원을 켜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의 송신에도 불구하고 전원이 켜지지 않았으면 재차 전원을 켜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물론 특정 목적버튼은 전원을 켜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전원을 끄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영화감상을 위해서는 조명의 전원은 끄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리모컨은 조명의 전원을 끄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리모컨은 적어도 두 이상의 IoT 기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순차적으로 하나씩 송신한다.The remote control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tatus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and in particular, if the power is not turned on despite the transmission of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n the power, it sends a remote control signal to request to turn on the power again. do. Of course, the specific-purpose button may transmit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ff the power as well as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n the power. That is, it is desirable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lighting for watching a movie. 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lighting. The remote control needs to transmit remote control signals to at least two or more IoT devices one by one sequential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200: 전원 동기화 시스템 210: 리모컨
220: 무선 중계기기 230: IoT 기기
210a: 제1 통신모듈 210b: 제2 통신모듈
210c: 입력모듈 210d: 제어모듈
210e: 저장모듈
220a: 제 1통신모듈 220b: 제2 통신모듈
220c: 저장모듈 220d: 제어모듈
220e: 전원 공급모듈
200: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210: remote control
220: wireless repeater 230: IoT device
210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b: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10c: input module 210d: control module
210e: storage module
220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20b: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c: storage module 220d: control module
220e: power supply module

Claims (9)

IoT 기기로부터 IoT 플랫폼을 이용하여 기기정보와 전원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중계기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기로부터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기는 IoT 기기와 Wi-Fi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리모컨과 RF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리모컨은 상기 IoT 기기와 IR 통신을 수행한 IR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 중계기기와 RF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기는 고유정보가 포함된 IoT 기기의 탐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멀티캐스팅으로 송신하며, 상기 IoT 기기로부터 기기정보를 유니캐스팅으로 수신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기는 IoT 기기의 설정 변경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IoT 기기는 리소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 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무선 중계기기는 IoT 기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IoT 기기로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동기화 시스템.
a wireless repeater for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e information from an IoT device using an IoT platform; and
A remote control for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from the wireless repeater, and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IoT device using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e wireless repeater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with an IoT de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an IR communication module performing IR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repeater,
The wireless repeater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discovery of an IoT device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by multicasting, and receives devic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by unicasting,
The wireless repeater is set to a client mode to perform a function of requesting a setting change of an IoT device, and the IoT device is set to a server mode to provide a service related to a resource,
Whe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s changed, the wireless repeater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state to the Io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적어도 2개의 IoT 기기의 전원 제어가 요구되는 버튼 조작이 입력되면, 저장된 IoT 기기의 전원상태를 이용하여 전원상태의 변경이 요구되는 IoT 기기를 추출하고, 추출한 IoT 기기로 전원상태를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동기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
When a button operation that requires power control of at least two IoT devices is input, the IoT device that needs to change the power status is extracted using the stored power status of the IoT device, and the extracted IoT device requests to change the power status Power synchron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IoT 기기로부터 기기정보와 전원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상태 정보를 리모컨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
수신한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수신한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상태 정보를 상기 리모컨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IoT 기기와 Wi-Fi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리모컨과 RF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무선 중계기기는 고유정보가 포함된 IoT 기기의 탐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멀티캐스팅으로 송신하며, 상기 IoT 기기로부터 기기정보를 유니캐스팅으로 수신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기는 IoT 기기의 설정 변경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모드로 설정되며,
상기 무선 중계기기는 IoT 기기의 전원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IoT 기기로 요청하며,
상기 IoT 기기와 IR 통신을 수행한 IR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무선 중계기기와 RF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리모컨으로 수신한 상기 IoT 기기의 기기정보와 전원상태 정보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기.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u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o a remote control;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o transmit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o the remote control,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The wireless repeater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discovery of an IoT device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by multicasting, and receives devic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by unicasting,
The wireless repeater is set to a client mode to perform a function of requesting a setting change of the IoT device,
When the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is changed, the wireless repeater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state to the IoT device,
Device information and power state of the IoT device received by a remote control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an IR communication module performing IR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repeater A wireless repeater that transmits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98592A 2020-08-06 2020-08-06 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KR102329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92A KR102329166B1 (en) 2020-08-06 2020-08-06 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92A KR102329166B1 (en) 2020-08-06 2020-08-06 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166B1 true KR102329166B1 (en) 2021-11-22

Family

ID=7871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592A KR102329166B1 (en) 2020-08-06 2020-08-06 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16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211A (en)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ower control apparatus
KR20130130477A (en) * 2012-05-22 2013-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ystem comprising electronic device, and relay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
KR20160045062A (en) * 2013-08-20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other device using direc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1881773B1 (en) 2018-04-26 2018-07-25 주식회사 오성전자 Method for power balance used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upporting the same
KR20180109320A (en) * 2017-03-27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multaneous controlling terminal,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er medium stored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200034017A (en) * 2018-09-12 2020-03-31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US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IoT(INTERNET OF THINGS)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211A (en)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ower control apparatus
KR20130130477A (en) * 2012-05-22 2013-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ystem comprising electronic device, and relay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
KR20160045062A (en) * 2013-08-20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other device using direc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109320A (en) * 2017-03-27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multaneous controlling terminal,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er medium stored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881773B1 (en) 2018-04-26 2018-07-25 주식회사 오성전자 Method for power balance used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upporting the same
KR20200034017A (en) * 2018-09-12 2020-03-31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US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IoT(INTERNET OF THINGS)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0768B2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mmander, and remote control server
KR101172402B1 (en) Method for watching and hearing TV program in connection between mobile phone and digital TV, mobile phone and digital TV thereof
US7746245B2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EP2577636B1 (en) Backup and restore of network configuration data using a remote controller device
US20230388573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cooperative control method in video display device
US9050531B2 (en) Assisting use of control devices with different content players in a network
JP2004515100A (en) Device includ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first electronic device
KR102013291B1 (en) Method for register/set TV information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EP2160023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ntent
KR102329166B1 (en) Power synchronization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setting method of thin function and system supporting it
JP2007104160A (en)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2021184652A (en) Video display device
KR101911379B1 (en) Method for TV's HDMI port se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US10298991B2 (en) Associating a control device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JP4679359B2 (en) Setting data changing system, remote control device and setting data changing method
KR102200002B1 (en) Voice search applied remote control and how to support it
US8837731B2 (en) Secure remote control for audio/video receiver/decoder
EP32801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multimedia system
KR102329165B1 (en) Automatic remote control method using IoT connection platform and remote controller supporting the same
US10198936B2 (en) Control of electronic components
KR20110065987A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077315A (en) Av device remotely controllable using touch screen device and the touch screen device thereof
CN110995758A (en)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KR101239950B1 (en) Method for watching and hearing TV program in connection between mobile phone and digital TV, mobile phone and digital TV thereof
JP2007174305A (en) Setting data change system, remote controller, and setting data storag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