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669B1 -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669B1
KR102328669B1 KR1020150063668A KR20150063668A KR102328669B1 KR 102328669 B1 KR102328669 B1 KR 102328669B1 KR 1020150063668 A KR1020150063668 A KR 1020150063668A KR 20150063668 A KR20150063668 A KR 20150063668A KR 102328669 B1 KR102328669 B1 KR 10232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a
threshold
unlicensed band
opportunit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390A (ko
Inventor
문정민
류선희
박승훈
정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69B1/ko
Priority to US15/572,469 priority patent/US11006390B2/en
Priority to PCT/KR2016/004821 priority patent/WO2016178550A1/ko
Publication of KR2016013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3Details of error rate determination, e.g. BER, FER or 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 혹은 확장된 CCA(Extended CCA: E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본 발명은 비인가 대역(unlicensed band)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다양한 이동 디바이스들이 개발됨에 따라 이동 트래픽(traffic)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랜(Local Area Network: LAN,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는 블루투스(Buletooth)와 같이 특정 통신 사업자에게 인가되지 않은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저비용으로 구축될 수 있는 무선 RAN에서는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셀룰러 네트워크 만으로는 이동 트래픽을 감당하기 어려운 셀룰러 통신 사업자의 주요한 솔루션(solution)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인가 대역"이라 함은 특정 통신 사업자에게 인가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며, 특정 용도, 일 예로, 롱 텀 에볼루션 (LTE: Long-Term Evolution,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위해 전용으로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이와는 달리, "비인가 대역"이라 함은 특정 통신 사업자에게 인가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며, 상기 비인가 대역은 공중에게 개방된 공유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상기 비인가 대역은 대표적으로 산업, 과학, 의료용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들 중 대표적인 통신 서비스들이 와이 파이(Wi-Fi) 서비스와 블루투스 서비스이다. 따라서, 상기 비인가 대역의 사용을 위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어떤 디바이스라도 상기 비인가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셀룰러 통신 사업자들은 직접 무선 LAN을 배치하거나 혹은 기존의 무선 LAN 사업자와 협력하여 유동 인구가 매우 많은 지역 등과 같이 가입자들의 트래픽을 향상된 노드 비(enhanced Node B: eNB, 이하 " eNB "라 칭하기로 한다)들만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울 경우, 상기 가입자들이 무선 LAN에 포함되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하 "AP" 라 칭하기로 한다)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룰라 통신 사업자들이 트래픽 처리를 위해 배치한 무선 LAN은 기본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 사업자들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들에게 eNB 와 동일한 이동성이나 보안성을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셀룰라 통신 사업자들이 AP를 배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 뿐만 아니라, 상기 셀룰라 통신 사업자들에게 인가되지 않은 비인가 대역에서 직접 셀룰러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가입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들 중 대표적인 방식이 LTE-비인가(Long Term Evolution-Unlicensed: LTE-U, 이하 " LTE-U"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LTE-U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와 eNB가 인가 대역과 비인가 대역에 존재하는 캐리어(carrier) 또는 채널(channel)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는 송신 디바이스는 프레임 기반 단말기(Frame Based Equipment: FBE, 이하 "FBE"라 칭하기로 한다)와 로드 기반 단말기(Load Based Equipment: LBE, 이하 "LBE"라 칭하기로 한다)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FBE 및 LBE 각각은 미리 결정되어 있는 레귤레이션(regulation)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FBE 및 LBE 각각이 만족시켜야만 하는 레귤레이션, 즉 상기 FBE 및 LBE 각각에 대한 LBT(Listen Before Talk) 레귤레이션(regulation)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는 LBT 레귤레이션에 관련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FBE 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LBT 레귤레이션, 즉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최소 20 us 이상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이하 "CCA"라 칭하기로 한다) 프로세스를 수행해야만 하는 LBT 레귤레이션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여기서, CCA프로세스는 송신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비인가 대역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상기 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FBE 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상기 F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비인가 대역을 다른 디바이스가 점유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상기 F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F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상기 비인가 대역을 다른 디바이스가 점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FBE는 상기 CCA프로세스에 성공하면, 즉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일 예로 최소 1 ms에서 최대 10 ms까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후 상기 FBE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일 예로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시간의 최소 5 % 동안은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즉, 상기 F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후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시간의 최소 5 % 동안은 아이들(idle)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비인가 대역의 최소 5%에 해당하는 시구간, 즉 상기 FBE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후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구간을 아이들 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 상기 FBE가 아닌 다른 디바이스가 현재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FBE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 구간(fixed frame period)이 경과된 후 다시 CCA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LBE가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LBE가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LBE 는 FBE와 같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LBT 레귤레이션, 즉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최소 20 us 이상 CCA 프로세스를 수행해야만 하는 LBT 레귤레이션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 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LBE 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상기 L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비인가 대역을 다른 디바이스가 점유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상기 L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L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상기 비인가 대역을 다른 디바이스가 점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 상기 LBE가 아닌 다른 디바이스가 현재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고 결정되면, 상기 LBE는 상기 FBE와는 달리 추가적으로 CCA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CCA 프로세스를 확장된 CCA(Extended CCA: ECCA, 이하 "ECCA"라 칭하기로 한다) 프로세스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ECCA프로세스는 N번의 CCA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 q] 사이의 값으로서, 상기 LBE 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값이다. 또한, q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값이다.
상기 E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 현재 비인가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검출되면, 즉 상기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일 경우 상기 L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LBE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수 있는 시간은 일 예로 최대 (13/32)*q ms가 될 수 있고,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후 일 예로 TECCA 동안은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즉, 상기 LBE는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후 상기 TECCA 동안은 아이들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TECCA, 즉 상기 LBE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후 상기 비인가 대역에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시구간을 아이들 시구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TECCA는 TCCA*N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TCCA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구간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FBE에서 수행되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와 LBE에서 수행되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는 하기와 같은 측면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확률 측면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확률 측면에서는 LBE가 FBE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그 이유는 상기 FBE는 CCA프로세스에 한 번 실패하면 고정 프레임 구간 동안 대기한 후에만 다시 CCA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지만, 상기 LBE는 CCA프로세스는 CCA 프로세스에 실패한 후 ECCA 프로세스, 즉 N번의 추가적인 CCA프로세스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확률이 더 낮은 FBE의 경우 상기 LBE에 비해서 송신 지연이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을 수 있다.
두 번째로, 스케쥴링(scheduling) 측면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스케쥴링, 즉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이하 "PDCCH"라 칭하기로 한다) 신호 송신 측면에서는 FBE가 LBE 보다 그 구현이 간단하다. 즉, 상기 FBE는 서브 프레임 바운더리(sub-frame boundary), 즉 PDCCH 신호 송신 시점을 기준으로 비인가 대역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LBE는 ECCA프로세스가 포함하는 CCA 프로세스들의 개수인 N을 임의로 선택하기 때문에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기 시작하는 시점과 상기 서브 프레임 바운더리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BE의 경우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의 일부를 예약(reservation)하고, 두 번째 서브 프레임부터 PDCCH 신호 송신 동작 및 데이터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의 채널 예약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의 채널 예약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BE는 ECCA 프로세스가 포함하는 CCA 프로세스들의 개수인 N을 임의로 선택하기 때문에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기 시작하는 시점과 서브 프레임 바운더리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BE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 즉 서브 프레임#0의 일부를 예약(reservation)하고, 두 번째 서브 프레임부터 PDCCH 신호 송신 동작 및 데이터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서는 두 번째 서브 프레임이 DL#1로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세 번째로, 다른 디바이스와의 관계 측면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FBE는 LBE에 비해서 비인가 대역을 공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 일 예로 Wi-Fi단말기에게 상대적으로 적은 피해를 준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기 LBE가 상기 FBE 보다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즉, 상기 LBE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경우 다른 디바이스들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인가 대역에 대한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의 경우 FBE 및 LBE 모두 다양한 측면들에서 장단점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현재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송신 지연은 서비스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에 상응하게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에 상응하게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 정보를 보고하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을 검출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 혹은 확장된 CCA(Extended CCA: E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의 실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CCA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확장된 CCA(Extended CCA: ECCA)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의 실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CCA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확장된 CCA(Extended CCA: ECCA)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와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내용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에 상응하게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에 상응하게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 정보를 보고하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리어 채널을 검출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LBE가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의 채널 예약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에서의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에서의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eNB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 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 (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의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신 디바이스는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와, 향상된 노드 비(enhanced Node B: eNB, 이하 " eNB "라 칭하기로 한다)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일 예로 프레임 기반 단말기(Frame Based Equipment: FBE, 이하 "FBE"라 칭하기로 한다)와 로드 기반 단말기(Load Based Equipment: LBE, 이하 "LBE"라 칭하기로 한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unlicensed band)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에 상응하게 대한 LBT(Listen Before Talk) 레귤레이션(regulation)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는 LBT 레귤레이션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에 상응하게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이하 "CCA"라 칭하기로 한다)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 정보를 보고하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을 검출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롱 텀 에볼루션 (LTE: Long-Term Evolution,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 (LTE-A: Long-Term Evolution-Advanced,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인가-보조 억세스(Licensed-Assisted Access: LAA, 이하 " LAA"라 칭하기로 한다)-LTE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이하 ‘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Evolved Packet System,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 ‘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하다.
먼저, 비인가 대역에 적용되는 LBT 레귤레이션을 기반으로 할 경우, 향상된 노드 비(enhanced Node B: eNB, 이하 " eNB "라 칭하기로 한다)가 송신 전력(transmit power)을 결정하고, 송신 디바이스가 비지 채널(busy channel, 이하 " busy channel"라 칭하기로 한다) 또는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 이하 " clear channel"라 칭하기로 한다)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CCA 임계값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CCA 임계값 = -73 dBm/MHz + 23 - 송신 전력
따라서, 일 예로, 비인가 대역의 대역폭이 20 MHz일 때, 송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23 dBm일 경우에는 CCA 임계값이 -60 dBm으로 설정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비인가 대역의 대역폭이 20 MHz일 때,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30 dBm일 경우에는 상기 CCA 임계값이 -67 dBm으로 설정된다.
한편, eNB가 LAA-LTE eNB일 경우, 상기 LAA-LTE eNB의 송신 전력은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와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LAA-LTE eNB(411)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일 예로 2개의 사용자 단말기들, 즉 사용자 단말기#1(413) 및 사용자 단말기#2(415)를 포함한다.
상기 LAA-LTE eNB(411)는 송신 전력 P1 또는 송신 전력 P2를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AA-LTE eNB(411)의 송신 전력이 P1일 경우 사용되는 CCA 임계값을 CCA Th1 이라고 가정하기로 하며, 상기 LAA-LTE eNB(411)의 송신 전력이 P2일 경우 사용되는 CCA 임계값을 CCA Th2 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CCA Th1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CCA Th2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CCA Th1 = -73 dBm/MHz + 23 - P1
<수학식 3>
CCA Th2 =-73 dBm/MHz + 23 - P2
또한, 상기 송신 전력 P1은 상기 송신 전력 P2보다 크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정할 경우, P1 > P2이고, CCA Th1 < CCA Th2인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413)은 영역#1(417), 즉 상기 LAA-LTE eNB(411)이 상기 송신 전력 P1을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만 수신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415)는 영역#2(419), 즉 상기 LAA-LTE eNB(411)가 상기 송신 전력 P1 또는 상기 송신 전력 P2를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할 경우 수신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도 4에서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AA-LTE eNB(411)와, 사용자 단말기#1(413) 및 사용자 단말기#2(415)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와이 파이(Wi-Fi, 이하 " Wi-Fi"라 칭하기로 한다)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하 "AP"라고 칭하기로 한다)(5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Wi-Fi AP(511)는 상기 LAA-LTE eNB(411)와 동일한 비인가 대역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송신 전력 및 CCA 임계값에 대한 가정 역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LAA-LTE eNB(411) 주변에 상기 Wi-Fi AP (511)가 존재하고, 상기 LAA-LTE eNB(411)는 상기 Wi-Fi AP(511)로부터 CCA Th1를 초과하고, CCA Th2 미만인 크기를 갖는 간섭을 받는 경우를 고려하기로 한다(CCA Th1<간섭의 크기<CCA Th2). 이 경우, 상기 LAA-LTE eNB(411)가 송신 전력 및 CCA 임계값을 각각 P1, CCA Th1으로 설정하였다면, 현재 CCA Th1보다 큰 크기의 간섭을 받고 있기 때문에 busy channel을 인지할 것이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413) 및 사용자 단말기#2(415) 모두에 대해서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도 5에서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A-LTE eNB의 송신 전력과 CCA 임계값의 관계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AA-LTE eNB(411)와, 사용자 단말기#1(413) 및 사용자 단말기#2(415)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Wi-Fi AP(6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Wi-Fi AP(611)는 상기 LAA-LTE eNB(411)와 동일한 비인가 대역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송신 전력 및 CCA 임계값에 대한 가정 역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LAA-LTE eNB(411) 주변에 상기 Wi-Fi AP (611)가 존재하고, 상기 LAA-LTE eNB(411)는 상기 Wi-Fi AP(611)로부터 CCA Th1를 초과하고, CCA Th2 미만인 크기를 갖는 간섭을 받는 경우를 고려하기로 한다(CCA Th1<간섭의 크기<CCA Th2). 이 경우, 상기 LAA-LTE eNB(411)가 송신 전력 및 CCA 임계값을 각각 P2, CCA Th2로 설정하였다면, 현재 CCA Th2보다 작은 크기의 간섭을 받고 있기 때문에 clear channel을 인지할 것이고 따라서, 영역#(415)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415)에 대해서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CA 임계값은 송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채널 상태, 일 예로 clear channel 상태 및 busy channel 상태 검출 및 셀 커버리지 등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준다.
특히, 상기 CCA 임계값은 송신 지연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적으로 CCA 임계값이 비교적 높게 설정될 경우에는, 송신 디바이스는 비교적 큰 크기의 간섭이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해당 채널을 clear channel로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기회(transmit opportunity)를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하는 송신 지연이 비교적 짧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CCA 임계값이 비교적 낮게 설정될 경우에는, 송신 디바이스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간섭이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해당 채널을 busy channel로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기회를 획득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할 경우, 송신 지연이 비교적 길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CA 임계값은 데이터 송신시 발생되는 송신 지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7및 도 8을 참조하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에서의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에서의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FBE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일 예로 고정 프레임 구간(fixed frame period) 간격으로 CCA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FBE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한 후 CCA프로세스를 1회 실패할 때마다 고정 프레임 구간 만큼의 송신 지연이 발생한다.
도 7에는 FBE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한 후 총 3회의 CCA 프로세스 실패가 발생되고, 따라서 고정 프레임 구간의 3배에 해당하는 송신 지연이 발생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에서의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에서의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에서의 CCA 프로세스 성공 및 CCA 프로세스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LBE는 아이들 구간에 대한 레귤레이션을 만족시키면서 임의의 시점에서 CCA 프로세스 및 확장된 CCA(Extended CCA: ECCA, 이하 "ECCA"라 칭하기로 한다)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CCS 프로세스는 N번의 CCA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 q] 사이의 값으로서, 상기 LBE 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값이다. 또한, q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값이다.
따라서, 상기 LBE는 상기 N을 카운트하는 카운터(counter)를 감소시켜 가면서 E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다른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고 있음을 검출하면, 상기 비인가 대역이 clear channel이 될 때까지 대기한 후, 다시 ECCA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는 시간은 1.625ms 내지 13ms 중의 한 시간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LBE는 상기 카운터의 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BE는 ECCA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 및 ECCA 프로세스 동안 다른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시간만큼 송신 지연이 발생한다.
도 8에는 LBE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한 후, 상기 LBE가 N의 값을 9로 선택하고, 총 2회 다른 디바이스들이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고, 따라서 총 9번의 CCA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과, 총 2회의 비인가 대역 점유 시간에 해당하는 송신 지연이 발생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인가 대역에서 발생하는 송신 지연은 CCA 임계값 및 그에 따른 채널 상태, 일 예로 clear channel 상태 및 busy channel 상태 검출, 송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및 셀 커버리지 등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크게 의존적이다.
그런데, 이런 송신 지연은 실제 가입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며, 따라서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에 상응하는 송신 지연이 발생될 경우마다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비인가 대역에서 발생되는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에 상응하는 송신 지연이 발생될 경우마다 CCA 임계값을 증가시킬 경우, 상기 CCA 임계값을 증가시킴과 함께 송신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동작을 수행할 확률, 즉 clear channel을 검출할 확률을 증가시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FBE는 CCA 프로세스를 1회 실패할 경우마다 발생하는 송신 지연, 즉 고정 프레임 구간마다 CCA 임계값을 미리 설정된 값 만큼 증가시킨다. 도 9에서는 고정 프레임 구간을 "T"로 표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9에서, 첫 번째 CCA프로세스는 그 CCA 임계값으로 CCA Th1을 사용하고, 두 번째 CCA프로세스는 그 CCA 임계값으로 CCA Th2를 사용하고, 세 번째 CCA프로세스는 그 CCA 임계값으로 CCA Th3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CCA Th1은 상기 FBE가 사용하는 디폴트(default) CCA 임계값이며, 상기 CCA Th1와, CCA Th2와, CCA Th3간에는 CCA Th1< CCA Th2< CCA Th3의 관계가 성립한다. 상기 CCA 임계값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CCA 임계값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첫 번째 CCA프로세스는 상기 CCA 임계값 CCA Th1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 P1을 사용하고, 상기 두 번째 CCA프로세스는 상기 CCA 임계값 CCA Th2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 P2를 사용하고, 상기 세 번째 CCA프로세스는 상기 CCA 임계값 CCA Th3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 P3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P1, P2, P3간에는 P1> P2> P3의 관계가 성립한다.
상기 FBE가 상기 첫 번째 CCA 프로세스 내지 상기 세 번째 CCA 프로세스에 모두 실패할 경우, 상기 FBE는 CCA 임계값 CCA Th4를 사용하여 네 번째 CCA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상기 네 번째 CCA 프로세스에 성공할 경우, 상기 FBE는 상기 CCA 임계값 CCA Th4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인 송신 전력 P4를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CCA 프로세스에 성공하게 되면, 상기 FBE는 CCA 임계값을 다시 디폴트 CCA 임계값인 CCA Th1로 변경하고, 송신 전력 역시 상기 CCA 임계값 CCA Th1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 P1으로 변경한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F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LBE는 ECCA 프로세스가 포함하는 CCA 프로세스들의 개수 N을 9로 선택하였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LBE는 총 9회의 CCA 프로세스들을 수행한 후 송신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3회의 CCA 프로세스들을 수행한 후(즉, 카운터의 값이 6일 경우(counter = 6)) 상기 LBE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 일 예로 Wi-Fi AP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할 경우, 상기 LBE는 수행되는 CCA 프로세스들의 횟수에 대한 카운팅 동작을 정지하고, 채널 상태를 모니터링(monitoring)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는 시간은 1.625ms 내지 13ms 중의 한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BE는 상기 채널 상태를 모니터링 시작하는 시점에서 고정 프레임 구간 "T"를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채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에 고정 프레임 구간 "T"가 경과됨을 검출하면, 상기 LBE는 CCA 임계값을 디폴트 CCA 임계값인 CCA Th1에서 상기 CCA Th1 보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값만큼 증가된 CCA 임계값인 CCA Th2로 CCA 임계값을 변경시킨다.
이런 식으로 마지막 CCA 프로세스인 아홉 번째 CCA 프로세스가 완료된 시점(즉, 카운터의 값이 0일 경우(counter = 0))에 적용된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도 10에는 상기 LBE가 CCA 임계값 CCA Th4 및 송신 전력 P4를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BE가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송신 디바이스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마다 고정된 CCA 임계값을 사용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를 "CCA 기회(CCA opportunity)"라 칭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CA 기회마다 고정된 CCA 임계값을 사용하도록 CCA 임계값이 제어될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CCA 기회#1 내지 CCA 기회#3에서는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없지만, CCA 기회#4에서는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CCA 기회#1 내지 CCA 기회#3에서는 비인가 대역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상기 CCA 임계값을 초과하므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CCA 기회마다 다수의 CCA 임계값들, 일 예로, CCA Th1 내지 CCA Th4의 총 4개의 CCA 임계값들을 사용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CCA 기회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검출한 간섭의 크기와 상기 4개의 CCA 임계값들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검출한 간섭의 크기보다 큰 CCA 임계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검출한 간섭의 크기보다 큰 CCA 임계값이 존재할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검출한 간섭의 크기보다 큰 CCA 임계값을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사용할 CCA 임계값으로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CCA 임계값을 기반으로 송신 동작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상기 결정한 CCA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만약,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검출한 간섭의 크기보다 큰 CCA 임계값이 다수개 존재할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검출한 간섭의 크기보다 큰 다수의 CCA 임계값들 중 최소인 CCA 임계값을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이 사용할 CCA 임계값으로 결정하고, 또한 상기 결정한 CCA 임계값을 기반으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 자신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CA 기회마다 다수개의 CCA 임계값들을 사용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할 경우, CCA 기회#1에서는 CCA Th3 및 송신 전력 3을 사용하여 CCA 프로세스 수행 및 송신 동작을 수행하고, CCA 기회#2 내지 CCA 기회#3에서는 CCA Th4 및 송신 전력 4를 사용하여 CCA 프로세스 수행 및 송신 동작을 수행하고, CCA 기회#4에서는 CCA Th1 및 송신 전력 1을 사용하여 CCA 프로세스 수행 및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CCA 기회마다 한 개의 CCA 임계값을 사용하고, CCA 기회마다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CCA 임계값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송신 디바이스는 CCA 기회#1에서는 디폴트 CCA 임계값인 CCA Th2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CCA Th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 2는 상기 CCA Th2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CCA Th2보다 큰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CCA 기회에서 상기 CCA Th2보다 더 큰 CCA 임계값인 CCA Th3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CCA Th3보다 크기가 작거나 같은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CCA Th3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CCA Th3보다 큰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CCA 기회에서 상기 CCA th3보다 더 큰 CCA 임계값인 CCA Th4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 중에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설정되어 있는 CCA 임계값 보다 작은 크기의 간섭을 검출함에 따라 신호 송신 동작을 수행하였을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다음 CCA 기회에서는 디폴트 CCA 임계값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CCA 기회마다 한 개의 CCA 임계값을 사용하고, CCA 기회마다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CCA 임계값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송신 디바이스는 CCA 기회#1에서는 디폴트 CCA 임계값인 CCA Th2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CCA Th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 2는 상기 CCA Th2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CCA Th2보다 큰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CCA 기회에서 상기 CCA Th2보다 더 큰 CCA 임계값인 CCA Th3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CCA Th3보다 크기가 작거나 같은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CCA Th3에 상응하는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CCA Th3보다 큰 간섭이 검출되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CCA 기회에서 상기 CCA Th3보다 더 큰 CCA 임계값인 CCA Th4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 중에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설정되어 있는 CCA 임계값 보다 작은 크기의 간섭을 검출함에 따라 신호 송신 동작을 수행하였을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다음 CCA 기회에서는 상기 송신 동작 수행시 사용된 CCA 임계값, 즉 CCA Th4 보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레벨, 일 예로 1레벨 낮은 CCA 임계값, 즉 CCA Th3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에서 설명된 CCA 기회는 1개의 CCA 슬럿(slot)일 수도 있고, 다수의 CCA 슬럿들의 집합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슬럿들은 연속적일 수도 있고 불연속적일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다수의 CCA 슬럿들의 집합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수의 송신 디바이스들이 CCA 임계값을 공통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CCA 임계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들 각각이 eNB라고 가정하기로 하며, 따라서 상기 다수의 송신 디바이스들은 eNB#1(1511)과, eNB#2(1513) 및 eNB#1(15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eNB#1(1511)과, eNB#2(1513) 및 eNB#1(1515)는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며, 상기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eNB#1(1511)과, eNB#2(1513) 및 eNB#1(1515) 각각은 동일한 CCA 임계값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eNB#1(1511)이 특정 이벤트(event)를 검출함에 따라(1517단계) CCA 임계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eNB#1(1511)는 CCA 임계값을 변경한다(1519단계). 상기 CCA 임계값을 변경하는 방식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CCA 임계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음을 검출할 수 있는 특정 이벤트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eNB#1(1511)는 상기 변경된 CCA 임계값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eNB#1(1511)와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eNB 들, 즉 eNB#2(1513) 및 eNB#1(1515) 각각으로 송신한다(1521단계, 1523단계). 상기 변경된 CCA 임계값에 관련된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변경된 CCA 임계값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역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특정 이벤트는 CCA 임계값의 변경을 초래하는 이벤트를 나타내며, 상기 특정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이벤트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1)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자동 반복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ARQ, 이하 "ARQ"라 칭하기로 한다) ACK(ACKnowledgment)의 개수, 혹은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ARQ NACK(Non-ACKnowledgment)의 개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2)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이하 "HARQ"라 칭하기로 한다) ACK의 개수, 혹은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HARQ NACK 의 개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3)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량(throughput)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처리량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4)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평균 레이턴시(latency)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레이턴시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5)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수행된 CCA 프로세스들 중 clear channel상태의CCA 슬럿들의 개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6)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수행된 CCA 프로세스들 중 busy channel상태의CCA 슬럿들의 개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6)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송신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시간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시간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7)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송신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지 못한 시간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시간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8)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LAA-LTE eNB로부터의 평균 신호 세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신호 세기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여기서, 신호 세기는 일 예로 수신 신호 코드 전력(RSCP: received signal code power, 이하 'RSCP'라 칭하기로 한다)과,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이하 'RSRP'라 칭하기로 한다)과, 기준 신호 강도 지시자(RSSI: reference signal strength indicator, 이하 'RSSI'라 칭하기로 한다)와,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이하 'RSRQ'라 칭하기로 한다)과, 캐리어대 간섭 잡음비(CINR: carrier-to-interference noise ratio, 이하 'CINR'라 칭하기로 한다)와,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 이하 'SN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블록 에러 레이트(BLER: block error rate, 이하 'BLER'이라 칭하기로 한다) 등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9)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Wi-Fi AP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평균 신호 세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신호 세기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10)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LAA-LTE eNB와, Wi-Fi AP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평균 신호 세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신호 세기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11)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운영자간(inter-operator) LAA-LTE eNB로부터의 평균 신호 세기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신호 세기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12)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eNB의 평균 버퍼 점유율(buffer occupancy rate)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 버퍼 점유율이 되거나 혹은 상기 임계 버퍼 점유율 이하가 될 경우
(13) 비인가 대역에서 인접 LAA-LTE eNB들로부터 미리 규약되어 있는 신호를 수신할 경우
여기서, 상기 미리 규약되어 있는 신호는 CCA 임계값에 관련된 정보와, CCA 임계값 적용 시점에 관련된 정보와,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이하 "PLM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식별자(IDentifier: ID, 이하 "ID"라 칭하기로 한다)에 관련된 정보 등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할 수 있다.
(14) 미리 결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가 비인가 대역에서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 이하 "CQI"라 칭하기로 한다) 미스매치(mismatch)를 경험한 횟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한편, 상기 특정 이벤트는 도 15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모든 동작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송신 지연이 발생될 경우마다 CCA 임계값을 증가시킬 경우 비교적 큰 간섭이 존재할 경우라도 송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디바이스, 일 예로 eNB의 송신 확률은 증가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CCA 임계값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역시 감소되기 때문에 셀 커버리지는 감소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CA 임계값이 CCA Th1에서 CCA Th2로 증가함에 따라 송신 전력이 P1에서 P2로 감소할 경우, eNB(411)는 상기 송신 전력 P1을 사용할 경우에만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413)과 같은 수신 디바이스를 스케쥴링(scheduling) 대상에서 제외시켜야만 한다. 즉, 상기 eNB(411)는 CCA 임계값의 변화에 따라서 스케쥴링 동작을 다시 수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 즉 eNB는 CCA 임계값의 변화에 따른 스케쥴링 동작을 수행해야만 하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611단계에서 상기 eNB는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설정하고 1613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eNB는 상기 CCA 임계값으로 CCA Thk를 설정하고, 상기 송신 전력으로 상기 CCA Thk에 상응하는 Pk를 설정한다. 여기서, k는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인덱스(index)로서, 최초에는 상기 CCA Thk 및 Pk는 각각 디폴트 CCA 임계값인 CCA Th1와 디폴트 송신 전력인 P1으로 설정된다.
상기 1613단계에서 상기 eNB는 상기 송신 전력 P1을 기준으로 수신 디바이스, 즉 사용자 단말기를 선택하고, 즉 스케쥴링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선택한 사용자 단말기에게 송신할 데이터를 생성한 후 16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15단계에서 상기 eNB는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CCA threshold adaptation timer)의 구동을 시작시키고 1617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는 CCA 임계값을 유지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이다. 상기 1617단계에서 상기 eNB는 CCA 프로세스 (혹은 ECCA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16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19단계에서 상기 eNB는 상기 CCA 프로세스 (혹은 E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가 성공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CCA 프로세스 (혹은 E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가 성공이 아닐 경우, 즉 CCA 프로세스 (혹은 E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가 실패일 경우 상기 eNB는 1621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21단계에서 상기 eNB는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eNB는 상기 1617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1621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경우 상기 eNB는 16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23단계에서 상기 eNB는 상기 인덱스 k가 최대값 이상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인덱스 k가 상기 최대값 이상이 아닐 경우 상기 eNB는 16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25단계에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인덱스 k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 일 예로 1 증가시키고 상기 1611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1623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인덱스 k가 상기 최대값 이상일 경우 상기 eNB는 더 이상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현재까지의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1619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CCA 프로세스 (혹은 E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가 성공일 경우 상기 eNB는 16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627단계에서 상기 eNB는 송신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16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6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6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6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LAA-LTE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CCA 실패에 따른 송신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서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에서는 다운링크(DownLink: DL, 이하 "DL"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기반으로 하는 동작, 즉 eNB가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가 성공일 경우, 송신 동작, 즉 사용자 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일 예로 하여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CCA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은 DL 뿐만 아니라 업링크(UpLink: UL, 이하 "UL"이라 칭하기로 한다)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UL을 기반으로 하는 동작, 즉 사용자 단말기가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가 성공일 경우, 송신 동작, 즉 eNB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인가 대역에 대한 LBT 레귤레이션 프로세스에 따르면 CCA 임계값을 증가시킬 경우 송신 전력은 감소된다. 이 경우, UL을 기반으로 하는 동작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송신 전력이 감소되게 되는데, LTE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eNB가 사용자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기반으로 UL 스케쥴링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기 eNB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추적해야만 한다.
하지만, CCA 프로세스 수행 결과의 성공 또는 실패는 송신 디바이스, 즉 사용자 단말기만 알고 있기 대문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자신의 송신 전력 변경을 eNB에게 보고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송신 전력 변경 보고는 현재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안되어 있는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 이하 "PHR"이라 칭하기로 한다) 동작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는 현재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되어 있는 전력 헤드룸 정보가 나타내져 있다.
<표 1>
Figure 112015043801073-pat0000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헤드룸 정보는 보고 값(reported value)과 측정 양 값(measured quantity value)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고 값은 총 64개의 전력 헤드룸 인덱스들, 즉 POWER_HEADROOM_0 내지 POWER_HEADROOM_63의 총 64개의 전력 헤드룸 인덱스들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64개의 전력 헤드룸 인엑스들 각각에는 그에 상응하는 측정 양 값(measured quantity value)이 매핑된다. 일 예로, POWER_HEADROOM_0에는 -23dB 이상 -22dB 미만의 측정 양 값이 매핑된다.
한편, 현재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력 헤드룸 정보를 하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eNB로 보고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하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PHR 동작을 수행한다.
(1) 사용자 단말기가 측정한 DL 경로 손실(path loss)의 변화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일 예로 상기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하고 있는 dl-PathlossChange 값 이상일 경우
(2) 미리 결정되어 있는 타이며, 일 예로 상기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하고 있는 PeriodicPHR-Timer가 만료될 경우(주기적으로, PHR 동작이 수행됨), 여기서, 상기 PeriodicPHR-Timer는 PHR 동작을 수행하는 주기를 카운팅하는 타이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으로 DL 경로 손실이 변화할 경우 및 미리 결정되어 있는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PHR 동작이 수행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CCA 임계값 변화에 따른 송신 전력의 변화를 기반으로 PH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HR 동작을 수행하는 트리거(trigger)가 되는 특정 이벤트로서 CCA 임계값 변화에 따른 송신 전력의 변화를 추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네 가지 이벤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PHR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1) 사용자 단말기가 측정한 DL 경로 손실의 변화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임계값, 일 예로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하고 있는 dl-PathlossChange 값 이상일 경우
(2) 미리 결정되어 있는 타이며, 일 예로 상기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하고 있는 PeriodicPHR-Timer가 만료될 경우(주기적으로, PHR 동작이 수행됨)
(3) 미리 결정되어 있는 타이머, 일 예로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CCA 임계값이 변경되고, 상기 CCA 임계 값 변경에 따라 송신 전력이 변경될 경우
(4) 사용자 단말기가 송신 동작을 수행하고, 즉 UL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송신하고,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각각 디폴트 CCA 임계값 및 디폴트 송신 전력으로 설정할 경우
그러면 여기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eNB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eNB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eNB(1711)와 사용자 단말기(1711)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1)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함을 검출하면(1715단계) 상기 eNB(1711)로 스케쥴링 요구(Scheduling Request: SR, 이하 "SR"이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1717단계). 상기 SR 메시지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가 대역에서 동작하는 기본 셀(Primary Cell: PCell, 이하 "PCell"라 칭하기로 한다)을 통해서 송신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1)로부터 SR 메시지를 수신한 eNB(1711)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1)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L 그랜트(UL grant)를 상기 PCell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1)에게 송신한다(1719단계). 상기 eNB(1711)로부터 UL 그랜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711)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또한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를 구동 시작한다(1721단계). 여기서,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의 구동을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3)가 상기 eNB(1711)로부터 UL 그랜트를 수신한 시점, 혹은 상기 UL 그랜트에 포함되어 있는 UL 자원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UL 자원이 포함되는 UL 서브 프레임의 시작 시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1)가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busy channel상태만을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 상태에서(1723단계, 1725단계, 1727단계, 1729단계, 1731단계)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1733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3)는 상기 CCA 임계값 적응 타이머가 만료됨에 따라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1735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3)는 상기 eNB(1711)로부터 UL 그랜트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UL 그랜트를 기반으로 보조 셀(Secondary Cell: SCell, 이하 "SCell"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통해 버퍼 스테이트 보고(Buffer State Report: BSR, 이하 "BSR"이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와 데이터를 함께 상기 eNB(1711)로 송신하고 (1723단계, 1727단계), 이에 대해 상기 eNB(1711)로부터 NACK을 수신할 경우(1725단계, 1729단계) busy channel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3)는 상기 PCell을 통해 상기 eNB(1711)로 PHR 메시지를 송신한다(1737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1713)로부터 상기 PHR 메시지를 수신한 eNB(1711)는 상기 PHR 메시지에 상응하게 스케쥴링 동작을 수행한다(1739단계). 상기 eNB(1711)가 수행하는 스케쥴링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7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eNB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도시하고 있더라도, 다양한 변형들이 도 17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7에는 연속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7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오버랩될 수 있고, 병렬로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거나, 혹은 다수 번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eNB간의 신호 송/수신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1800)는 송신기(1811)와, 제어기(1813)와, 수신기(1815)와, 저장 유닛(18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813)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1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811)는 상기 제어기(18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수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8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815)는 상기 제어기(18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수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8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817)은 상기 제어기(18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신 디바이스(1800)가 수행하는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817)은 상기 수신기(181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8에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1800)가 상기 송신기(1811)와, 제어기(1813)와, 수신기(1815)와, 저장 유닛(18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송신 디바이스(1800)는 상기 송신기(1811)와, 제어기(1813)와, 수신기(1815)와, 저장 유닛(18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송신 디바이스 (1800)는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수신 디바이스(1900)는 송신기(1911)와, 제어기(1913)와, 수신기(1915)와, 저장 유닛(19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913)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1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911)는 상기 제어기(19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송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9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915)는 상기 제어기(19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함하는 다른 엔터티들, 일 예로 송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9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도 4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917)은 상기 제어기(19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 디바이스(1900)가 수행하는 상기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는 신호 송/수신 동작에 관련된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917)은 상기 수신기(191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19에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1900)가 상기 송신기(1911)와, 제어기(1913)와, 수신기(1915)와, 저장 유닛(19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수신 디바이스(1900)는 상기 송신기(1911)와, 제어기(1913)와, 수신기(1915)와, 저장 유닛(191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신 디바이스 (1900)는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와,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방법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과,
    CCA 기회 마다 다수의 CCA 임계 값들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작은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큰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CCA 기회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이고,
    상기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수행된 CCA 프로세스들 중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 상태의 CCA 슬럿(slot)들의 개수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 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수행된 CCA 프로세스들 중 비지 채널(busy channel) 상태의 CCA 슬럿들의 개수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 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7.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방법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과,
    CCA 기회 마다 다수의 CCA 임계 값들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작은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큰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CCA 기회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이고,
    상기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 시간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지 않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 시간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8.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의 방법에 있어서,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과,
    CCA 기회 마다 다수의 CCA 임계 값들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작은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큰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CCA 기회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이고,
    상기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평균 신호 세기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 신호 세기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송신 디바이스의 평균 버퍼 점유율(buffer occupancy rate)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 버퍼 점유율이 되거나 혹은 상기 임계 버퍼 점유율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비인가 대역에서 다른 송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미리 규약되어 있는 신호를 수신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A 임계값은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속해 있는 그룹에 포함되는 다른 송신 디바이스들이 동일하게 사용하는 CCA 임계값인 상기 방법.
  13.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전력을 상기 제어된 CCA 임계값에 상응하게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전력을 상기 제어된 CCA 임계값에 상응하게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전력을 상기 제어된 CCA 임계값에 상응하게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일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향상된 노드 비(enhanced Node B: eNB)로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측정한 다운링크 경로 손실의 변화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제1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제2 타이머가 만료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상기 CCA 임계값이 변경되고, 상기 CCA 임계값 변경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이 변경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CCA 프로세스 성공에 따라 송신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 동작 수행에 따라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각각 디폴트 CCA 임계값 및 디폴트 송신 전력으로 변경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는 상기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고,
    CCA 기회 마다 다수의 CCA 임계 값들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작은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큰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며,
    CCA 기회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수행된 CCA 프로세스들 중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 상태의 CCA 슬럿(slot)들의 개수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 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수행된 CCA 프로세스들 중 비지 채널(busy channel) 상태의 CCA 슬럿들의 개수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 값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
  21.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고,
    CCA 기회 마다 다수의 CCA 임계 값들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작은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큰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며,
    CCA 기회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한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 시간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지 않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 시간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
  22.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클리어 채널 어사인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중에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고,
    CCA 기회 마다 다수의 CCA 임계 값들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작은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CCA 임계값을 제어하거나, 혹은 제2 CCA 기회에서 제1 CCA 기회에서 사용된 CCA 임계값보다 큰 CCA 임계값이 사용되도록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CCA 임계값을 제어하며,
    CCA 기회는 CCA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평균 신호 세기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 신호 세기 이상 혹은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비인가 대역에서 측정되는 송신 디바이스의 평균 버퍼 점유율(buffer occupancy rate)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 버퍼 점유율이 되거나 혹은 상기 임계 버퍼 점유율 이하가 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거나, 혹은
    비인가 대역에서 다른 송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미리 규약되어 있는 신호를 수신할 경우 CCA 임계값을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20항, 제21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CCA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신 전력을 상기 제어된 CCA 임계값에 상응하게 변경하고,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일 경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향상된 노드 비(enhanced Node B: eNB)로 보고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측정한 다운링크 경로 손실의 변화가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제1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거나, 혹은
    설정되어 있는 제2 타이머가 만료되고, 상기 제2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상기 CCA 임계값이 변경되고, 상기 CCA 임계값 변경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이 변경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CCA 프로세스 성공에 따라 송신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 동작 수행에 따라 CCA 임계값 및 송신 전력을 각각 디폴트 CCA 임계값 및 디폴트 송신 전력으로 변경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의 변경을 eNB로 보고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150063668A 2015-05-07 2015-05-07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328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68A KR102328669B1 (ko) 2015-05-07 2015-05-07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5/572,469 US11006390B2 (en) 2015-05-07 2016-05-09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PCT/KR2016/004821 WO2016178550A1 (ko) 2015-05-07 2016-05-09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68A KR102328669B1 (ko) 2015-05-07 2015-05-07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90A KR20160131390A (ko) 2016-11-16
KR102328669B1 true KR102328669B1 (ko) 2021-11-19

Family

ID=5721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668A KR102328669B1 (ko) 2015-05-07 2015-05-07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06390B2 (ko)
KR (1) KR102328669B1 (ko)
WO (1) WO2016178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7856B2 (en) 2015-07-3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on basis of clear channel assessment in unlicensed band channe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HUE057584T2 (hu) * 2016-09-30 2022-05-28 Zte Corp Technikák EDCA mechanizmus javítására térbeli újrafelhasználás során
US10548131B2 (en) 2016-11-02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wideband eNB and narrowband UE
JP2020500479A (ja) * 2016-11-18 2020-01-0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KR20180094722A (ko) * 2017-02-16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의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636033B1 (en) 2017-06-07 2023-10-18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selecting energy detection thresholds (edts) in radio nodes deploying listen before talk within a coordinated network to improve throughput on shared spectrum
US11510241B2 (en) * 2018-08-17 2022-1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assisted clear channel assessment bandwidth adaptation mechanism
CN109714818B (zh) * 2019-03-18 2021-11-23 芯瑞微(上海)电子科技有限公司 单小区noma系统中的功率分配方法
CN115769660A (zh) * 2020-05-29 2023-03-07 路创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自适应传输阈值的控制装置
KR102396958B1 (ko) * 2021-12-07 2022-05-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채널 액세스 방법
WO2023219238A1 (en) * 2022-05-09 2023-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node and method performed by network nod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3821B2 (en) * 2004-01-08 2008-10-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clear channel assessment optimiz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08511236A (ja) 2004-08-25 2008-04-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Uwb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クリアチャネル評価
US8909945B2 (en) 2005-04-08 2014-12-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power control in mesh systems
US9167590B2 (en) 2011-12-15 2015-10-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channel in communication system
US9736703B2 (en) 2012-04-06 2017-08-15 Plume Design, Inc. Interference management and network performance optimization in dense WiFi networks
KR102161170B1 (ko) 2013-05-24 2020-09-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송신 기회(txop) 기반 채널 재사용
US9288752B2 (en) * 2013-10-10 2016-03-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radio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9521587B2 (en) * 2013-12-11 2016-12-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lear channel assessment threshold
US9491752B2 (en) * 2014-02-24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abling asynchronous time division duplexing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637619B2 (en) * 2014-11-0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for LTE on unlicensed spect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90A (ko) 2016-11-16
WO2016178550A1 (ko) 2016-11-10
US20180176890A1 (en) 2018-06-21
US11006390B2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669B1 (ko)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6764978B2 (ja) Harqフィードバックをコンパクト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ユーザ機器
CN111630906B (zh) 跨多个下行链路控制信息的发射功率控制命令处置
JP2020188471A (ja) バンドリングを考慮した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uci)送信
US11057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upling uplink and downlink cell selection
KR102411126B1 (ko) 빔 포밍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프로세스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80012763A (ko) 제어 및 데이터 채널들 상에서의 업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US20220030627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KR101947288B1 (ko) 고 신뢰성 링크 설계
KR20170045016A (ko)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101172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reference signals to a UE in an LTE system
WO2020047358A1 (en) Transmission throttling for emission exposure management
JP6518760B2 (ja) 超高信頼性のリンク設計
CN116349334A (zh) 用于侧链路传输的资源分配技术,以及基于侧链路通信可靠性的资源分配技术之间的动态选择
CN106537977B (zh) 超可靠链路设计
US20220369150A1 (en) Techniques for data rate sharing for uplink and sidelink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30261723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968683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10400640A1 (en) Communications with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CN115606294A (zh) 具有配置的授权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传输的非许可信道接入的链路自适应
CN116489783A (zh) 非许可频带中的侧链上的增强
CN117413483A (zh) 反馈信息的传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