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581B1 -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581B1
KR102328581B1 KR1020210066976A KR20210066976A KR102328581B1 KR 102328581 B1 KR102328581 B1 KR 102328581B1 KR 1020210066976 A KR1020210066976 A KR 1020210066976A KR 20210066976 A KR20210066976 A KR 20210066976A KR 102328581 B1 KR102328581 B1 KR 10232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output
unit
signal
hand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구
김봉석
김종득
박민성
신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Priority to KR102021006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581B1/ko
Priority to PCT/KR2022/005920 priority patent/WO20222503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with beam delivery through a hollow tube, e.g. forming an articulated arm ;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07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Features of hand-pieces
    • A61B2018/2253Features of hand-piece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functions, e.g. surface cooling or detecting pathologic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시술부위의 온도 및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검출하여 열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및 시술을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HANDPIECE}
본 발명은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부위의 온도 및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검출하여 열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및 시술을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여성이건 남성이건 피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문제성 피부인 여드름, 검버섯, 기미, 색소성 병변 등과 원하지 않는 털의 영구적인 제모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치료를 위해 광 또는 레이져 등을 이용한 핸드피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핸드피스는 복합적인 파장의 강한 빛을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피부질환을 치료하고 있다.
즉, 핸드피스는 램프를 발광시켜 소정의 파장으로 광 또는 레이져를 피부에 일정 간격으로 일회 또는 수회 반복하여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파장의 광선에 의해서 원하지 않는 털의 영구적인 제모나 감소, 얼굴의 모세혈관 확장, 안면홍조나 주근깨, 기미 등의 색소질환이 좋아질 뿐 아니라 늘어난 모공이 줄어들고 잔주름(피부노화질환)이 줄어들면서 피부가 탄력 있어지는 등 문제성 피부 질환을 동시에 치료하여 젊어지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드피스는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레이저빔 발생수단(10) 및 생성된 레이저빔을 수술부위로 전달하는 레이저빔 전달수단(20)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빔 전달수단(2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handpiece)(3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핸드피스(30)는 레이저빔 발생수단(10)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피부의 시술부위까지 전달한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30)는 연결나사(31)로 레이저빔 전달수단(20)과 연결되고, 레이저빔 집속렌즈(33)를 통해 집속된 레이저빔이 앤드팁(End-Tip)(35)으로 전달되어 수술부위에 직접 조사된다. 레이저빔 집속렌즈(33)와 앤드팁(34) 사이의 공기주입구(34)는 레이저가 피부조직에 조사될 때, 살갗이 타면서 나는 연기가 시술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를 수술부위로 내뿜어 연기를 흐트러뜨리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피스는 일정 세기 이상(1.5J 이상)으로 발진하여 피부에 조사를 하여 치료를 하게 되는 바, 시술과정에서 시술부위의 온도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시술 부위에 레이저빔의 과도한 조사가 이루어져 화상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핸드피스는 핸드피스와 시술부위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핸드피스의 위치에 따라 핸드피스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에너지가 달라져 시술을 위한 최적의 온도가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부위의 온도 및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검출하고 열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및 시술을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레이저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발생수단과;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레이저을 시술부위로 전달하는 레이저 전달수단과; 상기 레이저 전달수단에 부착되어 레이저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피부의 시술부위까지 전달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에 부착되어 시술부위의 열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검출하고 열의 발생량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 감지센서와; 상기 핸드피스에 부착되어 시술부위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거리에 따라 거리신호를 발생시키는 거리 측정센서와; 상기 핸드피스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시술부위에 밀착되는 핸드피스 팁과; 상기 온도 감지센서 및 거리 측정센서에서 검출된 전기신호 및 거리신호를 연산하여 열화정보 및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연산부와; 상기 열화정보와 기준 열화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열화판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시술부위의 열화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되는 거리정보에 의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판정부의 판단에 의해 시술부위의 열화가 판단되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핸드피스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 및 거리 감지센서를 통해 시술부위의 온도 및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검출하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여 시술부위에 대한 열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및 시술을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피부에 화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의 개략적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에서 레이저 발생수단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신호 출력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전체적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에서 레이저 발생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신호 출력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술부위의 온도 및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검출하여 열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및 시술을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본체(10), 레이저발생수단(20), 레이저 전달수단(30), 핸드피스(40), 온도 감지센서(110), 거리 측정센서(120), 핸드피스 팁(130), 연산부(140), 판정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핸드피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된다. 특히 후술하는 레이저발생수단(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는 미도시된 다수의 푸트부재가 마련된다. 푸트부재는 구름 이동용 바퀴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푸트부재들로 인해 본 발명의 핸드피스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는 시술을 위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시술 설정값, 시술 과정 및 온도상태 등을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GUI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발생수단(20)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되, 레이저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레이저빔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발생수단(2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레이저빔을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좀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20)은 신호 출력부(210), 신호 증폭부(220), 출력 증폭부(230), 전원 공급부(240), 시스템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 출력부(210)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원으로서 동작하며, 해당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 출력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출력 전압 센서(211), 레이저 출력 전류 센서(212) 및 레이저 출력 위상 센서(213)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출력 전압 센서(211), 레이저 출력 전류 센서(212) 및 레이저 출력 위상 센서(213)로부터 발생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통하여 전원 공급부(240)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출력 전압 센서(211) 및 레이저 출력 전류 센서(212)는 레이저 신호 전력에 포함된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레이저 출력 위상 센서(213)는 레이저 신호 전력과 시술부위로부터 수신되는 반사 고주파전력을 입력받아 전압 및 전류를 유도하고 이 유도된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입사 고주파전력 및 반사 고주파전력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통해 위상신호를 검출하게 구성된다.
상기 신호 증폭부(220)는 신호 출력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신호의 레벨을 일정 수준으로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증폭부(220)로 개별형의 MESFET, MOSFET, GaAsFET 트랜지스터 혹은 집적형의 파워 OP 앰프와 같은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증폭부(220)의 증폭 이득은 후단의 출력 증폭부(230)가 입출력 범위에서 제어되도록 하는 오프셋 전력의 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증폭부(220)의 후단에 위치한 출력 증폭부(230)는 실제 신호 증폭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출력 증폭부(230)의 전단에서 신호 증폭부(220)를 이용해 증폭을 하는 이유는 오프셋의 상태에서 제어의 직선성을 확보하여 출력레벨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출력 증폭부(230)의 증폭율은 신호 증폭부(220)와 결합된 D/A 컨버터(260)(Digital to Analog convertor)의 출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출력 증폭부(230)는 신호 증폭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증폭부(230)는 신호 증폭부(220)와 마찬가지로 개별형의 MESFET, MOSFET, GaAsFET 트랜지스터 혹은 집적형의 파워 OP 앰프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력에 대한 선형 영역을 늘리기 위해, 상기 출력 증폭부(230)는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공급부(240)는 신호 증폭부(220)와 출력 증폭부(230) 사이에 설치되어 출력 신호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출력 증폭부(230)의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240)의 출력은 출력 증폭부(230)로 DC 전원이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해당 DC 전원의 출력 전압에 따라서 출력 증폭부(230)의 출력도 동일하게 하드웨어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250)는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출력 증폭부(230)와 신호 증폭부(210)의 동작을 제어하되, 신호 증폭부(210)에 미리 설정된 레이저 출력 기준값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250)에서 D/A 컨버터(260)(Digital to Analog convertor) 제어라인을 통해 RS-232 시리얼 통신 신호가 D/A 컨버터(260)로 통신신호가 전달되고, D/A 컨버터(260)는 입력받은 통신신호에 따라 레이저 출력 기준값을 아날로그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출력 기준값은 레이저 출력 전압 기준값, 레이저 출력 전류 기준값 및 레이저 출력 위상 기준값으로 출력되고, 상기 레이저 출력 기준값에 대한 아날로그 데이터는 상기 신호 증폭부(210)로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레이저 출력 기준값에 따라 상기 신호 증폭부(220)에 대한 소프트웨어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가지 동시에 제어 루프로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50usec 이하로 제어가 이루어지고 소프트웨어로만 제어를 하는 기기에 비해서 2000배 이상 빠른 제어 루프 시간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으로 출력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레이저의 공진 주파수가 160KHz가 되어도 위상제어가 가능하며 이명 현상 없는 레이저 기술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기술의 기술적 단점을 극복하고 시술 간 불편함과 위험성을 제거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성이 크게 확보됨과 동시에 시술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이저 전달수단(30)은 레이저 발생수단(20)에서 생성된 레이저을 시술부위로 전달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전달수단(30)은 본체에 연결되는 막대형 부재로서 임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굴절암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핸드피스(40)를 원하는 시술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피스(40)는 상기 레이저 전달수단에 부착되어 레이저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피부의 시술부위(S)까지 전달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핸드피스는 굴절암(30)의 단부에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굴절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핸드피스는 굴절암의 단부에 나사 방식, 후크식 또는 압입식 결합방식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감지센서(110)는 상기 핸드피스(40)에 부착되어 시술부위의 열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검출하고 열의 발생량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된다. 즉, 상기 온도 감지센서(110)는 레이저를 통해 피부를 시술할 때, 시술부위의 열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발열량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온도 감지센서(110)는 시술부위의 열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을 검출하는 자외선 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센서(120)는 상기 핸드피스에 부착되어 시술부위(S)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거리에 따라 거리신호를 발생시키게 구성된다.
상기 핸드피스 팁(130)은 상기 핸드피스(4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시술부위(S)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산부(140)는 온도 감지센서(110) 및 거리 측정센서(120)에서 검출된 전기신호 및 거리신호를 연산하여 열화정보 및 거리정보를 생성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140)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110)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이를 기초로 생성되는 열화상태 변화율값 및 열화상태 변화누적값을 연산하며, 상기 열화상태 변화율값 및 열화상태 변화누적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 감지센서(110)에 의하여 검출된 시술부위의 열화정보를 생성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온도 감지센서(110)와 연산부(140) 사이에는 제1 증폭부, 필터부 및 제2 증폭부가 차례로 설치되어 온도 감지센서(110)에 의하여 검출된 전기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제외한 신호를 필터링하여 증폭시켜 연산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판정부(150)는 상기 열화정보와 그 이전의 열화정보와 비교하여 시술부위(S)의 열화를 판단하게 구성된다.
상기 판정부(150)는 열화정보와 기준 열화정보를 그 이전의 열화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열화판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시술부위의 열화를 판정한다. 또한, 상기 판정부(150)는 소정의 열화판정알고리즘을 통하여 열화정보에 가중치가 부여된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이면 시술부위가 열화임을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연산부(140)에서 생성되는 거리정보에 의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20)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한다. 즉, 시술부위(S)와 핸드피스(40) 사이가 멀어진 거리정보가 제어부(160)에 입력되면 레이저 발생수단(2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자동으로 높이게 구성되고 시술부위(S)와 핸드피스(40) 사이가 가까워진 거리정보가 제어부(160)에 입력되면 레이저 발생수단(2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자동으로 낮추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판정부(150)의 판단에 의해 시술부위(S)의 열화가 판단되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2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게 구성된다. 즉 열화가 판단되면 레이저 발생수단(2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낮춰 시술부위(S)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핸드피스 팁(130)은 핸드피스(40)에 설치되는 상하실린더(131)에 설치되어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연산부(140)에서 생성되는 거리정보에 따라 상기 상하실린더(131)를 작동시켜 핸드피스 팁(13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20)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실린더(131)가 신장되면 핸드피스(40)와 시술부위(S)가 멀어져 레이저의 출력이 낮아지게 되고, 상하신린더(131)가 축소되면 핸드피스(40)와 시술부위(S)가 가까워져 레이저의 출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및 거리제어를 통한 핸드피스는 핸드피스에 설치된 온도 감지센서 및 거리 감지센서를 통해 시술부위의 온도 및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검출하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여 시술부위에 대한 열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및 시술을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피부에 화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핸드피스(40)의 외면에는 적외선 방사체 분말과 바인더로 이루어진 방열코팅제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방사체 분말은 옥, 세르사이트, 코디에라이트, 게르마늄, 산화철, 운모, 이산화망간, 실리콘카바이드, 맥섬석, 카본, 산화구리, 산화코발트, 산화니켈, 오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크롬,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규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둘 이상 혼합한 혼합물이다.
상기 바인더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로 형성된다. 이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는, 콜로이드 무기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0.1~150중량부 또는 유기수지 0.1~1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콜로이드 무기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아연, 바륨타이타네이트, 지르코늄타이타네이트 및 스트론튬타이타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핸드피스(40)와 방열코팅제 사이에는 프라이머 처리가 이루어진다. 프라이머 처리는,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방열코팅제 표면에는 보호층이 더 형성된다. 이 보호층은,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핸드피스(40)에 방사율이 높은 고방사율의 방열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열이 핸드피스(40) 표면으로부터 잘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방열코팅제는 적외선 방사체 분말과 바인더로 이루어져 핀튜브 표면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적외선 방사체 분말은, 옥, 세르사이트, 코디에라이트, 게르마늄, 산화철, 운모, 이산화망간, 실리콘카바이드, 맥섬석, 카본, 산화구리, 산화코발트, 산화니켈, 오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크롬,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규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둘 이상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바인더로는, 실란 바인더, 유기 바인더, 실리콘 화합물 바인더,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핸드피스(40) 표면과 방열코팅제 사이에는 프라이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열코팅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프라이머로서는,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사용한다.
또한, 방열코팅제 표면에는 방열코팅제를 보호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보호층이 더 형성된다. 이 보호층은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란 바인더는, 4개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실란을 포함하되, 상기 4개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실란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i-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한다.
또한, 유기 바인더는, 탄소사슬의 양 말단 또는 사슬의 측쇄에 열중합이 가능한 비닐기, 아크릴기, 에스테르기, 우레탄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및 열경화가 가능한 유기 관능기를 적어도 1관능기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고분자, 그리고 광중합이 가능한 비닐기, 알릴기, 아크릴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및 광경화가 가능한 유기 관능기를 적어도 1관능기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며, 또한 상기 유기 고분자는 탄화수소기의 일부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 화합물 바인더는, 실록산(-Si-O-)을 기본으로 하면서, 실리콘 원자의 4개 결합부위 중 어느 하나에 직쇄, 측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물질이며, 상기 탄화수소기는 알킬기, 케톤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알릴기, 알콕시기, 방향족기, 아미노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시기, 사이클로부텐기, 카르복실기, 알키드기, 우레탄기, 비닐기, 니트릴기, 수소 또는 에폭시 작용기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가지거나, 상기 탄화수소기의 일부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무기바인더는,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 Na+, K+, Mg2+, Pb2+, Ca2+ 중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이는 수산화물인 LiOH, NaOH, KOH, Mg(OH)2, Pb(OH)2, Ca(OH)2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는, 콜로이드 무기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0.1~150중량부 또는 유기수지 0.1~1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콜로이드 무기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아연, 바륨타이타네이트, 지르코늄타이타네이트 및 스트론튬타이타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글래스 프릿(glass frit) 바인더는 유리조성을 고온에서 녹인 뒤 냉각시켜서 분말 혹은 조각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보호코팅이나 씰링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용융 온도도 조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상기 글래스 프릿은 상온에서 고상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온도를 올리면 액상으로 되어 바인더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액상에서 접착시킨 뒤 다시 냉각을 시키게 되면 고상의 형태로 접착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핸드피스의 외면에 고방사율의 방열코팅제를 코팅하여 핸드피스 표면의 방사율을 높여 기존의 핸드피스 표면에서의 대류와 함께 복사에 의해서도 열이 잘 방출되도록 하여 열방출 효율을 높일 수 있어 핸드피스(4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레이저발생수단
210: 신호 출력부 220: 신호 증폭부
230: 출력 증폭부 240: 전원 공급부
250: 시스템 제어부 30: 레이저 전달수단
40: 핸드피스 110: 온도 감지센서
120: 거리 측정센서 130: 핸드피스 팁
140: 연산부 150: 판정부
160: 제어부

Claims (6)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레이저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발생수단과,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레이저을 시술부위로 전달하는 레이저 전달수단과, 상기 레이저 전달수단에 부착되어 레이저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피부의 시술부위까지 전달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에 부착되어 시술부위의 열화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검출하고 열의 발생량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 감지센서와, 상기 핸드피스에 부착되어 시술부위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거리에 따라 거리신호를 발생시키는 거리 측정센서와, 상기 핸드피스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시술부위에 밀착되는 핸드피스 팁과, 상기 온도 감지센서 및 거리 측정센서에서 검출된 전기신호 및 거리신호를 연산하여 열화정보 및 거리정보를 생성하는 연산부와, 상기 열화정보와 기준 열화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초로 소정의 열화판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시술부위의 열화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되는 거리정보에 의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판정부의 판단에 의해 시술부위의 열화가 판단되면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은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와, 상기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출력 증폭부와, 상기 신호 증폭부와 출력 증폭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 신호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출력 증폭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출력 증폭부와 신호 증폭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신호 증폭부에 미리 설정된 레이저 출력 기준값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레이저 출력 전압 센서, 레이저 출력 전류 센서 및 레이저 출력 위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출력 전압 센서, 레이저 출력 전류 센서 및 레이저 출력 위상 센서로부터 발생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통하여 전원 공급부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구성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은 상기 출력 증폭부로 DC 전원이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DC 전원의 출력 전압에 따라서 상기 출력 증폭부의 출력도 동일하게 하드웨어 제어가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서 D/A 컨버터(Digital to Analog convertor) 제어라인을 통해 RS-232 시리얼 통신 신호가 D/A 컨버터로 통신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D/A 컨버터는 입력받은 통신신호에 따라 레이저 출력 기준값을 아날로그 형태로 출력하게 구성되고,
    상기 레이저 출력 기준값은 레이저 출력 전압 기준값, 레이저 출력 전류 기준값 및 레이저 출력 위상 기준값으로 출력되고, 상기 레이저 출력 기준값에 대한 아날로그 데이터는 상기 신호 증폭부로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레이저 출력 기준값에 따라 상기 신호 증폭부에 대한 소프트웨어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이를 기초로 생성되는 열화상태 변화율값 및 열화상태 변화누적값을 연산하며, 상기 열화상태 변화율값 및 열화상태 변화누적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 감지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시술부위의 열화정보를 생성하게 구성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열화정보와 그 이전의 열화정보와 비교하여 시술부위의 열화를 판단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 팁은 핸드피스에 설치되는 상하실린더에 설치되어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에서 생성되는 거리정보에 따라 상기 상하실린더를 작동시켜 핸드피스 팁의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레이저 발생수단에 발생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6. 삭제
KR1020210066976A 2021-05-25 2021-05-25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KR10232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76A KR102328581B1 (ko) 2021-05-25 2021-05-25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PCT/KR2022/005920 WO2022250303A1 (ko) 2021-05-25 2022-04-26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76A KR102328581B1 (ko) 2021-05-25 2021-05-25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581B1 true KR102328581B1 (ko) 2021-11-19

Family

ID=7871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976A KR102328581B1 (ko) 2021-05-25 2021-05-25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8581B1 (ko)
WO (1) WO20222503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03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243B1 (ko) * 1997-02-04 1999-08-16 이민화 수술부위 관찰이 가능한 레이저수술장치
KR101072298B1 (ko) * 2011-04-06 2011-10-11 한국전기연구원 방열 코팅층이 형성된 진공펌프
JP2013514125A (ja) * 2009-12-16 2013-04-25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ーオペレイション ファウンデイション,タングク ユニバーシティ 赤外線opoレーザを用いた脂肪除去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8004A1 (en) * 2008-02-28 2009-10-01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oft tissue
KR20190099370A (ko) * 2018-02-17 2019-08-27 윤종식 다기능 피부미용 치료기
KR102328581B1 (ko) * 2021-05-25 2021-11-19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243B1 (ko) * 1997-02-04 1999-08-16 이민화 수술부위 관찰이 가능한 레이저수술장치
JP2013514125A (ja) * 2009-12-16 2013-04-25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ック コーオペレイション ファウンデイション,タングク ユニバーシティ 赤外線opoレーザを用いた脂肪除去方法及び装置
KR101072298B1 (ko) * 2011-04-06 2011-10-11 한국전기연구원 방열 코팅층이 형성된 진공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303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303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581B1 (ko) 온도 및 거리 제어를 통한 핸드피스
JP7305687B2 (ja) 歯科硬化光
US2012021521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uman or animal tissue by light
US5628744A (en) Treatment beam handpiece
US8523849B2 (en) Radiation-based dermatological devices and methods
JP5549037B2 (ja) レーザ外科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4316467A (en) Control for laser hemangioma treatment system
JP4056091B2 (ja) 皮膚科的治療方法及び装置
KR101467622B1 (ko) 개인용 피부치료 장치
US20060253176A1 (en) Dermatological treatment device with deflector optic
US20080091249A1 (en) Photobiomodulation Apparatus with Enhanced Performance and Safety Features
US20120253331A1 (en) Dermatological Treatment Device with One or More Laser Diode Bar
EP06969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ASER RADIATION TO A SUBSTRATE
RU27678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с контролем изменения внутренних параметров в процессе
DE69633374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transurethralen fokussierten Ultraschalltherapie
CA2389909A1 (en)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of optical fiber tip in a laser system
KR102497084B1 (ko) 피부 표면 온도의 측정을 사용하여 선량 측정의 결정 프로세스 및 예측 폐쇄-루프 제어 및 연관된 방법들
EP1057454A3 (en) Laser skin treatment apparatus
WO2001078830A2 (en) Photostimulato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KR102328582B1 (ko) 시술 부위의 관찰 및 온도 제어가 가능한 핸드피스
Carruth et al. The carbon dioxide laser: safety aspects
US20180116775A1 (en) Dental curing light
JPS60190973A (ja) ハイパサ−ミア用加温装置
KR102328580B1 (ko) 다기능 핸드피스
US20190201176A1 (en) Curing light devic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