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528B1 -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528B1
KR102328528B1 KR1020200029929A KR20200029929A KR102328528B1 KR 102328528 B1 KR102328528 B1 KR 102328528B1 KR 1020200029929 A KR1020200029929 A KR 1020200029929A KR 20200029929 A KR20200029929 A KR 20200029929A KR 102328528 B1 KR102328528 B1 KR 102328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evice
location
memo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627A (ko
Inventor
조옥래
유승훈
Original Assignee
조옥래
유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옥래, 유승훈 filed Critical 조옥래
Priority to KR102020002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5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상기 지리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MANAGING METHOD OF MEMO BASED ON USER LOCATION AND MEMO MANAG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위치기반를 기반으로 한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메모지는 의사소통 또는 정보의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포스트잇(post-it™)은 점착소재가 적용된 메모지로 간단한 의사소통 또는 임시적인 정보의 열람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품으로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포스트잇은 간편하게 메모를 전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품이지만 활용에 있어서는 공간적, 물리적 제약은 물론 손 글씨나 손 그림처럼 적용할 수 있는 컨텐츠가 한정된다.
포스트잇이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가령 냉장고 내에 보관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냉장고에 보관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기재한 포스트잇을 냉장고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포스트잇은 접착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기가 쉽고 종이의 크기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크기가 한정된다.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등 스마트 기기에 포함된 메모는 스케줄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잇을 대체할 메모 어플리케이션에서 의사소통 또는 정보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메모를 손쉽게 기재할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지역을 실제 방문할 때 사용자에게 과거의 메모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메모를 기재하고, 제3 사용자가 특정지역을 방문할 때 제3 사용자에게 메모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의 일정에 맞추어 특정지역을 방문할 때 사용자에게 메모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의 일정에 맞추어 특정지역을 방문한 제3 사용자에게 메모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제1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마커정보관리부가 제1 마커정보와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판정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마커정보와 메모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메모정보와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메모정보와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지리정보를 제3 사용자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지리정보를 수신한 제3 사용자로부터 제3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3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제3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메모정보와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지리정보를 제3 사용자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지리정보를 수신한 제3 사용자로부터 제3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3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서비스서버의 마커정보관리부가 제1 마커정보와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마커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리정보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 또는 제3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지도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메모정보는 텍스트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음향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메모를 손쉽게 기재할 수 있고, 사용자가 특정지역을 실제 방문할 때 사용자에게 과거의 메모를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장소에 메모를 기재하고, 제3 사용자가 특정지역을 방문할 때 제3 사용자에게 메모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의 일정에 맞추어 특정지역을 방문할 때 사용자에게 메모를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의 일정에 맞추어 특정지역을 방문한 제3 사용자에게 메모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서버의 시스템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 등은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CDMA, Wibro, WiFi, LTE, LTE-A, 5G 유무선 전화망 등의 각종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서버의 시스템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서비스서버는 데이터통신부, 위치정보관리부, 마커정보관리부 및 스케줄정보관리부를 포함한다.
데이터통신부는 제1 사용자기기, 제3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서비스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데이트 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위치정보관리부는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실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는 GPS모듈, WiFi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근접 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3의 통신모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마커정보관리부는 특정 위치에서 특정 장소임을 인식할 수 있는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정보를 저장하고 마커정보가 상호 일치하는지 판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커정보가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인 경우 조도의 차이로 인해 동일성 판별이 어려울 수 있다. 마커정보관리부는 이미지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정보를 수신한 경우, 마커정보를 흑백처리하거나 또는 마커정보에 포함된 특정사물의 외곽선도만을 추출하여 상호 동일성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의 사용자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제1 사용자기기, 제3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서비스서버와 상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제공가능하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10).
이때, 상기 지리정보는 제1 사용자기기가 실제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1사용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함에 따라 메모정보를 게시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특정 지역의 위도, 경도, 표고(altitude) 또는 특정 건물설계도 상의 장소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지리정보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 또는 제3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지도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는 특정 지역의 위도, 경도, 표고 또는 특정건물 내의 장소정보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 상에서 지도이미지 또는 건물내부의 실내지도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지리정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호 약속에 의하여 특정 위치를 표시하는 지리정보로서 제1 사용자기기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선택 가능한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기기가 스마트폰으로써 터치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지리정보가 포함된 지도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지리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우선 제1 사용자기기의 메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모정보를 입력하거나, 이미지정보를 첨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향정보 또는 동영상정보 역시 첨부할 수 있다. 이때, 주변정보에 해당하는 텍스트정보, 이미지정보 또는 음향정보 등은 제3 서비스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기기로 송신된 것이거나 또는 서비스서버로부터 송신된 것일 수 있다.
메모정보의 입력을 마친 후에는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하단의 UI를 터치하여 메모를 게시할 지리정보의 위치를 지도상에 직접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제1 사용자기기 등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이 UI는 개발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른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도는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의 지도이미지일 수 있다. 아울러,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도이미지는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되어 원하는 위치의 지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리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가 지도이미지상에 표시되어 제1 사용자 등이 이후 메모를 작성한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모정보는 텍스트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음향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정보는 입력수단에 따라서 상이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키보드를 입력수단으로 한 제1 사용자기기 등의 경우에는 텍스트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카메라를 입력수단으로 한 제1 사용자기기 등의 경우에는 이미지데이터, 음향데이터 또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동영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제1 사용자기기의 경우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데이터 또는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20).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30).
실외에서는 GPS신호의 경우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에 구비된 GPS모듈을 통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의 거리정보 및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표고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메모정보를 게시할 특정의 위치는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의 특정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실내에서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외에 WIFI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WIFI AP는 실내에 위치한 3개 이상의 무선전송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가 휴대용 스마트폰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때에는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위치를 보정하여 실내에서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정보관리부가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지리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의 오차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지리정보에 의한 위도, 경도 및 표고가 각각 위치정보와 약 1km, 500m, 300m, 200m,.100m, 50m, 10m, 5m 이내인지 판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제1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40).
서비스서버로부터 송신한 메모정보는 제1 사용자기기의 메모어플리케이션의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다. 지도상에 다수의 메모정보가 기재된 경우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메모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지리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지리정보에 메칭되는 메모정보를 제1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국가 또는 특정 관광지를 여행하는 경우, 여행 계획을 작성하고 특정한 위치에 가는 경우에는 특정 이벤트(예: 사진찍기, 음식먹기, 마사지 받기 등)를 미리 계획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일정 메모에 기재하고 지도와 대비하여 스케줄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여행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미리 지도상에 메모정보를 기재해 두어 여행지에서 메모를 찾아보고 지도를 대조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제1 사용자는 메모자체에 대한 망각 내지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특정 위치에서 필요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21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22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230), 서비스서버의 마커정보관리부가 제1 마커정보와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판정하는 단계 (S23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마커정보와 메모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리정보는 제1 사용자기기가 실제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1사용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함에 따라 메모정보를 게시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특정 지역의 위도, 경도, 표고 또는 특정 건물설계도 상의 장소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지리정보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 또는 제3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지도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는 특정 지역의 위도, 경도, 표고 또는 특정건물 내의 장소정보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 상에서 지도이미지 또는 건물내부의 실내지도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지리정보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호 약속에 의하여 특정 위치를 표시하는 지리정보로서 제1 사용자기기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선택 가능한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기기가 스마트폰으로써 터치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지리정보가 포함된 지도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지리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우선 제1 사용자기기의 메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모정보를 입력하거나, 이미지정보를 첨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향정보 또는 동영상정보 역시 첨부할 수 있다. 이때, 주변정보에 해당하는 텍스트정보, 이미지정보 또는 음향정보 등은 제3 서비스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기기로 송신된 것이거나 또는 서비스서버로부터 송신된 것일 수 있다.
메모정보의 입력을 마친 후에는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하단의 UI(user interface)를 터치하여 메모를 게시할 지리정보의 위치를 지도상에 직접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제1 사용자기기 등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이 UI는 개발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른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도는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의 지도이미지일 수 있다. 아울러, 지리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도이미지는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되어 원하는 위치의 지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리정보에 해당하는 위치가 지도이미지상에 표시되어 제1 사용자 등이 이후 메모를 작성한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모정보는 텍스트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음향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정보는 입력수단에 따라서 상이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키보드를 입력수단으로 한 제1 사용자기기 등의 경우에는 텍스트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카메라를 입력수단으로 한 제1 사용자기기 등의 경우에는 이미지데이터, 음향데이터 또는 이를 모두 포함하는 동영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제1 사용자기기의 경우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데이터 또는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실외에서는 GPS신호의 경우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에 구비된 GPS모듈을 통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의 거리정보 및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표고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메모정보를 게시할 특정의 위치는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의 특정장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실내에서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외에 WIFI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WIFI AP는 실내에 위치한 3개 이상의 무선전송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사용자기기 또는 제3 사용자기기가 휴대용 스마트폰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때에는 기지국의 수신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위치를 보정하여 실내에서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정보관리부가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지리정보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의 오차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지리정보에 의한 위도, 경도 및 표고가 각각 위치정보와 약 1km, 500m, 300m, 200m,.100m, 50m, 10m, 5m 이내인지 판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커정보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치정보관리부에 의하여 지리정보와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하고, 제1 사용자기기의 사용자가 발견해야 하는 마커정보를 추가로 전달함으로써 메모정보가 위치한 곳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마커정보와 사용자가 발견하기 위한 특정 개체가 제1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메모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커정보는 특정 관광지에서 특정한 작품 또는 구조물의 사진일 수 있다. 특정 작품 또는 구조물에 대한 특징 정보를 메모정보에 포함하고 마커정보에 매칭되는 특정 작품 또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제1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모듈로부터 획득하여 확인이 이루어진 후에는 메모와 특정 작품 또는 구조물의 이미지와 메모정보가 중첩되어 제1 사용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로부터 송신한 메모정보는 제1 사용자기기의 메모어플리케이션의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다. 지도상에 다수의 메모정보가 기재된 경우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메모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지리정보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지리정보에 메칭되는 메모정보를 제1 사용자기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지하기 어려운 문자로 이루어진 간판을 찾아야 하거나 또는 안내표지판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1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모듈로 수집하여 서비스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마커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후 메모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제1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여행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미리 지도상에 메모정보를 기재해 두어 여행지에서 메모를 찾아보고 지도를 대조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제1 사용자는 메모자체에 대한 망각 내지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특정 위치에서 필요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31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32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메모정보와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30),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340),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S350),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S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310, S320 단계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메모정보와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330, S340 단계를 통하여 전달받는 메모를 열람할 시간정보의 경우 예를 들면, 특정 여행지 등에서 미리 정해놓은 스케줄에 따라 이동을 하는 경우로서 미리 설정한 특정시간(시간정보에 포함)에 메모정보가 열람될 수 있도록 한다 (S350, S360).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은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전송받은 메모정보를 특정 제3 사용자기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하기 단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41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메모정보와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420),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430), 제1 사용자로부터 지리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44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지리정보를 수신한 제3 사용자기기로부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450),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S460),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S47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제3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S480)를 포함한다.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기기가 제공한 마커정보와 제3 사용자기기가 제공한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유사도를 갖는 경우 제3 사용자기기에서 제3 마커정보와 메모정보가 중첩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커정보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치정보관리부에 의하여 지리정보와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하고, 제3 사용자기기의 사용자가 발견해야 하는 마커정보를 추가로 전달함으로써 메모정보가 위치한 곳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마커정보와 사용자가 발견하기 위한 특정 개체가 제3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메모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51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메모정보와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52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지리정보를 포함하는 제1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530),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540), 제1 사용자로부터 지리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55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지리정보를 수신한 제3 사용자기기로부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560), 위치정보관리부가 지리정보와 제3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S57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580),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S590), 서비스서버의 마커정보관리부가 제1 마커정보와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S600),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제1 마커정보와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S61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기기가 제공한 메모정보와 시간정보에 매칭되는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고,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제공된 마커정보가 제3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모듈 등을 통해 수집된 제3 마커정보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의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전송된 제1 마커정보와 메모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로 송신함으로써 제3 사용자기기에서 특정 지리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위치에서 메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서비스서버
110: 데이터송수신부 120: 위치정보관리부
130: 마커정보관리부 140: 스케줄정보관리부
200: 제1 사용자기기
300: 제3 사용자기기
400: 제3 서비스서버

Claims (10)

  1. 삭제
  2.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마커정보관리부가 상기 제1 마커정보와 상기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커정보와 상기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마커정보와 상기 메모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3.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메모정보와 상기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상기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상기 지리정보와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상기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4.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메모정보와 상기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상기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리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지리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3 사용자기기로부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상기 지리정보와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 이내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지리정보와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상기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5.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지리정보와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되는 메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기기로부터 상기 메모정보와 상기 메모정보를 열람할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지리정보를 포함하는 제1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상기 시간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리정보를 제3 사용자기기에게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공유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지리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3 사용자기기로부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위치정보관리부가 상기 지리정보와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3 마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한 오차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스케줄정보관리부가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상기 알람정보와 매칭되는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의 마커정보관리부가 상기 제1 마커정보와 상기 제3 마커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마커정보와 상기 지리정보에 매칭된 메모정보를 상기 제3 사용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의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지도정보 또는 제3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한 지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정보는 텍스트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음향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9.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는 실외에서는 GPS신호를 이용한 위치추적, 실내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WiFi AP를 이용한 위치추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고유 ID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10.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200029929A 2020-03-11 2020-03-11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 KR10232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29A KR102328528B1 (ko) 2020-03-11 2020-03-11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29A KR102328528B1 (ko) 2020-03-11 2020-03-11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27A KR20210114627A (ko) 2021-09-24
KR102328528B1 true KR102328528B1 (ko) 2021-11-18

Family

ID=7791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929A KR102328528B1 (ko) 2020-03-11 2020-03-11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785B1 (ko) * 2021-12-09 2024-05-27 조옥래 지리정보를 이용한 대체불가토큰의 생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769A (ko) * 2010-01-15 2011-07-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의 단말기
KR101340206B1 (ko) * 2012-02-14 2013-12-10 (주)카카오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20160053472A (ko) * 2014-11-05 2016-05-13 넥시스 주식회사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벤트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션
KR20160053466A (ko) * 2014-11-04 2016-05-13 김호평 지도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1869396B1 (ko) * 2016-09-05 2018-07-25 김한울 장소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게시물 작성 방법, 이를 수행하는 단말,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27A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0538B2 (en) Location and contextual-based mobile application promotion and delivery
US9584694B2 (en) Predetermined-area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743376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recording mediums for providing location sharing services
US10250297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CN104813316A (zh) 具有本地化应用程序推荐的移动设备
CN103563406A (zh) 对从地理围栏离开的监视
KR20160043443A (ko) 다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CN104067270A (zh) 在多文档知识库中的人员在场检测
US2015000253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perspective street view map
CN103473253A (zh) 经地理编码的数据的检测及用于其的用户界面
US2011022515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lassifying digital media files based on associated geographical identification metadata
US20140156704A1 (en) Predictively presenting search capabilities
JP2016058100A (ja) 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24168A (ja) サーバシステム,ユーザ端末並びに同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同ユーザ端末を用いたサービス提供方法
KR102328528B1 (ko) 사용자 위치기반 메모관리방법 및 메모관리시스템
TW201305985A (zh) 行動運算裝置的內容提供方法
US20160337806A1 (en) Method of Location Based Electronic Document Signature Tracking by Execut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O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Robinson et al. Point-to-GeoBlog: gestures and sensors to support user generated content creation
JP2010028806A (ja) 位置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通信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12377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KR101497994B1 (ko) 멀티미디어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CN106031101A (zh) 从独立可寻址消息得到原子通信线程
JP6431494B2 (ja) ユーザ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11052050A (zh) 一种输入信息的方法及终端
KR20190015313A (ko) 전자 메일 시스템으로의 위치 통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