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006B1 -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006B1
KR102327006B1 KR1020170126833A KR20170126833A KR102327006B1 KR 102327006 B1 KR102327006 B1 KR 102327006B1 KR 1020170126833 A KR1020170126833 A KR 1020170126833A KR 20170126833 A KR20170126833 A KR 20170126833A KR 102327006 B1 KR102327006 B1 KR 10232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andover
parameters
traffic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5713A (en
Inventor
박현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3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시스템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 적용되도록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신뢰도 요구사항 및 트래픽 빈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a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rameters used in a procedure for a handover of the terminal, and is executed in the terminal to be applied to the procedure for handover Sett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reliability requirements and traffic frequency,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to be used,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set plurality of parameters, and executing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and performing the handover procedure based on a plurality of parameters set based on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setting parameters for handover based on characteristics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terminal)은 일반적으로 기지국(base station)을 통해 데이터 유닛(data unit)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메시지를 자신이 속한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1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의 목적지가 제2 단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확인된 목적지인 제2 단말이 속한 제2 기지국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의 목적지가 제2 단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확인된 목적지인 제2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유닛을 획득할 수 있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may generally transmit/receive a data unit through a base station. For example, if there is a data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may generate a message including the data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mit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first base station to which it belongs. can be transmitted The first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and may confirm that the destination of the received message is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cond base station to which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the confirmed destination, belongs. The second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nd may confirm that the destination of the received message is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that is the confirmed destination. The second terminal may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and may obtain a data unit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이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이동 가능한 이동형 단말일 수 있고, 이동함으로써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단말과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기지국은 단말과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핸드오버를 위한 제2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고, 제2 기지국으로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may be a mobile terminal, and by moving, a handover of changing a base station supporting communication from a first base station to a second base station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djacent to the terminal, and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to the first base station. Thereafter, the first base station may determine a second base station for handover based on signal strengths for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djacent to the terminal, and may transmit a message instructing the handover of the terminal to the second base station.

즉,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핸드오버를 위해 단말과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단말은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고신뢰도가 요구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은 핸드오버가 실패하는 경우, 신뢰도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 트래픽 빈도가 간헐적인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은 불필요하게 자주 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단말의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That i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may periodically measure the strength of signals for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djacent to the terminal for handover. However, in normal case, the terminal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based on a preset perio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being executed. Accordingly, when a handover fails, a terminal executing a service requiring high reliability may not satisfy the reliability requirement. In another case, a terminal running a service with intermittent traffic frequency has a problem in that power of the terminal is wasted by measuring signal strength unnecessarily and frequent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setting parameters for handov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이동통신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에서 핸드오버(handover)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파라미터(parameter)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 적용되도록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traffic) 빈도 및 신뢰도(reliability)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설정된 상기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rameters used in a procedure for handover of and setting the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a reliability requirement,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set plurality of parameters, and based on the measured strength of the signal and performing a handover procedure based on the parameters set based on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executed service.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고신뢰도 서비스의 경우, 핸드오버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핸드오버 파라미터들을 설정하여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의 실패율을 감소시켜 신뢰도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트래픽 빈도에 따라 트래픽 빈도가 간헐적인 경우, 핸드오버를 자주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핸드오버 파라미터들을 설정하여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단말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high-reliability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handover parameters are set to increase the handover success rate and the handover procedure is performed, thereby reducing the handover failure rate to meet the reliability requirements. It has a satisfactory effect. In addition, the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over parameter that prevents frequent handover execution when the traffic frequency is intermittent accor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wer of the terminal can be efficiently used by performing the handover procedure by setting th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iggering handover based on parameters set for a handover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based on parameters set for a handover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for explaining handover trigger timing according to parameters set according to service characteristics for a handover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terminal 100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processor 110 , a memory 120 and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device 130 .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 a storage device 160 , and the like.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또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와 저장 장치(16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복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120 and/or the storage device 160 . The processor 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memory 120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or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configured as a read only memory (ROM) and/or a random access memory (RAM). Here, the program command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s of performing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for hando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사용자의 단말(terminal)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은 이동 가능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th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 Here,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user's terminal. For example, the user's terminal may mean a mobile terminal.

먼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파라미터(parameter)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복수의 파라미터들은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 및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triggering)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offset)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프셋은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A3 이벤트(event)에 대한 A3 오프셋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는 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Firs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may receiv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rameters used in a procedure for handover of the terminal (S100).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arameters may include a period for measuring signal strength in a procedure for handover of the UE and an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procedure of handover. In particular, the offset may mean an A3 offset for an A3 event in a handover procedure. In addition,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rameters received from the terminal may be received from a serving base station supporting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이후, 단말은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 적용되도록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다(S200). 여기서,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를 위해 수행되는 통신의 방식(예를 들어,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C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은 단말에 실행되는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traffic) 빈도 및 신뢰도(reliability) 요구사항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set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so as to be applied to the procedure for handover ( S200 ). 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are communication methods (eg,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CC) and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MTC) performed for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 etc. For example,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may mean a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for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A specific method of sett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the in-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may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S210). 즉,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빈도를 측정할 수 있고,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요구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와 관련한 트래픽 빈도의 간헐적인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가 요구하는 신뢰도 요구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 S210). That is,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traffic frequency for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and may determine the reliability requirement for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intermittent degree of the traffic frequency related to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e reliability requirement required by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이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측정된 트래픽 빈도 및 판단된 신뢰도 요구사항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다(S220). 여기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해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값은 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해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값은 단말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Thereaf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may set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prese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traffic frequency and the determined reliability requirement ( S220 ). Here, preset values corresponding to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for sett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may be obtained from a serving base station supporting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preset values corresponding to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for sett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may be preset in the terminal.

구체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각각의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빈도가 간헐적인 경우, 단말에서 수행되는 신호의 세기 측정에 대한 주기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빈도가 빈번한 경우, 단말에서 수행되는 신호의 세기 측정에 대한 주기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may check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traffic frequency and a reliability requirement for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Thereafter, the terminal may control each parameter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parameters with a preset value.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ontrol a period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n other words, when the traffic frequency of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s intermittent,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period for measuring signal strength performed in the terminal to decre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ffic frequency of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s frequent,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period for measuring signal strength performed in the terminal to increase.

즉, 단말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가 200ms로 설정된 상태이고,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 2000ms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로 설정된 200ms에 스케일링 팩터(scaling factor) 10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를 2000ms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in the terminal is set to 200 ms, and the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of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s 2000 ms.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apply a scaling factor of 10 to 200 ms set as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and through this,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may be set to 2000 ms.

반면, 단말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가 200ms로 설정된 상태이고,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 40ms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로 설정된 200ms에 스케일링 팩터 0.2를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를 40ms로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assumed that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in the terminal is set to 200 ms, and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of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s 40 ms.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apply the scaling factor 0.2 to 200 ms set as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and through this,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may be set to 40 ms.

또한, 단말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가 200ms로 설정된 상태이고,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값(예를 들어, infinity)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빈도가 거의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in the terminal is set to 200 ms, and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of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ndicates that the signal strength is not measured (eg, infinity ) can be assumed.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set not to measure the signal strength for the handover procedure. That is, this case may mean a case in which the traffic frequency of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s little.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오프셋을 제어할 수 있다.Through such a method, th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for hando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multi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which is one of the parameters of . Meanwhi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may control an offset,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a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즉, 단말에서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이 2dB로 설정된 상태이고,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 10dB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으로 설정된 2dB에 스케일링 팩터 5를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프셋을 10dB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in the terminal is set to 2 dB, and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is 10 dB. In this case, the UE may apply a scaling factor of 5 to 2dB set as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and may set the offset to 10dB through this.

반면, 단말에서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이 2dB로 설정된 상태이고,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 0.5dB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으로 설정된 2dB에 스케일링 팩터 0.25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프셋을 0.5dB로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assumed that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in the terminal is set to 2 dB, and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is 0.5 dB. In this case, the UE may apply the scaling factor 0.25 to 2dB set as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and through this, may set the offset to 0.5dB.

또한, 단말에서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이 2dB로 설정된 상태이고,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의 트래픽 빈도가 거의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in the terminal is set to 2 dB, and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indicates that triggering is not performed in the handover procedu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alue is set to In this case, the UE may set it to not perform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That is, this case may mean a case in which there is little traffic frequency of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하나인 오프셋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신뢰도 요구사항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 및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rough such a method, the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for hando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multiple Offset, which is one of the parameters of , can be controlled. On the other h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can control at least one of a period and an offset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a reliability requirement,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 중 하나에 기초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 또는 오프셋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이 존재하는 경우,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 또는 오프셋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적응적으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할 수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s controlling the period or offset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based on one of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but limited to this it's not going to be That i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re are prese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has a signal strength based on preset values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eriod or offset for measuring . In other word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adaptively set a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설정된 복수의 파러미터들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서빙 기지국 및 핸드오버의 대상인 대상 기지국(target base station)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에서 측정되는 신호의 세기는 서빙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을 통해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2,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t based on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based on the parameters of (S300). Specifical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each of a serving base station supporting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and a target base station that is a target of handover.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terminal may mean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r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for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target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signal strength based on a period set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이후, 단말은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00). 단말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perform a handover procedure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S400). A specific method of performing a handover procedur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UE may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iggering handover based on parameters set for a handover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핸드오버의 대상인 대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서빙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대한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S410). 이때, 단말은 서빙 기지국에서 통신을 지원하는 제1 영역에서 타겟 기지국에서 통신을 지원하는 제2 영역으로 이동하는 중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may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a serving base station supporting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a target base station that is a target of handover. Thereafter, the terminal may calculate a difference between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each of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the target base station (S410). In this case, it may be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moving from a first area in which the serving base station supports communication to a second area in which the target base station supports communication.

이후, 단말은 산출된 차이 및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을 비교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단말에서 산출된 차이와 비교되는 오프셋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을 통해 설정된 오프셋을 의미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compare the calculated difference and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S420). Specifically, the offset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calculated by the terminal may mean an offset set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이후, 단말은 산출된 차이 및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 간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단말은 산출된 차이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오프셋 이상인 경우,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perform the handover procedur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calculated difference and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in the handover procedure (S430). Specifically, when the calculated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ffset for a preset time, the terminal may generat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Thereafter, the terminal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signal strength to the serving base station.

이에 따라, 서빙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은 단말에서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의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단말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의 절차를 지원하기 위해 단말의 핸드오버의 수행에 대하여 결정하는 동작 및 단말과 핸드오버의 대상인 대상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의 수행을 지시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receiv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signal strength from the terminal.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support the handover procedure performed in the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serving base station determines the handover of the terminal in order to support the handover procedure performed in the terminal, and instructs the terminal to perform handover to the target base station that is the target of the handover, etc. can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 및 핸드오버 절차를 위해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 타이밍의 일 예가 설명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 according to a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used for a handover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arameters set according to service characteristics for a handover procedure An example of handover trigger timing may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based on parameters set for a handover proced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for explaining handover trigger timing according to parameters set according to service characteristics for a handover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핸드오버의 절차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을 기반으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해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은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수행되는 논리적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for measuring signal strength in a handover procedure. ) can be created. Thereafter,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signal strength for the handover procedur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for the handover procedure may be used to describe a logical procedure for perform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즉, 도 5에 도시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단말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능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의 복수의 기능 요소들은 L1 필터링(layer 1 filtering)(510), L3 필터링(layer 3 filtering)(520) 및 보고 기준 평가(evaluation of reporting criteria)(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설정된 RRC 설정 파라미터(RRC configures parameter)를 기반으로 신호의 측정 모델(500)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RRC 설정 파라미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의미할 수 있다.That is,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shown in FIG. 5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al elements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in the termi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unctional elements of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include L1 filtering 510 , L3 filtering 520 , and evaluation of reporting criteria 530 . ) may be included. The terminal may set the signal measurement model 500 based on an RRC configuration parameter set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Here, the RRC setting parameter may mean a plurality of parameter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신호의 측정 모델(500)에 설정되는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빙 기지국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신뢰도 요구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신뢰도 요구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단말에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RRC 설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은 생성된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은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set in the signal measurement model 500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Specifically,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measure the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determine the reliability requirement,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is an RRC setting parameter used to generate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in th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a traffic frequency that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and a reliability requirement that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can create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generat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o the terminal.

이에 따라, 단말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에서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획득된 RRC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생성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을 기반으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may receiv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nd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from the received message. Thereafter, the terminal may generate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based on the obtained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hereafter,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signal strength based on the generat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

한편, 서빙 기지국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신뢰도 요구사항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RRC 설정 파라미터를 새롭게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가 변경되어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RRC 설정 파라미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은 설정된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에 따른 RRC 설정 파라미터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rving base station changes the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and the reliability requirement,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changes, the RRC setting parameter may be newly set based on the changed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 That is, the base station may reset the RRC setting parameters based on the changed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en the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is changed and thus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generate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t RRC configuration parameter,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message to the terminal. In this way, the terminal may obtai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according to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또한, 단말은 신호의 측정 모델(500)에 설정되는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빙 기지국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요구되는 신뢰도 요구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적응적(adaptive)으로 설정할 수 있는 RRC 설정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은 생성된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빙 기지국은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may set the information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set in the signal measurement model 500 by itself in the terminal. Specifically, the serving base station can generate an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hat can be adaptively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a traffic frequency that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and a reliability requirement that is a service characteristic that is executed in the terminal. have.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gene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hereafter, the serving base station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o the terminal.

이에 따라, 단말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 가능한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에서 RRC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획득된 RRC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생성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을 기반으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may receive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RRC configuration parameters that can be adaptively set according to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and RRC configuration in the received message. Information about parameters can be obtained. Thereafter, the terminal may set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based on the obtained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hereafter,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signal strength based on the generat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

이후,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신뢰도 요구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RRC 설정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변경된 RRC 설정 파라미터를 미리 생성된 신호의 세기 측정 모델(500)에 적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measure the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Also, the terminal may determine a reliability requiremen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Thereafter, the terminal may change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based on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Thereafter, the terminal may apply the changed RRC configuration parameter based on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to the pre-generated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odel 500 .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단말은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에 기초하여 설정된 RRC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신호의 측정 모델(500)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신호의 측정 모델(500)을 기반으로 핸드오버의 절차를 위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신호의 측정 모델(500)을 기반으로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the terminal can set the signal measurement model 500 based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set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and based on the set signal measurement model 50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signal for the procedure. Thereafter, the terminal may perform a handover procedur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ased on the signal measurement model 500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은 RRC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내부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신호의 세기에 대한 샘플(sample)(A)을 생성할 수 있다. 물리 계층 내부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은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물리 계층 내부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온오프(on/off)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계층 내부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RRC 설정 파라미터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를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물리 계층 내부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UE may perform an operation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nside a physical layer based on an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hrough this, the terminal may generate a sample (A) for the strength of the signal.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nside the physical layer may be set to be performed or set not to be performed. That is, the terminal may set on/off for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inside the physical layer.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nside the physical layer is set to be performed, the terminal sets the period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included i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that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can be controlled based 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nside the physical layer is set not to be performed, the terminal may not measure the strength of the signal.

이후, 단말은 샘플(A)에 대하여 RRC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L1 필터링(51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1 필터링(51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은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L1 필터링(510)의 기능에 대하여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1 필터링(51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측정된 복수의 신호의 세기들에 대한 샘플(A) 중 미리 설정된 개수에 상응하는 신호의 세기에 대하여 선형 평균(linear averaging)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선형 평균이 적용된 샘플(B)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L1 필터링(51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1회에 걸쳐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샘플(A)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1 filtering 510 based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with respect to the sample (A). An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1 filtering 510 may be set to be performed or set not to be performed. That is, the terminal may set ON/OFF for the function of the L1 filtering 510 .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1 filtering 510 is set to be performed, the terminal linearly averages the intensity of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number of samples A for a plurality of measured intensities of signals. (linear averaging) can be applied. Through this, the terminal may generate the sample (B) to which the linear average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1 filtering 510 is set not to be performed, the terminal may use the sample A for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once.

이후, 단말은 샘플(B)에 대하여 RRC 설정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L3 필터링(52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3 필터링(52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은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L3 필터링(520)의 기능에 대하여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3 필터링(52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측정된 신호의 세기에 대하여 필터 상수(filter coefficient)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필터 상수가 적용된 샘플(C)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L3 필터링(52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1회에 걸쳐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3 filtering 520 based on the RRC configuration parameter with respect to the sample (B). An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3 filtering 520 may be set to be performed or set not to be performed. That is, the terminal may set ON/OFF for the function of the L3 filtering 520 .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3 filtering 520 is set to be performed, the terminal may apply and use a filter coefficient to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Through this, the terminal may generate the sample C to which the filter constant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L3 filtering 520 is set not to be performed, the terminal may use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once.

이후, 단말은 샘플(C)에 대하여 RRC 설정 파라미터가 설정된 보고 기준 평가(530)의 기능을 기반으로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C')을 만족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 보고 기준 평가(53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은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보고 기준 평가(530)의 기능에 대하여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고 기준 평가(530)의 기능에 대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샘플(C)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의 전송에 대한 트리거링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을 단말의 트래픽 빈도 및 단말에서 요구되는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고 기준 평가(530)의 기능을 기반으로 설정되는 오프셋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reafter, the UE may evaluate whether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satisfies the preset criterion (C′)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reporting criterion evaluation 530 in which the RRC setting parameter is set for the sample (C). An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reporting criterion evaluation 530 may be set to be performed or set not to be performed. That is, the terminal may set ON/OFF for the function of the reporting criterion evaluation 530 .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for the function of the reporting criterion evaluation 530 is set to be performed,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the transmission of the mess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sample (C) is calculated from the traffic frequency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It can be set based on the required reliability requirements. An offset set based on the function of the reporting criterion evaluation 530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을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y축은 단말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의미하는 RSRP 또는 RSRQ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신뢰도 요구사항 비교적 큰 URLLC인 경우, 단말은 비교적 작은 값에 상응하는 오프셋인 URLLC A3 offset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가 비교적 적은 mMTC인 경우, 단말은 비교적 큰 값에 상응하는 오프셋인 mMTC A3 offset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을 통해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특성인 트래픽 빈도 및 신뢰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오프셋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된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x-axis may represent time, and the y-axis may represent RSRP or RSRQ, which means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at is, in the case of a URLLC having a relatively large reliability requirement,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may set the URLLC A3 offset, which is an offset corresponding to a relatively small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ffic frequency, which is a service characteristic executed in the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mMTC, which is relatively small, the terminal may set the mMTC A3 offset, which is an offset corresponding to a relatively large value. Specifically, the terminal may control the offset based on the traffic frequency and reliability requirements, which are service characteristics executed in the terminal,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and may set the controlled offset.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carry out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Claims (6)

이동통신시스템(communication network)에서 핸드오버(handover)를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서빙(serving)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파라미터(parameter)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 및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triggering)하기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offs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에 적용되도록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특성인 트래픽(traffic) 빈도 및 신뢰도(reliability) 요구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설정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절차를 상기 서빙 기지국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상기 트래픽 빈도를 측정하거나 상기 신뢰도 요구 사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트래픽 빈도 및 판단된 신뢰도 요구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트래픽 빈도 및 판단된 신뢰도 요구 사항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값은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단말에 미리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arameters used in a procedure for handover of the terminal from a serving base station - The plurality of parameters are used in the procedure for handover of th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eriod for measuring signal strength and an offset used for triggering a handover of the terminal;
setting the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at least one of a traffic frequency and a reliability requirement,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so as to be applied to the procedure for the handover;
measuring the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based on the plurality of set parameters; an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handover procedure with the serving base station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and the set plurality of parameters,
The step of setting the plurality of parameters is
measuring, by the terminal, the traffic frequency of a service executed in the terminal 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requirement; and
setting the plurality of parameters based on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traffic frequency and the determined reliability requirement,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traffic frequency and the determined reliability requirement is obtained from the serving base station or preset in the terminal,
How the terminal operat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트래픽 빈도가 간헐적일 수록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는 감소되며, 상기 측정된 트래픽 빈도가 빈번할 수록 상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주기는 증가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the measured traffic frequency is intermittent, the period of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is decreased, and as the measured traffic frequency is more frequent, the period of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is increased,
How the terminal opera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offset)이 상기 측정된 트래픽 빈도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값이 되도록 상기 오프셋에 스케일링 팩터(scaling factor)가 적용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caling factor is applied to the offset so that the offset used for triggering the handover of the terminal becomes a preset valu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traffic frequency,
How the terminal operates.
KR1020170126833A 2016-09-29 2017-09-29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3270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5641 2016-09-29
KR1020160125641 201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713A KR20180035713A (en) 2018-04-06
KR102327006B1 true KR102327006B1 (en) 2021-11-16

Family

ID=6197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33A KR102327006B1 (en) 2016-09-29 2017-09-29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00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6682A (en) * 2007-03-23 2008-10-02 Toshiba Corp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6682A (en) * 2007-03-23 2008-10-02 Toshiba Corp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713A (en)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11156B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resources
US1055531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networks of multiple communications standards
KR101899770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load balancing
CN106922039B (en) Heartbeat message sending method and device
KR101277431B1 (en)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wireless base station, and recording medium of progra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wireless base station
RU2566742C1 (en) Determination of ue location in cell
CN106954225B (en) wireless roaming method and device and wireless equipment
RU2681087C1 (en) Terminal devic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of management of the power of transmission of the final device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130121158A (en) Adaptive peer discovery based on non peer discovery transmissions and device density for wi-fi
JP2021500772A (en) Carrier sel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50304978A1 (en) Automatic calibration of probe requ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threshold to control associations
KR102327006B1 (en)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59640B1 (en) Method of power control for call migration
CN111769900B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N109362107B (en) Wireless repeater link swi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6037336A1 (en) Data throughput control in a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12087784A (en) Pilot frequency switch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uplink coverage
EP3975629A1 (en) Time averaging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 power density
KR2010011125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20095237A1 (en) Time averaging for specific absorption rate & power density
CN109769291B (en) Terminal power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N104641584A (en)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QI (channel quality index)
CN112752307A (en) Control method,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1549309B1 (en) Power-optimized vertical handover scheme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EP313385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x2 link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