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961B1 -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961B1
KR102326961B1 KR1020210032718A KR20210032718A KR102326961B1 KR 102326961 B1 KR102326961 B1 KR 102326961B1 KR 1020210032718 A KR1020210032718 A KR 1020210032718A KR 20210032718 A KR20210032718 A KR 20210032718A KR 102326961 B1 KR102326961 B1 KR 102326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umping
vacuum pump
ba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찬
Original Assignee
정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찬 filed Critical 정병찬
Priority to KR102021003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05B11/3009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05B11/3045
    • B05B11/3069
    • B05B11/3078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진공 펌프 마개, 그리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진공 펌프 마개가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천연물로 이루어진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펌프 마개의 펌핑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진공 펌프 마개와 화장료 사이는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 마개는 용기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펌핑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펌핑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강한 상기 펌핑부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그리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복수 굽어 있으며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는 탄성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다리는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Stopper for vacuum pump and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화장품은 정제수, 오일, 계면활성제 등의 많은 성분들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조제조성물이다. 조제화장품은 상기의 성분들이 골고루 합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합성성분을 함유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안전과 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전반적인 추세와 함께 화장품 영역에서도 천연화장품의 요구가 높아져 천연재료를 숙성시켜 사용하는 천연 화장품의 사용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천연 화장품을 일반 용기에 담아 사용하게 되면서 공기가 천연재료에 쉽게 접촉되면서 공기중의 미생물에 의해 천연재료가 변색, 변취, 점도, pH 변화 등으로 품질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4450호 (2014.02.12.), 명칭: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이하, '등록특허'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도면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등록특허는 용기본체의 개방부에 본체(300)가 결합되어 있고, 본체(300)에 펌핑작동을 작동을 하는 펌핑부(500)가 결합되어 있다. 펌핑부(500)의 펌핑작동으로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펌핑부(500)는 펌핑작동을 하면서 승강하는데 펌핑부(500)의 승강을 위해 본체(300)와 펌핑부(500)의 사이에는 스프링(S)이 배치되어 있다. 펌핑부(500)가 외력에 의해 하강할 때 스프링(S)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며, 펌핑부(500)에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스프링(S)이 팽창하여 펌핑부(500)가 상승하게 된다.
스프링(S)은 압축 코일 스프링(Compression Coil Sp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은 선재의 지름, 피치 및 높이(H)에 대한 숫자가 클수록 강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다. 강한 탄성력에 의해 펌핑부(500)의 상승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스프링(S)의 높이(H)에 대한 숫자의 증가로 본체(300)의 바닥을 기준으로 펌핑부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진공 마개의 전체적인 높이(H')가 증가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4450호 (2014.02.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504호 (2014.02.20.)
본 발명은 진공 펌프 마개에서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체적인 높이를 최소화하면서 상승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 마개는 용기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펌핑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펌핑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강한 상기 펌핑부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그리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복수 굽어 있으며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는 탄성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다리는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탄성다리는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에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서 하부로 굽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바와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1 탄성바, 상기 제1 탄성바에서 하부 외측으로 굽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바와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2 탄성바 및 상기 제2 탄성바에서 외측으로 굽어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와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탄성바와 둔각을 이루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와 상기 제1 탄성바,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바와 상기 제2 탄성바는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핑부가 하강할 때 상기 곡면의 부분이 굽어지면서 상기 탄성다리에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배열된 탄성다리들은 상기 몸체의 중심을 벗어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펌핑부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평행하게 위치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굽어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는 제1 탄성다리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굽어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상기 펌핑부의 내부면과 접하고 있는 제2 탄성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다리와 상기 제2 탄성다리는 직각을 이루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다리와 상기 제2 탄성다리는 각각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탄성바, 그리고 상기 탄성바에서 일방향으로 굽어 상기 몸체와 평행을 이루고 있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가 하강할 때 상기 몸체와 상기 탄성바의 연결 부분이 굽어지면서 상기 제1 탄성다리와 상기 제2 탄성다리에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는 제1 탄성링,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펌핑부와 접하고 있는 제2 탄성링 및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링과 상기 제2 탄성링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탄성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링, 상기 연결 탄성링 및 상기 제2 탄성링은 엇갈리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탄성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복수 굽어 있으며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는 탄성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다리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배열된 탄성다리들은 각각, 상기 몸체의 일면과 결합되어 있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서 하부로 굽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바와 둔각을 이루고 있는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에서 굽어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와 평행을 이루고 있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열된 상기 탄성다리들은 가상의 중심을 향하고 있고, 상기 펌핑부가 하강할 때 상기 수평바와 상기 탄성바의 연결 부분이 굽어지면서 배열된 상기 탄성다리들에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배열된 상기 탄성다리들은 각각, 상기 받침대의 하면에서 구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는 접촉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가 상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부가 위치한 펌핑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바닥에 용기 배출홀이 형성된 결합몸체, 상기 용기 배출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펌핑부가 상승할 때 열릴 수 있는 용기밸브 및 상기 결합몸체의 내부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 둘레는 상기 결합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의 하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착홈에 배치된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용기 배출홀을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울의 가장자리는 상기 안착홈의 둘레와 떨어져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분은 상기 안착홈의 둘레와 상기 거울의 가장자리의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펌핑공간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탄성력을 받을 수 있으며 펌핑 배출홀이 형성된 피스톤, 상기 펌핑 배출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이 하강할 때 열릴 수 있는 펌핑밸브 및 상기 피스톤을 덮고 있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과 상기 덮개의 사이에는 상기 펌핑 배출홀과 연결된 배출유로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와 같이 기재된 진공 펌프 마개, 그리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진공 펌프 마개가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천연물로 이루어진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펌프 마개의 펌핑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진공 펌프 마개와 화장료 사이는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펌핑부 하강 시 탄성다리의 제1 탄성바와 제2 탄성바를 연결하고 있는 곡면 부분이 굽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탄성다리에 굽어 정도에 따라 탄성부의 상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탄성부의 상하 높이 최소화로 펌핑부의 상하 높이 최소화로 진공 펌프 덮개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펌핑부의 반복적인 승강 동작으로 화장료 공간의 공기가 용기 배출홀, 펌핑공간, 펌핑 배출홀, 함몰홈 및 배출유로를 통해 용기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어 화장료 공간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화장료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면서 화장료는 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에 공기 중의 미생물에 의해 천연재료의 화장료가 변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을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본체부의 저면에 거울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덮개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2의 탄성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탄성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탄성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도 11은 도 8의 탄성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저면 사시도, (b)는 정면도.
도 12는 도 1의 진공 펌프 마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펌핑부가 눌린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b)는 펌핑부가 탄성부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3은 종래의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 마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화장품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진공 펌프 마개가 적용된 화장품 용기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2의 본체부의 저면에 거울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덮개 저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2의 탄성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탄성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탄성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이며, (b)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탄성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저면 사시도이며, (b)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진공 펌프 마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펌핑부가 눌린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b)는 펌핑부가 탄성부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천연재료 이루어진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는 화장료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10), 그리고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어 화장료 공간(11)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 마개(20)를 포함한다. 진공 펌프 마개(20)는 용기본체(10)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부(21), 본체부(21)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화장료 공간(11)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펌핑부(23) 및 본체부(21)와 펌핑부(23)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강한 펌핑부(23)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의 내부 둘레는 화장료와 접촉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내부 둘레에는 화장료의 변질을 예방하기 위한 항균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항균층은 항균 기능을 갖는 황화구리를 포함한다. 황화구리는 황과 구리의 화합물일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상부측 내부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나사는 용기본체(10)의 상부측 외부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나사는 둥근 나사일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하면에는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패드는 유리, 대리석 등과 접촉했을 때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패드는 용기본체(10)가 유리, 대리석 등에 놓였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진공 펌프 마개(20)의 본체부(21)는 결합몸체(211), 실린더(212) 및 용기밸브(213)를 포함하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할 수 있다.
도 4를 더 참고하면, 결합몸체(211)의 하부측 일부분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결합몸체(211)의 하부측 외부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는 둥근 나사일 수 있다. 이에 결합몸체(211)의 나사와 용기본체(10)의 나사가 서로 체결되어 용기본체(10)에 진공 펌프 마개(2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몸체(211)의 하면에 내부로 함몰된 수용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수용홈의 둘레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본체(10)의 상부측 외부 둘레가 수용홈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몸체(211)와 용기본체(10)의 나사 부분에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는 결합몸체(211)와 용기본체(10) 사이에서 기밀성을 유지하여 화장료 공간(1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더 참고하면, 결합몸체(211)의 내부에는 상면으로 개방된 펌핑공간(211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 중앙 부분은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용기 배출홀(211c)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결합몸체(211)가 용기본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화장료 공간(11)은 용기 배출홀(211c)을 통해 펌핑공간(211a)과 연결된다.
실린더(212)는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12)의 돌출된 길이는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을 기준으로 결합몸체(211)의 외부 둘레 높이보다 낮다. 실린더(212)의 외부 둘레는 결합몸체(211)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으며 내부 둘레는 용기 배출홀(211c)이 형성된 돌출부(211b)와 떨어져 있다.
실린더(212)의 상부측 외부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나사는 생략될 수 있다.
용기밸브(213)는 용기 배출홀(211c)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다. 용기밸브(213)는 용기 배출홀(211c)에 위치하여 외부 둘레가 용기 배출홀(211c)의 둘레와 떨어져 있는 밸브몸체(231a), 접시 형태로 형성되어 펌핑공간(211a)에서 돌출부(211b)와 접하여 밸브몸체(231a)의 상단과 결합된 밸브시트(213b) 및 결합몸체(211)의 하면에서 밸브몸체(231a)의 하단과 결합된 이탈방지턱(213c)을 포함한다. 용기밸브(213)는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밸브시트(213b)는 돌출부(211b)의 표면과 접하여 화장료 공간(11)과 펌핑공간(211a)이 용기 배출홀(211c)을 통해 연결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펌핑공간(211a)의 압력이 화장료 공간(11)보다 낮아지면 밸브시트(213b)는 돌출부(211b)의 표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화장료 공간(11)의 공기는 용기 배출홀(211c)을 통해 펌핑공간(2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면 도 6을 더 참고하면 결합몸체(211)의 하면에 거울(2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몸체(211)의 하면에는 상부로 함몰되어 안착홈(211d)이 형성되어 거울(22)이 배치되어 있다. 거울(22)의 가장자리는 안착홈(211d)의 둘레와 떨어져 있다.
안착홈(211d)의 표면에는 용기 배출홀(211c)과 화장료 공간(11)을 연결하는 연결유로(211e)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유로(211e)의 일단은 용기 배출홀(211c)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거울(22)의 가장자리와 안착홈(211d)의 둘레 사이에 형성된 틈(211f)을 통해 화장료 공간(11)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화장료 공간(11)의 공기는 틈(211f), 연결유로(211e) 및 용기 배출홀(211c)을 통해 펌핑공간(211a)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유로(211e)는 안착홈(211d)의 표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면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고하면, 진공 펌프 마개(20)의 펌핑부(23)는 피스톤(231), 펌핑밸브(232) 및 덮개(233)를 포함하며 펌핑공간(211a)의 공기를 배출하여 펌핑공간(211a)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피스톤(231)은 피스톤 몸체(231a)와 걸림띠(231b)를 포함한다.
피스톤 몸체(231a)는 내부가 하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측 일부분이 실린더(2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 몸체(231a)의 외부 둘레는 실린더(212)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다. 피스톤(231)은 실린더(212)의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다.
피스톤 몸체(231a)의 하부측 외부 둘레에는 승강 시 기밀성 유지를 위해 실링부재(24)가 결합되어 있다. 실링부재(24)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띠(231b)는 피스톤 몸체(231a)의 하부측 외부 둘레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걸림띠(231b)에는 실링부재(24)의 내측 둘레가 삽입 고정된 결합홈(231c)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재(24)의 외측 둘레는 실린더(212)의 내부 둘레와 접하고 있다. 실링부재(24)는 내측 둘레에서 외측 둘레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얇아진다. 이에 피스톤(231)이 승강할 때 실링부재(24)의 외측 둘레가 실린더(212)의 내부 둘레와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다. 실링부재(24)에 의해 실린더(212)와 피스톤(231)의 사이가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어 외부 공기가 펌핑공간(211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피스톤 몸체(231a)의 상면 중앙 부분이 함몰되어 피스톤 몸체(231a)의 내부 상면 중앙 부분이 돌출부(211b)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스톤 몸체(231a)의 상면 중앙에는 함몰홈(231d)이 형성되고 펌핑 배출홀(231e)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펌핑공간(211a)은 펌핑 배출홀(231e)을 통해 함몰홈(231d)과 연결되며 펌핑공간(211a)의 공기는 펌핑 배출홀(231e)을 통해 함몰홈(231d)으로 유입될 수 있다.
덮개(233)는 접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231)을 덮고 있다. 덮개(233)의 하면과 피스톤(231)의 상면이 서로 접하며 덮개(233)의 하면 중앙 부분이 함몰홈(231d)으로 돌출되어 삽입 고정되어 있다. 덮개(233)의 외부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233)의 가장자리는 피스톤(231)의 외부 둘레를 벗어나 있다. 그러나 덮개(233)의 가장자리는 결합몸체(211)의 외부 둘레를 벗어나지 않는다. 덮개(233)의 가장자리는 실린더(212)의 외부 둘레와 결합몸체(211)의 내부 둘레 사이에 있다.
덮개(233)의 하면에는 배출유로(233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유로(233a)는 함몰홈(231d)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배출유로(233a)는 피스톤(231)의 상면에 형성되어 함몰홈(231d)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유로(233a)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펌핑밸브(232)는 펌핑 배출홀(231e)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다. 펌핑밸브(232)는 펌핑 배출홀(231e)에 위치하여 외부 둘레가 펌핑 배출홀(231e)의 둘레와 떨어져 있는 밸브몸체(232a), 접시 형태로 형성되어 함몰홈(231d)에서 밸브몸체(232a)의 상단과 결합된 밸브시트(232b) 및 피스톤 몸체(231a)의 내부 상면과 접하여 밸브몸체(232a)의 하단과 결합된 이탈방지턱(232c)을 포함한다. 펌핑밸브(232)는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밸브시트(232b)는 함몰홈(231d)의 표면과 접하여 펌핑공간(211a)과 함몰홈(231d)이 용기 배출홀(211c)을 통해 연결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펌핑부(23)가 하강할 때 펌핑공간(211a)의 공기가 밸브몸체(232a)와 펌핑 배출홀(231e)의 둘레 사이를 통해 배출되면서 밸브시트(232b)는 함몰홈(231d)의 표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밸브시트(232b)가 함몰홈(231d)의 표면과 접하면 펌핑공간(211a)의 공기는 펌핑 배출홀(231e)을 통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펌핑부(23)는 이탈방지편(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편(25)이 중앙이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실린더(212)의 상부측 외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있다. 이탈방지편(25)의 내부 둘레에는 실린더(212)의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린더(212)에 나사가 생략된 경우 이탈방지편(25)의 나사 또한 생략되며 이때 이탈방지편(25)과 실린더(212)는 접착제, 열융착, 초음파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편(25)의 내부 둘레는 피스톤 몸체(231a)의 외부 둘레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일부분은 걸림띠(231b)와 접한다. 피스톤(231)은 이탈방지편(25)에 의해 실린더(212)의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승강할 수 있다.
도면 도 8을 더 참고하면, 진공 펌프 마개(20)의 탄성부(30)는 몸체(31), 그리고 탄성다리(32)를 포함하며 펌핑공간(211a)에 배치되어 있다.
몸체(31)는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고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관통홀(311)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몸체(31)는 피스톤(231)의 내부 상면과 접하고 있다. 그러나 몸체(31)는 피스톤(231)의 내부 상면과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탄성다리(32)는 관통홀(311)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복수 굽어 있고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접하며 굽어진 부분에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탄성다리(32)는 몸체(31)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다리(32)는 수평바(321), 제1 탄성바(322), 제2 탄성바(323) 및 받침대(324)를 포함한다.
수평바(321)는 몸체(31)의 내부 둘레에서 평행하게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제1 탄성바(322)는 수평바(321)의 단부에서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을 향해 굽어 돌출되어 있다. 제1 탄성바(322)는 수평바(321)와 둔각을 이루고 있다.
제2 탄성바(323)는 제1 탄성바(322)의 단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굽어 돌출되어 있다. 제2 탄성바(323)는 제1 탄성바(322)와 둔각을 이루고 있다.
받침대(324)는 제2 탄성바(323)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굽어 돌출되어 있다. 받침대(324)는 수평바(321)와 평행하며 제2 탄성바(323)와 둔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받침대(324)는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다.
한편, 수평바(321)와, 제1 탄성바(322), 그리고 제1 탄성바(322)와 제2 탄성바(323)는 곡면(322a)으로 연결되어 있다. 펌핑부(23)가 하강할 때 곡면(322a) 부분이 굽어지면서 탄성다리(32)에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다리(32)는 몸체(31)의 내부 둘레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때 탄성다리(32)들은 몸체(31)의 중심을 벗어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곡면(322a) 부분의 굽어진 정도에 따라 탄성부(30)의 상하 높이(30h)와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탄성부(30)의 상하 높이(30h)의 최소화로 인해 펌핑부(23)의 상하 높이 또한 최소할 수 있다. 이에 진공 펌프 덮개(233)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30)는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부(30)의 재질을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탄성다리가 굽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 도 9를 참고하여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40)는 몸체(41), 제1 탄성다리(42) 및 제2 탄성다리(43)를 포함하며 펌핑공간(211a)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40)는 강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41)는 펌핑공간(211a)에서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피스톤(231)의 내부 상면 사이에서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몸체(41)는 코일 구조를 갖는다.
제1 탄성다리(42)는 몸체(41)의 일단에서 굽어 돌출되어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다.
제2 탄성다리(43)는 몸체(41)의 타단에서 굽어 돌출되어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마주하고 있는 피스톤(231)의 내부 상면과 접하고 있다.
탄성부(40)를 측면에서 볼 때 제1 탄성다리(42)와 제2 탄성다리(43)는 직각을 이루고 있다. 제1 탄성다리(42)와 제2 탄성다리(43)는 각각 몸체(41)에서 돌출된 탄성바(421, 431), 그리고 탄성바(421, 431)에서 일방향으로 굽어 몸체(41)와 평행을 이루고 있는 받침대(422, 432)를 포함한다. 제1 탄성다리(42)의 받침대(422)는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선 접촉하고 있으며, 제2 탄성다리(43)의 받침대(432)는 피스톤(231)의 내부 상면과 선 접촉하고 있다.
펌핑부(23)가 하강할 때 몸체(41)와 탄성바(421, 431)의 연결 부분이 굽어지면서 제1 탄성다리(42)와 제2 탄성다리(43)에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받침대(422, 432)의 선접촉으로 펌핑부(23)가 하강할 접촉면과 마찰이 최소화되어 제1 탄성다리(42)와 제2 탄성다리(43)의 움직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40)는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 배치되어 있다.
탄성바(421, 431)의 길이 조절로 탄성부(40)의 상하 높이(40h)를 최소화할 수 있어 펌핑부(23)의 전체적인 상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진공 펌프 마개(20)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면 도 10을 참고하여 탄성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50)는 제1 탄성링(51), 제2 탄성링(52) 및 연결 탄성링(53)을 포함하며 펌핑공간(211a)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탄성링(51), 제2 탄성링(52) 및 연결 탄성링(53)은 각각 중앙이 상하 관통되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탄성링(51)은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으며, 제2 탄성링(52)은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피스톤(231)의 내부 상면과 접하고 있다. 연결 탄성링(53)은 제1 탄성링(51)과 제2 탄성링(52)을 연결하고 있다. 제1 탄성링(51), 연결 탄성링(53) 및 제2 탄성링(52)의 웨이브는 엇갈리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탄성링(51)의 웨이브 상사점과 연결 탄성링(53)의 웨이브 하사점이 연결되어 있고, 연결 탄성링(53)의 웨이브 상사점과 제2 탄성링(52)의 웨이브 하사점이 연결되어 있다. 제1 탄성링(51)의 웨이브 하사점과 연결 탄성링(53)의 웨이브 상사점의 사이, 그리고 연결 탄성링(53)의 웨이브 하사점과 제2 탄성링(52)의 웨이브 상사점의 사이에 탄성공간(5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사점은 각 탄성링에서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웨이브가 가장 높은 부분이며, 하사점은 각 탄성링에서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웨이브가 가장 낮은 부분이다.
탄성공간(50a)의 상하 높이(50s)는 웨이브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탄성공간(50a)의 높이(50s)에 따라 탄성부(50)의 높이(50h)를 조절할 수 있어 펌핑부(23)의 전체적인 상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진공 펌프 마개(20)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면 도 11을 참고하여 탄성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60)는 몸체(61), 그리고 탄성다리(62)를 포함하며 펌핑공간(211a)에 배치되어 있다.
몸체(61)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관통홀(611)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61)는 피스톤(231)의 내부 상면과 접하고 있다.
탄성다리(62)는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몸체(61)의 이면에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복수 굽어 있으며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탄성다리(62)는 수평바(621), 탄성바(622) 및 받침대(623)를 포함한다.
수평바(621)는 몸체(61)의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탄성바(622)는 수평바(621)에서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을 향해 하부로 굽어 몸체(61)의 가상의 중심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탄성바(622)는 수평바(621)와 둔각을 이루고 있다.
받침대(623)는 탄성바(622)의 단부에서 굽어 돌출되어 수평바(621)와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평행을 이루고 있다. 받침대(623)는 탄성바(622)가 구부러질 때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다리(62)는 몸체(61)의 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탄성부(60)는 펌핑부(23)가 하강할 때 수평바(621)와 탄성바(622)의 연결 부분이 굽어지면서 배열된 탄성다리(62)들에 탄성력이 발생하여 펌핑부(23)를 완충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다리(62)는 접촉돌기(6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624)는 받침대(623)의 하면에서 구 형태로 돌출되어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점 접촉하고 있다. 접촉돌기(624)의 점 접촉으로 받침대(623)가 결합몸체(211)의 내부 바닥과 접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받침대(623)의 이동이 용이하며 탄성바(622)의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60)는 탄성바(622)의 돌출과 굽어진 정도에 따라 탄성부(60)의 높이(60h)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탄성바(622)의 설정으로 펌핑부(23)의 상하 높이를 설정하여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2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화장품 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용기본체(10)의 화장료 공간(11)에 화장료가 수용되어 있으며, 진공 펌프 마개(20)가 용기본체(1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30)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부(23)는 상승해 있으며 밸브시트(213b)는 돌출부(211b)와 접하고 있으며, 밸브시트(232b)는 함몰홈(231d)의 바닥과 접해 있다. 피스톤(231)과 실린더(212)의 사이는 기밀성을 유지하고 있다.
도면 도 12의 (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펌핑부(23)를 가압하면 피스톤(231)은 펌핑공간(211a)에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펌핑공간(211a)의 체적은 줄어들고 실린더(212)의 내부 상면이 펌핑공간(211a)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서 펌핑공간(211a)의 공기가 펌핑 배출홀(231e)로 유동할 수 있다. 펌핑 배출홀(231e)의 공기는 함몰홈(231d)의 바닥과 접하고 있는 밸브시트(232b)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밸브시트(232b)는 압력에 의해 들리어 함몰홈(231d)의 바닥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에 펌핑 배출홀(231e)의 공기는 함몰홈(231d)으로 유입되어 배출유로(233a)를 통해 펌핑부(23)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펌핑부(23)의 하강으로 탄성부(30)의 탄성다리(32)는 구부러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펌핑부(23)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이 발생한 탄성다리(32)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피스톤(231)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체적이 줄어들었던 펌핑공간(211a)의 체적이 증가하며 펌핑공간(211a)의 압력이 화장료 공간(11)의 압력보다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밸브시트(213b)가 돌출부(211b)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화장료 공간(11)의 공기는 용기 배출홀(211c)을 통해 펌핑공간(2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결합몸체(211)의 하면에 거울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화장료 공간(11)의 공기는 연결유로(211e)를 통해 용기 배출홀(211c)로 유입될 수 있다.
펌핑부(23)의 반복적인 승강 동작으로 화장료 공간(11)의 공기가 용기 배출홀(211c), 펌핑공간(211a), 펌핑 배출홀(231e), 함몰홈(231d) 및 배출유로(233a)를 통해 용기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어 화장료 공간(11)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화장료 공간(11)이 진공상태가 되면서 화장료는 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에 공기 중의 미생물에 의해 천연재료의 화장료가 변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용기본체(10)의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분야는 화장품에 한정되지 않고 식품, 의약품 등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본체
11: 화장료 공간 20: 진공 펌프 마개
21: 본체부 211: 결합몸체
211a: 펌핑공간 211b: 돌출부
211c: 용기 배출홀 211d: 안착홈
211e: 연결유로 211f: 틈
212: 실린더 213: 용기밸브
213a: 밸브몸체 213b: 밸브시트
213c: 이탈방지턱 22: 거울
23: 펌핑부 231: 피스톤
231a: 피스톤 몸체 231b: 걸림띠
231c: 결합홈 231d: 함몰홈
231e: 펌핑 배출홀 232: 펌핑밸브
232a: 밸브몸체 232b: 밸브시트
232c: 이탈방지턱 233: 덮개
233a: 배출유로 24: 실링부재
25: 이탈방지편 30, 40, 50, 60: 탄성부
31, 41, 61: 몸체 311, 611: 관통홀
32, 62: 탄성다리 321, 621: 수평바
322: 제1 탄성바 323: 제2 탄성바
322a: 곡면 324, 623: 받침대
42: 제1 탄성다리 43: 제2 탄성다리
421, 431, 622: 탄성바 422,432, 623: 받침대
51: 제1 탄성링 52: 제2 탄성링
53: 연결 탄성링 50a: 탄성공간
624: 접촉돌기

Claims (13)

  1. 용기본체와 결합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펌핑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펌핑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하강한 상기 펌핑부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가 배치된 펌핑공간이 형성된 내부 바닥에 용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결합몸체,
    상기 용기 배출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펌핑부가 상승할 때 열릴 수 있는 용기밸브,
    상기 결합몸체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상기 결합몸체의 내부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실린더 및
    상기 결합몸체의 하면에 배치된 거울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용기 배출홀을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의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홈의 둘레와 떨어져 상기 연결유로의 일부분은 상기 안착홈의 둘레와 상기 거울의 가장자리의 사이로 노출되어 있는
    진공 펌프 마개.
  2. 제1항에서,
    상기 탄성부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그리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서 돌출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복수 굽어 있으며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는 탄성다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다리는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진공 펌프 마개.
  3. 제2항에서,
    상기 탄성다리는
    상기 몸체의 내부 둘레에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서 하부로 굽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바와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1 탄성바,
    상기 제1 탄성바에서 하부 외측으로 굽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바와 둔각을 이루고 있는 제2 탄성바 및
    상기 제2 탄성바에서 외측으로 굽어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와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탄성바와 둔각을 이루는 받침대
    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와 상기 제1 탄성바,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바와 상기 제2 탄성바는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핑부가 하강할 때 상기 곡면의 부분이 굽어지면서 상기 탄성다리에 탄성력이 발생하는
    진공 펌프 마개.
  4. 제2항에서,
    배열된 탄성다리들은 상기 몸체의 중심을 벗어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진공 펌프 마개.
  5. 제1항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펌핑부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평행하게 위치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굽어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는 제1 탄성다리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굽어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상기 펌핑부의 내부면과 접하고 있는 제2 탄성다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다리와 상기 제2 탄성다리는 직각을 이루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진공 펌프 마개.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탄성다리와 상기 제2 탄성다리는 각각
    상기 몸체에서 돌출된 탄성바, 그리고
    상기 탄성바에서 일방향으로 굽어 상기 몸체와 평행을 이루고 있는 받침대
    를 포함하며,
    상기 펌핑부가 하강할 때 상기 몸체와 상기 탄성바의 연결 부분이 굽어지면서 상기 제1 탄성다리와 상기 제2 탄성다리에 탄성력이 발생하는
    진공 펌프 마개.
  7. 제1항에서,
    상기 탄성부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는 제1 탄성링,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펌핑부와 접하고 있는 제2 탄성링 및
    웨이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링과 상기 제2 탄성링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탄성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링, 상기 연결 탄성링 및 상기 제2 탄성링은 엇갈리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탄성공간이 형성된
    진공 펌프 마개.
  8. 제1항에서,
    상기 탄성부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복수 굽어 있으며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는 탄성다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다리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진공 펌프 마개.
  9. 제8항에서,
    배열된 탄성다리들은 각각,
    상기 몸체의 일면과 결합되어 있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서 하부로 굽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바와 둔각을 이루고 있는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에서 굽어 돌출되어 상기 수평바와 평행을 이루고 있는 받침대
    를 포함하며,
    배열된 상기 탄성다리들은 가상의 중심을 향하고 있고, 상기 펌핑부가 하강할 때 상기 수평바와 상기 탄성바의 연결 부분이 굽어지면서 배열된 상기 탄성다리들에 탄성력이 발생하는
    진공 펌프 마개.
  10. 제9항에서,
    배열된 상기 탄성다리들은 각각,
    상기 받침대의 하면에서 구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바닥과 접하고 있는 접촉돌기를 더 포함하는
    진공 펌프 마개.
  11. 삭제
  12. 제1항에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펌핑공간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탄성력을 받을 수 있으며 펌핑 배출홀이 형성된 피스톤,
    상기 펌핑 배출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이 하강할 때 열릴 수 있는 펌핑밸브 및
    상기 피스톤을 덮고 있는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과 상기 덮개의 사이에는 상기 펌핑 배출홀과 연결된 배출유로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진공 펌프 마개.
  13.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12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진공 펌프 마개, 그리고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진공 펌프 마개가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천연물로 이루어진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펌프 마개의 펌핑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진공 펌프 마개와 화장료 사이는 진공상태가 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032718A 2021-03-12 2021-03-12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326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18A KR102326961B1 (ko) 2021-03-12 2021-03-12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18A KR102326961B1 (ko) 2021-03-12 2021-03-12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961B1 true KR102326961B1 (ko) 2021-11-16

Family

ID=7871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718A KR102326961B1 (ko) 2021-03-12 2021-03-12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9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3419A1 (en) * 2004-07-26 2006-02-09 Taplast S.P.A. Elastic element for fluid dispensing devices and relevant dispensing device
KR101364450B1 (ko) 2012-03-22 2014-02-20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200471504Y1 (ko) 2012-06-19 2014-02-27 (주)톨리코리아 색조화장품 수납용 복합용기
KR20160109277A (ko) * 2015-03-10 2016-09-21 (주)연우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WO2016182312A1 (ko) * 2015-05-12 2016-11-17 강성일 오토 오픈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3419A1 (en) * 2004-07-26 2006-02-09 Taplast S.P.A. Elastic element for fluid dispensing devices and relevant dispensing device
KR101364450B1 (ko) 2012-03-22 2014-02-20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200471504Y1 (ko) 2012-06-19 2014-02-27 (주)톨리코리아 색조화장품 수납용 복합용기
KR20160109277A (ko) * 2015-03-10 2016-09-21 (주)연우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WO2016182312A1 (ko) * 2015-05-12 2016-11-17 강성일 오토 오픈 콤팩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041B2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EP3318159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short stroke pump and ring button member
US9788633B2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EP3305124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button member enabling easy assembly
EP3903946A1 (en)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05939634A (zh) 粉排出容器
KR100776286B1 (ko) 파우더 화장용기
US10857554B2 (en) Compact container including pump having short stroke
JP2018501013A (ja) 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KR101464686B1 (ko) 금속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102326961B1 (ko) 진공 펌프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22007855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N112399810A (zh) 化妆液容器
JP2002066401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KR20130130569A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US20190166977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ring button member provided thereon and having discharge plate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CN105555677B (zh) 内容物排出泵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681018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2318558B1 (ko) 펌프 용기
KR101649099B1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200480440Y1 (ko) 배출링을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60084348A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