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841B1 -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841B1
KR102326841B1 KR1020190097137A KR20190097137A KR102326841B1 KR 102326841 B1 KR102326841 B1 KR 102326841B1 KR 1020190097137 A KR1020190097137 A KR 1020190097137A KR 20190097137 A KR20190097137 A KR 20190097137A KR 102326841 B1 KR102326841 B1 KR 102326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flange
solar modu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608A (ko
Inventor
배일규
Original Assignee
배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규 filed Critical 배일규
Priority to KR102019009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8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의 각도 조절은 물론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이동식 주택의 설치방향에 상관없이 태양광모듈의 방향을 맞춰 설치할 수 있어 최고의 발전효율을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붕의 상면에 받침프레임(11)이 설치된 이동이 가능한 주택 본체(10); 상기 주택 본체(10)의 받침프레임(11)에 하부가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홀(22)이 형성된 제1플랜지(21)를 갖는 관체로 된 고정관(20); 상기 고정관(20)의 제1플랜지(21) 상면에 맞대어지도록 하부에 제2고정홀(32)이 하나 이상 형성된 제2플랜지(31)가 구비되는 태양광모듈 지지대(30);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 각도조절수단(45)에 의해 각도조절되게 설치되는 태양광모듈(40);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하부에 제2플랜지(3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제2플랜지(31)가 제1플랜지(21)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2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내부로 끼워져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부(50); 상기 제1플랜지(21)에 제2플랜지(31)를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제2플랜지(31)의 회전을 통해 태양광모듈(40)의 설치방향을 조절한 후 상기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시켜 주는 지지대 고정수단(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60)은, 상기 제1플랜지(21)와 제2플랜지(3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정핀 지지브라켓(61)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을 관통하여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고정핀(62)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62)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고정핀(62)이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로 끼워져 억지 끼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63)과, 상기 고정핀(6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탄성스프링(63)을 지지해주는 스프링 지지부재(64)로 구성되어, 원터치방식으로 고정핀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50)의 최하부와 고정관(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고정관(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을 도와주도록 회전안내 베어링(55)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모듈(40)의 하면 좌우측에 각각 '∩'형태로 구비된 프레임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홀(41)이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는 수평지지대(33)가 설치되고, 수평지지대(33)의 양단부에는 태양광모듈(40)의 프레임 내측공간에 끼워져 외면이 프레임의 내표면에 접하도록 제3플랜지(34)가 구비되며, 제3플랜지(3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각도조절수단(45)으로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3고정홀(35)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45)은 상기 각도조절수단(45)은 지지대 고정수단(60)과 동일한 원터치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모듈(40)의 설치각도 조절 후 상기 제3고정홀(35)과 각도조절홀(41)에 끼움결합되어져 태양광모듈(4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Moving house with solar light pow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주택의 상면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하여 자체적인 전기 생산은 물론 각도조정을 통해 발전효율을 높이도록 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고갈 사태가 현실화되는 심각성과 또한 높은 화석연료 에너지 의존에 의한 지구 온난화의 가속화로 인한 환경 파괴를 줄이는 목적에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새로운 근래 주택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국내에서도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여름, 겨울철에 블랙 아웃(Black Out, 대규모 정전사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등 에너지의 원활한 공급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어, 전 세계적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기 위한 패러다임의 일환으로 적은 에너지로도 높은 효율을 내는 에너지 절감 하우스(Saving House)가 제시되고 있다.
에너지 절감 하우스가 에너지 절감의 대책으로 제시되는 이유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이 주택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쓰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주택의 건축자재 및 주택의 시스템 개선만으로 에너지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에너지 절감형 주택으로는, 지열을 이용한 주택, 태양광을 이용한 주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지열을 이용한 주택은 땅속으로 관을 매설하는 공사로 인해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고, 지하수의 오염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으며, 지하수의 공급이 안정적이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태양광을 이용한 주택은 태양광발전장치의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주택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이동식 주택은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 태양광발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이동식 주택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에서 기재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붕 상면에 태양광모듈을 각도조절되게 설치하고 있음에 따라 계절별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은 가능하나,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이동식 주택은 남향을 바라보게 설치하기 보다는 특성상 지리적인 여건이나 위치에 영향이 많이 받게 되나,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 발전량이 많지 않았으며, 경우(지리적인 여건 상 주택이 북쪽을 바라보게 설치된 경우)에 따라서는 발전효율이 매우 좋지 않았다.
또한, 종래 이동식 주택은 주택을 받쳐주는 받침부재를 단순히 프레임을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벽돌 등을 괘어 높이조절함에 따라 지리적인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2777호(에너지 절감형 이동식 주택) 등록특허공보 제10-1802642호(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9848호(에너지 자립형 주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태양광모듈의 각도 조절은 물론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이동식 주택의 설치방향에 상관없이 태양광모듈의 방향을 남쪽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어 최고의 발전효율을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태양광모듈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대 고정수단을 원터치방식으로 구성한 경우 태양광모듈의 회전작업은 물론 회전 후 고정작업을 쉽게 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을 대폭 높일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동식 주택의 하부에 높이조절구조로 된 받침부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이동식 주택을 받쳐 지지하면서도 주택의 높낮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은 지붕의 상면에 받침프레임(11)이 설치된 이동이 가능한 주택 본체(10); 상기 주택 본체(10)의 받침프레임(11)에 하부가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홀(22)이 형성된 제1플랜지(21)를 갖는 관체로 된 고정관(20); 상기 고정관(20)의 제1플랜지(21) 상면에 맞대어지도록 하부에 제2고정홀(32)이 하나 이상 형성된 제2플랜지(31)가 구비되는 태양광모듈 지지대(30);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 각도조절수단(45)에 의해 각도조절되게 설치되는 태양광모듈(40);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하부에 제2플랜지(3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제2플랜지(31)가 제1플랜지(21)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2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내부로 끼워져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부(50); 상기 제1플랜지(21)에 제2플랜지(31)를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제2플랜지(31)의 회전을 통해 태양광모듈(40)의 설치방향을 조절한 후 상기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시켜 주는 지지대 고정수단(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60)은, 상기 제1플랜지(21)와 제2플랜지(3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정핀 지지브라켓(61)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을 관통하여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고정핀(62)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62)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고정핀(62)이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로 끼워져 억지 끼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63)과, 상기 고정핀(6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탄성스프링(63)을 지지해주는 스프링 지지부재(64)로 구성되어, 원터치방식으로 고정핀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50)의 최하부와 고정관(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고정관(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을 도와주도록 회전안내 베어링(55)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모듈(40)의 하면 좌우측에 각각 '∩'형태로 구비된 프레임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홀(41)이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는 수평지지대(33)가 설치되고, 수평지지대(33)의 양단부에는 태양광모듈(40)의 프레임 내측공간에 끼워져 외면이 프레임의 내표면에 접하도록 제3플랜지(34)가 구비되며, 제3플랜지(3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각도조절수단(45)으로 태양광모듈(40)의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3고정홀(35)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모듈(4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제3고정홀(35)과 마주대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홀(41)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45)은 상기 각도조절수단(45)은 지지대 고정수단(60)과 동일한 원터치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모듈(40)의 설치각도 조절 후 상기 제3고정홀(35)과 각도조절홀(41)에 끼움결합되어져 태양광모듈(4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주택 본체(10)의 하부에는 주택 본체(10)를 받쳐줌과 아울러 지면과의 높이조절을 위해 길이조절가능한 받침부재(70)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주택 본체(10)의 하부 선택부위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관(71);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내부 중앙에 베어링(73)을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수직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부(72a)가 형성된 높이조절축(72); 상기 높이조절축(72)에 상부 중앙부분이 나선결합되어 높이조절축(7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고,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받침관(74);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표면에는 상기 높이조절축(72)의 회전을 위해 높이조절축(72)의 상부와 기어결합되는 기어부(75a)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외부로 돌출되어 공구결속부(75b)가 형성된 축 회전안내부(75);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에 따르면, 태양광모듈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동식 주택의 설치방향에 상관없이 태양광모듈이 남쪽방향을 향하도록 시공할 수 있어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를 높이조절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지리적인 여건이나 위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이동식 주택을 받쳐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설치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지지대와 고정관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 지지대와 고정관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택 본체를 받쳐주는 받침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높이조절축을 회전시켜 본체 결합관에 대해 받침관을 하방으로 돌출시켜 길이조절해 놓은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은 주택 본체(10)와, 이 주택 본체(10)의 지붕에 수직설치되는 고정관(20)과, 상기 고정관(20)에 결합되는 태양광모듈 지지대(30)와,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 각도조절수단(45)에 의해 각도조절되게 설치되는 태양광모듈(40)과, 고정관(20)에 끼워져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지지해주는 지지부(50)와,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 고정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택 본체(10)는 이동이 가능한 공지의 이동식 주택으로서, 난방 및 온수의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조명 등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되는 전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태양광 발전을 위해 주택 본체(10)의 지붕 상면에는 받침프레임(11)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받침프레임(11)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받쳐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각도조절은 물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종래 이동식 주택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는 고정식이 대부분이고, 일부 특허공보에 태양광모듈을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되게 구성하여 계절에 따라 태양광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구조가 존재하나, 대부분의 이동식 주택이 지리적인 여건이나 위치에 따라 정남쪽을 향하도록 설치하지 못함에 따라 발전효율이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택 본체(10)를 해당 위치에 옮겨 터를 잡은 상태에서 태양광모듈의 회전을 통해 남쪽방향을 향하도록 하면서도 각도조절을 통해 최대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한 것이다.
태양광모듈(40)의 회전동작을 위해, 상기 고정관(20)과 태양광모듈 지지대(30)와 지지부(50) 및 지지대 고정수단(60)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관(20)은 일정길이의 관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사각판으로 된 베이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1)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결합되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홀(22)이 형성된 제1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하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21)의 상면에 맞대어지도록 제2플랜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플랜지(31)에는 제2고정홀(32)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60)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경우, 상기 제2고정홀(32)은 제1고정홀(22)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형성되어져 각각의 제1고정홀(22) 및 제2고정홀(32)에 볼트를 끼워 너트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60)이 도시된 원터치구조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2고정홀(32)은 하나만 형성되거나 서로 마주보게 2개만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상기 태양광모듈(40)은 태양광모듈 지지대(30)에 각도조절수단(45)에 의해 각도조절되게 설치되며, 각도조절을 위해 태양광모듈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홀(41)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면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모듈의 하면 좌우측에는 각각 '∩'형태로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고, 이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각도조절홀(41)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는 수평지지대(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평지지대(33)의 양단부가 태양광모듈의 프레임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33)의 양단부에는 태양광모듈(40)의 프레임 내측공간에 끼워져 외표면 일부분이 프레임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제3플랜지(34)가 구비되어 있고, 제3플랜지(34)의 가장자리부분에는 각도조절수단(45)으로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3고정홀(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홀(41)과 제3고정홀(35)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첨부 도면에서는 제3고정홀(35)의 개수가 각도조절홀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45)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과 같이 작업자가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원터치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원터치구조로 구성한 경우에는 예로서 지지대 고정수단(60)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하부에 제2플랜지(3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플랜지(31)가 제1플랜지(21)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2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내부로 끼워져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부(50)는 상기 고정관(20)의 내부로 끼워짐으로써 고정관(20)에 결합되는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하면서도,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하기 전 상태에서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회전 시 유동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게 안내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50)는 고정관(2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금속관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된 금속판으로 형성되어져 상기 고정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60)은 상기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움 결합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하거나 원터치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 고정수단(60)은 상기 제1플랜지(21)에 제2플랜지(31)를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제2플랜지(31)의 회전을 통해 태양광모듈(40)의 설치방향을 조절한 후 고정하게 된다.
원터치구조로 된 지지대 고정수단(60)의 예로서, 상기 제1플랜지(21)와 제2플랜지(3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정핀 지지브라켓(61)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을 관통하여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고정핀(62)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62)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고정핀(62)이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로 끼워져 억지 끼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63)과, 상기 고정핀(6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탄성스프링(63)을 지지해주는 스프링 지지부재(64)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핀의 잡아당김 또는 당김해제동작을 통해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쉽게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태양광모듈(40)의 설치방향 조절은, 상기 고정핀을 고정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랜지에 제2플랜지를 맞대어진 채로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원하는 각도만큼 수평 회전시켜 상기 태양광모듈(40)의 설치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의 설치 시 상하 각도조절은 물론 수평회전을 통해 설치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지리적인 여건이나 위치에 따라 주택 본체의 방향이 남쪽을 향하지 않더라도 태양광모듈의 설치방향을 남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량의 최대화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50)가 고정관(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지지부(50)의 최하부와 고정관(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회전안내 베어링(55)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안내 베어링(55)이 구비됨으로써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도와줌은 물론,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고정관(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안내 베어링(55)은 지지부(50)의 외주면에 결합해 놓은 상태에서 고정관(20)의 내부로 끼워넣은 후 고정관의 외부에서 스폿용접 등의 고정작업을 통해 고정관의 내주면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택 본체(10)의 하부에는 주택 본체(10)를 받쳐줌과 아울러 지면과의 높이조절을 위해 길이조절가능한 받침부재(70)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재(70)는 주택 본체(10)의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하부 가장자리나 중앙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주택 본체(10)의 하부 선택부위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관(71)과, 높이조절축(72)에 의해 승하강되는 받침관(74) 및 축 회전안내부(7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결합관(7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관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관(74)이 내부로 인입되게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축(72)은 본체 결합관(71)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지되 베어링(73)을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선부(72a)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관(74)과 나선결합되어 있다.
상기 받침관(74)은 상기 높이조절축(72)에 상부 중앙부분이 나선결합되어 있고, 높이조절축(7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비되며, 하부가 지면에 지지된 채로 주택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축 회전안내부(75)는 상기 높이조절축(72)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축으로서, 표면에는 상기 높이조절축(72)의 상부와 기어결합되도록 기어부(75a)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외부로 돌출되어 공구결속부(75b)가 형성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높이조절축(72)과 기어부(75a)의 기어결합구조는 베벨기어로 결합되면서 축 회전안내부의 회전시 이를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도시하였다.
상기 공구결속부(75b)는 렌치나 전동드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관(74)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받침부재(7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주택 본체(10)와 지면과의 간격을 조절해줄 수 있는 것이며, 각 받침부재의 높이조절을 통해 주택 본체가 안착되는 지면의 굴곡유무 등의 지리적인 여건이나 설치위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주택 본체(10)의 수평도를 맞춰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주택 본체 11: 받침프레임
20: 고정관 21: 제1플랜지
22: 제1고정홀 30: 태양광모듈 지지대
31: 제2플랜지 32: 제2고정홀
33: 수평지지대 34: 제3플랜지
35: 제3고정홀 40: 태양광모듈
41: 각도조절홀 45: 각도조절수단
50: 지지부 55: 회전안내 베어링
60: 지지대 고정수단 61: 고정핀 지지브라켓
62: 고정핀 63: 탄성스프링
64: 스프링 지지부재 70: 받침부재
71: 본체 결합관 72: 높이조절축
72a: 나선부 73: 베어링
74:받침관 75: 축 회전안내부
75a: 기어부 75b: 공구결속부

Claims (4)

  1. 지붕의 상면에 받침프레임(11)이 설치된 이동이 가능한 주택 본체(10);
    상기 주택 본체(10)의 받침프레임(11)에 하부가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제1고정홀(22)이 형성된 제1플랜지(21)를 갖는 관체로 된 고정관(20);
    상기 고정관(20)의 제1플랜지(21) 상면에 맞대어지도록 하부에 제2고정홀(32)이 하나 이상 형성된 제2플랜지(31)가 구비되는 태양광모듈 지지대(30);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 각도조절수단(45)에 의해 각도조절되게 설치되는 태양광모듈(40);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하부에 제2플랜지(3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제2플랜지(31)가 제1플랜지(21)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2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내부로 끼워져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부(50);
    상기 제1플랜지(21)에 제2플랜지(31)를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제2플랜지(31)의 회전을 통해 태양광모듈(40)의 설치방향을 조절한 후 상기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시켜 주는 지지대 고정수단(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60)은, 상기 제1플랜지(21)와 제2플랜지(3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고정핀 지지브라켓(61)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을 관통하여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고정핀(62)과, 상기 고정핀 지지브라켓(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62)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고정핀(62)이 제1고정홀(22)과 제2고정홀(32)로 끼워져 억지 끼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63)과, 상기 고정핀(6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탄성스프링(63)을 지지해주는 스프링 지지부재(64)로 구성되어, 원터치방식으로 고정핀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관(20)에 태양광모듈 지지대(30)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50)의 최하부와 고정관(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가 고정관(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전을 도와주도록 회전안내 베어링(55)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모듈(40)의 하면 좌우측에 각각 '∩'형태로 구비된 프레임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홀(41)이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모듈 지지대(30)의 상부에는 수평지지대(33)가 설치되고, 수평지지대(33)의 양단부에는 태양광모듈(40)의 프레임 내측공간에 끼워져 외면이 프레임의 내표면에 접하도록 제3플랜지(34)가 구비되며, 제3플랜지(3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각도조절수단(45)으로 태양광모듈(40)의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제3고정홀(35)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45)은 지지대 고정수단(60)과 동일한 원터치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모듈(40)의 설치각도 조절 후 상기 제3고정홀(35)과 각도조절홀(41)에 끼움결합되면서 태양광모듈(40)을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 본체(10)의 하부에는 주택 본체(10)를 받쳐줌과 아울러 지면과의 높이조절을 위해 길이조절가능한 받침부재(70)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주택 본체(10)의 하부 선택부위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관(71);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내부 중앙에 베어링(73)을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수직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부(72a)가 형성된 높이조절축(72);
    상기 높이조절축(72)에 상부 중앙부분이 나선결합되어 높이조절축(7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고,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받침관(74);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표면에는 상기 높이조절축(72)의 회전을 위해 높이조절축(72)의 상부와 기어결합되는 기어부(75a)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본체 결합관(71)의 외부로 돌출되어 공구결속부(75b)가 형성된 축 회전안내부(7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KR1020190097137A 2019-08-09 2019-08-09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KR102326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137A KR102326841B1 (ko) 2019-08-09 2019-08-09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137A KR102326841B1 (ko) 2019-08-09 2019-08-09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08A KR20210017608A (ko) 2021-02-17
KR102326841B1 true KR102326841B1 (ko) 2021-11-15

Family

ID=7473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137A KR102326841B1 (ko) 2019-08-09 2019-08-09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327B1 (ko) * 2021-02-23 2023-11-14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발전을 이용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닭장
CN117211412B (zh) * 2023-11-01 2024-04-19 鸿盛建设有限公司 一种方便移动的光伏发电储能基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67B1 (ko) * 1999-10-05 2007-08-29 로버트 죤 파네코엑 상호연결된 회전가능 부재를 가진 기다란 부재
KR101105806B1 (ko) * 2009-12-10 2012-01-17 김영주 카메라 삼각대용 우산 거치대
KR101564363B1 (ko) * 2015-06-08 2015-11-06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848A (ko) 2008-12-17 2010-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에너지 자립형 주택
KR101264846B1 (ko) * 2010-08-18 2013-05-14 디에치이앤이 (주) 태양광 트랙커 및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02642B1 (ko) 2016-03-31 2017-12-28 정한룡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주택
KR20190062777A (ko) 2017-11-29 2019-06-07 조민철 에너지 절감형 이동식 주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67B1 (ko) * 1999-10-05 2007-08-29 로버트 죤 파네코엑 상호연결된 회전가능 부재를 가진 기다란 부재
KR101105806B1 (ko) * 2009-12-10 2012-01-17 김영주 카메라 삼각대용 우산 거치대
KR101564363B1 (ko) * 2015-06-08 2015-11-06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608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841B1 (ko)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KR100734217B1 (ko) 수동식 태양전지판 각도조절장치
JP2010539725A (ja) 太陽光発電装置
US10148221B2 (en) Solar energy light collec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JP6304596B2 (ja) 太陽光発電装置
CN209250543U (zh) 一种太阳能光伏支架
KR102265876B1 (ko) 다목적 스마트 태양광발전장치
KR101175662B1 (ko) 태양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09831B1 (ko) 태양전지모듈 각도조절장치
KR101842153B1 (ko) 가변형 태양광 패널 기초 구조체
CN202424582U (zh) 一种太阳能光伏电池
KR100946731B1 (ko) 태양 추적에 의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081497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0840400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124824A (ko) 태양광 추적용 구동장치
WO2016015405A1 (zh) 一种自动调节角度的光伏固定装置
KR200458057Y1 (ko) 태양광 집광 및 제어를 위한 차양을 포함하는 천창 및 창호 시스템
KR101586783B1 (ko) 태양광 발전식 조립형 한식 담장
EP3939158A1 (en) Rocking solar panel sun tracking mounting system
KR20140021206A (ko) 태양광 어레이 각도조절장치
KR101441617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지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090126691A (ko) 주차장시설물
KR20190007950A (ko) 태양광전지판 위치 조절장치
CN203100172U (zh) 水箱及具有该水箱的热泵热水机
KR101689149B1 (ko) 태양전지셀 모듈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