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694B1 -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 Google Patents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694B1
KR102326694B1 KR1020180158889A KR20180158889A KR102326694B1 KR 102326694 B1 KR102326694 B1 KR 102326694B1 KR 1020180158889 A KR1020180158889 A KR 1020180158889A KR 20180158889 A KR20180158889 A KR 20180158889A KR 102326694 B1 KR102326694 B1 KR 10232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group
cognitive ability
mission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1305A (en
Inventor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Priority to KR102018015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94B1/en
Publication of KR2020007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치매 환자에게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환자에게 복수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션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미션 컨텐츠,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동작 데이터 및 상기 환자의 미션 성공 여부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모듈; 상기 환자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로세스 모듈에서 제공하는 미션에 대한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의 인지 능력을 판단하는 인지 능력 판단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상기 가상환경 상에 반영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including a server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to a dementia patient connected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server implements a virtual environment of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the patient with a virtual environment in the virtual environment. a process module for providing at least one mission content for improving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ies; a storage module in which the mission content, the patient's selection data, operation data, and the patient's mission success data are store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patient's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a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operation data for the mission provided by the process module. including,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motion data, and the process module initiates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hat reflects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motion data on the virtual environment. do.

Figure 112018123990119-pat00001
Figure 112018123990119-pat00001

Description

인터렉티브 기술을 적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본 발명은 인터렉티브 기술을 적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to which an interactive technology is applied.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되었으며, 실제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게임 영역 및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넘어 교육, 쇼핑 등 점점 그 적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따라서,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has also developed rapidly and is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recent years, the field of application, such as education and shopping, is gradually expanding beyond the game area and entertainment area. Accordingly, the demand for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contents is also increasing.

한편,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노인을 위한 산업인 실버 산업이 여러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다. 실버 산업은 홈 케어 서비스, 중간보호시설 사업, 양로 및 요양시설, 의료서비스 산업, 케어 하우징의 절차운영사업 등 다양한 방면에서 개발되고 있다.Meanwhile, as an aging society progresses in Korea, the silver industry, an industry for the elderly,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The silver industry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ome care service, intermediate care facility business, elderly and nursing facilities, medical service industry, and care housing procedure operation business.

이 중 치매는 노인이 많이 겪는 뇌질환으로,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Among these, dementia is a brain disease experienced by the elderly, and it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who has been living a normal life suffers from damage to the brain function due to various causes, and the cognitive function is continuously and generally deteriorat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which significantly interferes with daily life. do.

치매와 같은 미션을 치유하기 위한 의료서비스 산업은 치료 차원에서 개발되어 있다.The medical service industry for curing missions such as dementia has been developed in terms of treatment.

본 발명은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환경 상에서 인지 능력 향상 미션을 제공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훈련이 가능한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hat can b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trained by providing a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in a virtual environment for dementia patients to arouse interest.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치매 환자에게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환자에게 복수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션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미션 컨텐츠,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동작 데이터 및 상기 환자의 미션 성공 여부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모듈; 상기 환자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로세스 모듈에서 제공하는 미션에 대한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의 인지 능력을 판단하는 인지 능력 판단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상기 가상환경 상에 반영할 수 있다.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including a server providing virtual reality to a dementia patient connected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server is virtual reality a process module that implements a virtual environment of , and provides at least one mission content for improving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ies to the patient in the virtual environment; a storage module in which the mission content, the patient's selection data, operation data, and the patient's mission success data are store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patient's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a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operation data for the mission provided by the process module. including,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motion data, and the process module reflects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motion data on the virtual environment.

상기 저장 모듈에서 상기 미션 컨텐츠는 기억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선택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e storage module, the mission contents include a memory group that verifies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a concentration group that verifies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a computational power group that verifies computational power cognition, a spatiotemporal group that verifies spatiotemporal cognitive ability, and a cognitive ability to process thinking is classified into a thought processing group, a language improvement group that verifies language recognition ability, and the process module selects at least one mission from each of the memory group, concentration group, computational power group, spatiotemporal group, thought processing group and language group. can be provided to the patient.

상기 저장 모듈에서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은 등급 순으로 난이도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issions stored in each of the memory group, concentration group, computational power group, space-time group, thought processing group, and language group in the storage module may be set in difficulty level in order of grade.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각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바로 아래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위 등급의 미션을 1:1: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이 최상위 등급인 경우는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아래 등급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이 최하위 등급인 경우는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위 등급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 module 1:1: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1:1: 1 is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patient in the next order, and the process module determines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if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is the highest grade in a specific group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A mission of a grade corresponding to and a mission of a grade immediately below are selected in a 2:1 ratio and provided to the patient in the next order, and the process module provides a specific group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In the case where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is the lowest grade, a mission of a grade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and a mission of a grade immediately above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may be selected in a ratio of 2:1 and provided to the patient in the next order.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모듈은 반복되는 차수 각각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반복된 차수로 누적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 향상 또는 감퇴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stores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each repeated order in the storage module, and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accumulated in the repeated order,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in a specific group It can be judged whether there is an improvement or a decrease.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인지 능력이 감퇴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인지 능력이 향상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ocess module increases the amount of time distribu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a specific group with reduced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and increases the amount of time allocated to a specific group with relatively improved cognitive abilit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time distribu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통신 모듈은 각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 향상 또는 감퇴 유무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외부로 전송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use virtual reality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patient's cognitive ability is improved or deteriorated in each group to the outside at a preset period or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상기 서버에는 복수의 환자가 각자의 단말을 통해 접속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환자는 제1 환자 및 제2 환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1 환자 및 제2 환자가 협업 또는 경쟁하는 미션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atients can access the server through their respective terminals, the plurality of patients include a first patient and a second patient, and the process module is a mission in which the first patient and the second patient collaborate or compete.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patients.

상기 제2 환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제2 환자는 자신의 가상환경 내에서 상기 제1 환자의 친구 초대 이벤트를 승낙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에서 상기 제1 환자의 가상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second patient accesses the server through his/her terminal, and when the second patient accepts the friend invitation event of the first patient in his/her virtual environment, the process module performs the virtual environment of the first patien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환경 상에서 인지 능력 향상 미션을 제공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훈련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in a virtual environment for dementia patients, continuous and repetitive training is possible by generating interest.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23은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미션과 이에 따른 환자의 해결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가상환경의 화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in Figure 1,
3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ining a dementia patient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23 are screens of a virtual environment exemplarily illustrating a mission provided by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nd a patient's solution process according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xamples are prepar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may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of those specified.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training a dementia patient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in FIG. 1 .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은 서버(100) 및 사용자 환경(10, 10a, 10b)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system for training a dementia patient using virtual reality includes a server 100 and user environments 10 , 10a , and 10b .

사용자 환경(10)은 단말(200), 출력부(300), 입력부(400) 및 센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environment 10 may include a terminal 200 , an output unit 300 , an input unit 400 , and a sensing unit 500 .

서버(100)는 접속되는 단말(200)과 가상현실 영상을 관리해주는 중앙 시스템으로서, 주요한 기능으로는 네트워크(150)를 통한 사용자 관리를 하며 사용자 접속상태를 관리하며, 사용자의 단말(200)의 기반 데이터를 통해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출력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is a central system that manages the connected terminal 200 and virtual reality image, and its main function is to manage the user through the network 150 and manage the user connection state, and A virtual environment screen of virtual reality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base data and provided to the user's output unit 300 .

또한, 서버(100)는 인지 능력 향상 관련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마켓을 제공하거나, 인지 능력 향상 관련 습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provide a market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or may provid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related habit information.

예컨대, 서버(100)는 사용자(환자)에게 명상, 독서, 차 마시는 습관 등의 인지 능력 향상 생활 습관 정보 또는 차, 음식, 보조 식품 등의 인지 능력 향상 제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provide cognitive ability enhancing lifestyle information such as meditation, reading, and tea drinking habits to the user (patient) or cognitive ability enhancing product information such as tea, food, and supplementary food.

여기서, 인지 능력 향상 생활 습관 정보는 특정 논문 또는 기사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인지 능력 향상 제품 정보는 제품 판매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gnitive ability enhancing lifestyle information may include a link to a specific thesis or article, and the cognitive ability enhancing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 product sales link.

이를 통해, 사용자(환자)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치매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인지 능력 향상, 경각심 또는 인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patient) may be provided with repetitive and continuous dementia-related information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alertness, or endurance.

또한, 운용 관리자는 사용자(환자)에게 제품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해 별도의 광고 수익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roduct link to a user (patient), the operation manager may obtain separate advertising revenue through this.

한편,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가상환경 상에서 한 사용자의 캐릭터에서 보여지는 1인칭 시야에서 자신이 가상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가상환경을 제공하며, 또한, 시점을 변경하여 특정 지점에서 3인칭 시야로 자신의 캐릭터 및 초대된 상대 캐릭터를 함께 볼 수 있는 시점 변경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100 basically provides a virtual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experience the virtual environment in the first-person view shown by the character of a user on the virtual environment, and also changes the viewpoint to the third-person view from a specific poi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changing the viewpoint in which one's own character and the invited opponent's character can be viewed together.

서버(100)는 프로세스 모듈(110), 저장 모듈(120), 통신 모듈(130) 및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include a process module 110 , a storage module 120 , a communication module 130 , and a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

프로세스 모듈(110)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module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or a micro controller unit (MCU).

프로세스 모듈(110)은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가상환경 상에서 사용자(치매 환자)에게 인지 능력 향상 미션(or 미션) 컨텐츠를 제공하며, 통신 모듈(13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가상환경 상에 반영할 수 있다.The process module 110 implements a virtual environment of virtual reality, provides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or mission) content to a user (a dementia patient) in the virtual environment, and the user's selection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motion data may be reflected on the virtual environment.

여기서, 프로세스 모듈(110)에서 제공되는 가상환경 상에서 제공되는 미션은 VR 적응을 위한 미션, 기억력 인지 능력을 검증 및 향상시키기 위한 미션, 집중력 인지 능력을 검증 및 향상시키기 미션, 계산력 인지 능력을 검증 및 향상시키기 미션, 시공간 인지 능력을 검증 및 향상시키기 미션, 사고처리 인지 능력을 검증 및 향상시키기 미션 및 언어 인지 능력을 검증 및 향상시키기 미션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ission provid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ed by the process module 110 is a mission for VR adaptation, a mission to verify and improve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a mission to verify and improve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verify and It may include a mission to improve, a mission to verify and improve spatiotemporal cognitive ability, a mission to verify and improve thought processing cognitive ability, and a mission to verify and improve language cognitive ability.

본 발명에서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는 가상환경 상에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움직임과 객체의 이동 및 배치에 다른 동작 변화를 요구할 수 있고, 3D로 구현된 가상 공간을 1인칭 시야 또는 3인칭 시야로 360도 방향으로 감상하고 체험하는 프로그램 내지 사진 또는 영상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content may require different motion changes in the position, movement, and movement and arrangement of the user character in the virtual environment, and 360 degrees in the virtual space implemented in 3D with a first-person view or a third-person view It may include data of various types of programs or photos or images to be viewed and experienced in a direction.

또한,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는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가상 공간에서 상호 대면하여 협업 또는 경쟁하는 상황에서의 위치, 움직임 및 객체의 이동 및 배치에 다른 동작 변화를 통한 미션 해결 과정을 요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mission content may require a mission solving process through a change of motion in a position, movement, and movement and arrangement of an object in a situ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face to face and collaborate or compete in one virtual space.

한편,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는 사용자의 특정 캐릭터의 시야를 기준으로 촬영될 수 있으며, 재생 시 사용자의 1인칭 시야 또는 3인칭 시야를 기준으로 재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content may be captured based on the user's specific character's field of view, and may be reproduced based on the user's first-person view or third-person view during reproduction.

프로세스 모듈(110)은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에서 사용자(U)에게 목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목록 화면은 친구 목록 및 미션 유형 컨텐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module 110 may provide a list screen to the user U in th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content. Here, the list screen may include a friend list and a mission type content list.

친구 목록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친구를 캐릭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며, 해당 친구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friend list may display at least one stored friend together with a character thumbnail, and may also display online or offline information of the friend.

미션 유형 컨텐츠 목록은 VR 적응을 위한 적응 그룹, 기억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mission type content list includes an adaptation group for VR adaptation, a memory group that verifies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a concentration group that verifies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a computational power group that verifies computational cognition, a spatiotemporal group that verifies spatiotemporal cognition, and thought processing. It can be classified into a thought processing group that verifies cognitive ability, and a language improvement group that verifies language cognitive ability.

목록 화면은 가상환경 내에서 사용자에게 UI(user interface)로 표시될 수 있다.The list screen may be displayed as a user interface (UI) to the user in the virtual environment.

저장 모듈(120)은 사용자(U)의 로그인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친구 데이터 및 이전 차수 미션 수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120 may store user data based on login information of the user U. The user data may include friend data and previous-order mission performance data.

친구 데이터는 친구명, 친구의 대표 캐릭터 이미지, 친구의 로그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iend data may include a friend name, a representative character image of a friend, login information of a friend, and the like.

이전 차수 미션 수행 데이터는 이전 차수의 가상환경 상에서 제공된 미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수행 결과, 성공 여부 등의 정보를 누적되어 포함할 수 있다.The previous-order mission performance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user's performance result and success or the like for the mission content provided in the previous-order virtual environment accumulated and included.

저장 모듈(120)은 프로세스 모듈(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 모듈(120)에는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12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 module 11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input/output data. The storage module 120 may also store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of the data.

여기서, 저장 모듈(120)은 프로세스 모듈(110)을 통해 제공되는 미션 또는 정보, 사용자(환자)의 미션 수행 과정 및 정답 유무를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storage module 120 may store the mission or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process module 110 , the mission performance process of the user (patient), and whether or not an answer is correct.

한편, 저장 모듈(120)에 저장된 미션은 VR 적응을 위한 적응 그룹, 기억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iss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0 is an adaptation group for VR adaptation, a memory group that verifies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a concentration group that verifies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a computational power group that verifies computational power and cognitive ability, and verifies spatiotemporal cognitive ability. It can be classified into a spatiotemporal group that tests cognitive abilities, a thought processing group that tests cognitive abilities, and a language improvement group that tests language cognitive abilities.

여기서, VR 적응을 위한 적응 그룹,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은 등급 순으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missions stored in each of the adaptation group, memory group, concentration group, computational power group, spatiotemporal group, thought processing group, and language group for VR adaptation may be set in difficulty level in order of grade.

예컨대, 각 그룹에 분류된 복수의 미션들은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및 5레벨로 난이도가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missions classified in each group may be set in difficulty level as 1st level, 2nd level, 3rd level, 4th level, and 5th level.

여기서, 레벨이 낮을수록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며, 레벨이 높을수록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일 수 있다.Here,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difficulty, and the higher the level, the higher the difficulty.

또한, 저장 모듈(120)에는 사용자(환자)의 미션 수행 과정 및 정답 유무가 매일 제공되는 미션 차수 별로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orage module 120 , the mission performance process of the user (patien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rrect answers may be accumulated and stored for each mission order provided every day.

한편, 프로세스 모듈(110)은 저장 모듈(120)에 저장된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 모듈(120)에 저장된 미션을 각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가상환경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module 110 is classified into a memory group, a concentration group, a computational power group, a spatiotemporal group, a thought processing group, and a language group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0 and stores at least one miss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0 in each group. can be provid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by selecting .

여기서, 프로세스 모듈(110)은 제1차수(첫날)에 각 그룹의 미션마다 1레벨, 2레벨, 3레벨, 4레벨 및 5레벨의 미션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자(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은 각 등급의 미션에 대한 사용자(환자)의 정답 유무를 기반으로 각 그룹에서의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을 판단하고, 이를 등급별로 분류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 module 110 can provide a user (patient)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missions of the 1st, 2nd, 3rd, 4th and 5th levels for each group's mission in the first order (the first da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may determine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patient) in each group based on whether the user (patient) has a correct answer to the mission of each grade, and classify it by grade.

예컨대, 제1차수(첫날)에 미션을 제공받은 사용자(환자)가 기억력 그룹의 미션에서 1레벨, 2레벨 및 3레벨의 미션을 대략 70% 이상의 정답율을 기록하고 4레벨 및 5레벨의 미션을 대략 40% 이하의 정답율을 기록하면,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은 사용자(환자)의 기억력 인지 능력이 3레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patient) who received a mission on the first order (day 1) recorded a correct answer rate of about 70% or more for the missions of level 1, level 2, and level 3 in the mission of the memory group, and completed the mission of level 4 and 5 When a correct answer rate of about 40% or less is recorded,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may determine that the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patient) is level 3.

이후, 프로세스 모듈(110)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각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바로 아래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위 등급의 미션을 1:1: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가상환경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 module 110 performs a mission of a grade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in each group, a mission of a grade immediately below, and a grade immediately above,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patient)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can be provid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in the next order by selecting the mission of 1:1:1.

예컨대, 프로세스 모듈(110)은 제1차수(첫날)에 기억력 인지 능력이 3레벨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환자)에게 제2차수(다음날)에 기억력 그룹의 미션에서 2레벨의 미션, 3레벨의 미션 및 4레벨의 미션을 1:1:1로 선택하여 가상환경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 module 110 sends the user (patient) whose memory recognition ability is determined to be level 3 in the first order (the first day), the mission of the second level in the mission of the memory group in the second order (the next day), and the third level of the mission. The mission and 4th level mission can be selected in a 1:1:1 ratio and provided in a virtual environment.

한편, 프로세스 모듈(110)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이 최상위 등급인 경우는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아래 등급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출력부(300)에 전달할 수 있고,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이 최하위 등급인 경우는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위 등급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가상환경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is the highest grade in a specific group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the process module 110 performs a mission of a grade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and immediately below. The mission of the grade can be selected 2:1 and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300 in the next order, and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in a specific group is the lowest grade In this case, a mission of a grade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and a mission of a grade immediately above may be selected at a ratio of 2:1 and provid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in the next order.

예컨대, 프로세스 모듈(110)은 제1차수(첫날)에 집중력 인지 능력이 5레벨(최상위)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환자)에게는 제2차수(다음날)에 집중력 그룹의 미션에서 5레벨의 미션 및 4레벨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출력부(300)에 전달할 수 있고, 제1차수(첫날)에 계산력 인지 능력이 1레벨(최하위)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환자)에게는 제2차수(다음날)에 계산력 그룹의 미션에서 1레벨의 미션 및 2레벨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가상환경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 module 110 provides a second order (the next day) to a user (patient) whose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is determined to be 5 levels (highest) in the first order (the first day) in the mission of the concentration group in the second order (the next day). The mission of the 4th level can be selected 2:1 and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300, and the user (patient) whose computational power recognition ability is determined to be 1st level (lowest) in the first order (first day) is given to the second order ( The next day), the 1st level mission and 2nd level mission can be selected 2:1 in the mission of the computing power group and provid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이로써,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되는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별의 변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criminative power of determin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patient)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

이후,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과 프로세스 모듈(110)을 통해 상술한 과정을 매일 반복하며, 각 등급 변화 및 각 등급에서의 사용자(환자)의 정답율은 저장 모듈(120)에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reafter,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every day through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and the process module 110 , and each grade change and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user (patient) in each grade ar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20 . can

한편, 프로세스 모듈(110)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인지 능력이 감퇴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인지 능력이 향상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module 110 increases the amount of time distribu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a specific group whose cognitive ability has declined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and the cognitive ability is relatively low.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time distribu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an improved specific group.

예컨대, 이전 차수에서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을 통해 집중력 인지 능력이 5레벨인 것으로 판단되고 계산력 인지 능력이 1레벨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환자)에게 프로세스 모듈(110)은 다음 차수에서 계산력 그룹의 미션 제공 시간을 상대적으로 늘리고, 집중력 그룹의 미션 제공 시간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 module 110 provides a computational power group in the next order to the user (patient) whose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is determined to be level 5 and that the cognitive ability is determined to be level 1 through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in the previous order.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increase the mission provision time of

이를 통해, 사용자(환자)는 상대적으로 감퇴된 인지 능력에 대한 훈련 시간을 늘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감퇴된 특정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두뇌의 일영역 또는 타영역의 활동량을 활성화시켜, 해당 인지 능력을 담당하는 두뇌의 특정 영역뿐만 아니라 반복 훈련과 가중치 훈련을 통해 특정 영역 외 영역을 활성화시켜, 해당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patient) can increase the training time for the relatively diminished cognitive ability, and activate the amount of activity in one or other areas of the brain to improve the relatively weakened specific cognitive ability, so that the corresponding cognitive abil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by activating not only a specific area of the brain responsible for the brain, but also areas outside of a specific area through repetitive training and weight training.

단말(200)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일 예로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The terminal 200 i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and may be,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한편, 단말(200)은 이동 단말기로 제한되지 않고,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한 임의의 컴퓨터(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200 is not limited to a mobile terminal, and may be any computer (eg, a personal computer)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200)은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유닛,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 및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outside.

입력 유닛은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 장치로서, 일 예로 터치 패드, 키보드, 마우스, 터치 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is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data,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touch pad, a keyboard, a mouse, a touch pen, and the like.

출력 유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일 예로 L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is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data on a scree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LCD.

한편, 입력 유닛이 터치 패드이고 이 터치 패드가 출력 유닛과 결합된다면, 입력 유닛과 출력 유닛은 터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unit is a touch pad and the touch pad is combined with the output unit,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may constitute a touch screen.

저장 유닛은 파일 또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HDD, SSD, RAM, ROM, 캐쉬, 레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data such as a file or a data processing progra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D, an SSD, a RAM, a ROM, a cache, a register, and the like.

여기서, 단말(200)에는 가상현실과 관련된 기반 데이터 및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내에서 수행된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와 수행 결과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Here, information such as base data related to virtual reality and a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performed in a virtual environment of virtual reality and information such as a performance result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200 .

한편, 단말(200)은 출력부 상에 서버(100) 접속 인증을 위한 로그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200 may provide a login screen for authentication of access to the server 100 on the output unit.

출력부(300)는 서버(100)에서 제공받은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화면을 재생하여 착용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300 may reproduce the virtual environment screen of the virtual reality provided from the server 100 and provide it to the wearing user.

출력부(300)는 서버(100)에서 전송된 가상현실의 가상환경 화면의 디지털 신호를 영상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00 may output the digital signal of the virtual environment screen of the virtual reality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00 as an image and an audio.

한편, 출력부(300)는 머리 장착형 장치(HMD; Head-Mounted Device)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을 위한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utput unit 30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head-mounted device (HMD), and may include a display for image output and a headset for audio output.

입력부(400)는 통상의 가상 현실 장치에서 사용되는 컨트롤러로써, 일 예로 게임 패드, HTC Vive Controller, 태티컬햅틱스 컨트롤러(TacticalHaptics controller)등과 같은, 가상 현실에서 표시되는 아바타의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유선 또는 무선(wireless)장치일 수 있다.The input unit 400 is a controller used in a typical virtual reality device. For example, an operation for instructing a specific operation of an avatar displayed in virtual reality, such as a game pad, HTC Vive Controller, and TacticalHaptics controller. It may be a wired or wireless device that generates a signal.

예컨대, 입력부(40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 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지부의 상 측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00)는 전원 공급을 위한 내장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unit 400 may include a gripper gripped by the user's hand, and a hollow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pper. Also, the input unit 400 may include a built-in battery for supplying power.

입력부(400)는 제1 입력부(410)와 제2 입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왼손에 의해 작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제2 입력부(420)는 사용자의 오른손에 의해 작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The input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input unit 410 and a second input unit 420 , and the first input unit 410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by the user's left hand, and the second input unit 420 .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by the user's right hand.

여기서, 작동 신호는 홈 이동 신호, 가상현실 영상 녹화 신호, 목록 화면 호출 신호, 선택 신호 및 포인트 이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signal may include a home movement signal, a virtual reality image recording signal, a list screen call signal, a selection signal, and a point movement signal.

예컨대, 제1 입력부(410)에서 홈 이동 신호, 가상현실 영상 녹화 신호, 목록 화면 호출 신호 또는 선택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제2 입력부(420)에서 포인트 이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입력부(410) 및 제2 입력부(420) 각각에서 입력 받는 신호 정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 home movement signal, a virtual reality image recording signal, a list screen call signal, or a selection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first input unit 410 , and a point movement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input unit 420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first input unit 410 and the second input unit 420 is not limited.

센싱부(500)는 복수의 모션 센서(510, 520)(예를 들어, 카메라) 및 입력부(400)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tion sensors 510 and 520 (eg, cameras) and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mounted on the input unit 400 .

센싱부(500)는 복수의 모션 센서(510, 520) 및 입력부(400)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센싱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00 may detect user sensing data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through a plurality of motion sensors 510 and 520 and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mounted on the input unit 400 .

사용자 센싱 데이터는 사용자의 헤드 트레킹 데이터, 가상환경 내 객체의 이동 데이터 및 사용자의 모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sensing data may include head tracking data of the user, movement data of an object in the virtual environment, and motion data of the user.

헤드 트레킹 데이터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로, 시야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The head tracking data is data related to a user's head movement, and may be used to determine a field of view.

가상환경 내 객체의 이동 데이터는 사용자의 보행에 의한 이동, 또는 입력장치의 조작 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The movement data of the object in the virtual environment may be obtained by movement by a user's gait or manipulation of an input device.

또한, 사용자의 모션 데이터는 카메라, 또는 제스처 센서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motion data may be obtained by a camera or a gesture sensor.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24을 참조하여,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을 치매 환자 훈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training a dementia patient in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24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23은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미션과 이에 따른 환자의 해결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가상환경의 화면이다.3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 method for training a dementia patient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23 are a mission provided in a training system for a dementia patient using virtual reality and a patient solution process accordingly It is a screen of the virtual environment showing as an example.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친구 사용자를 자신의 가상환경에 초대하여 협동을 통한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를 제공받아 이를 해결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 in the method of training a dementia patient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riend user is invited to their virtual environment to receiv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content through cooperation. can be solved

이에 따라, 제1 사용자는 로그인 단계(S11), 미션 선택 단계(S21), 미션 해결 단계(S31), 친구 초대(S41) 및 로그 아웃 단계(S51)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는 로그인 단계(S12), 친구 초대 승낙 단계(S42) 및 로그 아웃 단계(S52)를 통해 협업 또는 경쟁을 통해 인지 능력 향상 미션 컨텐츠를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user can improve cognitive ability mission content by a method including a login step (S11), a mission selection step (S21), a mission solving step (S31), a friend invitation (S41), and a logout step (S51). The second user may proceed with th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mission content through collaboration or competition through the log-in step (S12), the friend invitation acceptance step (S42), and the log-out step (S5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그인 단계(S11, S21)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각자의 단말(200)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1 to 3 , in the log-in steps S11 and S21 ,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may access the server 100 through their respective terminals 200 .

각각의 사용자 단말(200)에서는 출력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ID 입력창과 PASSWORD 입력창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Each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 login screen including an ID input window and a PASSWORD input window to the user through an output unit.

로그인 화면에서는 친구 추가창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제1 사용자가 친구를 초대할 수 있다. (S41, S42)The login screen provides an add friend window, through which the first user can invite a friend. (S41, S42)

이후, 제1 사용자는 로그인 후, 출력부(300)를 장착하여 메인 화면이 표시된 가상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reafter, after logging in, the first user may be provided with a virtual environment in which the main screen is displayed by mounting the output unit 300 .

메인 화면에는 목록 화면을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목록 화면은 친구 목록 및 미션 유형 컨텐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A list screen may be provided on the main screen. Here, the list screen may include a friend list and a mission type content list.

이후,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는 접속한 가상환경 상에서, 다음과 같은 미션들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 이에 대한 동작 및 선택 등의 입력을 통해 제시된 미션을 수행하고 해결할 수 있다. (S31)Thereafter,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following missions in the accessed virtual environment, and may perform and solve the suggested mission through input such as actions and selections for the first or second user. have. (S31)

우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는 VR 적응 능력을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2 to 4 ,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ssion to verify and improve VR adaptive ability.

VR 적응 미션은 동일한 두 가상 공간에서 틀린 객체를 찾는 미션과, 움직이는 객체를 선택하는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R adaptation mission may include a mission to find a wrong object in two identical virtual spaces, a mission to select a moving object, and the like.

여기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된 인지 능력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미션이 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Here, missions of appropriate difficulty may be combin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of the user (patient).

이후,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는 기억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S. 8 to 12 ,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ssion to verify memory and cognitive ability and to improve it.

기억력 인지 미션은 제시된 단어를 기억하고, 이후 이를 선택하는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recognition mission may include a mission of memorizing a suggested word and then selecting it.

여기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된 인지 능력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미션이 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Here, missions of appropriate difficulty may be combin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of the user (patient).

이후,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는 집중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S. 13 to 15 ,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ssion to verify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and to improve it.

집중력 인지 미션은 나열된 복수의 객체 중, 제시된 객체를 선택하거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를 선택하는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recognition mission may include a mission of selecting a presented object fro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objects or selecting the remaining objects excluding them.

여기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된 인지 능력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미션이 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Here, missions of appropriate difficulty may be combin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of the user (patient).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는 계산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ssion for verifying the cognitive ability of computational power and improving it.

계산력 인지 미션은 나열된 복수의 객체의 숫자를 카운트하거나, 화면 상에 제시된 계산식을 계산하는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ational power recognition mission may include a mission of counting the number of a plurality of listed objects or calculating a calculation formula presented on a screen.

여기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된 인지 능력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미션이 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Here, missions of appropriate difficulty may be combin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of the user (patient).

이후, 도 16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는 시공간 인지 능력을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S. 16 to 23 ,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ssion for verifying spatiotemporal cognitive ability and improving it may be provided.

시공간 인지 미션은 가상 환경 상에서 제시된 미로를 탈출하는 미션, 한정된 가상 공간에서 가구를 배치하는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time recognition mission may include a mission of escaping a maze presented in a virtual environment, a mission of arranging furniture in a limited virtual space, and the like.

여기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된 인지 능력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미션이 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Here, missions of appropriate difficulty may be combin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of the user (patient).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는 사고처리 인지 능력을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ssion to verify and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of thinking processing.

사고처리 인지 미션은 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의 처리 능력을 검증하는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cident handling recognition mission may include a mission of verifying the processing ability of the user in the presented situation.

여기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된 인지 능력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미션이 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Here, missions of appropriate difficulty may be combin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of the user (patient).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서는 언어 인지 능력을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키는 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ssion for verifying language recognition ability and improving it.

언어 인지 미션은 제시된 음소, 음절, 단어를 구분하거나 가려진 음절을 확인하는 미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recognition mission may include a mission of distinguishing suggested phonemes, syllables, words, or identifying hidden syllables.

여기서, 사용자(환자)의 인지 능력 판단 모듈(140)에서 판단된 인지 능력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미션이 조합되어 제시될 수 있다.Here, missions of appropriate difficulty may be combin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ed by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140 of the user (patient).

한편, 각각에서 제시되는 미션은 특정 인지 능력을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미션을 통해 둘 이상의 인지 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missions presented in each may not only determine a specific cognitive ability, but also determine two or more cognitive abilities through one mission.

예컨대, 도 8 내지 도 12에 제시된 미션을 통해, 기억력 인지 능력, 집중력 인지 능력 및 언어 인지 능력을 판단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rough the missions shown in FIGS. 8 to 12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d improve memory cognitive ability, concentration cognitive ability, and language recognition ability.

이후,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는 각자 로그 아웃 단계(S51, S52)를 수행함으로써, 가상환경에서 로그 아웃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log out from the virtual environment by performing logout steps S51 and S52 respectively.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but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서버
200: 단말
300: 출력부
400: 입력부
500: 센싱부
100: server
200: terminal
300: output unit
400: input unit
500: sensing unit

Claims (9)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치매 환자에게 가상현실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환경 상에서 상기 환자에게 복수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션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모듈;
상기 미션 컨텐츠,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동작 데이터 및 상기 환자의 미션 성공 여부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모듈;
상기 환자의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프로세스 모듈에서 제공하는 미션에 대한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통해 상기 환자의 인지 능력을 판단하는 인지 능력 판단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환자의 선택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를 상기 가상환경 상에 반영하고,
상기 저장 모듈에서 상기 미션 컨텐츠는
기억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기억력 그룹, 집중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집중력 그룹, 계산력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계산력 그룹, 시공간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사고처리 그룹, 언어 인지 능력을 검증하는 언어 향상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션을 선택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저장 모듈에서 상기 기억력 그룹, 집중력 그룹, 계산력 그룹, 시공간 그룹, 사고처리 그룹 및 언어 그룹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미션은 등급 순으로 난이도가 각각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각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바로 아래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위 등급의 미션을 1:1: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이 최상위 등급인 경우는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아래 등급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이 최하위 등급인 경우는 환자의 인지 능력에 대응되는 등급의 미션 및 바로 위 등급의 미션을 2:1로 선택하여 다음 차수에서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인지 능력 판단 모듈은 반복되는 차수 각각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반복된 차수로 누적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특정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 향상 또는 감퇴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이전 차수에서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한 환자의 인지 능력을 기반으로 인지 능력이 감퇴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인지 능력이 향상된 특정 그룹에 대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서의 시간 분배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에게 명상, 독서, 차 마시는 습관 등의 인지 능력 향상 생활 습관 정보를 제공하고, 인지 능력 향상 생활 습관 정보는 특정 논문 또는 기사 링크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In the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including a server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to dementia patient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server
a process module that implements a virtual environment of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at least one mission content for improving a plurality of cognitive abilities to the patient in the virtual environment;
a storage module in which the mission content, the patient's selection data, operation data, and the patient's mission success data are store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patient's terminal through a network; and
a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motion data for a mission provided by the process module;
inclu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operation data,
The process module reflects the patient's selection data and operation data on the virtual environment,
In the storage module, the mission content is
Memory group that verifies memory cognitive ability, concentration group that verifies concentration and cognitive ability, computational power group that verifies computational cognitive ability, spatiotemporal group that verifies spatiotemporal cognition, thought processing group that verifies thought processing cognitive ability, language cognition ability It is classified into a language enhancement group that validates
The process module selects at least one mission from each of the memory group, concentration group, computational power group, spatiotemporal group, thought processing group and language group and provides it to the patient,
The plurality of missions stored in each of the memory group, concentration group, computational power group, spatiotemporal group, thought processing group and language group in the storage module are each set in difficulty level in order of grade,
The process module 1:1: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1:1: select 1 to provide to said patient in the next order,
The process module executes the mission of the grade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and the mission of the immediately lower grade whe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is the highest grade in a specific group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2:1 selection to provide to said patient in the next order,
The process module performs a mission of a grade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and a mission of the immediately above whe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is the lowest grade in a specific group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2:1 selection to provide to said patient in the next order,
The cognitive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stores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each of the repeated orders in the storage module,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accumulated in the repeated ord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is improved or decreased in a specific group,
The process module increases the amount of time distribu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a specific group with reduced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patient's cognitive ability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previous order, and increases the amount of time allocated to a specific group with relatively improved cognitive ability. to reduce the amount of time distribution within a given time,
The server provides the user with cognitive ability-improving lifestyle information such as meditation, reading, and tea drinking habits, and the cognitive ability-improving lifestyle information is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including a link to a specific thesis or art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각 그룹에서 환자의 인지 능력 향상 또는 감퇴 유무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 또는 외부의 요청에 따라 외부로 전송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patient in each group has improved or decreased in a preset period or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복수의 환자가 각자의 단말을 통해 접속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환자는 제1 환자 및 제2 환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1 환자 및 제2 환자가 협업 또는 경쟁하는 미션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환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atients can access the server through their respective terminals,
wherein the plurality of patients includes a first patient and a second patient,
The process module is
A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hat provides mission content in which the first patient and the second patient collaborate or compete with each other to the plurality of patie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제2 환자는 자신의 가상환경 내에서 상기 제1 환자의 친구 초대 이벤트를 승낙하면, 상기 프로세스 모듈에서 상기 제1 환자의 가상환경을 제공받는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patient accesses the server through his/her terminal,
When the second patient accepts the friend invitation event of the first patient in its own virtual environment, the process module is provided with the virtual environment of the first patient. A system for training a dementia patient using virtual reality.
KR1020180158889A 2018-12-11 2018-12-11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KR102326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89A KR102326694B1 (en) 2018-12-11 2018-12-11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89A KR102326694B1 (en) 2018-12-11 2018-12-11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305A KR20200071305A (en) 2020-06-19
KR102326694B1 true KR102326694B1 (en) 2021-11-16

Family

ID=7113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889A KR102326694B1 (en) 2018-12-11 2018-12-11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6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900B1 (en) * 2020-07-06 2023-04-03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Reinforcement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 dementia
KR102598845B1 (en) * 2020-11-25 2023-11-06 (주)기억산책 Training method for cognitive function
KR102598893B1 (en) * 2020-11-25 2023-11-06 (주)기억산책 Training system for cognitive function
KR102613649B1 (en) * 2020-12-16 2023-12-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decline, early diagnosis service for dementia,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 contents and advertisements
KR102435234B1 (en) * 2021-03-12 2022-08-23 주식회사 지엘 An Educational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KR102645679B1 (en) * 2021-08-04 2024-03-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Social enhancement training method using gamification
CN114129852A (en) * 2021-12-02 2022-03-04 上海市第五人民医院 VR (virtual reality) targeted training system for cognitive impairment
KR102410603B1 (en) * 2021-12-23 2022-06-23 (주) 마인즈에이아이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to the elderl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compu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472418B1 (en) * 2022-08-05 2022-11-30 주식회사 햇빛가득찬 Silver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411A (en) * 2014-12-31 2016-07-12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ugmented Reality System To Cognition Improvement For Prevention And Care Of Dementia
KR20180004568A (en) * 2016-07-04 2018-01-12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shar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KR101946341B1 (en) * 2016-08-24 2019-02-11 주식회사 네오펙트 Method for setting up difficulty of train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305A (en)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694B1 (en)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applying interactive technology
Lindner Better, virtually: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virtual reali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EP3384437B1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methods for management training systems
González-González et al. Serious games for rehabilitation: Gestural interaction in personalized gamified exercises through a recommender system
Ji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an avatar in second life: A typology of the self and an empirical test of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US8984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matching using non-self-identified data
Lisetti et al. Building an on-demand avatar-based health intervention for behavior change
CA31578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face to provide activity recommendations
CN105745662A (en) Persistent user identification
US20150018722A1 (en) Determination,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of user body position information
Martingano et al. Virtual reality expands the toolkit for conducting health psychology research
Garzotto et al. Wearable immersive storytelling for disabled children
Tabbaa et al. A reflection on virtual reality design for psycholog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design need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hristensen et al. Together together: Combining shared and separate activities in designing technology for family life
US20200251211A1 (en) Mixed-Reality Autism Spectrum Disorder Therapy
US20220013031A1 (en) Dementia patient training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US11694566B2 (en) Method for activity-based learning with optimized delivery
CN110446996A (en) A kind of control method, terminal and system
EP4195181A1 (en) Aroma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US20220369973A1 (en) Extended reality system to treat subjects associat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 Souza et al. The effects of physiologically-adaptive virtual environment on user’s sense of presence
Kim et al. Mediating individual affective experience through the emotional photo frame
Teruel et al. Exploiting awareness for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rehabilitation systems
Huang et al. Avatar Type, Self-Congruence, and Presence in Virtual Reality
US20230173220A1 (en) Aroma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