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438B1 - 백 캐리어 및 백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 - Google Patents

백 캐리어 및 백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438B1
KR102326438B1 KR1020207021352A KR20207021352A KR102326438B1 KR 102326438 B1 KR102326438 B1 KR 102326438B1 KR 1020207021352 A KR1020207021352 A KR 1020207021352A KR 20207021352 A KR20207021352 A KR 20207021352A KR 102326438 B1 KR102326438 B1 KR 10232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frame
user
suppor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989A (ko
Inventor
조르단 그르니에
마크 메네트리에
Original Assignee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에스에이알엘 엠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에스에이알엘 엠케이엠 filed Critical 사프란 일렉트로닉스 & 디펜스
Publication of KR2020010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45F2003/144Pack-carrying waist or torso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 부착 프레임(2) 및 하나 이상의 지지체(3a, 3b)를 제공하며, 상기 지지체는 사용시에 돌출 위치에서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레임 상에 배열된다. 팩은 지지체 상에 놓일 수 있게 하며, 프레임은 사용시에 사용자의 등측과 사용자 측면 모두의 사이에서 응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 측면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 캐리어 및 백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
본 발명은 개방 부착 프레임 및 팩이 놓여질 지지체를 포함하는 팩-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팩-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외골격 유형의 벨트 및/또는 기계 장비와 같은 섬유 장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비는 팩-캐리어 상에 놓여있는 팩과 독립적이다.
야외 활동을 위한 현대식 배낭에는 일반적으로 배낭 무게의 일부를 사용자의 엉덩이로 옮기는 역할을 하는 허리 벨트가 포함된다.
이것은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스트레스는 사용자의 등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인체 공학적이지만 이러한 유형의 배낭은 군사 분야에서 거의 사용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병사들은 허리 벨트가 폐쇄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저지하는 직물 장비(재킷, 벨트 등)를 이미 갖추고 있다.
병사들은 종종 가장 무거운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15kg 이상, 때로는 50kg 또는 60kg의 짐을 운반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팩에 의해 가해진 중량을 보다 양호하게 분배하고 군사 상황에서도 그렇게 하는 솔루션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방형 부착 프레임 및 하나 이상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팩-캐리어가 제안되며, 상기 지지체는 돌출 위치에서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레임 상에 배열되되, 사용시, 팩이 지지체 상에 놓일 수 있게 하고, 프레임은, 사용시, 사용자의 등측과 사용자의 양측부 사이의 스트레스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자의 각각의 측부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팩-캐리어를 장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미 착용하고 있는 벨트에 프레임을 부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사용시에, 돌출 위치에서의 지지체는 사용자가 팩-캐리어를 허리 벨트로서 작용하면서 팩을 지지체 상에 놓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군인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고려할 때 단순하고 군사 활동과도 호환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팩-캐리어를 군인이 이미 착용하고 있는 벨트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팩을 고정할 필요가 없다. 응급 상황에서는 팩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은 사용자의 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측면 주위로 연장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등에 대하여 힘이 집중되는 것을 회피하여 사용자 주위로 힘을 더 잘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군사 상황에서 배낭 이외의 장비, 예를 들어 탄도 조끼와 같은 것을 프레임 상에 안착시켜서, 사용자를 훨씬 더 완화시킬 수 있고, 또한 배낭과 관련된 착용자 뒤의 부하를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측면들 중 하나에 위치될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돌출부를 제공한다.
이는 팩-캐리어의 팩 이외의 장비에 대해 훨씬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더 많이 완화시키고 부하를 등쪽으로 위치시키는 균형을 잡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사용시에 팩이 지지체 상에 놓일 수 있게 하는 상기 돌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는 접혀져서, 팩 캐리어를 보다 인체 공학적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팩-캐리어 상에 팩이 놓여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지지체를 접힘-위치에 놓고 팩-캐리어를 방해 받지 않고 계속 착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지지체는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접힘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상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지지체를 프레임에 대해 움직여서 지지체를 접는 것이 매우 간단한다.
선택적으로, 지지체는 상기 돌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팩-캐리어는 지지체를 접힘 위치로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팩-캐리어는 지지체가 프레임 내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지체는 배낭이 지지체에 잘 고정되도록 리브 구조로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지지체는 팩-캐리어의 캐리지에 의해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프레임은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각 프레임 부분은 지지체를 운반하는 캐리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지지체는 프레임에서 바깥쪽으로 오프셋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팩-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를 제공하며, 이 장비는 팩-캐리어 상에 놓일 팩과는 독립적으로 된다.
결과적으로 팩을 고정할 필요가 없다. 응급 상황에서는 팩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장비(벨트, 외골격부 등)는 팩 캐리어를 착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장비(벨트, 외골격부 등)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 착용되어 있고, 팩-캐리어가 이에 부착되어있다.
군사적 경우에서, 팩 캐리어를 사용자가 이미 착용한 총 벨트와 같은 벨트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팩-캐리어는 프레임이 탄약 및 액세서리를 운반하기 위해 벨트의 방탄 내부 밴드와 벨트의 외부 밴드 사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특정의 비 제한적인 실시 양태에 대한 하기 설명을 읽음으로써 현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팩에 의해 가해진 중량을 보다 양호하게 분배하고 군사 상황에서도 그렇게 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다음의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팩-캐리어의 3 차원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팩-캐리어의 일부분의 3 차원 도면이며, 지지체는 접힘 위치에 있다.
도 3은 도 2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캐리지는 도 2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팩-캐리어의 캐리지의 3 차원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팩-캐리어의 3 차원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팩-캐리어의 3 차원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팩-캐리어의 3 차원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각도에서 본 도 7에 도시된 팩 캐리어의 3 차원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팩-캐리어(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로 표시됨)는 팩-캐리어(1)를 사용자가 착용할 장비(미도시)에 부착하기 위한 개방 프레임(2)을 포함한다. 상기 장비는 팩-캐리어(1)(벨트 및/또는 외골격 유형의 기계 장비와 같은 섬유 장비)를 착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거나 이미 존재하는 장비(벨트와 같은 섬유 장비 및/또는 외골격 타입의 기계 장비)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트렁크의 하부가 사용자 신체의 상부를 완화시키도록 힘을 받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트렁크의 하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된다.
프레임(2)은 사용자의 등측 하부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2)은 팩-캐리어(1) 상에 놓인 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사용자의 등의 중간에 집중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레임(2)은 사용자의 등과 사용자의 양쪽 측면 사이의 응력을 균형 있게 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2)은 실질적으로 U 자형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2)은 직선 또는 약간 만곡된 중앙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 중앙 부분은 2 개의 곡선 세그먼트에 의해 대칭적으로 연장되며, 중앙 부분은 사용자의 등 주위에 맞도록 설계되고, 2 개의 곡선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측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보행하는 동안 팔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이 예에서 상기 프레임(2)은 사용자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2)은 실질적으로 180°에 걸쳐 사용자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예에서 프레임(2)은 둘 이상의 별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2 개의 별개의 부분(3a 및 3b)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프레임(2)을 사용자 자신의 신체 구조에 적응시킬 수 있게 하여, 팩-캐리어를 보다 인체 공학적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더 무거운 빌드의 사용자는 두 부분(3a 및 3b)이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프레임(2)을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2)의 형상은 두 부분(3a 및 3b)이 서로 접촉하는 상황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을 2 개의 부분(3a 및 3b)으로 분리하는 것은 사용자가 사용시에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각각의 엉덩이는 단지 하나의 부분과 관련된다.
또한, 이는 팩-캐리어(1) 상에 놓인 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사용자 측부에 더 집중되어, 팩이 두 부분 사이에서 보다 잘 균형 잡힌 영향을 받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응력을 초래한다. .
또한, 이것은 팩의 크기에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로서, 2 개의 부분(3a 및 3b)은 성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 예에서, 두 부분(3a 및 3b)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부분(3a, 3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형 아치형이고 그로부터 장비에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탭이 연장되는 연속 림(4a, 4b)을 포함한다. 주어진 부분의 첨부 파일 탭(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두 부분(3a, 3b)이 서로 접촉하면 다른 부분과 접촉하기 위한 직선 또는 곡선 근위 세그먼트;
- 근위 세그먼트를 연장하며 만곡된 원위 세그먼트.
탭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등의 곡률 주위에 맞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팩-캐리어(1)를 사용자에게 부착하는 것을 단순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팩-캐리어(1)는 탭을 통해 장비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연결된다.
특정 방식으로, 각각의 탭은 각각의 부분(3a, 3b)을 장비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통과시키기 위한 오리피스(예를 들어,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연장)를 포함한다. 대신에 또는 추가로, 상기 오리피스는 팩-캐리어(1)의 무게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탭의 수 및 그 형상, 또한 오리피스의 수 및 그 형상은 팩-캐리어를 운반할 장비에 따라 달라진다.
예로서, 탭들 사이의 간격은 군용 직물 장비의 직물 스트립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부분(3a, 3b)은 고려중인 부분의 근위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제 1 탭(5a, 5b), 및 고려중인 부분의 원위 세그먼트를 공동으로 형성하는 2 개의 다른 탭(6a, 7a 및 6b, 7b)을 포함하며, 다양한 탭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팩-캐리어의 가장 바깥 쪽 탭(7a, 7b)은 중앙 오리피스(8a, 8b)를 포함하고, 중간 탭(6a, 6b)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오리피스(9a, 9b)를 포함하고(그들 중 일부만이 도면에서 도시됨), 바닥 마진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오리피스(10a, 10b)(도면에서 이들 중 일부만이 도시됨)을 포함하며, 중앙 탭(5a, 5b)은 수직 연장 오리피스만을 포함한다(미도시).
이것은 팩-캐리어(1)를 벨트와 같은 군용 직물 장비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팩-캐리어(1)는 그 위에 놓일 팩에 링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팩을 훨씬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벨트에 연결되어, 팩-캐리어(1)는 재킷, 탄도 보호 조끼(BPV), 스마트 재킷(SJ), 실제로 모듈식 탄도 구조체(MBS)등과 같은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직물 장비의 착용에 기여한다.
이는 재킷 유형의 섬유 장비가 비교적 무거운 군사 상황에서 특히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재킷은 당연히 프레임(2)의 림(4a, 4b)에 놓이게 되어 재킷의 무게 중 일부가 사용자의 어깨에서 사용자의 엉덩이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훨씬 더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군사적 상황에서, 팩-캐리어(1)는 프레임(2)이 벨트의 방탄 내부 밴드와 벨트의 외부 밴드 사이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자켓의 다양한 요소(탄약, 전자 요소 등)를 감안할 때, 팩-캐리어(1)는 팩과 재킷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트렁크의 앞뒤로 각각 당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받는 스트레스가 재킷과 팩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팩-캐리어(1)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한 힘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팩-캐리어(1)는 팩 및 재킷에 의해 가해진 힘의 결과가 사용자의 장골 크레스트(iliac crest) 뒤에 약간 있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림(4a, 4b)은 또한 림(4a, 4b)의 근위 단부에서 보다 림(4a, 4b)의 원위 단부에서 더 작게 형성되어 사용자를 너무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팩-캐리어(1)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의 각 부분(3a, 3b)은 자체 지지체(11a, 11b)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 팩-캐리어(1)는 2 개의 별개의 지지체(11a 및 11b)를 갖는다.
예로서, 2 개의 지지체(11a 및 11b)는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2 개의 지지체(11a 및 11b)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2 개의 지지체(11a 및 11b)는 2 개의 지지체(11a 및 11b)가 프레임(2)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는 각각의 캐리지(12a 및 12b)에 의해 프레임(2) 상에 장착된다(캐리지 중 하나는 도 4에서 더 잘 도시되고 있다). 이 예에서, 상기 캐리지는 두 캐리지가 원주 방향으로(즉, 사용자 주위에서, 팩-캐리어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발 축 주위로) 슬라이드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것은 팩-캐리어(1)를 더욱 인체공학적으로 만든다. 또한, 이것은 팩의 크기에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부분(3a, 3b)은 자체 지지체(11a, 11b)가 그 위에 장착된 자체 캐리지(12a, 12b)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3a, 3b)에 대해, 캐리지는 상기 부분의 전체 길이가 아니라 근위 세그먼트상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서 더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부분(3a, 3b)의 중앙 탭(5a, 5b)은 캐리지(12a, 12b)가 상기 레일들 사이에서 슬라이드하도록 상단 및 하단에 레일(18, 19)을 포함한다.
예로서, 2 개의 캐리지(12a 및 12b)는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2 개의 캐리지(12a 및 12b)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캐리지(12a, 12b)는 고려 조건하에서 중앙 탭(5a, 5b)의 레일(18, 19)에 배치된 대응하는 노치(20)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캐리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스냅 패스너 핑거부(16, 17)를 구비한다(그 중 일부만이 도면에 참조된다). 이는 스냅-패스너 핑거부(16, 17)가 상기 중앙 탭(5a, 5b)에서 한 쌍의 노치(20)에 결합 될 때 고려되는 부분(3a, 3b)에 대해 일시적으로 캐리지(12a, 12b)의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또한 캐리지(12a, 12b)가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지지체(3a, 3b)는 지지체(3a, 3b)가 프레임(2)을 따라 연장되는 접힌 위치와 사용시에 팩이 지지체(3a, 3b) 상에 놓일 수 있게 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프레임(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지지체(3a, 3b)는 접힌 위치와 각각의 피봇 핀에 대하여 돌출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연관된 캐리지(12a, 12b)에 피봇 식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각각의 지지체(3a, 3b)는 관련 캐리지(12a, 12b)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
- 접힌 위치에서(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a, 3b)는 프레임(2)을 따라 연장되고;
- 돌출 위치에서(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a, 3b)는 프레임(2)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로 또는 세로로 연장된다.
특히, 지지체(3a, 3b)는 연관된 캐리지(12a, 12b)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 접힌 위치에서, 지지체(3a, 3b)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고;
- 돌출 위치에서, 지지체(3a, 3b)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접힘 위치에서, 지지체(3a, 3b)는 사용자의 등을 따라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연장되고, 돌출 위치에서, 지지체(3a, 3b)는 사용자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팩-캐리어(1)는 각각의 지지체(3a, 3b)와 관련된 스프링(15)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15)은 사용자가 팩을 운반하지 않는 경우, 지지체(3a 및 3b)가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접힌 위치에서 관련 지지체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사용자가 팩-캐리어를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지지체(3a 및 3b)를 모두 낮추고, 팩의 무게 하에서 팩이 제거되지 않는 한 이들은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예로서, 스프링(15)은 지지체(3a 및 3b)의 피봇 핀과 같이 금속으로 제조되며, 이 예에서 스프링은 상기 피봇 핀 상에 배열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지지체(3a, 3b)는 플레이트 형태이다. 예로서, 각 플레이트는 다른 플레이트와 대면하는 측으로부터 먼 측이 프레임(2)으로부터 멀어질 때 넓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리피스(13)(그들 중 일부만이 도면에서 참조됨)가 각각의 지지체(3a, 3b)에 제공된다.
이것은 팩-캐리어(1)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또한 팩-캐리어(1) 사이에 물이 유지되는 것을 피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상기 오리피스(13)는 장방형이고 팩-캐리어(1)로부터 직선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팩-캐리어(1)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인체 공학적이다.
팩-캐리어(1)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팩-캐리어(1)는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설명이 이어진다. 제 1 실시예와 달리, 지지체(103a, 103b)는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지 않다.
팩-캐리어(101)는 팩-캐리어(101)를 사용자가 착용할 장비에 부착하기위한 개방형 부착 프레임(102)을 포함한다. 상기 장비는 팩-캐리어(101)를 착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거나(벨트와 같은 섬유 장비 및/또는 외골격 유형의 기계 장비), 또는 이미 존재하는 장비(벨트와 같은 섬유 장치 및/또는 외골격 유형이 기계 장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트렁크의 하부가 사용자 신체의 상부를 완화시키도록 힘을 받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트렁크의 하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된다.
프레임(102)은 사용자의 허리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102)은 팩-캐리어(101) 상에 놓인 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사용자의 등의 중간에 집중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레임(102)은 사용자의 등과 사용자의 양쪽 측면 사이의 응력을 균형맞추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이 예에서 프레임(102)은 실질적으로 U 자형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102)은 직선형 또는 약간 만곡된 중심 부분으로 구성되며, 중심 부분은 2 개의 곡선 세그먼트에 의해 대칭적으로 연장되며, 중심 부분은 사용자의 등 주위에 맞도록 설계되고, 2 개의 곡선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측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보행하는 동안 아암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예에서 프레임(102)은 사용자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102)은 실질적으로 180°에 걸쳐 사용자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예에서 프레임(102)은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레임(102)은 2 개의 별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프레임(102)을 사용자 자신의 신체 구조에 적응시켜서 팩-캐리어(101)를 보다 인체공학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더 무거운 빌드의 사용자는 두 부분이 닿지 않도록 프레임(102)을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102)의 형상은 두 부분이 서로 접촉하는 상황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2)을 2 개의 부분으로 분리하는 것은 사용시에 사용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각각의 엉덩이는 단지 하나의 부분과 관련된다.
또한, 이는 팩-캐리어(1) 상에 놓인 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사용자의 측면에 더 집중되어, 팩이 두 부분 사이에서 보다 잘 균형 잡힌 영향을 받는 상황하에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응력을 초래한다. 또한 팩 크기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예로서, 프레임(102)의 두 부분은 몰딩에 의해 얻어진다.
이 예에서, 프레임(102)의 두 부분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부분은 장비에 부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착 탭(114)이 연장되는 연속 림을 포함한다. 주어진 부분의 탭은(공통적으로) 다음의 사항을 정의한다 :
- 두 부분이 서로 접촉하면 다른 부분과 접촉하기 위한 직선 또는 곡선 근위 세그먼트; 및
- 근위 세그먼트를 연장하며 만곡된 원위 세그먼트.
탭(114)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등의 곡률 주위에 맞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팩-캐리어(101)를 사용자에게 부착하는 것을 단순화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팩-캐리어(101)는 탭(114)을 통해 장비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에 연결된다.
특정 방식으로, 각각의 탭(114)은 각 부분을 장비에 부착하는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통과시키기 위한 오리피스(예를 들어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연장됨)를 포함한다. 대신에 또는 추가로, 상기 오리피스는 팩-캐리어의 무게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탭(114)의 수 및 그 형상, 및 오리피스의 수 및 형상은 팩-캐리어(101)를 운반할 장비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탭(114) 사이의 간격은 군사 장비의 직물 스트립의 조각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각 부분은 5 개의 탭(114)을 가지며, 다양한 탭(114)은 서로 분리되어있다. 모든 탭(114)은 또한 수직 연장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팩-캐리어(101)를 군용 직물 장비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팩-캐리어(101)는 그 위에 놓일 팩에 링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팩을 훨씬 더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벨트에 연결됨으로써, 팩-캐리어(101)는 재킷, 탄도 보호 조끼(BPV), 스마트 재킷(SJ), 또는 실제 모듈식 탄도 구조(MBS)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섬유 부재의 착용에 기여한다.
이는 재킷 유형의 텍스타일 장비가 비교적 무거운 군사 상황에서 특히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재킷은 당연히 프레임(102)의 림에 놓이게 되어 재킷의 무게 중 일부가 사용자의 어깨에서 사용자의 엉덩이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훨씬 더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사용자의 등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군사적 경우에서, 팩-캐리어(101)는 프레임(102)이 벨트의 방탄 내부 밴드와 벨트의 외부 밴드 사이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자켓의 다양한 요소(탄약, 전자 요소 등)를 감안할 때, 팩-캐리어(101)는 또한 팩과 재킷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트렁크의 후방 및 전방을 향해 각각 당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받는 스트레스가 재킷과 팩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팩-캐리어(1)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한 힘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팩-캐리어(101)는 팩 및 재킷에 의해 가해진 힘의 결과가 사용자의 장골 크레스트 뒤에 약간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팩-캐리어(101)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103a, 103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각 부분은 자체 지지체(103a, 103b)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 팩-캐리어(101)는 2 개의 별개의 지지체(103a 및 103b)를 갖는다.
제 2 실시예에서, 지지체(103a, 103b)는 프레임(102)에 대해 정지되어 있다.
이 예에서, 고려중인 부분의 지지체를 형성하는 것은 프레임(102)의 각 부분의 림이다. 각각의 부분에 대해, 지지체(103a, 103b) 및 탭(114)은 단일 부품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고려중인 부분의 지지체(103a, 103b) 및 탭(114)은 동시에 제조된다.
두 부분은 바람직하게 지지체(103a, 103b)가 프레임(10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팩이 지지체(103a, 103b) 상에 놓일 수 있는 돌출 위치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히, 두 부분은 지지체(103a, 103b)가 상기 돌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지지체(103a, 103b)를 형성하는 각각의 림은 쉼표처럼 형성되어 프레임(102)의 중심에 접근함에 따라 넓어진다.
따라서, 림은 또한 림의 근위 단부보다 림의 원위 단부에서 더 작게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보행시에 사용자를 과도하게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림은 (개방 및/또는 폐쇄된) 오리피스의 형태로 리세스를 제공한다.
이는 팩-캐리어(101)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또한 팩과 팩-캐리어(101)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팩-캐리어(101)는 인체 공학적으로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구체적으로, 팩-캐리어(101)는 단지 2 개의 부분, 즉 프레임(102) 및 지지체(103a, 103b)를 형성하는 2 개의 부분만을 포함한다.
팩-캐리어(101)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팩-캐리어(101)는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대량 생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탭(114)의 형상 및 개수는 팩-캐리어(101)를 부착하고자 하는 장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도 6은 팩-캐리어(201)가 전술한 두 실시예의 형상과 다른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서, 각각의 부분은 4 개의 탭(214)을 갖는다. 또한, 모든 탭(214)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탭 중 하나의 끝은 원형 오리피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전체에 대하여 도면부호 301이 주어진 팩-캐리어는 팩-캐리어(301)를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부착하기 위한 개방형 부착 프레임(302)을 포함한다. 상기 장비는 팩-캐리어(1)(벨트와 같은 섬유 장비 및/또는 외골격 유형의 기계 장비)를 착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거나, 이미 존재하는 장비(벨트와 같은 섬유 장비 및/또는 외골격 유형의 기계 장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비는 트렁크의 하부가 사용자 신체의 상부를 완화시키도록 힘을 받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트렁크의 하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용된다.
프레임(302)은 사용자의 허리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302)은 팩-캐리어(301) 상에 놓인 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사용자의 등 중앙에 집중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레임(302)은 사용자의 등과 사용자의 양쪽 측면 사이의 응력을 균형 맞추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302)은 실질적으로 U 자형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302)은 직선 또는 약간 만곡된 중앙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 중앙 부분은 2 개의 곡선 세그먼트에 의해 대칭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앙 부분은 사용자의 등 주위에 맞도록 설계되고 2 개의 곡선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측면에 맞춰지도록 설계된다.
보행시에 아암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302)은 사용자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302)은 실질적으로 180°에 걸쳐 사용자 주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302)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레임(302)은 2 개의 별개의 부분(303a, 303b)으로 구성된다.
예로서, 2 개의 부분(303a, 303b)은 몰딩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두 부분(303a, 303b)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부분(303a, 303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호형이고 장비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착 탭이 연장되는 연속 림(304a, 304b)을 포함한다.
주어진 부분의 부착 탭은 (공동으로) 다음을 정의한다.
- 사용자의 등을 실질적으로 배열하기위한 직선형 또는 곡선형 근위 세그먼트;
- 사용자 측면 중 하나 위에 실질적으로 배열하기 위한 곡선의 원위 세그먼트.
탭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골반의 곡률 주위에 맞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팩-캐리어(301)를 사용자에게 부착하는 것을 단순화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팩-캐리어(301)는 탭을 통해 장비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연결된다.
특히, 각 탭은 각 부분(303a, 303b)을 장비에 부착하는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스트랩을 통과시키기 위한 오리피스(예를 들어,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연장)를 포함한다. 대신에 또는 추가로, 상기 오리피스는 팩-캐리어(301)의 무게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탭의 수 및 그 형상, 또는 오리피스의 수 및 그 형상은 팩-캐리어를 운반할 장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로서, 탭들 사이의 간격은 군용 직물 장비의 직물 스트립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부분(303a, 303b)은 고려중인 부분의 근위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제 1 탭(305a, 305b) 및 고려중인 부분의 원위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다른 탭(306a, 306b)을 포함하고, 다양한 탭은 서로 분리된다. 팩-캐리어의 최외측 탭(306a, 306b)은 2 개의 수평 연장 오리피스(310a, 310b) 사이에서 수직 연장 오리피스(309a, 309b)(도면에서 일부가 도시됨)를 포함하고, 중앙 탭(305a, 305b)은 2 개의 수평 연장 오리피스(310a, 310b) 사이의 수직 연장 오리피스(309a, 309b)(도면에서 일부가 도시됨)를 포함한다.
이것은 팩-캐리어(301)를 벨트와 같은 군용 직물 장비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팩-캐리어(301)는 그 위에 놓일 팩에 링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팩을 훨씬 더 쉽게 제거 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벨트에 연결됨으로써, 팩-캐리어(301)는 재킷, 탄도 보호 조끼(BPV), 스마트 재킷(SJ), 또는 실제 모듈식 탄도 구조(MBS) 등과 같은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섬유 요소의 착용에 기여한다.
이는 재킷 유형의 섬유 장비가 비교적 무거운 군사 상황에서 특히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재킷은 자연스럽게 프레임(302)의 림(304a, 304b)에 놓이게 되어, 재킷의 무게 중 일부가 사용자의 어깨에서 사용자의 엉덩이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훨씬 더 제한하고 배낭의 힘은 신체 뒤에 위치한 지지체에서 균형을 이루어 사용자에게 하중이 안정되고 편안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군사적 상황에서, 팩-캐리어(301)는 프레임(302)이 벨트의 방탄 내부 밴드와 벨트의 외부 밴드 사이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팩-캐리어(301)를 정확하게 배열하기 위해 부착 탭이 두 밴드 사이에서 슬라이딩하여 움직인다.
바람직하게는, 자켓의 다양한 요소(탄약, 전자 요소 등)를 감안할 때, 팩-캐리어(301)는 또한 팩과 재킷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트렁크의 후면 및 정면을 향해 각각 당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받는 스트레스가 재킷과 팩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방식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팩-캐리어(301)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대한 힘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팩-캐리어(301)는 팩 및 재킷에 의해 가해진 힘의 결과가 사용자의 장골 크레스트 뒤에 약간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02)의 림(304a, 304b) 각각은 그 원위 단부(즉,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서 확장된다. 이 확장은 프레임의 양쪽에 돌출부(307a, 307b)를 형성한다.
이는 팩 캐리어(301)에 의해 재킷과 같은 추가 장비에 제공되는 지지체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각각의 돌출부(307a, 307b)는 평면이다. 이 예에서, 각각의 돌출부(307a, 307b)는 일반적으로 타원형이다.
팩-캐리어(301)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팩-캐리어(301)는 단일 지지체(311)를 갖는다.
예로서, 지지체(311)는 몰딩으로 성형된다. 이 예에서, 지지체(311)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지지체(311)는 캐리지(312)에 의해 프레임(302)에 장착된다.
특히, 프레임(302)의 각 부분(303a, 303b)은 캐리지(3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예에서, 캐리지(312)는 2개의 부분(303a 및 303b)이 원주 방향으로(즉, 사용자 주위에서, 팩-캐리어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발 축에 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프레임(302)을 사용자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출 수 있게 하여 팩-캐리어를 보다 인체 공학적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두 부분(303a, 303b)이 서로 닿지 않도록 또는 반대로 두 부분(303a, 303b)이 서로 닿도록 프레임(302)을 배열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2 개의 부분(303a 및 303b)은 캐리지(312)에 의해 서로에 대해 그리고 캐리지(312)에 대해 자유롭게 미끄러지더라도 캐리지(31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팩-캐리어(301)가 오퍼레이터 상에 이미 제 위치에 있는 벨트에 장착되는 군사적 상황에서, 2 개의 부분(303a 및 303b)이 캐리지(312)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능력은 오퍼레이터가 팩-캐리어(301)를 벨트 크기, 특히 특정 군납 업체가 제공하는 3 가지 표준 벨트 크기(1 ~ 3) 중 하나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동일한 팩-캐리어(301)는 다양한 신체 및 크기의 사람들 사이에서 유사한 유익한 인체 공학적 효과를 보존하면서도 상이한 신체의 상이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팩-캐리어(301) 상에 놓인 팩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사용자 측에 더 집중되어, 팩이 두 부분 사이에서 보다 균형이 잘 잡힌 영향을 받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응력을 초래한다.
따라서, 각각의 부분(303a, 303b)은 캐리지(312)상에서 독립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캐리지(312)는 각각의 부분(303a, 303b)이 상기 레일(317 및 318) 사이에서 캐리지(312)에 대해 슬라이딩 하도록 하기 위해 상단부에 제 1 레일(317) 및 하단에 제 2 레일(318)을 갖는다. 상부 레일(317)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은 림(304a 및 304b)이고, 하부 레일(318)에서 슬라이딩하는 각각의 부분(303a, 303b)에 부착된 설형부이다.
예로서, 캐리지(312)는 몰딩되어 성형된다. 이 예에서, 캐리지(312)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캐리지(312)는 그 하단부 근처에 2 개의 슬롯(319a, 319b)을 갖고, 각각의 페그(320a, 32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이들 각각은 각 부분(303a, 303b)에 부착된 각각의 설형부에 연결된다. 각각의 슬롯(319a, 319b)은 양단에서 폐쇄되기 때문에, 전술한 슬롯-페그 조합은 캐리지(312)에 대한 각 부분(303a, 303b)의 슬라이딩을 제한하고, 특히 두 부분(303a 및 303b) 중 어느 것도 캐리지(312)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이 예에서 2 개의 부분(303a 및 303b)은 독립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캐리지(31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제 4 실시예에서, 팩-캐리어(301)는 단일 조립체를 형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그(320a)(320b)에 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팩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팩 캐리어를 보다 쉽게 운반하고 더 컴팩트하게 하도록 조립체를 3 개의 별개의 부품을 형성하도록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지체(303)는 지지체(303)가 프레임(302)을 따라 연장되는 접힌 위치와 팩이 사용시에 지지체(303) 상에 놓일 수 있게 하는 돌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프레임(30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예에서, 지지체(303)는 접힌 위치와 피봇 축(Z)에 대한 돌출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연관된 캐리지(312)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피봇 축은 캐리지의 구조보다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에 있는 반면에, 제 4 실시예에서, 지지체(303)는 피봇 축(Z)이 림(304a, 304b)으로부터 프레임(302)의 외측으로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캐리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즉, 지지체는 시상면에서, 즉 작업자가 프로파일에서 볼 때 L 자형으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체(303)는 프레임(302)으로부터 외측으로, 즉 팩-캐리어(301)의 외측으로 오프셋 된다.
이러한 구성은 방탄 보호 조끼가 특히 탄도 플레이트의 존재 하에 상당한 두께를 갖기 때문에, 지지체가 접힌 위치에 있는 군사적 상황에서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L- 형상은 지지체가 조끼의 두께를 넘어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며, 지지체와 직접 수직 정렬된 캐리지 상에 회전 중심을 갖는 직선 지지체는 조기의 두께 너머로 외부로 나갈 수 없으며, 접힌 위치에서 절반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지지체(303)는 관련 캐리지(312)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
- 접힌 위치에서, 지지체(303)는 프레임(302)을 따라 연장되며;
- 돌출 위치에서, 지지체(303)는 프레임(302)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 또는 수직으로 연장된다.
특히, 지지체(303)는 관련 캐리지(312)에 피봇 식으로 장착되어:
- 접힌 위치에서, 지지체(303)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고;
- 돌출 위치에서, 지지체(303)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접힌 위치에서, 지지체(303)는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사용자의 등을 따라 연장되고, 돌출 위치에서, 지지체(303)는 사용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팩-캐리어(301)는 지지체(303)와 관련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지지체(303)가 접힌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되어, 사용자가 팩을 운반하지 않는 경우 지지체(303)가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열된다. 사용자가 팩-캐리어를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지지체(303)를 낮추고 팩의 무게 하에서 팩이 제거되지 않는 한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예로서, 스프링은 지지체(303)의 피봇 핀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스프링은 상기 피봇 축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팩-캐리어(301)는 지지체(303)가 프레임(302)의 내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팩을 운반하지 않는 경우 지지체(303)가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 예에서, 지지체(303)는 판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303)는 적어도 팩과 접촉하게 될 표면에서 리브 가공되어 있다.
이는 지지체(303)상의 팩의 그립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팩-캐리어(301)는 인체공학적으로 구성이 간단하다.
팩-캐리어(301)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팩-캐리어(301)는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당연히,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변형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고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팩-캐리어는 군사적 상황 및 민간 상황에서 동일하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팩 캐리어는 작업자가 팩의 무게를 덜기 위해 똑바로 서있는 동안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지만, 프레임은 다른 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은 단일 부분으로서 동일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처음 3 개의 실시예들에서, 부분들은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지만, 부분들은 예를 들어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택적으로 일시적인 방식으로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팩-캐리어는 2 개의 프레임 부분이 일시적으로 함께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처음 3개의 실시예에서, 팩-캐리어 위에 2 개의 지지 부가 있지만, 팩-캐리어는 다른 수의 지지체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지지체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팩-캐리어는 본 출원에서 설명된 몇몇 실시예들을 조합함으로써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실시예의 지지체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의 돌출부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지지체는 설명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팩-캐리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는 프레임에서 두 위치 사이에서 직접 이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설명된 캐리지와 같은 추가 부품이 필요 없음). 지지체는 예를 들어 설명된 것과 다른 이동, 예를 들어 병진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두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각각의 지지체는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수의 핀 및/또는 다른 수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가 프레임 상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지지체는 프레임에 움직이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지지체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독립적인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접착제,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체는 단일 플레이트로 만들어 지지만, 다른 방식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는 돌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지지체가 더 콤팩트하도록 서로(서로 망원경처럼 움직이도록) 중첩되는 복수의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요소가 고정 방식으로 프레임에 고정되고(또는 변형이 프레임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됨) 다른 요소가 서로 중첩되는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가 캐리지를 통해 프레임에 장착될 때, 상기 캐리지는 설명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지는 축 방향 병진 이동(즉, 위/아래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 및/또는 방사상 병진 이동(즉, 사용자를 향하여 또는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거나, 즉,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동),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병진 이동(즉, 사용자의 트렁크 주위에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축방향 병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한 캐리지에서, 지지체는 팩과 접촉하기 위해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일 수 있고, 프레임 자체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위치를 변경할 필요 없이도 그렇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트렁크의 몸통 높이가 사람마다 상당히 다르지만, 팩의 터미널 부분의 길이가 주어진 팩 모델에 대해 일정한 특정 상황, 특히 군사적인 상황에서 특히 유리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캐리지는 사용자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부품은 몰딩으로 제조되지만, 상기 부품은 예를 들어 3차원 인쇄에 의해 다르게 성형될 수 있다.
팩-캐리어는 예를 들어 스트랩, 예를 들어 군대에서 잘 알려진 MOLLE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의도된 장비에 부착될 수 있다.
2: 프레임 3a, 3b, 303: 지지체
301: 팩-캐리어 312: 캐리지

Claims (14)

  1. 개방형 부착 프레임(2:102; 202; 302)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a, 3b; 103a, 103b; 203a, 203b; 303)를 포함하는 팩-캐리어로서, 상기 지지체는 사용시에 팩이 지지체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돌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측면 및 사용자의 등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균형맞추도록 사용자의 각 측면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사용자의 등 주위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측면 중 하나에 위치되는 프레임(302)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사용시에 사용자의 트렁크의 일측 또는 사용자의 상체에 배치되며 배낭보다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낭의 뒤에 위치될 하중에 대하여 지지체를 균형 맞추는 돌출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a, 3b, 303)는 사용시에 팩이 지지체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돌출 위치와 접혀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a, 3b; 303)는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접혀진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2; 302) 상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a, 3b; 303)는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접혀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6. 제 3 항에 있어서,
    접혀진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3a, 3b; 303)를 유지하도록 되는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캐리어(301)는 상기 지지체(303)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03)는 리브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a, 3b; 303)는 상기 팩-캐리어의 캐리지(12a, 12b; 312)에 의해 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 102; 202; 302)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레임부는 상기 지지체(303)를 운반하는 캐리지(312)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03)는 상기 프레임(302)으로부터 외측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13. 제 1 항에 따른 팩-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로서, 상기 장비는 팩-캐리어 상에 안착되도록 된 팩에 대하여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
  14. 개방형 부착 프레임(2:102; 202; 302)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a, 3b; 103a, 103b; 203a, 203b; 303)를 포함하는 팩-캐리어로서, 상기 지지체는 사용시에 팩이 지지체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돌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측면 및 사용자의 등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균형맞추도록 사용자의 각 측면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는 둥근 아치형이고 그로부터 상기 팩-캐리어를 장비에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탭이 연장되는 연속 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캐리어.
KR1020207021352A 2018-01-23 2019-01-22 백 캐리어 및 백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 KR102326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0534A FR3076985B1 (fr) 2018-01-23 2018-01-23 Porte-sac et equipement comprenant un tel porte-sac
FR1850534 2018-01-23
PCT/EP2019/051420 WO2019145268A1 (fr) 2018-01-23 2019-01-22 Porte-sac et equipement comprenant un tel porte-sa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989A KR20200107989A (ko) 2020-09-16
KR102326438B1 true KR102326438B1 (ko) 2021-11-15

Family

ID=6259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352A KR102326438B1 (ko) 2018-01-23 2019-01-22 백 캐리어 및 백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00337446A1 (ko)
EP (1) EP3743672B1 (ko)
JP (1) JP6836021B1 (ko)
KR (1) KR102326438B1 (ko)
CN (1) CN111868469A (ko)
AU (1) AU2019212108B2 (ko)
CA (1) CA3088545C (ko)
FR (1) FR3076985B1 (ko)
IL (1) IL275847B (ko)
WO (1) WO2019145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1418S1 (en) * 2020-02-12 2023-10-17 Blue Force Gear, Inc. Belt
JP7130820B1 (ja) 2021-06-28 2022-09-05 有か里 小野田 腰荷物支え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9896A1 (en) 2001-07-30 2003-01-30 Thomas Karpati Belt mounted holder for spackle items
US20070017945A1 (en) * 2005-07-25 2007-01-25 Willis John A Lifting and carrying aid
US20140001221A1 (en) * 2011-03-17 2014-01-02 Greg Francis McDonald Object carrying device
US20140231476A1 (en) 2013-02-21 2014-08-21 Marcus Kevin Davis Hip mounted carrying aid
WO2015119820A1 (en) 2014-02-06 2015-08-13 Zenoff Products, Inc. Wearable support bel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5205A (en) * 1957-10-09 1960-02-16 Roger A Hunt Adjustable pack frame
US4634032A (en) * 1982-06-04 1987-01-06 Laflame Thomas R Carrier for a percussion instrument or other object
US4790461A (en) * 1988-01-04 1988-12-13 Stover Ernest L Implement holder
USD363598S (en) * 1993-06-01 1995-10-31 Walters Robert M Child carrier
US6053383A (en) * 1997-05-14 2000-04-25 Stock-Eze Corporation Lifting aid apparatus
USD468901S1 (en) * 2000-03-27 2003-01-21 Jay Thornber Hip seat baby carrier
US20030024959A1 (en) * 2000-11-27 2003-02-06 Hiphook Inc. Paint can holder
US20040108350A1 (en) * 2002-11-22 2004-06-10 Bruce Warren External Frame Backpack
US7350682B2 (en) * 2003-06-30 2008-04-01 Meyer Design Group, Inc. Rigid clip support member for packs, bags and other articles
US6789710B1 (en) * 2003-07-03 2004-09-14 Arthur Szatkowski Body carried baby seat
US20050161479A1 (en) * 2004-01-26 2005-07-28 Adam Licsko Personal load bearing device
JP2005279222A (ja) * 2004-03-29 2005-10-13 Nobuhiko Sato 荷物運搬補助具
CN201061332Y (zh) * 2007-07-10 2008-05-21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所 背架
US20090179055A1 (en) * 2008-01-15 2009-07-16 Lorico Estrellado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support for a parcel being carried manually
US8025193B1 (en) * 2008-06-05 2011-09-27 Globe Industries, Inc. Rifle holder device
US20090321481A1 (en) * 2008-06-28 2009-12-31 Frank Charles Licausi Backpack load carrying system
JP2011229698A (ja) * 2010-04-28 2011-11-17 Tomairegifa:Kk 物体の運搬補助具
AU2011326889B2 (en) * 2010-11-11 2016-07-21 Campbell And Scott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earable supports
US10517375B2 (en) * 2013-01-31 2019-12-31 Thomas Hoppa Bulk item backpack
US9375073B2 (en) * 2013-05-28 2016-06-28 John Traylor Orr, Jr. Tablet support accessory
KR101494189B1 (ko) * 2014-02-19 2015-02-17 이서원 배낭 프레임 장치
FR3020929B1 (fr) * 2014-05-16 2018-03-16 Franck Purgues Dispositif pour faciliter le transport dorsal d'un sac.
FR3046038B1 (fr) * 2015-12-24 2017-12-22 Sagem Defense Securite Module de support de sac a dos pour une structure modulaire d'exosquelet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9896A1 (en) 2001-07-30 2003-01-30 Thomas Karpati Belt mounted holder for spackle items
US20070017945A1 (en) * 2005-07-25 2007-01-25 Willis John A Lifting and carrying aid
US20140001221A1 (en) * 2011-03-17 2014-01-02 Greg Francis McDonald Object carrying device
US20140231476A1 (en) 2013-02-21 2014-08-21 Marcus Kevin Davis Hip mounted carrying aid
WO2015119820A1 (en) 2014-02-06 2015-08-13 Zenoff Products, Inc. Wearable support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12108B2 (en) 2021-05-06
EP3743672A1 (fr) 2020-12-02
EP3743672B1 (fr) 2023-11-29
US20200337446A1 (en) 2020-10-29
FR3076985A1 (fr) 2019-07-26
IL275847A (en) 2020-08-31
IL275847B (en) 2022-03-01
CN111868469A (zh) 2020-10-30
FR3076985B1 (fr) 2022-06-24
JP2021509346A (ja) 2021-03-25
WO2019145268A1 (fr) 2019-08-01
KR20200107989A (ko) 2020-09-16
JP6836021B1 (ja) 2021-02-24
AU2019212108A1 (en) 2020-08-20
CA3088545A1 (fr) 2019-08-01
CA3088545C (fr)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1775B1 (en) Sack pack sternum clip
US8997262B2 (en) Personal load-carrying system
US6793112B2 (en) Shoulder carrier with laterally moveable shoulder strap
KR102326438B1 (ko) 백 캐리어 및 백 캐리어를 포함하는 장비
US9089188B2 (en) Strap assembly for carrying a bag
US9826816B1 (en) Modular wearable object
US9999290B2 (en) Personal load-carrying system
US20050035170A1 (en) Backpack having framesheet assembly
EP3338593B1 (en) Backpack
US20110231976A1 (en) Weight Distribution and Support Device and System for an Armor Vest
US8992452B2 (en) Load carrier frame and system
US2967649A (en) Pack harness
US20090179057A1 (en) Posture supporting backpack
US10617194B2 (en) Load adjustment system for backpacks
JPH08322975A (ja) ゴルフバッグ
EP3216372B1 (en) Baby carrier
US10126097B2 (en) Purse mount device
US20030160080A1 (en) Shoulder strap for a backpack
KR20220166596A (ko) 스나이퍼 하네스
TWI611778B (zh) 組合式袋體結構
US20120312846A1 (en) Underarm pouch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KR200256221Y1 (ko) 멜빵과 탈착이 용이한 주머니 세트
EP2801282A1 (en) Carrying system
JP2018000237A (ja) リュックサックベルト構造
WO2001047391A1 (en) Knapsack equipped with internal hold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