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155B1 - Plug Connector - Google Patents

Plug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155B1
KR102326155B1 KR1020190163811A KR20190163811A KR102326155B1 KR 102326155 B1 KR102326155 B1 KR 102326155B1 KR 1020190163811 A KR1020190163811 A KR 1020190163811A KR 20190163811 A KR20190163811 A KR 20190163811A KR 102326155 B1 KR102326155 B1 KR 10232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ortion
wall
extens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3222A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155B1/en
Priority to JP2020201514A priority patent/JP2021093360A/en
Priority to CN202022960144.5U priority patent/CN214176261U/en
Publication of KR2021007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3 벽부와, 상기 제3 벽부와 대향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벽부에 형성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벽부에 형성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4 벽부에 형성되는 제3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의 일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2 접촉부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부의 타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3 접촉부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안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ed part comprising: a mold part including a base part, a first wall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 third wall part crossing the first wall part, and a fourth wall part facing the third wall part; and a first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first wall portion,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third wall portion, a third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fourth wall portion, and a first contact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 first plug terminal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s an overlapping region overlapp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on an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tact part proposes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n overlapping area overlapping the third contact part on the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Plug Connector {Plug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로 전원 단자와 전원 단자에 대한 몰드부(하우징)의 강도를 보강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connecto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lug connector including a power terminal, in which the strength of a power terminal and a mold part (housing) with respect to the power terminal is reinforced.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In general, when substrates are interconnected, two connectors connected to each substrate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are used, and the two connecto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one of the two connectors is a plug connector, and the other is a socket connector.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일체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Such a plug connector and a socket connector may be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terminal on a mold part, and the plug connector and the socket connector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miniaturization and reduction in size of connectors are also required.

그러나, 커넥터가 소형화 및 저배화됨에 따라, 커넥터의 몰드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the connector is miniaturized and reduced in h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ld part of the connector is easily damaged.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7677호(공고일 2019.11.22.)가 공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서는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 에서는 종래 기술의 플러그 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a)는 플러그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플러그 단자의 상면도이다.As a related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47677 (published on November 22, 2019) has been published. The prior art discloses a plug connector, and FIG. 1 discloses a prior art plug terminal. Referring to Fig. 1,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terminal, and Fig. 1 (b) is a top view of the plug terminal.

제1 접촉부(1)는 제2 접촉부(5)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제3 접촉부(6)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접촉부(1)와 제2 접촉부(2)를 연결하는 연결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공개하고 있다.The first contact 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5 , and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third contact 6 , and the plug connector connects the first contact 1 and the second contact 2 . Disclosed is a plug connector including a power terminal tha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7 for connecting.

그러나 선행문헌에서는 제1 접촉부(1)가 제2 접촉부(5)와 제3 접촉부(6) 사이에 위치하여 상대 커넥터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이 협소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literature, the first contact portion 1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5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6, so that the contact area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is narrow, and when combined with the mating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be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7677호(공고일 2019.11.22.)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47677 (published on November 22, 20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몰드부와 단자가 일체 성형되는 형태(Insert Molding)의 플러그 커넥터에서 전원 단자의 접촉부의 접촉 부분 중 종방향의 폭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접촉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켜 수직 방향에 위치한 접촉 부분의 영역이 중첩되도록 다른 접촉부를 형성하여, 플러그 단자의 강도를 보강하며,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되는 힘으로부터 플러그 단자와 몰드부(하우징)가 상호 강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vertical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power terminal in a plug connector of a type (insert molding) in which a mold portion and a terminal are integrally molde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overall contact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vertical The other contact portions are formed so that the regions of the contact portions located in the direction overlap, so that the strength of the plug terminal is reinforced, and the plug terminal and the mold portion (housing) are strongly supported from the exter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aim to

또한,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소켓 커넥터)의 결합시에 플러그 단자를 통해 가이딩 역할을 하면서, 반복적인 삽입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wear and tear even by repeated insertion and separation while serving as a guide through a plug terminal when mating a mating connector (socket connecto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3 벽부와, 상기 제3 벽부와 대향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벽부에 형성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벽부에 형성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4 벽부에 형성되는 제3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의 일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2 접촉부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부의 타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3 접촉부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connector includes a base, a first wall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 third wall intersecting the first wall, and a third opposite to the third wall. 4 a mold part including a wall part; and a first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first wall portion,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third wall portion, a third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fourth wall portion, and a first contact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 first plug terminal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s an overlapping region overlapp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on an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may form an overlapping region overlapping the third contact portion on an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촉부의 길이는 제2 접촉부와 제3 접촉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ng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제1 벽부의 상면을 감싸는 제1 벤딩부와, 상기 제1 벤딩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벽부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벤딩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1 벽부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벽부 외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벽부의 외측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실장부를 포함하며;More preferably, the first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bending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A first plate portion formed, a first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wer surface direction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late por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bent and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상기 제2 접촉부는, 제2 판부와 제2 벤딩부와 제3 연장부와 제1 굴곡부 및 제2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판부는 상기 제3 벽부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며;the second contact part includes a second plate part, a second bending part, a third extension part, a first bending part, and a second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plate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third wall part;

상기 제3 접촉부는, 제3 판부와 제3 벤딩부와 제4 연장부와 제2 굴곡부 및 제3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판부는 상기 제4 벽부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contact part includes a third plate part, a third bending part, a fourth extension part, a second bending part, and a third mounting part, and the third plate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wall part. d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접촉부의 제1 연장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제2 접촉부의 제2 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접촉부의 제1 연장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제3 접촉부의 제3 판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connection par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of the first contact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part of the second contact par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plate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접촉부와 연결된 제1 방향(X)의 길이 보다 제2 접촉부와 연결된 제2 방향(Y)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접촉부와 연결된 제1 방향(X)의 길이 보다 제3 접촉부와 연결된 제2 방향(Y)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an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X).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Y) connected to the third contact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접촉부의 제1 연장부와 제1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3 접촉부의 제3 판부와 제2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3 접촉부의 제2 굴곡부와 제3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through the first curve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plate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through a second curved connec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third bent connection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굴곡부는, 제2 연결부와 제3 접촉부가 제3 방향(Z)에서 중첩되며; 상기 제2 굴곡부는 제2 연결부와 제3 접촉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굴곡 연장되어 제3 실장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in the second bent por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overlap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second bent portion is bent and extended at a point wher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are connected,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결부는 제3 접촉부의 제2 굴곡부와 연결되는 제3 굴곡 연결부가 형성된 제2 연결부의 하면의 길이보다 제3 접촉부의 제3 판부와 연결되는 제2 굴곡 연결부가 형성된 제2 연결부의 상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curve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plate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rath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n which the third curve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longer.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몰드부와 단자가 일체 성형되는 형태(Insert Molding)의 플러그 커넥터에서 전원 단자의 접촉부의 접촉 부분 중 종방향의 폭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접촉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켜 수직 방향에 위치한 접촉 부분의 영역이 중첩되도록 다른 접촉부를 형성하여, 플러그 단자의 강도를 보강하며,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되는 힘으로부터 플러그 단자와 몰드부(하우징)가 상호 강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 plug connector in which the molded part and the terminal are integrally molded (insert molding), the width of the contact part of the power terminal is incr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crease the overall contact part area, so that the area of the contact part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laps. By forming another contact portion as much as possible, the strength of the plug terminal is reinforced, and when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the plug terminal and the mold portion (housing) are strongly supported from the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소켓 커넥터)의 결합시에 플러그 단자를 통해 가이딩 역할을 하면서, 반복적인 삽입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wear and tear even by repeated insertion and separation while serving as a guide through the plug terminal when the mating connector (socket connector) i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플러그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단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lug terminal of a conventional plug connector.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old part of FIG. 2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lug terminal of FIG. 2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lu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
1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lu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2의 플러그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ld part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ug terminal of Figure 2,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는 몰드부(100)와 제1 내지 제4 플러그 단자(201, 202, 203, 204)를 포함한다.2 to 4 , the plug connector 10 includes a mold part 100 and first to fourth plug terminals 201 , 202 , 203 , and 204 .

제1 몰드부(100)는 기저부(101) 및 제1 내지 제4 벽부(110, 120, 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벽부(110, 120, 130, 140)는 기저부(101)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mold part 100 may include a base part 101 and first to fourth wall parts 110 , 120 , 130 , and 140 . The first to fourth wall parts 110 , 120 , 130 , and 140 may each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1 .

구체적으로, 제1 벽부(110)는 기저부(101)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벽부(130)는 기저부(101) 상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벽부(120)는 기저부(101) 상에서 제1 벽부(110)와 대향될 수 있다. 제4 벽부(140) 기저부(101) 상에서 제3 벽부(130)와 대향될 수 있다. 이때, 제3 벽부(130)는 제1 벽부(110)의 일측 및 제2 벽부(12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벽부(140)는 제1 벽부(110)의 타측 및 제2 벽부(12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wall part 110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on the base part 101 . The third wall portion 130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Y)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X) on the base portion (101). The second wall part 120 may face the first wall part 110 on the base part 101 . The fourth wall portion 140 may face the third wall portion 130 on the base portion 101 . In this case, the third wall part 13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wall part 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wall part 120 . Also, the fourth wall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ll unit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all unit 120 .

이에 따라, 기저부(101) 및 제1 내지 제4 벽부(110, 120, 130, 140)는 서로 연결되어 몰드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se portion 101 and 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10 , 120 , 130 , and 1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mold portion 100 .

제1 내지 제4 벽부(110, 120, 130, 140)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벽부(110 내지 140)는 기저부(101)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부(101)의 상면의 중앙부 상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에 소켓 커넥터(20)의 일부가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10 , 120 , 130 , and 140 may define a spac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asten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 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10 to 140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1 . Accordingly, a space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1 , and a part of the socket connecto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so that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may be fastened.

몰드부(1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mold part 1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including resin and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몰드부(100)와 플러그 단자(200)는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mold part 100 and the plug terminal 200 may be integrally molded and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플러그 단자(201)는 몰드부(100)의 제1 벽부(11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플러그 단자(202)는 몰드부(100)의 제2 벽부(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벽부(110) 상에 배치되는 제1 플러그 단자(20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be formed on the first wall portion 110 of the mold portion 100 ,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20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wall portion 120 of the mold portion 100 . can b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ereinafter, the first plug terminal 201 disposed on the first wall portion 110 will be mainly described.

제1 플러그 단자(201)는 제1 벽부(110)에 형성되어,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미도시)에 실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1 플러그 단자(201)는 전원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be formed on the first wall portion 110 , and the plug connector 10 may be mounted on a board (not shown)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Accordingly, the connector 10 may be fixed to the board. Also, the plug connector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ard. That is, 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input/output a power electrical signal or an electrical data signal.

구체적으로, 제1 플러그 단자(201)가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제1 플러그 단자(201)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플러그 단자(201)가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제1 플러그 단자(201)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의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전기 소자 등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plug terminal 201 inputs and outputs a power electrical signal, 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supply power to a board o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dispo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plug terminal 201 inputs and outputs data electrical signals, 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transmit data to an electrical device disposed in another area of the board o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disposed. have.

제1 플러그 단자(201)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copper or the like,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3 플러그 단자(203) 및 제4 플러그 단자(204)는 제3 및 제4 벽부(130, 140)에 배치되어, 전원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및 제4 플러그 단자(203,204)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전원 단자, 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lug terminal 203 and the fourth plug terminal 204 are disposed on the third and fourth wall portions 130 and 140 to input and output power electrical signals or data electrical signals. For example, the third and fourth plug terminals 203 and 204 may include power terminal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power electrical signals or signal terminal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electrical data signals.

구체적으로, 제3 및 제4 플러그 단자(203,204)의 전원 단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및 제4 플러그 단자(203,204)의 신호 단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의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전기 소자 등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terminals of the third and fourth plug terminals 203 and 204 may supply power to a board o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disposed. Alternatively, the signal terminals of the third and fourth plug terminals 203 and 204 may transmit data to an electrical device disposed in another area of the board o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disposed.

제3 및 제4 플러그 단자(203,204)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rd and fourth plug terminals 203 and 204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copper or the like, but the inventive concep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플러그 단자(201)는 제1 접촉부(210), 제2 접촉부(220) 및 제3 접촉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210 , a second contact portion 220 , and a third contact portion 230 .

제1 접촉부(210)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218)를 통해 제2 접촉부(220)가 연결되며, 제1 접촉부(210)의 타측에는 제2 연결부(219)를 통해 제3 접촉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A second contact portion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through a first connection portion 218 , and a third contact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 . can be connected

제2 접촉부(220) 및 제3 접촉부(230)의 외주면에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229,239)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 coupling portions 229 and 239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unterpart connector.

또한, 제1 연결부(218)는 후술될 제1 접촉부(210)의 제1 연장부(213)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제2 접촉부(2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219)는 후술될 제1 접촉부(210)의 제1 연장부(213)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제3 접촉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218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13 of the first contact part 210 to be described later and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art 220 ,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may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3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

또한, 제1 연결부(218)는 제1 접촉부(210)와 연결된 제1 방향(X)의 길이 보다 제2 접촉부(220)와 연결된 제2 방향(Y)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며, 제2 연결부(219)는 제1 접촉부(210)와 연결된 제1 방향(X)의 길이 보다 제3 접촉부(230)와 연결된 제2 방향(Y)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218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art 220 than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210 , and the second The connection part 219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Y connected to the third contact part 230 than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210 .

제1 연결부(218)는 제2 연결부(219)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2 연결부(219)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8 faces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and has the same shape, only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will be described.

제2 연결부(219)는 제1 접촉부(210)의 제1 연장부(213) 타측과 제2 연결부(219)의 제1 굴곡 연결부(219a)를 통해 연결 될 수 있으며, 후술될 제3 접촉부(230)의 제3 판부(231)와 제2 연결부(219)의 제2 굴곡 연결부(219b)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될 제3 접촉부(230)의 제2 굴곡부(234)와 제2 연결부(219)의 제3 굴곡 연결부(219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13 of the first contact part 210 and the first curved connection part 219a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and a third contact part (to be described later) ( The third plate portion 231 of 230 and the second curved connection portion 219b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urved portion 234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 219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third curved connection portion 219c.

즉, 제2 연결부(219)의 일측에는 후술될 제1 접촉부(210)의 제1 연장부(213)가 연결되고, 제2 연결부(219)의 타측에는 후술될 제3 접촉부의(230)의 제3 판부(231)와 제2 굴곡부(234)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a first extension part 213 of a first contact part 21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is a third contact part 230 to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plate portion 231 and the second bent portion 23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제2 연결부(219)는 후술될 제3 접촉부(230)의 제2 굴곡부(234)와 연결되는 제3 굴곡 연결부(219c)가 형성된 제2 연결부(219)의 하면의 길이보다 후술될 제3 접촉부(230)의 제3 판부(231)와 연결되는 제2 굴곡 연결부(219b)가 형성된 제2 연결부(219)의 상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is a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in which the third curved connection part 219c connected to the second curved part 234 of the third contact part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19 in which the second curved connecting portion 219b connected to the third plate portion 231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is formed may be longer.

또한, 제1 내지 제3 굴곡 연결부(219a,219b,219c)를 통해 제2 연결부(219)가 연결되는 연결 부분에 응력 집중을 완화 할 수 있도록 제2 연결부의 중앙부의 단면보다 제1 내지 제3 굴곡 연결부(219a,219b,219c)의 단면이 크게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so as to relieve stress concentration in the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19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curved connecting portions 219a, 219b, and 219c The curved connection portions 219a, 219b, and 219c are connected to form a large cross-section to improve resistance.

따라서, 제2 굴곡부(234)가 제2 연결부(219)와 제3 접촉부(230)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굴곡 연장되며, 후술될 제3 실장부(235)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bent portion 234 may be bent and extended at a point whe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are connected, and may be connected to a third mounting portion 235 to be described later.

즉, 제2 굴곡부(234)는 제2 연결부(219)와 제3 접촉부(230)가 제3 방향(Z)에서 중첩되며, 제2 굴곡부(234)는 제2 연결부(219)와 제3 접촉부(230)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굴곡 연장되어 제3 실장부(235)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econd curved portion 234 ,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overlap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234 include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The third mounting part 235 may be formed to protrude by bending extension at the point where the 230 is connected.

이것에 의해 제3 접촉부(230)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시 제1 방향(X)으로 외력을 받을때, 후술될 제3 접촉부(230)의 제1 판부(231)와 연결된 제2 굴곡부(234)가 제2 연결부(219)와 몰드부(100)를 통해 제2 방향(Y)에서 지지되며, 기판에 실장되어 지지되는 후술될 제3 실장부(235)와 몰드부(100)를 통해 제1 방향(X)에서 지지될 수 있다.Due to this, when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X) when it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the second bent portion 234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231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in the second direction Y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 and the mold part 100 , and is mounted on a substrate and supported through a third mounting part 235 and a mold part 10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upported in direction (X).

또한, 제4 플러그 단자(204)에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20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204a)에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걸림부(204b)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astening portion 204a is formed in the fourth plug terminal 204 to be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mating connector. It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또한, 제4 플러그 단자(204)의 실장부(204c)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4벽부(140)의 하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몰드부(10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제4 플러그 단자의 실장부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미도시)에 실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204c of the fourth plug terminal 204 may protrude and be expos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wall portion 140 . That is, it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part 100 and be exposed, and the mounting part of the fourth plug terminal may mount the plug connector 10 on a board (not shown) in the same way as soldering.

또한, 제4 플러그 단자(204)의 실장부(204c)의 상측에는 제4 벽부(14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1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46)는 제4 플러그 단자(204)의 실장부(204c)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에 실장될 때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upport part 146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mounting part 204c of the fourth plug terminal 204 by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fourth wall part 140 , and the support part 146 is the fourth plug terminal 204 . )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04c, and the lower side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when mounted on the board.

또한, 제3 플러그 단자(203)는 제4 플러그 단자(204)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Also, the third plug terminal 203 faces the fourth plug terminal 204 and has the same shape.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는 이에 대응되는 소켓 커넥터(20)와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플러그 커넥터(10)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가 뒤집힌 것이다.Referring to FIG. 5 , the plug connector 10 may be coupled to a corresponding socket connector 20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he plug connector 10 of FIG. 5 is an inverted plug connector 10 of FIG. 1 .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내지 제4 벽부(110, 120, 130, 140)는 소켓 커넥터(20)의 대응되는 공간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소켓 커넥터(2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10 , 120 , 130 , and 140 of the plug connector 10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corresponding spaces of the socket connector 20 . Accordingly,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n assembl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socket connector 20 may vary.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내지 도 5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Hereinafter,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플러그 단자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plu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lu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view showing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플러그 단자(201)는 제1 내지 제3 접촉부(210, 220, 230)을 포함하며, 제1 플러그 단자(201)의 제1 접촉부(210)는 몰드부(100)의 제1 벽부(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부(210)는 제1 판부(211), 제1 벤딩부(212), 제1 연장부(213), 제2 연장부(214) 및 제1 실장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6 to 11 , the first plug terminal 201 includes first to third contact portions 210 , 220 , and 230 ,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1 is formed by a mold. It may be formed on the first wall part 110 of the part 100 . The first contact part 210 may include a first plate part 211 , a first bending part 212 , a first extension part 213 , a second extension part 214 , and a first mounting part 215 . .

또한, 제1 벽부(110)는 내측면(111), 상면(112), 외측면(113), 하면(114) 및 양 측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벽부(120)는 제1 벽부(110)와 마주 보고 제1 벽부(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벽부(1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In addition, the first wall portion 110 may include an inner surface 111 , an upper surface 112 , an outer surface 113 , a lower surface 114 , and both sides (not shown). Since the second wall part 120 faces the first wall part 110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wall part 110 , only the first wall part 110 will be described.

제1 접촉부(210)의 제1 판부(211)는 제3 방향(Z)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벽부(110)의 내측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판부(211)는 제1 벽부(110)의 내측면(111)을 보호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part 211 of the first contact part 210 may extend along the third direction Z a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first wall part 110 . Accordingly, the first plate portion 211 may protect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first wall portion 110 .

제1 접촉부(210)의 제1 벤딩부(212)는 제1 판부(21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방향(Y)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제1 벽부(110)의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벤딩부(212)는 제1 벽부(110)의 상면을 제2 방향(Y)으로 감싸는 형태로 벤딩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벤딩부(212)는 제1 벽부(110)의 상면(112)을 보호할 수 있다.The first bending part 212 of the first contact part 2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late part 211 , is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extends, and surround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art 110 . can be formed with For example, the first bending part 212 is formed by be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art 110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accordingly, the first bending part 212 is formed by the first wall part (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110).

제1 접촉부(210)의 제1 연장부(213)는 제1 벤딩부(212)에 연결되고, 제3 방향(Z)을 따라 연장되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과정에서의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이드를 행하며, 이에 따라 제1 연장부(213)는 제1 벽부(110)의 외측면(113)을 보호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3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bending portion 212 , extends along the third direction Z, and is guided by sliding contact in the fitting process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and, accordingl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3 may protect the outer surface 113 of the first wall portion 110 .

제1 접촉부(210)의 제2 연장부(214)는 제1 판부(211)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방향(Y)을 따라 굴곡되어 연장되며, 제1 벽부(110)의 하면(114)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4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portion 211 , is bent and extended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extends on the lower surface 114 of the first wall portion 110 . ) can be formed.

이때, 제2 연장부(214)는 몰드부(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연장부(214)는 제1 벽부(110)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extension part 214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mold part 100 , and accordingly, the second extension part 214 may protec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wall part 110 .

제1 접촉부(210)의 제1 실장부(215)는 제2 연장부(214)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실장부(215)는 제1 벽부(110)의 하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몰드부(100)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만큼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제1 실장부(215)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미도시)에 실장 할 수 있다. The first mounting part 215 of the first contact part 21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214 ,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5 may be expos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wall part 110 . have. That is, it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part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exposed,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5 may mount the plug connector 10 on a board (not shown) in the same way as soldering.

제1 접촉부(210)의 길이는 제2 접촉부(220)와 제3 접촉부(230)의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시 제1 접촉부(210)의 제1 방향(X)의 길이를 증가시켜, 전체적인 접촉 부분의 면적을 증대시킨다.The leng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 and when combined with a mating connector,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in the first direction (X) By increasing the length, the overall area of contact is increased.

또한, 제1 접촉부(210)와 수직 방향에 위치한 제2 접촉부(220) 제1 접촉부(210)의 일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2 접촉부(22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310)을 형성하며, 제1 접촉부(210)의 타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3 접촉부(23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32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one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verlaps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on the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overlap area ( 310 ,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may form an overlapping region 320 overlapping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on an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또한, 제1 플러그 단자(201)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2 플러그 단자(202)도 중첩 영역(330,340)이 형성될 수 있다.Also, overlapping regions 330 and 34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lug terminal 202 facing the first plug terminal 201 and having the same shape.

제2 플러그 단자(202)는 제1 플러그 단자(201)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플러그 단자(20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the second plug terminal 202 faces the first plug terminal 201 and has the same shape, only the first plug terminal 201 will be described.

이것에 의해, 제1 접촉부(210)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시 제2 방향(Y)으로 외력을 받을때, 제1 접촉부(210)만 외력에 대항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접촉부(210)의 양측에 제1 및 제2 연결부(218, 219)를 통해 연결된 제2 접촉부(220)와 제3 접촉부(230)가 중첩 영역(310, 320)을 통해 외력에 대항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제1 접촉부(210)가 제2 방향(Y)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여 상호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Y) when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only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does not oppose the external force, but both side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 so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conn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218 and 219 to the The contact portions 210 may be strongly supported by each other against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second direction Y.

따라서,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되는 힘으로부터 몰드부와 플러그 단자가 상호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ld part and the plug terminal can be strongly supported by the exter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또한, 상대 커넥터와 감합(접촉)하는 경우 제1 연장부(213)에 제2 방향(Y)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제1 판부(211)의 일측에 경사면(115)이 형성되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fitting (contacting) the mating connector, one side of the first plate part 211 may be opposed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lug connector 10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on the first extension part 213 . An inclined surface 115 may be formed and supported there.

경사면(115)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벽부(110)의 상면(112)에서부터 깊이 방향으로, 즉 상대 커넥터가 들어오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경사면(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면(115)의 단면 폭이 상측 보다 하측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몰드부(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도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inclined surface 115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first wall part 110 in the depth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nterpart connector enters.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inclined surface 115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lower side is increased than the upper side, so that the strength of the mold part 100 can be reinforced, and it is formed to be easily coupled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또한, 경사면(115)은 제1 판부(211)와 제1 벤딩부(212)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기저부(101)의 상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115 is preferably form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late portion 211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212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제1 벽부(110)의 내측면(111)에는 제1 플러그 단자(201)의 제1 판부(211)가 형성되어 지지되고, 제1 판부(211)의 일측에는 경사면(115)이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와 감합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되는 힘으로부터 몰드부와 플러그 단자가 상호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late part 211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1 is form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first wall part 110 , and the inclined surface 1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part 211 . Thus, when fitt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the mold part and the plug terminal can be strongly supported from the external force.

제1 플러그 단자(201)의 제1 접촉부(210)는 제2 방향(Y) 양측으로 제2 접촉부(220) 및 제3 접촉부가(230)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접촉부(220)는 제2 판부(221), 제2 벤딩부(222), 제3 연장부(223), 제1 굴곡부(224) 및 제2 실장부(225)를 포함한다. 제3 접촉부(230)는 제3 판부(231), 제3 벤딩부(232), 제4 연장부(233), 제2 굴곡부(234) 및 제3 실장부(235)를 포함한다.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1 may have a second contact portion 220 and a third contact portion 230 connected to both sides in the second direction Y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 includes a second plate portion 221 , a second bending portion 222 , a third extension portion 223 , a first bent portion 224 ,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225 . The third contact part 230 includes a third plate part 231 , a third bending part 232 , a fourth extension part 233 , a second bending part 234 , and a third mounting part 235 .

제3 접촉부(230)는 제2 접촉부(220)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2 접촉부(2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Since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faces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and has the same shape, only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will be described.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접촉부(220)는 제1 접촉부(210)와 연결되고, 제1 벽부(110)의 일측면과 제3 벽부(13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9 to 11 , the second contact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210 ,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wall part 110 and one side of the third wall part 130 . can be formed.

제2 접촉부(220)의 제2 판부(221)는 제3 벽부(130)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판부(221)는 제3 벽부(130)의 외측면 일측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접촉부(220)의 제2 벤딩부(222)는 제2 판부(22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방향(X)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며, 제3 벽부(130)의 상면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벤딩부(222)는 제3 벽부(130)의 상면 일측을 보호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part 221 of the second contact part 2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wall part 130 , and thus the second plate part 2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wall part 130 . can protect The second bending part 222 of the second contact part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221 , is bent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extends, and surrounds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wall part 130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accordingly, the second bending part 222 may protec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wall part 130 .

제2 접촉부의 제3 연장부(223)는 제2 벤딩부(222)의 다른 한측에 연결되고,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며,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 과정에서의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이드를 행하며, 이에 따라 제3 연장부(223)는 제3 벽부(130)의 내측면 일측을 보호할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portion 223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222,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guides by sliding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in the fitting process. , accordingly, the third extension 223 may protec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all 130 .

제2 접촉부의 제1 굴곡부(224)는 제2 판부(221)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실장부(225)와 연결되며, 제1 굴곡부(224)는 제2 실장부(225)가 연결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bent part 224 of the second contact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221 ,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art 225 , and the first bent part 2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art 225 . position can be adjusted.

제2 실장부(225)는 제1 굴곡부(224)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제3 벽부(130)의 하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몰드부(100)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만큼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제2 실장부(225)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미도시)에 실장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part 225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first bent part 224 and may be expos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third wall part 130 . That is, it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part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exposed,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225 may mount the plug connector 10 on a board (not shown) in the same way as soldering.

또한, 제2 실장부(225)의 상측에는 몰드부(100)의 제1 벽부(110)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부(1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35)는 제2 실장부(225)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에 실장될 때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3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ounting part 225 by protruding from the first wall part 110 of the mold part 100 , and the support part 135 is the second mounting part 225 . It is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formed to have an open shape so that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when it is mounted on the board.

이에 따라, 제2 접촉부(220)는 제1 벽부(110)의 측면과 제3 벽부(130)의 일측을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contact part 220 may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wall part 110 and one side of the third wall part 130 .

또한, 제2 접촉부(220)의 외주면에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22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때, 결합부(229)는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결합홈에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의 조립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part 229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220 so as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with the mating connector. For example, when the plug connector 10 is coupled with the mating connecto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he coupling portion 229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mating connector to enhance the coupling force of the assembl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또한, 제2 접촉부(220)의 제2 실장부(225)는 제2 판부(221)가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실장부(225)는 제2 판부(221)가 형성된 평면으로 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제2 실장부(225)의 상면을 지지부(135)가 감싸는 형태로 지지되며, 지지부(135)가 형성된 부분보다 일정 간격만큼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unting part 225 of the second contact part 22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plane on which the second plate part 221 is formed,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225 may include the second plate part 221 . The support part 135 is supported in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formed plane and surround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econd mounting part 225 , and may protru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part 135 is formed.

이에 따라, 제1 플러그 단자(201)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기판과 접속되는 부분인 실장부의 면적을 확장시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에 더욱 견고하게 실장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lug terminal 201 expands the area of the mount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ard, by soldering, so that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more firmly mounted on the board.

또한, 제3 접촉부(230)의 제3 실장부(235)는 제3 판부(231)가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실장부(235)는 제3 판부(231)가 형성된 평면으로 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제3 실장부(235)의 상면을 지지부(145)가 감싸는 형태로 지지되며, 지지부(145)가 형성된 부분보다 일정 간격만큼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ounting part 235 of the third contact part 23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plane on which the third plate part 231 is formed, and the third mounting part 235 may include the third plate part 231 . The support part 145 is supported in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formed plane and surround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third mounting part 235 , and may protru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part 145 is formed.

이에 따라, 제1 플러그 단자(201)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기판과 접속되는 부분인 실장부의 면적을 확장시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에 더욱 견고하게 실장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lug terminal 201 expands the area of the mounting portion, which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ard, by soldering, so that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more firmly mounted on the board.

또한, 제3 플러그 단자(203)에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20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203a)에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걸림부(203b)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astening part 203a is formed in the third plug terminal 203 to be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mating connector, and a locking part 203b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203a to facilitate coupling and separation from the mating connector. It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또한, 제3 플러그 단자(203)의 실장부(203c)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벽부(130)의 하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몰드부(10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제3 플러그 단자의 실장부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미도시)에 실장할 수 있으며, 제3 플러그 단자(203)의 실장부(203c)의 상측에는 제3 벽부(13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1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36)는 제3 플러그 단자(203)의 실장부(203c)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에 실장될 때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Also, the mounting portion 203c of the third plug terminal 203 may protrude and be expos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wall portion 130 . That is, it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part 100 and be exposed, and the mounting part of the third plug terminal may mount the plug connector 10 on a board (not shown) in the same way as soldering, and the third plug terminal ( The support part 13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art 203c of the third wall part 130 to protrude from the third wall part 130 to one side, and the support part 136 may be the mounting part 203c of the third plug terminal 203 .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formed in an open shape so that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when it is mounted on the board.

또한, 제4 플러그 단자(204)는 제3 플러그 단자(203)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Also, the fourth plug terminal 204 faces the third plug terminal 203 and has the same shape.

또한, 제1 접촉부(210)는 제2 접촉부(22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310)의 간격이 제3 연장부(223)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접촉부(210)는 제3 접촉부(230)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320)의 간격이 제4 연장부(233)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첩 영역의 간격은 더 넓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overlapping region 310 overlapp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0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223 ,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may The interval of the overlapping region 320 overlapping the third contact portion 23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23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val of the overlapping region may be formed wider or narrower. ca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플러그 단자의 중첩 영역으로 통한 추가적인 지지 구간과 몰드부 내에 경사면과 같은 추가적인 지지 구간을 확보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강도를 보강한다.Therefore, in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support section through the overlapping area of the plug terminal and an additional support section such as an inclined surface in the mold portion are secured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by prevent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lug connector. Against this, the strength of the plug connector is reinforced.

또한, 플러그 단자와 커넥터의 몰드부가 상호 강하게 지지되어 다면적으로 보호하며, 플러그 커넥터가 외력에 의해 마멸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대 커넥터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커넥터 끼워맞춤시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며, 상대 커넥터 단자의 금속 대 금속 접촉에 의해,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olded part of the plug terminal and the connector are strongly supported to each other to protect it in multiple ways, to prevent the plug connector from being abraded or damaged by external force, and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to guide the connector when fitting the mating connector. The metal-to-metal contact of the terminal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ear resistan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제1 접촉부 2: 제1 연장부
3: 제2 연장부 4: 제3 연장부
5: 제2 접촉부 6: 제3 접촉부
7: 연결부
10: 플러그 커넥터 20: 소켓 커넥터
100: 몰드부 101: 기저부
110: 제1 벽부 111: 내측면
112: 상면 113: 외측면
114: 하면 115: 경사면
120: 제2 벽부 130: 제3 벽부
140: 제4 벽부 201: 제1 플러그 단자
202: 제2 플러그 단자 203: 제3 플러그 단자
204: 제4 플러그 단자 210: 제1 접촉부
211: 제1 판부 212: 제1 벤딩부
213: 제1 연장부 214: 제2 연장부
215: 제1 실장부 218: 제1 연결부
219: 제2 연결부 220: 제2 접촉부
221: 제2 판부 222: 제2 벤딩부
223: 제3 연장부 224: 제1 굴곡부
225: 제2 실장부 230: 제3 접촉부
231: 제3 판부 232: 제3 벤딩부
233: 제4 연장부 234: 제2 굴곡부
235: 제3 실장부 310: 제1 중첩 영역
320: 제2 중첩 영역 330: 제3 중첩 영역
340: 제4 중첩 영역
1: first contact part 2: first extension part
3: second extension 4: third extension
5: second contact portion 6: third contact portion
7: Connection
10: plug connector 20: socket connector
100: mold part 101: base
110: first wall portion 111: inner surface
112: upper surface 113: outer surface
114: lower surface 115: inclined surface
120: second wall 130: third wall
140: fourth wall portion 201: first plug terminal
202: second plug terminal 203: third plug terminal
204: fourth plug terminal 210: first contact
211: first plate 212: first bending unit
213: first extension 214: second extension
215: first mounting unit 218: first connection unit
219: second connection part 220: second contact part
221: second plate 222: second bending unit
223: third extension 224: first bent portion
225: second mounting portion 230: third contact portion
231: third plate part 232: third bending part
233: fourth extension 234: second bent portion
235: third mounting unit 310: first overlapping area
320: second overlapping area 330: third overlapping area
340: fourth overlapping region

Claims (8)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와,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3 벽부와, 상기 제3 벽부와 대향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벽부에 형성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벽부에 형성되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4 벽부에 형성되는 제3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제1 벽부의 상면을 제2방향(Y)으로 감싸는 형태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1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커넥터 폭방향인 제1방향(X)의 길이가 제1 플러그 단자의 양측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고, 제2 접촉부와 제3 접촉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의 일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2 접촉부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부의 타측단은 제2방향(Y) 연장선 상에 제3 접촉부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a mold part including a base part, a first wall pa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 third wall part crossing the first wall part, and a fourth wall part facing the third wall part; and
A first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first wall portion,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third wall portion, a third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fourth wall portion, and a first contact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 first plug terminal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ben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both sides of the first plug terminal, and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s an overlapping region overlapp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on an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forms an overlapping region overlapping the third contact portion on an extension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제1 벽부의 상면을 감싸는 제1 벤딩부와, 상기 제1 벤딩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벽부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벤딩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1 벽부의 하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벽부 외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판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벽부의 외측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제2 판부와 제2 벤딩부와 제3 연장부와 제1 굴곡부 및 제2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판부는 상기 제3 벽부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접촉부는, 제3 판부와 제3 벤딩부와 제4 연장부와 제2 굴곡부 및 제3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판부는 상기 제4 벽부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bending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irst plate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t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irst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ending part extending in the lower surface direction of the first wall part and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late part a second extension portion bent and extended in a direction,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he second contact part includes a second plate part, a second bending part, a third extension part, a first bending part, and a second mounting part, and the second plate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an outer surface of the third wall part;
The third contact part includes a third plate part, a third bending part, a fourth extension part, a second bending part, and a third mounting part, and the third plate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wall part. plug connect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접촉부의 제1 연장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제2 접촉부의 제2 판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접촉부의 제1 연장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제3 접촉부의 제3 판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connection par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of the first contact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part of the second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of the first contact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plate part of the third contact par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접촉부와 연결된 제1 방향(X)의 길이 보다 제2 접촉부와 연결된 제2 방향(Y)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접촉부와 연결된 제1 방향(X)의 길이 보다 제3 접촉부와 연결된 제2 방향(Y)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a second direction (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art than a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Y) connected to the third contact portion than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제1 접촉부의 제1 연장부와 제1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3 접촉부의 제3 판부와 제2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3 접촉부의 제2 굴곡부와 제3 굴곡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 first curve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plate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through a second curved connection portion;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third bent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는, 제2 연결부와 제3 접촉부가 제3 방향(Z)에서 중첩되며;
상기 제2 굴곡부는 제2 연결부와 제3 접촉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굴곡 연장되어 제3 실장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bent por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overlap in a third direction (Z);
and the second bent portion is bent and extended at a point wher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are connected to form a third mounting portion protrud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제3 접촉부의 제2 굴곡부와 연결되는 제3 굴곡 연결부가 형성된 제2 연결부의 하면의 길이보다 제3 접촉부의 제3 판부와 연결되는 제2 굴곡 연결부가 형성된 제2 연결부의 상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a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with the third curve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is great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with the second curve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plate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A plug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formed longer.
KR1020190163811A 2019-12-10 2019-12-10 Plug Connector KR1023261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11A KR102326155B1 (en) 2019-12-10 2019-12-10 Plug Connector
JP2020201514A JP2021093360A (en) 2019-12-10 2020-12-04 Plug connector
CN202022960144.5U CN214176261U (en) 2019-12-10 2020-12-09 Plug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11A KR102326155B1 (en) 2019-12-10 2019-12-10 Plug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22A KR20210073222A (en) 2021-06-18
KR102326155B1 true KR102326155B1 (en) 2021-11-16

Family

ID=7631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811A KR102326155B1 (en) 2019-12-10 2019-12-10 Plug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093360A (en)
KR (1) KR102326155B1 (en)
CN (1) CN214176261U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8405B2 (en)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294963B1 (en) * 2017-07-13 2021-08-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Connector and guide member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47677B1 (en) 2018-01-11 2019-11-2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lu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176261U (en) 2021-09-10
KR20210073222A (en) 2021-06-18
JP2021093360A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687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WI744740B (en) Socket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with the same
US7195494B2 (en)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JP6582082B2 (en)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JP7198924B2 (en) receptacle connector
CN101911397A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2047677B1 (en) Plug connector
KR101157672B1 (en) Connector
CN110911900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102631033B1 (en) receptacle connector
JP6600261B2 (en) Press-fit terminal
WO2019171973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102326155B1 (en) Plug Connector
KR101488891B1 (en)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KR20210064850A (en) Plug Connector
JP2019160489A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EP2149942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68227B1 (en) Socket Connector
KR102319024B1 (en) Socket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KR101727560B1 (en) Tab terminal
KR102638823B1 (en) Mounting bracket and plug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KR102679519B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2165739B1 (en) Hold down of connector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102148179B1 (en) Connector assembly
KR100919945B1 (en) Conne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