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904B1 - electric cooker - Google Patents

electric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904B1
KR102325904B1 KR1020150067613A KR20150067613A KR102325904B1 KR 102325904 B1 KR102325904 B1 KR 102325904B1 KR 1020150067613 A KR1020150067613 A KR 1020150067613A KR 20150067613 A KR20150067613 A KR 20150067613A KR 102325904 B1 KR102325904 B1 KR 10232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acuum case
vacuum
electric cook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4126A (en
Inventor
정홍길
김원주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904B1/en
Priority to CN201620428743.3U priority patent/CN205758297U/en
Publication of KR2016013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1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A47J41/02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체의 내부에 진공케이스를 구비하여 내솥의 열손실이 최소화되되 본체 및 내부 부품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어 상부가 뚜껑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내솥; 상기 내솥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는 진공케이스; 및 상기 진공케이스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연결되는 본체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an inner pot having a vacuum case inside the body to minimize heat loss of the inner pot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ody and internal parts, the inner pot containing food and selectively sealed with a lid; a vacuum cas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nd having a vacuum space formed therein; And it is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vacuum case, it provides an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main body case portion to whic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are connected.

Description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에 진공케이스를 구비하여 내솥의 열손실이 최소화되되 본체 및 내부 부품의 변형이 방지되는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cooker having a vacuum case inside the main body to minimize heat loss in the inner pot while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internal components.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통상의 업소 및 가정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말한다. In general, an electric cooker refers to an electric rice cooker, an electric pressure cooker, etc. used to cook a cooking object in a typical business or home.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는 발열부(4)가 구비된 본체(2), 상기 본체(2)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1),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솥(3)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includes a main body 2 provided with a heating part 4 , a lid 1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 , and the main body 2 . It consists of an inner pot (3) inserted inside.

이때, 상기 내솥(3)은 내부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며, 상기 본체(2)의 발열부(4)는 내솥(3)의 바닥면 내지 외측면 하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3)을 가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pot (3) is a cooking object is accommodated therein, the heating part (4) of the main body (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3), the inner pot ( 3) is heated.

여기서, 상기 발열부(4)는 열판 히터나 유도가열형 코일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높은 가열 효율과 온도 조절의 용이함으로 유도가열형 코일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Here, the heating unit 4 may be provided as a hot plate heater or an induction heating type coil, but in recent years, an induction heating type coil has been widely used due to high heating efficiency and ease of temperature control.

한편, 상기 본체(2)는 상기 발열부(4)가 장착되는 코일베이스(4a), 상기 내솥(3)을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바디케이스부(2a), 그리고, 상기 바디케이스부(2a)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본체(2)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커버부(2b)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main body 2 includes a coil base 4a on which the heating part 4 is mounted, a body case part 2a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pot 3 outside, and the body case part 2a. ) and a base cover portion (2b) connected to the lower end to form the lower exterior of the main body (2).

또한, 상기 내솥(3)의 측부에는 사이드히터(5)의 장착을 위한 히터장착부(5a)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전기조리기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발열부(4)의 유도가열을 통해 내솥(3)을 가열해 조리한 후 온도가 저하되면 사이드히터(5) 및 발열부(4)를 통해 재가열하는 방식으로 보온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a heater mounting portion (5a) for mounting the side heater (5)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ner pot (3). In detail, the electric cooker heats and cooks the inner pot 3 through induction heating of the heating unit 4 when power is supplied, and then reheats it through the side heater 5 and the heating unit 4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way to keep warm.

이때, 상기 내솥(3)의 열은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2)를 통해 외부로 쉽게 손실되므로 사이드히터(5) 및 발열부(4)를 구동하여 손실된 열에너지를 수시로 보충해주며 내솥(3)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since the heat of the inner pot (3) is easily lost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dy (2) made of synthetic resin, the side heater (5) and the heating unit (4) are driven to frequently supplement the lost heat energy, and the inner pot (3) There was a problem of consuming more energy than necessary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또한, 상기 바디케이스부(2a)의 하단부에는 스크류체결 보스(2c)가 형성되되, 상기 스크류체결 보스(2c)는 상기 베이스커버(2b)의 체결부(2e)까지 연결되어 체결나사(2d)를 통해 상기 바디케이스부(2a)와 상기 베이스커버부(2b)가 결합된다. In addition, a screw fastening boss 2c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case part 2a, and the screw fastening boss 2c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part 2e of the base cover 2b, and the fastening screw 2d) The body case part (2a) and the base cover part (2b) are coupled through.

이처럼, 별도의 지지구조 없이 바디케이스부(2a)가 스크류체결 보스(2c)를 통해 베이스커버부(2b)와 직접 결합되므로 충격에 취약하고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uch, since the body case part 2a is directly coupled to the base cover part 2b through the screw fastening boss 2c without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it is vulnerable to impact and is easily deformed by heat, thereby reduc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

한국 등록실용 제20-0442900호Korean Registration Office No. 20-044290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의 내부에 진공케이스를 구비하여 내솥의 열손실이 최소화되되 본체 및 내부 부품의 변형이 방지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electric cooker in which heat loss of the inner pot is minimized and deformation of the body and internal parts is prevented by providing a vacuum case inside the main bod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어 상부가 뚜껑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내솥; 상기 내솥의 측면부에 사이드히터가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히터장착부; 상기 내솥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히터장착부의 하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원형의 형상지지부재가 걸림 지지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상부걸림단턱이 형성되는 진공케이스; 및 상기 진공케이스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본체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part is selectively closed by a lid; a heater mounting part provided so that a side heater is mounted on a side part of the inner pot;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nd a vacuum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so that a circular shape support member into which the lower edge of the heater mounting part is inserted is caught and supported. A vacuum case in which the upper locking step is formed; And it provides an electric cooker including a main body case portion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vacuum case.

여기서, 상기 진공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진공케이스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재 너트체결부재가 용접되어 결합되며, 상기 너트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케이스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cuum cas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metal nut fastening member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is welded to the vacuum case, and the nut fastening member and the body case part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또한,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바닥면과 대면되는 부분에 용접을 위한 제1용접면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welding surface portion for welding at a por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이때,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와 대면되는 부분에 용접을 위한 제2용접면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is provided with a second welding surface portion for welding at a portion facing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날개부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의 하면 및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클램핑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portion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is formed with a coupling w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outer surface. Preferably, the coupling wing part is clamp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art and the bracket part.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 브라켓과,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구속홈부가 형성된 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되 상기 진공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측면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racket portion includes a ring-shaped upper bracket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and a lower bracket having a restrain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an edge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is insert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ide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또한,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날개부의 하부에는 상기 진공케이스의 외측면에 형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 브라켓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coupling w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and a ring-shaped upper bracket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is prefer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wing portion. .

그리고,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하부에는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를 지지하되 상면을 따라 상기 에지부가 삽입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된 하부 브라켓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is formed with an edge protru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ower bracket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is provided with a lower bracket formed with a restraining groove in which the edge portion is insert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ase. desirable.

여기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지지부와 상기 본체케이스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Here, an extended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case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and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case portion are preferably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이때, 상기 내솥 하부에는 유도가열코일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 브라켓의 내주부는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may be provided with a coil base on which an induction heating coil is wound,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bracket preferably extends inward in a radial direction to support a fastening suppor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il base.

그리고, 상기 내솥 하부에는 유도가열코일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일베이스의 상단부 테두리가 걸림 지지되는 하부걸림단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il base on which an induction heating coil is woun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and a lower engaging step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to hold the upper edge of the coil base.

그리고, 상기 내솥 하부에는 유도가열코일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부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차폐판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il base on which an induction heating coil is woun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and a shielding plat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il 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때,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차폐판이 결합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체결지지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fasten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so that the shielding plate is coupl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base.

또한,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날개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지지부체결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coupling w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and a suppor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coupling wing portion so as to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case portion. do.

그리고, 상기 진공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용접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vacuum cas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member having a screw hole is welded to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to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art. .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내부에 구비된 진공케이스를 통해 내솥의 열손실이 최소화됨과 더불어 상기 진공케이스가 너트체결부재를 통한 나사 결합으로 본체케이스부와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너트체결부재가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하단에 간단한 스터드 용접으로 구비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rst, heat loss of the inner pot is minimized through the vacuum case provided inside the body case part, and the vacuum case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with the body case part by screwing through the nut fastening member, and the nut fastening member is By simple stud welding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acuum case,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진공케이스 및 상기 본체케이스부 간의 결합이 결합날개부의 클램핑 결합 및 에지부의 삽입 구속 등 브라켓부를 매개로 이루어져 용접으로 인한 진공케이스의 손상이 방지되며 진공케이스의 하중이 하부 브라켓의 상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 지지되므로 하중 집중으로 인한 부품의 변형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Second, the coupling between the vacuum case and the body case part is made through the bracket part such as the clamping coupling of the coupling wing part and the insertion restraint of the edge part, so that damage to the vacuum case due to welding is prevented, and the load of the vacuum case is appli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Since it is supported uniform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eformation of parts due to load concentration is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셋째,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기 본체케이스부에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브라켓이 측면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되, 코일베이스가 하부 브라켓에 연결되므로 제품 내부의 각 부품이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변형 및 내부 부품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ird,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to the main body case part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side connection part, and since the coil base is connected to the lower bracket, each part inside the product is connected as one to support each other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he flow of internal parts.

넷째, 상기 진공케이스는 내판과 외판으로 구비되되 내판의 상단부가 외판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결합날개부를 형성하므로 내판의 돌출된 부분과 외판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손쉬운 용접이 가능하며, 진공케이스의 하단이 하부 브라켓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부체결홀을 통해 결합날개부를 본체케이스부에 나사 결합하여 진공케이스 및 본체케이스부가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Fourth, the vacuum case is provided with an inner plate and an outer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to form a coupling wing portion, so that easy welding is possible along the edge between the protruding part of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ase is supported by the lower bracket, the coupling wing part is screwed to the main body case part through the support part fastening hole, so that the vacuum case and the main body case part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상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브라켓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진공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진공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racket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bracket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as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as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조리기(100)는 내솥(10), 진공케이스(40), 그리고 본체케이스부(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ic cooker 100 includes an inner pot 10 , a vacuum case 40 , and a body case part 30 .

여기서, 상기 내솥(10)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용기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내솥(10)의 상부는 본체케이스부(3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는 뚜껑(20)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된다. Here, the inner pot 10 is provided in a container shape so that food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 10 is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case part 30 and is opened and closed by a lid 20 selectively. sealed

한편, 상기 진공케이스(40)는 내솥(10)보다 큰 직경의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으로 상기 내솥(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진공공간(t)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공케이스(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vacuum case 4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10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pot 10, and a vacuum space (t) is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vacuum case 4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세히, 상기 진공케이스(4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내판(40b)과 외판(40a)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판(40b)과 외판(40a)이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단을 절곡시켜 용접 결합함으로써 내판(40b)과 외판(40a) 사이에 진공공간(t)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vacuum case 40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plate 40b and an outer plate 40a made of stainless material, and the inner plate 40b and the outer plate 40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bending and welding the upper and lower ends. A vacuum space t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late 40b and the outer plate 40a.

이때, 상기 진공공간(t)은 진공 내지는 중공부로 구비될 수 있으나,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해서 진공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vacuum space t may be provided as a vacuum or a hollow part, bu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vacuum to improv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이처럼, 상기 본체케이스부(30)의 내부에 내솥(10)의 외측을 감싸는 진공케이스(40)가 구비되므로 내솥(10)의 열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내솥(10)의 보온시 재가열을 위한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vacuum case 4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ner pot 1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case part 30, heat loss of the inner pot 10 can be minimized, and reheating is performed when the inner pot 10 is kept war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for the product,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부(30)는 내부에 내솥(10) 및 진공케이스(40)가 수납될 수 있는 용기형상으로 상기 진공케이스(4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공케이스(40)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연결 및 지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case part 30 is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vacuum case 40 in the shape of a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pot 10 and the vacuum case 40 can be accommodated, the vacuum case 40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re connected and supported.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스부(30)는 합성수지재질로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케이스부(30a) 및 상기 바디케이스부(30a)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커버부(30b)로 분할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ody case part 30 is divided into a body case part 30a forming an upper exterior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base cover part 30b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case part 30a to form a lower exterior appearance.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이때, 상기 베이스커버부(30b)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나사홀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32)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케이스부(30a)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부(32)와 접하도록 연장된 체결보스(3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커버부(30b) 및 상기 바디케이스부(30a)가 체결나사(3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base cover part 30b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32 protruding upward and having a screw hole penetrated therein,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case part 30a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part 32. An extended fastening boss 31 is formed so that the base cover part 30b and the body case part 30a can be coupled through a fastening screw 33 .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부(30)의 상부 내측면, 즉 바디케이스부(30a)의 상부 내측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지지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케이스(40)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지지부(34)의 하면에 연결 및 지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case portion 30, that is,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case portion 30a, a coupling support portion 34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40 is It may be connect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art 34 .

그리고, 상기 진공케이스(4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커버부(30b)의 일측에 연결 및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40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base cover portion 30b.

이처럼, 상기 진공케이스(40)가 상호 결합된 바디케이스부(30a) 및 베이스커버부(30b)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진공케이스(40), 바디케이스부(30a), 베이스커버부(30b) 등 세개의 부품이 하나의 연결된 지지구조를 형성하므로 각 부품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as the vacuum case 40 is connected to the mutually coupled body case part 30a and the base cover part 30b, respectively, the vacuum case 40, the body case part 30a, the base cover part 30b, etc. Since the three parts form one connected support structure, the deformation of each part is minimiz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결합지지부(34)의 상부에는 내솥(10)의 절곡부(11)가 안착되는 내솥안착부(3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솥안착부(36)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지지부(3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지지부(3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34 is provided with an inner pot seating portion 36 on which the bent portion 11 of the inner pot 10 is seated. In this case, the inner pot seating part 36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and coupled to the coupling support part 34 ,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support part 34 .

그리고, 상기 내솥(10)의 측면부에는 상단부가 상기 내솥안착부(36)의 하부에 연결되어 사이드히터(71)가 장착되는 히터장착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pot 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seat 36 and a heater mounting part 70 on which the side heater 71 is mounted is provided.

또한, 내솥(1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커버부(30b)에 연결되되, 유도가열코일(51)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50)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베이스(50)의 상단부에는 상기 히터장착부(7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단턱부(5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10 is connected to the base cover portion 30b, a coil base 50 on which an induction heating coil 51 is wound is provided, and the upper end of the coil base 50 is equipped with the he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step portion 54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70 is supported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히터장착부(70)가 본체케이스부(3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eater mounting part 70 can be stably supported inside the body case part 30 .

한편, 상기 코일베이스(50)의 하면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차폐판(60)이 결합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체결지지부(5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base 5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fastening support portion 52 extending downward so that the aluminum shielding plate 60 is coupled.

여기서, 상기 차폐판(60)은 상기 체결지지부(52)를 통해 상기 유도가열코일(51) 및 상기 진공케이스(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도가열코일(51)에 의한 진공케이스(40)의 유도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shielding plate 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uction heating coil 51 and the vacuum case 40 through the fastening support part 52 , and the vacuum case 40 by the induction heating coil 51 . ) to prevent induction heating.

이때, 상기 체결지지부(52)에는 유도가열코일(51)의 자기력 손실을 차단하는 페라이트(55)가 장착되는 페라이트장착부(53)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ferrite mounting part 53 on which a ferrite 55 for blocking magnetic force loss of the induction heating coil 51 is mounted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support part 52 .

한편, 상기 진공케이스(40)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재 너트체결부재(42,44)가 스터드 용접되어 결합되며, 상기 너트체결부재(42,44)와 상기 본체케이스부(30)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체결나사 내지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o the vacuum case 40, the metal nut fastening members 42 and 44 having threads formed therein are stud-welded and coupled, and the nut fastening members 42 and 44 and the body case part 30 are coupled members. It is preferable to combine by Here, the coupl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screw or bolt.

상세히, 상기 진공케이스(4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30)의 바닥면과 대면되는 부분에 스터드 용접을 위한 제1용접면부(41)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케이스(40)의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지지부(34)와 대면되는 부분에 스터드 용접을 위한 제2용접면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a first welding surface portion 41 for stud welding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40 at a por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30 , and at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40 , A second welding surface portion 43 for stud welding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facing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34 .

이때, 상기 제1용접면부(41) 및 상기 제2용접면부(43)는 평탄한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너트체결부재(42,44)의 단면적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irst welding surface portion 41 and the second welding surface portion 43 are preferably provided in a flat shape, and preferably provided with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ut fastening members 42 and 44 .

한편, 상기 결합지지부(34)에는 결합부(34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4a)는 상기 결합지지부(34)를 관통하는 홀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coupling part 34a is formed in the coupling support part 34 , and the coupling part 34a may be provided with a hole penetrating the coupling support part 34 .

이때, 상측 너트체결부재(44)는 상기 결합지지부(34)의 결합부(34a)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하측 너트체결부재(42)는 상기 베이스커버부(30b)에 형성된 체결홀(35)과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nut fastening member 44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34a of the coupling support part 34 through the coupling member, and the lower nut fastening member 42 is fastened to the base cover part 30b. It may be coupled through the hole 35 and the coupling member.

이처럼, 상기 너트체결부재(42,44)가 상기 진공케이스(40)에 스터드 용접되어 일체로 구비되므로 상기 진공케이스(40)의 너트체결부재(42,44)를 체결홀(35) 및 결합부(34a)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를 삽입/체결하여 진공케이스(40) 및 본체케이스부(30)가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nut fastening members 42 and 44 are provided integrally by being stud welded to the vacuum case 40, the nut fastening members 42 and 44 of the vacuum case 40 ar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35 and the coupling part. (34a) The vacuum case 40 and the body case part 30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by inserting/fastening the coupling member in a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m.

또한, 상기 너트체결부재(42,44)가 상기 진공케이스(40)의 상하단에 간단한 스터드 용접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비되므로 부품 간의 결합구조 형성을 위한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nut fastening members 42 and 44 are integrally provided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acuum case 40 by simple stud welding, the process for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parts can be simplified, thereby improving product productivity. can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상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진공케이스 및 본체케이스부 사이의 결합방법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racket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vacuum case and the main body case por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케이스(240)의 상단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24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날개부(243)의 하부에는 상기 진공케이스(240)의 외측면(245)에 형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 브라켓(28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3 to 4, a coupling wing portion 243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outer surf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24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wing portion 243 is the It is preferable that a ring-shaped upper bracket 280 fitted to the outer surface 245 of the vacuum case 240 is provided.

이때, 상기 결합날개부(243)는 상기 진공케이스(240) 내판의 상단 절곡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내판 상단 절곡부의 하단에 외판의 상단 절곡부를 중첩하여 용접함으로써 손쉽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wing portion 243 can be easily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inner plate of the vacuum case 240 radially outward and overlapping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outer pl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inner plate.

그리고, 상기 결합날개부(243)는 상기 결합지지부(234) 및 상기 상부 브라켓(280)이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부(234) 및 상기 상부 브라켓(280) 사이에 클램핑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wing part 243 may be clamped between the coupling support part 234 and the upper bracket 280 as the coupling support part 234 and the upper bracket 280 are screwed together.

여기서, 상기 결합날개부(243)가 상기 상부 브라켓(280)의 상단부(281)와 상기 결합지지부(234)의 하면에 의해 상하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진공케이스의 결합날개부(243)의 하부측 외측면(245)이 상기 상부 브라켓(280)의 내면(283)에 형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Here, as the coupling wing part 243 is pressed up and down by the upper end 281 of the upper bracket 28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art 234 ,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wing part 243 of the vacuum case The outer surface 245 may be supported by being molded to the inner surface 283 of the upper bracket 280 .

이로 인해, 사용 중 충격에 의한 진공케이스(24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며, 진공케이스(240)의 변형시 발생될 수 있는 내판 및 외판의 분리로 인한 진공공간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deformation of the vacuum case 240 due to impact during use can be prevented, and damage to the vacuum space due to separation of the inner and outer plates that may occur when the vacuum case 240 is deformed can be prevent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브라켓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진공케이스 및 본체케이스부 사이의 결합방법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part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third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vacuum case and the main body case por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부(330)의 내측에는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되는 브라켓부(3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5 to 6 , it is preferable that a bracket part 380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part 330 .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380)는 상기 진공케이스(340) 및 상기 본체케이스부 (330)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케이스(340) 및 상기 본체케이스부(330) 간의 연결을 연계할 수 있다. Here, the bracket part 3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acuum case 340 and the body case part 330 to connect the vacuum case 340 and the main body case part 330 .

이때, 상기 브라켓부(380)는 측면연결부(380b), 상부 브라켓(380a), 그리고 하부 브라켓(380c)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bracket part 380 preferably includes a side connection part 380b, an upper bracket 380a, and a lower bracket 380c.

여기서, 상기 하부 브라켓(380c) 및 상기 상부 브라켓(380a)은 측면연결부(380b)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측면연결부(380b)가 생략된 상태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분리된 하부 브라켓(380c) 및 상부 브라켓(380a)은 각각이 별도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lower bracket 380c and the upper bracket 380a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ith the side connection part 380b, but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d state with the side connection part 380b omitted, The separated lower bracket 380c and upper bracket 380a may be used separately or together.

상세히,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상단부는 상부 브라켓(380a)를 매개로 상기 본체케이스(3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단부는 하부 브라켓(380c)를 매개로 상기 본체케이스(330)와 연결될 수 있다. In detail,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case 330 via the upper bracket 380a, and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case via the lower bracket 380c. It may be connected to 330 .

한편, 상기 하부 브라켓(380c)은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단부를 지지하되 상면에 구속홈부(38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bracket 380c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but it is preferable that a restraining groove 38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이때, 상기 하부 브라켓(380c)의 외측단에는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돌출부(384)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support protrusion 384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may be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lower bracket 380c.

여기서, 상기 지지돌출부(384)는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면 외주부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중을 원주방향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protrusion 384 is provid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340 to disperse and support the load of the vacuum case 34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중으로 결합날개부(343)가 상측으로 휘어지거나 진공케이스(340)의 측면부가 틀어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deformation such as bending of the coupling wing portion 343 upward or twisting of the side portion of the vacuum case 340 under the load of the vacuum case 340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단부에는 상기 구속홈부(381)에 삽입되도록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34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속홈부(381)는 상기 에지부(347)가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상기 에지부(347)의 두께 및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edge portion 347 protruding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restraint groove portion 38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training groove portion 38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an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dge portion 347 so that the edge portion 347 is molded and inserted.

이에 따라,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상단부가 상기 결합지지부(33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에지부(347)를 상기 구속홈부(381)에 삽입하기만 하면 상기 진공케이스(340)가 유동되지 않고 손쉽게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pport 334 and the edge 347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381, the vacuum case 340 does not flow. Since it can be easily fixed without a

이와 함께, 상기 구속홈부(381) 내에 삽입된 상기 에지부(347)를 통해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부가 고정되어 진공케이스(34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vacuum case 340 is fixed through the edge portion 347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portion 381 , so that deformation of the vacuum case 340 can be prevented.

이처럼, 상기 브라켓부(380)를 이용하여 상기 에지부(347)를 하부 브라켓(380c)에 삽입하고, 결합날개부(343)를 상부 브라켓(380a)과 결합지지부(334) 사이에 클램핑 결합함으로써 진공케이스(340)의 파손 및 변형 없이 손쉽게 진공케이스(340) 및 본체케이스부(330)가 결합될 수 있다. As such, by inserting the edge portion 347 into the lower bracket 380c using the bracket portion 380, and clamping the coupling wing portion 343 between the upper bracket 380a and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334. The vacuum case 340 and the body case part 330 can be easily coupled withou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vacuum case 340 .

상세히, 상기 진공케이스(340)는 얇은 금속판재로 구비되어 너트체결부재의 용접시 열로 인한 변형되거나 천공이 형성되고, 열로 인해 열화된 용접부가 부품 운반 과정에서 너트체결부재에 가해진 충격에 따라 쉽게 파손되어 진공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In detail, the vacuum case 340 is made of a thin metal plate and is deformed or perforated due to heat when the nut fastening member is welded, and the welded portion deteriorated due to heat is easily damaged by the impact applied to the nut fastening member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parts. There was a risk that the vacuum could be damaged.

이때, 상기 진공케이스(340) 및 상기 본체케이스부(330)의 결합이 결합날개부(343)의 클램핑 및 에지부(347)의 삽입 구속 등으로 상기 브라켓부(380)를 매개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접으로 인한 진공케이스(340)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of the vacuum case 340 and the body case part 330 is made through the bracket part 380 by clamping the coupling wing part 343 and inserting the edge part 347 as a medium. Damage to the vacuum case 340 due to welding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하부 브라켓(380c)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33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지지부(38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지지부(382)는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384)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nsion support portion 382 extending downwar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3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380c. In this case,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382 is preferably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upport protrusion 384 supporting the load of the vacuum case 340 .

여기서, 상기 연장지지부(382)는 상기 지지돌출부(384)가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하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브라켓(380c)과 상기 본체케이스부(330)의 바닥면 사이에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382 is formed in a gap between the lower bracket 380c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33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rotrusion 384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340 .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length.

이에 따라, 상기 진공케이스(340) 및 상기 코일베이스(350) 등 하부 브라켓(380c)에 연결되는 각 부품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each component connected to the lower bracket 380c, such as the vacuum case 340 and the coil base 350, can be stably supported.

이때, 상기 연장지지부(382)와, 상기 본체케이스부(3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홀(337)이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380c)과 상기 본체케이스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ended support part 382 and the fastening hole 337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art 330 are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mber so that the lower bracket 380c and the main body case part 330 are connected. can

또한, 상기 하부 브라켓(380c)의 내주부(380d)는 상기 코일베이스(350)의 체결지지부(352)를 지지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380d of the lower bracket 380c extends radially inward to support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352 of the coil base 350 .

이때, 상기 하부 브라켓(380c)의 내주부(380d)에는 상기 체결지지부(352)와 대면되는 부분에 체결관통홀(383)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코일베이스(350) 및 상기 하부 브라켓(380c)이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astening through hole 383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380d of the lower bracket 380c at a portion facing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352, and the coil base 350 and the lower bracket ( 380c) may be connected.

여기서, 상기 하부 브라켓(380c) 및 상기 상부 브라켓(380a)은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측면연결부(380b)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측면연결부(380b)는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하면서 상기 하부 브라켓(380c) 및 상기 상부 브라켓(380a)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Here, the lower bracket 380c and the upper bracket 380a are connected by a side connection part 380b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340, and the side connection part 380b is the vacuum case. It is possible to support between the lower bracket 380c and the upper bracket 380a while preventing deformation by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340 .

이처럼, 상기 진공케이스(340)의 상하단부를 상기 본체케이스부(330)에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브라켓(380a,380c)이 측면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코일베이스(350)가 하부 브라켓(380c)에 연결되므로 제품 내부의 각 부품이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380a and 380c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acuum case 340 to the body case part 330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side connection parts, and the coil base 350 is connected to the lower bracket ( 380c), so that each part inside the product is connected as one to form a mutually supporting structure.

이에 따라, 제품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제품의 변형으로 인한 각 부품의 사이의 공차 발생 및 충격으로 인한 공차 부분에서의 부품 유동 및 마모 등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formation of the product can be minimiz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tolerances between each part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he flow and wear of parts in the tolerance part due to the impact.

이때, 상기 차폐판(360)은 상기 하부 브라켓(380c)의 내주부(380d)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체결지지부(352) 및 상기 하부 브라켓(380c) 사이에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ielding plate 36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380d of the lower bracket 380c to be clamped and fixed between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352 and the lower bracket 380c.

여기서, 상기 차폐판(360)은 상기 유도가열코일을 감싸 상기 진공케이스와 구획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하단부 내측단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Here, the shielding plate 36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surrounds the induction heating coil and divides it from the vacuum case, and an opening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lower end bent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한편, 상기 진공케이스(3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내측면에 상부걸림단턱(345) 및 하부걸림단턱(34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acuum case 34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engaging step 345 and the lower engaging step 346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이때, 상기 상부걸림단턱(345)에는 상기 히터장착부(370)의 하단부 테두리가 걸림 지지되고, 상기 하부걸림단턱(346)에는 상기 코일베이스(350)의 상단부 테두리가 걸림 지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edge of the heater mounting part 370 may be caught by the upper engaging step 345 , and the upper end edge of the coil base 350 may be supported by being caught by the lower engaging step 346 .

이에 따라, 상기 코일베이스(350) 및 상기 히터장착부(370)가 내솥의 착탈시에도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도가열코일 내지 사이드히터의 유동으로 인한 전원연결배선의 단전이나 누전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il base 350 and the heater mounting part 370 can be arranged in an accurate position without shaking even when the inner pot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power connection wiring due to the flow of the induction heating coil or the side heater is cut off or short circuit is prevented. This can improve product safety.

이때, 히터장착부(370) 및 진공케이스(340) 사이의 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장착부(370)의 하단부는 별도로 구비된 원형의 형상지지부재(37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단턱(242)에 지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heater mounting unit 370 and the vacuum case 340 from occurring, the lower end of the heater mounting unit 370 is inserted into the separately provided circular shape support member 370a and the upper engaging step 242 may be suppor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하부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진공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제4실시예에서는 진공케이스 및 본케이스부 사이의 결합방법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 제2 및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bracket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ase in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n example. In this fourth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vacuum case and the main case por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케이스(440)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443)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날개부(443)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430)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434)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지지부체결홀(44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7 to 9,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440 is formed with a coupling wing part 443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wing part 443 has the body case part 43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rt fastening hole 443a is formed so as to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art 434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

상세히, 상기 진공케이스(440)는 금속 재질의 내판(440b)과 외판(440a)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판(440a)은 상기 내판(440b)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판(440b)의 상단부는 외판(440a)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결합날개부(443)를 형성할 수 있다. In detail, the vacuum case 440 is provided with an inner plate 440b and an outer plate 440a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outer plate 440a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plate 440b.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440b may be further extended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outer plate 440a to form a coupling wing portion 443 .

그리고, 상기 외판(440a)의 상단부는 상기 내판(440b)의 상단부의 돌출된 부분의 하면을 따라 용접되며, 돌출된 내판(440b) 및 내판(440b)의 하면에 접촉된 외판(440a) 사이의 모서리(445)를 따라 용접 공정이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plate 440a is weld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440b, and between the protruding inner plate 440b and the outer plate 440a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440b. The welding process along the edge 445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easily.

이때, 상기 진공케이스(440)의 하단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447)가 형성되고, 상기 에지부(447)는 하부 브라켓(480c)의 상면에 형성된 구속홈부(481)에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edge portion 447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440, and the edge portion 447 may be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portion 48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480c. have.

상세히, 상기 하부 브라켓(480c)은 상기 진공케이스(440)의 하단부가 연결 및 지지되는 외측링부(482)와, 상기 코일베이스가 연결 및 지지되는 내측링부(483)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링부(482)와 내측링부(483)는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된 지지연결부(484)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lower bracket 480c includes an outer ring portion 482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440 is connected and supported, and an inner ring portion 483 to which the coil base is connected and supported, the outer ring portion ( 482 and the inner ring portion 483 are preferab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adially provided support connection portion 484.

이때, 상기 진공케이스(440)는 상기 에지부(447)가 상기 외측링부(482)의 상면에 형성된 구속홈부(48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체결홀(443a)를 통해 상기 결합날개부(443)가 상기 결합지지부(434)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부(430)와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vacuum case 440, the edge portion 447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portion 48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ortion 482, and the coupling wing portion ( As the 443 is screwed to the coupling support part 434 , it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to the body case part 430 .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에서 진공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제5실시예에서는 진공케이스 및 본케이스부 사이의 결합방법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 제2, 제3 및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ase in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fifth embodiment,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vacuum case and the main case part is the same a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케이스(540)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530)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534)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스크류홀(561)이 형성된 고정부재(560)가 용접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10 to 11,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540 has a screw hole 561 so as to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534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530.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ed fixing member 560 is welded to each other.

상세히, 상기 내판(540b)과 외판(540a)의 상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호 용접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60)는 상기 내판(540b)과 외판(540a)이 절곡된 부분의 상부 내지 하부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upper ends of the inner plate 540b and the outer plate 540a are welded to each other while being bent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560 may be weld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s of the bent portion of the inner plate 540b and the outer plate 540a.

그리고, 상기 진공케이스(540)는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에지부(547)가 하부 브라켓(580c)의 상면에 형성된 구속홈부(58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홀(561)을 통해 고정부재(560)가 상기 결합지지부(53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부(530)와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cuum case 540 has a fixing member 560 through the screw hole 561 in a state in which the edge portion 547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portion 58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580c. ) may be screwed to the coupling support part 534 to be coupled to the body case part 530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300,400,500: 전기조리기 1,20: 뚜껑
2: 본체 2a,30a: 바디케이스부
2b,30b: 베이스커버부 3,10: 내솥
4: 발열부 4a,50: 코일베이스
5,71: 사이드히터 5a,70: 히터장착부
30: 본체케이스부 34,234: 결합지지부
40,240,340: 진공케이스 243: 결합날개부
347: 에지부 60: 차폐판
280,380a: 상부 브라켓 380: 브라켓부
380b: 측면연결부 380c: 하부 브라켓
381: 구속홈부 560: 고정부재
100,200,300,400,500: electric cooker 1,20: lid
2: body 2a, 30a: body case part
2b, 30b: base cover part 3, 10: inner pot
4: heating part 4a, 50: coil base
5, 71: side heater 5a, 70: heater mounting part
30: body case part 34,234: coupling support part
40,240,340: vacuum case 243: coupling wing part
347: edge portion 60: shielding plate
280,380a: upper bracket 380: bracket part
380b: side connection 380c: lower bracket
381: constraint groove 560: fixing member

Claims (17)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어 상부가 뚜껑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내솥;
상기 내솥의 측면부에 사이드히터가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히터장착부;
상기 내솥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히터장착부의 하단부 테두리가 삽입되는 원형의 형상지지부재가 걸림 지지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상부걸림단턱이 형성되는 진공케이스; 및
상기 진공케이스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본체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
an inner pot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and the upper part is selectively closed by a lid;
a heater mounting part provided so that a side heater is mounted on a side part of the inner pot;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ot, a vacuum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so that a circular shape support member into which the lower edge of the heater mounting part is inserted is caught and supported. A vacuum case in which the upper locking step is formed; and
Electric cooker including a main body case portion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vacuum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진공케이스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재 너트체결부재가 용접되어 결합되며,
상기 너트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케이스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vacuum cas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metal nut fastening member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is welded to the vacuum case,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 fastening member and the body case portion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바닥면과 대면되는 부분에 용접을 위한 제1용접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welding surface portion for welding at a por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와 대면되는 부분에 용접을 위한 제2용접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welding surface portion for welding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facing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날개부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의 하면 및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클램핑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part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par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A coupling w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outer surf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The coupling wing portion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ing coupling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 외측면에 형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 브라켓과,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구속홈부가 형성된 하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되 상기 진공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측면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racket part
a ring-shaped upper bracket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a lower bracket having a restraining groov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so that an edge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is inserted;
and a side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날개부의 하부에는 상기 진공케이스의 외측면에 형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 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upling w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along the outer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shaped upper bracket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is provided under the coupling w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하부에는 상기 진공케이스의 하단부를 지지하되 상면을 따라 상기 에지부가 삽입되는 구속홈부가 형성된 하부 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n edge portion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bracket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vacuum cas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and a lower bracket having a restrain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edge portion is inserted is provided along the upper surf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지지부와 상기 본체케이스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The method of claim 8,
An extended support part extending downwar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racket,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and the main body case portion is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하부에는 유도가열코일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 브라켓의 내주부는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coil base on which an induction heating coil is woun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An inner periphery of the lower bracket extends radially inward to support a fastening support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il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하부에는 유도가열코일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일베이스의 상단부 테두리가 걸림 지지되는 하부걸림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il base on which an induction heating coil is woun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gaging step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acuum case is supported by the upper edge of the coil base is cau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하부에는 유도가열코일이 권취되는 코일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부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차폐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il base on which an induction heating coil is woun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t,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il base is provided with a shielding plate made of aluminum.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베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차폐판이 결합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체결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so as to be coupled to the shield plat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il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날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날개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지지부체결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upling w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wing portion has a support portion fastening hole is formed so as to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케이스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부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지지부의 하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용접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vacuum cas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having a screw hole is welded to the upper end of the vacuum case so as to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part.
KR1020150067613A 2015-05-14 2015-05-14 electric cooker KR102325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13A KR102325904B1 (en) 2015-05-14 2015-05-14 electric cooker
CN201620428743.3U CN205758297U (en) 2015-05-14 2016-05-12 Electricity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13A KR102325904B1 (en) 2015-05-14 2015-05-14 electric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126A KR20160134126A (en) 2016-11-23
KR102325904B1 true KR102325904B1 (en) 2021-11-12

Family

ID=5740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13A KR102325904B1 (en) 2015-05-14 2015-05-14 electric cook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5904B1 (en)
CN (1) CN205758297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811B1 (en) * 2018-05-21 2023-01-18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904A (en) 1999-12-16 2001-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ice cooker
JP2010240329A (en) * 2009-04-10 2010-10-28 Tiger Vacuum Bottle Co Ltd Rice cooker
JP2013026100A (en) * 2011-07-25 2013-02-04 Hitachi Appliances Inc Rice cooker
JP2014144160A (en) 2013-01-30 2014-08-14 Hitachi Appliances Inc Rice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900Y1 (en) 2007-06-28 2008-12-19 쿠쿠전자주식회사 Protective device of induction heat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904A (en) 1999-12-16 2001-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ice cooker
JP2010240329A (en) * 2009-04-10 2010-10-28 Tiger Vacuum Bottle Co Ltd Rice cooker
JP2013026100A (en) * 2011-07-25 2013-02-04 Hitachi Appliances Inc Rice cooker
JP2014144160A (en) 2013-01-30 2014-08-14 Hitachi Appliances Inc Rice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758297U (en) 2016-12-07
KR20160134126A (en)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904B1 (en) electric cooker
KR20160134129A (en) electric cooker
CN109419334A (en) Cooking utensil and coil panel assembly thereof
KR101173245B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oker
KR101218643B1 (en) electric coo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13155356U (en) Cooking utensil
TWI762690B (en) Cooking device
CN204306631U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WO2020029514A1 (en) Heating appliance
CN208479980U (en) Cooking utensil and coil panel assembly thereof
KR102405053B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CN215226772U (en) Cooking utensil
US20140124502A1 (en) Induction range having improved durability by reducing heat tranmission using an induction heating part
KR102421922B1 (en) Electric rice cooker
KR101218638B1 (en) electric coo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16147788U (en) Cooking utensil with good heat insulation effect
CN206239183U (en) The mounting structure and cooking apparatus of coil panel component
CN220694994U (en) Pot and cooking utensil
CN108567341B (en) Shell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CN205433340U (en) Kettle
KR101218641B1 (en) electric coo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17161852U (en) Head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CN220192735U (en) Pot body and cooking utensil
CN214964653U (en) Cooking utensil's pot cover and cooking utensil
CN209863270U (en) Cook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