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308B1 -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308B1
KR102325308B1 KR1020200061664A KR20200061664A KR102325308B1 KR 102325308 B1 KR102325308 B1 KR 102325308B1 KR 1020200061664 A KR1020200061664 A KR 1020200061664A KR 20200061664 A KR20200061664 A KR 20200061664A KR 102325308 B1 KR102325308 B1 KR 10232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unit
protocol
biometric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겸
강동주
채기병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20006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인식한 생체정보를 1차적으로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2차적으로 저장부에 저장한 저장 값을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를 한 후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해킹을 방지하고 저장장치의 도용시에도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 인식부는 컴퓨터 전원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며, 전원 제어 보드는 생체 인식부에서 출력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한 후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정보의 보안을 향상한다.

Description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Computer power control apparatus using biometrics}
본 발명은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식한 생체정보를 1차적으로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2차적으로 저장부에 저장한 저장 값을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를 한 후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해킹을 방지하고 저장장치의 도용시에도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용컴퓨터(PC, personal computer)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그 개인용컴퓨터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문서를 작성하는 등의 작업수행이 일반화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한 작업이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타인이 자신의 PC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PC에 로그-온(log-on) 기능을 부가시키고 있다.
통상적으로, 로그-온 기능은 사용자가 PC의 전원을 온(ON) 하면 초기에 로그-온 암호(password)의 입력을 요구하고, 그 요구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혹은 숫자열이 기등록된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윈도 상태로 진행하여 로그-온 암호를 입력한 사용자가 해당 PC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로그-온 기능수행시 사용되는 암호는 문자 혹은 숫자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타인이 해당 암호만 입수한다면 그 암호를 이용하여 해당 PC를 로그-온시킨 후, 그 PC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문서 등을 로딩시킬 수 있어 보안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PC의 보안성 향상을 위해 생체정보(특히, 지문)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방식도 많이 제안되고 있다.
생체정보를 이용한 PC의 제어에 대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컴퓨터시스템의 전원을 켤 때, 생체인식(지문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함으로써, 시스템 접근 자체에 대해 보안 레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생체인식 방법 및 종래기술은 단순히 입력된 지문 정보와 등록된 지문 정보만을 비교하여 PC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저장장치를 절도한 후 지문정보를 이용하면 저장장치에 저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보안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PC의 전원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생체인식 과정인지를 검증하는 것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 2002-0078771호(2002. 10.19. 공개)(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시스템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생체인식을 이용한 PC 전원 제어방식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인식한 생체정보를 1차적으로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2차적으로 저장부에 저장한 저장 값을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를 한 후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해킹을 방지하고 저장장치의 도용시에도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는,
컴퓨터 전원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는 생체 인식부;
상기 생체 인식부에서 출력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한 후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제어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 제어 보드는 상기 생체 인식부에서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여 검증을 요청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컴퓨터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로부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하고,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데이터베이스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 결과를 도출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 제어부는 입력된 생체 데이터의 속성을 정해진 프로토콜 암호화 기법으로 변환하여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판단부는 상기 전원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토콜 암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생체정보 저장 값을 호출하는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에서 호출한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하는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 상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정보의 속성과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의 속성을 비교하여 속성의 일치 여부를 검증하는 속성 검증부; 상기 속성 검증부에 의해 검증한 결과를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결과 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속성 변환 프로토콜을 동기화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생체정보 저장 값의 프로토콜 변환을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거나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 변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상기 전원 제어 보드에 전달하거나, 상기 전원 제어 보드에 프로토콜 변환 알고리즘을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식한 생체정보를 1차적으로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2차적으로 저장부에 저장한 저장 값을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를 한 후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해킹을 방지하고 저장장치의 도용시에도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판단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생체 인식부(10), 전원 제어 보드(20), 전원부(30) 및 클라우드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부(10)는 컴퓨터 전원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전원 제어 보드(20)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생체 인식부(10)는 지문, 홍채 등과 같은 생체를 인식하는 통상의 생체인식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문을 생체정보로 인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전원 제어 보드(20)는 상기 생체 인식부(10)에서 출력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한 후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원 제어 보드(20)는 상기 생체 인식부(10)에서 출력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여 검증을 요청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컴퓨터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21), 상기 전원 제어부(21)로부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부(22)에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하고,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 결과를 도출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21)에 전달하는 판단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1)는 입력된 생체 데이터의 속성을 정해진 프로토콜 암호화 기법으로 변환하여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를 전원 제어부(21)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2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제어부(21)에서 출력되는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토콜 암호 수신부(51), 상기 저장부(22)에 저장된 생체정보 저장 값을 호출하는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52), 상기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52)에서 호출한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하는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53), 상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의 속성과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53)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의 속성을 비교하여 속성의 일치 여부를 검증하는 속성 검증부(54), 상기 속성 검증부(54)에 의해 검증한 결과를 전원 제어부(21)에 전달하는 결과 도출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53)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속성 변환 프로토콜을 동기화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생체정보 저장 값의 프로토콜 변환을 클라우드 서버(40)에 요청하거나 클라우드 서버(40)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 변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전원부(30)는 컴퓨터에 구동 전원(메인 전원, 대기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상기 전원 제어 보드(20)와 연동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생체정보 저장 값을 프로토콜 암호화 기법으로 속성 변환을 하여 암호화하거나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 변환을 위한 프로토콜 암호화 기법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하여 부팅을 하기 위해 사용자는 생체 인식부(10)의 입력부에 정해진 생체를 입력한다. 여기서 생체 정보가 지문이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손가락을 입력부의 정해진 위치에 접촉시켜 생체 정보를 입력한다.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생체 인식부(10)는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전원 제어 보드(20)에 전달한다.
전원 제어 보드(20)는 상기 생체 인식부(10)에서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한 후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전원 제어 보드(20)의 전원 제어부(21)는 상기 생체 인식부(10)에서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여 판단부(23)에 전달하고 생체 정보의 검증을 요청한다. 이렇게 생체 데이터의 속성을 변환하는 방식으로 암호화를 수행하면, 생체 데이터의 해킹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판단부(23)는 상기 전원 제어부(21)로부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부(22)에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하고,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 결과를 도출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21)에 전달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40)를 이용하는 것은 생체정보 저장 값의 변환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변환하여 보안성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즉, 판단부(2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암호 수신부(51)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21)에서 출력되는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 데이터베이스(DB) 호출부(52)에 전달한다.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52)는 프로토콜 암호 수신부(51)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데이터의 속성이 변환된 프로토콜 암호화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22)에 저장된 생체정보 저장 값을 호출한다. 그리고 저장부(22)로부터 호출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53)에 전달한다.
여기서 저장부(22)는 등록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순한 저장장치가 아니고, 암호화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생체정보 저장 값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53)는 상기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52)에 의해 생체정보 저장 값이 호출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52)에서 호출한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53)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40)와 연동하여 속성 변환 프로토콜을 동기화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생체정보 저장 값의 프로토콜 변환을 클라우드 서버(40)에 요청하거나 클라우드 서버(40)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 변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변환할 수 있다.
아울러 클라우드 서버(40)는 상기 전원 제어 보드(20)와 동기화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생체정보 저장 값을 프로토콜 암호화 기법으로 속성 변환을 하여 암호화하거나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 변환을 위한 프로토콜 암호화 기법을 제공해준다.
다음으로, 속성 검증부(54)는 상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의 속성과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53)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의 속성을 비교하여 속성이 일치하는지를 검증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생체 정보의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동기동화를 통해 저장된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하여, 양자를 비교하여 속성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저장장치인 저장부(22)를 훔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속성 변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저장장치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보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저장장치를 훔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해도, 내부적으로 속성 변환을 하는 프로토콜 암호화가 불가능하여, 저장장치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이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 보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속성 검증부(54)는 양자의 속성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허위라는 검증 결과를 결과 도출부(55)에 전달하고, 이와는 달리 양자의 속성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진위라는 검증 결과를 결과 도출부(55)에 전달한다.
결과 도출부(55)는 속성 검증부(54)를 통해 검증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결과가 허위이면 검증 실패라는 결과 정보를 전원 제어부(21)에 전달하고, 이와는 달리 수신한 결과가 진위이면 인증이라는 결과 정보를 전원 제어부(21)에 전달한다.
전원 제어부(21)는 검증 결과가 검증 실패이면 입력된 생체정보를 삭제하고, 전원부(30)에 컴퓨터 전원 온 신호를 전달하지 않으며, 검증 결과가 인증이면 전원 부(30)에 컴퓨터 전원 온 신호를 전달하여, 컴퓨터 전원이 켜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의 내부에 전원 제어 보드를 별도로 마련하고, 입력된 생체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생체 데이터의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로 변환하고, 저장된 생체 정보 저장 값 역시 블록체인 기반으로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로 변환한다. 이어,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생체정보의 사용자가 진정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함으로써, 저장장치가 도용된 경우에도 컴퓨터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생체 인식부
20: 전원 제어 보드
21: 전원 제어부
22: 저장부
23: 판단부
51: 프로토콜 암호 수신부
52: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
53: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
54: 속성 검증부
55: 결과 도출부
30: 전원부
40: 클라우드 서버

Claims (6)

  1. 생체인식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컴퓨터 전원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지문정보 또는 홍채정보를 생체정보로 인식하고,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는 생체 인식부; 및
    상기 생체 인식부에서 출력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고,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한 후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제어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 보드는 상기 생체 인식부에서 인식한 생체 데이터를 속성변환 기반의 프로토콜 암호화로 암호화하여 검증을 요청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컴퓨터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로부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한 생체정보 저장 값을 추출하고,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양자의 속성 데이터베이스 검증을 통해 컴퓨터의 전원 제어 결과를 도출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전원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토콜 암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생체정보 저장 값을 호출하는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베이스 호출부에서 호출한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프로토콜 암호화하는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 상기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정보의 속성과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에서 암호화한 데이터의 속성을 비교하여 속성의 일치 여부를 검증하는 속성 검증부; 상기 속성 검증부에 의해 검증한 결과를 전원 제어부에 전달하는 결과 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입력된 생체 데이터의 속성을 정해진 프로토콜 암호화 기법으로 변환하여 프로토콜 암호화된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저장 데이터 프로토콜 암호화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하여 속성 변환 프로토콜을 동기화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생체정보 저장 값의 프로토콜 변환을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거나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 변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생체정보 저장 값의 속성을 프로토콜 변환하여 상기 전원 제어 보드에 전달하거나, 상기 전원 제어 보드에 프로토콜 변환 알고리즘을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KR1020200061664A 2020-05-22 2020-05-22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KR10232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64A KR102325308B1 (ko) 2020-05-22 2020-05-22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64A KR102325308B1 (ko) 2020-05-22 2020-05-22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308B1 true KR102325308B1 (ko) 2021-11-12

Family

ID=7849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664A KR102325308B1 (ko) 2020-05-22 2020-05-22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3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71A (ko) 2001-04-10 2002-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시스템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6379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베프스 블록체인 시스템을 위한 생체 정보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71A (ko) 2001-04-10 2002-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시스템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6379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베프스 블록체인 시스템을 위한 생체 정보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6970B2 (en)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persistent storage and communications on computer network systems and computer network systems employing the same
JP5259400B2 (ja) ニアフィールド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伴うマスストレージデバイス
US20100138667A1 (en) Authentication using stored biometric data
US10693661B1 (en) Dynamic signature generation from keystroke dynamics
CN101072100B (zh) 一种利用可信赖平台模块的认证系统和认证方法
US7529944B2 (en) Support for multiple login method
US201002418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rypted smart card pin entry
CN110502886B (zh) 多重身份验证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EP1759259A2 (en) Architectures for privacy protection of biometric templates
CN103067390A (zh) 一种基于人脸特征的用户注册认证方法和系统
GB2360618A (en) Fingerprint reader and method of identification
CN101174953A (zh) 一种基于S/Key系统的身份认证方法
TW202037113A (zh) 用於操作物聯網設備的方法和系統
EP2192513B1 (en) Authentication using stored biometric data
JP2006099724A (ja) 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102160656B1 (ko) 장정맥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KR20050023050A (ko) 분할 생체정보를 이용한 암호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사용자 인증 방법
CN112580017A (zh) 认证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0392030B (zh) 一种基于生物特征的身份认证、业务处理方法及系统
CN100533458C (zh) 构成认证系统的处理装置、认证系统及其动作方法
KR102325308B1 (ko) 생체인식을 이용한 컴퓨터 전원 제어장치
CN110826038A (zh) 数据加解密方法及装置
US200300887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secure pin entry
KR102561689B1 (ko) 생체 정보 등록 장치 및 방법,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CA2693318C (en) Multi-level data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