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430B1 -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430B1
KR102324430B1 KR1020190153838A KR20190153838A KR102324430B1 KR 102324430 B1 KR102324430 B1 KR 102324430B1 KR 1020190153838 A KR1020190153838 A KR 1020190153838A KR 20190153838 A KR20190153838 A KR 20190153838A KR 102324430 B1 KR102324430 B1 KR 10232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cooling module
inclined portion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988A (ko
Inventor
고정훈
Original Assignee
(주)프레바이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레바이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프레바이오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5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4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85Devices for generating hot or cold treatment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는, 일측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자중에 의해 타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경사부 및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1 냉각모듈; 상기 제1 냉각모듈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사부를 따라 이동한 유체가 자중에 의해 반대편 일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반대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각각 개방 형성된 제2 냉각모듈; 및 상기 제2 냉각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냉각모듈을 통해 냉각된 유체를 수용하고,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3 냉각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Modular chiller and Infrared he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냉각하려는 유체의 온도 및 양에 따라 적절히 2 이상의 모듈을 결합하여 효율적인 냉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온열장치는 적외선 및 가시광선 등이 발광되는 LED나 할로겐 램프 등을 이용하여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전자기파로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인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인체에 전달된 열은 피부를 통해 내부에 침투하여 체온을 상승시킴과 더불어, 통증을 완화시키고, 혈액순환 개선, 세포재생 촉진 및 병원균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등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적외선이 장기간 인체에 조사되면 지나친 열 전달로 말미암아 화상이나 세포파괴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외선을 조사하는 장치 자체도 열로 인해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수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외선 온열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6356호의 "심부체온 상승용 적외선램프 모듈"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크기의 함체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투명커버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측 공간부에 다수 배치되어 설치되는 적외선발광부와, 상기 적외선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의 공간부에 필터액이 채워지고 일측에는 필터액 유입구가 타측에는 필터액 유출구가 형성되고 이를 순환하도록 한 필터액 순환로상에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필터액이 냉각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적외선 램프를 용이하게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필터액 순환로 상에 어떠한 냉각장치를 부가하는지에 따라 냉각효율이 크게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필터액이 적외선 램프가 설치된 공간상에 위치하여 적외선 램프의 열을 흡수하도록 구비되어 있어서, 필터액이 램프로 침투하여 누전 등이 발생할 염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2231호의 "지외선 치료기의 냉각 시스템"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적외선 치료기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외선 치료기에서 고온의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냉각수를 순환, 공급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며,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냉각수가 교체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적외선 치료기로 적정 온도의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적외선 치료기를 냉각시키고 회수된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일정 온도 이상이면 배출하고 수전으로부터 새로운 냉각수를 공급하여 일정한 온도의 냉각수를 제공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도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수전이 없는 장소에 설치할 수 없으며,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배출하여 수자원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부 적외선 장치를 팬에 의해 직접 공냉하는 기술이 존재하나, 할로겐 램프 등 많은 전력을 사용하여 적외선을 조사하는 장치의 열을 방열하는데는 공냉식 구조만으로는 온도를 충분히 낮추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6356호 (2015.04.23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2231호 (2019.01.08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냉각하려는 유체의 온도 및 양에 따라 적절히 2 이상의 모듈을 결합하여 효율적인 냉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는, 일측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자중에 의해 타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경사부 및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1 냉각모듈; 상기 제1 냉각모듈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사부를 따라 이동한 유체가 자중에 의해 반대편 일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반대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각각 개방 형성된 제2 냉각모듈; 및 상기 제2 냉각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냉각모듈을 통해 냉각된 유체를 수용하고,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3 냉각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각각의 냉각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로 이뤄지며, 상기 제1 냉각모듈의 하부와 상기 제2 냉각모듈의 상부, 상기 제2 냉각모듈의 상부와 또 다른 제2 냉각모듈의 하부 및 상기 제2 냉각모듈의 하부와 상기 제3 냉각모듈의 상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부는 판 형상으로 이뤄지며, 상기 판 형상의 경사부의 이면에는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제1 냉각모듈 및 제2 냉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의 경사부의 하부 일측 위치에 상기 유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제1 냉각모듈의 상부측에는 회전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공기순환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각각의 냉각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듈형 냉각장치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동작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경사각은 제1 냉각모듈로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 모듈형 냉각장치 내부의 온도 및 상기 제3 냉각모듈에 수용된 유체의 온도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냉각모듈은, 몸체 양 측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냉각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조절공과, 상기 조절공을 상호 관통하여 연결하면서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조절봉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봉을 냉각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바이메탈(bimetal)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에서, 상기 제3 냉각모듈은, 금속의 몸체로 이뤄지고, 내부 일측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외측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기는, 모듈형 냉각장치; 적외선이 방출되는 할로겐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로부터 냉각된 유체를 공급받고 상기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유체로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외선 온열장치; 및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에서 가열된 유체를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는, 일측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자중에 의해 타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경사부 및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1 냉각모듈, 상기 제1 냉각모듈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사부를 따라 이동한 유체가 자중에 의해 반대편 일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반대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각각 개방 형성된 제2 냉각모듈, 및 상기 제2 냉각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냉각모듈을 통해 냉각된 유체를 수용하고,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3 냉각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기에서, 상기 할로겐 램프는, 원통관 형상의 외측하우징, 상기 외측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체유입구, 유체유출구 및 내측하우징 장착공이 형성된 원형캡 형상의 캡부재, 상기 내측하우징 장착공을 통해 상기 외측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원통관 형상의 내측하우징, 상기 내측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할로겐 필라멘트가 포함된 램프모듈, 및 상기 유체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외측하우징과 내측하우징 사이에 유체가 균일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된 유체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기에서, 상기 외측하우징 상부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유입구 및 유체유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 개폐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결합, 분리가 용이하고 유체의 온도 및 양에 따라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원활하게 냉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높은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저비용 고효율의 냉각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유체의 온도 및 양에 따라 냉각팬의 속도 및/또는 경사부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더욱 효율적인 냉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된 유체가 균일하게 공급되어 적외선 온열장치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의 모듈별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기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할로겐 램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의 모듈별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10)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고 적외선 온열장치(20') 등의 온열장치를 냉각하고 회수되는 유체가 유입되는 제1 냉각모듈(100), 제1 냉각모듈(100)에서 냉각이 이뤄진 유체를 더욱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제2 냉각모듈(200) 및 제2 냉각모듈(200)에서 추가적인 냉각이 이뤄진 유체를 수용하고 다시 적외선 온열장치(2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냉각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냉각모듈(100)은 일측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60), 상기 유입구(16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자중에 의해 타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경사부(120) 및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부(120)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140)을 포함한다.
펌프(50, 도 5 참고)에 의해 유입구(160)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1 경사부(120)로 떨어져서 자중에 의해 제1 경사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타측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냉각팬(140)은 상기 제1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에 냉각된 공기를 불어넣게 되며, 이러한 냉각된 공기에 의해 유체가 점점 냉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팬(140) 및 후술하는 제2 냉각모듈(200)의 냉각팬(240)의 외측에는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교환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140)은 상기 유체가 냉각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유체의 이동 속도가 느려지도록 함으로써 냉각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강력한 유체의 냉각이 이뤄지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사부(120)는 상기 제1 냉각모듈(1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 결합수단에 의해 제1 냉각모듈(100)의 하부 및/또는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1 경사부(120) 및 후술하는 제2 경사부(220)는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 냉각모듈(100)은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이 이뤄진 유체를 제2 냉각모듈(200)로 전달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냉각모듈(100)은 상부측에 회전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공기순환팬(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팬(180)은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후술)와 유사한 역할, 제1 냉각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또는 자체적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역할 및/또는 내부를 더욱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예로, 제1 냉각모듈(100)의 내부 및 외부에는 각각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순환팬(180)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냉각모듈(1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가열되는 제1 냉각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미리 설정된 일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순환팬(18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내부 공기의 제1 냉각모듈(100) 내부에서의 순환을 활성화시켜 차가운 공기가 유체에 더욱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강한 유체 냉각이 이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열교환기(미도시)는 상기 공기순환팬(180)의 상단에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순환팬(180)을 통해 냉각된 공기가 더욱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지속적인 유체 공급으로 인해 제1 냉각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가열됨으로써 내부측정온도가 일정 온도(예, 외부측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외부의 찬공기를 주입하는 것보다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순환팬(18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1 냉각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팬(140)에 의한 찬 공기가 더욱 용이하게 유입되면서 제1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하는(흐르는) 유체를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은 상기 제1 냉각모듈(10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한 유체가 자중에 의해 반대편 일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경사부(220) 및 상기 반대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경사부(220)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경사부(220) 및 냉각팬(240)은, 전술한 제1 경사부(120) 및 냉각팬(140)과 유사하게, 상기 제1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하여 제2 냉각모듈(200)에 자중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경사부(220)를 따라 반대편 일측 하부로 이동하면서 냉각팬(240)에 의해 냉각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2 경사부(220)는 상기 제1 경사부(120)와 경사 방향이 상호 엇갈린 형태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우측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경사부(22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는 좌측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은 상부 및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각각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모듈(100)에서 냉각된 유체가 자중에 의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냉각이 이뤄지면서 자중에 의해 또 다른 제2 냉각모듈(200) 및/또는 제3 냉각모듈(300)로 이동,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은 2 이상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형태의 냉각모듈이 상하로 위치하되 각각의 경사부가 경사 방향이 상호 엇갈린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고).
상기 2 이상의 제2 냉각모듈(200)은, 상기 제1 냉각모듈(100)에서 일차적으로 냉각이 이뤄진 유체를 더욱 냉각하는 것으로, 냉각 속도, 유체의 온도 및/또는 양, 적외선 온열기에서 필요로 하는 유체의 온도 등에 따라 2 이상의 단을 적층 결합하는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적층하는 단이 많아질 수록 더욱 유체의 냉각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다단 구조의 냉각모듈(200)은 유체가 넓게 펼쳐지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각팬(240)에 의해 냉각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냉각이 이뤄지는 한편, 냉각 속도, 유체 양, 유체 온도 등에 따라 적절한 규모의 냉각장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3 냉각모듈(300)은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을 통해 냉각된 유체를 수용하고,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36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냉각모듈(300)은 상기 제2 냉각모듈(200)로부터 유체가 자중에 의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다.
상기 제3 냉각모듈(300)에 수용된 유체는 적외선 온열기에 구비된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한 제어명령 및 펌프(30)의 구동에 의해 적외선 온열장치(20')로 이동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예로, 상기 각각의 냉각모듈(100, 200, 300)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모듈(100)의 하부와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의 상부,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의 상부와 또 다른 제2 냉각모듈(200)의 하부 및 상기 제2 냉각모듈(200)의 하부와 상기 제3 냉각모듈(300)의 상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결합수단(114, 212, 214, 312)이 구비되어 상호간 삽입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뤄진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모듈(100)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114)와 제2 냉각모듈(200)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212)가 각각 상호 끼움결합에 의해 걸림이 이뤄져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냉각모듈(100, 200)이 간단하게 상하 결합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냉각모듈(100, 200)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돌기(114, 214)가 냉각모듈(200, 300)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돌기(212, 31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모듈간의 결합상태에서 내부의 유체가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10)에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12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부는 판 형상으로 이뤄진다.
상기 판 형상의 경사부의 이면에는 방열핀(1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핀(122)은 해당 냉각모듈(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각모듈(200)의 냉각팬에 의해 냉각이 이뤄짐으로써 경사부(120)가 차가운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경사면에서 더욱 냉각이 이뤄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판 형상의 경사부(120, 220)는 금속재로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10)에서, 상기 제1 냉각모듈(100) 및 제2 냉각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의 경사부(120, 220)의 하부 일측 위치에 상기 유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90, 29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구(190, 290)는 상기 유체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상기 냉각팬(140, 240)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경사부(120, 220)의 하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공기 배출구(190, 2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의 온도가 차갑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10)에서, 상기 각각의 냉각팬(140, 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동작 속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어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상기 냉각팬(140, 240)의 속도를 높이면, 냉각된 공기가 더욱 빠르게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냉각팬(140, 240)에 의한 바람에 의해 상기 각각의 경사부(120, 22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동일 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유체가 더욱 강하게 냉각될 수 있으며, 유체의 표면만이 아니라 유체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침투할 수 있어서 냉각효율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냉각팬(140, 240)의 속도를 적정 속도로 유지하면서도 냉각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냉각팬(140, 240) 가동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의 온도는 내부 공기의 온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를 흐르는 유체 또는 상기 제3 냉각모듈(300)에 수용된 유체의 온도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의 단면 모식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10)에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12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경사각이 완만하게 조절되는 경우 상기 경사부(120, 22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감소하게 되는 반면, 더욱 강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각이 급하게 조절되는 경우 상기 경사부(120, 22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약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은 제1 냉각모듈(1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의 온도 및 상기 제3 냉각모듈(300)에 수용된 유체의 온도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조절된다.
예를 들어, 제1 냉각모듈(1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더욱 강한 냉각효과를 필요로 하므로, 경사각이 완만하게 형성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냉각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냉각팬(140, 240)의 속도를 더욱 빠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 내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3 냉각모듈(300)에 수용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도 상기 경사부(120, 220)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경사부(120, 220)의 경사각을 상대적으로 급하게 제어하여 신속하게 유체가 이동되도록 하면서도 일정 이상의 냉각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상기 경사부(120, 220)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냉각모듈(100, 200)은, 몸체 양 측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냉각모듈(100, 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조절공(調節孔, 262)과, 상기 조절공(262)을 상호 관통하여 연결하면서 상기 경사부(120, 220)를 지지하는 조절봉(26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조절봉(260)을 냉각모듈(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봉(260)을 냉각모듈(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절봉(260)에 의해 경사부(220)의 하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상기 경사부(220)의 경사각이 완만하게 이뤄진다. 또한 상기 조절봉(260)을 냉각모듈(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220)의 하부가 더욱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경사부(220)의 경사각이 급하게 이뤄진다.
이러한 조절봉(260)의 이동만으로 경사부(220)의 경사각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현재 냉각상태 및 냉각 요구상태에 따른 경사각의 조절이 모듈형 냉각장치(10)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제1 경사부(120) 또는 제2 경사부(220)는 각각의 냉각팬(140, 240)에 의해 유체가 상측으로 밀리면서 각각의 경사부(120, 220)의 양측면을 통해 하부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냉각모듈(100) 또는 제2 냉각모듈(200)의 내측 양측면과의 간격을 최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경사부(120, 220)의 양측면에 실리콘 재질의 개스킷 등 유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별도의 기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상기 각각의 경사부(12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바이메탈(bimetal)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메탈(bimetal)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두 종류의 금속을 붙여서 만든 것으로, 주로 열팽창률이 다른 금속을 접합하여 이뤄진다.
상기 바이메탈(bimetal)로 이뤄진 경사부(220)는 상하층의 열팽창률이 서로 다르므로, 경사부(22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에 의해 열팽창이 다른 비율로 발생함으로써 경사부(220)의 경사각이 조절된다.
일예로, 상측 금속(222)의 열팽창률이 하측 금속(224)의 열팽창률보다 낮은 금속으로 바이메탈(bimetal) 경사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금속(222)을 철, 몰리브덴, 니켈 등으로, 하측 금속(224)을 구리, 망간, 알루미늄, 아연 등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20)를 흐르는 유체(또는 내부공기)의 온도가 높을 수록 하측 금속(224)의 열팽창률이 상대적으로 커서 더욱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도 4의 (b)에서와 같이 경사부(220)의 경사각이 완만하게 변형된다.
만일 경사부(220)를 흐르는 유체(또는 내부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하측 금속(224)이 더욱 빠르게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도 4의 (a)에서와 같이 경사부(220)의 경사각이 급하게 변형된다.
즉, 유체(또는 내부공기)의 온도가 높을 수록 냉각이 잘 이뤄져야 하므로 바이메탈에 의해 경사각이 완만하게 변형되고, 유체(또는 내부공기)의 온도가 낮을 수록 냉각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으므로 경사각이 급하게 변형되도록 하여 냉각되는 유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냉각모듈(300)은 금속의 몸체로 이뤄지고, 내부 일측에 온도센서(320)가 구비되며, 외측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33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냉각모듈(300)은 냉각된 유체를 수용하는 곳으로, 냉각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냉각을 위해 열전소자(330)에 의한 냉각이 이뤄지도록 한다. 상기 열전소자(330)는 반도체로 이뤄진 얇은 판 형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일측은 더욱 차갑게 되고, 타측은 더욱 뜨겁게 되는 성질이 있다.
상기 온도센서(32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냉각모듈(300)의 외측 일면에 부착된 열전소자(330)의 일측을 더욱 차갑게 함으로써 제3 냉각모듈(300)에 수용된 유체가 더욱 냉각될 수 있으며, 정확한 냉각온도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열전소자(330)의 타측에는 별도의 냉각핀(350)과 팬(370)이 구비되어 열전소자(330)가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냉각장치(10)는 적외선 온열기의 구성요소로서 적외선 온열장치(20')를 냉각하고 회수되는 유체를 냉각하여 다시 적외선 온열장치(20')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이 발생되어 이를 유체로서 냉각하는 수냉 방식의 장치에 냉각된 유체를 공급하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기의 단면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할로겐 램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온열기는, 전술한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와 적외선 온열장치(20') 및 펌프(30, 5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20')는 적외선이 방출되는 할로겐 램프(20)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로부터 냉각된 유체를 공급받고 상기 할로겐 램프(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유체로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프(30, 50)는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20')에서 가열된 유체를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로 이동시키고,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에서 냉각이 이뤄진 유체를 다시 적외선 온열장치(2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20')는 긴 원통관 형상의 할로겐 램프(20)가 2 이상 배치되어 형성되고, 후술하는 유체유입구(25a)도 하나의 외부 유입관(미도시)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유체유입구(25a)로 유체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외선 온열장치(2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패널 및 적외선 온열장치와 상기 펌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하나의 할로겐 램프(20)를 기준으로 냉각된 유체의 이동, 유체의 가열 및 가열된 유체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20')의 할로겐 램프(20) 및 다른 구성요소들은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10-1964803호 (2019.03.27 등록) 및 종래기술에 따른 적외선 온열장치의 구성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할로겐 램프(20)는, 원통관 형상의 외측하우징(24)과, 상기 외측하우징(24)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체유입구(25a), 유체유출구(25b) 및 내측하우징 장착공(부호 미도시)이 형성된 원형캡 형상의 캡부재(28)와, 상기 내측하우징 장착공(부호 미도시)을 통해 상기 외측하우징(24) 내에 배치되는 원통관 형상의 내측하우징(22)과, 상기 내측하우징(22) 내에 배치되며 할로겐 필라멘트(21a)가 포함된 램프모듈(21) 및 유체공급관(27)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미설명부호 21b는 램프하우징이다.
상기 유체공급관(27)은 상기 유체유입구(25a)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외측하우징(24)과 내측하우징(22) 사이에 유체가 균일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분출공(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유체유입관(25a)을 통해 냉각된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유체유입관(25a) 직후부터 급격하게 유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냉각된 유체가 적외선 온열장치(20') 내부, 더욱 바람직하게 할로겐 램프(20) 내부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적외선 온열장치(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한 열 및 가열된 유체로 인해 뜨거움을 느끼게 되어 가열된 유체를 순환시키더라도, 적외선 온열장치(20') 내부 일부분을 중심으로 냉각된 유체가 공급되므로 상당 시간동안 부분적으로 차갑고 부분적으로 뜨거운 현상이 발생 소지가 높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관(27)을 상기 유체유입구(25a)와 연결하고 유체유입구(25a)로부터 유입된 냉각된 유체를 상기 유체공급관(27)을 통해 공급하게 되면, 냉각된 유체가 상기 유체공급관(27)의 분출공(부호 미도시)을 통해 할로겐 램프(20) 내부에 균일하게 공급된다. 즉, 상기 유체공급관(27)은 냉각된 유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적외선 온열장치(20') 내부에 전달되도록 하며, 균일한 냉각효과로 인해 적외선 온열기의 사용자도 신체의 어느 일부분만 차가워지거나 뜨거운 상태가 유지되지 않게 된다.
일예로,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20')는, 상기 외측하우징(24) 상부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29)와, 상기 온도센서(29)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유입구(25a) 및 유체유출구(25b)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 개폐밸브(26a, 26b)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외측하우징(24) 상부측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되거나 별도의 판 형상의 베드부를 통해 사용자와 접촉될 수 있는 곳으로, 적외선 온열장치(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유체에 의한 필터링을 거쳐 사용자에게 조사되는 가장 가까운 위치에 해당한다.
상기 외측하우징(24) 상부측에 온도센서(29)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외선 온열장치(20')에 의한 적외선 조사 상태에서 가장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온도 측정시 검출(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적외선 온열장치(20') 내부의 유체의 교체 시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온도센서(29)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쾌적 온도(예, 50도)를 넘어서는 경우 유체유입구측 개폐밸브(26a)를 구동시켜 유체유입구(25a)를 개방하고 냉각된 유체를 유입시키며, 유체유출구측 개폐밸브(26b)를 구동시켜 유체유출구(25b)를 개방하고 가열된 유체가 관(부호 미도시)을 따라 모듈형 냉각장치(10)로 유출되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개폐밸브(26a, 26b)의 개방시 펌프(30, 50)의 제어가 함께 이뤄지며, 펌프(30, 50)에 의해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에서 냉각된 유체가 적외선 온열장치(20')로 유입되고,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20')에서 가열된 유체가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10)로 유입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모듈형 냉각장치 20': 적외선 온열장치
20: 할로겐 램프
30, 50: 펌프
100: 제1 냉각모듈 200: 제2 냉각모듈
300: 제3 냉각모듈

Claims (14)

  1. 일측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자중에 의해 타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경사부 및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1 냉각모듈;
    상기 제1 냉각모듈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사부를 따라 이동한 유체가 자중에 의해 반대편 일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반대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각각 개방 형성된 제2 냉각모듈; 및
    상기 제2 냉각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냉각모듈을 통해 냉각된 유체를 수용하고,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3 냉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부는 판 형상으로 이뤄지며, 상기 판 형상의 경사부의 이면에는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냉각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로 이뤄지며, 상기 제1 냉각모듈의 하부와 상기 제2 냉각모듈의 상부, 상기 제2 냉각모듈의 상부와 또 다른 제2 냉각모듈의 하부 및 상기 제2 냉각모듈의 하부와 상기 제3 냉각모듈의 상부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모듈 및 제2 냉각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의 경사부의 하부 일측 위치에 상기 유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모듈의 상부측에는 회전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공기순환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냉각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듈형 냉각장치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동작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제1 냉각모듈로 유입되는 유체의 온도, 모듈형 냉각장치 내부의 온도 및 상기 제3 냉각모듈에 수용된 유체의 온도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냉각모듈은,
    몸체 양 측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냉각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조절공과, 상기 조절공을 상호 관통하여 연결하면서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조절봉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봉을 냉각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바이메탈(bimetal)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냉각모듈은,
    금속의 몸체로 이뤄지고, 내부 일측에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외측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냉각장치.
  12. 모듈형 냉각장치;
    적외선이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할로겐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로부터 냉각된 유체를 공급받고 상기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유체로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외선 온열장치; 및
    상기 적외선 온열장치에서 가열된 유체를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냉각장치는,
    일측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자중에 의해 타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경사부 및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1 냉각모듈,
    상기 제1 냉각모듈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사부를 따라 이동한 유체가 자중에 의해 반대편 일측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반대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경사부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적어도 일부가 각각 개방 형성된 제2 냉각모듈, 및
    상기 제2 냉각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냉각모듈을 통해 냉각된 유체를 수용하고,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며, 상부 적어도 일부가 개방 형성된 제3 냉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부는 판 형상으로 이뤄지며, 상기 판 형상의 경사부의 이면에는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온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램프는,
    원통관 형상의 외측하우징,
    상기 외측하우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체유입구, 유체유출구 및 내측하우징 장착공이 형성된 원형캡 형상의 캡부재,
    상기 내측하우징 장착공을 통해 상기 외측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원통관 형상의 내측하우징,
    상기 내측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할로겐 필라멘트가 포함된 램프모듈, 및
    상기 유체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외측하우징과 내측하우징 사이에 유체가 균일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된 유체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온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하우징 상부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유입구 및 유체유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 개폐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온열기.
KR1020190153838A 2019-11-26 2019-11-26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KR10232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38A KR102324430B1 (ko) 2019-11-26 2019-11-26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38A KR102324430B1 (ko) 2019-11-26 2019-11-26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88A KR20210064988A (ko) 2021-06-03
KR102324430B1 true KR102324430B1 (ko) 2021-11-11

Family

ID=7639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38A KR102324430B1 (ko) 2019-11-26 2019-11-26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4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211B2 (ja) 1990-11-29 2001-04-03 株式会社熊谷組 骨材冷却装置
JP3786509B2 (ja) 1997-10-20 2006-06-14 ニチアス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KR101516356B1 (ko) 2013-11-11 2015-05-04 쿠바지앤 주식회사 심부체온 상승용 적외선램프모듈
KR101837891B1 (ko) 2017-02-22 2018-03-13 이우주 액체 순환형 이중관 램프
KR101964803B1 (ko) * 2018-08-12 2019-04-02 고정훈 액체 순환형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231A (ko) 2017-06-29 2019-01-08 쿠바지앤 주식회사 적외선 치료기의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211B2 (ja) 1990-11-29 2001-04-03 株式会社熊谷組 骨材冷却装置
JP3786509B2 (ja) 1997-10-20 2006-06-14 ニチアス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KR101516356B1 (ko) 2013-11-11 2015-05-04 쿠바지앤 주식회사 심부체온 상승용 적외선램프모듈
KR101837891B1 (ko) 2017-02-22 2018-03-13 이우주 액체 순환형 이중관 램프
KR101964803B1 (ko) * 2018-08-12 2019-04-02 고정훈 액체 순환형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88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694B1 (ko) 물을 이용한 매트의 냉온수순환장치
KR100726190B1 (ko) 매트용 냉온수 겸용 보일러
ES2927365T3 (es) Carcasa de disipación de calor por refrigeración y método de control de disipación de calor
JP2000274788A (ja) 加温装置、冷却装置及びこの冷却装置を利用した空調装置
JP2012073018A (ja) 熱電型飲用装置及び熱電ヒートポンプ
KR102295457B1 (ko) 수처리 장치용 냉수생성모듈
KR102324430B1 (ko) 모듈형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온열기
KR101733090B1 (ko) 물공급유닛과 이를 이용한 냉온수매트
KR20160114810A (ko)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냉온 매트
KR101429523B1 (ko) 펠티어 소자를 구비한 얼굴용 냉온 찜질장치
KR101700912B1 (ko) 냉온선풍기
KR101606287B1 (ko) 적외선 발산장치용 패널 부분 냉각장치
KR20150094360A (ko) 열전 소자를 이용한 정수기의 냉온 장치
KR102494251B1 (ko) 열전도형 휴대형 냉온방기구
CN108037815B (zh) 笔记本散热装置
JP7053570B2 (ja) 筐体壁を有する酸素供給器
KR101577054B1 (ko) 제습기능을 갖는 냉온수 공급유닛
KR102407029B1 (ko) 광 조사를 이용한 온열 케어기
CN113646036A (zh) 双加热或冷却系统及其使用
KR101470422B1 (ko) 냉, 온수 겸용 매트
JPH07234036A (ja) 熱電変換素子の吸・発熱量可変装置
KR20160136126A (ko) 저비용 고효율 제트 온풍기
KR101842619B1 (ko) 진공챔버를 이용한 식음료 냉온공급장치
KR101795657B1 (ko) 열전 소자 냉각 구조를 가진 압력 조절 방식의 냉각 장치
KR101790633B1 (ko) 원적외선 방사 라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