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401B1 - 애완동물용 하네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401B1
KR102324401B1 KR1020210051551A KR20210051551A KR102324401B1 KR 102324401 B1 KR102324401 B1 KR 102324401B1 KR 1020210051551 A KR1020210051551 A KR 1020210051551A KR 20210051551 A KR20210051551 A KR 20210051551A KR 102324401 B1 KR102324401 B1 KR 10232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houlder
unit
seam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승
Original Assignee
윤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승 filed Critical 윤희승
Priority to KR102021005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8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pockets or similar for carrying 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동물용 하네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이고,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한 쌍의 어깨감쌈부; 상기 어깨감쌈부 각각의 내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쿠션형성부; 상기 어깨감쌈부 각각을 서로 연결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 및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며,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몸통감쌈부; 및 상기 한 쌍의 어깨감쌈부의 양단부를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서 고정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 일부를 감싸는 판상형 구조이고, 애완동물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장착할 수 있는 등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동물의 어깨와 몸통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애완동물에 착용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체형에 따라 맞춤 조절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용 가방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하네스{Pet towlin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어깨와 몸통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애완동물에 착용되어 견인줄을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이란 가정에서 보고 즐기기 위해서 기르는 동물을 일컫는 것으로써, 몸집이 작고 귀엽거나 색깔, 모양 또는 사람을 잘 따르는 것 등이 애완동물의 대상이 된다. 예로부터 사람과 가깝고 친근하게 지낼 수 있는 개와 고양이를 주로 기르고 있고 현대에는 돼지 등의 포유류 및 도마뱀 등의 파충류까지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을 동반하여 산책 또는 운동을 목적으로 외출을 하게되면 목줄 또는 가슴줄과 같은 견인줄을 착용해야 한다고 관련 법으로 지정된 동물보호법에 명시되어 있고 이를 위반하면 5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해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애완동물이 타인에게 저돌적으로 달려들어 공포심 유발을 방지하고 주인이 가고자 하는 길로 잘 따라올 수 있도록 견인줄을 착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견인줄은 대체로 애완동물의 목에 착용되는 목밴드 또는 몸에 착용되는 하네스(harness)와 선단을 연결하고 주인은 그 견인줄의 말단을 손에 쥐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 발명은 몸에 착용하는 하네스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다양한 하네스가 보급되고 있고, 그 일례로 실용신안등록 제0484037호(명칭: 애완동물용 하네스, 도 1 참조)가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표보면, 애완동물의 목 또는 어깨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체결스트랩 상기 체결스트랩에 연결되는 견인줄 패드 형상을 이루도록 연성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하네스는 애완동물의 가슴에 체결스트랩을 기재되지 않았지만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착용시킨 후 고정을 하고, 견인줄을 장착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산책 중 애완동물의 견인력이 강해지거나 또는 다른 타 애완동물에게 저돌적으로 달려드는 경우 체결스트랩을 고정한 고정수단이 파손되면 무방비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구속이 해체된다.
즉, 하네스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해체되면 애완동물을 구속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 없어 돌발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 양측에 각각 고정된 스트랩을 고정하면서도 애완동물의 몸의 크기에 맞춰 고정되도록 실용신안공개 제2016-0002739호(명칭: 목줄 길이조절장치)가 공개되었으며 그 길이조절장치로 양측 스트랩에 고정하더라도 애완동물의 돌발행동에 의해 스트랩이 밀려 쉽게 풀려 해체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종래의 하네스는 애완동물에게 필요한 액세서리의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037호 (등록일자: 2017년07월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어깨와 몸통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애완동물에 착용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체형에 따라 맞춤 조절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용 가방(142)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이고,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한 쌍의 어깨감쌈부; 상기 어깨감쌈부 각각의 내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쿠션형성부; 상기 어깨감쌈부 각각을 서로 연결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 및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며,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몸통감쌈부; 및 상기 한 쌍의 어깨감쌈부의 양단부를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서 고정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 일부를 감싸는 판상형 구조이고, 애완동물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장착할 수 있는 등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깨감쌈부는,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의 전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전방부; 및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의 후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션형성부는,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의 폭보다 100 내지 200 %의 폭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가 충진되어 있는 유연한 특성의 패브릭(fabric)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션형성부는, 상기 어깨감쌈부의 일측과 제1봉제선에 의해 결속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가슴접촉부; 및 상기 가슴접촉부와 제2봉제선에 의해 결속되고, 애완동물의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어깨감쌈부의 타측과 제3봉제선에 의해 결속되는 몸통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션형성부는, 상기 제1봉제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1봉제선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1봉제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제1공기주입부; 상기 제2봉제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2봉제선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2봉제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제2공기주입부; 및 상기 제3봉제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3봉제선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3봉제선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제3공기주입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상기 등고정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1공기주입부, 제2공기주입부 및 제3공기주입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공기주입장치; 및 상기 공기주입장치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주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상기 가슴접촉부에 장착되고, 애완동물의 심박수 및 심전도를 측정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1생체신호검출부; 상기 몸통접촉부에 장착되고, 애완동물의 체온 및 호흡량을 측정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2생체신호검출부; 상기 등고정부에 내장되고, 제1생체신호검출부 및 제2생체신호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현재 신체 상태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한 후, 결과값을 출력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등고정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결과값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상기 제어부에 내장되고,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실시간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치검출부, 제1생체신호검출부 및 제2생체신호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애완동물의 신체상태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 후, 결과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고정부는, 애완동물의 등 부분의 일부를 감싸는 판상형 구조이고, 유연한 특성의 패브릭 소재 또는 가죽 소재로 구성되는 등고정판; 상기 등고정판의 상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애완동물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결속할 수 있는 가방결속부; 상기 등고정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어깨감쌈부의 전방부와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 전방결속부; 및 상기 등고정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어깨감쌈부의 후방부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 후방결속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결속부는, 어깨감쌈부의 후방부와 버클구조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어깨감쌈부, 쿠션형성부, 몸통감쌈부 및 등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어깨와 몸통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애완동물에 착용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체형에 따라 맞춤 조절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용 가방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포함하는 어깨감쌈부를 구비하고, 어깨감쌈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쿠션형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어깨와 몸통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애완동물에 착용되어 애완동물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급작스런 하네스 견인 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애완동물에게 신체적 충격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봉제선, 제2봉제선 및 제3봉제선에 의해 가슴접촉부와 몸통접촉부를 구성하는 쿠션형성부를 구비하고, 제1봉제선, 제2봉제선 및 제3봉제선 각각에 제1공기주입부, 제2공기주입부 및 제3공기주입부를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봉제선의 폭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봉제선의 폭 조절에 따라 쿠션형성부를 구성하는 가슴접촉부와 몸통접촉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애완동물의 신체에 밀착하여 착용될 수 있으며, 밀착 착용 후에도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 탄력 있게 늘어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신체적 충격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애완동물의 신체에 밀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하네스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생체신호검출부, 제2생체신호검출부, 위치검출부, 제어부 및 출력부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현재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운동량 및 건강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어, 애완동물과의 산책 강도 및 산책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와 쿠션형성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 쿠션형성부 및 몸통감쌈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 쿠션형성부, 몸통감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등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등고정부를 이용하여 가방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 쿠션형성부, 몸통감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8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는, 특정 구조의 어깨감쌈부(110), 쿠션형성부(120), 몸통감쌈부(130) 및 등고정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어깨와 몸통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애완동물에 착용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체형에 따라 맞춤 조절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용 가방(142)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와 쿠션형성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 쿠션형성부 및 몸통감쌈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 쿠션형성부, 몸통감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어깨감쌈부(110)는,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이고,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형성부(120)는, 어깨감쌈부(110) 각각의 내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몸통감쌈부(130)는, 어깨감쌈부(110)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의 가슴부분 및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며,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등고정부(140)는, 한 쌍의 어깨감쌈부(110)의 양단부를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서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의 등 부분 일부를 감싸는 판상형 구조이고, 애완동물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장착할 수 있는 가방결속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어깨감쌈부(110)는, 특정 구조의 전방부(111) 및 후방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깨감쌈부(110)의 전방부(111)는,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의 전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어깨감쌈부(110)의 후방부(112)는,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의 후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경우에 따라서, 쿠션형성부(120)는, 전방부(111)와 후방부(112)의 폭보다 100 내지 200 %의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쿠션형성부(120)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쿠션형성부(120)는 유연한 특성의 패브릭(fabric)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전방부(111) 및 후방부(112)를 포함하는 어깨감쌈부(110)를 구비하고, 어깨감쌈부(110)의 전방부(111)와 후방부(112)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쿠션형성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어깨와 몸통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애완동물에 착용되어 애완동물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급작스런 하네스 견인 동작이 발생하더라도 애완동물에게 신체적 충격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등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등고정부를 이용하여 가방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등고정부(140)는, 특정 구조의 등고정판(141), 가방결속부(142), 전방결속부(143) 및 후방결속부(14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고정부(140)의 등고정판(141)은, 애완동물의 등 부분의 일부를 감싸는 판상형 구조로서, 유연한 특성의 패브릭 소재 또는 가죽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방 결속부(142)는, 등고정판(141)의 상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결속시킬 수 있다.
등고정부(140)의 전방결속부(143)는, 등고정판(14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서, 어깨감쌈부(110)의 전방부(111)와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등고정부(140)의 후방결속부(144)는, 등고정판(141)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서, 어깨감쌈부(110)의 후방부(112)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이때, 후방결속부(144)는, 어깨감쌈부(110)의 후방부(112)와 버클구조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어깨감쌈부, 쿠션형성부, 몸통감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 9의 B-B'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8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8의 C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의 쿠션형성부(120)는 특정 구조의 가슴접촉부(121) 및 몸통접촉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가슴접촉부(121)는, 어깨감쌈부(110)의 일측과 제1봉제선(151)에 의해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통접촉부(122)는, 가슴접촉부(121)와 제2봉제선(152)에 의해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의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어깨감쌈부(110)의 타측과 제3봉제선(153)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이때,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봉제선(151, 152, 153)에는 각각의 봉제선(151, 152, 153)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제1, 2, 3 공기주입부(161, 162, 163)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봉제선(151)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봉제선(151)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제1공기주입부(16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공기주입부(161)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1봉제선(151)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1봉제선(151)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제2봉제선(152)에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봉제선(152)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제2공기주입부(16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공기주입부(162)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2봉제선(152)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2봉제선(152)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제3봉제선(153)에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봉제선(153)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제3공기주입부(163)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3공기주입부(163)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3봉제선(153)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3봉제선(153)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봉제선(151), 제2봉제선(152) 및 제3봉제선(153)에 의해 가슴접촉부(121)와 몸통접촉부(122)를 구성하는 쿠션형성부(120)를 구비하고, 제1봉제선(151), 제2봉제선(152) 및 제3봉제선(153) 각각에 제1공기주입부(161), 제2공기주입부(162) 및 제3공기주입부(163)를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봉제선의 폭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봉제선의 폭 조절에 따라 쿠션형성부(120)를 구성하는 가슴접촉부(121)와 몸통접촉부(1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애완동물의 신체에 밀착하여 착용될 수 있으며, 밀착 착용 후에도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 탄력 있게 늘어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신체적 충격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애완동물의 신체에 밀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제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등고정부(140)의 상부면에는, 제1공기주입부(161), 제2공기주입부(162) 및 제3공기주입부(163)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공기주입장치(17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1)는, 공기주입장치(172)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주입장치(17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생체신호검출부(173), 제2생체신호검출부(174), 위치검출부(176), 출력부(175) 및 제어부(17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생체신호검출부(173)는, 가슴접촉부(121)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의 심박수 및 심전도를 측정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부(171)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생체신호검출부(174)는, 몸통접촉부(122)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의 체온 및 호흡량을 측정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부(171)에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175)는, 등고정부(14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71)로부터 전달되는 결과값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1)는, 등고정부(140)에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제1생체신호검출부(173) 및 제2생체신호검출부(174)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현재 신체 상태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한 후, 결과값을 출력부(175)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하네스(100)의 위치검출부(176)는, 제어부(171)에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실시간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71)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1)는, 위치검출부(176), 제1생체신호검출부(173) 및 제2생체신호검출부(172)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애완동물의 신체상태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 후, 결과 데이터를 출력부(175)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생체신호검출부, 제2생체신호검출부, 위치검출부(176), 제어부(171) 및 출력부(175)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현재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운동량 및 건강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어, 애완동물과의 산책 강도 및 산책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네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애완동물용 하네스
110: 어깨감쌈부
111: 전방부
112: 후방부
120: 쿠션형성부
121: 가슴접촉부
122: 몸통접촉부
130: 몸통감쌈부
140: 등고정부
141: 등고정판
142: 가방결속부
143: 전방결속부
144: 후방결속부
151: 제1봉제선
152: 제2봉제선
153: 제3봉제선
161: 제1공기주입부
162: 제2공기주입부
163: 제3공기주입부
171: 제어부
172: 공기주입장치
173: 제1생체신호검출부
174: 제2생체신호검출부
175: 출력부
176: 위치검출부

Claims (5)

  1.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이고,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한 쌍의 어깨감쌈부(110);
    상기 어깨감쌈부(110) 각각의 내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쿠션형성부(120);
    상기 어깨감쌈부(110) 각각을 서로 연결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 및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며,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몸통감쌈부(130); 및
    상기 한 쌍의 어깨감쌈부(110)의 양단부를 애완동물의 등 부분에서 고정하며, 애완동물의 등 부분 일부를 감싸는 판상형 구조이고, 애완동물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장착할 수 있는 등고정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감쌈부(130)는,
    왼쪽 어깨에 배치되는 어깨감쌈부(110)의 전방측면과 제1봉제선(151)에 의해 결속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을 가로 질러 오른쪽 어깨에 배치되는 어깨감쌈부(110)의 전방측면과 제1봉제선(151)에 의해 결속되는 전방에 배치되는 몸통감쌈부(130); 및
    왼쪽 어깨에 배치되는 어깨감쌈부(110)의 후방측면과 제3봉제선(153)에 의해 결속되고, 애완동물의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을 가로 질러 오른쪽 어깨에 배치되는 어깨감쌈부(110)의 후방측면과 제3봉제선(153)에 의해 결속되는 후방에 배치되는 몸통감쌈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감쌈부(110)는,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의 전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전방부(111); 및
    애완동물의 양쪽 어깨의 후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후방부(112);
    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형성부(120)는,
    상기 전방부(111)와 후방부(112)의 폭보다 100 내지 200 %의 폭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가 충진되어 있는 유연한 특성의 패브릭(fabric)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형성부(120)는,
    상기 어깨감쌈부(110)의 일측과 제1봉제선(151)에 의해 결속되고, 애완동물의 가슴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된 가슴접촉부(121);
    상기 가슴접촉부(121)와 제2봉제선(152)에 의해 결속되고, 애완동물의 배부분과 맞닿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소정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어깨감쌈부(110)의 타측과 제3봉제선(153)에 의해 결속되는 몸통접촉부(122);
    상기 제1봉제선(151)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1봉제선(151)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1봉제선(151)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제1공기주입부(161);
    상기 제2봉제선(152)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2봉제선(152)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2봉제선(152)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제2공기주입부(162);
    상기 제3봉제선(153)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제3봉제선(153)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제3봉제선(153)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제3공기주입부(163);
    상기 등고정부(14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1공기주입부(161), 제2공기주입부(162) 및 제3공기주입부(163)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공기주입장치(172); 및
    상기 공기주입장치(172)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주입장치(17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하네스는,
    상기 가슴접촉부(121)에 장착되고, 애완동물의 심박수 및 심전도를 측정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부(171)에 전달하는 제1생체신호검출부(173);
    상기 몸통접촉부(122)에 장착되고, 애완동물의 체온 및 호흡량을 측정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부(171)에 전달하는 제2생체신호검출부(174);
    상기 등고정부(140)에 내장되고, 제1생체신호검출부(173) 및 제2생체신호검출부(172)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현재 신체 상태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한 후, 결과값을 출력부(175)에 출력하는 제어부(171);
    상기 등고정부(14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171)로부터 전달되는 결과값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175); 및
    상기 제어부(171)에 내장되고, 애완동물용 하네스의 실시간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71)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위치검출부(176);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71)는 위치검출부(176), 제1생체신호검출부(173) 및 제2생체신호검출부(172)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운동량을 산출하고, 애완동물의 신체상태를 바탕으로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판단한 후, 결과 데이터를 출력부(175)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고정부(140)는,
    애완동물의 등 부분의 일부를 감싸는 판상형 구조이고, 유연한 특성의 패브릭 소재 또는 가죽 소재로 구성되는 등고정판(141);
    상기 등고정판(141)의 상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애완동물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고정하는 가방결속부(142);
    상기 등고정판(14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어깨감쌈부(110)의 전방부(111)와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 전방결속부(143); 및
    상기 등고정판(141)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어깨감쌈부(110)의 후방부(112)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 후방결속부(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0210051551A 2021-04-21 2021-04-21 애완동물용 하네스 KR10232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51A KR102324401B1 (ko) 2021-04-21 2021-04-21 애완동물용 하네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51A KR102324401B1 (ko) 2021-04-21 2021-04-21 애완동물용 하네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401B1 true KR102324401B1 (ko) 2021-11-10

Family

ID=7850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551A KR102324401B1 (ko) 2021-04-21 2021-04-21 애완동물용 하네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4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36Y1 (ko) * 2003-06-05 2003-08-25 이인수 휴대손잡이가 부설된 애완동물의 옷
JP2007159441A (ja) * 2005-12-12 2007-06-28 Yamahisa:Kk ペット用ハーネス
KR20110009674U (ko) * 2010-04-06 2011-10-12 박병일 포켓이 구비된 애완견용 의류
KR200484037Y1 (ko)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36Y1 (ko) * 2003-06-05 2003-08-25 이인수 휴대손잡이가 부설된 애완동물의 옷
JP2007159441A (ja) * 2005-12-12 2007-06-28 Yamahisa:Kk ペット用ハーネス
KR20110009674U (ko) * 2010-04-06 2011-10-12 박병일 포켓이 구비된 애완견용 의류
KR200484037Y1 (ko) 2017-03-28 2017-07-24 최광용 애완동물용 하네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4890A1 (en) Dog harness with integrated support handles and load distribution geometry
US5511515A (en) Animal training and restraining harness
US8424495B2 (en) Cover assembly for protecting a dressing on a dog's leg
US8807091B2 (en) Dog harness
US8015947B2 (en) Animal harness
US6354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nimal
US7753008B2 (en) Harness for a pet diaper
US5267529A (en) Guiding muzzle for dogs
CA2645146A1 (en) Dog walking belt for dog having habit of pulling owner
US8516978B2 (en) Animal restraint system
US20020195065A1 (en) Hands-free leash system
US20200329676A1 (en) Compactable pet leash and harness
WO2012177298A1 (en) Animal motion control harness
US6912976B2 (en) Exercise harness for an animal
US7131400B2 (en) Animal wrap for touch training
US9241474B2 (en) Animal harness
US11102959B2 (en) Canine behavior adjustment leash
US2539606A (en) Protective cover for animals
US4655172A (en) Training harness for cats
US20210235669A1 (en) No Choke, Control Harness
US20060213943A1 (en) Character harness with storage pouch
KR102324401B1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US215983A (en) Improvement in horse-clothing
KR20220053240A (ko) 애완동물용 하네스
US8869751B2 (en) Animal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